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동점적관수에 의한 토성별 수분함량 및 장력 변화특성 비교 연구

        김학진,안성욱,한경화,최진용,정선옥,노미영,허승오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3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2 No.4

        Maintenance of adequate soil tension or content during the period of crop growth is necessary to support optimum plant growth and yields. A better understanding of soil tension and content for precision irrigation would allow optimal soil water condition to crops and minimize the adverse effects of water stress on crop growth and development. This research reports on a comparison of soil water tension and content variations in differently textured soils over time under drip irrigation using two different water management methods, i.e. pulse time and required water irrigation methods. The pulse time-based irrigation was performed by turning the solenoid valve on and off for preset times to allow the wetting front to disperse in root zone before additional water was applied. The required water estimation method was a new water control logic designed b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hat applies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based on a conversion of the measured water tension into water content. The use of the pulse time irrigation method under drip irrigation at a high tension of −20 kPa and high temperatures over 30oC was not successful at maintaining moisture tensions within an appropriate range of 5 kPa because the preset irrigation times used for water control could not compensate for the change in evapotranspiration during day and night. The response time and pattern of water contents for all of the tested soils measured with capacitance-based sensor probes were faster and more direct than those of water tensions measured with porous and ceramic cup-based tensiometers when water was applied, indicating water content would be a better control variable for automatic irrigation. The required water estimation-based irrigation method provided relatively stable control of moisture tension,even though somewhat lower tension values were obtained as compared to the target tension of −20 kPa, indicating that growers could expect to be effective in controlling low tensions ranging from −10 to −20 kPa with the required water estimation system. 본 연구에서는 토성에 따른 물의 이용효율을 높이면서재배 작물의 생산성을 최대화하기 위한 효율적인 자동관개 로직을 개발하고자, 수분장력값을 관수 개시점으로하여 물 공급 유지와 멈춤을 간헐적으로 수행하는 펄스형 관개방식과 측정한 수분장력값을 이용하여 토양수분량을 예측해 재배작물에 적합한 물량을 추가 투입하는필요물량계산 관수방식을 적용하여 토성이 다른 실험베드에서 2년간 토마토 작물을 재배하면서 토양수분 함량과 장력의 변화를 측정비교하였다. 물공급 30초와 멈춤30분 및 15분 조건을 이용한 펄스형 관수방식과 필요물량계산 방식에서 얻어진 수분장력값은 목표한 −20kPa 조건에 비해 각각 −42~−8kPa, −20~−10kPa로 나타나 필요물량 계산방식이 균일한 수분장력을 유지하는 측면에서는 유리하였으나 토양수분상태는 상대적으로 습하였다. 공시 토성 모두에서 수분함량은 수분장력에 비해 시간반응이 빠르면서 물공급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수분변화 값은 펄스형 관수와 필요물량계산 관수방식의 경우 사양토 기준으로 각각 17~24%, 19~31%로서 펄스형 관수방식이 수분변화 값이 작으면서 시간에 따라 안정적인 값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물공급에 따른 수분함량의 시간변화가 수분장력에 비해 뚜렷하게 빠름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펄스형 관수방식은 수분함량값을 이용하여 수분을 조절하는 것이 유리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

        노지 과수원에서 토양수분센서 설치 위치에 따른 토양수분 변화 비교

        김종균,김현석,강경진,김종윤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4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3 No.2

        노지 토양의 효율적인 수분관리를 위해서는 토양수분센서 를 알맞게 사용하여야 하며, 특히 노지 과수와 같이 넓은 뿌리환경을 가지는 토양 환경에서는 적합한 센서 설치 위치가 매 우 중요하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노지 과수원에서 다양한 거 리와 깊이에 토양수분장력 센서를 설치하여 각 위치의 토양수 분장력 값을 측정하고, 센서 설치 위치에 따른 토양수분 변화 정도를 비교하여, 이에 따른 최적 토양수분센서 설치 위치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국내 두 지역에 위치한 사과 및배 과수원에서 각 과수의 수간으로부터 거리 20, 40, 60cm, 토양표면으로부터 깊이 10, 20, 30cm로 각각 9개의 토양수분장력 센서(TEROS 21, METER Group)를 설치하여 2년간의 토양 수분장력 변화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두 과수원 모두 센서 가 과수의 수간으로부터 가까울수록, 토양의 표면으로부터 얕게 설치되어 있을수록 토양수분장력 값의 변화 정도가 크게 나타났으며, 20cm × 10cm(과수의 수간으로부터 거리 × 토양 표면으로부터 깊이) 지점에서의 토양수분장력 값의 변화 정 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토양수분센서 설치에 가장 적합 한 지점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연도가 달라짐에 따라 과수 의 뿌리가 생장하며 센서 설치 위치에 따른 토양수분장력의 변화 정도 양상이 조금씩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지 과수와 같이 장기간 재배하는 작물의 토양수분 환경을 알맞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의 주기적인 토양수분 변화 관찰 및 보완을 통해 센서 설치 위치를 변경하는 노력도 필요할 것 으로 나타났다. For efficient soil water management in open fields, the proper use of soil moisture sensors is a prerequisite. Particularly in open-field environments like orchards with extensive root systems, the appropriate positioning of sensors is very importan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optimal placement of soil moisture sensors by assessing changes in soil water potential across various positions within orchard field soils after installing tensiometers. In apple and Asian pear orchards located in two regions of Korea, nine soil water potential sensors (TEROS 21, METER Group) were installed at distances of 20, 40, and 60 cm from the tree trunk and depths of 10, 20, and 30 cm from the soil surface, and monitored the soil water potential changes over two years. Results indicated that the positions closer to the tree trunk and the soil surface exhibited more pronounced changes in soil water potential. The greatest magnitude of change in soil water potential was observed at a distance of 20 cm and a depth of 10 cm, suggesting this position as the most suitable for soil moisture sensor installation. However, variations in the degree and pattern of changes in soil water potential were noted across sensor positions due to root system growth over time. Therefore, periodic observation and adjustments in sensor placement would be advisable to accurately monitor the soil moisture condition in long-term crops such as fruit trees in open fields

      • KCI등재

        정밀 관수 제어를 위한 배추의 수분스트레스 지수 개발

        이희수,김성겸,이희주,이진형,안세웅,이상규 한국원예학회 2019 원예과학기술지 Vol.37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il moisture tension on the growth and leaftemperature of the Kimchi cabbage and develop the crop water stress index (CWSI) for precisionirrigation control. Kimchi cabbages were cultivated under different levels (-20, -100, and -500 kPa)of soil moisture tension (SMT). At 60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dry matter weight was significantlylower at -500 kPa of SMT than -20 and -100 kPa, however, there were non-significant changes inthe maximum leaf length, leaf width, and leaf number among SMT levels. The head weight of theKimchi cabbage was 60% greater (2,331 g/plant) at -500 kPa than at -20 kPa (1,442 g/plant). Themean leaf temperature of cultivars at -20, -100, and -500 kPa during trial periods was 25.9, 26.5, and30.6°C, respectively. The CWSI of cultivars at -20, -100, and -500 kPa was 0.0, 0.1, and 1.0,respectively. Results indicated that the growth, leaf temperature, and CWSI calculated from the leaftemperature of the Kimchi cabbage can differ depending on the SMT, and it is possible to developfeasible methods for precision irrigation using the CWSI. 본 연구는 토양수분장력 처리에 따른 배추의 생장과 엽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이를 활용하여 작물 수분 스트레스 지수(CWSI)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토양수분장력 처리는 3수준(-20, -100 및 -500kPa)으로 설정하였다. 정식 후 60일에 배추 건물중은 -20 및 -100kPa 처리에 비해 -500kPa 처리에서 현저히 낮았으나, 최대 엽장, 엽폭 및 엽수에서는 유의차가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497정밀 관수 제어를 위한 배추의 수분스트레스 지수 개발없었다. 배추의 구중은 -20과 -500kPa 처리에서 각각 2,331 및 1,442g/plant로 충분히 관수된 -20kPa 처리가 토양수분이 결핍된 -500kPa 처리에 비해 약 60% 더 무거웠다. 토양수분장력 처리기간 중 엽온 평균은 -20, -100 및 -500kPa 처리에서 각각25.9, 26.5 및 30.6°C였으며, -20과 -500kPa 처리의 엽온은 4.7°C 차이를 보였다. 토양수분장력 -20 및 -100kPa 처리구의 작물 수분 스트레스 지수는 각각 0.0 및 0.1로 수분 스트레스가 없었으나, -500kPa 처리구는 1.0으로 극심한 수분 스트레스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토양수분장력에 따라 배추의 생장과 엽온이 크게 달라질 수 있고, 엽온을 측정하여 수분스트레스 지수를 계산하고 이를 정밀 관수 제어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급경사 사면에서의 토양수분 특성곡선과 모형 매개변수 평가

        조민지(Cho Min ji),곽용석(Gwak Yong seok),김상현(Kim Sang hyun)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6

        본 연구는 사면에서의 토양수분과 함께 토양장력의 시계열에 대한 관측과 해석을 수행하였다. 토양수분과 토양장력의 관계를 현장사면에서 설정하는 시도는 토양수분 특성곡선을 확보하는 것으로 van Genuchten(1980)과 Brooks and Corey(1964)가 제안한 식에 적용시켜 수식의 매개변수를 구하였다. 이를 위해서 경기도 파주군 설마리에 존재하는 사면에 관측시스템을 설치하고 9개월간 토양수분과 토양장력 자료를 수집하였다. 토양장력은 사면에서의 위치, 계절에 따라 다른 특성을 나타냈다. 상부사면에서의 토양장력은 강우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였고, 하부사면의 경우 토심이 깊은 60 cm, 90 cm의 경우 장력의 변화가 다른 지점에 비해 강우에 대한 반응이 적었으나, 중간정도의 토심인 30 cm의 경우 중부사면보다 강우에 대한 반응이 민감하였다. 토양수분 특성곡선과 그 자료를 이용하여 Seki(2007)이 고안한 프로그램을 통해 매개변수를 구하였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양토에서의 vG-BC모형의 매개변수와는 상당히 큰 차이를 보였다. In this study, time series of soil moisture and soil tension in a steep hillslope had been measured. The in-situ soil moisture characteristic curve was obtained and the model proposed by van Genuchten (1980) and Brooks and Corey (1964) were used to estimated parameters. A monitoring system had been operated in a hillslope at Sulmachun watershed located in Paju, Kyounggi province for 9 months. Soil tension showed distinct features depending upon location and season. Soil tensions were sensitively responded at upslope but deeper depths such as 60 cm and 90 cm showed damped responses but more sensitive behaviour was observed at the depth of 30 cm in downslope. The model parameters for soil moisture characteristics curve were evaluated using code proposed by Seki (2007) and substantial difference in estimated parameters were found to parameters widely known vG-BC model for sandy loam soil.

      • KCI등재

        토양 포트 재배에서 공중 습도와 광 조건이 관수와 오이의 생육, 줄기 수액 흐름 및 가스교환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민경,안진희,이용범,최기영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5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는 54일 동안 관수량과 오이(‘아시아 은천 F1’)의 생육, 줄기 수액 흐름, 광합성 특성, 수분 이용 효율에 대한 상대습도(RH)와 광도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오이는 토양 화분에서 재배되었으며, 토양 수분 장력계로 자동 제어(-10kPa) 하여 EC 1.5dS m-1의 양액을 1회 주당(per plant) 265mL 공급하였다. 처리는 세 조건으로 광도 200μmol·m-2·s-1에 가습 처리구(HL)와 무가습의 대조구(Control), 광도 350μmol·m-2·s-1 에 가습 처리구(HH)로 설정하였다. 주간(weekly) 평균 RH는가습 처리구에서 79.5%(VPD 2.4kPa), 무가습 처리구에서65.5%(VPD 4.0kPa)이었고, 평균 온도는 모든 처리구에서25℃이었다. 총관수 횟수는 대조구에서 29회, HL처리구에서 26회, HH처리구에서 27회이었다. HH처리구에서 초장과마디 수, 엽 생육, 줄기 직경에서 생장이 컸으며, HH처리구에서 광합성률이 더 높았고, 대조구에서 증산률이 더 높았다. 주간 엽온은 HH처리구에서 28℃, HL처리구에서 26℃, 대조구가 23℃였으며, 엽기온차는 HH처리구에서 2℃, HL처리구에서 0℃, 대조구에서 -3℃ 이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줄기수액흐름(SFRR)은 광의 유무와 토양수분장력에 영향을 받아 광주기 시작 전 10%(HH, Control)-30%(HL)에서 광주기 시작 이후 60%(HH)-90%(Control)로 상승하였고, 관수후 SFRR은 20-30% 상승폭을 나타냈다. 광 조사 동안 평균SFRR은 대조구에서 88.5%로 가습처리구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 오이 토양 포트재배에서 토양수분장력-10kPa 관수제어시 처리구의 토양 수분장력은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적정 VPD가 유지되면 오이의 생육과 암꽃발생률이 높았고 광주기 동안 엽기온차, 관수영향은 SFRR에 영향을 주었다.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relative humidity (RH) and light intensity on irrigation amount, growth, sap flow relative rate (SFRR), gas exchange, and water use efficiency (WUE) in cucumber ‘AsiaUnChun F1’ over 54 days. Plants were grown in soil pots irrigated with a nutrient solution (EC 1.5 dS m-1) and managed with a tensiometer at -10 kPa soil water tension. Supply per time of the nutrient solution was 265mL per plant. Three treatments were applied to 200 μmol·m-2·s-1 PPFD with daytime humidification (HL), and without humification (Control), and 350 μmol·mm-2·s-1 PPFD with daytime humidification (HH). The average daytime RH of humification treatments was 79.5% (VPD 2.4 kPa) while that of no humification was 65.5% (VPD 4.0 kPa). Temperature settled was 25°C for all treatments. Total number of irrigations was 29, 26, and 27 for Control, HL, and HH, respectively. HH plants exhibited superior growth in plant height, node number, and leaf sizes, with higher photosynthetic rates. Higher transpiration rate was observed in Control. Daytime leaf temperatures were 28°C (HH), 26°C (HL), and 23°C (Control), creating leaf-air temperature differences of 2°C (HH), 0°C (HL), and -3°C (Control). Sap flow relative rate (SFRR) in all treatments increased from 10-30% to 60-90% before and after photoperiod onset. SFRR was also affected by soil water tension, with a 20-30% increase after irrigation in all treatments. During photoperiod, average SFRR for Control was 88.5% which was higher than for the treatments with humidification. These findings showed that in cucumber soil pot cultivation, when an adequate VPD was maintained, cucumber growth and female flower incidence rate were high, and leaf-air temperature differences and irrigation during the photoperiod affected SFRR, despite no difference in soil water tension between the treatments.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