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손진태(孫晋泰)의 시조 인식과 제국의 시선

        유정란 ( Yu Jeong-ran ) 민족어문학회 2021 어문논집 Vol.- No.92

        이 논문은 손진태(孫晋泰, 1900~?)의 학문 기반을 바탕으로 재일(在日) 당시의 시조론과 『朝鮮古歌謠集』(1929)에 내재된 그의 연구 관점과 방법론을 이해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가운데 손진태의 시조 인식과 그 연구가 실상은 일본인들의 조선 민족성론, 나아가 식민담론을 답습하는 것이었음을 규명하고자 했다. 1920년대 손진태의 학문 기반은 민족 문화사를 연구하는 민속학에 토대를 두고 있었다. 손진태가 무엇보다 관심을 쏟은 연구 대상은 조선의 정신을 충실히 보이는 민중의 문화였다. 동시에 그는 그 고유성이 남아있는 국문학 자료에 관심을 가지고 조선의 동요, 민요, 시가 등을 연구했다. 특히 손진태는 국문학 자료를 통해 조선 민족의 특성을 발견하고자 했는데 이런 점에서 그의 국문학론은 민속 연구의 일환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손진태의 시조론 역시 고유 조선과 그 민족성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따라서 『조선고가요집』을 관통하는 그의 시조관은 중국형 유교 문화와 거리가 먼 ‘조선적인 것’, 그의 말을 빌리자면 바로 ‘향토미’에 있었다. 나아가 손진태는 무엇보다 사설시조의 가치에 주목했다. 그 결과, 시조의 연원을 속요로부터 찾는가 하면 사설시조에서 평시조로 발전하는 시조사의 틀을 제시하기도 했다. 민속학 논의의 기반이었던 반중국적, 반귀족적 민족의식이 사설시조를 우상화하는 데 연결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손진태의 연구 관점이 일본학자들의 조선 사회연구, 곧 민족지학과 상통하는 것임을 조망했다. 그가 사설시조의 연원을 소급하면서까지 밝히려 했던 조선 고유의 민족적 특성은 당대 제국이 요구했던 조선색과 다름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조선 시대 시조를 통한 민족성 기술의 배경에 제국의 이데올로기가 자리하고 있는 점도 확인했다. 결국, 손진태의 시조 인식 방향에는 일본의 식민담론과 그들의 의식이 혼종, 교차되어 있음을 규명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based on Son Jin-tae’s academic foundation, discussing his perception of Sijo (時調). The aim is to understand the research perspectives and methodologies inherent in the JoeseonGogayojip (朝鮮古歌謠集). Among them, Son Jin-tae’s perception of Sijo and his research were intended to follow the Japanese people’s theory of ethnicity in Joseon and even colonial discourse. In the 1920s, Son Jin-tae’s academic foundation was based on folklore that studied the history of national culture. Above all, Son Jin-tae paid attention to the culture of the people that faithfully showed the spirit of Joseon. At the same time, he studied Joseon’s children’s songs, folk songs, and poetry with interest in the remaining Korean literature materials. In particular, Son Jin-tae sought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seon people through Korean literature materials, and in this regard, it was confirmed that his theory of Korean literature was part of folk research. Son Jin-tae’s theory of Sijo was also focused on Joseon and its ethnicity. Thus, his perception of the sijo was that of ‘Joseon’, which was far from Chinese Confucian culture, and, in his words, of locality. Furthermore, Son Jin-tae paid attention to the value of Saseol-Sijo (辭說時調). As a result, Son Jin-tae found the origin of the Sijo from the folk songs and presented the framework of Sijo-history which developed from the Saseol-Sijo (辭說時調) to the Pyeong-sijo (平時調). The anti-Chinese and antinobilism national consciousness, which was the basis of folklore discussions, was linked to the Saseol-Sijo (辭說時調). It was observed that Son Jin-tae’s view of research was in line with Japanese scholars’ social studies of Joseon, or ethnography. The unique ethnic characteristics of Joseon, which he tried to reveal by retrospecting the origins of the Saseol-Sijo (辭說時調), were the same as the ‘Joseon color’ demanded by the empire of the time.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ideology of the empire lies in the background of ethnic description through the progenitor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end, Son Jin-tae’s recognition of Sijo revealed that Japanese colonial discourse and their rituals were mixed and crossed.

      • KCI등재후보

        손진태의 조선 민족론과 신민족주의 역사서술

        이정선 국립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23 인문학술 Vol.11 No.-

        본 논문은 1946~1949년 간행된 한국사 개설서를 중심으로 손진태의조선 민족론과 신민족주의 역사서술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첫째, 손진태의 조선사 연구 방법론과 역사서술은 중간파의 현실 인식을 반영했다. 해방 이후 한반도는 미·소의 분할 점령과 좌우 대립의 소용돌이에 빠졌고냉전 체제가 형성되면서 남북이 분단되었다. 손진태는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 진정한 민족국가가 수립되기를 바랐다. 진정한 민족국가는 내부적으로는 무계급·민주주의 국가이고, 외부적으로는 민족자주·국제친선 국가였다. 이를 실현할 정치 이념이 신민족주의였다. 손진태는 신민족주의를 토대로 조선사를 서술하고 교육함으로써 민족국가 수립에 기여하고자했다. 둘째, 손진태는 당시에 존재하던 조선 민족을 단일민족이라고 했지만, 민족의 동질성이 민족의 우수성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단일민족인 조선 민족은 역사적으로 형성된 것이라고 했다. 손진태가 조선 민족의 기원을 단군이 아니라 원시 퉁구스족에서 찾은 것은 역사학과 인류학·민속학의 연구 성과를 종합한 결과였으며, 역사를 왕조 중심이 아니라 지배층과 피지배층을 아우르는 진정한 민족을 중심으로 서술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의 산물이기도 했다. 또한 원시 퉁구스족이 조선 민족으로 바뀌는 과정을 다루면서는, 조선 민족의 외양(집단·영토)과 민족의식을 모두 고려했다. 조선민족의 외양은 신라의 삼국통일과 조선의 영토 확정으로 완성되었지만, 민족의식은 외세와의 대립 또는 투쟁의 유무에 따라 강해지거나 약해질수도 있었다. 셋째, 손진태는 귀족지배체제가 진정한 민족국가 수립의 가장 큰 방해물이라고 보고, 그를 강력히 비판했다. 귀족지배체제는 삼국시대 이래 지배층이 민중의 정치적 권리를 빼앗아 형성되었고, 지배층이 서로 권력을다투며 피지배층을 착취하였으므로 결국 민족을 분열시키고 외세의 침략을 초래하여 국가를 멸망시키기에 이르렀다. 손진태는 귀족지배체제를 타파하려면, 선거를 통해 피지배층의 정치 참여를 보장하고 토지 분배를 통해 재산을 평등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로써 안으로 무계급·민주주의 국가를 이룩해야만 민족이 단결할 수 있고, 약소민족은 진정한 민족의단결을 통해서만 외부의 강대국에 대항할 힘을 가질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손진태의 역사학에는 결정적 한계가 있다. 그의 개념에 따르면, 당시 사회는 여전히 불평등하고 가짜 민족주의가 지배적인 귀족국가체제였다. 무계급·민주주의 사회로 바꾸고 신민족주의가 실현된 진정한 민족국가를 만드는 일은 미래의 소망이었다. 손진태는 이 과정에 기여하기 위해 조선사를 서술하고 국사를 교육했다. 하지만 바람과 달리 무계급·민주주의 사회가 실현되지 않을 때, 그 와중에 강대국의 영향력에 대항하기 위해 단결해야 할 때, 피지배층이 평화적으로 선거에 참여하는 것 외에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말해주지 않는다. 선거는 미래의 민족국가에서는 유효하겠지만 현재의 귀족국가체제에서는 제대로 작동하기 어렵다. 이를 공백으로 남겨둔 채 현실에 개입하려는 손진태의 역사학은 무기력할수밖에 없었다.

      • KCI등재

        손진태의 사회문화사 연구

        박대재 ( Park Dae-jae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8 民族文化硏究 Vol.78 No.-

        南滄 孫晉泰(1900-?, 1950년 납북)의 역사학은 일반적으로 新民族主義史學으로 규정되어 왔다. 하지만 손진태의 역사학은 해방 이후 정립된 신민족주의의 틀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다. 손진태의 학문은 1920년대 민속학 연구로부터 시작되었다. 1980년대 이후 손진태의 학문을 일제시기의 민속학과 해방 이후의 신민족주의 역사학으로 구분해 보려는 경향이 강하다. 학계 일각에선 일제시기 손진태의 학문이 滿鮮史學의 타율 사관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으며, 그에 대한 반성으로 해방 이후 신민족주의를 내세웠다고 보기도 한다. 하지만 1930년대 反貴族的 민족의식이 투영된 저술들을 통해 볼 때, 손진태의 학문자세나 문제의식이 해방 이후 크게 바뀌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 글에서는 1920년대 후반부터 손진태가 지속적으로 추구했던 사회문화사 연구를 주목하였다. 민속학을 통한 사회문화사 연구는 손진태 학문의 基調였으며, 이를 통해 민속학과 신민족주의사학의 節合(articulation)도 가능하게 되었다. Historical studies by Namch'ang(南滄) Son Chint'ae(孫晉泰, 1900-?, abducted to North Korea in 1950) is generally classified as neo-nationalistic history. Yet, his historical researches cannot be interpreted under the frame of neo-nationalism, which was founded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 His scholarship started from researches on folklore during 1920’s. From 1980’s, there is a strong tendency to classify his studies as a part of ethnolog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neo-nationalistic history after the independence of Korea. Some scholars viewed that his studies were not free from the heteronomous historical viewpoint of Manchuria-Choson History(滿鮮史學) during the Colonial Period; as a result, Son Chint'ae propounded neo-nationalism as his self-reflection after Korea’s liberatrion. Still, taking his writings from 1930’s reflecting his anti-aristocratism into consideration, it is hard to say he changed his academic attitude and critical mind after Korea’s liberation.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Son Chint'ae’s sociocultural studies he consistently pursued from the late 1920’s. Sociocultural researches by ethnology were the foundation of his academic career, which enabled articulation of Ethnology and Neo-Nationalistic History.

      • KCI등재

        『震檀學報』와 손진태의 학문적 역할

        유정란 진단학회 2023 진단학보 Vol.- No.141

        본고는 남창(南滄) 손진태(孫晋泰, 1900~?)에 중점을 두고 『진단학보(震檀學報)』에서 확인되는 그의 학문적 역할과 연구사적 의미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진단학보』에 수록된 총 5편의 연구 성과물은 일본 내지의 학문 경로를 잇는 것인 동시에 이후 그의 연구가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될지를 미리 보여준다. 그런 점에서 진단학회에서의 손진태의 역할을 고찰하는 본고의 목적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손진태는 와세다 고등학원 시절부터 연을 맺었던 인류학자 니시무라 신지의 문하에서 자연스럽게 문학에서 민속학으로 관심을 옮기게 된다. 니시무라와의 만남, 그리고 그의 강의가 민속학자로의 길을 걷게 한 결정적 계기가 된 셈이다. 또한, 손진태 민속학의 근간에는 비교적 관점이 관통하고 있다. 수학기의 여러 성과물에서 확인되듯 그의 연구는 동북아시아 민속 비교라는 방법론으로 그 편폭을 더욱 확장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 까닭에 『진단학보』에서 손진태가 담당한 민속학의 세부 영역은 바로 해외의 그것이었다. 문헌 사료와 채집한 현지 자료를 이어 붙이고 타민족과의 비교를 통해 파악되는 보편성, 나아가 그 속에서 발견되는 조선 고유의 특성을 찾는 것이 손진태가 보여준 논의의 정수였다. 비교민속학을 통한 조선 연구란 그의 연구 방향은 진단학회의 창립 목적인 ‘조선 및 인근 문화의 연구’에도 부응하는 것이었다. 이에 그가 보여준 민속학의 윤곽은 『진단학보』의 학술 외연을 넓히는 데도 크게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Nam-chang(南滄) Son Jin-tae(孫晋泰, 1900~?) and examines his academic role and research implications identified in the Journal of 『Chin-Tan Hakpo(震檀學報)』. A total of five research results included in the 『Chin-Tan Hakpo』 connect academic paths in Japan and show in advance the direction in which his research will proceed in the future. In this regard, this paper, which examines Son Jin-tae's role in the Chin-Tan society, has an important meaning. Son Jin-tae naturally shifts his interest from literature to folklore under the guidance of anthropologist Nishimura Shinji(西村眞次, 1879~1943), who has been associated with Waseda High School since his days. His meeting with Nishimura and his lectures served as a decisive opportunity for him to walk the path of a folklorist. In addition, there is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Son Jin-tae's folklore. As can be seen from various achievements, his research was further broadening its scope to the methodology of comparison in Northeast Asia. For this reason, the detailed area of folklore that Son Jin-tae charge in the 『Chin-Tan Hakpo』 was that of overseas. The essence of Son Jin-tae's discussion was to connect literature and collected local data and find the universality ident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other ethnic groups o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Joseon founded in them. The study of Joseon through comparative folk studies was to respond to the founding purpose of the Chin-Tan Society, 'the study of Joseon and neighboring cultur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outline of folklore he showed greatly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academic extension of the 『Chin-Tan Hakpo』.

      • KCI등재

        한일 설화 채집ㆍ분류ㆍ연구사로 본 손진태 『조선민담집』의 의의

        김광식 ( Kim Kwang-sik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6 No.-

        근대 설화학의 성립과 발전이 설화의 본격적 채집과 분류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한일 설화의 채집ㆍ분류ㆍ연구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먼저 근대 한일에서 전개된 다양한 주체에 의한 설화 채집 상황을 비교 검토하였다. 일본문부성과 조선총독부가 1910년 전후에 실시한 구비문학 조사는 프랑스ㆍ독일의 움직임에 반응한 것으로, 직접 채집 방식이 아닌 교육기관에 시달해서 교원과 학생을 동원해 자료를 보고토록 하는 간접 수집 방식의 전형이었다. 남창 손진태(1900~?)는 이러한 방식의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1920년대 필드워크를 통해 민간 설화를 다수 채집해 1920년대에 그 작업을 집대성했음을 명확히 했다. 본고에서는 조선총독부 및 일본인 연구자가 시도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뛰어넘은 손진태의 업적과 그 시대적 한계를 검토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손진태 자료집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일본어로 작성된 사실, 지식인을 포함한 제한된 제보자와 지역 편중의 문제, 설화 분류방식의 불합리성을 지적했다. 본고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지적된 문제를 재검토하였고, 선행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은 채록 시기의 문제와 권말에 수록된 부록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 성격을 명확히 하였다. 「조선 민간설화의 연구」 집필 시에 제시된 문헌 인용 자료와 『조선민담집』 부록에 추가된 문헌을 비교 검토하여, 설화 연구의 발전 양상을 분석하였고, 1920년대 수차례에 걸쳐 추가된 내용이 해방 후에 출간된 『조선 민족설화의 연구』에는 일체 반영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손진태는 1929년 4월, 「조선 민간설화의 연구」 15회 연재를 마친 직후에 조선 고가요를 일본어로 번역한 『조선고가요집(朝鮮古歌謠集)』(1929)을 발간하고, 잡지 『신생』, 『신민』, 『민속학(民俗學)』 등에 자주 투고하며 이듬해 1930년 향토연구사에서 『조선신가유편(朝鮮神歌遺篇)』과 『조선민담집』을 간행했다. 1920년대 전개된 손진태 비교 설화학은 『조선민담집』의 자료편으로 일단 완결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론에서 명확히 했듯이 손진태의 설화 연구는 1921년 일본 유학 이후, 민속학과 문화인류학을 수학하면서 향토애에 기초해 근대 이후 급격히 사라져 가는 민담을 집대성해야 된다는 관심과 사명감에서 시작되었다. 식민지시기에 조선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설화학을 전개한 손진태는 해방 후, “조선의 민속 문화는 요원한 고석(古昔)으로부터 결코 고립한 문화가 아니요 실로 세계문화의 일환으로 존재하였다”고 지적하였다. 해방 후에 손진태는 세계문화와 소통하는 보편적 설화학을 명확히 제시함으로써 우리 문화를 이해하였다. 이러한 해석은 1920년대에 전개된 손진태 설화 연구의 성격을 여실히 반영한 것이라는 점에서 이 시대의 고전으로서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folktale studies started from the collection of folktales and their classification. This study considers the history of the collections of folktales performed in modern Korea and Japan. Although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vestigated the oral literature in the 1910s, the collection was made in directly. Later, Sohn Jin-Tae (孫晉泰, 1900-?) collected folktales through fieldwork in the 1920s. This research considers the achievement of Sohn Jin-Tae and its time limit. As the work was published in Japanese, and limitations from the informant and the canvased area were pointed out. This paper analyzes, the problems from Sohn Jin-Tae’s position as an outsider specifically. To this end, it considers the time of the collection and the contents of the appendix to the Chosun folk tale collection (朝鮮民譚集, 1930). Its developed aspect was elucidated by comparing Sohn Jin-Tae`` thesis and the inclusion of an appendix. Sohn Jin-Tae considered Korean old songs, god``s songs, and folktales in the 1920s. The appendix was Sohn Jin-Tae’s conclusion. He clearly insisted more on universal studies of folktales than on the establishment of a Korean identity through folktales. I would like to consider folktale collections and, their classification and study after 1930, including that of Sohn Jin-Tae’s.

      • KCI등재

        손진태의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번역과 그 성격

        유정란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9 동방학 Vol.0 No.41

        This article look at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translated text <Nongawolryounga(農家月令歌 )> by Son Jin-tae in 1927. And review the cultural and political dynamics surrounding the translation. Son Jin-tae has made many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Chosun Literary and Poetry. Among them, he has done important work in translation and cultural history, translate the <Nongawolryounga> and published in magazine of 『Dongyang(東洋)』. This paper noted that the translation of <Nongawolryounga> was carried out in Japan by Son Jin-tae, an alien. The purpose of the book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ranslation <Nongawolryounga>, which wa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nationalist Joseon intellectuals. First of all, took a look at Son Jin-tae's academic journey and the opportunity for his translation. He was earlier approaching Joseon's literature to understand the ethnicity of Joseon and its spiritual world. In this situation, Son Jin-tae, who discovered <Nongawolryounga> emphasis on the historical aspect and introduces it to Japan. The specific aspects of translation are largely organized into two variations: shape and content. Separation of phrases and revision and addition of the original text through active interpretation have been attempted. This is a translation strategy to convey "the Joseon" most effectively. In order to gauge the character of the translation of <Nongawolryounga>, looked into it as well Son Jin-tae's theory of poetry and the context of its acceptance. As a result, the translated version of <Nongawolryounga> was provided to imperial Japan as a study of the ethnic life of colonial Joseon. revealed the point where Son's translation was link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ethnography of Japan. 이 글에서는 남창(南滄) 손진태(孫晋泰)가 1927년 번역한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텍스트의 특징적 양상을 살피고 번역을 둘러싼 문화 정치적 역학들에 대해 검토하고자 했다. 손진태는 조선의 국문학, 구체적으로는 시가(詩歌) 문학 방면에 많은 업적을 남기고 있다. 그중에서도 번역문화사 방면에서 중요한 작업을 수행한 바 있는데 바로 <농가월령가>를 번역하여 잡지 『동양』에 게재한 것이다. 본고는 <농가월령가> 번역이 외지인 손진태에 의해 일본에서 수행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민족주의 계열의 조선 지식인들과는 사정이 달랐다는 점을 시야에 넣고 번역문 <농가월령가>의 성격을 살피고자 한 것이다. 우선 손진태의 학문 여정과 <농가월령가> 번역의 계기를 짚어보았다. 그는 일찍이 조선의 민족성과 그 정신적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조선의 문학에 접근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가월령가>를 발견한 손진태는 작품의 민족생활사 방면을 강조하며 번역해 일본에 소개한다. 번역의 구체적인 양상은 크게 형태상의 변형과 내용상의 변형 두 가지로 정리된다. 구(句)의 분리, 원문의 적극적 해석을 통한 수정 및 첨가 등이 시도되었는데 ‘조선적인 것’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번역 전략이라 할 수 있다. 이어서 <농가월령가> 번역의 성격을 가늠하기 위해 손진태의 시조론과 번역의 수용 맥락을 아울러 살폈다. 그 결과 <농가월령가> 번역문은 식민지 조선의 민족 생활을 연구하는 자료로 제국 일본에 제공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손진태의 번역이 제국 일본의 민족지(民族誌) 구축작업에 연동한 지점을 밝힌 것이다.

      • KCI등재

        손진태 신민족주의론의 ‘좌우합작적’・‘민주주의적’ 성격에 대한 재검토

        홍선이 한국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연구 Vol.- No.32

        The conventional wisdom of ‘neo-nationalism’ proposed by Son Jin-tae is that it was an ideology of democracy and slogan of movement for establishing the unified nation-state. This article tried to get a new point of view different from these common opinions as follows. Just before the general election held on May 10, 1948, Son Jin-tae wrote a book that encouraged the participation of workers and peasants in the election. This means that he supported to establish South Korea's government without North. He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policy as Deputy Minister of Education and Director of Text book compilation Bureau during the period of the Rhee Seung-man regime. In short, Son Jin-tae and his neo-nationalism were closer to the right rather than the right and left wing coalition movement. Son Jin-tae accepted democracy in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However, he reversed himself about democracy after establishing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e advocated ‘new-democracy’ that rejects both Soviet democracy and English-American democracy. He argued that English-American democracy has a harmful influence on small nation like Korea, because it puts individual's personality and happiness before national unity and prosperity. He defined individualism as ‘an enemy of the nation’ and believed individuals should be considered more subordinate to a nation. Finally, he declared that he would retitle his ‘neo-nationalism’ into ‘Ilmin-ism’[一民主義], which is considered a kind of totalitarianism. 이 글은 손진태와 그가 제창한 신민족주의의 정치적 성격을 재검토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선행 연구들은 손진태의 신민족주의를 “민주주의를 이상으로 하는 이념” 혹은 “좌우 갈등을 보합하여 민족통일국가를 수립하고자 한 좌우합작 성격의 이데올로기”로서, 안재홍이 제창한 동명의 신민족주의와 기본적으로 같다고 보았다. 필자는 손진태가 발표한 글들을 단독 선거를 기준으로 구분한 후, 각 시기에 그가 취했던 정치적 행보에 주목하여 새로운 규정을 시도하였다. 먼저 단독정부 수립 이전 손진태의 신민족주의는 해방 정국의 좌우갈등의 혼란 속에서 중도적 입장을 취하기보다는 계급주의와 공산주의를 비판하는 데 방점이 있었다. 또한 그는 5・10 총선거를 앞두고 선거 참여를 독려하는 책을 저술하였으며, 이승만 정권 수립 후에는 문교부 차관 겸 편수국장으로 임명되어 교육 정책의 입안과 실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사실들은 손진태와 그가 제창한 신민족주의론이 중도적・좌우합작적 성격보다는 이승만으로 대표되는 반공・단정노선에 가까웠음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미군정기 손진태는 민주주의를 신민족주의의 기본이념으로 받아들였으나, 단정 수립 이후에는 자신의 기존 입장을 번복한다. 그는 소련식의 민주주의, 즉 공산주의와 마찬가지로 영・미식 민주주의도 강자의 논리라고 주장한다. 영・미식 민주주의가 개인의 개성과 행복을 민족의 一致團結과 번영보다 우선한다는 것이 그 근거였다. 손진태는 개인을 집단보다 종속적인 것으로 보았고, 개인주의를 ‘민족의 적’으로 규정하였다. 결국 그는 1950년 지금까지 자신이 ‘신민족주의’라는 이름으로 주창해왔던 이념을 ‘一民主義’로 수정하겠다고 선언한다. 이승만 정부 시기 문교부에서는 ‘일민주의’의 이름으로 좌익 교원의 퇴출과 학도호국단 창설과 같은 반민주주의 교육 정책이 단행되었다. 이러한 반민주적인 교육 정책의 중심에 손진태가 있었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역사민속학(歷史民俗學)의 태동(胎動)과 전개(展開) -손진태(孫晉泰) 민속학(民俗學)을 중심으로-

        송화섭 ( Hwa Seob Song ) 남도민속학회 2011 남도민속연구 Vol.23 No.-

        한국 민속학은 1930년대 초에 태동하였다. 한국 민속 연구의 성립 배경은 일제강점기였으며, 일본에 유학하였던 손진태와 송석하가 선도하였다. 당시 일제 관학자들은 식민통치의 수단으로 역사 연구와 민속 연구에 집중하는 시점이었고, 초창기 민속학자들은 일본인 인류학자의 영향을 받으며 민속학 연구를 전개하였다. 한국 민속학의 개척자인 손진태도 일본 유학중 역사학적 인류학도로서 민속 연구에 강한 집념을 보였고, 많은 연구 업적을 냈다. 손진태 민속학은 민족 문화를 인류학적으로 해석, 연구하는 과정에서 한국 민속을 원시문화로 기술하는 논조가 강하였다. 손진태의 초창기 민속 연구는 일제가 추구한 제국주의적 인류학 연구에 묵시적으로 동조한 면이 있다. 그러나 1934년 귀국한 이후 10여 년간 식민지 민속학에 대한 철저한 자기반성의 과정을 거치면서 신민족주의 사학자로서 과감하게 변신을 시도한다. 민속학자가 아닌 한국사학자로서 민족사 및 민족문화에 대한 역사관을 드러낸다. 그는 민속학을 민족문화학이라 규정하였다. 현장 중심의 한국 민속 연구가 농촌의 공동체 붕괴로 위기를 맞을상황에 놓여 있다. 한국 민속학의 위기 극복은 “민족문화학으로서의 민속학”이 대안일수 있다. 손진태는 일제하에서 식민지 민속학에 기여하였지만, 자신의 역사관을 재정립한 뒤 해방 이후에는 민족문화학의 정립에 앞장섰다. 오늘날 한국 민속학계도 일제강점기 이후 지속되어 온 식민지 민속학 연구 방법론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거듭나야 한다. 손진태가 제창한 민족문화학으로서 민속학을 실천하고, 민속의 현장을 중시하고 역사 속에서 민속자료를 찾아서 연계시키는 역사민속학 방법론을 적극 수용하는 것이 민속학의 위기 극복의 지름길이라고 본다. Studies on folklore in Korea started in the early of 1930s. Jin-Tae Son and Suk-Ha Song who studied in Japan during the period of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were the leaders of the studies. Those were the times when Japanese scholars studied on Korean history and Korean folklore as a way to rule Korea and they influenced on Korean scholars who studied on folklore. The pioneer of the studies on Korean folklore, Jin-Tae Son, had a strong interest in Korean folklore while he was in Japan and made remarkable achievement in the field. His early studies described Korean folklore as a primitive culture which shows that he agreed with the Japanese scholars who studied anthropology to control Korea. However, after he returned to Korea in 1934, he regretted his previous studies and turned into a neo-nationalist. He revealed his ideas on Korean history and nationalistic culture as a Korean historian. He prescribed folklore as national culturism. Studies on Korean folklore is on the verge of collapse with the breakdown of village community. The conquest of the crisis can be an alternative of folklore. Jin-Tae Son led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culturism after the resto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while contributed on the folklore with Japanese scholars during the period of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Today, Korean scholars who study on Korean folklore should change their way to study which they took after the Japanese scholars. We should study folklore in the way of Jin-Tae Son’s national culturism, consider the spots of folklore seriously and accept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folklore and it can be an way to overcome the risk which we have today in studies on folklore.

      • KCI등재

        손진태 설화 연구의 특징과 의의

        김기형 ( Kee Hyung Ki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58 No.-

        손진태(1900~ ?)는 민속학과 역사학 분야에서 상당한 업적을 남긴 일제 강점기의 대표적인 국학 연구자이다. 손진태는 단선적으로 평가하기 어려운, 복잡한 의식 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그는 늘 어떤 경계에 놓여 있는 경계인이 었던것처럼 보인다. 국문과 일본어로 저술 활동을 한 점, 역사학과 민속학을 넘나든 점, 민족의 특수성과 인류의 보편성에 두루 관심을 가지고 그 상관성을 탐구한 점 등에서 그러한 점을 엿볼 수 있다. 손진태는 민족 간 설화 비교 연구를 통해 우리 설화의 ``보편성``과 ``독자성``을 구명하고자 했는데, 이는 곧 조선의 존재 가치를 증명하는 일이기도 했다. 조선이 지니고 있는 독자적 특질과 더불어 여타의 민족과 공유하고 있는 보편적인 문화를 드러내는 것이야말로 일본 제국의 식민지 조선의 가치를 인정받는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해방을 전후하여 그의 의식에 어떠한 질적 변모가 있었는지 검증해 보는 작업은 손진태의 개인사와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가 있다. 『신민』에 연재된 글과 이를 바탕으로 하여 해방 후 단행본으로 간행한 『한국민족설화의 연구』의 대조를 통해, 그러한 의식의 변모 양상을 검증해 볼 수 있다. 대비 결과, ``민족``의 정체성과 설화의 자생적 발생 가능성을 강조한 시각이 보다 부각된 측면은 있으나, 그의 연구시각이 본질적인 의미에서 변모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점을 확인했다. 손진태는 식민지 시대에 역사학과 민속학, 일본과 한국의 경계에 위치해 있으면서 근대 학문의 방법론으로서의 역사 민속학을 선구적으로 정립한 연구자였다. 식민지시기에 제국의 수도에서 대학을 다니고 근대 학문의 세례를 받은 손진태가 제국주의적 지배이데올로기에서 전적으로 자유로웠다고 보기는 어려울 듯하다. 그에게서 보이는 진화주의적 관점 또한 당대의 지배적인 학적 풍토의 영향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연구 성과를 꼼꼼히 검토해 보면, 그 엄청난 내공과 문헌 등 자료에 입각하여 논지를 편 나가는 실증적·고증적 태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점 때문에 손진태가 남긴 연구 성과의 가치와 의의 그리고 그의 이념적·정치적 성향을 어느 한 방향으로 단정적으로 규정짓기 어렵다. 그의 설화 연구에서 간취해 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특징이자 의의는 문화의 상호 교섭적 측면과 생성적 속성을 포착했다는 데 있다. Son Jintae(1900~?) is a representative researcher who left a remarkable record of achievements on the area of history and folklore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He shows complicated consciousness which is not able to evaluate an unilinear way. He looks like a person who is on the status of liminality. We can see this tendency among the research activities written in both Korean and Japanese, crossing the border between the research of history and folklore, and seeking correlation with both character of ethnicity and universality of humankind. Son Jintae brought light on a subject about an unique and universality of ethnicity by comparative folktale research, which can prove existence value of Choson. It was an effective way to gain recognition that reveals independent features and cultural universality to prove value of Choson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It is significant to verify Son Jintae`s qualitative change of sense which is related with his individual history before and after the independence from the Japan occupation. It can be verified by comparing his writing which is published in Sinmin(新民) with a book The Research of Ethnic Folktale in Korea(韓國民族說話의硏究). We can make conclusion that the identity of Choson and possibility of autonomous ethnicity development were emphasized but quintessential of point of view was not basically changed. Son Jintae was pioneering researcher with modern research methodology who stood on the liminality between Japan and Chos?n, the study of history and folklor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Son Jintae was totally free from imperialistic ideology because he was educated at the university of Japan. His tendency for evolutionary theory also show us that he was closely connected with comtemporary dominant scholarly atmosphere. Nevertheless, we are not able to ignore the Son Jintae`s attitude that concentrated on an empirical study with constant exertions. Therefore it is not easy to define not only Son Jintae`s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result but also his ideological and political tendency as one-way standard. In fact, the feature and significance of his research is acquiring the aspect of cultural interactional transaction and productive attribute.

      • KCI등재

        근대 <해와 달> 서사의 자료적 고찰 — 정인섭·손진태의 자료를 중심으로

        강상대 한국문예창작학회 2023 한국문예창작 Vol.22 No.3

        이 논문은 옛이야기와 전래동화로 잘 알려진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서사 내용을 지니고 있는 근대 텍스트인 정인섭(鄭寅燮)의 「해와 달(日と月)」과 손진태(孫晉泰)의 「해와 달과 별(日と月と星)」을 자료적으로 검토하고 그 텍스트 양상을 고찰하였다. 근대 시기에 「해와 달이 된 오누이」는 한글 또는 일본어 표기로 다양한 인쇄 매체에 수록되었는데, 정인섭과 손진태의 텍스트는 한국인 편저자가 일본어로 기록한 자료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정인섭의 「해와 달」은 1911년에 채록된 텍스트로서 채록일을 기준으로 하면 가장 앞선 시기의 자료이다. 이 텍스트는 ‘오빠(남성)-해/누이(여성)-달’로의 직분부여 후에 ‘누이-해/오빠-달’로의 직분교체 내용을 지니고 있어 일월기원의 신화성과 관련된 논의를 촉발시킨다. 그러나 해가 된 누이에 대하여 그녀가 부끄러워하는 ‘여성스러운 겸손함’을 보여준다는 표현의 맥락에는 근대 시기의 서사에 남은 완고한 여성 인식의 일면도 엿보인다. 또한 정인섭의 텍스트는 사건 전개에서 ‘반복의 법칙’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호랑이가 자신의 행동을 악행으로 인식하고 하느님의 처벌을 두려워하여 하느님에게 ‘거짓말’을 하는 것은 다른 자료에서는 볼 수 없는 유일한 장면이다. 손진태의 「해와 달과 별」은 1923년에 채록된 텍스트이다. 이 텍스트는 구술 내용의 전사(傳寫)를 위주로 하여 기록물로서의 자료성이 두드러진다. 이 텍스트는 사건의 주체가 ‘오누이’가 아니라 ‘세 자매’로서, 이 점은 근대 시기에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이야기의 한 변이형을 보여주는 것이다. 손진태의 텍스트에서 어머니가 목숨을 구하기 위해 호랑이에게 자기 대신에 자식들을 잡아먹으라고 하는 장면도 이색적이다. 또한 자신들을 추적하는 호랑이에게 아이들이 ‘거짓말’을 함으로써 아이들의 지혜와 호랑이의 어리석음이 교차하는 설정을 보여준다. 그러나 손진태의 텍스트는 직분교체 단락이 결여된 점, 호랑이가 어머니를 가해하는 장면에서 ‘반복의 법칙’이 적극 활용되지 않은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Brother and sister who become the Sun and the Moon” is a Korean narrative that is well-known as an old story and a modern traditional folktale. Jung Inseop’s “The Sun and the Moon” and Sohn Jintae’s “The Sun, Moon, and Star” are modern narratives that share the same content as “Brother and sister who become the Sun and the Moon.” This paper examines Jung Inseop’s “The Sun and the Moon” and Sohn Jintae’s “The Sun, Moon, and Star.” During the modern period, “Brother and sister who become the Sun and the Moon” was published in various print media in both Korean and Japanese. Jung Inseop’s and Sohn Jintae’s texts share the commonality of being written in Japanese by Korean authors. Jung Inseop’s “The Sun and the Moon” was written in 1911, making it the earliest source based on its date of writing. This text has the granting of the title ‘brother(male)-sun/sister(female)-moon’ and then the replacement of the title ‘sister-sun/brother-moon.’ This triggers a discussion about the mythology that explains the origins of the sun and moon. However, the expression that she shows ‘feminine modesty’ by being ashamed of her sister who has become the sun reveals a feudal perception of women that remains in modern narratives. In addition, Jung’s text actively utilizes the ‘Law of Repetition’ in the development of events. The tiger’s recognition of her actions as evil and her ‘lying’ to God out of fear of God’s punishment is the only scene that is not found in other sources. “Sun, Moon, and Star” by Shon Jintae is a text written in 1923. The text is characterized by its documentary nature. In this text, the subjects of the incident are not the ‘brother and sister’ but the ‘three sisters.’ This shows a variation of the story of “Brother and sister who become the Sun and the Moon” in the modern era. In Sohn’s text, the mother asks the tiger to eat her children instead of her to save her life. The children ‘lie’ to the tiger that is tracking them, showing the intersection of the children’s wisdom and the tiger’s foolishness. However, it is disappointing that Sohn’s text lacks paragraphs for the replacement of title, and that the law of repetition is not fully utilized in the scene where the tiger attacks the m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