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65세 이상의 고령에서 사용한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의 하이브리드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최소 5년 이상 추시 결과-

        이송 ( Song Lee ),김진학 ( Jin Hak Kim ),고동오 ( Dong Oh Ko ),전영원 ( Young Won Jeon ),양승진 ( Seung Jin Yang ),류창욱 ( Chang Wook Ryu ) 대한고관절학회 2008 Hip and Pelvis Vol.20 No.2

        목적: 65세 이상의 고령 환자에서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하고 대퇴 스템만을 시멘트로 고정한 하이브리드형(Hybrid Type)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의 최소 5년 이상의 추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2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65세 이상의 환자에게 시행한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하고 대퇴 스템을 시멘트로 고정한 하이브리드형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47명(47고관절) 중 5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29명(29고관 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68.9세(65~73세)였으며, 추시 관찰 기간은 평균 74.6 개월(61~107 개월)이었으며 최소 5년 이상 추시하였다.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가 21예, 퇴행성 고관절염 2예, 류마티스 관절염 1예, 대퇴 경부 골절 4예, 결핵성 고관절염 1예였다. 임상적으로는 Harris Hip Score(HHS)를 측정하고 서혜부 및 대퇴부 동통 유무를 평가하였고, 방사선 학적으로는 비구컵과 대퇴 스템 주변 각각의 골 용해, 응력차폐 효과에 의한 골흡수, 불안정성, 비구 전염각과 경사각, 경부 전염각 대퇴 스템의 고정 위치를 평가하였다. 결과: Harris 고관절 점수는 수술 전 56.3±1.4점에서 최종 추시시 92.3±1.1 점으로 향상되었고(p=0.013), 우수가 21 예 (72.4%), 양호가 8 예(27.6%) 였으며, 서혜부 및 대퇴부 동통은 없었다. 최종 추시 방사선 소견 상 비구컵과 대퇴 스템 주위 골용해가 발생한 경우는 한 예도 없었고, 응력 차폐 효과에 의한 골흡수 소견은 비구측 6예(20.7%), 대퇴부 3예(10.3%)에서 보였고, 안정성의 평가에서 비구컵은 모든 예에서 골성 안정성이였고, 대퇴스템은 1예(3.4%)에서만 가능성 해리를 보였다. 비구 전염각 평균은 18.4°±1.1, 경부 전염각 평균은 13.1°±0.9였고, 비구 경사각은 평균은 41.5°±1.3였고, 대퇴 스템은 모든 예에서 중립으로 삽입되었다. 합병증으로 고관절 후방 탈구는 1예(3.4%), 대퇴 삽입물 주위 골절이 1예(3.4%)였고 세라믹 관절의 파손은 없었다. 결론: 65세 이상의 고령에서의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한 시멘트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의 중기 추시 결과는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minimum five-year results of hybrid type total hip arthroplasty (THA) with ceramic-on-ceramic articulation and femoral stem fixation using cement in patients older than 65 yea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1999 to November 2002, a hybrid type THA with ceramic-on-ceramic articulation and femoral stem fixation using cement were performed in 47 patients (47 hips) older than 65 years of age. Among the 47 patients, 29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5 years. The mean age of these patients was 68.9 years (65~73year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74.6 months (61~107 months). The postoperative diagnosis included AVN of the femoral head in 21 hips, Osteoarthritis in 2 hips, rhematoid arhthritis in 1 hip, femoral neck fracture in 4 hips and Tuberculosis in 1 hip. The clinical result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by the Harris hip score (HHS), hip and thigh pain, and radiologically by the level of osteolysis around acetabular cup and femoral stem, bone reabsorption by stress shielding, instability, acetabular and femoral stem anteversion, acetabular inclination and the femoral stem fixation site. Results: After surgery, the overall HHS improved from 56.3 ± 1.4 to 92.3 ± 1.1 points (p=0.013). Excellent and good results were obtained in 21 (72.4%) and 8 hips (27.6%), respectively. There was no case of thigh pain. Radiologically, there was no acetabular and femoral component osteolysis. Absorption by stress shielding was observed in 6 cases (20.7%) with an acetabular cup and 3 cases (10.3%) with a femoral stem. Bony stability was observed in all cases treated with an acetabular cup and possible loosening in 1 case (3.4%) treated with a femoral stem. Acetabular and femoral stem anteversion was 18.4°± 1.1 and 13.1°± 0.9 respectively. Acetabular inclination was 41.5°± 1.3. The femoral stem was inserted centrally in all cases. Complications included posterior dislocation of 1 hip (3.4%) and periprosthetic fracture of the femur in 1 hip (3.4%). There was no fracture of the ceramic component Conclusion: The mid-term results of hybrid type THA with ceramic-on-ceramic articulation and femoral stem fixation using cement were effective both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in patients older than 65 years.

      • KCI등재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한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알루미나 라이너의 조기 분쇄분절

        박종석(Jong-Seok Park),김우종(Woo-Jong Kim),소재완(Jae-Wan Soh),정현우(Hyun-Woo Jung),서유성(You-Sung Suh)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5

        저자들은 외상 없이 조기에 발생한 알루미나 세라믹 라이너 분절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47세의 남자 환자가 우측 대퇴골두 골괴사로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한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지 약 3주 후 갑자기 발생한 우측 고관절부의 바삭거리는 소리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단순 방사선사진상 대퇴 스템 경부 주변으로 분쇄되어 있는 세라믹 분절편들이 관찰되었고 대퇴 스템 경부는 편심성으로 이동되어 있었다. 수술 소견상 분쇄가 심한 세라믹 라이너 분절이 관찰되었고 주위 조직은 검은색으로 염색되어 있었으며, 세라믹 골두의 표면도 손상되어 있었다. 분절된 세라믹 라이너와 손상된 세라믹골두를 제거하고 새로운 세라믹 라이너와 골두로 재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한 고관절 전치환술 시행 시 조기에 세라믹 라이너의 분절이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세심한 추시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The authors experienced a case of early fracture of an alumina ceramic liner after ceramic-on-ceramic total hip arthroplasty, without any history of trauma. A 47-year-old male visited our center, due to a sudden crunching sound from the right hip at three weeks, after a ceramic-on-ceramic total hip arthroplasty for the osteonecrosis of right femoral head. Plain radiographs revealed multiple radioopaque fragments around the displaced neck of the femoral stem. There were severely comminuted fracture of the ceramic liner with slight black staining of the surrounding tissue, and even damaged the surface of the ceramic head, on the operative field. The fractured liner and a damaged head were replaced with a new ceramic liner and head, after the removal of the fractured ceramic fragments, as completely as possible. Careful follow up with a caution for early ceramic liner fracture should be required in ceramicon- ceramic total hip arthroplasty.

      • KCI등재

        세라믹-세라믹 조합을 이용한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한창동(Chang-Dong Han),최철준(Chul-Jun Choi),양익환(Ick-Hwan Yang),이동훈(Dong-Hoon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3

        목적: 세라믹-세라믹 조합 무시멘트 고관절 전치환술의 중기 추시 결과를 보고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2월부터 2000년 8월까지 세라믹-세라믹 관절을 이용한 무시멘트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여 최소 5년 이상 추시 기능하였던 42명, 5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의 평균 추시 관찰 기간은 5.4년(범위, 5-6.6년)이었고, 평균 연령은 43.2세(범위, 19-66세)였다. 임상적 결과는 Harris 고관절 점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방사선학적 결과는 삽입물의 안정성, 골용해 발생, 관절면 마모 등을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Harris 고관절 점수는 술 전 평균 63점(범위, 26-93점)에서 최종 추시 평균 97점(범위, 82-100점)으로 향상되었으며 우수가 49예(94%), 양호가 3예(6%)였다. 모든 예에서 골 내성장에 의한 골성 고정을 얻었고 치환물 주위에 골용해나 심부 감염이 발견되는 경우는 한 예도 없었다.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세라믹 마모는 측정할 수 없었다. 합병증으로 수술 후 발생한 탈구 1예(2%) , 세라믹 골두 골절 1예(2%) , 수술 중 근위 대퇴골 선상 골절이 1예(2%) 있었다. 결론: 세라믹-세라믹 관절을 이용한 고관절 전치환술의 중기 추시 결과에서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나, 세라믹 부품의 골절에 관한 문제점은 향후 장기적인 추시 관찰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medium-term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of uncemented total hip arthroplasty with ceramic-on-ceramic articula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1999 to August 2000, fifty-two primary total hip arthroplasties were performed on forty-two patients using a ceramic-on-ceramic bearing implant.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5.4 years (range, 5-6.6 years) and the mean age at surgery was 43.2 years (range, 19-66 years).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the Harris hip score. The radio-graphic evaluations were carried out in terms of the stability of the components, the prevalence of osteolysis and wear. Results: At the most recent follow-up, the mean preoperative Harris hip score improved from 63 points (range, 26-93 points) to 97 points (range, 82-100 points). The Harris hip score showed excellent results in 49 hips (94%) and good results in 3 hips (6%). Fixation by bone ingrowth was noted in all cases and there was no case with osteolysis or a deep infection. Ceramic wear was not detectable on the plain radiograph. Complications included one case of dislocation, one case of a fracture of the ceramic femoral head and one case of an intraoperative periprosthetic proximal femoral crack. Conclusion: Ceramic-on-ceramic articulation showed excellent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in terms of wear, osteolysis and loosening. A further follow-up study should be performed to evaluate the long-term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with special focus on the fracture of the ceramic material.

      • KCI등재

        세라믹-세라믹 인공 고관절 치환술에서 반복된 세라믹 골두 골절

        박명식 ( Myung Sik Park ),윤선중 ( Sun Jung Yoon ),유명재 ( Myung Jae Yoo ) 대한고관절학회 2012 Hip and Pelvis Vol.24 No.1

        인공 고관절 전치환 술에서 세라믹 비구 라이너와 세라믹 인공골두 조합 인공 고관절 전 치환술은 금속-금속 인공 고관절과 함께 내구성으로 인해 광범위하게 사용 되어지고 있다 세라믹-세라믹 조합형의 인공 고관절은 특히 젊은 환자에서 낮은 마모율, 닳아짐이 적고 친수성의 특성과 닳아진 마모편도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반면 세라믹 골두의 골절은 커다란 단점이다, 보고는 적으나, 세라믹 골두의 단경부 형(short neck) 에서 많이 골절이 되고 있다. 본 증례는 두차례의 골절로 단경부 형, 중간부 형(medium neck) 모두에서 골절이 되어 세라믹 문제뿐 아니라, 비구 컵의 비정상 위치에 의한 충돌로 인한 골절로 추정 되었다. 또한 치료법으로 철저한 활액막 제거 후 탈구 방지형 폴리라이너 비구 컵과 금속 대퇴골두로서 치료 하였으며 걱정되는 세라믹 마모 편에 의한 폴리라이너의 과도한 마모도 발생되지 않아 이를 보고 하고자 한다. Alumina ceramic-on-ceramic total hip arthroplasty is a widely-adopted option, especially for younger patients, due low wear, scratch resistance, the wettable characteristics of alumina ceramics, and because of the relatively low biological reactivites of ceramic wear particles. However, fracture remains a significant problem because ceramics are inherently brittle, and few reports have been issued on short head fractures. In the described case, a ceramic head fracture occurred only 8 months after replacing the original head and with a new 28 mm head and liner. Both of these incidents may have been caused by head-to-liner impingement due to excessive anteversion of the metal shell. During the second revision surgery, this situation was managed successfully using a conventional elevated-polyethylene liner and a CoCr metal head, while retaining all metal implants.

      • KCI등재후보

        샌드위치 타입의 세라믹-세라믹 관절을 이용한 일차성 무시멘트 고관절 전치환술

        황성관(Sung Kwan Hwang),전종세(Jong Se Jeon),이병호(Byung Ho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6

        목적: 세라믹 라이너에 폴리에칠렌 쉘을 부착한 샌드위치형의 세라믹-세라믹 관절을 이용한 일차성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하여 유효성을 조사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2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샌드위치형 세라믹-세라믹 관절을 이용한 일차성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고 최소 2년 이상(평균 34.3개월, 24-58개월)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66명(75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Harris hip score, 대퇴부동통, 합병증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방사선적 분석은 치환술의 안정도, 대퇴골 골위축, 방사선 투과음영, 골용해 등을 관찰하였다. 결과: Harris hip score는 수술 전 평균 51.8 (32-79)점이며 최종 추시 시 평균 94.3 (86-100)점으로 향상되었다. 수술시 세라믹 라이너의 인위적 골절은 없었으며, 수술 후 3년 이후에 2예에서 세라믹 부품의 골절이 발생하였다. 1예는 세라믹 골두의 골절이었고, 1예는 세라믹 라이너의 골절과 탈구였다. 1예에서 대퇴주대의 수직침강과방사선 투과음영이 관찰되었다. 결론: 샌드위치형의 세라믹-세라믹 관절을 이용한 일차성 무시멘트 고관절 전치환술의 단기추시 결과는 비교적 만족스러웠으나, 세라믹 부품의 파괴가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라믹 관절면의 탈구나 충돌을 감소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비구컵의 경사각은 40-45°로 삽입되어야 하고, 대퇴 골두와 대퇴 경부의 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크기가 큰 세라믹 골두를 사용해야 하며, flange의 사용을 피하고, 대퇴 경부의 직경을 감소시키고, 두꺼운 테(thicker rim)의 라이너를 사용하고, 개선된 재질의 세라믹 부품의 이용 등이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샌드위치 세라믹 라이너의 사용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short term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ceramic on sandwich ceramic bearing a primary cementless total hip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five hips, which underwent a total hip arthroplasty with sandwich typed liners as an index operation between December 1998 and October 2001 were examine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4.3 months, and the mean ages at surgery was 56.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the Harris hip score and the level of thigh pain. In addition, the radiolucent line, the subsidence of the stem, the migration of the acetabular cup, or osteolysis, proving and proof of loosening. Results: The mean preoperative Harris hip score of 51.8 points was improved to 94.3 points at the final follow-up after surgery. Two cases were the fracture of ceramic components in postoperative three year. One of them was a fracture of the ceramic head and the other was a fracture and dislocation of the liner. Radiologically, there was one case of femoral stem subsidence and radiolucent line. Conclusion: The minimum 2-year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using ceramic sandwich ceramic bearing were satisfactory. However, breakages (fractures) of the ceramics have become an issue. Satisfactory clinical results can be obtained by limiting the acetabular inclination ranges from 40° to 45°, using a ceramic head with a larger diameter to increase the ratio between the diameter of the femoral head and neck, avoiding the use of a flange, reducing of the diameter of the femoral neck, the use of a thick-rimmed liner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ceramic set. Therefore, the use of a sandwich ceramic liner needs to be reconsidered.

      • KCI등재

        치과용 세라믹 수복재료에 대한 검토 및 최신 동향

        변선미,김경선,신재우,이정환,지정희,배민수,장용석,이민호,배태성 대한치과재료학회 2024 대한치과재료학회지 Vol.51 No.1

        치아의 손상과 상실로 인한 형태적 및 기능적 수복을 위해서 보철치료가 시행되고 있다. 환자들의 심미적 요구가 증가하면서자연치아와 유사한 색조와 반투명성을 갖는 세라믹 재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다. 최근에는 세라믹 재료의 제조 및 가공 기술이 크게 개선되면서 치과용 세라믹 재료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본 문헌적 검토와 평가의 목적은 심미성이 우수하고 파절 저항성을 갖는 치과용 세라믹 재료의 분류와 그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원고에서는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있다: I) 치과용 포세린; II) 소결성 올-세라믹; III) 주조용 글라스-세라믹; IV) 글라스 침투 알루미나 세라믹; V) 열가압성형용 글라스-세라믹 잉곳; Vl) CAD/CAM용 블록; Vll) CAD/3D 프린팅용 세라믹. 치과용 세라믹 재료와 이를 활용한 수복물 제작방식은 지난 10여년에 걸쳐서 크게 발전하였다. 그 결과, 수복물의 제작 방식은 분말형 재료의 적층 소성이나 열가압성형 단계로부터 CAD/CAM 기술에 의한 단일 및 다층 블록의 절삭 가공 단계를 거쳐서 CAD/3D 프린팅 기술의 도입에 이르게 되었다. 본원고에서는 치과 수복물의 제작에 이용되고 있는 세라믹 재료의 종류 및 그의 장단점에 대하여 검토해보고자 한다. Prosthodontic treatment is being performed for morphology and functional restoration due to damage and loss of teeth. As the aesthetic demands of patients increase, interest in ceramic materials with shades and translucency similar to natural teeth has increased. Recently, the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technology of ceramic materials has greatly improved, and the market for dental ceramic materials is growing rapidly. The purpose of this literature review and evaluation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classification and properties of dental ceramic materials with excellent aesthetics and fracture resistance. In this article, it is classified as follows: I) Dental porcelain; II) Sinterable all-ceramic; III) Glass-ceramic for casting; IV) Glass-infiltrated alumina ceramic; V) Glass-ceramic ingots for heat-pressing technique; Vl) Blocks for CAD/CAM; Vll) Ceramic for CAD/3D printing. Dental ceramic materials and their restoration manufacturing methods have evolved significantly over the past decade. As a resul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restorations has progressed from the layered firing technique of powdered materials or heat-pressing technique to the cutting and processing of single and multi-layer blocks using CAD/CAM technology, leading to the introduction of CAD/3D printing technology. In this manuscript, we will review the types of ceramic materials used in the fabrication of dental restorations and their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 KCI등재

        세라믹 골두 골절에서 금속 대 폴리에틸렌 관절면 재치환술 후 발생한 Metallosis

        이경재(Kyung-Jae Lee),정수원(Su-Won Jung),조철현(Chul-Hyun Cho),민병우(Byung-Woo Mi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4

        세라믹은 마찰계수 및 마모에 대한 저항성에 있어 금속-폴리에틸렌 관절보다 우수 하지만 소성 변형 범위가 매우 적어(brittle) 깨지기 쉬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알루미나 세라믹 골두의 파손은 드물게 보고되고 있으며 골두 파손 시 대퇴 스템의 Morse taper의 소성 변형으로 인해 금속-폴리에틸렌 관절면을 이용한 재치환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보인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재치환술 후 남아있는 세라믹 입자에 의한 관절면의 마모에 대한 보고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양측성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로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한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후 세라믹 골두 골절이 발생한 환자에서 금속-폴리에틸렌 관절면을 이용하여 재치환술을 시행하고 추시 관찰 중 남아있던 세라믹 입자에 의한 제 3개체 마모(third body wear)로 발생한 과도한 metallosis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A ceramic articulation thought to be superior to metal-on-polyethylene due to its extremely low coefficient of friction and its potential for resistance to wear. But ceramic is brittle, which makes it theoretically susceptible to fracture. Although many authors have reported that metal-on-polyethylene articular pairing had good results after a ceramic head fracture, there have been few reports about complication due to the remaining ceramic particles after revision surgery. We report here on a case of severe metallosis that was thought to be due to third body wear by the remaining fractured ceramic particles after revision total hip arthroplasty.

      • KCI등재

        세라믹 라이너 골절로 인한 인공 고관절 재치환술 후 금속 대퇴골두의 실패

        박경순 ( Kyung Soon Park ),김하성 ( Ha Sung Kim ),이승훈 ( Seung Hun Lee ),윤택림 ( Taek Rim Yoon ) 대한고관절학회 2013 Hip and Pelvis Vol.25 No.4

        인공 고관절 치환술에서 세라믹 재료는 상대적으로 높은 활동성을 보이는 젊은 환자에게 관절 치환술을 하는데 있어서 정형외과 영역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러나 세라믹의 사용에 있어서 가장 심각한 합병증인 세라믹 골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행되는 인공 고관절 재치환술 후에 세라믹 관절면의 마모와 재골절의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높다. 지금까지 세라믹 골절로 인한 재치환술 후 잔여 세라믹 입자들에 의한 합병증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세라믹 라이너 골절로 인공 고관절 재치환술을 시행한 후 폴리에틸렌 삽입물에 끼인 세라믹 파편으로 인한 금속 골두의 마모로 발생한 심한 금속증에 관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Popularity of ceramic materials has increased among joint reconstruction surgeons for treatment of young patients who wish to maintain their active lifestyle. However, ceramic fracture is one of the most serious complications, and there are many concerns regarding the acceleration of third body wear and refracture of ceramic articulation after revision total hip arthroplasty for a ceramic fracture. To date, a few authors have reported on complications due to residual ceramic particles after revision surgery. We report on a case of metallosis due to metal head wear caused by residue of fractured ceramic particles lodged in the polyethylene liner after revision total hip arthroplasty for a ceramic liner fracture.

      • KCI등재

        세라믹-세라믹 관절면 Osteonics<SUP>®</SUP> System을 이용한 무시멘트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의 8년 추시 결과

        양익환(Ick-Hwan Yang),한창동(Chang-Dong Han),이준상(Jun-Sang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5

        목적: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의 Osteonics<SUP>®</SUP> system을 이용한 무시멘트 인공고관절 전치환술 후 8년 추시 결과를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00년 2월까지 Osteonics<SUP>®</SUP> system으로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고 8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7명 3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101개월(96-107개월)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6.5세(28-62세)였다. 진단은 원발성 고관절염 5명, 대퇴골두 무혈성괴사 15명, 비구 이형성 등에 의한 이차성 고관절염이 7명이었다. 임상적 결과는 Harris 고관절 점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방사선학적 결과는 삽입물의 고정도, 골용해 발생, 관절면 마모 등을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평균 Harris 고관절 점수는 91점이었다. 합병증으로는 대퇴 스템 삽입 시 발생한 대퇴거 부위의 선상 골절이 8예, 후방 탈구가 2예, 지속적인 대퇴부 동통 2예, 관절내 소리 3예, 일 년 이상 지속된 파행이 6예에서 관찰되었다. 방사선 추시 관찰시 전례에서 골성 고정을 얻어 비구컵과 대퇴스템의 이동, 위치 변형, 침강, 이완은 관찰되지 않았고 골용해 소견도 관찰되지 않았다. 세라믹 관절면의 마모는 측정할 수 없었으며 세라막의 골절은 없었다. 결론: 세라믹-세라믹 Osteonics<SUP>®</SUP> system을 이용한 무시멘트 인공고관절 치환술의 8년 추시 결과, 전 례에서 골내성장 고정을 얻을 수 있었고 세라믹 관절면의 마모는 관찰되지 않아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장기 추시 결과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었으며 관절내 소리의 발생에 대해서는 좀 더 적극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8-year follow up results of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of the cementless total hip arthroplasty using the Osteonics<SUP>®</SUP> system with ceramic-on-ceramic articulation on a retrospective basi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1999 and February 2000, 31 primary total hip arthroplasties were performed in 27 patients using the cementless Osteonics<SUP>®</SUP> system.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01 months (96-107 months). The mean age at surgery was 56.5 years of age (28-62 years). Preoperative diagnoses were the following in the 27 patients: 5 cases of primary osteoarthritis, 15 cases of avascular necrosis, and 7 cases of secondary osteoarthritis.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the Harris hip score and radiographic evaluation was done in terms of the fixation of components, the prevalence of osteolysis, and wear of ceramics. Results: The mean preoperative Harris hip score at was the most recent follow-up was 91. Complications were calcar fracture in 8 cases, posterior dislocation in 2 cases, continuous thigh pain in 2 cases, squeaking sound in 3 cases, and limping gait lasting at least 1-year post operation in 6 cases. All cases had fixation by bony ingrowth was and there was no migration of acetabular cups nor osteolysis. There was no loosening of the femoral stem. It was not possible to measure ceramic wear and there were no ceramic fractures. Conclusion: At the 8-year follow-up, results of the cementless total hip arthroplasty using the Osteonics<SUP>®</SUP> system with ceramic-on-ceramic articulation demonstrated favorable results of osseointegration of the components and unmeasurable ceramic wear. However, longer-term-follow up was necessary. We believe that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high incidence of squeaking.

      • 세라믹 종류에 따른 코팅 분리막의 물리적 그리고 전기화학적 특성 비교

        노영준(Youngjoon Roh),김우철(Ucheol Kim),이용민(Yong Min Lee) 한국전지학회 2021 한국전지학회지 Vol.1 No.2

        리튬이온전지 안전성 향상을 위해, 폴리올레핀 분리막 원단에 수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세라믹층이 도입된 세라믹 코팅 분리막의 채용이 더욱 늘어나고 있다. 특히, 대표적인 세라믹 소재인 Al₂O₃외에도 다양한 세라믹 물질들이 검토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세라믹 종류에 따라 세라믹 코팅 분리막의 물리적 및 전기화학적 성능 변화를 비교하였다. 동일 세라믹/바인더 조성에서 세라믹 종류(Al₂O₃, Mg(OH)₂, AlOOH)에 따른 코팅층 기공도나 통기 특성은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이온전도특성, 내열특성, 그리고 전기화학특성은 유사한 수준이었다. 다만, 난연성 측면에서는 수산화기를 갖는 Mg(OH)₂와 AlOOH가 Al₂O₃보다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Three types of ceramics, Al₂O₃, Mg(OH)₂, and AlOOH, were used to fabricate ceramic-coated separators (CCSs) with a 20 μm polyethylene separator for lithium-ion battery applications. Because the ceramic/binder composition, coating thickness, and areal mass loading were controlled almost the same, their physical properties like permeability, thermal stability, and ionic conductivity were not big different. In that sense,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confirmed by LiCoO₂/graphite full cells were also very similar. However, in the self-extinguish test, ceramics having hydroxy groups, Mg(OH)₂, and AlOOH, showed improved flame retardancy than Al₂O₃, which must be beneficial in enhancing the safety of high-energy-density LI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