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업화시대와 세계화시대의 국토개발전략 변화 : 신행정수도 건설과 관련하여

        남영우 한국도시지리학회 2004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7 No.2

        본 연구는 정부가 수도권의 과밀화를 해소하고 지방도시의 육성을 도모하여 국가 및 국토균형발전을 이루겠다는 명분하에 추진되고 있는 수도이전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한 것이다. 한국경제의 고도성장을 견인해 온 지난 40년간의 국토개발전략은 성장거점전략에 기초한 집중투자로 지역격차가 발생하는 것은 필연이었다. 이 전략은 결과적으로 지역적 균열을 야기시켰고,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대두된 것이 공간통합정책이었다. 현재 한국 정부를 비롯한 개발도상국이 취하고 있는 공간통합은 등질공간화를 지향하는 공간통합인 것으로 간주된다. 세계화시대의 국토개발 패러다임은 균형적 공간의 지향으로부터 중층적 국토공간을 지향하는 정책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본고를 통하여 선진국에서 용도폐기된 등질적 공간보다 결절적 공간통함으로 전환할 것을 정부당국에 제안하였다. This paper attempts to criticize the new capital relocation project by the government which is emphasizing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decentralization strategies out of the capital region. It reviewed that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for last forty years based upon the growth pole strategies have resulted in rapid economic growth in the bright side as well as regional disparities and regional fragmentation in the dark side. Spatial integration strategies have been pointed out as a kind of necessary solution against those problems for Korea as well as the developing countries towards more homogeneous space. The national development policies have been shifted from balanced space toward multi-layered space. It suggests that spatial integration strategies based on nodality concept should be more significant than ones based on homogeneity concept that were outdated in developed countries.

      • 세계화 시대에 바람직한 한국의 다문화 교육 방향 모색

        박은종(Park Eun Jong)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연구 Vol.24 No.-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 현대 사회는 지식 기반 사회, 세계화ㆍ정보화 사회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사회 변동과 함께 빠르게 지구촌 사회,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이제 우리는 학교, 직장, 각종 집회, 공공 장소 등 주변에서 심심찮게 외국인들을 만나고 있으며 이들과 상호작용을 하는 생활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세계화 시대에 바람직한 우리나라의 다문화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다문화 교육에 대한 세계적인 흐름과 방법을 개관하고 우리나라의 다문화 교육에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21세기 세계화 시대의 한국 다문화 교육은 한국적 다문화 모델을 정립하고, 전 국민과 교육공동체 모두가 함께 참여하는 시스템 속에서, 배려의 문화를 실천하는 가운데, 보다 창의적인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즉, 21세기 세계화 시대의 한국 다문화 교육은 교육공동체를 포함한 전 국민들의 관심과 배려, 그리고 동참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우리 모두는 다문화 교육 대상인 학생들에게 ‘우리’라는 동질감을 느끼게 해주고 모든 교육과정과 교육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배려해 주어야 한다. 특히 세계화 시대의 한국 다문화 교육은 초ㆍ중ㆍ고교와 대학교 등 학교와 교원 등 교육자들만의 책임과 전유물이 절대 아니라는 점을 명심하고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진정으로 바람직한 세계화 시대의 다문화 교육은 국민 모두가 참여하고, 교육공동체 모두가 한 마음 한 뜻으로 힘을 모아 함께 나아가는 ‘동반자의 길’에서 보다 더 알찬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The modern society is knowledge-based society, age of globalization, The 21st century is an era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We live in a modern society, knowledge-based society, globalization is information global society. Recently Korea has rapidly enter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Now we have school, work, and various meetings, including public spaces around the time of interaction with foreigners is a lifestyle. The research in this age of globalization, a good country to explore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purposes. Therefore, the global flow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way in opening the country to move in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was about gochal. 21st century era of globaliz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and a Korean cultural model formulation, I have all of the people and the educational community to participate in the system, to practice the culture of care, and more creative direction will be deployed. In other words, the era of globalization in the 21st century, South Korea, includ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education community, I care and care of the people, and join in should be done. Therefore, multicultural education, we target all students, we called to tell me feel a kinship with all the training courses and educational activities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e care, should give.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especially South Korea, middle schools, including middle and high school and college educators and teachers as well as own responsibility and in charge never mind that we will have to be done.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really good all the people involved, and all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together with one heart and one with the power to go on to mean ‘way of partnership’, more than you can expect substantial progress will have to keep in mind.

      • KCI등재

        한국 미술에서 동시대 미술(컨템포러리 아트)이란 무엇인가: 비평적 담론에 대한 논고

        정연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3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6 No.-

        2015년 안팎을 기점으로 한국 미술에서는 ‘동시대(컨템포러리, contemporary)’라는 용어가 빈번하게 등장했다. 학계와 현장에서는 지금의 미술을 지칭하기 위해 현대 미술이라는 용어보다는 동시대 미술을 사용하여 ‘지금, 여기’를 더욱 면밀하게 다루는 동향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에 본 논문은 첫째, ‘동시대’라는 용어가 시간을 의미하는 정의로 한국 미술에서 비평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시점을 살펴보며, 언제부터 한국 미술의 ‘동시대’가 출발했는지 비평가들의 텍스트를 분석하고 이에 대해 비평한다. 동시대 미술이 모던 아트와 어떤 관계성 속에서 지속되고 또 단절되었는지, 동시대 미술의 태동을 시간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둘째, 한국 비평가들의 시각과 글을 통해 우리는 동시대라는 용어가 시간성의 개념에 머물지 않고 점차 공간 개념으로 새로운 관계를 맺으며 확장하는 것을 살펴본다. 동시대 미술의 기원을 알려주는 전지구적, 아시아적 문맥과 전지구화, 비엔날레의 확산 등으로 인한 포스트콜로니얼 담론의 확장, 네트워크의 변화, 무엇보다도 한국에 들어선 새로운 제도적 장치와 다양한 전시 담론의 대두를 동시대적 변화의 조건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동시대는 시대착오적이며, 비선형적이고 비역사적인 혼종적 공간이자 관계적 네트워크를 형성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셋째, 현장과 뮤지엄, 큐레토리얼 실천에서 한국 컨템포러리 아트는 사전적 의미를 넘어 비평적 담론으로 자리를 잡아가는데, 동시대성이 글로벌 아트의 대두와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 본 논문은 한국 컨템포러리 아트는 이제 세계 미술사를 재구조화할 수 있는 담론적 위치에서 새로운 의의를 찾아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기한다. Commencing in the approximate year of 2015, the term “contemporary” embarked on a notable ascent in the realm of Korean art. Within academic, professional discourse, and critical examination, the expression “here and now” progressively emerged as a means to delineate art relevant to the contemporary era, in contrast to the established terminology of “modern art.” This shift in nomenclature signifies an emerging tendency towards a more intricate consideration of temporal dimensions in the realm of art. Consequently, this paper initiates an inquiry into the precise juncture in history when the term “contemporary” assumed a pivotal role in the context of Korean art, principally connoting a temporal concept. The analysis entails a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critical texts authored by esteemed experts in the field, aiming to pinpoint the moment at which the term “contemporary” garnered significance within the twenty-first-century Korean art landscape. The primary aim of this investigation is to expound upon the genesis of contemporary art within the Korean art milieu and scrutinize its evolving interplay with modern art, discerning instances of continuity, disjunction, and negation. Furthermore, by looking into the perspectives and writings of critics, we can assess whether the concept of “contemporary” transcends its temporal confines and gradually extends to forge novel associations with the concept of space. This expansion is influenced by the global and Asian context that underpins the genesis of contemporary art. Factors such as globalization, the proliferation of postcolonial discourse through the propagation of biennales, shifts in networks, and, most notably, the emergence of diverse exhibition discourses all contribute to this transformative terrain. Through this analysis, it becomes evident that the contemporary manifest as anachronistic, non-linear, and non-historical hybrid spaces, establishing intricate relational networks. Moreover, in the realms of museums and curatorial practice, Korean contemporary art surpasses the constraints of its dictionary definition and assumes a position of critical discourse. This recognition acknowledges that contemporaneity is intricately intertwined with the ascent of global art. Consequently, this paper underscores the necessity for Korean contemporary art to unearth fresh significance within a discursive framework capable of reshaping the landscape of world art history.

      • KCI등재

        김상옥 시조의 전통성과 시대정신

        이순희(Lee Soon-Hee) 한국시조학회 2011 시조학논총 Vol.34 No.-

        본고는 초정 김상옥 시인의 시조를 대상으로 작품 속에 내재된 전통성과 초기, 중기, 후기를 거치면서 그의 시조가 보여주었던 시대정신을 규명(糾明)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그는 우리의 민족시(民族詩)인 시조 속에 끊임없이 민족적 전통성을 불어넣었고 시대상황을 반영한 실험을 거듭하면서 그 형태와 내용을 변모시켰다. 그러한 과정을 밝히는 것은 국제화, 세계화 시대인 오늘날 한국시(韓國詩)가 세계무대에서 위상을 높이기 위해 갖추어야 할 자세와 지향점이 무엇인지를 찾을 수 있는 단초(端初)가 된다는 점에서 나름의 의의를 지닌다. 초정 김상옥 시인은 일제강점기와 민족의 비극인 6ㆍ25 사변을 거쳐 경제 부흥기, 민주화운동에 이르기까지 민족의 격동기를 살아오면서 전통적 소재인 한국의 자연물, 한국의 유적ㆍ유물 등을 향토어와 시조의 전통적 율격으로 잘 조탁하여 전통적 서정성과 더불어 선비정신을 불어넣음으로써 우리 민족의 얼인 전통성을 그의 작품 속에서 되살려 내어 민족성을 고양(高揚)시켰다. 초정 김상옥이 일본의 감시 속에서 주로 소재로 선택한 것은 한국의 자연물과 민족의 얼이 담긴 유적과 유물이었는데 특히 애정을 가졌던 것은 자기(磁器)였으며 그 자기(磁器)의 당당함에는 선비정신이 담겨 있다. 초기, 중기, 후기에 걸쳐 전통적 소재와 일체가 되거나 객관적 입장에서 시적 자아의 정서를 표출하는 전통적 서정성을 작품에 담았으며 향토어, 조어(造語)를 사용하여 전통적 서정성을 고조(高調)시켰다. 마지막으로 형식면에서 그는 초기, 중기, 후기에 걸쳐 시조의 형식적 실험을 거듭 했지만 그 구심점은 언제나 전통적 율격에 두었다. 전통성을 고수하면서 열린 시 형식으로 시대정신을 담으면서 변모를 추구했는데 초기 시조집 초적에서 초정 김상옥은 그리움이 대부분인 제한된 소재 선택, 회화적 이미지 기법, 정형화된 율격을 보여주어 민족혼을 일깨우는 방법으로 ‘국권회복운동’이라는 시대정신을 드러냈다. 중기 시조인 삼행시육십오편에서는 소재선택의 확장, 추상적 이미지 선택, 형식 실험을 통한 삼행시라는 넓은 의미의 시조 형식을 제시함으로써 복잡다단한 시대정신을 담았으며 ‘산업화’라는 시대상황의 뒤안길에서 잘못 생성된 전통적 가치의 붕괴는 작품을 통해 바로잡고자 했던 민족애가 그의 시대정신이었다. 후기 시조느티나무의 말에서 초정 김상옥은 관조적 이미지 추구를 위해 탈의미적으로 소재를 인식하고 선택했으며 형식면에서 다양한 형태미학을 추구했다. ‘민주화운동’ 과 ‘무원칙 다변화’의 시대사상을 초월적ㆍ관조적 세계로 바라봄으로써 시대상황에 대한 공감이나 반발을 뛰어넘어 이 두 가지를 한꺼번에 수용하고 녹여내어 한 시대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인식태도를 우회적(迂廻的)으로 제시하여 그의 시대정신을 표출했다. 초정 김상옥은 격동기의 한국 역사를 겪어오면서 그의 작품 세계를 통해 때로는 시대정신에 공감하기도 하고 때로는 반발, 포용하기도 했다. 아무튼 그러한 자세(姿勢) 모두가 그 시대를 살아가가면서 그가 민족애를 위해 취할 수 있는 최선의 시대 반응이었다. 초정 김상옥이 우리의 민족시 시조를 통해 전통성(傳統性)과 시대정신(時代精神)에 따른 현대성(現代性)을 동시에 추구한 것은 시대의 변화 속에서 우리 민족의 정수(精髓)를 지키면서 유연하게 시조를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explore by dividing the national traditionality, and the spirit of the times, which were reflected in line with the changing period, into the early days, the middle years, and the late period, which are buried in the foundation of《Chojeok》,《Samhaengsiyuksipopyeon(三行詩六十五篇)》,《Zelkova's Word》, which are the sijo collection in the poet Chojeong Kim Sang-ok. The poet Chojeong Kim Sang-ok had transfigured with reflecting the spirit of the times in the middle of continuously following the national traditionality amid his works in the period that the national traditionality could have been lost at the slightest slip while passing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repeated historical turbulent era since then. As a result, with reaching today that is the era of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sijo established stature available for standing for national poem. Through the repeated experiment in a form and content, it suggested possibility of sijo that modern sijo poets, who proceed with living in modern times and who may appear in the future, can approach in diverse forms. Based on it, the foothold was arranged that can go on the world stage fairly as the national poem that satisfies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at the same time and has universality and identity.

      • KCI등재

        국악의 세계화 -2000년대 해외공연사례를 중심으로-

        김희선 ( Hee Sun Kim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3 공연문화연구 Vol.0 No.27

        1960년대부터 본격 시작된 한국음악공연의 해외진출은 주로 해외 거주 한인위문, 민간외교, 수교 등 국가교류 차원의 공연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2000년대 들어서는 다양한 주체들의 요청과 열망이 맞물리면서 “국악의 세계화” “국악한류”등을 슬로건으로 기존과는 다른 다변화된 해외진출이 진행되고 있다. 이논문은 우선 국악 해외공연의 그간의 궤적을 성찰적으로 돌아보고 국악세계화의다양한 배경을 논의한 후 2000년대 이후 진행된 국악의 세계화 과정과 경험을살피고 과제와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이 논문은 2000년대 이후 국악의 해외공연사례를 성격에 따라 유통 중심 지역공략, 견본시 통한 월드뮤직계 진출모색, 공략 대상 중심전략으로 분류하여 뉴욕 산조페스티벌, 파리의 세계문화의 집 상상축제, 월드뮤직 견본시 통한해외마켓 진출모색, 이자람과 판소리의 해외진출의 사례들을 살펴보았는데 이러한 사례들은 이전에 비해 체계화되고 구체적인 목적을 가지고 세련된 방식과 기획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일련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 구호로서의 “국악의 세계화”는 국가주의의 새로운 변형물로 여전히 경계하고 극복하여야 할 대상으로, 국악을 국가주의적 세계화의 도구나 민족주의의 견고한 과시, 글로벌 시대 각축하는 문화생산물이 아닌 인류전체를 위한 보편적, 성찰적, 동시대적 예술물의 생산과 글로벌 시대에 예술과 문화의 다양성을 확장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국악의 세계화의 목표를 전환하고 이를 위해 노력할 시점이라 보여진다. The international exposure of Korean music has been pursued since the 1960s, mostly through one-time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rograms, events for overseas Koreans, educational university concerts, and both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diplomacy. Since 2000, one has begun to witness more varied and systematic international exposure, in conjunction with slogans such as “Globalization of Gugak” and “Gugak Hallyu,” which are the result of the multi-layered aspirations and needs of various subjectivities. This paper examines trajectories of the international exposure of gugak, to discuss its various socio-cultural and political backgrounds and tendencies, with examples of overseas performanc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ince 2000. Three strategies.distribution-centered location; market-driven; and artist and genre promotion.are examined, together with venues like the New York Sanjo Festival, the Festival de l`Imaginaire, and La Maison des Cultures du Monde, as well as pansori and pansori artist Yi Jaram. These cases reflect the ways in which Korean performing arts are receiving more strategic support, with specific goal-oriented planning, than in prior periods. The slogan, “Globalization of Gugak,” was created as a direct response to the demands of globalization during the 1990s, a national rhetoric in South Korea, and the public`s desire for global advancement. Thus, the slogan is a transformation of nationalism under the rubric of globalization, and its re-examination is due. Instead of regarding gugak as global cultural production, a nationalistic global tool, or a rigid display of strong nationalism,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universal, insightful, and contemporary performing art which solidifies and expands global cultural diversity. The goals of the “Globalization of Gugak” should be adjusted in this globalized world.

      • KCI등재

        개항기 조선과 세계화 시대의 한국 : 역사적 조망

        한규무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08 인간연구 Vol.0 No.14

        1876년 조일수호조약 이후 개항기가 시작되면서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분야에 걸쳐 큰 변동이 나타났다. 대외관계를 보면 중국과의 전통적 사대체제에서 국제법에 따른 근대적 공법체제로 전환했다고 하나, 이 두 체제가 공존한 양절체제가 한동안 지속되었다. 그런데 그 변동의 이면에는 자국의 이익을 우선하는 열강의 ‘힘의 논리’가 작용했고, 이같은 논리는 ‘총성 없는’ 무역전쟁이 한창인 21세기 세계화시대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하지만 한국의 국제적 위상은 개항기와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높아졌다. 1907년 만국평화회의에 대표가 입장조차 못했던 한국은 그로부터 100년만에 UN사무총장을 배출했다. 올림픽과 월드컵도 개최했고 무역규모도 세계10위권에 진입했다. 하지만 한미FTA 협상과정에서 보듯이 한국은 아직도 정치·경제적으로는 수세에 놓여 있다. 그리고 “열리면 망한다”는 시장개방 반대의 논리는 개항기나 지금이나 유사하다. 남북문제는 무엇보다 시급하면서도 난해한 당면과제이다. 6.15공동선언 이후 급속도로 호전된 남북관계는 우선 경제적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남한경제의 세계화는 북한경제의 개방화와도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특히 1907년 민족경제의 발달을 위해 제창되었던 관서자문론은 100년이 지난 지금 북한경제특구의 설립으로 재현되고 있다. 한국이 일본의 침략을 받으면서 부각된 민족의식은 한민족이 세계각처로 진출하면서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세계화 시대를 맞아 민족의식이 희석되고 있기도 하다. 한민족의 세계진출과 더불어 발생한 이중국적 문제, 동남아인들의 한국 거주와 코시안 문제, 한민족이면서 중국민인 조선족 문제 등도 세계화시대에 반드시 해결해야 할 난제들이다. 그리고 국내외의 한민족을 하나로 묶는 한민족 네트워크공동체의 조직도 점차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Since the period of opening ports after the Nonaggression Treaty between Chosun and Japan in 1876, Chosun society had experienced dramatic changes in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spects. In terms of international relations, although the traditional worship of the powerful system in the relationship with China changed to the modern international law system, the confucian-universal law system, by which the two systems coexist in a single country, operated for the time being. Behind the changes, however, “the principle of power” by big countries pursuing self-interest was working, and such a tendency still continues in the global era of the 21th century, when trade wars “without gun shots” dominate the world economy. The international status of Korea has been heightened as much as we cannot compare it with the status of Chosun in the period of opening ports In 1907, Korean representatives could not enter the place of the International Peace Conference; After one hundred years, a Korean diplomat was appointed as the Secretary-General of the U.N. Korea also hosted the Summer Olympic Games and the FIFA World Cup; in addition, the foreign trade scale of Korea has reached the global Top 10. However, as we might have realized during the process of the FTA(Free Trade Agreement) between Korea and the U.S., Korea is still inferior in politics and economics to forward countries. Furthermore, many people’s concern about and objection to opening the Korean market to foreign countries are not so much different from those in the period of opening ports more than 130 years ago. Managing the relation with North Korea is the problem that is more urgent and more difficult to solve than any other problems. Since the 6.15 Joint Declaration in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rapidly taken a favorable turn, and its significance stands out particularly in the economic perspective. Globalization of South Korea’s economy is closely related to the open-door policy of North Korea. The northwest capital gate theory, which was proposed for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in 1907, has currently revived with the establishment of North Korea’s special economic zone a century later. Koreans’ national consciousness, grown with the Japanese colonial rule on the Korean peninsula, became more important while a number of Koreans began to reside throughout the world. Paradoxically, on the other side, such national consciousness is becoming weaker in the current era of globalization. Now Korea faces many racial problems, such as dual nationality of not a few Koreans, Southeast Asians’ residence in Korea, increase of “Kosian” (children born between a Korean and an Asian), and the nationality issue of Chosun-chok, and these problems should be settled in this age. In consequence, organizing and administering a strong Korean community, the network that ties Koreans scattered abroad, raises its importance.

      • KCI등재

        국악의 세계화 -2000년대 해외공연사례를 중심으로-

        김희선 한국공연문화학회 2013 공연문화연구 Vol.0 No.27

        The international exposure of Korean music has been made since the 1960s, mostly intended for one-time cultural exchange programs, events for overseas Koreans, and educational university concerts. Since the 2000s one witnesses more varied and systematic international exposure in conjunction with the slogans like “Globalization of Gugak” and “Gugak Hallyu.” This paper examines trajectories of international exposure of Gugak, discuss the various socio-cultural and political background and tendencies and examples of overseas performanc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ince 2000 with three cases. This paper will conclude the meanings of the current phase and future directions. These cases include three types, namely base strategy, market-driven, artists and genre promotion. For the base strategy, New York Sanjo Festival and Festival de l’imaginaire and La Maison des Cultures du Monde, for market-driven, world music market and finally for artists and genre promotion, Yi Jaram and pansori are examined. These cases reflect the ways in which Korean performing arts are getting more strategically supported, planned with specific goal oriented compared to the earlier stage. However, as a slogan “Globalization of Gugak” is the transformation of nationalism under the rubric of globalization. The slogan was created as a direct responses to the demands of globalization during the 1990s and the public’s desire for global advancement and a national rhetoric. 1960년대부터 본격 시작된 한국음악공연의 해외진출은 주로 해외 거주 한인위문, 민간외교, 수교 등 국가교류 차원의 공연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2000년대 들어서는 다양한 주체들의 요청과 열망이 맞물리면서 “국악의 세계화” “국악한류”등을 슬로건으로 기존과는 다른 다변화된 해외진출이 진행되고 있다. 이논문은 우선 국악 해외공연의 그간의 궤적을 성찰적으로 돌아보고 국악세계화의다양한 배경을 논의한 후 2000년대 이후 진행된 국악의 세계화 과정과 경험을살피고 과제와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이 논문은 2000년대 이후 국악의 해외공연사례를 성격에 따라 유통 중심 지역공략, 견본시 통한 월드뮤직계 진출모색, 공략 대상 중심전략으로 분류하여 뉴욕 산조페스티벌, 파리의 세계문화의 집 상상축제, 월드뮤직 견본시 통한해외마켓 진출모색, 이자람과 판소리의 해외진출의 사례들을 살펴보았는데 이러한 사례들은 이전에 비해 체계화되고 구체적인 목적을 가지고 세련된 방식과 기획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일련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 구호로서의 “국악의 세계화”는 국가주의의 새로운 변형물로 여전히 경계하고 극복하여야 할 대상으로, 국악을 국가주의적 세계화의 도구나 민족주의의 견고한 과시, 글로벌 시대 각축하는 문화생산물이 아닌 인류전체를 위한 보편적, 성찰적, 동시대적 예술물의 생산과 글로벌 시대에 예술과 문화의 다양성을 확장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국악의 세계화의 목표를 전환하고 이를 위해 노력할 시점이라 보여진다.

      • 세계화 시대에 도덕교육의 방향

        남궁 달화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한국윤리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1

        세계화 시대에 인류를 위한 도덕교육은, 과거의 전통사회에서 그 사회․문화에 영향을 받아 수립된 도덕규범을 아이들에게 전달하고 그것이 내면화될 것을 기대하는 내용적 접근의 도덕교육만으로는 곤란하다. 지구촌에서 도덕적 문제가 발생했을 때, 세계시민들이 각자 자신의 사회․ 문화에 영향을 받은 서로 다른 도덕규범들에 따라 도덕적 행동을 하려한다면, 그 문제는 해결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세계화 시대는 세계시민들이 수용하여 공유할 수 있는 탈문화적인 도덕규범이 요구된다. 이러한 도덕규범은 사회․문화에 영향을 받는 구체적인 내용이기보다는 도덕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요구되는 일련의 절차, 즉 형식으로 작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도덕규범이어야 한다. ‘공정한 이익 고려’는 이러한 도덕규범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도덕규범은 특정한 사회․문화와 무관하게 세계시민들 간에 발생한 갈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서 원리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덕적 문제는, 그것이 도덕적 문제인가를 인식하고, 사고하고, 판단하고, 판단대로 행동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중심이 되는 절차는 도덕적 사고하기다. 넓은 의미에서 볼 때 도덕적 문제를 인식하고 판단하는 것도 도덕적 사고하기로 볼 수 있다. 도덕적 문제의 인식은 도덕적 사고의 시작 단계이고 도덕 판단은 도덕적 사고가 완료되는 단계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도덕적 사고는 이성에 기초한 합리적 사고와 도덕적 상상을 통한 역지사지가 작용하는 형식적 접근이 중심이 된다. 형식적 접근에서 도덕교육의 목적이 되는 도덕적 문제해결능력의 함양은 주로 도덕적 사고의 능력을 신장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덕적 사고하기교육은 가정이나 사회 또는 학교의 일상생활 속에서 이루어지기 어렵다. 도덕적 사고하기는 도덕수업으로 이루어져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세계화 시대에 지구촌에서 세계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도덕교육은 탈문화적인 보편적 도덕규범을 중심으로 도덕수업을 통한 형식적 접근의 도덕교육이 이루어질 때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what direction of moral education should be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e so-called traditional moral education was to transfer moral norms to children in order that they internalize them into their heart. This kind of moral norms consist of concrete contents. This kind of approach could be called ‘the content approach to moral education’. Of course, this approach is still realized and worked pretty well even today. Because nobody can enter into the region of moral life in one's own society without being educated by the approach. However today the content approach is no more good enough. Under the age of globalization, the world citizens face to different moral norms brought along different societies and cultures. For this reason, if there are moral problems between them, it will be difficult for them to solve the problem. There will be conflict between them due to their different moral norms. The age of globalization should require a kind of universalized moral norm which can survive among those different moral norms. ‘The impartial consideration of people's interest’ will be the kind of universalized moral norm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is norm works as a procedure or form in the course of solving moral problems regardless of whether what content the problems consist of. However, we cannot expect the ‘form approach’ will be realized in children's daily life, whether it is in home or society or school. The form approach aims to develop children's capacity to solve their faced moral problems reasonably and autonomically by their own moral thinking. Namely. the purpose of the ‘form approach’ is mainly to develop children's capacity of moral thinking. This kind of capacity can be developed in the course of moral lessons according to moral curriculum. For this kind of reason, the direction toward moral education in the age of globalization should be the ‘form approach’.

      • KCI등재

        김정은 시대 <시대어>로 본 문명강국의 이상과 현실: 사회주의문명국의 진로(進路)

        강채연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2 문화와 정치 Vol.9 No.1

        This article examines a “era language” of the Kim Jong-un era in the discourse of the civilized power and reinterprets the path of the socialist civilization stat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Kim Jong-il regime, the era language is a era language of the military first, which showed a sense of epoch and revolutionaryness by a rather hierarchical command system, but under the Kim Jong-un regime, the era languages representing the times and responsibility in socioeconomic fields account for the majority. Second, the distribution of the era languages in a line that reflects the overall social and economic system reform while attracting responsibility, relationship, emotion, culture, participation, and appeal among various participants such as the government, individuals, companies, bureaucrats, and regions. △Technical cooperation between industries and enterprises, △People-centered and specialized bureaucratic reform, △Educational culture and living culture of advanced countries, △Product competitiveness according to international standards. Third, The goal of the current socialist civilized state is to break away from the rigidity of existing traditions and systems and to lay a new socioeconomic foundation suitable for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while preserving nationality and socialism. For this, people-centered policies, participation, mobilization, and stimulation were needed, and it is the role of a era language to order these roles. This starts from the leadership's recognition that a paradigm shift in development that matches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 changed in marketization and the level of cultural consciousness of the people can promote the stability of the North Korean regime. Rather than simply propagating or promoting the system, it is trying to attract a structure that induces active participation and competitiveness through material stimulation and welcomes substantial improvement in people's livelihood, that is, technological, structural, and environmental changes that allow the coexistence of the state and the market. 이 연구는 김정은 시대 시대어를 문명강국의 담론 속에서 살펴보고, 사회주의문명국의 진로를 재해석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김정일 정권에서 시대어는 선군시대어로, 다소 위계적인 명령체계에 의한 시대성과 혁명성을 나타냈다면, 김정은 정권에서는 사회경제분야들에서의 시대성과 책임성을 나타내는 언어들이 다수를 차지한다. 둘째, 시대어의 분포는 정부·개인·기업·관료·지역 등 다양한 참여자들 사이에서 책임·관계·정서·문화·참여·호소 등을 유인하면서도 전반적인 사회경제의 시스템개혁을 반영하는 선에서 나타난다. △산업·기업 간 기술협력, △인민중심·전문화된 관료개혁, △선진국형의 교육문화·생활문화, △국제표준에 의한 상품경쟁력 등이다. 셋째, 기존 전통이나 시스템의 경직성에서 벗어나 민족성과 사회주의의 본태를 살리면서도 세계화·정보화에 맞는 새로운 사회경제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현재 사회주의문명국의 목표다. 이를 위해 인민중심의 정책·참여·동원·자극이 필요했고, 이러한 역할을 주문하는 것이 시대어의 역할이다. 이는 시장화 속에 변화된 사회경제적 환경과 주민들의 문화의식수준에 부합하는 발전의 패러다임 전환이 북한체제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는 지도부의 인식에서 출발한다. 단순한 체제선전이나 홍보의 측면보다는 물질적 자극에 의한 주체적 참여와 경쟁력을 유인하고 실질적인 민생개선이 환영받을 수 있는 구조, 즉 국가와 시장의 공존 가능한 기술적, 구조적, 환경적 변화를 꾀하고 있다.

      • KCI등재

        근세 세계화(archaic globalisation)의 맥락에서 본 조선시대사

        신상원 부경역사연구소 2023 지역과 역사 Vol.- No.53

        유럽 내에서 조선시대사 연구는 한국학 (Korean Studies)이라고 하는 분과 아래에서 행해지고 있다. 한국학은 한국의 정치, 사회, 문화, 역사 등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지역학의 하나이다. 당연히 이런 종합적인 이해를 위한 노력으로 인해 다양한 주제와 시기를 넘나들므로, 한국학이 다루는 범위는 아주 넓다. 당대 한국과 역사 속의 한국, 그리고 앞으로 다가올 미래의 한국까지 포함하는 학문 분야인 것이다. 한국학의 조선시대사 연구는 이런 넓은 범위 안의 한 분과이다. 유럽 내에서 한국의 관심 증가에 따라 이런 한국학과 그 분과인 조선시대사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유럽에서의 한국학 연구는 전근대시기 보다는 근대 그리고 현대시기에 집중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전근대시기 연구에서는, 조선후기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며, 고대시기나 고려시기는, 원래부터 연구가 많지 않은 분야인 전근대 시기에서도 더 작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럽 내 조선시대사 연구는 의미있는 연구 결과들을 내놓고 있다. 이들은 영미권의 세계화 연구 경향에 따라 연구되어, 세계사와 동아시아사적 차원에서 조선시대사를 보는 경향이 크다. 본 논문은 최근의 이런 유럽 내 조선시대사 연구들을 통해, 세계화의 맥락에서의 한국사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Within Europe, scholars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are actively engaged in researching the history of the Chosŏn Dynasty. Korean Studies, as an area of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plore various facets of Korea, including its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history. Consequently, Korean Studies encompasses a broad spectrum of topics and historical periods, spanning from contemporary Korea to its rich historical past and even its future. Studying on the history of the Chosŏn Dynasty constitutes an integral part of this expansive field within Korean Studies. As interest in Korea continues to burgeon in Europe, research endeavours focusing on Korean Studies and the history of the Chosŏn Dynasty, undertaken by scholars in the discipline, are steadily gaining momentum. Nevertheless, it is noteworthy that research on Korean Studies in Europe predominantly centres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s, with relatively less emphasis on the pre-modern era. Moreover, within the pre-modern period, there is a prevailing concentration on the late Chosŏn period, while the ancient and Koryŏ periods occupy a relatively smaller niche within this field of study. Despite these tendencies,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Chosŏn Dynasty conducted in Europe yields substantial and insightful findings. These outcomes are frequently situated within a global and East Asian historical context, aligning with prevailing academic trends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This research endeavours to explore the history of Korea within the framework of globalisation, drawing upon recent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Chosŏn Dynasty conducted within the European academic landsca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