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샬롬시티와 건강도시 형성을 위한 공적신학의 이해와 적용 - 성남시 다섯 교회 사례분석 -

        조무성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3

        본 논문은 공적신학의 관점에서 위기의 한국교회가 이 땅의 빛과 소금의 역할을 하고 지역 속에서 샬롬을 형성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가나안 교회, 대원교회, 성현교회, 샘물교회, 한신 교회의 사역 특히 이웃사랑의 복지 사역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지역교회의 네트워크를 통해 성남시가 건강도시와 샬롬시티로 나아가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초점이 있다. 바울이 로마에 있을 때 하나님 나라를 선포하고 예수에 대해 가르치는 일에 집중했다(행 28:30-31). 공적신학의 JKSH 모델의 핵심요소는 예수, 하나님 나라, 샬롬커뮤니티, 건강도시이다. 예수님은 평강의 왕이다. 하나님 나라의 산물이 샬롬이고 샬롬공동체이며 샬롬은 성경적 전인건강이고 샬롬커뮤니티는 성경적 건강도시이다. 자치단체가 추진하는 일반적인 건강도시와 성경적 건강도시 간의 공통분모는 구속에 근거한 영적건강을 제외한 마음, 몸, 사회, 환경의 건강을 추구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공적신학의 중요한 영역이다. 공적신학은 이런 점에서 세계교회 특히 오늘날 한국교회의 갱신에 중요한 통찰력과 비전을 제공해 준다. 공적신학은 기독교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교회 안에 있는 사람들과 바깥에 있는 사람들이 무엇을 왜 어떻게 소통해야 하고 공통된 문제에 대해서 구체적인 실천대안까지도 추구하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 Forrester의 도시복지의 관점과 Graham과 Lowe의 도시신학은 중요한 논리적 뒷받침이고 Linthicum의 샬롬커뮤니티의 관점도 하나님 나라와 건강도시를 연결하는 신학적 이론의 뒷받침이다. 건강도시는 전인건강 곧 시민의 마음건강, 몸건강, 사회건강, 환경건강을 위해서 애쓰는 도시이다. 우리나라는 호주 중국 일본을 포함한 9 개국의 167개 도시가 회원인 서태평 지역 건강도시연맹에 76개 도시가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성남시는 행복, 생활만족, 소득, 사회계층의식, 교육의 양극화로부터 심각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성남시에는 700여 교회가 존재한다. 가나안교회, 대원교회, 성현교회, 샘물교회, 한신교회의 이웃사랑 사역은 다음과 같은 특색이 있다. 가나안교회의 지역주민을 위한 도서관운영, 대원교회의 가정폭력상담, 성현교회의 노인종합복지서비스, 샘물교회가 지원하는 말아톤 재단의 장애인취업프로그램, 한신교회의 지역주민을 위한 문화센터 운영이 그것이다. 그러나 다섯교회는 성남시의 고통 받는 자들의 삶의 질에 대한 총체적 진단이나 사업의 우선순위나 상호협력의 공통분모를 확인하여 더 나은 성과를 고려해야 한다. 다섯 교회가 위치하고 있는 성남시를 성경적 건강도시 즉 샬롬시티를 만들기 위한 하나님 나라의 비전과 실천 방안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준비는 교회 네트워크를 통한 성남시민의 영적 고통 외에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환경적 고통에 대한 정보 공유, 교회공동체 외에 성남시청이나 다른 종교기관과 기업에서 어떻게 이러한 치유에 동참하고 있는가에 대한 정보의 공유, 예수와 하나님 나라에 초점을 둔 전인목회, 가장 열악한 환경에 있는 취약계층의 훌륭한 돌봄, 큰 교회가 작은 교회를 섬기기 위해 예수님의 겸손의 학습, 서태평양 지역 건강도시연맹의 회원도시인 우리나라의 76개도시의 최대한 활용, 성남시, 세종시, 세월호 참사로 고통을 겪는 안산시를 비롯한 양극화가 심한 도시들이 공적신학관점에서 건강도시와 샬롬시티가 되도록 한국교회와 지역교회의 체계적인 노력을 포함한다. 하나님나라와 샬롬커뮤니티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서 공적신학의 관점에서 도시에 자리 잡은 진정한 교회들이 하나님의 말씀에 근거하여 성령의 인도로 건강도시운동을 펼치는데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 이것은 우리 시대에 교회를 갱신하고 부정적이 이미지로부터 회복하기 위한 이론이나 실천의 면에서 적실성 있는 전략이다. 신학자들과 인문 사회 자연과학을 연구하는 비신학자들간에 성경적 세계관에 근거하여 학문 간의 학제간 대화와 연구를 통해 공적신학의 지경을 넓히는 것이 기독교학문공동체가 풀어야할 중요한 과제이다. This study focuses not only on the welfare service for the neighbors, especially in Sungnam City that Canaan Church, Daewon Church, Seonghyun Church, Saemmul Church, and Hanshin Church provide but also on the roles of Church networks in Sungnam city in order to build the Sungnam City as shalom city and healthy city with emphasis on the role of the salt and light for Korean Churches in crisis in the perspective of public theology. Paul has concentrated on proclaiming the kingdom of God and teaching about Jesus during his staying in Roma( Acts 28:30-31). The Core Elements of JKSH Model of Public Theology is Jesus, Kingdom of God, Shalom Community, and Healthy City. The product from the Kingdom of God is shalom or shalom community. Jesus is King of peace. Shalom is holistic health in Biblical perspective. Shalom community is Biblically healthy city. The common ground between general concept of healthy city in local government and Biblically healthy city is mental, phys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health except spiritual health based on redemption of Jesus. This is important area of public theology. In this Public theology gives important insight and vision for the renewal of the churches in the world, especially renewal in Korean churches. For public theology is discipline about what and why and how to communicate between believers in church and nonbelievers out of church with maintaining the identity of christianity through seeking for practical alternatives about common problems. In this study Forrester’s viewpoint of urban welfare and urban theology of Graham & Lowe with viewpoint of shalom community of Lithicum are theoretical foundations of public theology that connect the Kingdom of God with the healthy city. Healthy city is one that strives for holistic health: mental, phys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health. 76 cities in Korea have become member of AFHC (Alliance for Healthy Cites) among 167 cities of nine countries including Korea, China, Australia etc in Western pacific area of WHO. Sungnam city faces serious problems from polarization in happiness, life satisfaction, income, cognition of social economic status, and education. Bundang-gu is far higher than Sujeong-gu and Jungwon-gu in theses indicators. There are 700 churches or so in the city. There are the following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works of love of neighbor that Canaan Church, Daewon Church, Seonghyun Church Saemmul Church, and Hanshin Church have done: the library operation for local residents of Canaan Church, family violence counselling of Daewon Church, comprehensive welfare service for the aged of Sunghyun Church, Job employment for the disabled of Marathon Welfare Foundation supported by Saemmul Church, and Cultural Service for local residents of Hanshin Church. But total assessment of quality of life of suffering people in Sungnam City, Priority of Welfare Project, and common ground for coopera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better fruits. The vision of kingdom of God and its practical alternatives must be prepared to encourage Sungnam City to become Biblically healthy city, shalom city. This preparation includes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build Sungnam as shalom city and Biblically healthy city: (1) sharing information about the status of mental, physical, social, environmental suffering of Sungnam citizens besides spiritual one, (2) sharing information that Sungnam city hall, other religious groups, and various enterprises participate in relation to healing suffering people in Sungnam City. (3) holistic ministry focused on Jesus and the Kingdom of God, (4) excellent care of vunerable group in very poor environment, (5) learning humility of Jesus that big churches may serve small churches making the most of 76 cities in Korea as member of AFHC, (6) making systematic efforts of Korean church and local church for economically and socially polarized cities including Sungnam City, Sejong City, an Ansan City suffering from Sewol Ferry Disaster in order to become healthy city and shalom city from public theology perspective. In order to realize the dream of the Kingdom of God and shalom city all true churches that are located in Sungnam City must make great efforts under th guidance of the Holy Spirit on the basis of the words of God for healthy city movement in the perspective of public theology. This is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relevant strategy to renew church in our time and recover from the negative image of them. Christian academic community has important task to extend the region of public theology through Interdisciplinary conversation and studies between theologians and non-theologians studying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based on Biblical world view.

      • KCI등재

        JKSH 공적신학 모형을 통한 샬롬 시티와 건강도시 형성 : 성남시 다섯 교회 분석

        조무성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4

        본 논문은 공적신학의 관점에서 위기에 처한 한국교회가 이 땅에서 빛과 소금의 역할을 하고 속한 지역에서 샬롬을 형성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해 산자교회, 주민교회 , 성도교회, 제일교회(장로), 제일교회(감리) 교회의 사역 특히 이웃사랑과 복지 사역을 중심으로 살펴보며 지역교회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성남시가 건강도시와 샬롬시티를 향해 나아가기 위한 방향을 찾는데 데 초점이 있다. 바울이 로마에 머물렀을 때 하나님 나라의 선포와 예수에 대한 가르침에 모든 노력을 경주했다(행 28:30-31). 공적신학을 접근하는 JKSH 모델은 핵심요소가 예수(Jesus), 하나님 나라(Kingdom of God), 샬롬시티(Shalom City), 건강도시(Healthy City)이다. 예수는 평강의 왕이다. 하나님 나라의 산물은 샬롬이고 샬롬공동체이다. 샬롬은 성경적 전인건강이며 샬롬시티는 성경적 건강도시이다.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는 일반적인 건강도시와 성경적 건강도시는 마음과 몸과 사회와 환경의 건강을 추구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차이점은 성경적 건강도시가 구속에 근거한 영적건강을 전제한다는 점이다. 이런 공통점과 차이점은 공적신학의 중요한 영역이다. 이런 점에서 공적신학은 세계교회 특히 오늘날 한국교회를 갱신하는데 중요한 통찰력과 비전을 제공해 준다. 공적신학은 기독교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교회 내의 사람들과 외부의 사람들의 소통 대상과 이유 및 방법과 함께 공통된 문제에 대한 구체적 실천대안까지도 추구하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 포레스터의 도시복지의 관점과 그래함과 로이의 도시신학은 중요한 논리적 뒷받침이고 린시쿰의 샬롬커뮤니티의 시각도 하나님 나라와 건강도시를 이어주는 신학적 이론의 뒷받침이다. 건강도시는 전인건강을 위해 애쓰는 도시로서 전인건강은 시민의 마음건강과 몸 건강과 사회건강과 환경건강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호주, 일본, 중국을 포함한 9 개국의 178개 도시가 회원인 서태평 지역 건강도시연맹의 85개 도시가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성남시는 행복, 지역환경만족도, 소득, 교육의 양극화로 인한 심각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성남시에는 650여 교회가 존재한다. 산자교회, 주민교회, 성도교회, 제일교회(장로), 제일교회(감리)의 이웃사랑 사역은 다음과 같은 특색을 가지고 있다. 산자교회는 청소년 그룹홈 세우기, 성도교회의 사랑의 쌀 배포, 주민교회의 지역사회연계, 제일교회(장로)의 동네방네 행복나눔 축제, 제일교회(감리)의 지역현안정책제안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다섯 교회는 성남시에서 고통을 받는 이들의 삶의 질을 총체적으로 진단하고 사업의 우선순위와 상호협력의 공통분모를 확인하며 더 나은 성과를 위한 고려할 점이 있다. 성남시의 샬롬시티와 건강도시 형성을 위해 (1) 규모보다 거룩한 교회 지향 (2) 예수와 하나님 나라에 초점을 둔 전인목회 초점(3) 개별교회보다 지역교회 전체의 성장에 우선순위 (4) 시민의 고통을 다루는 시정부의 정책에 대한 관심과 제안 (5) 성남의 취약계층과 양극화에 대한 구체적 대안 마련 등을 들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not only on the welfare service for the neighbors, especially in Sungnam City that Sanja Church, Seongdo Church, Jumin Church, Jeil Presbyterian Saemmul Church, Jeil Methodist Church provide but also on the roles of Church networks in Sungnam city in order to build the Sungnam City as shalom city and healthy city with emphasis on the role of the salt and light for Korean Churches in crisis in the perspective of public theology. Paul has made every effort in proclaiming the kingdom of God and teaching about Jesus during his staying in Roma( Acts 28:30-31). The Core Elements of JKSH Model of Public Theology consist of Jesus, Kingdom of God, Shalom Community, and Healthy City. The Result from the Kingdom of God is shalom or shalom community. Jesus is King of peace. Shalom is holistic health in Biblical perspective. Shalom community is Biblically healthy city. General concept of healthy city in local government and Biblically healthy city has common ground in mental, phys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health except spiritual health based on redemption of Jesus. This area is important in public theology. In this context public theology gives us important insight and vision for the renewal of the churches in the world, especially renewal in Korean churches. For public theology is discipline about object and reason and method to communicate between believers in church and nonbelievers out of church with maintaining the identity of christianity through seeking for practical alternatives about common problems. In this study Forrester’s viewpoint of urban welfare and urban theology of Graham & Lowe with viewpoint of shalom community of Lithicum play important role as theoretical foundations of public theology that connect the kingdom of God with the healthy city. Healthy city is city that strives for holistic health: mental, phys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health. 85 cities in Korea have become member of AFHC (Alliance for Healthy Cites) among 176 cities of nine countries including Korea, China, Australia etc in Western pacific area of WHO. Sungnam city faces serious problems from polarization in happiness, satisfaction of environment, income, education. Bundang-gu is far higher than Sujeong-gu and Jungwon-gu in theses indicators. There are 650 churches or so in the city. There are the following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works of love of neighbor that Sanja Church, Seongdo Church, Jumin Church, Jeil Presbyterian Church, and Jeil Methodist Church have done: Operation of group home of Sanja Church, Providing rice to vulnerable people of Seongdo Church, Regional cohesion project of Jumin Church, Restival from neighbor to neighbor of Jeil Presbyterian Church and Policy demand to Sungnam city government of Jeil Methodist Church. But total assessment of quality of life of suffering people in Sungnam City, Priority of Welfare Project, and common ground for coopera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bearing the better fruits. The vision of Kingdom of God and its practical alternatives must be prepared to encourage Sungnam City to become Biblically healthy city, shalom city. This preparation includes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build Sungnam as shalom city and Biblically healthy city: (1) Priority of Holiness of Church to Size of it (2) Focusing on holistic ministry focused on Jesus and the Kingdom of God, (3) Emphasis on growth of church community than individual church growth (4) evaluation of city government service and policy recommendation in the perspective Christian values (5) Suggestion of more specific alternatives for vulnerable people and for overcoming polarization.

      • 성남시민순찰대의 발전적인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박종철 한국자치경찰학회 2016 자치경찰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성남시에서 운영한 시민순찰대의 운영 현 황을 분석하고 향후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성남시는 2015년 7 월 28일「성남시민순찰대 설치 및 운영 조례」를 근거로 시민순찰대를 설치하고 운영 시작하였다. 그 후 2016년 8월 30일에 시민순찰대의 확대 설치 및 운영을 골 자로 한 조례 개정안이 성남시의회에서 부결되면서 시민순찰대는 2016년 9월 30 일자로 사실상 해체되었다. 성남시는 시민순찰대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지금까 지 6차에 걸쳐 지적사항을 보완 수정한 조례 개정안을 상정하였으나 시의회의 계 속된 부결처리로 현재에 이르고 있다. 시민순찰대의 운영 성과에 대한 시민들의 긍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예산 낭비·업무 중복·허위 실적 등 많은 부정적 요소 를 포함하고 있어 시의회의 조례 통과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나 시민순찰대 임무와 자치경찰 사무의 유사성, 조직의 공공성, 보호주체 및 관할 등으로 볼 때, 시민순찰대를 자치경찰의 초기 모델로 볼 수도 있다고 본 다. 즉, 시민순찰대의 확대 운영은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경찰 운영의 발전적인 모 델을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인식 아래 시민순찰대가 시 민의 안전지킴이로써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이론적 논 의와 더불어 시민순찰대의 운영 현황 분석을 통하여 합리적인 정책 대안을 제시하 고자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Seongnam City patrol as the first local government and to suggest future development plan. Seongnam city under the "Seongnam city patrol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rdinance" founded in the year 2015, July 28th, implemented the city patrol and started establishment. After the year 2016, August 30th, the revised bill for the expansion of the city patrol and operation was rejected and the city patrol dissolved in the year 2016, September 30th. Seongnam city introduced the newly amended ordinance that was fixed 6 times for the steady operation of the Seongnam city patrol, but the law is dissolved by the city council until now. Disregard of the positive assessment from the citizen on the operational assessment of the city patrol, due to the negative factors such as waste of budget, overlapping of work, false performance, it seems that it is difficult to pass the ordinance. However, considering the city patrol's assignment and the similarity of the local police's office work, the public character of the organization, the protection group and the jurisdiction, the city patrol seems to be like the root of the local police. This means that the expansion of the city patrol suggests a developed model of the local government's community police operation. Thus in this research, we are trying to build a theoretical basis for city patrol to work as a security keeper of the citizen, and suggest a reasonable policy by analyzing the operation of the city patrol.

      • KCI등재후보

        성남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서태원(Seo Tae-wo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8 아시아문화연구 Vol.15 No.-

        Researches on the history of Seongnam were significantly activated in the 1990s due to the enact of local selfadministration. A great deal of research results have been accumulated by individuals as well as Seongnam Culture(성남문화원), Kyungwon University(경원대학교), Seongnam City(성남시), and Land Museum of Korea Land Corporation(한국토지공사토지박물관). Especially we have found relating plenty of new imformation about Namhansansung(남한산성) in the Chosun dynasty. On the other hand, problems and solutions we have founded relating to researches on the history of Seongnam are as follow. First, the participations of professional historians for each field should be widely expanded. Second, research targets should be diversified such as seeking new research subjects or complementing neglected subjects. Third, researches on the man of one's native place of Seongnam should be objectively described. Fourth, Seongnam City and Gwangju(廣州) City should cooperate in researches such as Namhansansung of which research scopes are overlapped to reduce expenses and time and to elevate research qualities. Fifth, advertisement and educations about research results are necessary. Sixth, there should be founded a military museum in Namhansansung to establish the identification of Seongnam.

      • KCI등재

        지역문화와 창조도시론

        이현식(Yi Hyun-Shi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한국민족문화 Vol.35 No.-

        이 논문은 인문학적 관점에서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창조도시론의 합리적 핵심을 정리하고 그 성과와 한계점을 서울과 성남의 사례를 통해 살펴 본 것이다. 본 논문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조도시론은 도시가 서로 연관된 하나의 전체이고, 사람들이 살아가는 공간이며 동시에 오랜 시간 그런 삶의 과정이 축적된 역사적 공간이라는 점을 중요시 여긴다. 창조도시론은 그동안의 단선적인 발전패러다임과는 달리, 도시를 인간 중심으로 바라보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 창조도시론은 도시를 하나의 전체로 인식하고 도시 내부도 서로 관계된 유기체로 보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도시를 폐쇄된 하나의 단위로만 인식하고 있을 뿐이다. 아울러 창조도시론은 오늘날의 도시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구조적으로 파악하기보다는 성공적인, 그것도 파편적 사례들을 성공의 사례로 나열할 뿐이지 문제에 대한 근본적 진단과 해결을 위한 방법론, 나아가 실천의 주체에 대해 고민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창조도시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서울의 문화정책은 다른 어느 도시의 문화계획과 견주어 보아도 정책의 선택과 집중의 논리가 뚜렷하게 관철되고 있다는 차별성이 있다. 더 나아가 서울시의 이런 문화계획은 정책 담론의 중심에 문화를 올려놓았다는 의의도 있다. 그렇지만 컬쳐노믹스라는 말이 상징하듯이 서울시의 문화계획은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과 도시의 발전이라는 요소가 문화와 창조의 외피를 걸친 것이다. 나아가 서울이 이렇게 공격적으로 문화산업을 집중 육성시킨다면 주변 도시들은 더욱더 문화적으로는 왜소해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서울의 문화계획은 다른 도시와의 상생을 고려하기보다 수도로서 울이 지닌 장점을 살려 서울중심의 발전적 사고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셋째, 수도권의 전형적인 위성도시인 성남은 ‘문화예술 창조도시’를 지향한다. 그런데 성남이 지향하는 도시의 상은 시민에 초점이 놓여 있다. 문화 정책의 중심에 시민이 서 있으며 시민의 창의성을 최대한 진작시켜 그것을 문화도시의 구현으로 연결시키겠다는 것이 성남이 지향하는 방향이다. 이는 수도권 위성도시로서 성남의 처지를 고려하면 창조도시론의 긍정적 측면이라고 볼 수 있다. 서울이 컬쳐노믹스를 표방하면서 문화를 통해 경제적 성장과 도시 발전을 이루겠다는 비전과, 서울의 위성 도시로 시민의 창의성을 최대한 이끌어내어 시민이 문화 발전의 중심이자 도시의 중심으로 서도록 하겠다는 성남의 계획은 지역 문화 정책이 당면한 두 양상을 매우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아울러 그것은 창조도시론의 현실적 가능성과 문제점을 모두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것이다. This paper sums up the achievement and limitation of the theory of Creative City through the case study of Seoul and Seongnam. The point will be as follows. First, the theory of Creative City regards a city as one where diverse elements coexist, people live together, and historic memory is accumulated. Unlike the traditional development paradigm, the theory of Creative City focuses on human beings as playing a vital role in developing a city. However, it fundamentally understands city as a closed unity. Rather than investigating structural problems of a city, the theory tends to list up successful cases. It means that the theory does not provide an in-depth analysis as well as solution to the problems of a city. Second, Seoul accepts the theory of Creative City as its cultural developing policy, which is based on the logic of selection and concentration. Furthermore, Seoul places culture at the heart of its developing policy. As symbolized by "culturenomics", a new slogan of Seoul's cultural policy, the cultural plan of Seoul only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the economic value and the development of the city. If Seoul continues to promote its cultural industry in that manner, its peripheral small cities cannot help lessening the merit of their cultural achievement. Rather than pursuing a win-win policy benefiting Seoul and its neighbor cities together, the cultural plan of Seoul only focuses on its development as it is the capital of Korea. Third, Seongnam, as a typical satellite city of Seoul, pursues the policy of 'Arts creative cities'. The focus of the policy lies on citizens. By enhancing the creativity of its citizens, it tries to materialize the plan of culture city. As a satellite city of Seoul, Seongnam well takes its policy basing on the theory of Creative City. Also it can be said that these two cases show the possibility and problems of Creative City Theory.

      • KCI등재

        게임 산업의 지역산업생태계 분석 연구 :성남의 게임콘텐츠산업을 중심으로

        임익수,우탁 한국게임학회 2015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5 No.3

        본 연구는 판교를 포함하는 성남지역을 세계적인 게임 산업 클러스터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제안하기 위하여, 산업생태계 이론에 근거 하여 성남 지역의 게임콘텐츠 산업생태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성남 가치사슬 구조를 분석한 결과, 중핵 업종과 확장된 네트워크의 상호작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과 노력이 요구 되었다. 두 번째 기업 간 연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지역 내 강소 게임 업체 지원을 통한 건전한 생태계 육성 정책이 요구 되었다. 마지막으로 혁신 자원과 환경을 분석해본 결과, 산업인력양성을 위한 교육적 생태계 구축이 시급히 요구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산업생태계 이론을 활용하여 게임콘텐츠 산업을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 한 점과 정책적 과제를 도출함으로서, 지역산업 분석 연구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안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trategy and policy to promote world class game industrial complex through the analysis of game contents business ecosystem in Seongnam. As a result of analysis, At present of the game contents industry in Seongnam as ecosystem is challenged in many-side as followings. 1)Lack of interaction between core game contents businesses and extended network businesses in same area. 2)Imbalanced relationships between game contents conglomerate and small and medium sized businesses. 3)Insufficient game contents optimized human resource and development program. This study provides a stepping stone for regional industrial ecosystem of game industry and new possibilities of application about regional industry analysis.

      • KCI등재

        기술창업 생태계 분석 및 구축방안 - 성남시 사례연구 -

        채지민,이원호 국토지리학회 2017 국토지리학회지 Vol.5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cosystem according to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ial ecosystem components and to establish a strategic plan for business start-up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start-up enterprises of Seong nam city, characteristics of industry, growth stage of industry, analysis of industrial structure. As a result, the degree of industrial development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industry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echnology entrepreneurial industry, and the degree of integr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specialization according to the technology entrepreneurial sector in Seongnam-si is different. In addition, Seongnam-si showed that consumer aspect, which is a component of entrepreneurial ecosystem, was not thick.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diagnose the problems of technology entrepreneurial ecosystem of Seongnam city through the detailed status and detaile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overall components of the ecosystem as well as the technology entrepreneurs of Seongnam city. And provided policy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policy for nurturing entrepreneurial ecosystem in Seongnam-si for the activation of technology entrepreneurship. 본 연구는 성남시 기술창업 기업들의 업종별 특성, 기업성장단계, 산업구조분석 및 기업 실태조사 등을 통해 창업지원의 전략적 방안을 마련하고, 창업생태계 구성요소들의 현황 및 특성에 따른 생태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기술창업 업종별로 산업발전 정도와 산업의 구조적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며, 성남시 내 지역별로 기술창업 업종별 특화도에 따른 집적도도 다르게 나타났다. 또 성남시는 창업생태계 중 구성요소인 소비자 측면이 두텁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 실태조사 결과 기술창업 업종별로 필요한 지원시기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성남시의 기술창업기업 뿐 아니라 생태계의 전반적인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인 현황 파악 및 기술통계적인 다양한 분석을 통해 성남시 기술창업 생태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성남시 여건과 특성에 맞는 생태계 구축방안을 도출하여 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한 성남시 창업생태계 육성정책을 수립하는데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성남형교육 교육연극 지원사업’의 학생중심교육 접근 방식 연구

        김주연(Kim, JooY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7

        This study explores educational drama of Seongnam s way of education which implements for three years with practical effects. It analyses what brings about such effects and what effects are made. Upon the reflection of previous attempts of educational drama project which have been led by theatre teacher as one-off event, educational drama of Seongnam s way of education paved a way to provide substantial meaning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through teacher and theatre-teacher s co-teaching, workshops and monitering program.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which is pursed by educational drama tries to provide learners with opportunities to be engaged in lessons, think, express, question and expand thoughts. To explains this pursuit in theoretical terms, this has in common with socio-cultural constructivism in a way to re-construct meanings by negotiating meanings in a process of social and cultural encounters. Besides, the theatricality of educational drama provides dramatic inquiry which enables learners to be engaged in present situation and arouse to understand and to ask genuine questions. To sum up, learner centered education of educational drama of Seongnam s way of education features meaning-making of socio-cultural constructivism and the presentness and eventness of dramatic inquiry. In this frame, this project continues three years, including 65 schools and it will be expanded into 35 schools. In terms of meaning-making, the meaning have been embodied into three kinds, expressing, understanding and meaning-negotiating. The most frequently applied subjects have been Korean, Ethics, History and free term of middle school employs educational drama effectively. 본 연구는 3년 동안 지속되며 실효성을 거두고 있는 ‘성남형교육 교육연극 지원사업’의 접근방식을 탐구하였다. 실효성을 가져온 요인들이 무엇이며, 어떤 결과를 내었는지 밝히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극강사의 주도로 이벤트성으로 진행되었 던 그간의 교육연극 수업에 대한 반성으로, 실질적인 의미의 학생중심교육을 이뤄내기 위해 ‘성남형교육 교육연극 지원사업’은 연극강사와 교사의 협력수업과 교육연극의 교육과정 적용이라는 접근 방식을 선택하였다. 실제적 수업에서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교사와 연극강사를 위한 연수와 워크숍 그리고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포함하였다. 교육과정에서 성취하려는 학생중심교육의 특징은 현재 벌어지는 수업에 몰두하여, 생각하고, 표현하고, 질문하고, 다시 생각을 확대한다는 기획의도에서 엿볼 수 있다. 이를 이론적으로 설명하면, 사회적 상황과 대면하여 의미를 협상하여 기존의 의미를 해체하고 새로운 의미를 재구성하는 사회문화적 구성주의의 의미 구성의 학습원리와 닮아 있다. 또한 방법으로 선택한 교육연극의 연극적 매체성이 지닌 특 징 즉, 현재성과 사건성을 근간으로 한 ‘드라마적 탐구’의 특징 또한 포함하고 있다. 정리하면, ‘성남형교육 교육연극 지원사업’에서 지향하는 ‘학생중심교육’은 사회문화적 구성주의의 의미구성과 드라마적 탐구의 ‘현재성’과 ‘사건성’으로 인한 ‘몰입’과 ‘질문’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틀을 근간으로 2015년부터 3년 동안 진행된 지원사 업은 2018년에는 35개 학교로 확대될 계획이다. 교사와 연극 강사와의 협력수업을 통한 교육연극 적용수업은 사회문화적 구성주의가 주목하는 ‘의미 구성’ 관점에서 볼 때, 세 종류로 구현되었다. 표현하기, 이해하기, 의미협상하기인데, 주로 초등학교 국어, 도덕, 사회(역사)과목에서 실현되었다. 중학교 자유학기제 또한 실효성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광주대단지 사건의 정치성과 지체된 기억 – 성남시의회 회의록을 통해 본 광주대단지 사건의 기억투쟁

        임미리(Lim, Mi-Ri)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로컬리티 인문학 Vol.- No.23

        이 연구는 광주대단지에 대한 인식에서 성남시가 여러 연구 성과와 외부의 시각에 비해 지체된 모습을 보였다가 최근 새로운 변화가 생기게 된 원인을 탐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3년부터 2019년까지 성남시의회에 상정된 5개 안건의 회의록을 분석했다. 대부분의 의원들이 표면적으로는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이라는 명분에 동의하면서도 실제로는 구시가지와 신시가지 주민들이 갖고 있는 광주대단지에 대한 시각을 대리해 찬반 표결을 했다. 또 초기에는 중앙정부에 대한 의존적 태도가 강한 가운데 정당 요인이 크지 않았다가 뒤로 갈수록 소속 정당이 찬반 표결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한편 2019년 조례안의 만장일치 가결에는 연극 〈황무지〉 공연을 계기로 가시화된 주민들의 인식 변화가 영향을 미쳤고 〈황무지〉의 관내 공연은 오랜 기억투쟁과 정치행동의 결과였다. 이 같은 분석은 광주대단지 기억을 둘러싼 성남시의 지체 현상이 기억의 정치성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광주대단지 사건은 성남시에서 가장 정치적인 기억이었다. 이유는 신·구시가지가 공통의 역사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이 5·18을 경험한 광주시와 광주대단지 사건을 경험한 성남시의 차이다. 광주대단지 기억을 중심으로 구시가지와 신시가지 주민들이 반목해 왔고 지역 정치인도 마찬가지다. 2019년 조례 통과가 가능했던 것은 오랜 기억투쟁을 통해 광주대단지 기억이 지역 공통의 역사로 수용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study aims to find out why Seongnam City has lagged behind the various research achievements and external perspectives in its perception of the Gwangju Complex and why recent changes have occurred. To that end, it analyzed the minutes of the five agenda items submitted to the Seongnam City Council from 2013 to 2019. According to the analysis, most of the lawmakers ostensibly agreed with the cause of truth finding and restoring honor, but actually voted to reflect voters’ views on the memory of the Gwangju Complex. In addition, their parties did not have a decisive influence on the vote in the beginning, but as time went by, they had a decisive impact on the vote. On the other hand, the unanimous passage of the 2019 ordinance affected the change in residents’ perception which was visualized by the performance of the play “Hwangmuji”. It was the result of a long memory struggle and political action that ‘Hwangmuji’ could be performed in Seongnam City. This analysis suggests that Seongnam City’s delay over the memory of Gwangju Grand Complex is related to the politics of memory. The Gwangju Complex incident was the most political memory in Seongnam City than anywhere else. The reason is that the new and old cities do not have a common history. This is the difference between Gwangju City, which experienced May 18, and Seongnam City, which experienced the Gwangju Complex incident. Because of the memory of the Gwangju Complex, residents of old and new towns have been feuding, which has also affected the city council’s vote. And the reason why the 2019 ordinance could be passed unanimously was because the memory of Gwangju Complex was accepted as a common local history through a long memory struggle.

      • KCI등재

        성남시 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인성 및 직무만족도

        신윤승,이한영,이용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Personalit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of Childcare Teachers in Seongnam CityYoonseung Shin, Hanyoung Lee, & Yongjoo Lee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ic data for appropriate childcare policies in Seongnam City. The subjects were 681 childcare teachers in Seongnam City, and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online. As a result, first, the personality average of childcare teachers tended to be higher than the average of job satisfaction, and the childcare environment and welfare satisfaction tended to be the lowest. Second, in the personality of childcare teachers, teachers aged 50 or older and assistant teach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and disability integration teachers were significantly lower. Third, assistant teach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job satisfaction, and disability integration class teachers were significantly lower. Through this, Seongnam Cit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find educational policies according to the age and job type of childcare teachers and policies to increase child care environment and welfare satisfaction. Key Words: Seongnam City, Childcare Teacher, Individual Variable, Personality, Job Satisfaction 성남시 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인성 및 직무만족도신 윤 승**ㆍ이 한 영***ㆍ이 용 주**** 요약: 본 연구는 성남시의 적합한 보육정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성남시 보육교사 681명이며, 설문지는 온라인으로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인성 평균은 직무만족 평균보다 높은 경향이 있었으며, 보육환경 및 복지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경향이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인성은 50세 이상의 교사와 보조교사가 유의미하게 높았고, 장애통합반교사가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은 보조교사가 유의미하게 높았고, 장애통합반교사가 유의미하게 낮았다. 이를 통해 성남시가 보육교사의 연령과 직무형태에 따른 교육 정책과 보육환경 및 복지 만족도를 증대시키는 정책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성남시, 보육교사, 개인변인, 인성, 직무만족 □ 접수일: 2022년 4월 20일, 수정일: 2022년 5월 27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이 논문은 2021년도 성남시육아종합지원센터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 주저자, 서경대학교 아동학과 조교수(First Author, Professor, Seokyeong Univ., Email: sys7777@hanmail.net)*** 공동저자, 연성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Co-author, Professor, Yeonsung Univ., Email: childhouse@hanmail.net)**** 교신저자, 경동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Kyungdong Univ., Email: childpeace@naver.c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