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색선호도와 낙관성과의 관계

        홍은주,윤지영,김효은,송연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2 예술심리치료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낙관성과 색선호도와의 관계를 조사하는데 목표가 있다. 연구대상은 천안지역 A대학교의 414명(1-4학년)의 대학생으로 하였다. 색선호도 질문지와 낙관성 척도를 사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통해 색선호도와 낙관성의 경향과 성별, 학년별, 전공별 낙관성과 색선호도의 차이, 낙관성에 따른 색선호도의 차이, 색선호도와 낙관성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를 SPSS 12.0을 사용하여 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학생의 색선호도는 검정, 흰색, 파랑, 빨강, 보라, 초록, 노랑, 주황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빨강, 노랑), 학년별(빨강, 주황, 보라), 전공별(노랑)로 색선호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색선호도는 낙관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선호도와 낙관성은 빨강, 노랑, 초록, 파랑, 흰색과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preference and optimism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study were 414 university students from freshman to senior in the city of Cheonan.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 12.0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 color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gender(red, yellow), grade(red, orange, purple), majors(yellow) and color preferenc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ir level optimism.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olor preference and optimism had significant possitive correlations(red, yellow, green, blue, white).

      • KCI등재

        문화상품 선호도에 따른 기업 브랜드 선호도와 충성도에 관한 연구

        김혜란 한국상품학회 2023 商品學硏究 Vol.41 No.1

        본 연구는 외국인들의 한국의 다양한 문화상품들에 대한 선호도가 한국의 기업 브랜드 선호도와 충성도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영국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사전 테스트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수집된 온라인 설문 응답들은 총 142부였고 이를 SPSS 등을 사용하여 관계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한국 문화상품들 중 가장 활발한 세계시장 진출을 하고 있는 문화상품으로 영화, 드라마, 음식, 가요를 선정하였고, 이들에 대한 선호도가 한국의 기업 브랜드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한국 기업 브랜드 선호도가 한국 기업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해보고 추가적으로 소비자의 성별에 따른 문화상품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해 보았다. 검증결과, 첫째, 문화상품 선호도는 연구모델과 같이 전체 4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한국문화상품에 대한 영국소비자들의 선호도는 한국기업브랜드에 대한 선호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가장 영향력이 강한 것은 한국가요에 대한 선호도로, 한국기업 브랜드 선호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쳤다. 한국기업브랜드에 대한 선호도는 구매의향 등을 포함한 브랜드 충성도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남녀 소비자간 문화상품에 대한 선호도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의 문화상품들이 한국기업에 가져다 줄 수 있는 경제적 영향력을 아시아권이 아닌 서양문화권에서 확인한 연구로, 단순히 상품의 수준을 넘어 문화상품의 의미가 국가 경제에유의미한 파급효과를 이끌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하겠다. 궁극적으로 문화상품은 국가브랜드 이미지 향상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 국가, 문화, 기업의 상호간 협업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의 기여가 있다 하겠다.

      • KCI등재

        중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기술가정 교과 선호도 및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최동숙,전경숙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8 No.4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on the preference for TechnologyHome Economics and its learning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 preference and learning effectivenes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were measured among a number of 40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huncheo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1.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the higher preference and learning effectiveness for the Home Economics area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han they had for the Technology.3. Female student's preference and learning effectiveness for the Home Economics area in TechnologyHome Economics were higher than male student's. Male student's preference and learning effectiveness for the Technology area in TechnologyHome Economics we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4. The group which had relatively high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score showed the higher preference and learning effectiveness for the Home Economics area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han the group with low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score. In contrast, the group with low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score had the higher preference for the Technology area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han the group with high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score. In conclusio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gender type had the most strong influence on the preference and learning effectiveness for TechnologyHome Economics among middle-high school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에 따른 기술가정 교과의 선호도와 학습효과를 차이를 분석하여 남녀학생 모두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춘천시의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양성평등의식과 기술가정 교과에 대한 선호도 및 학습효과를 조사하였다. 학생들의 양성평등의식은 높은 수준이나 성별에 따라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교 유형에 따라서는 여학교, 남녀공학, 남학교의 순으로, 담당 교사 유형에 따라서는 통합인 경우가 분리 보다 양성평등의식이 높았다. 기술가정 선호도와 학습효과는 남녀학생 모두 가정 선호도와 학습효과가 높았으나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고, 기술 선호도와 학습효과는 남녀학생 모두 낮았으나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낮아 여학생의 기술과 가정 편차가 남학생에 비해 더 컸다. 학교 유형에 따라서는 여학교의 가정 선호도와 학습효과가 높은 반면 기술 선호도와 학습효과는 남학교가 높았다. 담당 교사 유형에 따라서는 통합인 경우가 분리인 경우보다 가정 선호도와 기술 선호도가 높았다. 양성평등의식에 따라서는 양성평등의식이 상과 중 집단이 하 집단 보다 가정 선호도와 학습효과가 더 높았고, 기술 선호도는 양성평등의식이 상 집단이 중과 하 집단 보다 더 낮았다. 결론적으로 기술가정 교과 선호도와 학습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양성평등의식과 성별이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첫째, 남학생의 가정 선호도와 학습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활동이 필요하다. 둘째, 기술 선호도와 학습효과는 가정에 비해 낮으므로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현저하게 낮은 여학생의 기술 선호도와 학습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기술가정 담당교사는 1인의 교사가 모든 단원을 전담하여 지도하는 통합형이 바람직하다. 넷째, 중등학생의 성 역할 고정관념을 제거하여 양성평등의식의 차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교과지도 프로그램을 기술가정교과에 적극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인터넷 채팅 도메인에서의 감성정보를 이용한 타관점 사용자 선호도 학습 방법

        신욱현(Wook-Hyun Shin),정윤재(Yoon-Jae Jeong),맹성현(Sung-Hyon Myaeng),한경수(Kyoung-Soo Ha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4 No.1

        개인화 서비스와 같은 지능정보 시스템을 위해서는 사용자 선호도의 학습은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채팅 도메인에서의 사용자 선호도를 학습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기존의 평면적인 사용자 선호도 모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사용자 선호도 모델을 제안한다. 사용자가 선호도 학습의 대상에 대하여 얼마나 관심이 있는가를 나타내는 관심도와 대상에 대한 감성을 나타내는 호감도 라는 요소로 모델링 할 수 있다. 자연어 처리를 통해 현재 대화에서의 주제 탐지와 호감도 분석을 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도와 호감도를 학습한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사용자 선호도의 특징을 고려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세션, 단기, 장기 선호도로 나누어 계산한다. 사용자선호도 학습의 대상이 되는 키워드와 주제에 대하며 시간에 따라 변하는 사용자의 선호도 변화를 고려하여 선호도 결정을 한다 사용자 선호도 학습 효과의 검증을 위하여 사용자 평가를 하였으며 주제 선호도, 키워드 선호도, 키워드 호감도에 대하여 각각 86.52%, 86.28%, 87.22%의 성능을 보였다. Learning user's preference is a key issue in intelligent system such as personalized service. The study on user preference model has adapted simple user preference model, which determines a set of preferred keywords or topic, and weights to each target. In this paper, we recommend multi-perspective user preference model that factors sentiment information in the model. Based on the topicality and sentimental information processed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it learns a user's preference. To handle timc-variant nature of user preference, user preference is calculated by session, short-term and long term. User evaluation is used to validate the effect of user preference teaming and it shows 86.52%, 86.28%, 87.22% of accuracy for topic interest, keyword interest, and keyword favorableness.

      • KCI등재

        유료방송 채널, 웹툰의 장르 선호도 연계성에 관한 연구

        전범수 ( Bum Soo Chon ),최믿음 ( Mideum Choi ),이정기 ( Jeong Ki Lee ) 문화방송 2016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7 No.1

        이 연구는 유료방송 채널과 웹툰의 장르 선호도의 연계성을 확인함으로써 변화된 미디어 플랫폼 환경에서 수용자들의 이종 미디어 콘텐츠 이용행태를 보다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OSMU를 극대화할 수 있는 콘텐츠 생산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핵심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료방송 채널의 선호도는 ‘오락/무협’, ‘스포츠’, ‘영화’, ‘만화’ 채널의 구조로 구성되었다. 웹툰의 장르 선호도는 ‘교양/정보’, ‘액션/호러/판타지’, ‘드라마’의 구조로 구성되었다. 둘째, 남성의 경우 유료방송 채널 중 스포츠 장르의 선호도가 높았고, 드라마 선호도가 낮았다. 연령은 유료방송 채널 중 만화 선호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력은 유료방송 채널 중 스포츠 선호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 남성의 경우 웹툰 장르 중교양/정보, 액션/호러/판타지 선호도가 높았고, 연령은 웹툰 장르 중 교양/정보 선호도에 정적인 영향을, 드라마 선호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력은 웹툰 장르 중 교양/정보선호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유료방송 채널 선호도 중 오락/무협(+), 스포츠 선호도는 웹툰 장르 중 교양/정보 선호도에 영향을 미쳤다. 유료방송 채널 선호도 중 스포츠 선호도(+), 드라마 선호도(-), 영화 선호도(+)는 웹툰 장르 중 액션/호러/판타지 선호도에 영향을 미쳤다. 유료방송 채널 선호도 중 드라마 선호도(+), 만화 선호도(+)는 웹툰 장르 중 드라마 선호도에 영향을 미쳤다. The core discoverie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ference of paid broadcasting channels was in the structure of "entertainment/martial arts", "sports", "movies", and "cartoon" channels, and that of webtoon genres was in the structure of "culture/information", "action/ horror/fantasy", and "drama". Secondly, men showed a high preference for the sports genre and low preference for the drama genre among the paid broadcasting channels. Age had negative effects on preference for the cartoon channel among the paid broadcasting channels. Educational background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reference for the sports channel among the paid broadcasting channels. Finally, the preference for the entertainment/martial arts (+) and sports among the paid broadcasting channels had impacts on the preference for culture/information among the webtoon genres. The preference for sports (+), dramas (-), and movies (+) among the paid broadcasting channels had influences on the preference for action/horror/fantasy among the webtoon genres. The preference for dramas (+) and cartoons (+) among the paid broadcasting channels had effects on the preference for dramas among the webtoon genres.

      • KCI등재

        성격 5요인의 개인 성향이 색채와 실내 배색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정용기,강덕구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4

        이 연구는 색상 선호도와 성격 유형에 관한 현재까지의 연구를 논의하고 소비자 행동 관점에서 성격유형과 단색 및 배색(색상 조합)에 대한 색상 선호도의 관계를 평가함으로써 문헌에 새로운 가치를추가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 카페 내부 인테리어에 적용한 네 종류의 배색 모형이 설계되었으며, 색상 배색조합에 대한 개별 선호도를 결정하기 위해 정량적 색상 선호도 조사를 307명의 고객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또한, 참가자는 Big 5 개성(성격 5요인)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25개 문항의 성격 평가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Big 5 개성과 설계된 모델의 배색조합에 대한 색선호도 간의관계를 제시하고 있다. 통계분석을 통한 검증의 결과는 단색의 선호도에서 성별과 나이는 유채 및 무채 단색 모두에 대한 선호도의 차별이 있었다. 특히 Big 5 개성에 대한 단색의 선호도는 모든 개성에서 파랑과 초록의 선호도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외향성은 노랑을 반면에 개방성, 성실성은 파랑을선호하였다. 무채색에서는 신경성·외향성·친화성·성실성의 성격은 흰색을 선호하는 반면에 개방성 성격은 검정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ig 5 개성에 따른 배색 선호도는 A 배색은 친화성 성격이신경성 성격에 비해 선호도가 높았고, C 배색은 신경성 성격이 개방성 성격에 비하여 선호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개인의 특성이 단색 및 실내인테리어에 적용한 배색에 관한 선호도의 차별이 실증 검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색상 및 성격 연구에 가치를 더하며 건축가와 실내디자이너가 활용할 수 있는 자료의 제공과 매장 운영 활동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 분석 : K대학 교양영어 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혜인(Chong, Hyein),우수정(Woo, Sujung)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교양필수 영어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의 온라인 수업관련 선호도를 살펴보고 온라인 수업 선호도가 영어 수업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조절변수인 연령, 교수자, 영어수준, 영어 선호도에 따라 그 영향이 달라지는지 탐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교양영어 수업을 수강한 K 대학 학부생 870명이였으며 Google Forms 설문지를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 선호도와 실시간 수업 선호도가 영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t검정, 대응표본-t검정과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온라인 수업 선호도가 영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변수인 연령, 교수자, 영어 수준, 영어 선호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선호도의 경우 온라인 수업에 관한 선호도보다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가 더 낮았지만 실제 교양영어수업의 만족도의 경우 온라인 수업방식 만족도보다 실시간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수업 선호도에서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가 높은 학생이 영어 수업 만족도가 더 높았다. 영어 수업 만족도에는 어떤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가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선호도, 영어 선호도, 온라인 수업 선호도, 영어 수준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이 긍정적 실시간 수업의 경험을 통해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관한 긍정적 인식을 갖게 된다면 이는 실제 실시간 비실시간 병행 방식 온라인 수업의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learners’ perception of online learning for a general English course in Covid 19 situation, explore how online class preference affects degree of satisfaction of general English online class and examine whether the influence varies depending on the controlling variables such as age, instructor, English level, and English prefer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70 undergraduate students from K University who took the same compulsive general English cours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Google Forms questionnaire. This study processed an independent sample-t test, response sample-t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o discover the effect of bichronous online learning(blending of both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online learning) preference on English class satisfac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o observe the effect of online class preference.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preference to online learning was lower than that of online learning, but in the case of their satisfaction of general English online course, satisfaction with the synchronous online clas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nline class. In addition,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ynchronous online learning preference and general English class satisfac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hierarchy of factors influencing English class satisfaction was in the order of synchronous online learning preference, English preference, online class preference, and English proficiency level.

      • KCI등재

        주일학교 초등부 학생들의 찬양 선호도에 대한 조사연구

        주지은 한국음악치료학회 2007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9 No.1

        이 연구는 주일학교 초등부 학생들의 찬양 선호도를 조사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요인을 알아 본 것이었다. 설문조사를 위해 전국 교회의 주일학교 4, 5, 6학년 학생, 총 1,01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자는 9월 30일부터 10월 23일까지 총 3차례에 걸쳐 설문지를 우편발송 하였다. 10월 1일부터 10월 29일까지 회수된 설문의 자료를 통계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찬양 방법 선호도에 있어 성별과 학년 간에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찬앙 방법 선호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이 낮으면 낮을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찬양 장르 선호도에 있어 성별과 찬양사역 간에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선호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주일학교에서 반주자, 성가대, 찬양단 등의 찬양 사역을 하고 있지 않은 학생 보다 찬양 사역을 하고 있는 학생의 선호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찬양 장르 선호도에 있어 교회 위치와 교회의 악기 사용 간에 차이가 있었다. 교회 위치 선호도에 있어 수도권과 도시, 광역도시, 기타지역 간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주일학교에서 전자악기를 사용하고 있는 교회 학생 보다 피아노만 사용하고 있는 교회의 학생의 선호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aise preferences of Sunday school elementary students and to examine the background factors that influence these particular preferences. Total numbers of 1,018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fourth, fifth, and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from all over the country. The researcher mailed out surveys three times and collected data from October 1 to October 29.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following: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ender groups and grade levels regarding preferences in praising method. The female students preferred the more active praising method and lower the grades as well.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gender groups and ministry in praising genre preferences. The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preferences for hymn, children's hymn, CCM and children's CCM than the male students. It was also noted that those who served as accompanists, choir members, and praise team members preferred these types of genres more than those of who did not. Lastly, the church's location as well as the instrumental usage within the chur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tudents from churches using only the piano preferred praise more than those from churches using electrical instruments did when singing hymns, children's hymns, CCM, or children's CCM.

      • KCI등재

        면 데님소재의 색채 특성과 주관적 감각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김여원,멍위,최종명 한국감성과학회 2017 감성과학 Vol.20 No.4

        본 연구는 대학생 소비자의 선호 감성을 반영한 패션소재기획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되었다. 8종의 데님소재를 대상으로 색채 특성과 역학적 특성 등의 객관적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데님소재의 색채 선호도, 주관적 감각, 촉감 선호도를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데님소재의 색채 선호도와 촉감 선호도가 데님 슬랙스의 구매 선호도에 미치는영향을 파악하였다. 데님소재의 색채 선호도는 데님소재의 개별 시료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학생들은 데님소재의 색채특성 중 -b*값과 C값이 낮게 측정된 남색(PB)의 데님소재를 선호하였다. 데님소재의 역학적 특성 중에서마찰계수 평균편차(MMD), 마찰계수(MIU), 기하학적 거칠기(SMD) 등의 표면특성과 전단 히스테리시스(2HG5) 등의 전단특성은 주관적 감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한편, 데님소재의 촉감 선호도는 개별 시료에 따른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폴리우레탄이 혼방된 데님소재에 대한 촉감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면섬유 100%로 구성된상대적으로 두껍고 무거운 데님소재의 촉감 선호도는 낮았다. 또한 촉감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 감각은 평활감,유연감, 경량감 등의 순이었다. 데님 슬랙스에 대한 구매 선호도는 모두 평균 4점 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어 선호하였다. 데님소재의 색채 선호도와 촉감 선호도는 데님 슬랙스 구매 선호도에 영향을 미쳤는데, 색채 선호도가 더욱 영향을주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help the denim fabric planning which reflects the sensibility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Objective characteristics, like color proper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8 denim fabrics (5 cotton 100% fabrics and 3 cotton/polyurethane blended fabrics) were evaluated. And the color preference, subjective sensation and tactile preference of denim fabrics were investigated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The effect of color preference and tactile preference of denim fabrics on the purchase preference of denim slacks was also examined. Color preference of denim fabric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kind of denim fabrics. University students preferred purple blue denim fabrics that was measured low -b* value and low C* value among the color properties of denim fabrics. Amo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denim fabrics, surface property like MMD, MIU and SMD as well as shear property like 2HG5 were important elements affecting subjective sensation. While, tactile preferenc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abrics. The tactile preferences of cotton/polyurethane blended denim fabrics was highly preferred, and that of heavy 100% cotton denim fabric was lowly preferred. And the subjective sensation affecting tactile preferences were in order of smoothness, softness, lightness. It is concluded that the color preference and tactile preference influenced upon the purchase preference of denim slacks, and color preference had a bigger effect upon the purchase preference.

      • KCI등재

        도시 가로시설물의 조형 요소와 선호도 간의 상관성 분석

        강규범,조세환,Kang, Gui-Bum,Cho, Se-Hwan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4

        본 연구는 가로 시설물 디자인의 조형 요소와 가로경관 선호도 간의 상관성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일산 신도시의 가로 공간 내 입지하고 있는 휴식, 위생, 조명, 정보, 판매, 교통, 조경 관련 다양한 가로시설물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가로시설물 관련 문헌조사를 기반으로 이론을 고찰하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해 결과를 고찰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가로경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에서 '휴식시설'과 '정보시설', '조경시설' 등 3개 요소가 가로경관에 주요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은 '휴식', '조경', '정보' 시설 순으로 경관 선호도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휴식시설에는 각종 '의자 요소'가, 정보시설'에는 '사인보드'가, 조경시설에는 '조형물', '분수', '문주'등의 시설 요소가 경관 선호도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형태, 색채, 질감, 스케일 등 조형요소가 가로시설물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휴식시설인 의자는 '질감', '형태', '스케일', '색채'의 순으로 조형디자인 요소가 경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색채' 요소가 다른 3개 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관 선호도에 적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의자 등 편의시설에서는 질감, 형태, 스케일 등 기능적인 사항이 색채 등 시각적 것보다 선호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었다. 조경시설 중 모뉴먼트와 관련된 시설은 경관 선호도에 있어 '색채', '형태', '질감', '스케일'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의자 등 편의시설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색채, 형태등 시각적 요소가 오히려 경관 선호도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셋째, 특히, 사인보드 등 정보시설에 있어 경관 선호도와 디자인의 조형 요소와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부(否)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인보드가 경관 선호도에 매우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을 의미하고 있음인데, 디자인 조형요소와의 상관성은 '스케일', '색채', '질감'의 순으로 나타남으로써 '스케일' 즉 광고물의 '크기'와 '색채'가 경관 선호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가로 경관 요소로서 가로 시설물을 디자인하고자 할 경우, 시설물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한 조형 요소에 상대적으로 집중적 관심을 쏟아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로시설물을 분류함에 있어서 지금까지 교과서적으로 분류해 온 '기능' 중심의 '계' 차원의 분류체계는 경관성과 관련하여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경관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할 경우, '계'보다는 '시설 종류' 차원으로 분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analysis correlations between street furniture design elements and preference of street furniture. This research analyzed the various street furniture set on Ilsan new town street, which are rest, hygiene, light, information, sale, traffic, and landscape. This study has processed by analysing street furniture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consideration of theory. First, for analysed effect of street furniture element, has been appear as element 'relaxation facilities', 'information facilities', landscape facilities' mainly effect on street. Specially, 'rest', 'landscape', 'information' in order had a major influence on scenery. Each kind of 'chair elements' in rest facilities, 'sign board' in information facilities, 'sculpture', 'fountain' in 'landscape facilities' has analyzed as the main elements in the landscape affinity property affecting factor. Second, the results of analyzed landscape elements (shape, colour, texture, scale) affect to the affinity of street furniture. chair which are included in rest facilities affect "texture", "form", "scale", "color" in the order of preference of the molding design elements that influence landscape. Particularl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colour' element affecting the landscape preference than the other three elements. It means as the chair element which is rest facilities mainly affect on preferences, rather than texture, form, scale, colour. Monument in the landscape associated with a preference 'colour', 'shape', 'texture' 'scale' and appears to be in order of impact so we could get the consequence like chair and rest facilities show different aspects of the respectively. It means, visual element which are colour and shape significantly impact on landscape preferences. Third, information facilities such as signboard formative elements of landscape design preferences and correlation with negative showed that the correlation. That mean if the sign board is very negative influence on landscape preferences and the correlations of the design formative elements appear in order of 'scale', 'colour', 'texture'. It also means that the 'scale' namely the size of advertising material and colour are adversely affected in terms of landscape. As these results, when design street furniture as the street scenery, facilities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shape element and need to focus on relative shape element according to the kind of facilities difference. Finally, so far as to clarify the street furniture, mainly 'function' and 'system' classification shows undesirable in outdoor scape. Thus, performed studies in relationship with landscape, classify 'kind of facilities' is more desirable than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