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교다양화와 고교선택제에 따른 학교 체제 변화 연구 : 서울시 일반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박선환,안선회 한국교육정치학회 2013 敎育政治學硏究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nges in the general education high school system since the high school diversification policy and high school choice policy have been adopted in Seoul in 2010. Researchers analyze how 'Hankok high school' system has been changed since the high school diversification policy and high school choice policy were introduced in Seoul, using the Hoy & Miskel's instructional model and interviewing school member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 school diversification policy and high school choice polic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general education high school. Secondly, the general education high school system showed the considerable change since high school diversification policy and high school choice policy in Seoul were adopted. Thirdly, the competitiveness of general education high schools has been greatly worsened because of the high school diversification policy and high school choice policy in Seoul. Finally, the analysis of policy influence on the self-funded private high schools should be executed and lots of policy support should be given to the non-preferred high schools. 이 연구는 고교다양화와 서울시 고교선택제 시행에 따른 일반고등학교 체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Hoy와 Miskel의 학교체제모형을 수정하여 개발한 학교체제 변화모형을 활용하여 학교체제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정책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서울시 일반고였고,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면접을 통해 보완하였다. 연구 결과 고교다양화 정책과 서울시 고교선택제에 따른 일반고 체제의 투입과 산출은 크게 악화되었다. 또한 고교다양화 정책과 서울시 고교선택제의 도입에 따른 일반고 체제Ⅰ(2010~2011)과 체제Ⅱ(2012~2013)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일반고 체제변화의 가장 큰 요인은 고교다양화 정책과 고교선택제의 시행에 따른 학교체제 투입의 변화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정책 당국은 고교체제 변화를 가져오는 정책을 추진할 때는 학교현장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신중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 자사고 등 고교다양화 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과 정책 조정이 필요하다. 비선호 일반고에 대한 정부 차원의 획기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아울러 정부와 교육청은 다양한 정책적인 노력을 통해 학교체제 혁신을 위한 교사와 학부모의 노력을 유도, 지원, 촉진해야 한다.

      • KCI등재

        서울시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변화 양상 및 영향요인 탐색

        황수영,모영민 한국진로교육학회 2025 진로교육연구 Vol.3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성숙도의 변화 양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서울학생종단연구 2020」 고등학교 패널(HS&B) 총2,059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고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졸업 후 1년 차까지 총 4개 시점에걸친 진로성숙도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 선형, 이차함수, 분할함수 성장모형을 내용적, 통계적으로 검토한 결과, 고등학교 졸업 시기를 분할점으로 하는 분할함수 성장모형이 모형 적합도와 해석 용이성에 있어 가장 적합하였다. 분석 결과, 고등학교 재학 중에는 진로성숙도가 점진적으로 상승하였으나 졸업 후에는 소폭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개인요인 및 가정요인 중에서는 성별, 부학력, 부모와의 관계, 독서량, 성장신념이 진로성숙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학교요인에서는 학교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진로교육 전반에 대한 학생의 우호적인 평가, 정규 교육과정 외 진학진로활동 프로그램 활동 참여가 진로성숙도와 정적 상관이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계고 학생은 일반계고 학생에 비해 진로성숙도가 낮았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진로성숙도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질적 수준이 높은 진로교육과졸업 이후 연속적인 진로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career maturity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Using the Seoul Student Longitudinal Study 2020 panel data, we applied a piecewise growth model to analyze changes across four time points, divided at high school gradu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career maturity gradually increased during high school but slightly declined after graduation. Gender, parental education level, parent–child relationship, reading frequency, and growth mindset were found to positively affect career maturity. Positive perceptions of school career education, favorable evaluations of overall career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career-related program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Furthermore, students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exhibited lower levels of career maturity compared to those from general high school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high-quality career education and continuous career support after graduation.

      • KCI등재

        서울시교육청의 고교선택제 도입 효과: 바다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김정숙 한국교육사회학회 2011 교육사회학연구 Vol.21 No.4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lementation effects of school choice introduced by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 2010 and analyze the educational issues on it. First of all, researcher investigated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school choice with the results of earlier research and preliminary interview data of this study. In addition, a case study of Bada high school was carried out to examine new strategies of individual school for preparing the school choice polic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markable positive effect is 'increased efforts of teachers for students' learning', however the negative effect is 'growing gap between preferred and non-preferred schools'. The Bada high school exerts to diversify the specialized educational programs, but the outcomes are limited. Also it strives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provide educational customers-oriented services for the increases of their satisfaction. Moreover, the Bada high school strengthens school discipline policy and focuses on public relation activities for recruiting the top-ranked students in middle school. Researcher analyze the educational issue on school choice, that is whether school choice policy facilitates speci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school system through enlargement of school autonomy or not, and suggest some ideas about it. 이 연구는 2010학년도에 도입된 서울시교육청의 고교선택제가 현장 고등학교의 운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고교선택제의 쟁점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우선 선행연구 결과와 본 연구의 사전 면담 자료를 바탕으로 고교선택제의 긍정적, 부정적 효과들을 검토하였다. 또한 바다고(가칭)를 대상으로 한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일반 고등학교에서 고교선택제를 대비하여 어떤 활동에 주력하고 있고, 학교 운영에 어떤 변화를 꾀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교선택제 도입의 긍정적 효과에는 단위학교와 교사들의 노력 증가를, 부정적 효과에는 선호학교와 비선호학교간 격차 심화를 들 수 있다. 한편 바다고에서는 고교선택제 이후 학교 특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그 내용이 제한적이었으며, 학생들의 학력을 제고하고 교육 수요자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서비스 제공에 주력하고 있었다. 또한 바다고는 학교의 이미지 개선을 위한 홍보와 생활지도를 강화하고 있었는데 이는 상위권 학생들을 유치하기 위한 일환으로 실시되고 있었다. 연구자는 고교선택제의 핵심 쟁점은 단위학교의 자율성 확대를 통한 특성화와 다양화에 있다고 보고 그에 관한 쟁점을 분석하고 몇 가지 의견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고교 경쟁률과 접근성에 대한 그룹간 분산분석 - 서울시 고등학교의 교육환경을 중심으로-

        정재훈,박대권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3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과 학부모가 고등학교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학교의 경쟁률과 접근성으로 나타나는 교육환경의 차이에 초점을 두어 학교입지의 공간 특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서울시 교육감선발 후기고등학교 지원 결과인 학교 경쟁률과 학교 입지의 한 척도인 접근성에 관한 차이를 공간분석하고 유형화하여 분산분석을 통하여 그룹간 차이를 규명하였다. 연구분석결과, 접근성과 경쟁률에 따른 학교군에서 통학거리, 총학생수, 학급당학생수, 1인당도서수, 학교발전기금, 접근성, 지하철역개수, 도시공공시설(공장), 학원시설, 성범죄율에서 그룹간 차이가 나타났다. 고교 경쟁률의 공간적 특성분포는 공간적 음의 자기상관을 나타내며, 인접한 고교간 경쟁을 공간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국지적으로 공간을 분석하는 공간자기상관분석 결과를 통해 고교경쟁률에 관한 이산적인 공간 형태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환경의 차이에 초점을 두어 공간특성을 규명함으로써 학교 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고교학점제 운영 성과 및 과제 분석: 서울 지역 연구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황재운,임종헌,안영은 한국교원교육학회 202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chievements and challenges in the operation of high school credit research schools in Seoul. To that ends, a case study was conducte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organizing and operating a student-centered curriculum, ‘exploring the appropriate line of student choice', ‘respecting student opinions in subject selection', ‘block-time class organization for elective courses’, and ‘improving shared campus operation' were observed. And ‘difficulty in drawing up a timetable for individual students' were found as a limitation. Second, in terms of revitalizing career design education, ‘providing up-to-date career information', ‘using curriculum guidance team and career coordinator', ‘using various career inspection tools' were found to be achievements, and ‘absence of agreement on career guidance method for career undecided students' were found as limitations. Third, in order to strengthen to responsible education, ‘educational training for teachers and parents', ‘High School Credit System TF operation', ‘school organization reorganization for responsible education', and ‘operating special programs for underachieved students' were found. And ‘lack of support system for underachieved students' were found as limitations. Fourth, in terms of restructuring the credit system space, ‘creating a rest space for teachers and students' and ‘creating a characteristic space for each unit school' were achievements, and ‘aging buildings', ‘lack of classrooms', and ‘under-use of credit system space' were found as limitations.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e discussion was develop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hysical space in school to make it more credit system friendly setting as well as to strengthen student-centered curriculum, to revitalize career design education, and to realize responsible education in high school. Second, more discussions should be follow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rising from the gap between external expectations and actual operations in the Seoul.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의 성과와 과제를 밝히는 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청 지정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5개교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맞춤형 선택 교육과정 편성⋅운영 면에서 ‘학생 선택과목 적정선 탐색’, ‘과목 선택에서의 학생 의견 존중’, ‘선택과목 블록 운영으로 학생 이동 최소화’, ‘공유캠퍼스 운영 개선’은 성과로, ‘학생 개인별 시간표 작성 및 운용의 난점’, ‘교과목별 수강인원 편차’, ‘공강시간 지도의 난점’, ‘타 학교 학생 지도의 난점’, ‘교⋅강사 수급의 불안정성’은 한계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학업 설계 지도의 활성화 면에서 ‘진로진학 자료집 제공 및 상시 갱신’, ‘교육과정 이수 지도팀 및 진로 코디네이터의 적극적 활용’, ‘다양한 진로 검사도구의 활용’은 성과로, ‘진로 미결정 학생 대상 지도 방식의 합의 부재’는 한계로 드러났다. 셋째, 책임교육 실현을 위한 노력 면에서 ‘교원, 학부모 대상 연수 실시’, ‘학점제 TF 신설 및 운영’, ‘책임교육 실현 관련 학교조직 개편’, ‘미도달 예상 학생 대상 특별 프로그램 운영’은 성과로, ‘미이수 관리체계 미흡’, ‘책임교육 용어의 불명확성’은 한계로 밝혀졌다. 넷째, 학점제형 공간 재구조화 면에서 ‘교원, 학생 휴게 공간 조성’, ‘단위학교별 특색 공간 조성’은 성과로, ‘노후화된 학교 건물’, ‘교실수 부족’, ‘학점제형 공간의 불충분한 활용’은 한계로 드러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각 차원에서 발견된 문제의 개선이 요청된다는 것, 서울에 대한 외부 기대와 실제 운영 간 격차에서 나타나는 한계 극복이 필요하다는 것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특성화고 입학전형의 개선방향과 중학교 진로교육의 과제

        장지은,이화영,박주희,신창호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敎育問題硏究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chool score blind admission policy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find out the opportunity areas of those, and suggests tasks how to execute middle school’s career education program to match current the vocational high school’s admission process. In this paper, the research team utilized results of the commissioned research on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related to the vocational high school admission policy in 2017. For this study, First, career preparation experiences of students in 70 vocational high schools who enter schools through the current blind admission process was surveyed. Second, Interviewed teachers in 6 vocational high schools who participated the blind admission process about the situation and needs of current admission process.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interview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the research team participated and observed the pilot test of admission interview using the developed interview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ny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had motivations to match current vocational high school’s education purpose. However, Students didn’t have enough career preparation experience in middle school. Second, the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thought the basic academic ability is important to select students However, it is judged that there is Also, teachers had the perceptions that applicants’ talent and aptitude are difficult to evaluate. Therefore, current blind admission process had unbalanced and inconsistent issues about evaluation factors between middle school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In order to improve those issues, middle schools need to prepare career education programs which enables students accumulate his or her own career related experience. Also, the vocational high schools need to develop the student evaluation methods to include their career preparation efforts in evaluation factors. 본 연구는 서울시에 특성화고 성적 블라인드 선발이 도입된 가운데 실태를 점검하고 개선방향을 도출한 후 이에 따른 중학교 진로교육의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연구진이 2017년도 9월부터 수행한 서울시 교육청의 ‘서울시 미래인재전형 안착을 위한 연구’의 조사결과의 일부를 활용하였다. 조사에서는 첫째, 성적 블라인드 선발을 경험한 서울시 70개 특성화고의 고1재학생들의 진로준비경험을 조사하였다. 둘째 성적블라인드 선발에 면접관으로 참여한 교사를 대상으로 현황과 요구를 인터뷰 조사하였다. 셋째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면접문항개발을 하고 이를 적용한 면접평가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과 개선안을 발견하였다. 첫째, 현재 특성화고 재학생 중 많은 수가 소질과 적성을 중시하는 특성화고의 취지에 맞는 진학동기를 가지고 있으나 충분한 진로준비경험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둘째, 특성화고 교사들은 성적블라인드 선발에서 기초학력평가에 대한 요구가 높다. 그러나 소질·적성 등에 대하여는 평가방법이나 도구 등의 자원이 부족하다고 판단한다. 그러므로 현재의 성적블라인드선발에는 평가요소의 불균형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간에 평가요소에서의 일관성 부재의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중학교에서는 평가요소가 되는 소질 적성을 진로준비경험을 통하여 자율적으로 발견하도록 프로그램을 마련하여야 한다. 특성화고등학교에서는 기초학력과 더불어 소질 및 적성관련의 진로준비활동을 해온 경험을 성취요소로 평가할 수 있도록 기초학력평가와는 구별되는 평가방법을 마련하여야 한다.

      • 고교학점제 운영 효과 메커니즘 분석: 서울 고등학생의 학교교육 평가 진로성숙도룰 중심으로

        안영은(Youngeun An),권연하(Yeonha Kwon),박세진(Sejin Park) 한국교육정치학회 2023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3 No.-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운영 관련 요인이 서울 지역 고등학생의 학교교육 평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다층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서울학생종단연구 2020』고교 패널(HS&B)의 2차년도 자료(2022년 수집) 중 일반고 총 58개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총 2,146명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 평가에 미치는 고교학점제 운영 요인으로 교육과정 상담이 가장 큰 전체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진로성숙도에 대한 결과에서도 전체효과와 직접효과 모두 교육과정 상담이 가장 컸으며, 간접효과는 과목 다양성이 선택과목 만족도를 매개로 한 경로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교학점제 운영 방식 중 과목 다양성이나 선택 자율성은 대체로 직접효과보다는 선택과목 만족도를 매개할 때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교사가 인식한 교육과정 다양화에는 교장의 리더십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교육과정 다양화가 학생의 학교교육 평가나 진로성숙도까지 이어지지는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is examined the effect of factor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n school education evaluation and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For this purpose, 58 general high schools and 3,710 students' data from the second-year high school panel (HS&B) of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Students (SELSS) 2020 were used and multi-level SEM were conducte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 factor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evaluation of school education was curriculum counseling. Second, curriculum counseling was the greatest in both the total and direct effects on career maturity, and the indirect effect was the greatest influence of subject diversity on career maturity through subject satisfaction. Third, subject diversity and choice autonomy amo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peration process generall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when mediating subject satisfaction rather than direct effect. Fourth, the principal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iversification of the curriculum, but the effect of the diversification of the curriculum on the evaluation of school education or career maturity of students was not significant.

      • 서초동(서울시 서초구)의 거미상

        김주필(Joo Pil Kim),정혜리(Hye ri Jeong),김대희(Dae Hee Kim),박동우(Dong Woo Park),서재웅(Jae Woong Seo),이현우(Hyun woo Lee) 한국거미연구소 2017 한국거미 Vol.33 No.1

        2016년 3월 31일부터 7월 31일까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에 위치한 서울고등학교 교정 일대를 서울고등학교 환경생물부 부원들이 채집 조사한 결과 20과 43속 53종의 거미가 조사 연구되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From March 31st to July 31st in 2016, members of an environmental biology club at Seoul High School located in Seocho-gu, Seoul, Dae-Hee Kim, Dong-Woo Park, Jae-Woong Seo and Hyun-woo Lee, collected 20 families 43 genera 53 species of spiders and report the result of the study here.

      • KCI등재

        국악사 양성소와 국립국악고등학교의 초창기 여성 거문고 연주자 고찰

        유미영 한국음악사학회 2024 한국음악사학보 Vol.73 No.-

        이글은 한국의 현대 음악사에서 남성의 악기로 인식된 거문고의 역사에서 여성 거문고 연주자를 주목하기 위한 시도의 하나로, 여성 거문고 연주자의 출현과 여성 음악가 5인을 주목하였다. 1955년 해방 이후 국가에 의해 처음 운영된 국악 교육기관인 국악사양성소(國樂士養成所)는 남성 교육기관으로 시작되었고, 학제의 변화에 따라 국립국악고등학교 승격 이후 거문고 전공자의 성별 변화를 검토하였다. 이에 본 고에서 조명한 여성 거문고 연주자는 국악사 양성소와 국립국악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출신인 이재화·황해영·홍선숙·김진희·장은선이다. 이들의 음악 활동은 여성의 정체성을 추구하는 여성주의 사회운동은 아니었으나, 당시 남성 거문고 연주자의 부재라는 시대의 특수성과 맞물려 여성 거문고 연주자의 위상을 확고히 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This article is one of the attempts to focus on female kŏmun'go players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n contemporary music, where the kŏmun'go has traditionally been regarded as a male-dominated instrument. It examines the emergence of female kŏmun'go musicians and focuses on five prominent female performers. Established in 1955 as the first national institution for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Kugaksa Yangsŏngso(國樂士養成所) initially operated as a male-dominated institution. Following changes in the educational system and its elevation to a Gugak National high school for traditional music, this study examines the shifts in gender demographics among kŏmun'go majors. This study examines the musical contributions of these female kŏmun'go musicians, which, while not aligned with feminist social movements focused on gender identity, became instrumental in solidifying the status of female performers. This development was catalyzed by the unique historical context marked by the absence of male kŏmun'go players during that period.

      • KCI등재

        특성화고 졸업생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연도별 비교를 중심으로

        김지효 한국취업진로학회 2018 취업진로연구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vocational high graduates student in Seoul area of career decision and employment outcomes, and how the decision making factors of these groups had changed between 2013 and 2016.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he 1st~6th year data of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ELS and the Career College Attendance penal data. The summary of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ctor of individual characters and students’ family backgrounds don't effect career decision but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and parental supporting effect career decision in 2013, 2016. Second, the importance of the principal’s career education polic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in 2013 but the influence of importance of the principal’s career education policy has disappeared in 2016.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factor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the career decision according to year.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mployment outcome were employment information in 2013, field work experience and career camp in 2016. Fourth,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mployment outcome was gender, private tutoring in 2013, 2016. There was a difference in factor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2013 and 2016.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mployment outcome were school’s career experience management in 2013 and the participation in career experience in 2016. These results suggest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program in vocational high school.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지역 특성화고 졸업생의 취업결정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영향요인이 연도별(2013, 2016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1~6차년도 자료와 진로진학조사 1, 2차 자료를 사용하여 특성화고 졸업생의 취업결정 및 성과 영향요인을 시점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성화고 졸업생의 취업결정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가정배경 변수는 취업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교육 참여정도와 부모의 진학정보인식 수준은 두 시점 모두 취업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교원·수업특성 중 학교장의 진로교육 정책에 대한 필요성 인식수준이 취업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도별로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진로·진학프로그램이 취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도별로 차이를 보였는데 2013년의 경우 취업정보 제공 및 습득이 취업결정에 영향을 미쳤으나, 2016년의 경우 현장직업체험, 진로캠프와 같은 체험기반 진로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취업을 결정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성화고 졸업생의 취업성과 영향요인을 살펴본 결과 성별, 사교육 참여정도는 두 시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진로프로그램 관련 영향변수들은 연도별로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는 특성화고 학생들의 취업결정 및 성과 영향요인을 밝혀냄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학교교육 및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