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명윤리학자 정제두의 '생리(生理)' 개념의 새로운 해석 -베르그손의 생의 약동(élan vital) 과 정제두의 생리(生理) 개념의 비교-

        양선진 ( Yang Sun-jin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0 퇴계학논총 Vol.35 No.-

        유학은 공맹 사상을 주희가 단순한 삶의 철학 내지 윤리학을 형이상학적 원리로 승화시키려는 노력을 한 철학이다. 주희의 철학적 중심 개념인 리와기의 개념은 인간과 사물을 포함한 모든 존재들을 형이상학자와 형이하자라는 두 가지 논리적 개념으로 구분하고 사물, 생명체, 그리고 인간에게까지 적용할 수 있는 원리라고 보았다. 우주의 운행 법칙과 도덕의 운행 법칙을 하나의 원리로 파악하려는 시도이다. 인간의 마음 안에 존재하는 도덕 원리는 우주의 운행 원리와 동일하게 간주한 것이 바로 주희의 리 개념이 지닌 문제점이다. 주희의 격물설은 인간을 움직이는 원리가 인간 밖에 존재한다는 입장이다. 인간 안에서 작동하는 도덕적 원리가 인간이 아닌 사물의 원리처럼 취급되면서 인간을 규율하는 도덕 원리가 살아있는 인간의 윤리가 아니라 사물의 원리가 인간의 원리처럼 작용한다는 크나큰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정제두는 주희 철학의 우주의 원리와 도덕의 원리를 하나의 단순한 원리로 파악하는 리 개념을 거부하고 왕양명의 사상을 통해서 새로운 리의 개념을 이해하기 시작한다. 왕양명이 언급하는 이치 또는 원리란 인간 외부에 존재하면서 인간을 제어하고 통제하는 수단이 아니라 인간 내부에 존재하면서 인간이 도덕적 상황 속에서 발현되는 살아있는 도덕적 원리이며 인간이 도덕적 상황에 부딪힐 때 나타나는 현실적이며 구체적인 원리이지만 절대로 경직되고 고정된 원리가 아니다. 정제두는 인간의 적용되는 원리는 사물에 해당하는 원리와 구별하면서 생명의 生理라고 명명하였다. 이치와 원리에는 사물의 원리와 생명의 원리라는 전혀 다른 원리가 있다는 것이다. 생명의 원리 중에서 도덕적 원리에 해당하는 것을 특별히 眞理라고 언급하였고 생명의 원리에만 머무른다면 욕망에 얽매이는 禽獸의 상태와 같다는 입장이다. 정제두의 철학은 생명의 원리를 고려한 베르그손의 철학처럼 생명의 철학이라고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인간의 양지를 통해서 도덕성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덕철학이다. 정제두는 생철학과 도덕철학을 동시에 고려한 도덕생철학자 또는 생명윤리학자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제두는 최초의 한국의 도덕생철학자이다. 서양의 생철학이 도덕성을 포함한 생철학을 구성하지 못했다면, 한국의 생철학자인 정제두는 생철학에 도덕성을 포함한 도덕생철학자라는 점에서 정제두의 철학적 우수성을 평가할 수 있다. In the 17, 18 century, Jeongjedu(1649-1736) is considered among Joseon scholars as wang, Yang-ming philosopher. He criticized the problem of the thought of Li(理) of Jujahak and accepted the Yang-ming's philosophy. He had the occasion to study Jujahak and Yang-ming's thinking together. His open mind overcomes the philosophical system of Jujahak. the life is applied to the principle of the things, because if we apply the principle of the things to the life, the life is the dead things.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Hagok Jeong, Je-du’s living principle(生理). For Jeong, Je-du, human nature is at the same time vital being which has the movement and Yangjee moral heart(良知) which make people aware to the moral action. Under this premise, this research suggested the characteristic of his theory of human nature as follows. First, Jeong, Je-du described human nature as the vital be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things and considered human essence as our moral being.

      • KCI등재

        발터 벤야민의 ‘비판적 생철학’에 대한 고찰 : 1910-20년대 초기 저작을 중심으로

        하선규 한국미학예술학회 2020 美學·藝術學硏究 Vol.60 No.-

        Walter Benjamin is generally known as a thinker who was critical of the philosophy of life. But Benjamin's early writings from the 1910s to 20s reveal a number of interesting arguments about life's crisis and potential, and the uniqueness of the mental dimension of life. This article aims to reconstruct his philosophical considerations on life based on his early writings such as “Life of University Students” (1914), “On the Language” (1916), “Program of Philosophy” (1918), “The Task of the Translator” (1923) and “Cognition-critical Introduction” (1928). This paper has three main goals. First, Benjamin's philosophy, like that of other important modern philosophers, is rooted in a deep concern for life's crises and possibilities, freedom and expression of life. Second, Benjamin's observation and analysis of life is not merely subsidiary. On the contrary,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philosophy of language, philosophy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art, which are the three central fields of his philosophical thinking. Third, Benjamin's philosophical reflection on life is worth appreciating itself. It has remarkable implications for modern philosophical anthropology as well as for aesthetic reflections on art and the sensitive dimensions of human beings. In particular, the mental essence of language, the dialectic of communicability and incommunicability, and the argument for the purposiveness of life need to be re-appropriated in connection with the philosophy of life. 발터 벤야민은 통상 생철학에 대해 비판적이었던 사상가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벤야민의 1910년대-20년대의 초기 저작들을 보면, 생의 위기와 가능성, 그리고 정신적 삶의 독자성에 대한 흥미로운 논점들이 다수 등장한다. 본고는 「대학생의 삶」, 「철학 프로그램」, 「번역가의 과제」, 「인식비판 서론」 등의 초기 저술을 중심으로 그의 생철학적 사유를 재구성하고자 한다. 본고의 지향점은 세 가지다. 첫째, 다른 중요한 근현대 철학자들과 마찬가지로 벤야민의 철학도 삶의 위기와 가능성, 삶의 자유와 표현에 대한 깊은 관심에 뿌리를 두고 있다. 둘째로, 삶에 대한 벤야민의 관찰과 분석은 단지 부차적인 단상이 아니다. 반대로 그것은 그의 철학적 사유의 중심이라 할 ‘언어철학, ‘역사철학’ 및 ‘예술철학’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셋째로, 벤야민의 생철학적 성찰은 그 자체로 충분히 음미해 볼 가치가 있다. 그것은 현대의 철학적 인간학은 물론, 예술과 감성에 관한 미학적 성찰과 관련해서도 시사해 주는 바가 적지 않다. 특히 언어의 정신적 본질, 전달 가능성과 전달 불가능성의 변증법, 삶의 합목적성에 대한 논구는 생철학과 연관하여 다시 한 번 전유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짐멜의 생철학적 예술론

        배태주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2 동서인문 Vol.- No.20

        본 논문은 짐멜의 예술론을 이율배반성에 기초한 이중구조를 중심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짐멜의 예술론은 생철학을 위한 예비라 할 만큼 생철학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짐멜은 예술의 내적 구조에 기초하여 예술의 원리를 파악하는 가운데 예술 형식의 전체성, 추상성, 이율배반성을 삶의 형식과 순환적으로 논의한다. 그리고 이율배반적 구조에 내재한 갈등을 통일의 전제로 파악함으로써 예술의 역동성과 창조성을 설명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짐멜의 생철학적 예술론을 창조적 생성과 과정이라는 열린 예술 형식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 KCI등재

        쇼펜하우어의 음악 형이상학

        윤동주(Yoon, Dong Ju)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8 철학탐구 Vol.49 No.-

        본 논문은 쇼펜하우어의 생철학적인 지평에서 ‘존재와 음악’을 화두 삼아 음악과 인간 현존재 간의 내밀한 관계를 발굴하는 것을 기본 목표로 한다. 본고에서 제시한 새로운 이해에 따르면, 존재는 시간 형식을 통해 자신을 음악으로서 개시하고, 이에 인간은 호모 무지쿠스(Homo musikus)로서 음악을 통해 존재이해를 수행하는 ‘음악적 현-존재’(musikalisches Da-sein)이다.—음악은 인간 현존재가 존재이해를 수행하는 ‘탁월한’ 실존양식이다. 요컨대 음악은 단순히 감각적 유희나 관조적 예술로 그치는 게 아니라 존재 개시 및 존재이해가 일어나는 ‘존재론적 진리’ 그 자체이다. 논자는 이러한 새로운 이해에서 쇼펜하우어의 음악 형이상학에 관한 기존의 주장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지금까지 낭만주의, 감정미학, 그리고 한슬릭의 절대음악 이념과 관련하여 쇼펜하우어의 음악 형이상학에 관한 논의들이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중요한 쟁점들이 노정되었다. 기존의 논의에서 쇼펜하우어를 절대음악론자로 규정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규정은 적절치 않다. 다른 한편으로 쇼펜하우어는 음악을 “철학의 도구”로 삼았다는 달하우스의 주장이 있다. 이는 음악의 자율성과 직결된 문제인데, 논자는 한슬릭의 절대음악 이념을 비판 대상으로 삼아 이 문제를 논구할 것이다. 본고는 쇼펜하우어 철학의 심층으로 파고들어 기존의 주장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그의 음악 형이상학이 함축하고 있는, 인간 현존재에 대한 음악의 실존론적 의의를 부각할 것이다. Taking ‘Being and music’(Sein und Musik) as the main talking point, this paper aims to examine Schopenhauer’s doctrine of music in the horizon of his life-philosophy, excavating the intimate relation between music and human-Dasein. A new understanding presented in this treatise is that Being reveals itself as music in the form time, so that humans as Homo musikus are ‘musical Da-sein’(musikalisches Da-sein) performing the understanding of Being(Seinsverständnis) through music. —music is a ‘supreme’ mode of existence in which human-Dasein performs it. To sum up, music is not a mere sensual amusement or contemplative art, but ‘ontological truth’ itself wherein the revealing and understanding of Being takes place. From this new perspective, I will investigate the preceding arguments critically. There have been some debates on Schopenhauer’s metaphysic of music—in terms of Romanticism, the aesthetics of feeling, or Hanslick’s idea of absolute music, in which process main controversial points were exposed. In those preceding debates we can often see Schopenhauer described as a theorist of absolute music, but this is not a very proper determination. Meanwhile, it was asserted by Dahlhaus that Schopenhauer took music as the “organ of philosophy”. This is directly related to the autonomy of music, which I will debate, focusing my criticism on Hanslick’s idea of absolute music. By penetrating into the depth of Schopenhauer’s philosophy, this research will reconsider the precedent assertions critically, and bring to light the existential significance of music for human-Dasein which is implied in his metaphysic of music.

      • KCI등재

        고등학교 미술교과서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와 교육적 가치

        이화식 ( Hwa Sik Lee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6 예술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미술교과서에 나타난 죽음이라는 주제를 교육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죽음을 종교적인 죽음과 세속적인 죽음으로 구분하였다. 종교적인 죽음은 서양 기독교의 관점, 동양 불교의 관점으로 각각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세속적인 죽음은 고대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관점, 근세쇼펜하우어와 니체의 관점, 현대 하이데거와 야스퍼스의 관점으로 각각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종교적 관점에서 보면 기독교에서 죽음은 하나의 구원으로 생각했으며, 불교에서의 죽음은 윤회의 과정에서 죽음을 이해하였다. 세속적 관점인 관념론에서는 죽음을 영혼이 해방될 수 있는 긍정적인 사태가 될 수 있고 죽음은 아직 경험하지 않았기 때문에 판단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한다. 그리고 생철학에서는 고통과 없어짐으로 보는 지극히 현실적인 관점이다. 그래서 죽음은 고통이며 피해야 하는 상황이라 한다. 마지막으로 실존철학에서 죽음은 인간의 삶에 긍정적 변혁의 힘이 될 수 있으며, 삶을 구성하는 긍정적인중요한 요소로 이해한다. 이러한 관점들을 기본으로 하여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인 『미술문화』, 『미술창작』에서 반영된 죽음을 앞의 관점(불교, 기독교, 관념론, 생철학, 실존주)에서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재 우리 중등 미술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죽음교육을 분석하여 고등학교 미술교과에서 이루어져야 할 죽음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미술을 중심으로 죽음을 주제로 융합하는 접근은 다음 두 가지 장점이 있다. 첫째, 미술은 죽음이 갖는 정체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미술은 표상을 표현한 장르이기 때문이다. This study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topic of death in the art textbooks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s. To that end, the study first categorized the concept of death into religious and secular death. The study contemplated the concept of religious death after dividing it into the perspectives of Western Christianity and the perspectives of Eastern Buddhism. It also contemplated the concept of secular death after categorizing it into the ideological perspectives of Socrates and Plato in the ancient times, the perspectives of life philosophy of Schopenhauer and Nietzche in the modern times and the perspectives of existentialism of Heidegger and Jaspers in the contemporary times. From the religious perspectives, death in Christianity was regarded as a kind of salvation while death in Buddhism was understood as a process of the wheel of life. In idealism, death was regarded as something that can become a positive state to liberate the soul and cannot be judged as it has not been experienced yet, from the secular perspectives. Life philosophy had truly realistic perspectives that death is pain and disappearance. Therefore, it argued that death is pain and something we need to avoid. In existential philosophy, death was regarded as a positive force to change our life and the key positive element to shape our life. Based on these perspectives(Buddhism, Christianity, idealism, life philosophy and existentialism), this study analyzed and interpreted death reflected in the high school art textbooks 『Arts and Culture』 and 『Arts Creation』. By doing so, the study laid the foundation to propose the content on death to be included in the high school art curriculum after analyzing the current death education of the secondary art education of South Korea.

      • KCI등재

        게오르그 짐멜의 쇼펜하우어와 니체 해석 -짐멜의 연속강의록(Ein Vortragszyklus) 『쇼펜하우어와 니체』를 중심으로-

        최성환(Choi, Sung-Hwan)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0 철학탐구 Vol.59 No.-

        이 글은 게오르그 짐멜의 쇼펜하우어와 니체 해석을 그의 강의록 쇼펜하우어와 니체를 통해 탐구하는 목표를 가진다. 이 과정에서 짐멜의 철학적 태도와 해석의 원칙들이 중심적으로 규명되기를 기대한다. 이것은 짐멜이 자신의 저술의 목표가 단순히 ‘사상가의 철학에 대한 서술’이 아니라 ‘사상가에 대한 철학’을 추구한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결국 쇼펜하우어와 니체에 대한 짐멜의 논의는 자신의 철학함을 구현하려는 ‘우회로’라 할 수 있다. 그런 관점에서 이 글에서는 익히 알려진 쇼펜하우어와 니체 철학 자체보다는 두 사상가의 철학이 어떻게 짐멜 철학 속에 녹아들게 되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피게 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이 글에서는 항상 제기되는 철학과 시대의 관계가 주요한 관점으로 결부된다. 이는 철학이 시대의 정신사적 경향에 대한 반응과 반성의 노력을 당연히 기울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오늘날 철학함의 의미와 지향점을 성찰하는 노력과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방향에서 생철학을 대표하는 세 철학자의 사유세계가 충분히 조명되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Georg Simmel’s interpretations of Schopenhauer and Nietzsche through his lecture notes, Schopenhauer and Nietzsche. In this process, G. Simmel’s philosophical attitude and the principles of interpretation are expected to be mainly investigated. This is due to Simmel’s claim that the goal of his writing is to pursue the philosophy of the thinker, not just a description of the thinker’s philosophy. After all, Simmel’s discussion of Schopenhauer and Nietzsche is a detour to realize his philosophy.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article will focus on how the two thinkers’ philosophies have been incorporated into the Simmel philosophy, rather than the well-known Schopenhauer and Nietzsche philosophy itself. In addition, in this article,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y and time, which is always raised, will be related as the main viewpoint. This is because philosophy must naturally make efforts to respond to and reflect on the tendencies of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time. This is not irrelevant to the effort to reflect on the meaning and goal of philosophy today. In this direction, the world of thought of the three philosophers who represent the philosophy of life will be fully illuminated.

      • KCI등재

        사회진화론에 대한 비판과 ‘생명’ 인식의 변화

        안지영(Ahn, Ji Young) 한국현대문학회 201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8

        사회진화론은 세계정세의 현실을 알리고 국가 근대화의 필요성을 계몽시키는 이론으로 한국에 소개되었고, 특히 20세기 초에는 국가유기체설과 결합되어 계몽적 지식인들로부터 선풍적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제1차 세계대전을 전후로 약육강식의 사회가 주는 개체의 공포감을 무한한 생명력으로 극복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사회진화론의 영향력은 급속히 감소해 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10년대 사회진화론을 둘러싼 담론을 살펴보면, 진화론적 세계관이 완전히 극복되지 못한 채 지속적인 영향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제1차 세계대전의 영향으로 소수민족에 대한 배타적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조선 민족의 운명을 걱정하는 견해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무자비한 사회진화론의 논리를 비판하는 우화와 생존을 위한 투쟁을 정당화하는 우화가 『학지광』에 게재되었다. 이러한 우화를 통해 사회진화론과 생명관리정치의 관계를 유추할 수 있다. 사회진화론은 약육강식의 논리로 생명의 가치를 구분하는 포함과 배제의 논리를 작동시키는데, 이에 따라 생명을 조절하고 통제하며 통치할 수 있게 하는 생명관리정치(bio-politique)를 출현케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근대적 주체들은 언제 도태되어 살 가치가 없는 생명으로 배제될지 모른다는 공포에 사로잡히게 된다. 이에 따라 이 시기에는 사회진화론을 비판적으로 전유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들은 표면적으로는 낡은 도덕으로서의 유교를 극복한다는 명분을 내세우며 사회진화론의 개념들을 사용했으나, 그 수단으로 물질이 아닌 정신적 측면을 내세운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에는 니체, 베르그송 등의 생철학이 영향을 끼쳤다. 그 중에서도 최승구는 그동안 억압되었던 본능의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통해 개체와 공동체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새로운’ 도덕을 주장했다.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도덕을 선취하고 있는 것으로 자연이 호명되기도 하였다. 한편, 생명에 대한 물질과 정신의 이분법적 시선에서 벗어나기 위한 모색도 이뤄졌다. 생명에 물질적 측면과 정신적 측면이 모두 존재하며, 정신적 측면에서의 생명이야말로 불후의 생명이라고 주장이 나타났다. 이처럼 내적 생명이 강조되면서 예술, 철학, 종교의 가치가 발견되었다. 이들은 과학과 대비되는 것으로 내적 생명의 자각을 중시함으로써 물질과 정신의 이분법을 극복하고자 했다. Social Darwinism was introduced in 1890"s as a theory that could explain reality of Korea and enlighten Korean people about necessity of modernization. Although influence of Social Darwinism rapidly decreased around First World War, it still had continuous influence after 1910"s. This was because there were still many opinions that worry about Cho-sun"s destiny. For First World War, there were formed exclusive mood for minority race around the world. Accordingly two allegories published in 『학지광(Hak-Ji-Gwang)』. One criticized brutal logic of Social Darwinism and the other justified struggle for life. These two allegories make us analogize the relationship of Social Darwinism and ‘bio-politique’. Social Darwinism made the logic of inclusion and exclusion work, and this could bring ‘bio-politique’ into being, which control and rule living things. So subject could feel fear, because whenever they could rule out from human society. It was not natural selection, but social selection. For overcoming their fear, one tendency appeared at this time. They apparently justified their conduct in overcoming confucianism, however they actually insisted mental aspect not material as the means. This conversion of awareness about life was influenced by Lebensphilosophie. Especially, Choi-Sungu(최승구) discovered value of haman instinct and claimed that individual and community is related closely.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people who did seek for way to get out of dichotomy of material and mental about life. They insisted that only mental life is immortal. As emphasizing on mental life, the value of art, philosophy, religion was discovered also.

      • KCI등재

        논문 : 부정과 관조의 합주로서의 철학 -아도르노 철학의 현재성-

        김기성 ( Ki Sung Kim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4 시대와 철학 Vol.25 No.4

        이 논문은 아도르노의 철학이 사적인 삶의 경험을 개념의 “추상화라는 황량한 불모지를 통과시켜” 이론화하는 것, 즉 개념과 경험, 부정과 관조의 합주로서의 구체적인 철학행위를 보여준다는 것을 서술한다. 아도르노의 철학은 한편으로 부정적인 것을 부정하기 위해 독일 정신의 변증법의 원동력이자 방법론적 원리라고 간주될 수 있는 “규정적 부정”을 『부정변증법(Negative Dialektik)』의 심장으로 이식한다. 다른 한편으로 그것은 주관적 사유체계로 완전히 환원되지 않은 객체의 특수성으로서의 긍정적인 것을 경험하면서 그것의 고유한 내적 형식을 철학적으로 해석하려는 이론적 활동으로서의 실천, 즉 관조가 무엇인가를 『심미적 이론(Asthetische Theorie)』에서 구체화한다. 달리 말해서 아도르노의 철학은 고통의 경험이라는 도화선에 불을 붙여 부정적인 것의 총체성이라는 “보편적 블록”을 폭파시킴으로써 그리고 전율로서의 심미적 경험에 의한 각성을 통해 현혹연관으로서의 사회라는 “베일”을 벗겨냄으로써 생명력 넘치는 현존재의 삶을 되찾으려고 시도한다. 이처럼 사회비판과 맞물려 있는 인식비판을 통해 “훼손된 삶의 한가운데에서 훼손되지 않은 삶”의 구제를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아도르노의 철학은 비판적 생철학이라고 명명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의 철학적 작품들은 구체적 철학행위를 배우고, 자신의 사적 삶의 경험으로부터 출발하는 사회비판이론을 만들어 가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교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at Ardorno’s philosophy is to theorize experiences of private life “passing through a barren land of the abstraction” of concepts, namely, it shows the concrete philosophizing as an ensemble of negation and contemplation, concepts and experiences. On the one hand, Adorno’s philosophy transplants “determinate negation” which can be regarded as motive force and methodological principle of the dialectics of German mind into the heart of Negative Dialectics in oder to negate the negatives. On the other hand, experiencing the positives as the uniqueness of an object which cannot be entirely reduced to its subjective speculation system, it embodies what is practice, contemplation as a theoretical works trying to interpret its unique inner form philosophically in Aesthetic Theory. In other words, Adorno’s philosophy tries to recover vitality manifested in human life as being-there(Dasein) by lighting a fuse as the experience of suffering and exploding “universal block” of negative totality, and lifting the “vail” of deceptive society getting awaken by means of aesthetical experience as a shudder. Adorno’s philosophy can be named critical philosophy of life in the sense that it aims to relieve “undamaged life in the mist of damaged life” through critique of knowledge connected with critique of society. In conclusion, Adorno’s philosophical works can be training materials for the people who want to learn concrete philosophizing and construct a critical theory of society that begins with the unique and private experiences in their life.

      • KCI등재

        중국 근대 心力說과 梁啓超의 미학 사상

        한성구 한국유교학회 2016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6

        The “Mind Power” theory advocated by modern Chinese thinkers referred to the dynamic role of consciousness. In their works, power of the mind basically meant the “Power of the passionate mind” (the enthusiasm, the inner drive of activity), the power of love, and creativity. They believed that the power of the mind was the greatest power in the universe. Therefore, They counted on the enhancement of the power of the mind to save and strengthen the nation. The theory of the power of the mind did play an active part in stimulating subjective initiative and reinforcing the subjective consciousmess. Nevertheless, it was based on the subjective idealism of the inner world, maintaining that the mind and the power of the mind were free of the restrictions of the objective law and objective conditions. These beliefs in the determinism of consciousness and omnipotence of the spirit in turn led to apparent negative effects. 梁啓超는 근대 시기 變法維新을 주도하고 新民說을 주장하는 등 정치 및 학술 영역에서 폭넓은 활동을 한 대표적 계몽 사상가이다. 그는 3년여에 걸친 유럽 시찰을 통해 1차 세계대전의 참상을 경험한 후, 유럽의 生哲學과 중국 전통 儒家哲學을 융합해 개인의 자유의지를 강조하는 사상을 전개한다. 특히 그는 心力 개념을 미학적 입장에서 새롭게 해석함으로써 극도로 혼란한 시대에 개개인의 강력한 정신적 역량이 발휘되어 新中國 건설과 新民의 양성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했다. 이 논문에서는 心力說의 기원과 발단, 변천 과정을 살펴보고 梁啓超 미학사상의 주요 개념인 心力의 의미와 시대적 의의를 분석해 봄으로써 그가 미학을 통해 啓蒙과 救亡의 시대에 중국인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자 하였는지를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