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반편견 인식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반편견 교육 실행의 매개효과

        차수현(Soohyun Cha),송주현(Juhyun Song) 한국생애학회 2024 생애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어머니의 반편견 인식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성향,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반편견 교육 실행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에 거주하면서 만 4세, 만 5세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320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어머니의 반편견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Hall과 Rhomberg(1995)가 제시한 10가지 편견 영역을 기초로 하여 이순행(2003)이 개발하고, 조수희(2008), 김희영(2010)이 보완한 사회적 편견에 대한 부모의 인식 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반편견 교육 실행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박영자(2001)가 개발한 어머니의 반편견 양육 실제 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비판적 사고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박선영(2017)이 개발한 유아 비판적 사고성향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Armstrong 외(2003)의 맥아더 건강 및 행동 질문지(MacArthur Health and Behavior Questionnaire, HBQ) 부모용을 김재윤(2022)이 번안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측정 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았으며, 일반적 배경 요인에 따른 측정 변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인들의 측정 도구 신뢰도 확인을 위해 척도에 대한 Cronbach’s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변인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이어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모형을 살펴보기 위해 Hayes(2017)가 제안한 PROCESS macro version 4.2(SPSS Inc., Chicago, IL, USA)의 Model 4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끝으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고자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대상 어머니들의 반편견 인식은 중간값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인구학적 특성에 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어머니의 반편견 교육 실행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으며, 어머니의 최종학력과 가계 월 소득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중간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어머니의 최종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중간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반편견 인식과 어머니의 반편견 교육 실행, 유아의 비판적 사고성향,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어머니의 반편견 인식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반편견 교육 실행은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반편견 인식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반편견 교육 실행은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반편견 인식과 가정 내 반편견 교육 실행이 유아의 인지적, 사회적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유아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친사회적 행동의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어머니는 올바른 반편견 인식을 바탕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자녀가 다문화, 성, 장애, 가족구성, 능력 등에 대한 다양성을 존중하고, 편견과 차별을 인식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반편견 교육을 적극적으로 실행해야 한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친사회적 행동 발달에 대한 초기 양육환경의 중요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어머니의 반편견 인식증진과 가정 내 반편견 교육의 지원 방안 마련해야 하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anti-bias education practices in the links between mothers’ anti-bias awareness and young children’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social behavior. The study involved 320 mothers residing in South Korea’s metropolitan areas, all of whom had four- or five-year-old childre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6.0 and the Process macro program version 4.2, employing bootstrapping techniques to rigorously assess the hypothesized model. This study yielded several significant findings. First, mothers’ level of anti-bias education significantly differed across mothers’ education and family income levels, whereas children’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differed as a function of their mothers’ education levels. Second, mother’s anti-bias awareness and anti-bias education, and young children’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social behavior,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Third, mothers’ anti-bias education practices significantly mediated the effect of their anti-bias awareness on children’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social behavior. This study serves as a compelling confirmation of the impact that mothers’ anti-bias awareness can have on young children’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social development when mediated by their anti-bias education practices. It underscores the vital role that in-home anti-bias education plays in shaping children’s cognitive and social growth. These findings’ implications extend to enhancing anti-bias education practices within home environments, in collaboration with early educational settings, to foster holistic child development. These insights offer valuable guidance for parents, educators, and policymakers, highlighting the need to prioritize anti-bias education as a cornerstone of childhood development.

      • KCI등재

        사회적 신분에 의한 차별사유에 관한 소고 : 헌법 제11조 및 국가인권위원회법 제2조의 사회적 신분의 의미를 중심으로

        이상경 韓國憲法學會 2014 憲法學硏究 Vol.20 No.4

        평등이념을 구현하기 위하여 우리 헌법 제11조는 법 앞의 평등원칙과 평등권을 규정하였고, 공적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사적 영역에 있어서도 차별행위를 금지하고 평등이념을 실현하기 위하여 국가인권위원회법에도 관련 규정을 두었다. 특히 헌법에서는 평등이념의 실현과 관련하여, 성별, 종교, 사회적 신분 등 종래 역사적으로 차별과 편견의 대상이었던 집단에 대해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규정을 두었고, 구체적인 차별금지사유에 관하여는 국가인권위원회에 자세한 목록을 두었다. 국가인권위원회법 제2조 제3호에서 정한 19가지의 차별금지사유 가운데 가장 포괄적으로 해석될 가능성이 있는 '사회적 신분'의 포섭 범위 혹은 개념 범주를 획정하는 것은 실무적으로도 차별을 이유로 한 진정사건의 접수와 처리를 어떠한 방식으로 해야 할 것인지 또한 국가인권위원회가 차별행위라는 판정을 할 때에는 차별의 근거가 무엇인지 제시해야 한다는 점에서도 선결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사전에 예견치 못한 사건에 대한 진정이 국가인권위원회에 접수될 경우 실무적으로 이를 기타 사유에 의한 차별사건으로 분류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회적 신분과 기타 사유를 구별하는 하나의 기준이라도 만들어 보려는 시도를 위해 먼저 사회적 신분의 정의에 관한 일반론으로서 학설·판례를 검토한 후, 새로운 관점에서 사회적 신분에 관한 개념을 수립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사회적 신분의 범주론적인 접근에 대한 분석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또한 국가인권위원회의 진정사건들 가운데 인용사건을 중심으로 분류를 시도함으로써, 실제 사건들을 통해 사회적 신분을 보다 구체화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신분의 의미를 종래 통설·판례와는 달리 사회적 편견설이라는 입장에서 경우에 따라서는 통설·판례보다는 좁게 혹은 넓게 사회적 신분을 정의하고 포섭하여 개별적·구체적으로 사회적 편견과 예단에 의해 차별받고 고통 받는 소외집단에 대한 기본권보호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특히 사회적 신분을 헌법 제11조 제1항 전문의 예시사유로 보지 않고, 특별히 후문을 규정하여 사회적 신분을 헌법이 보호하고 차별을 금지하는 사유로 판단함으로써, 사회적 신분에 의한 차별이 발생할 경우 '엄격한 위헌심사 기준'인 과잉금지원칙을 적용함으로써 기본권 최대보장의 정신을 실현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이러한 사회적 편견설이 새로운 형태의 사회적 편견에 근거한 사회적 신분 차별의 경우 유효한 문제해결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fulfill the equality ideology, the Korean Constitution Article 11 stipulates the equality before the law and the right of being treated equal. In addition to the public sector, the National Human Right Committee Act Article 2 provides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with a variety of reasons in a private sector. Especially, the Korean Constitution gives a special meaning to the minority and prejudiced classes, such as sex, religion or social status, which as we believe have been discriminated in history for such a long time. The National Human Right Committee Act Article 2, the second sub-clause articulates concrete reasons and areas not to be discriminated, which covers 19 reasons including the social status. Since the social status here can be interpreted so broadly covering all kinds of social discriminations, it is so necessary to redefine the exact meaning of the social status and the scope of the inclusion of it. However, still it is very difficult exactly to redefine the meaning of the social status. Hence, this article tries to create a new standard to define the meaning of the social status, which is called "the social prejudice theory", on which the author puts its name. The social prejudice theory redefines the social status as being a group which has suffered a lot of the social prejudice and judgmental decision with respect to its status and position in a society, which can hardly be endured by normal persons in the society. This article tries to use this analytic method to figure out the actual petition cases to the National Human Right Committee and to draw the meaningful results to discern the social status from the other reasons, especially from the reason of 'etc.' In this regard, the social prejudice theory redefines the social status narrower or sometimes broader than the existing theories do, which gives more protection to the fundamental right holders, for once a case admitted under the category of the social status, then the strict scrutiny shall be used to scrutinize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discrimination with respect to the social status. Therefore, the article insists that the social prejudice theory will contribute to the maximum protection of the constitutional right ideology in the future as an effective device, for the theory will adjust itself to be applied to newly developed social prejudices to be solved.

      • KCI등재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적 태도에 관한 연구

        박수미(Soomi Park),정기선(Kiseon Chu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6 여성연구 Vol.70 No.-

        이 연구는 차별의식에 대한 전국규모의 조사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사람들이 사회적 소수자에 대해서 갖고 있는 고정관념이나 편견적 태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규명하고, 사람들이 갖고 있는 일반 가치와 편견적 태도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사회적 소수자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의 정도를 측정해 본 결과, 비정규직과 학벌에 대한 편견이 가장 낮았다. 그 밖의 동성애자나 자발적 무자녀 가정, 편부/편모 가정의 자녀 등 사회적 소수자들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은 매우 강한 편이었다. 나이가 많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사회적 소수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의 정도는 더욱 강해졌다. 그러나 조직생활과 관련한 여성의 능력에 대한 편견과 기타 사회적 소수자들에 대한 편견의 정도는 표준편차가 상당히 큰 편으로, 우리 사회에 이들에 대한 다양한 입장이 공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람들이 가지는 일반 가치와 소수 집단에 대한 편견적 태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평등 및 사회정의를 중시하는 보편주의 가치가 소수 집단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태도와 관련되어 있는 반면, 권력 가치는 소수 집단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 관련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우리 사회의 편견적 태도를 줄이고 소수 집단에 대한 사회적 관용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갖는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level of prejudice and stereotyping of minority group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eneral values that people have and their attitudes toward them by analyzing a nationwide survey on people’s consciousness of discrimination. As a result of a measurement of the level of prejudice and stereotyping of a group, irregular workers and people with lower academic careers were the least victimized by prejudice. Discrimination towards those in minority groups such as lesbians/gays, voluntary childless families, single parent families, and so forth, were reported to be very serious matters. The older the subjects were and the lower their education backgrounds, the more severe the prejudice was towards such minority group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eneral values that people have and their attitudes toward minority groups has been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universal values which emphasize equality and social justice tend to make people more supportive of minority groups, whereas values derived from power are linked to the negative attitudes towards minority groups.

      • KCI등재후보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적 태도에 관한 연구

        박수미,정기선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6 여성연구 Vol.71 No.-

        이 연구는 차별의식에 대한 전국규모의 조사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사람들이 사회적 소수자에 대해서 갖고 있는 고정관념이나 편견적 태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규명하고, 사람들이 갖고 있는 일반 가치와 편견적 태도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사회적 소수자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의 정도를 측정해 본 결과, 비정규직과 학벌에 대한 편견이 가장 낮았다. 그 밖의 동성애자나 자발적 무자녀 가정, 편부/편모 가정의 자녀 등 사회적 소수자들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은 매우 강한 편이었다. 나이가 많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사회적 소수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의 정도는 더욱 강해졌다. 그러나 조직생활과 관련한 여성의 능력에 대한 편견과 기타 사회적 소수자들에 대한 편견의 정도는 표준편차가 상당히 큰 편으로, 우리 사회에 이들에 대한 다양한 입장이 공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사람들이 가지는 일반 가치와 소수 집단에 대한 편견적 태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평등 및 사회정의를 중시하는 보편주의 가치가 소수 집단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태도와 관련되어 있는 반면, 권력 가치는 소수 집단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 관련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우리 사회의 편견적 태도를 줄이고 소수 집단에 대한 사회적 관용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갖는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어머니와 유아의 사회적 편견에 대한 연구

        김희영,김경숙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0 생태유아교육연구 Vol.9 No.3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other's and children's social prejudic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0 children aged 4 and 5, both male and female, and their mothers. The research had three major findings First, the mothers showed their social prejudice gender role, disability, capability, family composition and different culture in order. The mothers' social prejudi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 level. Second, the children showed their social prejudice gender role, capability, disability, family composition and different culture in order.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judice on family composition. Third, in examing the relationships of the prejudices between the mothers and the children, the mothers' social prejudice was partly related to that of the children in the 5 areas. 본 연구는 어머니와 유아의 사회적 편견은 어떠하며 어머니와 유아의 사회적 편견간의 관계는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4․5세 남녀 유아 200명과 그들의 어머니 200명이었다. 본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는 성역할, 장애, 능력, 가족구성, 다른 문화 순으로 편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사회적 편견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는 성역할, 능력, 장애, 가족구성, 다른 문화 순으로 편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아가 남아에 비해 가족구성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사회적 편견이 유아의 사회적 편견의 5개 하위영역과 부분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조직지원인식과 사회적 편견이 중국 호텔 인턴의 지속여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조려려 ( Zhao Lili-hwi ),황태규 ( Hwang Tae-kyu ),강순화 ( Kang Soon-hwa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5 No.2

        본 연구는 조직지원인식과 사회적 편견의 인턴 지속 여부에 대한 영향 정도, 직무열의와 심리적 자본이 조직지원인식과 사회적 편견 및 지속 여부의 관계를 매개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고 직원 지속 여부를 제고하기 위한 조직 지원 실천과 호텔에서 인턴을 유치하는데 실행 가능한 제안과 대책을 제공해주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직업충성도, 조직 내·외부 분석과 실증 연구를 통해 호텔 인턴의 직업 충성도를 이해하고 조직 내부 요소(조직지원인식), 조직 외부 요소(사회적 편견)의 지속 여부에 대한 영향, 인턴의 직무열의, 심리적 자본의 매개 역할을 검증하고 인턴 지속 여부에 대한 영향 구조를 탐구한다. 둘째, 사회적 편견 측정척도 개발과 호텔 인턴이 느낀 사회적 편견 개념을 탐구하고 호텔 인턴이 느낀 사회적 편견의 측정 척도를 개발 및 검증한다. 셋째, 문헌고찰, 개념정의, 개념 간 관계 모형구축과 조직지원인식, 사회적 편견, 직무열의, 심리적 자본 및 지속 여부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각 개념에 대해 정의를 내리고 개념간의 관계에 대해 모형과 구축을 진행함으로써 실증성 연구에 프레임을 제공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통해 호텔 인턴 지속 여부에 대한 영향 요인의 구조성 관계를 구축하는데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 호텔에서 개선 방안을 세우는데 계시를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studies the extent of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support awareness and social prejudice on intern continuity, whether job engagement and psychological capital ca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upport awareness and social prejudice and substantiality.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first, understand job loyalty of hotel interns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analysis and empirical research, and explore the impact structure of internal factors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organizational external factors (social prejudice), intern's job fever, psychological capital mediating role. Second, we explore the concept of social prejudice felt by hotel interns and develop and validate measures of social prejudice felt by hotel interns. Third, through literature examination, conceptual definition, conceptual relationship model building and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social prejudice, job engagement, psychological capital, and substantiality, we define each concept and provide a frame for positivism studies. Through these research purposes, we would like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building structural relationships of influences on whether hotel interns are sustainable or not, and to present revelations in establishing improvement measures in hotels.

      • KCI등재

        정신질환자에 대한 접촉 경험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거리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호규현(Ho, Gyuhyun),정휘관(Jung, Hwikwan),전예솔(Jeon, Yesol),송민해(Song, Minhae),SHIMAMORI SAYUKI,유현재(Yu, Hyunjae)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질환자에 대한 접촉경험이 사회적 거리감을 매개로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정신질환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 해소와 인식 개선 전략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21년 9월 8일부터 9월 13일까지 300명을 대상으로 접촉경험 유무, 접촉대상, 접촉품질, 사회적 거리감,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을 질문하였다. 분석 결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접촉 경험에 따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의 차이가 일부 나타났다. 접촉 품질 역시, 사회적 거리감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사회적 거리감은 직접 접촉과 정신질환자의 편견 사이를 완전 매개하고 있었으며, 간접 접촉과 정신질환자의 편견 사이에서는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질환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 해소와 인식 개선을 위한 함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접촉이론을 기반으로 현재 대중이 지니고 있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provide the reference for finding the ways not only to reduce social prejudice but also to improve the perception toward mental patients based upon the investigation to figure out the possible influence of the contact quality people experience with the patien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above, this study performed the survey in which total 300 people participated between September 8th and 13th in 2021, asking about the experience of the contact with the mental patients. More specifically, the participants were asked in the survey to answer their contact experience, the information of the patients they contacted with, a sense of social distance they felt, and possible prejudice they had toward the mental illness and patients. In the results, the researchers reported tha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level of prejudice toward the mental patients based upon people’s different contact experience with the patients. In addition, it was also found that a sense of social distance and people’s prejudice toward mental patients were influenced by their quality of the contact experience with mental patients. Also, it was possible to discover that a sense of social distanc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s direct experience with mental patients and the prejudice they had toward the patients. Lastly, this study discussed the suggestions for the issues regarding the ways to reduce the people’s prejudice toward the mental illness and the patients. The researchers believed that the insight from this study could be very meaningful, since it was the first time to analyze the possible prejudice people could have using the theory of contact.

      • KCI등재

        다문화적 반편견 미술활동이 유아의 편견개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성숙,박승순 한국보육학회 2012 한국보육학회지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lticultural anti-bias art activity and reveal its effect on young children’s bias and prosocial behavior. The following are my research questions. 1. What i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anti-bias art activity on young children’s bias?2. What i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anti-bias art activity o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3 children of 5 years old who attend a kindergarten in the city of K. 22 out of 43 children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of 43 children were assigned to compare group. Interview for young children was used for Bias tests and teacher’s checklist was used for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Pilot test, traing for testers, pretest, experimen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from October 6, 2010 to November 19, 2010. T-test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multicultural anti-bias art activity. In the comparison between experiment and compare groups, children of experiment group showed lower bias and higher prosocial behavior than the children of compare group. Hence, the result reveled that the multicultural anti-bias art activity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as effective on decresing young children’s bias concept and increasing prosocial behavior. 연구에서는 다문화 교육과 미술 교육의 개념 및 이론을 바탕으로 유아의 다문화적 반편견 미술활동을 구안하고, 이를 적용한 결과 유아의 편견개념과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문제는 첫째, 다문화적 반편견 미술활동은 유아의 편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다문화적 반편견 미술활동은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다문화적 반편견 미술활동을 구안하여 매주 1회씩 10주에 걸쳐 만 5세 유아의 실험집단에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적 반편견 미술활동은 유아의 편견을 감소시키는 반면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초등교사에게 나타나는 편견과 그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 연구

        구정화(Jeonghwa K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3 사회과교육 Vol.5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의 초등학교 교사 204명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이 갖는 편견의 정도와 그러한 편견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질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1개 현상에 대한 편견의 전체 평균 점수는 1.78(중앙값이 2.5)로서 크게 문제가 될 수준은 아니었다. 11개 현상 중에서 가장 높은 편견인식을 보인 항목은 ‘학벌’에 대한 편견이었고, 가장 낮은 편견 인식을 보인 항목은 ‘장애인’과 ‘못생김’에 대한 것이었다. 둘째, 교사들의 편견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은 3가지였다.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적극적 조치 제도 도입을 공정하다고 인식하는 경우, 경제적 수준이 낮은 경우, 여교사인 경우에 편견이 적게 나타났다. 셋째, 11개 현상 각각에 대한 편견 인식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살펴본 결과, 교사 개인의 가치관과 사회적 소수자 접촉 경험이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prejudice against the eleven groups, using the data from questionnaire survey.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includes 204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ird findings of special interest emerged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average value(1.78)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perception on prejudice against 11 groups is less than the median value(2.50). Of all the prejudice against 11 groups, the prejudice against the educational background scored the highest and the prejudice against the handicapped and the ugly one scored the lowest.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prejudice is ‘agreement to the fairness of the affirmative action and the contact experience of the minorities(+)’, ‘socioeconomic status(-)’, and ‘female(+)’. Third, the factors affecting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prejudice against each of 11 groups is ‘individual values(+)’, ‘contact experience to the minority(+)’.

      • KCI등재

        양육 청소년 미혼모의 적응유연성이 긍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영미(Yeoung-Mi Kim),이화명(Hwa-Myu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7

        본 연구에서는 양육 청소년 미혼모를 대상으로 적응유연성이 긍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적응유연성과 긍정적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 편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적응유연성 중 낙관성이 사회적 편견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응유연성 중 삶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자신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긍정적 양육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편견은 긍정적 양육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적응유연성과 긍정적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 편견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양육 청소년 미혼모들의 적응유연성과 긍정적 양육행동 강화방안을 모색하고, 양육 청소년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불식시킬 수 있는 상담적 개입과 사회복지적 접근의 중요성을 촉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resilience of young single mothers on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prejud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ptimism among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ffected social prejudice in a negative way. Second, Positive attitude toward life and positive evaluation about self among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ffecte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in a positive way. Third, Social prejudice was found to have affecte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in a negative way. Fourth, social prejudice was found to hav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explored how to bolster the resilience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of young single mothers and urged counseling intervention and social-welfare approach to dispel social prejud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