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자본과 지역경찰활동의 성과 - 경찰관의 인식을 중심으로

        허용훈(許勇勳) 한국지방정부학회 2008 지방정부연구 Vol.11 No.4

          미국 등 선진국의 경우는 오래 전부터 동네의 사회적 자본을 기초로 한 비공식적 사회통제에 의한 범죄예방활동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는 비공식적 사회통제를 활용한 범죄예방을 위한 노력이 아직까지도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범죄예방이나 지역경찰활동의 성과 제고를 위해서는 제도적 개혁이나 정비도 중요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의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 하에서, 범죄예방과 관련하여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의 수준이 어느 정도나 되고, 사회적 자본이 여타 독립변수와의 관계 속에서 지역경찰활동의 성과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동네 사회적 자본은 전반적으로 그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동네의 사회적 자본과 지역경찰활동의 성과를 살펴보면, 동네 사회적 자본의 수준이 높은 아파트 지역 및 농어촌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지역경찰활동의 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동네 사회적 자본과 지역경찰활동 성과 간에 관계가 있음을 입증해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역경찰활동의 성과에 대한 영향력은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자본이 여타의 독립변수를 통제하고도 지역경찰활동의 성과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의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의 수준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는 바, 이것은 지역경찰활동의 성과 제고를 위해서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Social capital is us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reveal the levels of community policing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related social capital and local policing performance,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police officers.<BR>  For an empirical study, data was obtained from surveys of 388 police officers from five police stations under the Busan Metropolitan Police Agency. Mean analysis,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 on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related social capital and local policing performance.<BR>  The most important findings from these analyses demonstrated that local policing performance could not be successful without the existence of social capital building in neighborhoods, and that in communities where there were shared values and norms, and where good informal social networks operated in neighborhoods, the community might enjoy higher satisfaction from local policing and lower levels of crime.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적 자본 수준과 축적노력에 대한 연구

        임진혁(Jinhyuk Rhim),이남희(Namhee Lee),곽비주(Bijou Kwa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C대학 학생들의 사회적 자본 수준을 측정하고 대학생에게 부족한 사회적 자본을 인식하고, 사회적 자본을 축적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지방 소재 C대학 학생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 수준 측정을 위한 설문(질문 문항 17개)조사를 실시하여 학년별, 성별, 전공별 분석을 통해 사회적 자본 실태를 파악했다. C대학 학생들이 생각하는 부족한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노력해야 할 점에 대해 인터뷰 조사를 진행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C대학 학생의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과 지방 소재 C대학의 학생 112명의 설문조사와 인터뷰 조사를 통해 사회적 자본 수준과 부족한 사회적 자본,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노력해야 할 점을 분석한 결과와 내용을 바탕으로 C대학 학생이 생각하는 사회적 자본 형성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론 대학생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사회적 자본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자본에 대한 보완과 사회적 자본을 축적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으로 사회적 자본에 대한 수준을 높여야 한다. 사회적 자본 축적은 사회관계 속에서 형성되므로 대학생이 사회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사회관계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Objectives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social capital level of C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d the lack of social capital for college students,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efforts to accumulate social capital. Methods For this purpose, by conducting a survey (question 17 questions) to measure social capital level for stu-dents at C university in the province, we grasped the actual condition of social capital through the analysis accord-ing to grade, gender, and major.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what C university students think is in-sufficient social capital and what they should strive to accumulate social capital, and based on this, directions for C university students to make efforts to form social capital were presented. Results Through a survey and interview survey of 112 students from C university located in the province, based on the results and contents of analyzing social capital level, insufficient social capital, and the points to work on social capital accumulation, the direction for the social capital formation that C university students think was presented. Conclusions In order to accumulate social capital of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raise students' awareness of social capital, to supplement social capital that they think is insufficient, and to raise the level of social capital by constant efforts to accumulate social capital. Since social capital accumulation is formed in social relations, ed-ucation for improving the social relations capacity that college students should have as members of society is needed.

      • KCI등재

        사회적 자본으로서 복음의 공공성 연구 : 21세기형 프로테스탄티즘 연구

        김미영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79

        This paper attempts to prove that social capital as social virtues can be interpreted as the value of the kingdom of God, that is, the publicity of the Gospel, which is formed in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and culturalization of the Gospel with transformative power at the social level beyond the personal level through work ethics and labor ethics. Therefore, it can be said still insufficient knowledge of human understanding to rely only on the realm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o establish humanity for the restoration of humanness and to identify social capital for social development and integration. Until now, in the study of social capital, the spiritual realm and the role of Christianity, which occupies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is realm, have been neglected. Therefore, Christian theology can contribute to promoting interest in and research on social capital by meeting the need to bridge the gap between general studies and theology thr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along with the fields of social science. In the meantime, research on social capital has mostly focused on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social capital and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society and economy. However, although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itself is multifaceted and related studies are relatively diverse,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the factors that form social capital. Beginning with Robert D. Putnam's research on social networks and Francis Fukuyama's research on trust, research on the factors that form social capital has only been conducted relatively recently. This study also tried to investigate how the spiritual culture of Protestantism has formed the social capital of trust and cooperation through the publicity of the Gospel in these insufficient areas. Moral trust, especially emphasized as social capital, can only be explained as a universal perspective on humanity regarding the image of God. It can be said that this is different from the strategic trust and individual trust often discussed in social capital. According to Francis Fukuyama, the social capital of trust is created when a community shares an systemic moral value structure that pursues a life of normal fairness and common sense. Since this is shared with the Protestant ethics emphasized by Max Weber, it can be asserted that this social capital of trust is based on the ethos of Protestantism as a Christian spiritual culture, that is, the norms of the kingdom of G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cial capital formed by Christian humanness, we must understand the biblical truths that constitute humanity. Therefore, in order for the modern society to properly understand the 21st century Protestantism,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knowledge of God is urgent for modern people. This paper emphasizes the argument that the mission for this is given to the church and the theological community. 본 논문은 사회적 덕성으로서 사회적 자본을 복음이 직업윤리와 노동윤리를 통해 개인적 차원을 넘어서 사회적 차원에서 변혁적 능력으로 사회화되고 문화화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하나님 나라의 가치, 즉 복음의 공공성이라고 해석할 수 있음을 변증하고자 한다. 그러기에 인간성의 회복을 위한 인간다움의 정립과 사회 발전과 통합을 위한 사회적 자본의 규명은 인문사회과학의 영역에만 의존하기에는 인간 이해에 대한 본질적인 지식이 여전히 부족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동안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에서 정신적 영역과 이러한 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기독교의 역할은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따라서 기독교 신학은 인문사회과학 분야와 더불어 다학제간 연구를 통해 일반 학문과 신학 간의 간극을 메울 필요성을 충족하여 사회적 자본에 대한 관심과 연구를 촉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그동안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측정뿐만 아니라 사회적 자본이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집중되었다. 하지만 사회적 자본이라는 개념 자체가 다면적이고 관련 연구도 비교적 다양하게 많지만 사회적 자본의 형성 요인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알려진 바가 별로 없다. 로버트 퍼트넘의 사회적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와 프랜시스 후쿠야마의 신뢰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비교적 최근에 들어서야 사회적 자본의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도 이러한 미진한 영역에서 프로테스탄티즘의 정신문화가 신뢰와 협력의 규범과 네트워크라는 사회적 자본을 복음의 공공성을 통해 어떻게 형성하여 왔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사회적 자본으로서 강조되는 도덕적 신뢰는 하나님의 형상에 관한 인간다움에 대한 보편적인 관점으로서만 설명되어질 수 있다. 이는 종종 사회적 자본에서 거론되는 전략적 신뢰와 개별적 신뢰와는 차원이 다르다고 말할 수 있다. 후쿠야마에 의하면 신뢰의 사회적 자본은 공동체가 정상적인 공정과 상식의 삶을 추구하는 유기적인 도덕적 가치체계를 공유할 때 조성된다고 강조한다. 이는 막스 베버가 강조하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공유하기에 기독교 정신문화로서 프로테스탄티즘의 에토스, 즉 하나님 나라의 규범에 근거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기독교의 인간성이 형성하는 사회적 자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다움을 구성하는 성경적 진리를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현대사회가 21세기형 프로테스탄티즘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현대인들에게 절실함을 인식시켜야 한다. 이를 위한 사명이 교회와 신학 공동체에 주어져 있다는 주장을 본 논문은 강조하고자 한다.

      • KCI등재

        사회적 자본이 지식 축적에 미치는 영향: 업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승현,이창원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11

        본 연구는 공급사슬환경에서 구매자-공급자 관계 사이 사회적 결과물인 사회적 자본이 공급자 관점에서공급사슬 관계자인 두 주체 간에 일어나는 지식축적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과정이 업종에 따라 나타나는조절효과의 영향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특히 사회적 자본은 기존에 연구된 구매자 관점과 달리 공급자 관점에더욱 중요한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에, 구매자-공급자 관계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실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급자의 관점에서 공급사슬 관계에 있어 사회적 자본과 지식축적의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 구체적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급자 관점에서 사회적 자본을 구조적 자본, 인지적 자본 그리고 관계적 자본으로 세분화하여 지식 축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기존에 연구가 부족하였던 공급자 관점의 사회적 자본과 지식 축적간의 관계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제조업과 정보통신업을 중심으로 사회적 자본과 지식 축적 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요인으로 업종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공급사슬환경에서 사회적 자본의 구조적 자본, 인지적 자본, 관계적 자본 요인 중 관계적 자본이지식축적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구조적 자본과 인지적 자본이 다음으로 지식축적에 높은 영향을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자본과 지식 축적의 관계에 대한 업종의 조절효과는 제조업의 경우사회적 자본 중 구조적 자본과 지식축적을 제외하고, 인지적 자본과 지식축적, 관계적 자본과 지식축적의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였다. 아울러, 정보통신업은 구조적 자본과 지식축적, 인지적 자본과 지식축적, 관계적 자본과 지식축적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급사슬환경의 공급자 관점에서 사회적 자본이 지식축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한이해를 넓히고, 업종에 따라 사회적 자본과 지식축적의 관계에 대한 차별화된 경영전략과 지속적인 성과 향상에도움을 줄 수 있는 공급사슬관리의 전략적 방향성이 요구된다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a study result between buyer and supplier in supply chain environment, on knowledge accumulation between two suppliers and suppliers, and the effect of moderating effects of these processes depending on industry. Especially, since societal capital has more important meaning in the supplier's perspective than the previous buyer's perspective, this study tried to prove how this relationship is realized within the buyer-supplier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in supply chain relationship from the viewpoint of suppliers. First, from the supplier's perspective, social capital is divided into structural capital, cognitive capital, and relational capital to understand how it affects knowledge accumulation. Secon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dustry as a moderating factor that can positively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centering on manufacturing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ie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workers in manufacturing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collect data. The measurement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on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and the suitability of the measurement model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In addition,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path analysi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on the research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95 manufacturing companies were 50.9%, and 188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mpanies were 49.1%. In addition, 247 companies with an average sales of less than 50 billion won accounted for 64.6%, while 292 companies with less than 500 regular workers accounted for 76.3%. In addition, the trading period with buyers was 177 with less than 10 years, 46.2%, and 53.8% with 206 with more than 10 yea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mong the structural capital, cognitive capital, and relational capital factors of social capital in the supply chain environment, relational capital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knowledge accumulation, and structural capital and cognitive capital were the second most influential variables on knowledge accumulation.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dustry is social capital, which significantly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capital, knowledge accumulation, relation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except for structural capital, but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significantly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cognitive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relation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and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in the situation where efficient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supply chain participating organizations are required are empirically verified. Second, this study proved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knowledge accumulation from the viewpoint of suppliers, unlik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buyers. Third, it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by industry.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social capital affecting knowledge accumulation from the supplier's point of view of supply chain environment was broadened, and the strategic direction of supply chain management was required to help the differentiated management strategy and continuous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accumulation according to the industry.

      • KCI등재

        제주지역의 사회적 자본 연구

        진관훈(Gwan Hun Jin) 제주학회 2011 濟州島硏究 Vol.35 No.-

        이 연구는 제3의 자본 이라 불리는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상징성을 통해 제주사회를 분석하고 나아가 제주사회 사회적 자본의 확충 방안을 모색 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비롯되었다.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라는 용어는 Judson Hanifan에 의하여 1916년에 처음 사용되었다. 그는 민주주의와 개발을 지속시키기 위해 지역사회가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필요성 및 중요성에 대해 주목했다. 그는 이웃다움(neighborliness)과 시민참여의 종말에 대해 언급하고 이러한 현상들로 인해 가족의 고립과 지역사회 정체가 야기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현재 제주특별자치도에 거주하는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수행하였다. 즉, 거주 지역별 · 성별 · 연령별 인구비례로 표본 추출한 제주특별자치도에 거주하는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기기입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도구로는 사회적 자본의 4변수인 신뢰 6개 항목, 호혜성에 기반한 사회규범 8개 항목, 네트워크 8개 항목, 사회구조 8개 항목을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사회적 자본 간의 중요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회적 자본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순서로는 신뢰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회규범, 사회구조, 네트워크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본 중 네트워크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여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출신지, 거주지에 따라 신뢰, 사회규범, 네트워크, 사회구조는 평균 차이가 없으나 기부경험에 따라 사회적 자본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자본 축적과 기부문화의 확산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아지며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해 기부문화 확산에 사회적 노력과 정책적 관심을 쏟아야 할 것이다. 셋째 성별, 출신지, 기부경험에 따라 네트워크는 평균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거주지에 따라서 네트워크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제주시 거주응답자가 서귀포시 응답자의 네트워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유의미한 차이가 양 지역의 개발 불균형, 삶의 질 격차에서 기인한 것인지 심각하게 고려해 보아야 하며 지역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책적 배려가 시급하다고 하겠다. 넷째 연령, 학력에 따라 네트워크의 평균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경제활동인구일수록, 고학력일수록 네트워크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한 사회적 자본의 확충을 위해 평생교육을 통한 도민 학력능력 향상과 도민일자리 특히 실버세대와 청년일자리 창출을 시급히 도모해야 하겠다. 결론적으로 지역사회 발전의 전제 조건이라고 할 수 있는 사회적 자본확충을 위해 지역구성원과 지방정부에 대한 낮은 신뢰, 후진적인 법질서 의식, 폐쇄적 연구주의나 배타적 집단주의 등이 반드시 선결해야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ocial capital in Jeju. The reason is that social capital is created through relationship and shared by related people, which makes them cooperative and cohesive.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is to analyze of social capital in Jeju and the second is to develop the scale of social capital in Jeju.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is consist of trust, reciprocity, network and social structure. The social capital scale in Jeju in this study was developed through deductive process such as exploring literature on social capital and inductive process. The scale development process was 1) item development 2) pilot study 3) study. Data for analysis was collected from 1,000 peoples in Jeju. The scale of 30 items was constructed with 4 dimensions with high reliability coefficient. The first dimension is trust with 6 items; the second dimension is reciprocity with 8 items; the third dimension is network with 8 items; the last dimension is social structure with 8 items. All analyze revealed the construct validity, criterion-related validity and the discriminant validity. Thus the social capital scale for Jeju developed this study was proved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analysis of social capital in Jeju constitutes of 1) the relationship among components of social capital, 2) the types of social capital, 3) analysis of effect factors to social capital in Jeju. It is found that all component of structural aspects and cognitive aspects are positively correlated, bonding network and bridging network. It is the linkage network that correlated with both trust and reciprocity in cognitive aspects. In other words, when people in Jeju participate in linkage networks, the probability of interact with trust and reciprocity is increased. Therefore we can say that people in Jeju linkage networks are very important social capital in bala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existing theories about trust, reciprocity, network, social structure and provides new ways of understanding and strengthening of social capital in Jeju.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velopment for Jeju community by encouraging people in Jeju to cooperate and solidify to solve problem in Jeju and cope collective to the change Jeju community.

      • KCI등재

        사회적자본은 사회적경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나눔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지수(Jung, Jeesoo),조상미(Cho, Sangmi)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1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7 No.2

        사회적경제는 호혜, 연대, 참여, 공감, 나눔의 가치를 추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시민들의 사회적자본과 나눔행동을 통해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사회적경제가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민들의 인식 향상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자본이 시민들의 사회적경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나눔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자본과 나눔행동과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사회적자본이 많을수록 나눔행동이 높아졌다. 둘째, 사회적자본과 나눔행동은 사회적경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나눔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나눔행동은 사회적자본과 사회적경제 인식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economy b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hilanthropic behavior. The data from Research on Measuring Public Perception of Social Economy in Seoul City (2020) was utiliz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performed to test hypotheses. The result showed that both philanthropic behavior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economy became stronger as social capital got higher. By performing bootstrap,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philanthropic behavior was revealed. Based on the result,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citizens’ social capital and philanthropic behavior for improving the perception of social economy. Moreover, this study focused on measuring the entire social economy and explored how the behavior can influence the perception based on the Self-Perception Theory.

      • KCI등재

        농촌 여성의 사회적 관계의 변화

        김주희(Joo Hee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1 農村社會 Vol.21 No.2

        이 연구는 지난 삼십여 년간 경기도에 소재한 S 농촌마을 여성들의 사회적 관계의 변화를 알아보고 그 의미를 사회적 자본, 즉 접착성 사회적 자본과 연결성 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이해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조사 자료는 2010년 6월부터 6개월 간 16명의 마을 여성들과의 심층적 인터뷰를 통해 구해졌으며, 이를 연구자가 1970년대 후반 10여개월간 참여관찰을 통한 민속지(ethnography) 조사와 비교하면서 논의를 진행했다. S마을 여성들의 사회적 관계가 마을 안에서 마을 밖으로 확대되었다는 것 그리고 예전 그들에게 중요했던 이웃관계가 현저히 약화되었다는 것이 이 연구의 결과이다. S마을 여성들은 농경기계화가 가져다준 시간적·육체적 여유를 마을 밖 경제활동에 활용해 왔으며, 인구 감소로 인한 마을 내 관계의 감소를 마을 밖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해 보완해 왔다. 이러한 활동들은 의식의 변화를 가져왔고 봉사활동 또한 일상으로 받아들이게 했다. S마을 여성주민들은 도시와의 차이를 거의 느끼고 있지 않으며, 도시생활에서 발달하는 것으로 알려진 사적 관계망을 공적 관계망을 통해 만들어 가고 있다. 지난 삼십여 년간 S마을 여성들의 사회적 관계의 변화는 접착성 사회적 자본이 감소하고 대신 연결성 사회적 자본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그동안 접착성 사회적 자본에 익숙했던 여성들이 연결성 사회적 자본의 유용성을 이용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물론 "친한 사람"과의 관계에서 보듯이 마을 내 접착성 사회적 자본이 아주 없어진 것은 아니다. 그러나 마을 여성들의 마을 밖에서의 활동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그럴수록 그들의 사회적 관계망은 확대될 것이며, 이는 연결성 사회적 자본의 확대로 이어질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관계는 접착성 사회적 자본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결성 사회적 자본의 확대에 대한 예상은 조심스러워야 한다.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changes that have occurred during the past three decades in social relationships among women in a Korean rural village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he author has been acquainted with the life of the village for more than thirty years.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for the present study to the causes that are responsible for the changes of women`s social relationships, namely, the mechanization of farming and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The former has reduced the economic inter-dependence among villagers and the contribution of women`s labor to the family farming. The latter has enabled women with spare labor power to easily seek new economic opportunities provided by nearby towns such as Asan tourist facilities. Sixteen women aged from the forties to the seventies were interviewed in-depth. The most conspicuous change in women`s social relationships can be termed as extens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village. Unlike those whose social relationships were bounded within the village in the past, women in the village now not only actively participate in various official organizations sponsored by the District Office, but enjoy social gatherings formed through those formal meetings. They pursue instrumental needs and emotional satisfaction by maintaining social networks with women from other villages. Even the neighbor relationship within the village that used to be the most importa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women has greatly weakened. All these changes are the manifestations of the rapid decrease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d reciprocal acts among villagers. The changes in social networks among the village women wer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apital, the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in particular. The weakened social relationships within the village and their extension outside of the village were taken as the phenomenon of enlarging of the bridging social capital among women in the village, who used to lack such social capital. But their bridging social capital is operated on the basis of the bonding social capital.

      • KCI등재

        한국적 사회적 자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윤종빈(Yoon, Jongbin),김진주(Kim, Jinju)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9 문화와 정치 Vol.6 No.2

        이 글은 퍼트남(Robert D. Putnam)의 사회적 자본 개념이 한국사회에 어떻게 변형되어 적용가능한지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퍼트남은 사회적 자본의 기본적인 전제로 수평적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한 사회적 관계를 강조하였지만 한국사회는 혈연 · 지연 등의 전통적인 요소로 인해 서구의 사회적 자본의 개념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더불어 온라인 커뮤니티의 기술과 소통이 급속도로 발전한 한국사회에서 기존의 전통적인 의미의 사회적 자본 개념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적실성이 떨어진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전통적인 의미의 사회적 자본의 구성 요소인 신뢰, 호혜성의 규범, 수평적 네트워크를 각각 검토한 후, 한국적 의미의 사회적 자본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직도 한국사회에서 유대감과 영향력이 강한 계모임, 향우회, 종친회 등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국적 사회적 자본 개념은 보다 구체화될 것이다. 둘째, 유교적 문화의 전통에서 공동체의식이 강한 한국사회에서 호혜성의 규범이 사회적 자본을 구성하는 실질적으로 중요한 요소인지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소통과 활동이 활발한 한국사회에서 기존에는 볼 수 없었던 다소 강한 유대감의 온라인 네트워크의 출현을 지켜봐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a model of social capital that can be applied to Korean society beyond Western-oriented approach. According to Putnam,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is based on the horizontal relationships of networks. However, the previous concept cannot be directly utilized in Korean society which is unique in its traditional characteristic of nepotism. In addition, Korean society has been challenged by the rapid change of online-based communities and their communications. This study based on the traditional concept of social capital such as trust, reciprocity norm, and horizontal network, provides a few implications for the new concept of social capital in Korea. First of all, more detailed researches should be focused on Korean traditional networks such as meetings with ‘gye’ friends, family members and hometown friends. Second, the nature of reciprocity norm needs to be re-examined for its validity because of strong community spirit of Confucianism. Finally, we need to take a close look at the rising of strong online community which might b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previous loose nature of networks.

      • KCI등재

        사회적 자본과 범죄 : 사회적 자본이 폭력범죄에 미치는 영향

        김상원 한국치안행정학회 2012 한국치안행정논집 Vol.9 No.1

        우리나라 범죄학의 경험적 연구들의 경향을 보면 미시적 연구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것은 범죄원인들 중에서 개인적 특성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가 주종을 이룰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연구 경향은 결국 한국사회에서 범죄행동에 관한 사회구조적인 원인이나 집합적 수준에서의 원인분석을 위한 거시적 연구의 결여를 낳게 함은 물론이거니와, 범죄대책과 관련해서도 보다 사회구조적 접근방안에 대한 진지한 고민의 기회를 상실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고민의 결과에서 보다 구조적인 연구의 중요성을 다시금 부각시키기 위해 최근에 많이 논의되고 있는 거시적 연구 주제들 가운데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과 범죄와의 관계에 대해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의 지역(regions)을 분석단위(unit of analysis)로 사용하여 지역의 사회적 자본이 범죄율을 줄이는데 긍정적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기존의 범죄학 문헌에 기초해 볼 때 지역의 사회적 자본의 정도와 지역별 범죄율 사이에는 부(-)적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 목적을 위해 지역단위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지표를 사용하여 지역의 사회적 자본이 그 지역의 폭력범죄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서는 지역의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은 폭력범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보다 큰 사회연결망에 기초한 사회적 자본은 폭력범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은 그 지역 지방정부의 사회적 지원의 수준과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폭력범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나오게 된 원인과 의미에 대해 우리나라의 사회구조와 문화적 맥락에 기초하여 토론하였으며, 지역의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의 강화를 위한 개별적 그리고 공동체적 노력과 개선책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tested the hypotheses that areas with higher levels of regional social capital will have lower violent crime rates relying upon recent criminological literature on social capital conception. Korea is a nation with moderate violent crime rates. We expect that local rates of violent crime rates vary widely. Similarly, the level of social capital provided by the local areas's resources varies throughout Korea's regions due to the level of development and socioeconomic condition. Utilizing date from Korean police district regions(n=208) and controlling for other structural covariates, Ordinary Least Squares(OLS) regression was employ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violent crime rates in regions. On the same side of author's expectation, the results provided the partial support for direct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violent crime.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in the family(family bonding) and violent crime rates.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of regional specific conditions in Korea and of the meaning of these findings for recent research on social capital and crime.

      • KCI등재

        사회적 기업가정신이 사회적 자본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장성희(Jang, Sung-Hee),이경탁(Lee, Kyung-Tak) 한국창업학회 2017 한국창업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기업과 사회적 자본이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성과, 사회적 기업가정신 및 사회적 자본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사회적 기업가정신은 사회적 가치지향성,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으로 분류하였고, 사회적 자본은 구조적 자본, 인지적 자본, 관계적자본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모형은 111명의 사회적 기업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업가정신은 구조적 자본과 인지적 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적 자본과 인지적 자본은 관계적 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적 자본은 사회적 기업의 성과(공익성과와 고용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기업가와 정책입안자들이 사회적 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키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하면서 지역사회와 동반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수립에 유용한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lements of influencing social enterprises performance of social entrepreneurship and social capital. This model tests research hypotheses based on the various theoretical background of social enterprises performance, social entrepreneurship, and social capital. Social entrepreneurship is classified into social value orientation,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And social capital is classified into structural capital, cognitive capital, and relational capital. The proposed model is analyzed to target 111 social entrepreneurs.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are as follows. First, social entrepreneurship positively influences structural and cognitive capital. Second, structural and cognitive capital positively influences relational capital. Finally, relational capital positively influences social enterprises performance (public performance and job cre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s social entrepreneurs and policy-makers with useful implications for setting strategies to increase social enterprises performance and ensure sustainable development while promoting shared growth with the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