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전통사찰 경내 식재실태 및 식재정비방안 연구

        이선희 ( Seon Hee Lee ),진혜영 ( Hye Young Jin ),이현채 ( Hyun Chae Lee ),문애라 ( Ae Ra Moon ),최우경 ( Woo Kyung Choi ),송유진 ( Yu Jin Song ),송정화 ( Jeong Hwa Song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6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4 No.1

        한국의 사찰정원은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을 추구하는 조상들의 지혜가 반영되어 있는 전통정원 중의 하나로, 전통사찰은 종교적공간으로도 그 가치가 높지만 지리적 이점으로 주변경관이 아름다운 곳에 입지해 있기 때문에 종교적 공간으로써 사찰뿐만 아니라 경관감상을 위해 국내.외적으로 관심과 방문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많은 사찰정원은 전통적 공간과 어울리지 않는 식물들의 무분별한 식재로 전통적 공간으로써 본래의 가치와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역사.문화를 간직한 사찰이 세계화에앞서 전통성을 유지하기 위해 전국 전통사찰 51개소를 대상으로 사찰 경내 식재현황을 조사하였다. 식재현황 조사 결과, 사찰에 식재된 식물은 총 207종으로 그 중 자생식물은 128종(61.84%), 재배식물은 76종(36.71), 귀화식물은 2종(0.97%), 도입식물은 1종(0.48)으로 자생식물의 식재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전국 사찰에 가장 많이 식재된 상위 3종으로는 소나무(46개소), 느티나무(38개소), 은행나무(36개소) 였다. 희귀식물로는 검팽나무, 구상나무 등이 조사되었으며 이는 전체식물 중 5.3%에 해당되며, 한국의 특산식물로는 병꽃나무, 오동나무등이 조사되었으며 이는 3.4%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연꽃, 파초, 불두화와 같이 불교와 관련이 있는 수종의 비율은 적었는데, 이로미루어 볼 때, 전통 사찰정원에는 불교적 의미가 있는 식물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통적 의미를 가지는 식물의 식재 비율이 더 높은것으로 나타나, 역사적인 공간으로써의 특징이 더 크게 보였다. 위와 같은 식재현황을 바탕으로 사찰정원의 의미와 특징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찰의 진입로 영역, 경내 마당, 배경림과의 경계 및 화계 등 사찰 내부공간의 성격에 따라 식재 정비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한국사찰정원을 조성함에 있어 종교적, 역사적으로 의미가 있는 등 상징성 있는 식물의 식재 및 장소에 알맞은 수종을 식재할 것을 제안한다. Korean temple gardens have very high preservation value as the place reflecting ancestral wisdom in harmony with nature. Not only as a religious place but also as a beautiful landscape place, many people including foreigners are visiting traditional Korean temples. However, current many Korean temple gardens lost their original value and meaning because of the inappropriate planting in traditional places. In this study, for maintaining the representativeness of traditional Korean temple, we researched the current planting status of traditional Korean temple. After the research of 51 traditional Korean temples, a total of 207 species of plants was investigated, and among them 128 species (61.84%) were Korean native plants, 76 species (36.71%) were cultivar plants, 2 species (0.97%) were naturalized plants, and 1 species (0.48%) is introduced plant. Korean red pine (46 temples), sawleaf zelkova (38 temples), and ginkgo (36 temples) were the high rank species among 207 species. Korean rare plants including black-fruit hackberry and Korean fir form 5.3% of total species, and Korean endemic plants including Korean weigela and Korean paulownia form 3.4% of total species in traditional Korean temples. On the other hand, plants that have religious meaning such as lotus, musa, and guelder rose form slightly. There is a higher proportion of traditional Korean plants than religious meaning plants in traditional temple gardens, so that temple gardens are highlighted as historic places. Based on the planting status, maintenance plans were established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s: entry space, the precincts of a shrine, and flower stairs. As a result, we suggest that selecting a suitable plant species with regard to the religious meaning of the plant symbolism for newly designing Korean temple gardens.

      • 템플스테이 외부환경 연구 -수덕사(修德寺)와 월정사(月精寺)를 중심으로-

        ( Yeop Nam ),( Sang Hyun Heo ),( Kwang Pyo Ho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2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0 No.-

        본 연구는 템플스테이 체험자 중에서 외부환경을 사찰환경, 프로그램, 편의시설, 사찰탐방 조건 등으로 구분하여 만족도를 설문조사하고 분석해 보았다. 템플스테이 외부환경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대상자들의 만족도를 분석하고 선호도를 파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사찰외부환경에 관한 분석은 사찰환경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질문에 주변의 숲(85.7%)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주변의 숲을 적극 활용한 명상이나 힐링 프로그램의 도입이 요구된다, 둘째, 사찰의 조경요소 중 가장 마음에 드는 곳에 관한 설문분석은 집입로변 가로수의 만족도(48.7%)가 높게 나타났다. 일주분에서 대웅전까지 가는 길에 주변의 숲과 상이한 가로수를 열식하여 보행자에게 편의 및 경관적 특징을 줄 필요가 있다. 셋째, 일주문에서 대웅전 가는 길은 어떻게 조성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설문분석 결과는 자연지형에 맞 추어 조성해야 한다는 답변(57.2%)이 높았고, 마당의 포장은 마사토흙포장(73.3%)이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식재 수종에 관한 설문분석은 전통적인 나무(70.8%)가 높았고, 도입 물의 종류는 연을 심을 수 있는 연지나 석연지(63%)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템플스테이 이용 후 만족도 분석은 프로그램에 관한 만족도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다양도면에서는 조금 더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며, 시설의 만족은 숙박시설이 빈도가 높은 편이며, 주변 편의시설의 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사찰탐방 조건에 대한 만족도 분석은 대상지가 전통사찰로 주변 자연환경이 수려함으로 주변경관과의 조화가 높게 평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mple stayers` satisfaction with their experience of the temple-stay and thereupon, suggest some alternatives to help improve the external settings for the temple stay programs. For this purpose, the external settings were categorized into temple environment, temple stay program, amenities and other elements (roadside trees, access conditions,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temple environment, temple stayers were most(85.7%) satisfied with the surrounding forest, which suggests that the forest should be made most use of for meditation or healing programs during temple stay. Second, in terms of landscape elements, temple stayers were highly (48.7%) satisfied with the trees lining the access road. Hence, it is deemed necessary to have the access road (from the gate or Iljumun to the main building or Daeungjeon) lined with the trees different from those in the surrounding forest. Third, it was found that 57.2% of the temple stayers favored the access road made in harmony with its natural topography, and that 73.3% of them liked to see the temple courtyard paved with Masato (polished sand mixed with natural soil). On the other hand, 70.8% of the temple stayers preferred the indigenous trees lining the access road, while 63.0% of them liked to see a natural or artificial pond with the lotus flowers. Fourth, temple stayers were satisfied or more with the temple-stay programs. However, many of them wanted more diversified programs. In terms of amenities, they were much satisfied with the boarding facilities, while being less satisfied with other amenities. On the other hand, temple stayers were most satisfied with the harmony struck between the temple and its surrounding environment.

      • 부산광역시 해운정사의 조경식물과 식재특성 분석

        유주한,홍광표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15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1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llect raw data for systematic landscape planting plan of urban temple by surveying and analyzing the plating types and kinds of landscape plants planted in Haeunjeongsa Temple,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landscape plants were summarized as 76 taxa including 45 families, 62 genera, 68 species, 5 varieties and 3 forms. The gymnospermae were 13 taxa, 58 taxa of dicotyledoneae and 5 taxa of monocotyledoneae. The results of forms were 36 taxa of trees, 27 taxa of shrubs, 4 taxa of vines and 9 taxa of flowers. The results of leaf fall and type were 12 taxa of needle-leaved evergreen species, 1 taxa of needle-leaved deciduous species, 27 taxa of broad-leaved deciduous species, 22 taxa of broad-leaved evergreen species and 14 taxa of others. The planting type was mostly row planting of regular form. The major planting species were Thuja occidentalis, Juniperus chinensis var. kaizuka, Zelkova serrata, Acer palmatum, Camellia japonica, Lagerstroemia indica and so forth.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해운정사에 식재된 조경식물의 종류와 식재형태를 조사 및 분석하여 도시 사찰의 체계적인조경식재계획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경식물은 45과 62속 68종5변종 3품종 등 총 76분류군이며, 나자식물은 13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은 58분류군, 단자엽식물은 5분류군이다. 성상의 경우, 교목은 36분류군, 관목은 27분류군, 덩굴은 4분류군, 초본은 9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잎의 탈락 유무와 형태분석 결과, 상록침엽 12분류군, 낙엽침엽 1분류군, 낙엽활엽 27분류군, 상록활엽 22분류군, 기타 14분류군이다. 식재형태는대부분 정형식의 열식형태가 많이 관찰되었으며, 주요 식재종은 서양측백, 카이즈까향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소나무, 동백나무, 배롱나무, 회화나무, 철쭉, 화백, 수국, 병솔나무, 금식나무, 당종려이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External Settings for Temple Stay - Centered about Sudeoksa Temple and Woljeongsa Temple -

        남엽,허상현,홍광표 한국전통조경학회 201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1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mple stayers’ satisfaction with their experience of the temple-stay and thereupon, suggest some alternatives to help improve the external settings for the temple stay programs. For this purpose, the external settings were categorized into temple environment, temple stay program, amenities and other elements (roadside trees, access conditions,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in terms of the temple environment, temple stayers were most (85.7%) satisfied with the surrounding forest, which suggests that the forest should be made most use of for meditation or healing programs during temple stay. Second, in terms of landscape elements, temple stayers were highly (48.7%) satisfied with the trees lining the access road. Hence, it is deemed necessary to have the access road (from the gate or Iljumun to the main building or Daeungjeon) lined with the trees different from those in the surrounding forest. Third, it was found that 57.2% of the temple stayers favored the access road made in harmony with its natural topography, and that 73.3% of them liked to see the temple courtyard paved with Masato (polished sand mixed with natural soil). On the other hand, 70.8% of the temple stayers preferred the indigenous trees lining the access road, while 63.0% of them liked to see a natural or artificial pond with the lotus flowers. Fourth, temple stayers were satisfied or more with the temple-stay programs. However, many of them wanted more diversified programs. In terms of amenities, they were much satisfied with the boarding facilities, while being less satisfied with other amenities. On the other hand, temple stayers were most satisfied with the harmony struck between the temple and its surrounding environment.

      • KCI등재

        일반논문 : 불교 경전 속 식물 연구의 의의와 활용 방안

        민태영 ( Tae Young Mi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1

        불교 경전 속에는 붓다의 생애와 관련된 식물과 더불어 불교의 교리를 대변하거나 비유와 상징의 대상이 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식물이 등장한다. 따라서 불교 경전 속의 식물을 명확히 밝혀내어 불교적으로나 식물학적으로 규명하는 연구는 불교의 교리를 쉽게 이해하게 하는 새로운 방식이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넓은 의미에서의 불교는 단순히 붓다의 말씀 뿐 아니라 문화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불교 경전 속 식물 연구를 불교 문화상품 개발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논지를 정리하였다. 아직은 관련 연구가 초기 단계여서 식물명과 특성을 밝혀내는 정도이고 교리와 경전에서의 활용 중심으로 식물들을 정리한다거나 붓다의 탄생지 식물들을 대상으로 자원식물학적으로 분류를 해놓은 정도에 머물고 있다. 그러나 향후 경전 속의 식물들은 불교 문화상품의 소재로서나 불교 콘텐츠 개발의 한 축으로서도 충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특히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자원식물학적인 측면으로도 관심을 기울인다면 유용한 자원식물로서 뿐 아니라 우리나라 사찰 주변의 조경에 있어서도 보다 불교 철학과 사상에 입각하여 식물을 활용하고 식재하여 불교적인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불교문화 공간으로서의 불교 테마 공원 조성에 활용함으로써 불교와 불교문화의 저변 확대도 기대할 수 있다. In Buddhist scriptures, the plants appear a variety of ways that it related the Buddha`s life as well as representing the Buddhist doctrine and becoming an object of metaphor or symbol. So, I proposed that clarifying the plants in Buddhist scriptures and studying the plants Buddhist and botanically was new method for easy to understand Buddhist doctrine. Also, in a broad sense, Buddhism contains not only the Buddha`s word but culture, I emphasized that study plants in Buddhist scriptures should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ment of Buddhist cultural products. Because still early stage, the research level is revealing name and properties of plants, arranging plants on the use of scriptures and doctrine and classifying resource plants of the Buddha`s birthplace-oriented plants. However, in the future, plants in Buddhist scriptures are made a judgment that it can be performing a role as enough materials of the Buddhist culture products as well as an axis of contents development. Especially if we have pay attention to aspect of resource plant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besides a useful plant resources, we can provide Buddhist cultural things to see by utilization and plantation of plants based on Buddhist philosophy for landscaping around the temples. Also utilizing Buddhist theme park as the Buddhist culture space, expansion of the base of Buddhism and Buddhist culture can be expected.

      • KCI등재

        불교 경전 속 식물 연구의 의의와 활용 방안

        민태영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1

        In Buddhist scriptures, the plants appear a variety of ways that it related the Buddha’s life as well as representing the Buddhist doctrine and becoming an object of metaphor or symbol. So, I proposed that clarifying the plants in Buddhist scriptures and studying the plants Buddhist and botanically was new method for easy to understand Buddhist doctrine. Also, in a broad sense, Buddhism contains not only the Buddha’s word but culture, I emphasized that study plants in Buddhist scriptures should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ment of Buddhist cultural products. Because still early stage, the research level is revealing name and properties of plants, arranging plants on the use of scriptures and doctrine and classifying resource plants of the Buddha’s birthplace-oriented plants. However, in the future, plants in Buddhist scriptures are made a judgment that it can be performing a role as enough materials of the Buddhist culture products as well as an axis of contents development. Especially if we have pay attention to aspect of resource plant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besides a useful plant resources, we can provide Buddhist cultural things to see by utilization and plantation of plants based on Buddhist philosophy for landscaping around the temples. Also utilizing Buddhist theme park as the Buddhist culture space, expansion of the base of Buddhism and Buddhist culture can be expected. 불교 경전 속에는 붓다의 생애와 관련된 식물과 더불어 불교의 교리를 대변하거나 비유와 상징의 대상이 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식물이 등장한다. 따라서 불교 경전 속의 식물을 명확히 밝혀내어 불교적으로나 식물학적으로 규명하는 연구는 불교의 교리를 쉽게 이해하게 하는 새로운 방식이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넓은 의미에서의 불교는 단순히 붓다의 말씀 뿐 아니라 문화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불교 경전 속 식물 연구를 불교 문화상품 개발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논지를 정리하였다. 아직은 관련 연구가 초기 단계여서 식물명과 특성을 밝혀내는 정도이고 교리와 경전에서의 활용 중심으로 식물들을 정리한다거나 붓다의 탄생지 식물들을 대상으로 자원식물학적으로 분류를 해놓은 정도에 머물고 있다. 그러나 향후 경전 속의 식물들은 불교 문화상품의 소재로서나 불교 콘텐츠 개발의 한 축으로서도 충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특히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자원식물학적인 측면으로도 관심을 기울인다면 유용한 자원식물로서 뿐 아니라 우리나라 사찰 주변의 조경에 있어서도 보다 불교 철학과 사상에 입각하여 식물을 활용하고 식재하여 불교적인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불교문화 공간으로서의 불교 테마 공원 조성에 활용함으로써 불교와 불교문화의 저변 확대도 기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