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버대학 학습경험 요소 도출을 위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이은택,차정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3

        목적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 학습경험 연구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사이버대학교 학습자 관련 선행연구를 키워드 네트워크 방법으로분석하여 학습경험을 이루는 주요 요소와 관계를 구조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국내 학술지에 등재된 ‘사이버대학’, ‘원격대학’, ‘학습(자)’ 관련 논문 75개의 주제어를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하였으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가중 연결성, 위세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을 중심으로 보았으며 주요 키워드인 사이버대학, 사이버대학학습자, 온라인교육에 관해서는 에고 네트워크 분석하였다. 결과 사이버대학+학습자 관련 연구의 전체 네트워크 구조를 살펴본 결과 가중 연결성 부분에서는 학습성과, 실재감, 자기주도성, 만족도, 학업지속 키워드가 주요 키워드로 분석되었다. 가중 연결성, 위세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의 상위 3개 키워드인사이버대학, 사이버대학습자, 온라인교육을 대상으로 에고 네트워크 분석 결과 사이버대학 에고 네트워크는 학습성과, 학업지속, 실재감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사이버대학이 20살을 맞이하면서 성숙기로 돌입하고 있다. 그동안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양상도 다변화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다양한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다양성과 그에 대한 맥락을 이해하여 그들이 겪고 있는 학습 곤란함을 처방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사이버대학 연구에 있어서 온라인교육의 특성과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As a basic research for studying cyber university learning experience, this study aims to structurally identify the main elements and relationships that make up the learning experience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yber university learners using the keyword network method. Methods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on 75 keywords related to 'cyber university', 'distance university', and 'learning'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focused on weighted connectivity, dominance centrality, proximity centrality, and mediation centrality, and the ego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main keywords cyber university, cyber university learners, and online education. Resul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verall network structure of cyber university + learner-related research, the keywords learning performance, sense of presence, self-direction, satisfaction, and academic continuation were analyzed as major keywords in the weighted connectivity section. As a result of ego network analysis targeting the top three keywords of weighted connectivity, power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cyber university, cyber university learner, and online education, the cyber university ego network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learning performance, academic continuation, and sense of presence. Conclusions Cyber University is entering its maturity stage as it turns 20. The reality is that the patterns of cyber university learners have also diversified. Therefore, by understanding the diversity and context of various cyber university learners,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prescribe the learning difficulties they are experiencin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when studying cyber universities,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education and the changing digital environment must be kept in mind.

      • KCI등재

        사이버대학 학생정원 관리모형 개발

        이인숙,서순식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5 No.3

        사이버대학 학생정원의 증원은 학생 규모에 따른 교육여건의 확보, 신입생 충원율 등을 감안하여 결정되는데 정원 관리를 위해 고려되는 항목들이 사이버대학의 특수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항목별 기준도 미약하여 증원에 대한 자율 통제, 학습권 보호, 교육의 질 담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 학생정원 관리 정책의 취약점을 보완하고 사이버대학의 특장점을 살려서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교육의 질을 담보할 수 있는 학생정원 관리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사이버대학의 현황 및 질 제고 요소 분석, 전문가 의견조사 등을 통하여 사이버대학 학생정원 관리모형을 도출하였다 The Korea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EST) determines admission quota of cyber universities. MEST’s decision is made based on each university’s physical and administrative capacity for handling admission numbers. Howeve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cyber universities (e.g.,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are not considered in MEST’s current decision process. MEST also lacks specifics in their policies that are required to ensure university’s autonomous control for admission number as well as learners’ rights and quality assurance. This study intended to improve decision making process on admission quota of cyber universities so as to increase quality assurance of education. The alternative admission quota decision frameworks have been formulated based on (a) the analysis of the current practices of cyber universities, (b) focus group interviews, and (c) recommendations of the expert.

      • 한일 원격 대학 비교 연구

        박상현,조혜진 경희사이버대학교 사이버사회연구소 2010 사이버사회문화 Vol.1 No.1

        정보통신의 발달과 균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사회적인 인식 속에서의 원격대학의 등장은 필수적인 것으로 봐도 무방할 것이다. 원격교육은 다음과 같이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학생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 공부할 수 있다. 둘째, 직장을 다니는 학생들이 생계에 지장을 받지 않는다. 셋째, 경제적으로 부담이 많지 않아 누구나 쉽게 교육을 받을 수 있다. 넷째, 연령에 관한 심리적인 압박감 없이 평생 동안 언제든지 입학하여 공부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설립된 원격대학의 형태별 특성을 비교해 보았다. 특히 한일 간 원격대학을 비교하면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한국의 원격대학의 형태로는 사이버대학과 방송통신대학이 있다. 한국에서는 사이버대학의 숫자가 월등히 많다. 또한 학생들의 이동이 방송통신대학에서 사이버대학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사이버대학의 중요한 특성인 100% 온라인 수업이라는 이점과 함께 다양한 전공, 중상위권 일반 대학과 동일한 명칭 사용 등이 매력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한편, 일본의 원격대학의 형태로는 사이버대학과 방송통신대학, 그리고 한국에 없는 형태인 일반대학의 대학통신교육이 있다. 한국과 달리 일본의 사이버대학은 단 1개만이 설립되어 있어 방송통신대학과 대학통신교육에 비해 큰 열세를 보이고 있다. 이미 일반대학의 통신교육이 1950년대부터 시작하여 그 역사가 깊다는 점, 일본에서는 면대면 교육의 중요성으로 출석수업이 없는 사이버대학이 학생들에게 신뢰를 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 등이 그 이유라고 생각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IT increased and social awareness that one should be given an equal opportunity for education, the advent of distance education can be inferred to be a natural result. Distance learning has three features as follows. First, wherever they are, students can study in their community regardless of geographical conditions. Second, those who have a job should have no difficulty making their living. Third, students have easy access to the system, making education less of a financial burden. Finally, people can be accepted to a school regardless of age and study for their whole life. This paper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of distance learning university based on the features as stated above. We carried out the research on distance learning universities in Korea versus that of Japan and how it varies by types. There are two kinds of distance learning universities in Korea: cyber universities and open universities. In Korea, cyber universities are much larger in number than open universities. Additionally, it is a recent trend for students to move to the latter from the former. One of the most attractive features of cyber universities is the 100 percent e-learning system and the various courses for major and the same name as middle and high rank offline university played a large part in getting people to do that. Meanwhile, the kinds of distance learning universities in Japan are divided into three fields: cyber universities, open universities and correspondence education with off-line universities, which does not exist in Korea. Unlike Korea, Japan has only one cyber university, so it is inferior to the country’s open universities and correspondence education. Correspondence education has been in effect since the 1950's so it has a long history. Japanese education places importance on face-to-face education, unlike the cyber university system, which does not have an off-line attendance system. It is thought that all these points have made it impossible for students to establish trust.

      • KCI등재

        중국 사이버대학의 서비스 특성화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위건,권순동 한국벤처창업학회 2016 벤처창업연구 Vol.11 No.4

        This research focused on searching the specialized factors which affect the cyber universities’ performance. This research was approached from three perspective of professor, graduation and employment, and brand image to embody the cyber universities’ performance. We drew five factors of contents variety, contents quality, practical orientation of contents, lecture presence, and learning management as the Influencing factors of cyber universities’ performance. We proved our research model by analyzing 170 questionnaires which were completed by college students who were studying at cyber universities in China. The results of analysis are showed as below: 1) The level of contents variety can affect the cyber universities’ performance; higher level gains better outcomes. 2) The level of contents quality can affect the cyber universities’ performance; better quality gains better outcomes. 3) The level of practical orientation of contents can affect the cyber universities’ performance; the higher the better. 4) The level of lecture presence can affect the cyber universities’ performance; the stronger the better. 5) The level of learning management can affect the cyber universities’ performance; the higher the better.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특성화 요인을 찾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의 성과를 교수, 졸업 및 취업, 브랜드 이미지 측면에서 접근하였고,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사이버대학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특성화 요인으로 콘텐츠 다양성, 콘텐츠 품질, 콘텐츠 실무지향성, 강의 실재감, 학습관리를 도출하였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중국의 사이버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인터넷 설문을 배포하여 총 170부의 유효설문을 수집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 연구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콘텐츠 다양성 수준이 높을수록 사이버대학의 성과는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강의 콘텐츠 품질이 우수할수록 사이버대학의 성과는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콘텐츠 실무 지향성이 높을수록 사이버대학의 성과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강의 실재감이 높을수록 사이버대학의 성과는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학습관리 수준이 높을수록 사이버대학의 성과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는 사이버대학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학습자의 학습성과 향상 방안을 찾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와 달리 사이버대학의 비즈니스 모델 측면에 초점을 두고 접근하였다. 왜냐하면 교육 분야의 경쟁이 점차 글로벌 경쟁으로 심화되고 있어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로는 한계가 있어 새롭게 재검토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사이버대학 홍보전략 수립을 위한 실태분석 : 온 · 오프라인 매체를 중심으로

        김혜영 국제e-비즈니스학회 2008 e-비즈니스 연구 Vol.9 No.3

        Rapid change of educational environment are requiring more aggressive actions to universities. Cyber universities started in 2001 in a rising competition when number of student applying for university was decreasing and we had excessive oversupply of university. Cyber universities had to not only develop for the lifelong education market but also inform people about the new medium of study which is on-line study in order to build the stable applying ratio of students. Futhermore, they had to raise up its recognition. That's why Cyber universities have performed the aggressive PR strategies using diverse media.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ect the marketability of Cyber universities through analysis of the educational market and the change in educational environment. Also, it was planned to show the effective medium strategies through the analysis of on and off advertising medium. The result of thi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arket of Cyber universities have grown steadily for 7 years in a rising competition environment resulting from oversupply of university. This trend is likely to last. Secondly, Cyber university are doing very aggressive informing activities with diverse medium of media as much as they can. They prefer off-line mediums(63%) to on-line mediums(37%). According to this study, all that advertising they did seem to be cost-effective because 76% of entering students answer that they have seen the ad of a Cyber university at least once before applying. Finally, electric wave advertising such as outdoor-ad, radio and TV were more cost-effective among off-line mediums. And a free paper was more effective than a regular newspaper. That means those advertising spoke to the heart because most of applicants are office workers. The search-based advertising with a key-word was very cost-effective. On the other hand, the on-line banner advertising was not. And 33% of entering students of Cyber universities answered that they got to know about Cyber university and made a decision to apply for Cyber university with the diverse advertising. 급속한 대학교육 환경변화로 인해 적극적인 대학홍보의 필요성에 요구되고 있다. 대학지원자 수 감소, 대학의 공급초과현상이 이미 나타나기 시작한 2001년 개교한 사이버대학은 설립당시부터 이미 심화된 경쟁 환경 속에서 출발하였다. 사이버대학은 안정적인 입시지원율을 구축하기위해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평생교육이라는 시장을 개척해야한다는 것과 온라인 교육이라는 새로운 교육매체에 대해 교육수요자에게 설득해야만 했고, 또 한편으로는 신설대학으로서의 대학 인지도를 높여야 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이버대학들은 적극적인 홍보 전략을 펼쳐왔으며, 다양한 매체전략을 실행해 왔다 본 연구는 교육환경 변화와 함께 우리나라 교육시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사이버대학의 시장성을 전망하고자 하였다. 또한, 온-오프라인 광고홍보매체에 대한 효과분석을 통해 매체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사이버대학시장은 공급초과로 인해 심화된 경쟁 환경 속에서도 지난 7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으며, 이러한 성장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사이버대학들은 현재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활동을 하고 있으며, 온라인 광고매체(37%)보다는 오프라인 광고매체(63%)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온-오프라인 광고매체를 이용한 홍보활동에 대한 효과분석에서는 사이버대학입학생 중 76%가 적어도 한번 이상 특정 사이버대학의 광고를 본적이 있다고 응답해 광고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오프라인 매체 중에서는 옥외광고를 비롯하여 라디오, TV와 같은 전파광고 등이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인쇄매체 중에서는 일간지 보다는 무가지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이버대학 재학생의 대부분이 직장인이라는 것과 연관 지어 생각해 볼 수 있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온라인 광고 중에서는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광고에 대한 효과가 높게 나타난 반면, 온라인배너광고 등의 효과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이버대학의 입학생 중 33%가 광고홍보활동을 통해 사이버대학에 대해 알게 되었고, 이것이 입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응답해 사이버대학의 광고홍보활동은 입학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태조사 결과는 사이버대학의 광고홍보계획을 수립하는데 참고가 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매체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사이버대학생과 컨소시엄사이버대학생의 이러닝 실재감과 자기효능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성열,남민우,임종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2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4 No.1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learning achievement with selected factors such as e-learning presence and self-efficacy. The learning presence was composed of teaching presence,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in the study. Learning achievement consists of sub-factors such as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588 from the Open Cyber University and 1,133 from Consortium Cyber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 on-line survey. The followings were the major results. First, it was revealed that cognitive presence, teaching presence and self-efficacy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with the Cyber University students. Meanwhile, all variables including social presence affected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with the Consortium University students. Second, in terms of magnitude of the effect, cognitive presence and teaching presence were identified having greater influence on learning achievement in the Cyber University. Third, social presence in the Consortium University was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 which affects learning achievement in comparison with the Cyber University. 이 연구는 사이버대학생과 컨소시엄사이버대학생의 이러닝 실재감(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과 자기효능감이 학습만족도와 지속의향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O사이버대학교 학생 588명과 O컨소시엄사이버대학교 학생 1,133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대학생의 학습만족도와 지속의향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지적 실재감, 교수실재감, 자기효능감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컨소시엄사이버대학생들은 인지적 실재감,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등의 모든 변인들이 학습만족도와 지속의향의 학습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사이버대학생과 컨소시엄사이버대학생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분석하면 사이버대학생은 인지적 실재감과 교수실재감 등이, 컨소시엄사이버대학생은 인지적 실재감과 자기효능감이 다른 변인에 비해 학습성과에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컨소시엄사이버대학생은 사이버대학생과 비교하여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성과에 유의한 영향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 의미있는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습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례

        심미자 한국교육컨설팅학회 2016 교육컨설팅연구 Vol.4 No.1

        사이버대학과 일반 오프라인 대학은 수업운영 방식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특성에서도 많은 차이점이 있다. 즉, 사이버대학의 수업은 콘텐츠 기반의 온라인 중심으로 운영되며 학습자들은 연령층과 직업분 야, 입학동기 등이 다양하다. 따라서 학습자들에게는 자기주도적인 학습역량이 요구되며, 대학 차원에서 는 성인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교수-학습지원을 해야 한다. 특히 사이버대학은 학습자들의 상황적 요인에 의한 중도탈락율이 일반대학에 비해 높은 편으로 입학에서 졸업까지의 지속적인 학습지 도가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 학습자들의 요구분석에 기초한 맞춤형 학습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례를 통해 학습자들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B 사이버대학 재학생으로 학습실태 조사를 기반으로 한 요구조사 분석을 토대로 1) 디지털 리터러시 강 화, 2)상호작용 강화, 3) 대학생활 안정화, 4) 실무능력 강화, 그리고 5) 학습자 맞춤형 콘텐츠 개발과 운영 등 다섯 가지 영역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서 는 사이버대학의 특성과 학습자들의 요구를 적극 반영하여 학습동기와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사 이버대학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온라인 수업의 한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교수-학습지원이 이루 어져한다.

      • KCI등재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촉진을 위한 강의교안 가이드라인 개발

        강수민(Soo-Min Kang), 이지은(Ji-Eun Lee), 서희정(Hee-Jeong S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사이버대학이 평생학습의 주요 교육기관으로 성장함에 따라 사이버대학 수업의 맥락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의 지원 요소 개발에 대한 현장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수학습의 지원 요소 중 강의교안에 주목하였고,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실용적 방안을 가이드라인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였다. 방법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개발은 총 7단계의 절차에 걸쳐 진행되었다. 첫째, 문헌 분석을 통해 오프라인 대학과 다른 사이버대학의 맥락을 이해하고, 사이버대학 학습자를 위한 자기주도적 학습에 대한 정의에 기반 한 연구계획을 수립하였다. 이어서 분석과 개발, 검증의 단계로 나누어 가이드라인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A사이버대학교 직원과 심층면담을 통해 강의교안 개발과 활용, 핵심 요소 등을 점검하고, 그 분석 결과를 통해 3가지 설계 전략을 수립하였으며 가이드라인의 지침으로 삼았다. 가이드라인은 수업의 서론과 본론, 결론에 필요한 요소와 작성 방법, 자기주도적 학습의 기대효과로 구성되었으며, 이는 실무진과 A 사이버대학 교수자의 검증을 통해 최종 도출되었다. 결과 연구 결과, 첫째, 실무진 심층면담을 통해 A 사이버대학의 강의교안 개발 현황과 제공의 필요성, 교수자의 강의 스타일과 교수학습요소의 관련성,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를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A 사이버대학의 우수 강의교안 사례 분석을 통해 강의교안 설계가 도입-본론-결론의 큰 프레임을 기초로 과목별 특성과 내용, 강사 및 교수 설계자의 의도, 구현 전략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강의교안 개발 가이드라인의 교수학습요소와 프레임 도출의 근거가 될 수 있도록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촉진을 위한 강의교안의 설계 전략 3가지를 도출했다. 셋째, 수업의 도입과 본론, 결론의 각 영역에 포함되어야 할 요소와 그 정의, 작성 방법, 자기주도적 학습 측면에서의 기대효과를 중심으로 최종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에 대하여 사이버대학과 온라인 강의를 주로 활용하는 평생교육기관에 주는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As cyber university grow into a major educational institution for lifelong learning, there is a growing demand in the field for the development of support eleme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that considers the context of cyber university class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course content among the supporting elem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ried to reveal practical ways to promote self-directed learning for cyber university’s adult learner through guidelines. Methods The development of specific guidelines was carried out in seven steps. First, a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offline universities and other cyber universities, and a research plan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defini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for cyber university students. Next, the guideline content was organized into stages of analysis, development, and validation. In-depth interviews with A Cyber University staff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eaching plans and key elements. From the analysis results, three design strategies were established and used as the basis for the guidelines. The guidelines consisted of the introduction and main body of the class, the necessary elements and writing methods for the conclusion, and the expected outcomes of self-directed learning. These guidelines were ultimately validated by the staff and instructors at A Cyber University.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several findings emerged. First,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aff, it was discovered that the current status of course plan development and the need for provision at A Cyber University were related to the instructors' teaching styles, teaching-learning elements, and the necessity for guideline development strategies for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Additionally, an analysis of exemplary lecture plans from A Cyber University revealed that the lecture plan design could be compos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 of each subject, the intentions of the lecturer and instructional designer, and the implementation strategy based on the overall structure of introduction, body, and conclusion. Second, three strategies for designing lecture plans aimed at promoting self-directed learning for cyber university students were derived, which served as the basis for determin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elements and framework for the lecture plan development guidelines. Third, the final guideline were derived focusing on the elements to be included in each area of the introduction, main body, and conclusion of the class, their definitions, writing methods, and expected effects in terms of self-directed learning.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mainly utilize cyber universities and online lectures were presented.

      • KCI등재

        한.중 사이버대학의 비교 연구

        책리하(Lixia, Zhai),박창언(Changun,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는 한⋅중사이버대학을 개선하는 데에 서로 참고할 수 있도록, 협력할 때 서로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 한⋅중 사이버대학의 규정 제도, 교육과정 체계, 발전동향 등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한국 21개의 사이버대학과 중국 68개의 사이버대학을 대상으로 양국의 주제와 관련이 있는 선행연구, 각 사이버대학의 홈페이지에 있는 정보, 교육부 자료 등을 정리⋅검토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규정제도의 경우에는, 학습자의 입학 자격, 전형 기간 등 큰 차이 없는데 한국사이버대학은 신입생, 편입생으로 나눠서 학생을 모집하는데 중국 사이버대학이 나누지 않으며 중국 사이버대학은 입학 시험, 재학 기간이 있는 반면에 한국 사이버대학이 그런 요구가 없다. 교육과정 체계의 경우에는, 한⋅중 사이버대학은 모두 전문대학과 대학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데 중국 사이버대학은 대학원 교육과정 운영하지 않으며 한국 교육과정은 여러 가지의 단기 연수가 적은 편이다. 결론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사이버대학은 재학 기간을 적당한 기간으로 제한을 내리는 것, 다양한 비학력 교육과정의 마련, 중국 사이버대학은 모두 사이버대학 정보를 일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의 구축, 대학관 교육 과정의 도입 등 제안을 해 보았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mutual reference for improving the Korea-China cyber university and to recognize each other when cooperate with each other. Methods In this study, 21 cyber universities in Korea and 68 cyber universities in China were organized and reviewed and compared with previous researchs, information on each cyber university s website, and documents related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Results 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regulatory system,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nrollment qualifications, screening period of learners, but Korea Cyber University recruits students by dividing them into freshmen and transfer students. In the case of the curriculum system, both Korean and Chinese cyber universities operate junior colleges and university curriculum, whereas cyber universities in China do not operate master degree s course, and Korean curriculum has few short-term training program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ers tried to give some introductions such as cyber universities in Korea limit their enrollment period to an appropriate period, prepare various non-academic education courses, and establish a website for all cyber universities in China to collectively grasp cyber university information, ect.

      • KCI등재

        사이버대학 시각예술과 교육과정 연구

        김현주 ( Hyun Joo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2

        교육과정 구조 속에서 운영되는 수업콘텐츠의 질 관리 문제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교육의 전체 그림을 제공하는 사이버대학에 적합한 시각예술과 교육과정의 설계와 개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미술학과 수준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문서화된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였으며, 이에 대한 평가연구 역시 미약한 상태였다. 사이버대학에서는 일반대학과는 다른 교육적 배경을 지니고 있으며 대학에 입학하는 학생들을 어떻게 교육하고, 또한 급변하고 있는 시대적 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대학의 교육과정을 어떻게 변화 발전시켜야 할 것인가에 대하여 깊이 있게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사이버대학 시각예술과 교육과정의 분석결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목표의 분석결과의 공통점은 자격가치 및 실용가치 지향에 두고 있으며 평균 8개의 자격증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이버대학교는 140학점의 졸업이수학점제를 모두 일괄적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학점 구성과 교과목 편성에 있어서도 매우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이버대학 미술학과 이론과 실기의 교과목 편성을 살펴보면 실기와 이론과목 비율은 평균 27.6:72.4의 비율 정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 시각예술과 교육과정의 교육목적, 전공 교양 교과목, 그리고 실기와 이론의 편성 비율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사이버 대학에 적합한 시각예술과 교육과정의 설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 교육환경과 정보기반사회에 적합한 사이버대학 시각예술과 교육과정의 양적 분석을 근거로 시각예술과 교육과정 설계를 제시한 연구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우리나라 고등교육과 21세기 문화 경쟁력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Design and development of proper education program for Cyber university is required prior to management of quality control of education contents. It is necessary to have distinct characteristics at the level of University as well as each department. So far, documented education program for the art department is lacking and the evaluation study of this program is limited as well. Cyber university have different edcational background from general University, and thus, it should be discussed in depth how to teach students at Cyber university, how to deal with the rapid changes of the times. The analysis results for education program of the art department at Cyber University is as follows. First, education goal put emphasis on the practical value of qualification and they suggest various types of certificate. Secondly, most cyber universities adopt 140 credits for graduation and have the similar curriculum and organization. Thirdly, the ratio of theory and practice for the curriculum of the Art department at Cyber University is about 27.6 to 72.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ducation program of the Art department which is ideal for Cyber University, based upon complete analysis of education goal, general and major subjects, and theory and practice curriculum. This study will provide new idea for education program design of the art department at Cyber University which is proper for information-based society, and contribute to set future higher education and ensure cultural competitiveness for 21st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