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컴퓨터 그래픽스 커뮤니티에 소개된 사운드 관련 연구들

        유민준(Min-Joon Yoo),이인권(In-Kwon Lee)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09 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Vol.15 No.1

        사운드는 가상현실 및 컴퓨터 애니메이션에서 사용자의 현실감 및 집중도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에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도 연구자들이 사운드 관련 연구들에 관심을 가지고 여러 컴퓨터 그래픽스 학술지와 학회에 주목 할만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 소개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관심을 가지는 사운드 연구의 주제에 대하여 알아보고 중요성을 가지는 논문들을 소개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다음 두 가지 분야의 논문들을 소개한다. 첫째, 사운드를 물리적으로 합성함으로써 그래픽스의 물리 법칙에 동기화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이다. 둘째, 음원에서 나오는 사운드가 사람에게 들리는 음향적 환경을 모델링하는 것이다. 사운드에 대한 연구에서 주된 관심은 이러한 음향학적인 물리법칙을 더욱 효율적으로 모델링하여 적은 자원으로도 실제적인 사운드 효과를 발생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을 중점으로 다양한 사운드 관련 논문들을 살펴보고 컴퓨터 그래픽스와의 관계를 살펴보도록 한다. Sound is very important element to enhance and reinforce reality and immersion of users in virtual reality and computer animation. Recently, significant researches about sound modeling are presented in computer graphics cummunity. In this article, main subjects are explained and major researches are rewiewed based on the sound papers presented in computer graphics community. Specially, several papers about following two subjects are reviewed in this paper: 1) synthesing sound using physically-based laws and generating sound synchronized with graphics. 2) spatializing sound and modeling sonic environment. Many research about sound modeling have been focused on more efficient modeling of real physical law and generate realitic sound with limited resources. Based on this concept, various papers are introduc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es about sound and graphics is discussed.

      • KCI등재

        중국 역사문화거리에 문화 중심의 사운드스케이프 기초 연구

        갈벽소(Bi Xiao Ge),문정민(Jeong Min Moon)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4

        역사문화거리는 한 도시의 소중한 자산이며 사운드스케이프는 역사문화거리 환경의 중요한 부분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진정성에 관한 나라(奈良) 문서』 및 기타 국제 협약이 체결되었으며 이는 사람들이 역사 및 문화 거리 보호에 대한 사운드스케이프의 의미와 역할을 인식하기 시작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방향에 따라 중국 명·청 시대부터 민국 시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문화 중심의 역사문화거리에서 사운드스케이프의 기초적 의미를 연구하고, 역사문화거리에 사운드스케이프의 보완 및 보호에 관한 후속 연구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연구 방법은 선행연구와 문헌 자료의 이론적 조사를 통해 수행된다. 문헌 자료의 정리분석을 통해 역사문화거리에 사운드스케이프의정의, 유형과 특징을 도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문화'의 의미와 특징을 결합하여 문화 중심의 사운드스케이프의 문헌을 통해 역사문화거리에서 문호 중심의 사운드스케이프의 정의, 유형, 구성요소 및 특징을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본연구는 지금까지의 개념과 문헌분석을 바탕으로 역사문화거리에서 문화 중심의 사운드스케이프의 기본개념을 도출하여 후속 연구와 역사문화거리에 사운드스케이프의 보완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Historic and cultural districts are the precious wealth of a city, and the soundscape is an important part of the environment of historic and cultural districts. In recent years, people have signed the Nara Authenticity Document and other international conventions, marking that they began to realize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soundscape for the protection of historic and cultural districts. Based on the trend, this study takes the historic and cultural districts from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o the Republic of China as the research object, and summarizes the basic concept of the culture-centered soundscape in the historic and cultural districts, which provides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subsequent research on the remediation and protection of it. It adapts the research methods of advance research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literature data. And it concludes the definition,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undscape in the historic and cultural districts through the collation and analysis of the documents. It also concludes the definition, type, constituent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e-centered soundscape in historic and cultural districts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conno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the research literature of culture-centered soundscape. Finally, it derives the basic concept of culture-centered soundscape in historic and cultural districts, which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and guidance for a series of subsequent studies and the protection of it.

      • FW-H 방법을 이용한 잠수함 표면 처리에 따른 소음 전산 해석

        김승기(Seunggi Kim),유재영(Jaiyoung Ryu)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11

        Submarine has been performed for national defense activities representatively. Underwater Radiated Noise (URN) which emitted during underwater vehicle operat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survivability of the underwater vehicle.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effects of surface treatment on noise aspects in submarine. Numerical simulations were conducted for two cases : smooth surface as a reference case, and V-type riblet. To solve the incompressible fluid flow passing the submarine, the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 coupled with the k-ω SST turbulence model was us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noise radiation around the submarine,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noise radiation effect in the middle part of the submarine body. And the results indicate that overall sound pressure level can be reduced about maximum 4 dB at far-field by applying riblet surface. This study provides more enhanced understanding about the surface design on underwater vehicles to reduce underwater radiated noise.

      • KCI등재

        국립국악원 악기연구소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안

        임미선(Lim, Misun) 국립국악원 2016 국악원논문집 Vol.34 No.-

        국립국악원에 악기연구소가 개소된 것은 2006년으로 설립 당시 악기연구소의 주요 목적은 악기연구 및 개발에 있었다. 국립국악원에서는 일찍이 1965년부터 악기개량 사업을 시작하였고, 이후로 국악기 개량 사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악기개량 사업에서 한 단계 나아가 1989년부터 악기연구로 방향을 전환하면서 본격적인 연구사업이 실시되었다. 악기 음향연구, 음고측정 프로그램 개발, 음향 특성과 방사패턴에 대한 조사 및 연구가 2005년까지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2004년 창작악단의 출범은 안정적인 기반에서 체계적인 악기연구를 위한 전문연구소의 필요성을 더하게 되었다. 국악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하여 현대인의 미감에 맞는 악기연구의 필요성과 더불어 국악 대중화 실현을 위한 악기 보급 등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도 악기연구소 설립의 목적이 되었다. 2006년 악기연구소가 출범하여 악기연구를 위한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한 지 어느덧 10년의 세월이 지났다. 악기연구소 개소 10주년을 맞는 시점에서 국립기관으로서 악기연구소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립국악원의 비전과 목표에서 강조하고 있는 국악의 창조적 계승과 미래전략 수립에 악기연구소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한 숙고가 필요하다. 본고는 악기연구소 개소 10주년을 맞는 시점에서 악기연구소의 새로운 도약을 위하여 그간 추진해온 사업 성과와 그 이면의 한계를 진단하고, 악기연구소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안에 대하여 악기연구, 음향연구 창작, 교육 등의 측면에서 제시하는 데에 목적으로 두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악기연구소의 발전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연구소 기능강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행정 조직의 확대와 전문연구원 확충이 시급하다. 또한 중장기 발전방안에 대한 실천전략이 구체적이고 유기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본다. 한편으로 국악원의 사회적 역할로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교육에 기여하는 것이므로 이를 위해 교육용 국악기, 국악교구 개발을 강조하고 싶다. National Gugak Center launched a project to improve musical instruments in 1965 and the improvement of Gugak instruments was continued until 1989. Since then, efforts had been made to study the sound of instruments, to develop a program for measuring the pitch and to investigate features of sound and radiation patterns till 2005. As National Gugak Center established a special orchestra for creative music in 2004, people suggested the necessity of creating a professional institute to systematically study musical instruments. As a result, the korean musical instrument research office was built in National Gugak Center in 2006. It already has been a decade since the National Gugak Center was launched to prepare the basis for new development in the studying of musical instruments. It is a state-funded research center and from such an aspect, it can be said that the center has inherited the historicity of Akgidogam created during the era of Great King Sejong when the independent culture of Korean people was blooming and Akgijoseongcheong was established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era. This paper proposes development plans to activate the korean musical instrument research office focusing on a study of musical instruments and the gugak sound, creation and education, in order to diagnose results of projects that the center had pursued and their limitations and to find ways to develop the center. The details are as follows. The center, first of all, should strengthen its functionsin order to enhance its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it is urgent for the center to expand its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to increase the number of professional researchers. The most important part of National Gugak Center s social roles is to make a contribution to education. For this, gugak instruments for education and related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practical strategies for mid-term development plans should be formed specifically and organically. It is time to deeply think about how the center will cope with the creative inheritance of gugak and the establishment of future strategies which have always been emphasized regarding the vision and goals of National Gugak Center.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for the center to think about its roles to promote the globalization of gugak.

      • KCI등재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사운드스케이프 교육 수용 가능성 연구

        김서경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1 음악교육공학 Vol.- No.13

        This study searched for characteristics, aims and cont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music curriculum to find educational acceptability of soundscape which interacts positively with the students' daily life. We recognize music not only as art, but also as acoustic ecology through the soundscape study. And the soundscpe study ha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 and humans, and has opened up possibilities to make and use artistic work for their essential life. In this sense, if we don't limit sound materials which are used in the subject of music and the range of expression media and we use all sound of our environment as the source of musical expressions, we can have not only attitudes about our environment study, but also ideal opportunities to study sound which is based in acoustic cognition. In the process, it can develop creativity, logical thinking and inquiring minds and can provide an approach to contemporary music which has not been considered for study in school and have wide applications in other subjects. 본고의 목적은 사운드스케이프의 중요성 및 이에 대한 교육적 접근 필요성을 음악 교육 내에 수용하자는 의도에서 초등음악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면에서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이에 사운드스케이프 연구 내용을 토대로 음악교육과의 관계를 논의하고, 사운드스케이프 교육이 무엇이며, 이 관점에 입각한 음악교육의 수용가능성을 성격, 목표, 내용면에서 설명하였다. 사운드스케이프 교육은 음악을 소리환경이라는 큰 틀 속에서 인식하도록 하며, 현대사회의 환경과 인간과의 관계성에 초점을 두고 보다 본질적인 삶에 전념하게 하는 음악활동 전형을 만들어서 활용하는 데 가능성을 둔다. 목표 및 성격에서 사운드스케이프 교육은 음악의 지평을 현재 시제를 통해 소리-사람-환경의 의미에서 음향학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으로 확대하고, 학생들의 다양한 음향적 소통방식과 문화예술로써 자신의 삶을 바라볼 수 있는 보다 실질적인 접근을 고려하고 있다. 내용에서 소리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학생들의 직접적 체험을 통해 이해할 수 있는 개념을 핵심으로 한다. 사운드스케이프 교육 수용은 자신이 속한 환경탐구에 대한 태도 및 청각인식에 바탕을 둔 소리개념을 탐구할 기회를 갖게 한다. 그 과정에서 교실환경에서 접근하기 어렵다고 여겨지는 현대 음악에 대한 가능성과 타 교과와 상호연관성을 꾀할 수 있다.

      • KCI등재

        Murray Schafer의 사운드스케이프 개념을 바탕으로 한 무용작품 〈RE:discovery〉의 창작과정 연구

        라세영(Se-Young Ra),최상철(Sang-Cheul Cho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6

        본 연구는 머레이 쉐이퍼(Murray Schafer)의 사운드스케이프(Soundscape) 개념을 통해 소리의 구분, 지각, 요소의 이해를 바탕으로 일상생활 속의 소음과 비음악적인 소리를 활용한 무용작품 〈RE:discovery〉의 창작과정과 이에 대한 음악적인 효과 및 새로운 안무 유형의 가치를 탐구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두었다. 실기기반연구(Practice-based Research)의 방법론적 연구에 따라 실기, 이론, 평가의 단계를 몸적 자료(Somatic Data)로 축적하였으며, 『공간디자인과 조형연습』(2003)의 일부분을 기반으로 형상화 방법, 움직임 형식, 공간화 방식으로 제시하여 분석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 결과 창작과정에서 사운드스케이프, 즉 일상생활 속의 소리에 대한 음악적 효과 및 새로운 움직임 창작방법을 발견해낼 수 있었으며, 소리 역시 작품의 전반적인 분위기, 움직임의 의미, 작품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아울러 사운드 스케이프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연구되어 나타난 소리에 대한 잠재적 가능성은 무용작품의 또 다른 창작환경을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is subjected to two linked research. First is the creation process of dance work <RE:discovery> applying noise and non-musical sounds in our daily life based on understanding the classification, perception, and factor of the sound, through Murray Schafers concept of soundscape. Second is to find the value of new type of choreography and musical effect of creation process of the dance work 〈RE:discovery〉. According to methodological research of practice-based research, three stages which is practice, theory and evaluation were accumulated as somatic data, And the analysis was provided a basis by presenting in a figuration , form of the movement and method of specialization with reference to the paper 『space design and forming practice』(2003). As a result, the creation process was able to discover the musical effect of the sound in daily life and new method of choreography, and also find the possibilities that sound could convey the theme of the dance work, the meaning of the movement and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work to audienc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will have been made another new creation environment by potential that music has based on concept soundscape.

      • KCI등재후보

        한ㆍ중 다음자(多音字)의 특징에 대한 고찰

        이연주(Lee Yeon-Joo)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4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구내용들을 바탕으로 다음자의 정의와 생성요인을 정리해보고, 다음자의 유형을 체계적으로 분류하며, 이에 나타난 언어현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 한국 한자어에서의 다음자의 특징 및 중국어 다음자와의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고, 한ㆍ중 다음자 연구 특히 한국 한자어에서의 다음자 연구 시 고려되어야 할 측면에 대해 논했다. 한ㆍ중 다음자의 비교연구는 다음자의 생성시기를 구분하지 않고 성모, 운모, 운미에 의해 단순하게 어음비교를 하는 것은 의미가 없으며, 한국 한자어에만 존재하는 다음자를 정리하여 그 발음의 유래를 추적해보는 것이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또 다음자와 관련해 한국 한자어의 장단음에 대한 연구가 향후 보다 심도 있게 이루어져야 할 영역이며, 이는 고대 중국어 연구는 물론 고대 국어연구에도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reviewed the definition of duoyinzi(多音字) in Chinse language and examined how they were formated. Then it classified their types and examined the linguistic phenomena behind their formation. It also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duoyinzi in Sino-Korean word and examined how it is different with duoyinzi in modern Chinse. At last, it examined what needs to be studied in the study of duoyinzi in Sino-Korean and Chinese language, especially in Sino-Korean words. In the comparative study of duoyinzi in Chinese and Sino-Korean words, there's no meaning just comparing the phonetic sound according to initial consonant(?母), final sound(?母), ending of a final(?尾), without considering when they were formulated. It will be a meaningful work to find the duoyinzi that are in Sino-Korean words only and tracing the origin of the pronunciation of those words. At the same time, in studying duoyinzi, prolonged and short sound of Sino-Korean words is an area on which in depth study is required.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duce very valuable information not only for the study of archaic Chinese but also for old Korean.

      • KCI등재

        노이즈의 역설: 유토피아적 실현인가? 디스토피아적 상상인가?

        김경화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7 音樂論壇 Vol.38 No.-

        이 연구는 ‘노이즈’라는 소리 현상이 음악이라는 ‘질서’ 혹은 ‘형식’ 안에 서 어떠한 존재감을 드러내는지, 어떠한 장치로 작동하는지, 또 어떠한 존 재론적 역설을 담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다룬다. 요즘의 음악 환경을 둘 러보면 노이즈, 더 정확하게 ‘노이즈 사운드’는 음악을 구성하는 중요한 재 료가 되었다. 노이즈를 소재로 사용하여 독창적 사운드 효과를 창출하는 음악을 비롯하여 도시에서 들리는 일상의 노이즈를 샘플링하거나 전자적 방식으로 인공의 노이즈를 가공하여 만든, 노이즈 자체를 수단으로 하는 음악까지 그 종류는 다양하다. 이 연구는 노이즈-음악에 주목하지만 그 구 성 원리나 테크니컬한 측면을 다루지는 않는다. 오히려 음악 안에서 구현 된 노이즈라는 독특한 소리 현상에 대해 살펴본다. 노이즈는 청각적으로 ‘불쾌감’을 주거나 ‘공격적인’ 소리이다. 그러나 노 이즈가 음악적으로 컨트롤될 때 이러한 부정적 잠재성은 사라진다. 음악 질서 안에 흡수된 노이즈는 매력적인 사운드로 탈바꿈하게 된다. 그러나 다른 한편 노이즈는 폭력과 위협의 기제로 작동하면서 음악 안으로 통합되 기를 거부한다. 과도하게 증폭된 볼륨이나 거칠고 극단적인 노이즈를 추구 하는 음악은 우리에게 더욱 폭력적으로 다가온다. 음악 안에서 노이즈 정 체성은 언제나 고정적이지 않다. 이 연구에서 노이즈-음악에 묻는 ‘유토피 아적 실현인가, 디스토피아적 상상인가’라는 질문은 노이즈를 추구하는 예 술 형태가 궁극적으로 도달하려는 세계에 대한 물음이기도 하지만, 그보다 는 노이즈가 본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역설적 측면에 대한 물음에 가깝다. 노이즈 탐구는 결국 예술 안으로 가지고 들어온 세상에 대한 이야기이며 인간에 대한 탐구가 될 것이다. This study deals with how the noise is presented in musical order and/or form, what kind of function it has and what kind of anthological paradox it has. In the music scene today, the noise, ‘the noise sound’ to be more specific,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materials to compose music. There are various ways of using noise: creating a unique sound effect, sampling the noise of everyday life such as the city noise, producing artificial noise through electronic equipments, using the noise itself as music and so on. This study focuses on noise music but it doesn't deal with the composition principle or techniques. Rather, it treats the paradoxical phenomenon of noise which is formed in music. Noise is recognized as ‘unpleasant’ or ‘violent’ sound. However, when the noise is controlled in music, these negative aspects disappear and it actually becomes attractive sound. On the other hand, the noise works as something violent and threatening, which means it doesn’t get harmonized in music. The noise music using amplified volume or extreme noise tends to be too violent for us. Thus, the identity of noise is not always fixed in music. The question of this study “Is it the realization of Utopia or the imagination of Dystopia?” is about which ultimate world in the art form is pursuing using noise, but it is closer to a question regarding the paradoxical aspects of the noise itself. The study of noise is about our world which is reflected in art and ultimately, it is going to be a study of humanity.

      • KCI등재

        유브이(UV)의 사운드 이미지 : 90년대 문화 기억에 대한 패러디와 오마주를 중심으로

        이우영(Lee Woo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8

        본 연구의 목적은 가장 강력하게 이전 시대와의 결별을 선언했던 1990년의 사운드의 미학적 분석에서부터 시작한다. 그래서 본고는 90년대의 사운드와 그 미학적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해 조금 우회적인 접근법을 채택하려는것이다. 그것은 바로 2010년대 UV가 시도한 역설적 결과물들과 궤를 같이한다. UV는 작품 속에서 90년대 대상에대하여 신랄하고 유쾌한 패러디, 혹은 존경의 의미를 담아 오마주를 시도하고 있다. 사운드와 연계된 텍스트, 그속에 내포된 음악적 어법(idiom), 사운드 제작기술의 맥락, 기호학적 분석 등을 통해 그들이 다시 찾고자 하던 90 년대에 대한 심층적 구조들을 본 연구를 통해 수면 위에 올려놓기를 요청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들이 현재의 사운드 기술력으로 재현한 90년대에 대한 독특한 리얼리즘적 표현양식은 상당히 이색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UV에의해 당대 90년대의 신개념 음악 문화의 성분들과 기술, 그리고 그것을 재생산하기 시작한 클리셰들을 적나라하게재현되는데, 그 후경(後景)속에서 내재된 의도들과 사운드 이미지들을 통해 우리 모두의 경험들, 90년대를 유력하게 장식했던 X세대의 형 누나들을 성공적으로 호출하였다. 부가적으로 UV는 최초의 (가수에게 분리된) 순수주의춤, 자의식을 지닌 진지한 음악인, 우상들, 지나간 추억들과 그리움과 세월들, 기억의 왜곡으로 충만했던 이미지, 허세와 진실의 혼종이라는 다채로운 테마를 선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start the aesthetic analysis of sound in 1990, which most strongly declared a separation from the previous era. In this context, this paper tries to adopt a slightly roundabout approach to look into the sounds in the 90s and their aesthetic identity. This approach matches the direction where UV has tried to make paradoxical outcomes in 2010. UV tried Hommage in their work with respects or astringent and pleasant parodies for their objects reflecting the 90’s. In other word, they strived to put the in-depth structures of the 90’s that they were looking for back on the surface by texts associated with sounds, social idiom embedded in the texts, context of sound production technique and semiotic analysis. These also act as friendly emotions of memories and longings to the public. Therefore, this paper can also discuss the unique ways of realism in the 90’s that they reproduce with current sound technology.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can analyze the intentions and symbolism inherent in the Hintergrund, in terms of plainly reproducing the cliche of the components and technique of the new concept of the music culture in the 90’s reproduced by UV. All of our experiences, successfully called Generation X s older sisters, and presented a variety of themes: the first pureist dance, self-conscious serious musician, idols, past memories, yearning and years, fictional images, bluffing and a mixture of truth. Key words : UV, Cultural Memory, Sound Studies, Sound-Cogito, 90’s Music

      • KCI등재

        말소리 정확성을 위한 청지각적 평가에 대한 문헌 연구

        김지연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3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4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recent research trends on various factors that can affect the auditory perception of speech. The results of analyzing 13 previous studies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focusing on the measurement method of speech sound accuracy, the type of speech stimulus used, and the effect of the auditory experience or ear training of the rater, are as follows. First, speech sounds of normal children in the process of speech sound development were most often used as speech stimuli used for speech sound evaluation. Second, transcription and scale methods were mainly used as measurement methods for auditory perceptual evaluation, and there were many studies using a 3-point scale and a visual analog scale. Thir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ear training on speech sound evaluation, undergraduate or graduate students studying speech pathology participated mainly. Many studies have revealed that ear training or speech listening experience i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reliability or accuracy of auditory perception evaluation. 본 연구는 말소리를 청지각적으로 평가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들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말소리 정확성의 측정 방법, 사용된 말자극의 형태, 평가자의 청지각적 경험이나 훈련의 효과 등을 중심으로 선정 기준에 따라 선행 연구 중 13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말소리 평가에 많이 사용된 말소리 자극은 말소리 발달 과정에 있는 정상 아동들의 말소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둘째, 청지각적 평가에 사용되는 측정 방법으로는 전사와 척도 방법이 주로 사용되는데, 3점 척도와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를 사용한 연구들이 많았다. 셋째, 말소리 평가에서 귀 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언어병리학을 공부하고 있는 대학생이나 대학원생들이 주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많은 연구들에서 귀 훈련이나 말소리 듣기 경험이 청지각 평가의 신뢰도나 정확도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다고 밝히고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에서도 말소리장애 평가에 청지각적 훈련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이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