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운드 디자인 아이덴티티 검증을 위한 렌즈모델 평가방법 제안

        남궁기찬(Namkung, Kiechan),반영환(Pan, Younghwa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8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7 No.3

        연구배경: 기업들은 기업의 이상적인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사용한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들의 일관성 있는 관리방법론을 아이덴티티라 한다. 인간의 청각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활용도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따라서 청각 커뮤니케이션 도구인 사운드는 아이덴티티로 관리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사운드와 사운드 디자인 구성요소들의 아이덴티티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사운드 아이덴티티의 유형이라 할 수 있는 징글(사운드 로고)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징글의 사운드 디자인 구성요소들을 추출하였다. 아이덴티티 검증 실험은 인터뷰와 조사를 활용한 혼합접근법으로 진행하였으며, 사운드와 사운드 디자인 구성 요소들이 전달하고자 하는 감성 이미지가 사용자에게 제대로 전달되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는 심리 연구 프레임 워크인 렌즈모델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렌즈모델 검증법을 사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밝혔다. 첫째, 사운드 아이덴티티를 전달하는 사운드 디자인 구성 요소들을 검증할 수 있다. 둘째, 특정 사운드의 아이덴티티를 전달하는 핵심 디자인 요소를 찾을 수 있다. 셋째, 디자이너와 사용자 간의 감성적 차이를 발생시키는 디자인 요소를 찾을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정의하지 못했던 사운드 아이덴티티 영역과 사운드 디자인 구성요소들을 제시하였으며, 새로운 방법의 사운드 디자인 아이덴티티 검증법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Background: Companies use a variety of communication tools to communicate their ideal image to the user. A consistent management methodology for this communication is called identity. The utilization of communication using human auditory is rapidly increasing, and therefore, the sound, which is an auditory communication tool, needs to be managed in the identity domain. Methods: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for verifying the identity of sound and sound design components. Through the study of literature, Jingle (sound logo), which is a type of sound identity, was selected as a study subject and the sound design elements of Jingles were extracted through an expert focus group interview. We conducted an identity verification experiment with a mixed approach using interviews and surveys. We analyzed the experimental results with a lens model, which is a psychological research framework, to see if the ideal image that the company wants to convey through the sound and design components is delivered to the user.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using the lens model verification method. First, we can verify the sound design components that convey the sound identity. Second, we can find key design elements that convey the identity of a specific sound. Third, we can find design elements that create emotional differences between designer and user.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s design elements of sound identity area which is not defined in the existing research and suggests sound design identity verification method.

      • KCI등재

        사운드아트 큐레이팅 연구

        임산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5

        본고는 20세기 중반 이후 펼쳐진 상호학제적인 융합적 예술실천의 핵심적 유형인 사운드아트 큐레이팅이 가지는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고찰한다. 이에 ‘사운드아트’의 시작에서 현재까지의 발전적 과정을 정리하되, ‘사운드’라는 재료가 기능한 시각예술의 맥락을 시대 순으로 살피고 주요한 사운드아트 전시의 큐레이팅 사례를 중심으로 ‘사운드’가 제공한 미학적 체험의 파장과 동시대적 의의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문은 세 개의 섹션으로 구분하여 전개한다. 첫 번째 섹션에서는 19세기 후반 미래파와 다다이스트의 사운드 시에 뒤이어 1913년 마르셀 뒤샹이 음악 악보를 시각예술과 접목했던 시도 등이 아방가르드 작곡가 존 케이지의 시각적 음악에도 깊은 영향을 끼쳤음을 인식한다. 이에 이러한 배경이 ‘사운드’를 새로운 미디어로서 다루는 전시의 등장을 야기했음을 설명한다. 두 번째 섹션에서는 1970년대 들어서면서 예술적 미디어로서의 사운드가 시각성이 지배하는 전시공간과의 비판적 관계성을 성찰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음을 설명한다. 세 번째 섹션에서는 1980년대 이후 현재까지 관객이 전시장의 조직 내에서 마치 하나의 시각적 오브제처럼 사운드를 체험하도록 하는 큐레토리얼 방법론을 분석한다. 본고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전시장에서의 지각적 구조를 관습화 했던 역사적 실천을 비평적으로 대하며 동시대 예술현장에서 생명력 넘치는 사운드의 역할을 고민한 사운드아트 큐레이팅의 유의미한 방법론을 사유해 본다.

      • KCI등재

        에너지 치료로서 사운드힐링에 대한 이해와 심리치료적 함의

        박지현(Ji-Hyun PARK)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2 상담심리교육복지 Vol.9 No.3

        본 연구는 에너지치료의 하나인 사운드힐링을 소개하고 심리치료적 함의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보완대체의학에서 사운드힐링의 위치, 사운드힐링의 전제, 소리가 에너지 장을 치유하는 방식, 인간의 생명 에너지, 에너지 치료적 관점에서 건강하다는 것의 의미를 탐색하고 소리의 치유 기제로서 소리가 가진 물리적 특성인 공명과 동조화의 원리 및 목소리만이 갖는 치유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소리의 특성과 치유하는 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였다. 둘째, 사운드 힐링의 다양한 기법들을 목소리를 통한 사운드힐링과 악기를 통한 사운드힐링으로 구분하여 소개하였다. 셋째, 사운드힐링을 심리치료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영역을 정리하고 치료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심리치료 영역에서 생소한 분야인 사운드힐링을 알리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sound healing, which is one of energy therapies, and to examine its psychotherapeutic implication. To this end, first, overview of the position of sound healing i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the premise of sound healing, the way sound heals the energy field, human life energy, and the meaning of being healthy from the energy therapeutic point of view was conducted. Also, healing mechanism of physical sound by examining the principles of resonance and entrainment and the healing properties of voice were explored. Second, various techniques of sound healing were introduced by dividing them into sound healing through voice and sound healing through instruments. Third, the areas where sound healing can be applied in psychotherapy were summarized and therapeutic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promoting sound healing, which is a new method in the field of psychotherapy.

      • KCI등재

        영화 사운드 시간성과 시간성 표현의 물리적 속성

        오호준 한국영상학회 2016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4 No.6

        시옹(Chion), 알트만(Altman), 푸도프킨(Pudovkin)과 등과 같은 영화이론가들에 의해 이론화되어온 영화에서의 사운드 개념은 사운드가 종속적인 객체로서만 위치하기보다는 독립적인 역할과 보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고는 영화의 가시화 영역인 온 스크린영역과 순간적으로 이동되는 비화면 영역이라는 비가시 경로 그리고 인식된 현실로 갈 수 있는 어쿠스마틱 영역인 오프 스크린 영역에 시옹의 시간성을 적용해, 인간의 상상으로 재구성하는 사운드 디자인에 대한 형태 분석을 진행하였다. 영화의 청각표현에 해당하는 대사는 인식 층위의 최우선 순위에 해당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이며, 그러한 사운드 형태의 물리적 속성 값은 존재하는가라는 궁금증으로 시작해 시간의 연속선상에 있는 앰비언스, 룸 톤, 잡음을 비롯해 싱크레즈를 나타내는 사운드 효과 그리고 온 스크린을 통해 보이는 사운드의 거리감과 공간감, 마스터링을 통한 음의 균형 값들을 영화 속 사운드 구성요소로 분류해보았다. 이러한 영화 사운드 형태는 각각 인식된 현실이라는 선택적 조정을 통해 들려지는데, 이와 같이 사운드의 시간성과 그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내러티브의 이해와 몰입이라는 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운드 형태별 물리적 음량 값을 가지게 된다. 이에, 사운드 시간성 요소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물리적 음량 값 모델을 도출하기 위해, 상업영화 <이끼>, <인셉션> 사운드 디자인의 구성요소별 사례를 분석하였다. Film sound concepts as theorized by film researchers such as Chion, Altman and Pudovkin refer to sound that is not only placed as a dependent element but that also functions as independent or complementary assistance. This research analyzes the physical forms of sound appearing in sound design, rearranged by a human imaginative idea applied as part of Chion’s time temporality concept in visual zones on screen, invisible zones, and in acousmatic zone in off-screen areas. This analysis stems from curiosity about why dialog taking first priority of a human cognition layer as one sound forms at the beginning. What are the formal attributes of film sound? This research also categorizes sound forms and analyzes linearized time elements, ambience, room tones, noise forms, sound effects referring to the concept of 'synchrese', sound distance and space sense, and sound mastering balance. These film sound forms are heard by controlling recognized reality selectively. Thus, sound time temporality and its elements have categorical physical sound levels to undertake the functions of sound form allowing viewers to understand and immerse themselves in the film narrative. This research analyzed the commercial films <Moss> and <Inception> in terms of their sound design to find the applicable expression model of the physical sound level and how it accomplishes sound time temporality functions.

      • KCI등재

        사운드 설치미술에서 청각과 시각의 공감각적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기관의 소음)을 중심으로

        심준섭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4

        본 연구는 2013-14년도에 제작하고, 작품으로 발표한 사운드 설치미술을 공감각의 표현방식으로 연구한 것이다. 연구자의 청각에서 병적으로 들리는 소음이 이명증인데 이것을 작품으로 제작한 것으로 부터 시 작하였다. 처음 드로잉으로 시작된 작품의 시각화는 실제 이명 현상에서 들리는 소음을 재현하기 위한 사운드 장치들로 제작되었다. 이명은 실제 음원이 없는 소음이지만 물소리의 파장된 음이 이와 유사함을 발견하였고, 이때부터 ‘물’은 사운드를 시각화하여 다른 감각 즉, 청각으로 전환하는 것에 응용하여 제작 되었다. 그러나 작품을 통해서 외부로 표출된 사운드는 귓속의 울림과는 다르게 소음으로 공유되지 않는 다. 이명에서 들리는 소음은 일상의 유사한 음원을 감지하면서 일상의 대상인 ‘물’로 치유되고, 소음이 관객의 청각적 기관에 개입하면서 물 또는 심장소리라는 이미지와 조우하기 때문이다. 몸에서 들리는 소 음이 일상화 되는 순간 그 외의 사운드와 경계가 허물어진다. 소음과 그 외의 사운드라는 구분은 사운드 를 지각하는 체계에 의해 해체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기된 문제점인 기술을 중요시한 사운드 설 치미술보다는 조형적인 면에 중점을 가지는 사운드 설치미술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사운드 의 형상을 차용한 이미지로서 사운드 설치미술이라는 개념에 대해 다시 한 번 되짚어 보고, 연구자의 작 품을 통하여 사운드라는 매체를 설치미술의 형식을 통해서 새롭게 바라 볼 수 있게 하며, 작품을 제작함 에 있어서 이를 뒷받침 해주는 이론들을 간략히 설명하고 연구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during 2013 and 2014, investigated sound installation art works presented as a representation of synesthesia. The study considers pathological tinnitus in the production of art works. Visualization of the work began with a drawing in conjunction with a sound system to reproduce the sound heard by someone suffering with tinnitus as real phenomena. Although there is no actual tinnitus noise source, it was found that the sound of rushing water has a similar wavelength but with a different feeling. Thus, the sound of this 'water' is used to visualize sound, and it was applied as a replacement for hearing. However, the sound channel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rt work is not heard differently by your ear. Tinnitus refers to a noise which is heard, while a sense of sound similar to a target in our everyday lives is 'water', whereas the audience uses their auditory organs to connect with images of water or heart sounds. The moment the noise is coming from within the body, it breaks down the boundaries of routine and other sounds. It distinguishes noise and other sounds that will be dismantled by the system to perceive sound. Rather, sound installation art with an emphasis on the issues is raised in this paper to discuss technology for sound installation art by focusing on its formative aspects. Therefore, researchers can utilize the new format of the medium of sound installation art through works by artists looking to revisit the concept of sound installation as an image borrowing the shape of a sound, and can support them in creating the work as that which briefly describes the theory and focus of this study.

      • KCI등재

        영화의 의식의 흐름 기법과 사운드디자인의 양상

        박남예 ( Park Nam Yeh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1 현대영화연구 Vol.17 No.1

        우리의 심적 상태는 형태가 없으며 흐름 자체가 비연속적이고 인과관계가 없다. 이 때문에 내면의 흐름을 영화로 제작할 때 이 순간을 포착해 내기가 쉽지 않다. 이를 위해 영화적 장치로 의식의 흐름 기법을 활용하곤 하며, 영화에서 이 기법이 적용되면 논리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틀보다 우연적이고 개연성이 없는 사건이 나열 된다. 이로 인하여 내러티브가 의미 없어지고 전통적인 미장센과 몽타주가 거부된다. 편집을 통해 비연속적인 파편을 재현하고 극영화와 다큐멘터리가 공존하게 되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영화는 창의적인 사운드 디자인을 통해서 의식의 흐름이 완성된다. 의식의 흐름 기법에 나타난 사운드디자인의 양상은 내러티브와 관계없는 독립적인 사운드, 공간 확장을 위한 사운드, 사유를 돕는 여백과 침묵, 존재하지 않는 중심 사건과 실험적인 사운드로 나타난다. 영화 사운드는 내면을 드러내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오며, 시공간을 초월하며 영화 전체의 구조를 집중적으로 끌고 나간다. 최근 영화의 사운드는 영화에서 관습적인 영화에서 볼 수 없었던 다양한 가능성을 실험하며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는 영화 사운드의 예술적 의미를 이해하려는 데에 목표를 두고 영화를 분석하는 데 의의를 둔다. 또한 사운드는 영화에서 미학을 확립시킬 수 있는 기반이 되어왔으나 영화가 대중성을 지향하면서 다소 자극적이고 오락 위주인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영화 제작자와 관객이 의식의 흐름에 따라 전개되는 내러티브에 대해 소통하고 관객이 심미적 감상을 하는데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Our mental state is formless, the flow itself is discontinuous and has no causal relationship. For this reason, it is hard to capture the moment when making a film about the inner state of mind. In order to express the inner state of mind, the Stream of consciousness technique is used as a cinematic device, and when this technique is applied in a film, more incidental events, which don’t seem very likely, are enumerated and preferred rather than a frame representing a logical relationship. Therefore, the narrative becomes meaningless and the typical mise-en-scene and montage are refused. However, discontinuous fragments are reproduced by editing, and dramatic flims and documentaries coexist. Above all, the Stream of consciousness in the flim becomes completed through creative sound design. The modalities of sound design in the Stream of consciousness technique appear as independent sound irrelevant to narrative, sound for space expansion, blank and silence to think, or used for a non-existent central event and experimental sound. Flim sound has been a key role in revealing the inner state of mind, transcending time and space, and focusing the whole structure of the film. The sound in the recent flims has been recognized for its importance since after experimenting with various possibilities that were not heard in the typical movi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artistic meaning of film sound and analyzes films deeply. And sound has been the basis for establishing aesthetics in films, however the films tend to have popular appeal and somewhat stimulating and entertainment.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 help for filmmakers and audience to communicate about narrative unfolding according to the Stream of consciousness and enjoy aesthetic aspects of films.

      • KCI우수등재

        교동도 사운드스케이프의 특성과 재현

        김지나,조경진,권병준 한국조경학회 2019 韓國造景學會誌 Vol.47 No.1

        Soundscapes have the potential to help people experience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ultural traditions by the scenery of a local area and to be used as a cultural and tourism resource. This concept was first explained in detail by M. Schafer and has been developed as a new way of experiencing landscapes using various senses. This research studied the soundscape of Kyodong Island, the so-called “Island of Peace” and designed new cultural acoustic content for education and tourism. Kyodong Island is located right below the Northern Limit Line and the whole island is in the Civilian Controlled Area. The political and economic status of the island has been changed dynamically by the Korean War and the division of the country. These days, the island needs to realize the vision of the “Island of Peace” in a more creative way using local resources, including its “cold war landscape” and the natural scenery of the region. This research applied the concept of a soundscape to document the island, and to reproduce it in an artistic way. A workshop was conducted to learn concepts and techniques of soundscapes with a sound artist. Listening, recording, conducting interviews, and literature research was used to study the soundscape of the island. After that, this research reconstructed the soundscape of the island through a soundscape composition. The main theme of the composition story was the “Hope and Wish for the Harmony and Peace” to show the vision of the “Island of Peace”. The initial sub-theme for the introduction part was “First Encounter with Kyodong Island” arranging the representative soundscape, which could be the first impression of the region. The second sub-theme was “War and Tension” using several soundscapes as a metaphor for the tragedy of the Korean War. The third sub-theme was “Everyday Life of Kyodong Island” which described the energy of the present day, after the wounds of the war have healed. The final sub-theme was “Harmony and Peace” using traditional music and keynote sounds of the region as a reminder of the peaceful past, before the war. The recording files were documented as two types of sound maps. One was a two-dimensional map to show the soundscapes from one point of view, and the other used the online application called “Sound Around You”. The final artwork was displayed at an exhibition and uploaded on YouTube to be shared publicly. Through this project, we discovered the potential of soundscapes as a medium to preserve the history and local identity, as well as presenting a new vision. The artwork will be exhibited at historically and culturally meaningful places on the Island to utilize the underused places as local tourist attractions and educational resources. 본 연구는 사운드스케이프를 통해 시각적 풍경 이면에 축적되어 있는 지역의 역사적 배경과 문화적 전통을 경험할 수 있으며, 사운드스케이프를 문화⋅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사운드스케이프는 M. Schafer가 비판적, 미적 관찰 대상이 되는 소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한 개념으로 시각뿐만 아니라, 다양한 감각을 사용함으로써 경관을 새롭게 경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평화의 섬’을 비전으로 하고 있는 DMZ 접경지역의 교동도에서 사운드스케이프를 조사, 분석한 후, 지역주민 교육과 방문객 경험을 위한 새로운 문화콘텐츠로 재탄생시키고자 하였다. 교동도는 DMZ 접경지역이자 섬 전체가 민간인 통제구역으로, 한국전쟁과 분단으로 인해 역사적으로 격변을 겪었으며, 최근에는 지역활성화를 위한 민관의 다양한 사업들이 추진되고 있는 지역이다. 특히 한강하구중립수역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을 문화적으로 해석하여 ‘평화의 섬’으로서 새롭게 장소마케팅이 되고 있다. 교동도의 사운드스케이프 조사를 위해 먼저 사운드아티스트와 함께 사운드스케이프의 개념과 기술에 대한 워크샵을 실시하였으며, 이어 관찰조사, 청취조사, 문헌조사를 진행하였다. 녹음결과물은 Schafer의 사운드스케이프 개념에 맞추어 기조음, 신호음, 표식음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사운드맵으로 기록하였으며, 교동도의 지역특성과 비전을 반영하여 사운드스케이프 작곡의 방식으로 재구성하는 스튜디오 작업을 진행하였다. 최종결과물은 ‘화합과 평화에 대한 희망과 염원’이라는 전체 주제를 바탕으로 ‘교동도와의 만남’, ‘전쟁과 긴장’, ‘교동도의 일상’, ‘화합과 평화를 찾아서’로 세부 주제를 구성하였고, 전시와 YouTube를 통해 공유하였다. 이를 통해 교동도의 역사 및 지역정체성을 보존하고, 새로운 미래비전을 제시하는 매체로서 사운드스케이프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물을 교동도에서 역사적, 문화적으로 의미가 있는 기존 장소들을 활용하여 전시함으로써 공간활용을 제고하고, 지역 역사와 문화를 담은 관광자원뿐만 아니라, 교육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후보

        컴퓨터 그래픽스 커뮤니티에 소개된 사운드 관련 연구들

        유민준(Min-Joon Yoo),이인권(In-Kwon Lee)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09 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Vol.15 No.1

        사운드는 가상현실 및 컴퓨터 애니메이션에서 사용자의 현실감 및 집중도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에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도 연구자들이 사운드 관련 연구들에 관심을 가지고 여러 컴퓨터 그래픽스 학술지와 학회에 주목 할만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 소개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관심을 가지는 사운드 연구의 주제에 대하여 알아보고 중요성을 가지는 논문들을 소개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다음 두 가지 분야의 논문들을 소개한다. 첫째, 사운드를 물리적으로 합성함으로써 그래픽스의 물리 법칙에 동기화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이다. 둘째, 음원에서 나오는 사운드가 사람에게 들리는 음향적 환경을 모델링하는 것이다. 사운드에 대한 연구에서 주된 관심은 이러한 음향학적인 물리법칙을 더욱 효율적으로 모델링하여 적은 자원으로도 실제적인 사운드 효과를 발생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을 중점으로 다양한 사운드 관련 논문들을 살펴보고 컴퓨터 그래픽스와의 관계를 살펴보도록 한다. Sound is very important element to enhance and reinforce reality and immersion of users in virtual reality and computer animation. Recently, significant researches about sound modeling are presented in computer graphics cummunity. In this article, main subjects are explained and major researches are rewiewed based on the sound papers presented in computer graphics community. Specially, several papers about following two subjects are reviewed in this paper: 1) synthesing sound using physically-based laws and generating sound synchronized with graphics. 2) spatializing sound and modeling sonic environment. Many research about sound modeling have been focused on more efficient modeling of real physical law and generate realitic sound with limited resources. Based on this concept, various papers are introduc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es about sound and graphics is discussed.

      • KCI등재

        자전적 영화에서 내면의식을 나타내는 사운드디자인 기법 연구

        박남예(Park nam yeh) 한국영화학회 2021 영화연구 Vol.- No.90

        본 연구는 자전적 영화의 사운드디자인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객관적 사실로 전달하는데 그치지 않고, 개인의 주관적 사건과 내면의 욕구를 담아낼 수 있는 영화로 발전시키는 사운드디자인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자전적 소재와 사운드의 잠재력을 확인하고, 자전적 스토리의 모태가 되는 감독 개인의 이야기를 청각의 요소와 결합하여 개인의 내면의식을 나타내는 사운드 기법과 양상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또한, 감독의 내면의식과 자전적 서사, 이에 대한 사운드디자인 기법의 논점을 바탕으로, 본인이 사운드 디자이너로 참여하였던 영화 <나의 김치 연대기>를 사례로 들어 사운드디자인적인 특이성에 대하여 제시할 것이다. 연구 결과, 영화 <나의 김치 연대기>에 나타난 사운드디자인 기법은 나레이션 기법을 통한 내면의식의 형상화, 장면전환에서 사용되는 사운드의 기법을 적용한 사례를 통해 감독의 내면의식 표현을 극대화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독백을 가지고 내러티브를 이끌어 가고, 주관화와 객관화를 사운드를 통해 보여주고 있으며 다큐멘터리 기법을 활용하거나 배경음악위에 나레이션을 삽입하여 시적 방식을 이끈 점, 시간의 경과를 스토리텔링한 점, 보이스 오버를 통한 현재와 미래를 중첩시킨 점 등이 이 사례연구에서 발견된 항목들이다. 영화의 자전적 소재는 감독 스스로가 경험의 본질에 접근하고, 관객이 그 본질의 내면을 공유하는 경험을 만들게 된다. 본 연구는 사운드디자인이 영화의 소리로 울려 퍼져 이러한 과정을 적극적으로 표현해 낼 수 있는 매우 적합한 요소임을 확인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자전적 영화의 사운드는 개인의 경험을 삶의 예술로 승화시킬 수 있는 창조적인 매체가 됨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누구나 자신의 이야기를 가지고 있지만 모두 이를 훌륭한 사운드로 승화 시킬 수는 없다. 본 연구에서 추구하는 자전적 영화의 사운드디자인의 목표는 작가 스스로가 자신의 이야기에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여 드러나지 않았던 내적 진실을 탐구하고, 그것을 창의적인 사운드로 재현하여 대중과 나누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전적 영화가 작가 개인의 자기성찰을 돕고 개인의 이야기를 용기 있게 나누는 것을 통해, 사운드가 영화의 시각적 부족함을 청각으로 메워주는 공론으로 발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sound design technique that not only conveys one’s own story as an objective fact, but develops it into a film that can capture individual subjective events and inner desires in the sound design of autobiographical films. To this end, we will see the potential of autobiographical materials and sounds and examine sound techniques and aspects that express the individual’s inner consciousness by combining the director’s personal story, the basis of the autobiographical story, with elements of hearing. In addition, based on the director’s inner consciousness, autobiographical narrative, and sound design techniques on these, the study will use the film <My Chronicle of Kimchi>, in which I participated as a sound designer, as an example, to present the specificity of sound desig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sound design technique in the movie <My Chronicle of Kimchi> maximized the expression of the director’s inner consciousness by applying the formation of inner consciousness through narration technique and sound technique used in scene change. Through this cas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narrative was led by a monologue,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were demonstrated through sound, poetic method was led by using documentary techniques or inserting narration over the background music, passage of time was expressed through storytelling the, and the present and the future are overlapped through voice over. The autobiographical material of the film allows the director himself to approach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and create an experience in which the audience shares the inner essence of the experience. This study will be able to verify that sound design is a very suitable element that can actively express this process by resonating with the sound in a film.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ound of an autobiographical film becomes a creative medium that can sublimate personal experiences into the art of life. Everyone has their own story, but not everyone can turn it into a great sound. The goal of sound design for autobiographical films pursued in this study is to allow the director to approach his own story in a different way to explore the hidden truth, reproduce it with creative sound, and share it with the public. It is hoped that the autobiographical film will help the director’s introspection and courageously share his or her story so that the sound can develop into a public opinion that fills the visual deficiency of the film.

      • KCI등재

        경계 허물기에 의한 ‘노이즈’의 변신 - 영화 <언더 더 스킨>의 사운드디자인 분석을 중심으로

        이동규,변혁 한국영상학회 2021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9 No.5

        최근 영화 사운드트랙은 사운드의 대표적 세 가지 요소인 음악, 대사, 음향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이들 사이의 경계가 모호 해지고 있다. 전자기술의 발달로 녹음이 가능해지고 소리를 포착하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노이즈를 인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이 후 노이즈를 거부하고 제거하려는 노력은 현대 영화의 사운드 트랙에서는 오히려 노이즈를 적극 사용하는 방향으로 진화하였 다. 노이즈를 음악의 새로운 재료로 사용하게 되면서 조금 더 유연하고 풍부한 영화 사운드의 세계가 열리게 되었다. 본 논문 은 영화 <언더 더 스킨>에 나타나는 노이즈의 활용을 중심으로 사운드 경계 허물기의 양상을 살펴본다. 특별히 이에 따른 노 이즈의 ‘서사적 활용’에 주목한다. 먼저 배경 연구로 루이지 루솔로, 존 케이지, 피에르 셰페르로 이어지는 미래주의자들의 노 이즈 사운드의 사적 개괄과 미학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진 노이즈의 의미에 대해 개괄한다. 그리고 현대영화 사운드에서 적용 되는 노이즈의 미적 양상을 논증하기 위해 영화 <언더 더 스킨>의 사운드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미지와의 관계를 고찰한 다. 본고는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영화 사운드라는 분야에서 소리의 객체로서 ‘노이즈’가 지니는 확장된 미학적 의미를 조명 하고자 한다. It is noteworthy that the boundaries of music, dialogue, and sound, which are the three major elements of sound, are becoming blurred, and that the boundaries are becoming blurred in recent movie soundtracks. Advances in electronic technology have made recording possible and also allowing sound to be captured. As a result, noise became recognizable. Since then, the soundtrack of modern movies, which tried to reject and remove noise, has evolved in the direction of actively using noise. The use of noise as a new material for music opened up a world of more flexible and rich film sound.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 of breaking down the sound boundary, focusing on the use of noise in the movie <Under the Skin>. In particular, the analysis will be focused on the 'narrative use' of noise in the film. As a background study, I will outline the private overview of noise music and noise sound of the futurists leading to Luigi Russolo, John Cage, and Pierre Schaeffer, and the meaning of noise treated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In addition, in order to demonstrate the aesthetic aspect of noise applied in the sound of modern movies, the sound of the movie <Under the Skin> is specifically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image is considered.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is paper tries to newly illuminate the aesthetic meaning of 'noise' as a sound object in the field of movie s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