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성인 남성의 분노 사고 및 분노 표출 행동 변화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사례연구

        유경아 ( Yu Kyounga ) 명지대학교 아동가족심리치료센터 2023 아동가족치료연구 Vol.21 No.0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가 성인 남성의 분노사고 변화와 분노 표출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인지행동치료는 인지적 재구성 및 행동수정에 초점을 두어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분노 조절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만 36세 성인 남성이며, 2022년 6월부터 10월까지 매주 1회 50분 동안 총 18회기의 인지행동치료가 제공되었다. 처음 3회기는 예비 회기로 초기면접과 심리 평가 실시 및 상담목표를 정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이후 본 회기는 15회기이며 초기, 중기①, 중기②, 말기로 총 4단계로 구성하였다. 초기 단계는 분노 인식하기 과정으로 분노의 의미를 이해하고 분노 표현양상을 인식하도록 하였다. 중기① 단계는 분노 관리 과정으로 자신의 분노 표현 방식을 이해하고 자기 감찰과 소크라테스식 질문을 통해 분노와 관련한 부적응적 사고를 적응적 사고로 수정하도록 하였다. 중기② 단계는 분노 조절과정으로 이완훈련, 감정표현 훈련, 의사소통 훈련 등 분노 조절을 위한 다양한 훈련으로 구성하였다. 말기단계는 문제해결하기 과정으로 분노 경험 쪼개기, 분노 차단 성공기 쓰기 활동을 통해 분노 조절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인식하는 회기로 구성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기별 기술을 바탕으로 인지적, 행동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치료는 성인 남성의 분노 사고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인지행동치료는 성인 남성의 분노 표출 행동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인지행동치료가 성인 남성의 부적응적 분노 사고와 분노 표출 행동을 적응적 사고와 행동으로 변화시켰다는 것을 확인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n the changes in anger thinking and anger expression behavior of adult males. For this purpose,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f this study was composed of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focusing on cognitive restructuring and behavior modifi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year-old adult males who complained of difficulty in anger control, and 18 session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ere provided for 50 minutes once a week from June to October 2022, consisting of four stages: early, middle 1, middle 2, and late st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ger awareness, anger management, anger control and training, and problem solving. Firs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had an effect on the anger-out behavior of adult mal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a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hanged maladaptive anger thought and anger expression behavior into adaptive thinking and behavior in adult males.

      • KCI등재

        분노해결기법과 사례연구

        손동선(Son, Dong-seon)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3 No.-

        세네카는 〈분노에 대하여〉를 통하여 세네카 특유의 분노의 특성과 분노의 예방 치유법을 제시했다. 이진남은 세네카의 분노 개념과 치유법에 존 듀이의 문제해결기법을 결합하여 다섯 단계의 분노해결기법을 고안했다. 그리고 이 기법으로 분노를 조절하고 제어하는 임상모델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진남의 시도는 분노를 제한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예방적 단기치료라는 한계점을 노정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필자는 세네카가 구분한 분노 1,2단계는 통제 가능한 분노, 분노 3단계는 통제 불가능한 분노로 구분한다. 통제 불가능한 분노를 분노 자체인 분노와 분노로 인해서 유발된 문제를 함의하는 분노로 규정한다. 그리고 통제 불가능한 분노 중 분노 자체로서의 분노는 예방적 차원으로, 분노로 인해서 유발된 문제는 치유적 차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분노해결기법의 3단계인 ‘이해’의 단계를 수정하고 ‘도약’ 이라는 6단계를 추가하여 기법을 보완한다. 이를 기반으로 통제 불가능한 분노에 노출된 내담자의 실제 사례를 임상모델로 제시하며 철학상담의 효과성과 정체성을 제시할 것이다. In this essay, I modify and improve an anger-solving approach based on Seneca’s theory of anger. Seneca proposed his own theory on anger and its therapy in his book, De Ira. Jin-Nam Yi developed five-step-anger-solving approach based on Seneca’s theory and John Dewey’s problem-solving steps. I show that Yi’s approach is restricted in preventive short-term therapy with a constricted concept of anger. I also propose that we should treat controllable anger on preventive levels and uncontrollable anger on therapeutic levels. Adding the sixth step, ‘jumping’ in order to treat counselees with uncontrollable angers, I suggest a new anger-solving approach with clinical examples.

      • KCI등재

        지식인의 분노

        김창규(Kim, Chang-Gyu)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1

        분노란 나에게 불의를 저지른 상대에게 그만큼 응징하고자 하는 감정이다. 그러나 정의의 표현이었을 때 역사의 진보와 새로운 시대로 전환을 이끄는 동력이 되기도 한다. 한국의 민주화를 이루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지식인들의 분노가 그 사례이다. 한국의 현대사는 억압과 착취의 시대로, 지식인들의 정의를 향한 몸짓은 대단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지식인들은 그 징표인 가치와 지성을 완전히 철회할 수 없었기 때문에 목에 걸린 가시를 뱉듯이 붓 끝에 분노를 실었거나 행동했다. 그리고 이 분노는 그 후예들에게 맥맥히 이어져 정치적 민주화의 새벽을 열게 했다. 유산이 후대인들에게 상속과 처분의 권리가 주어지듯이, 분노의 유산 역시 그러하였다. 수많은 사람들이 생명을 던졌고, 살아남은 이들의 자괴감과 부채의식은 오랫동안 그들을 괴롭혔다. 이는 분명 고통스러운 짊이었지만, 이로 인해 수많은 의식화된 젊은이들과 지식인들이 형성되어 이 땅의 민주화를 앞당기는 힘이 되었다. 도덕적 기준을 세우고 그 기준을 지키게 하는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은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는 절대적 역할을 했다. 보편적 진실이 왜곡되고 억압이 만연한 현실은 오히려 지식인들의 수치심을 자극했고, 부끄러움을 참을 수 없었던 이들은 양심과 정의의 이름으로 분노했다. 곧 부끄러움은 분노의 소금이 되어 아름다운 세상을 만드는 밑거름이 되었던 것이다. 억압이 아닌 조절된 분노는 정념의 차원을 넘어 인간 자신의 존재적 가치와 자유를 표출하고 보호할 수 있는 하나의 무기다. 한국 지식인의 분노는 자유를 향한 외침이었으며, 지식인운동은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수호 유지하기 위한 몸짓이었다. 따라서 이들의 행위를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부정하는 것으로 몰아세우거나 재단할 수 있는 아무런 근거도 없다. Anger is a feeling to try punishing someone who did me an injustice as much. But, it also comes to driving force leading to historical progress or a new era when it is to express justice. We can see a case in the anger of Korean intellectuals that played a decisive role in bringing democracy in Korea. In modern Korean history called as the era of oppression and exploitation, the intellectual could not help getting limited their behavior for justice. But they could not withdraw all the value and intelligence represented as their mark, which made them put their anger in their pen or act, spitting up all the anger sticking in the throat. And the anger lasted to posterity long enough to finally greet the dawn of political democratization. As a legacy leaves the right to inherit or dispose of it to the descendants, the legacy of anger also did so. Lots of people sacrificed their life, and the survivors have suffered from a sense of shame and debt consciousness for a long time. That was a surely painful life, but that raised a lot of young people and intellectuals with critical consciousness that worked as the motive power in moving up democratization in Korea. It was a sense of shame which set moral standards and apply them to play an absolute role in protecting human dignity. The realty full of oppression, distorting universal truth stimulated a sense of shame of the intellectual, and those who could not stand the shame expressed their anger in the name of conscience and justice. That is, the sense of shame was developed to anger which came to the foundation for a better world. Anger adjusted, not controlled is a weapon which can express human existential value and liberty beyond certain passions and protect them. Anger of Korean intellectuals was a cry for liberty, and intellectual movement was a gesture to protect and keep liberal democracy. There is, therefore, no ground to lash out or judge their behavior as denial of liberal democracy.

      • KCI등재

        ‘분노하는 인간’(Homo Iracundos)에 대한 법철학적 대응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뤼시아스, 누스바움을 중심으로―

        장미성,윤진숙 한국법철학회 2022 법철학연구 Vol.25 No.2

        분노는 광기에 사로잡혀 잔인하게 살인과 폭력을 저지르는 범죄의 원인이기도 하며, 다른 한편으로 부정의한 것에 대한 의분으로 정의를 향한 가치 있고 숭고한 감정이기도 하다. 현대 법은 행위에 대한 원인으로서의 감정을 고의와 과실 판단, 그리고 형량의 결정과 연결시키는데, 따라서 분노는 법에 있어 검토해야 할 중요한 감정 중의 하나이다. 분노의 이런 이중적 평가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로부터 기인하는데, 플라톤은 분노가 이성의 통제를 받을 수 있는 용기와 관련된 감정으로 보았고, 아리스토텔레스는 분노해야 할 때 분노해야 하며, 중용에 따른 분노는 덕의 조건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스토아 철학자들은 분노란 영혼의 질병으로 제거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했고, 에피쿠로스 제자 필로데모스는 비자연적이고 헛된 분노는 제거하되 자연적 성향인 한에서 분노는 선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고대 법정 연설가로 유명한 뤼시아스는 분노에 의한 간통살인사건 변론문을 작성하면서 분노와 공동체 정의를 연결시켜 생각해 보고자 했다. 누스바움은 고대 철학자들의 분노론을 모두 검토하면서 보다 발전적으로 ‘분노’에 관해서 분석하려고 시도한다. 분노가 자신의 모욕을 되갚아 주려는 고통의 욕구이자, 관습적으로 결정된다는 견해에 의한다면 아내와 간통한 상간남을 살해한 남편의 행위는 ‘격정적 분노’에 의한 복수로서 감형 사유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누스바움은 분노에 관해 “특정억제, 무력화, 일반억제, 그리고 가해자 O에 대한 추가적 조치, 교육제도 마련, 빈곤 완화 등을 통해서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 범죄를 사전에 억제”하는 다른 형태의 통합적인 방법을 제시하면서, 법적 처벌 여부와 경중뿐 아니라 제도적 개혁, 교육 등 미래의 인간 공동체를 위한 ‘미래의 선’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신유가에서 보는 분노와 분노조절 -정주학의 성찰과 궁리를 중심으로-

        이기원 영남퇴계학연구원 2019 퇴계학논집 Vol.- No.25

        When anger is positively radiated, it can preserve public justice, e.g. changing unreasonable social institutions, etc., however it can make the individual as well as society pathological when it appears pathologically. Anger sometimes appears hatred on others. Hatred on others shows low tolerance on others. Since all angers in daily life cannot be fundamentally removed, therefore, it becomes a matter of how to control anger.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ecognition of anger and the regulation of anger, mainly in New Confucianism Considered. In order to control anger,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heart of anger. In the reflection method, “kyoung(敬)” by “Gyokyong(居敬)” was presented. You will face the angry self through reflection by “kyokyonge”, and you will be able to get a point of view that can honestly recognize the angry self. What is important in the regulation of anger, it is because it requires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angry feelings. An important thing along with understanding emotions is getting angry Self-understanding. Through the “Ingenuity(窮理)” of angry self-understanding, it is possible to reflect on what part should be adjusted and how. In the method of ingenuity, there are ingenuity ingenuity. Natural reason is a rational reflection process of anger, such as why anger occurs, whether anger is legitimate, or whether anger can be spread to others. Through ingenuity, a thorough understanding of anger will be possible. Using this method, you can expect a thorough understanding of your emotions and improved self-regulation. 분노가 긍정적으로 발산이 되면 부조리한 사회의 제도를 바꾸는 등 공적 정의를 지킬 수 있지만 병리적으로 나타나면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까지도 병리적이 될 수 있다. 분노는 타자에 대한 혐오로 나타나기도 한다. 일상에서 발생하는 모든 분노를 원천적으로 없앨 수는 없기 때문에 결국 분노를 어떻게 조절할 것인가가 관건이 된다. 본고는 정주학(程朱學)을 중심으로 분노에 대한 인식과 분노조절에 대해 고찰했다. 불만과 불평, 소외나 원망, 원한 같은 부정적인 감정이 해소되지 못하고 마음에 쌓이게 되면 분노로 발전할 수 있다. 분노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분노하는 마음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성찰의 방법으로는 ‘경(敬)’에 의한 ‘거경(居敬)’을 제시했다. ‘경’에 의한 성찰을 통해 분노하는 자기와 대면하게 되고 분노하는 자기를 솔직하게 인정할 수 있는 시점을 얻을 수 있다. 분노 조절에서 중요한 것은 분노하는 감정에 대한 면밀한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감정에 대한 이해와 함께 중요한 것은 분노하는 자기 이해이다. 분노하는 자기 이해에 대한 궁리(窮理)를 통해 어떤 부분을 어떻게 조절해야 하는지를 성찰할 수 있다. 궁리의 방법으로는 소이연(所以然)과 소당연(所當然)적 궁리가 있다. 소이연과 소당연적 궁리는 분노가 왜 일어나는지, 분노가 정당한지, 분노를 다른 것으로 발산할 수는 없는지 등 분노에 대한 이성적 성찰과정이다. 궁리를 통해 분노에 대한 면밀한 이해가 가능해질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자기감정에 대한 면밀한 이해와 자기 조절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분노표현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정여주(Chung, Yeoju),윤서연(Yoon, Seoye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분노 감정 및 분노 표현에 대해서 이해하고, 자연스러운 감정 상태로서의 분노로 인식하고 대처하고자 하는 연구 및 상담적 개입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국내 학술지 55편을 연구대상으로연구방법, 연구 주제 및 관련변인, 측정도구, 개입을 위한 상담적 접근들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노표현에 대한 연구는 2000년 이래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대상은 대학생 및 청소년이 가장 많았고, 특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임상간호사, 호텔 종사자, 군의 초급간부 등이 나타났으나 부부 및 기혼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세번째로, 55편의 논문의 대부분이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를 사용하여 분노표출, 분노억제, 그리고 분노 통제를 분류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 대상자들의 적절한 분노표현에 대한 이해를 위해 Q-방법을 활용하여 척도를 개발하는 연구가 나타나고 있다. 네 번째로, 분노표현을 개선하기 위해 주로 애착 및 양육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상담적 개입으로는 인지치료가 지속적으로 활용되어 오고 있었으며 분노 정서에서의 전환을 위한 전략들을 제공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 포커싱적 태도, 마음챙김, 수용전념 치료 등 체험적 접근들을 살펴 볼 수 있었는데 그때 그때의 감각에 초점을 맞추어 새로운 알아차림을 이뤄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표현예술치료를 활용하여 분노표현을 다룰 때는 그룹 활동을 통해 분노를 다루는 것이 좀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anger expression, to recognize the anger as a natural emotional state, and to investigate the research and counseling intervention to cope with it. Related variables, measurement tools, and counseling approaches for intervention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research on anger expression has been increasing since 2000. Secondly, the research subjects were mostly college students and adolescents, and clinical nurses, hotel workers, and beginner executives of the military who were providing services characteristically. Thirdly, most of the 55 articles classify anger expression, anger suppression, and anger control using the STAXI(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pielberger, 1988). Recentl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developing new scales using the Q-meth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appropriate anger expression of the subjects in each culture. Fourthly, to improve anger expression, attachment and parenting were found the most studied fields. Cognitive Therapy was used continuously for counseling intervention for the controlling the anger were appeared. Fifthly, some studies have shown empirical approaches such as Focusing Attitude, Mindfulness, and Acceptance-Commitment Therapy, and tried to achieve new awareness focusing on the senses, emotions and related experiences simultaneously.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it is more meaningful to deal with anger through group activities when dealing with expression of anger by using Expression Art Therapy.

      • KCI등재

        분노에 대한 인간학적 고찰

        권혁남(Kwon Hyeok-nam)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0 인간연구 Vol.0 No.19

        분노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간의 핵심적인 정서 중의 하나로 인식되어져 왔다. 하지만 전통적인 윤리나 종교에서는 분노를 억제해야 할 대상으로 간주하고 인간의 도덕적, 이성적 자유를 구속하는 장애물로 여겼던 것도 사실이다. 이 논문에서는 분노에 대한 이와 같은 입장에 대한 비판적 의식을 가지고, 분노가 가지는 인간학적 가치와 윤리적 성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은 분노를 이루는 요소를 가치판단, 욕구, 보복의지라는 세 가지 조건으로 나누고 이를 바탕으로 실천적 맥락에서 분노가 어떠한 양상들을 보일 수 있는지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분노란, 맹목적 욕구와 보복의지에만 기울어져 표출된다면, 비합리적인 공격성만을 보일 수 있지만, 주체의 이성적 판단에 의해 개인적 욕구가 적절히 제어되고 반성될 수 있다면 인간의 도덕의지를 나타내는 제스처로서도 인정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분노의 성격에 대한 논의를 플라톤의 인간론과 스피노자의 자기 보존적 의지의 맥락에서 전개하고 있다. 플라톤은 인간을 구성하는 요소가 이성(logistikon), 욕망(epithymia) 그리고 기개(thymoeides)로 나뉘어 있다고 보고 기개, 즉 분노(thymos)를 욕망과는 구분되는 제3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봄으로써 분노의 도덕적 기능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스피노자는 분노를 실체의 유한 양태(modus)에 속하는 것으로서 보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의 분노는 본질적으로 실체의 사유적인 속성과 연장적인 속성 모두에 참여하기 때문에 분노 역시도 단지 수동적인 충동이 아니라 분명히 정신적인 면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스피노자에 따르면, 인간이 자기 보존의 관점에서 욕구하는 것은 결국 자연의 보편적 법칙에 따르는 것이기 때문에 선하다고 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분노를 포함한 정서를 드러내는 것 역시 자신에게 자연주의(Naturalism)적으로 이로운 결과를 불러오려는 자기 보존적 행위라는 관점에서 합리적(rational)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분노란 그것을 표현하는 인간의 도덕적 혹은 실천 이성적 역량에 따라 인간의 윤리적 실존 가능성을 우리 스스로 보여 주는 매우 인간적인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분노를 무조건적으로 억제해야 할 대상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분노 그 자체보다는 그것을 표출하는 우리 자신의 자기 성찰과 반성에 좀 더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Anger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core emotions of human beings throughout the world. However, traditional ethics or religion regarded anger as an object that needed be controlled and as an obstacle which restricted the moral and rational liberty of human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humanistic value and moral personality of anger in a critical angle towards the abovementioned view.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the study classified elements of anger into three conditions: value judgment, desire, and will of revenge. On this basis, the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anger in a practical context. If anger is expressed only in blind desire and will of revenge, it merely has unreasonable aggression. However, if private desire is properly controlled and reflected by reasonable judgment, anger can be recognized to be a gesture to express the moral will of humans. The study developed discourses in such personalities of anger from the point of view of Plato’s essay on man, and Spinoza’s will of self-preservation. Plato classified the elements composing humans into reason(logistikon), desire(epithymia), and spirit(thymoeides), and emphasized moral functions of anger by putting thymoeides - namely anger (thymos) - in the third scope differing from desire. On the other hand, Spinoza classified anger as a finite modus of substance. In this sense, anger is not just a passive impulse. It is regarded to also have mental sides since it participates in both the property of reasoning and extensive property of substance essentially. According to Spinoza, it is good that humans have desire from the viewpoint of self preservation since it follows the universal law of nature. Therefore, it is rational to express emotion including anger from the viewpoint of self-preservation in order to create beneficial results in nature. Consequently, anger is a very humanistic behavior that shows moral existentiality of humans according to their moral or practical reasons. Therefore, the focus should be placed on self-examination and reflection rather than anger itself, disregarding anger to be an object that needs to be controlled unconditionally.

      • KCI등재

        분노범죄의 발생원인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오세연(Oh, Sei Youen) 한국공안행정학회 2017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6 No.1

        In this study, we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crimes of passion occurring in our society. In result, in this study, we have looked into the cause of crimes of passion and tried to find out an effective countermeasure. We searched for the cause increasing this kind of crimes for the past 5 years. The case study findings of the analysis among the incidents that brought on public criticism show some interesting points. Factors causing crimes of passion can be divided into a personal cause and a social, environmental cause. Crime occurrence related with the personal cause usually occurs when personal accumulated stress and pent-up anger burst out at once. In some cases, anger control disorder that makes anger management not easy for some individual can also be the trigger of crimes of passion. If we look into the terms of social and environmental cause of crime, crimes occur when family ties are weakened or societal prejudice and frustration cause complaints about reality. Especially, crime is more likely to occur to underprivileged who lacks ongoing care and support from the society. Therefore, a variety of psychological therapies should be applied to solve stress under the constant interest and support of the nation. In addition, a social safety net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collaboration with various organizations. However, among the most important is that crimes of passion should be recognized as a social problem, that needs constant attention and efforts from the national and local communities, not as a personal illness or disorder. 최근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분노범죄의 심각성을 인지하여, 이 연구에 서는 분노범죄의 발생 원인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지난 5년간(2009∼2013) 분노범죄 발생 증가원인을 살펴보고, 분노 범죄 중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심각한 사건사례들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노범죄의 발생원인은 크게 개인적 원인과 사회・환경적 원인으로 나누어 볼수 있다. 우선 개인적 관점에서의 분노범죄 발생원인은 개인적이거나 가정적인 불화 관계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못하여 평소 축적됐던 스트레스와 울분이 어느 순간 한꺼번에 표출되어 범죄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정신적인 이상과 같은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뇌의 분노조절에 대한 통제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분노조절장애로 인하여 발생하기도 한다. 다음으로 사회・환경적인 측면에서의 분노범죄의 발생원인을 살펴보면, 가족과 사회의 유대관가 약화되거나 사회적 편견과 좌절로 인하여 현실불만을 갖게 되면서 분노범죄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주변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부족하 거나, 지역사회와 구성원과의 계속적인 소통이 부족한 사회적 약자들에게 분노범 죄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 따라서 이러한 분노범죄에 대한 대응방안으로는 국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 아래 다양한 심리치료 등을 병행하여 스트레스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과 기관과의 협업을 통한 사회안전망이 구축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분노범죄가 개인의 질병과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하고 국가와 지역 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분노신념과 분노표현이 불안, 우울, 신체화, 정신병질, 자기애에 미치는 영향

        김모아 ( Mo A Kim ),이영호 ( Young Ho Lee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3 人間理解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분노신념과 분노표현이 불안, 우울, 신체화, 정신병질, 자기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분노경험과 표현에 인지적 신념이나 주장적 표현이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는 경기도 소재 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1과 연구 2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3요인으로 구성된 분노표현 신념 척도(공격적 분노표현 신념, 소극적 분노표현 신념, 주장적 분노표현 신념)와 주장적 분노표현 척도를 개발하고 교차 타당화를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의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노신념과 표현이 불안, 우울, 신체화, 정신병질, 자기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불안은 소극적 분노표현 신념과 분노억압, 우울은 주장적 분노표현 신념, 신체화는 주장적 분노표현으로 설명되었고, 정신병질은 공격적 분노표현 신념, 주장적 분노표현 신념, 분노표출, 주장적 분노표현, 자기애는 공격적 분노표현 신념, 주장적 분노표현 신념, 분노억압, 주장적 분노표현, 분노표출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분노에 대한 개입에 있어서 인지적 신념이나 표현 행동이 임상적 증상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으므로 각각에 적합한 치료적 개입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의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beliefs about anger and anger expression were related to anxiety, depression, somatization, psychopathy, and narcissism. We also investigated whether cognitive beliefs and assertive expression behavior is related to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anger. In study 1, we developed the Beliefs About Anger Scale and Assertive Anger Expression Scale and examined their factor structures vi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study 2, we used peripheral multi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s of beliefs about anger and anger expression on anxiety, depression, somatization, psychopathy, and narcissism. Results indicated that different therapeutic interventions should be used when treating psychological symptoms because beliefs and expression behavior about anger can have different patterns depending on anxiety, depression, somatization, psychopathy, and narcissism.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분노사고와 분노표현에 있어서의 자기-자비의 완충효과

        이상현,성승연 한국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uffer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anger thought and expression. An additional objective was in the comparison of the effect of self-compassion on anger thought and expression with that of self-esteem.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re as follow. First, the effect of primary anger thought on secondary anger thought were conditional on the levels of self-compassion, but not on those of self-esteem. Second, the relation between secondary anger thought and anger expression did not depend on either self-compassion or self-esteem. This study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self-compassion on anger thought and expression by showing that self-compassion plays a stronger role in accounting for the various cognitive components of anger than self-esteem. 본 연구는 자기-자비(Self-Compassion)의 심리 기능적 역할 중 분노가 전개되는 분노사고 과정에서의 자기-자비의 완충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자기-자비의 두 치료적 개념을 비교하여, 좀 더 적절한 분노조절 개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차적 분노사고와 이차적 분노사고의 관계에서, 그리고 이차적 분노사고와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각각 자기-자비의 완충효과와 자아존중감의 완충효과를 살펴보았다. 총 28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자비, 분노 사고, 분노 표현, 자아존중감 척도를 실시하여 자기-자비의 완충효과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일차적 분노사고가 이차적 분노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자비는 완충효과를 보였고, 이차적 분노사고와 분노표현 사이에는 자기-자비가 완충효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반면 자아존중감은 일차적 분노사고와 이차적 분노사고 사이와, 이차적 분노사고와 분노표현 사이 어느 곳에서도 완충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자기-자비가 분노인지 요인사이에서 완충역할을 함을 보여줌으로써, 자기-자비가 긍정적 인지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분노조절에 있어서 자기-자비가 자아존중감보다 조절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드러남으로써, 자기-자비가 자아존중감보다 심리적 웰빙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더 적절하다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