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북한신문에 나타난 북한 전쟁고아의 해외양육에 관한 연구 : 북⋅중⋅소 입장을 중심으로

        오미영(Oh, Miyoung) 총신대학교 평화통일연구소 2021 평화통일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그동안 다루지 않았던 북한신문의 내용을 분석하여 한국전쟁 시기 북한 전쟁고아의 해외양육에 대한 소련, 중국, 북한의 입장을 살펴보았다. 첫째, 북한신문에서 한국전쟁 시기 북한 전쟁고아들이 총 8개 사회주의국가에서 위탁양육되었음을 확인하였지만 소련 관련 기사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제기된 소련이 북한 전쟁고아를 위탁교육하지 않았을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소련의 소극적 태도는 한국전쟁 시기 소련의 대북 군사⋅경제적 원조에서도 그대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후 북소관계의 균열의 요인이 되었다. 둘째, 북한신문에서 약 2만 명의 북한 전쟁고아를 위탁교육한 중국의 기사가 가장 많이 확인되었다. 한국전쟁 시기 대규모 중국군을 참전시켜 북한군을 도왔던 중국정부는 북한의 전쟁고아 문제에서도 각별한 지원과 관심을 아끼지 않으며 이를 통해 북한과의 혈맹적 동맹관계를 공고히 했다. 셋째, 북한신문에서 북한정부가 북한 전쟁고아들이 전후 국가재건에 중요한 인재가 되기 위해 기술교육과 직업교육을 받도록 중국정부에 요청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를 통해 북한 전쟁고아의 해외양육정책이 전쟁의 피해를 분담하려는 미봉책보다는 전후 국가재건에 필요한 전문적 인재양성을 위한 자구책의 한 방안으로 시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analyzed contents of North Korean newspapers regarding the views of the Soviet Union, China, and North Korea about the North Korean orphans produced during the Korean War (1950-53) who were reared in foreign countries.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in total, eight socialist countries reared North Korean war orphans during and after the Korean War. But, there was no newspaper article about orphans reared in the Soviet Union. The fact supports the possibility raised in previous researches that the Soviet Union may have not fostered those orphans. Such a passive attitude of the Soviet Union about North Korean war orphans can also be found in the similar passive attitude in military, economic assistance to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Such attitudes of the Soviet Union led to the fiss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the Soviet Union. Second, the most frequent articles on war orphans in North Korean newspaper were about China which had received about 20,000 orphans. During the war, the Chinese government dispatched a large-scale troops to North Korea, and, it also gave careful attention and assistance to the problem of war orphans. Through such cooperation, the two countries strengthened the blood alliance. Third, according to North Korean newspapers, the North Korean government asked the Chinese government to provide those orphans with technology and job educations in order to grow them as workers for reconstruction of the country after the war. We can figure out that the North Korean policy to send war orphans to foreign countries was not simply to share damages of the war with brother socialist countries, but to cultivate professional workers needed for national reconstruction.

      • 북한이탈주민의 신변보호에 관한 연구

        조동운,서기주 이실학회(구 한국경찰이론과실무학회) 2012 경찰연구논집 Vol.9 No.-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세습통치체제의 억압과 북한내부의 극심한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북한 주민들은 계속적으로 북한을 벗어나 남한사회로 들어오고있다. 그간 폐쇄사회 속에서 북한주민들은 제한적이지만 압록강, 두만강 등 국경 주변을 통한 외부정보의 유입과 기존 북한이탈주민들과의 연계를 통한 외부세계, 특히 남한사회에 대한 동경과 개인과 가족을 중심으로 한 경제적 풍요 등을 중요시하는 가치관의 변화를 보이면서 목숨을 걸고 북한을 탈출하여 남한사회로 입국하는 북한이탈주민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바, 신변보호는 북한이탈주민이 거주지에 편입된 이후 그들에게 가해질 수 있는 각종 위해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신변보호기관의 활동을 말하는데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신변위해요소 사전 제거 및 위해로부터 신변을 보호하고, 자유민주체제와 자본주의에 대한 이해를 도와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일상생활의 애로사항 등을 청취하여 성공적인 조기정착지원과 신변위해 정보수집 활동과 북한이탈주민의 범죄예방 및 사회일탈 행위 방지와 위장 북한이탈주민 등 안보위해 세력 색출이라는 이중적인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들의 신변보호 및 사회정착이 중요한 이유는 이들의 원활한 대한민국정착은 북한이탈주민 개개인의 문제만이 아니고, 나아가서는 미래 통일시대에 남북한주민이 서로 융화하여 잘 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으로서 남북한 간 무력사용이나 혼란의 시기가 도래했을 때, 남한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불만세력으로 전락한 북한이탈주민들이 국가안보에 큰 위해 요소로 작용할 수도 있으므로 평소 북한이탈주민들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정부의 노력이 중요한 것이다. 특히 경제적인 면에서 이들이 우리나라의 일반 국민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 전혀박탈감이나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정부당국의 보다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보안경찰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신변보호담당관으로서의 역할과 이들이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빠른 시일 내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조정자 및 안내자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보다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해서 보안경찰의 역량을 집중하여 국가안보의 불안요소로 자리 잡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Closure of North Koreans in society is limited, but with the border around the inflow of external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existing North through defectors outside world, especially South Korea and a longing for community with a focus on individuals and families, and important economic affluence as the change of values that seem to fight to the death to escape North Korea defectors entering South Korea as a society have been increasing every year. Personal protection is North Korea since they are confined to residential defectors can be applied to various safe for your protection for the activities of agencies. North Korea defectors in the pre-removal and the personal hazards and to protect the personal from the free democratic system an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capitalism, to allow a stable life overall, and listen to difficulties of everyday life, a successful early settlement support and personal information gathering activities for North Korea defectors deviation of the crime prevention and social protection and for security forces disguised as defectors North hunt, compared to the security situation has the dual mission. Especially in these economic terms when compared with the general public at all in order to avoid deprivation and alienation felt more aggressive government support policies of the authorities will be sought. Also security police North defectors for your protection officer as a role and these the Republic of Korea as a member as soon as possible to adapt to help the coordinator and steward of the role, while more efficient for the task the security police`s ability to concentrate national security uncertainties as to ensure that magazines will be located.

      • KCI등재후보

        21세기 강대국 경쟁시대에 북한 핵문제의 진로

        전성훈(Seong Whun Cheon) 북한학회 2018 북한학보 Vol.43 No.1

        미국 주도의 세계질서를 자국 중심의 지역질서로 대체하려는 주요국 들과 이에 저항하는미국이 경쟁하는 21세기 강대국 경쟁시대는 북한 핵문제의 해결을 어렵게 만드는 구조적 요인이다. 미국은 탈냉전시대의 낙관적인 세계관을 버리고 강대국 경쟁시대의 부활을 현실로 받아 들이면서 안보전략을 뒷받침하는 3대 문건에서 구체적인 대응전략과 정책을 제시했다.이들 문건이 현상변경 세력인 중국, 러시아와 더불어 북한을 기존질서에 도전하는 경쟁자로 규정한 것은 북한 핵문제가 더이상 한반도 지역에 국한된 문제가 아님을 뜻한다.북한 핵문제를 對美 강대국 경쟁의 대리전으로 간주하는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을 이용해서 동북아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핵문제가 시작된 1991년 이후 북한이 주한미군 철수와 한미동맹 와해를 목표로 일관되게 추진한 비핵화 국가전략과 중·러의 동아시아전략은 미국의 영향력 약화라는 목표를 공유한다. 북한의 핵독점에 놓인 한반 도는 중·러가 북한을 활용해서 미국의 영향력 약화와 지역안보질서 재편을 노리는 중장기 전략게임을 벌이는 경쟁의 마당이 되었다. 한반 도가 강대국 경쟁의 장이 된 만큼 북한의 핵보유는 장기화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한국은 한미동맹을 근간으로 중장기 국익을 수호하기 위한 국가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동시에 당면한 북핵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미국의 전술핵 재배치와 한미 핵공유체제 구축을 통한 강력한 거부억 지태세를 구축해야 한다. The emerginggreat power competition between the revisionist powers taking on the existing liberal international order and the United States defending the order is a structural stumbling block to hinder the complete resolution of North Korea’s nuclear problem. To counter the challenges by the competingpowers, Trump administration formulated concrete strategies in the three major security-related strategic documents. They defined North Korea, in addition to China and Russia, as a major competitor challenging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indicating that North Korea’s nuclear problem has become a major issue beyond the Korean peninsula. China and Russia capitalize onthe nuclear dispute in Koreaas proxy war to weaken American influence in East Asia.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strategy to kick American forces off South Korea and undermine the ROK-U.S. alliance is in harmony with the East Asia strategy of China and Russia. The Korean peninsula is an epicenter of great power competition in Asia where China and Russia wage a long-term strategic game by challenging the regional order upheld by the United States and supported by Japan. As long as the competition persists,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will not be attained. South Korea should develop a long-term grand strategy to manage nuclear-armed North Korea peacefully and beef up its nuclear deterrence by reintroducing American tactical nuclear weapons and establishing a nuclear sharing mechanism to counter the present nuclear threat from North Korea.

      • KCI등재

        ‘북한 연구’와 ‘문화 냉전’-1960년대 아세아문제연구소와 『사상계』의 북한 연구

        임유경 상허학회 2020 상허학보 Vol.58 No.-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political dynamics of the Cold War were linked to changes in discourse of North Korea and the recognition of division by exploring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North Korean studies in the 1960s. The analysis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exts that North Korean studies could have emerged reveals the early moment of the newly formed knowledge of North Korea, which has long been regarded as ‘improper knowledge’ in the Korean society, and the specific aspects of the cultural cold war that has developed on the Korean Peninsula. The 1960s is notable because it is the moment that the power which wa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North Korean discourse had been redistributed and the new paradigm of North Korea had been formed. In other words, from this period in Korean society, "experiential knowledge" (experience) and "academic knowledge" (theory) began to be developed at the same time, and the two knowledges cooperated or conflicted with each other, consequently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and spread of North Korean discourse. And behind the rise of North Korean research as an ‘challenging problems,’ there were the ‘communism discourse’ and ‘unification discourse.’ The research subject called ‘North Korea,’ combined with these two issues, triggered the formation and differentiation of ‘improper knowledge’ and ‘academic knowledge.’ Based on these circumstances, this paper focused on Asiatic Research Institute Korea University and the ‘Sasanggye’, the agents that led the initial North Korean research. These two agents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the public sphere by providing conditions for the discourse on North Korea to be generated in a variety of ways. On the one hand, behind the rallying of South Korean intellectuals and the developing of the North Korean research, there were the struggle over cultural hegemony and the reality of the Cold War order and the division system, which were linked under the name of sponsorship and cooperation. It is in this context that we need to remember that North Korean research was also a ‘product of the Cold War’ and a ‘policy knowledge.’ In short, the complex context of the North Korean research provides a glimpse of the new period situation as it accessed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global Cold War knowledge, while it is linked to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division and war. 이 논문은 1960년대 한국사회에서 북한 연구가 시작된 배경과 그 의미를 탐색하는 일을 통해 북한 담론과 분단 인식의 변화에 냉전의 정치역학이 어떻게 연동되어 있었는지를 고찰한다. 북한 연구가 태동할 수 있었던 대내적ㆍ대외적 요인에 대한 분석은 한국사회에서 오랫동안 ‘불온한 지식’으로 간주되었던 북한에 대한 앎이 새롭게 구성되던 초기 장면과 한반도에서 전개된 문화 냉전의 구체적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1960년대가 주목할 만한 시기였던 까닭은 북한 담론의 생산을 둘러싼 권력의 재분배가 이루어지며 북한에 관한 새로운 인식의 체계가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즉 이 시기를 기점으로 한국사회에서는 ‘경험적 지식(체험)’과 ‘학술적 지식(이론)’이 동시에 개발되기 시작하며, 양자는 서로 공조하기도 하고 갈등관계를 맺기도 하며 북한 담론의 형성과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북한 연구가 하나의 ‘시대적 과제’로서 부상하였던 배경에는 ‘공산주의 담론’과 ‘통일 담론’이 자리하고 있었다. ‘북한’이라는 연구 대상은 이 두 가지 이슈와 접목되는 가운데, ‘불온한 지식’과 ‘학술적 지식’의 형성과 분화를 촉발시켰다. 이러한 특징에 주목하여 이 논문은 초기 북한 연구를 주도한 주체들과 그들의 활동에 관심을 기울였다. 여기서 다룬 첫 번째 주체는 1957년 6월에 창립된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로, 이 연구기관은 냉전 지식으로서의 공산주의와 북한 문제를 접목시키며 제도적이고 학술적인 차원에서 북한 지식 생산의 토대를 만들어나갔다. 아연이 북한 및 공산권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미국의 학계와 민간재단에 원조를 요청하고 한국정부를 상대로 협상을 벌이며 연구허가권을 획득하는 과정은 1960년을 전후한 시기에 북한 연구가 어떠한 맥락 속에서 발의되고 개진될 수 있었는지를 잘 보여준다. 그런가 하면, 한국사회에서 영향력 있는 오피니언 리더로 부상하고 있던 매체인 『사상계』 역시 ‘북한’을 이론적 논의의 대상으로 새롭게 발견하고 있었다. 『사상계』는 다양한 기획들을 통해 매체의 주요 독자였던 학생과 지식인, 나아가 사회 일반에 유관 지식을 보급하며 대중적 차원에서 북한에 대한 이해가 재구성되는 데 관여했다. 그리고 아연과 『사상계』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던 김준엽은 이 두 그룹을 매개하며 초기 북한 연구를 이끌었다. 이 민간 주체들의 움직임은 통치 권력의 논리를 일정 부분 전유함으로써 위축되어가던 공론장을 확장시키고 북한에 대한 담론이 이전에 비해 다양하게 생성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한국의 지식인들이 규합하고 북한 연구가 개진된 배경에는 문화적 헤게모니를 둘러싼 투쟁과, ‘후원’과 ‘협력’이라는 이름으로 연결된 냉전질서와 분단체제의 현실이 가로놓여 있기도 했다. 북한 연구가 ‘냉전의 산물’이자 ‘정책화된 지식’의 성격을 가졌으며, ‘문화적 근대화의 실현’이라는 인식론적 기획의 결과이기도 했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는 것은 이러한 맥락에서이다. ‘북한 연구의 형성기’에 대한 고찰이 갖는 연구사적 의의가 있다면, 그것은 북한 연구를 둘러싸고 있던 복잡한 맥락들을 이해하고 북한 연구의 역사성을 사유하는 기회를 마련해준다는 데, 나아가 1960년대 학술사와 지성사에 대한 이해를 두 ...

      • KCI등재후보

        북한의 사회보험 정의 추적 : 북한의 공식사전을 중심으로

        이철수(Chul-Soo, Lee) 통일과 북한법학회(구 북한법연구회) 2021 북한법연구 Vol.25 No.-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사회보험에 대한 정의를 제도적 차원에서 역사적 순서에 따라 그 동학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북한의 공식사전을 중심으로 북한의 ‘사회보험’과 ‘국가사회보험’에 대해 시대적 구분을 두고 문헌조사기법을 통해 시계열적으로 추적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보험의 ① 적용대상, ② 급여, ③ 재정, ④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그 동학을 추적하면 첫째, 적용대상의 경우 초가부터 보편주의를 추구하는 가운데에 1995년 「재정금융사전 1」에서 협동농장원을 포괄하여 설명, 용어의 정리차원에서 적용대상의 보편주의를 일정부문 완료하였다. 둘째, 급여의 경우 1973년 「정치사전」을 통해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 이후 이를 기반으로 변화하는 행태가 나타났다. 셋째, 재정의 경우 시기적으로 제도적인 변화를 반영하는 경향도 있었고 혹은 그렇지 않은 사례도 있었다. 넷째, 전달체계는 모든 시기에서 내용이 부재했다. 북한의 사회보험은 제도적으로 비교적 이른 시기에 시작된 만큼 북한이 공식사전을 통해 정의한 내용도 이에 맞추어 일찍 논의되었다. 전반적으로 북한의 공식사전을 통한 사회보험에 대한 정의와 설명은 일정부문 이해가 가능한 부문이 있지만 때로는 그렇지 않은 부문도 존재한다. 따라서 북한은 이러한 사회보험에 대한 정의를 새롭게 정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북한은 기존의 한계와 논란을 극복하는 수준의 체계적인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북한의 사회보험에 대한 정의와 설명에 새로운 천착이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definition of social insurance in North Korea has changed institutionally throughout time. The analysis criteria of the study are “social insurance” and “national social insurance” of North Korea. To this end, the study looked into the official dictionaries published by North Korea, chronologically tracking the changes in the defini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of the chronological analysis of the ① coverage, ② benefits, ③ finance, and ④ delivery system of North Korea’s social insurance are as follows: first, as for coverage, North Korea, pursuing universalism from the early stage, partially fulfilled universalism in coverage by comprehensively defining the term “cooperative farmer” in “Fiscal and Financial Dictionary 1” in 1995; second, with regard to benefits, the details were presented in “Political Dictionary” in 1973, and since then, it was shown that benefits had changed centering on those details; third, regarding finance, it sometimes reflected the institutional changes of a certain period, and sometimes did not; fourth, as for delivery system, no relevant information was found, ironically, in any period. As North Korea established its social insurance system at a relatively early period, the definitions stated in its official dictionaries were discussed early as well. In general, the definitions and details of North Korea’s social insurance system presented in its dictionaries are understandable; however, some parts are not so. Therefore, North Korea needs to redefine its social insurance system it needs to clearly specify the details to the extent where they can tackle the existing limitations and controversies. It is time to newly examine the definitions and details of North Korea’s social insurance.

      • KCI등재후보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적응을 위한 코칭프로그램 사례연구

        김양희(Kim Yang He)신미녀(Shin Mi Nyeo) 북한학회 2014 북한학보 Vol.39 No.1

        이 논문에서는 코칭프로그램이 북한이탈주민들의 정서적 안정을 도모해 사회부적응 양상을 해소하고 삶의 질을 높인다는 가정 하에 북한이탈주민들의 교육에서 코칭프로그램을 접목시키고 그 영향력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우선 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사회 부적응 양상을 살펴보고 정서적 안정화를 위해 코칭프로그램이 적합한 지를 살펴보았다. 세부적으로는 북한이탈주민 4명을 대상으로 정서안정화 방안의 일환으로 코칭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했으며 심층면접을 통해 코칭프로그램이 이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았다. 심층면접 결과 코칭프로그램은 대상자에게 미래에 대한 희망과 낙관성을 기대할 수 있었다. 이는 기존의 코칭프로그램의 효용성 연구와 이번 심층면접 결과 등을 미루어볼 때 코칭프로그램은 북한이탈주민의 정서적 안정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제 북한이탈주민들에게 코칭교육을 실시했을 때 대상자들의 만족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은 하나원이나 하나센터 등 북한이탈주민들을 전문적으로 교육을 하는 기관에서도 접목되길 기대했다. 한편 코칭프로그램이 북한이탈주민들에게 적용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정서적 안정에 기여하고 있음이 밝혀진 만큼 코칭프로그램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개개인의 편차가 있겠지만 북한이탈주민의 정서적 안정화가 객관적으로 판단될 수 있는 근거기준이 마련돼야 통일직후 남북 주민들의 정서적 이질감으로 일어날 수 있는 심리적 혼란을 계량화하고 이의 해소에도 계량적 기준을 적용할 수 있어야 남북통합에 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study analyses the effect of a combined approach to educational programs for North Korean defectors. It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coaching program leads to the psychological stabiliz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reby solving problems resulting from social maladaptation while improving quality of life. In this study the author evaluated the social maladaptation of defectors along with the suitability of the coaching program for psychological stabilization. Four defectors participated in the coaching program for psychological stabilization and were later interviewed in-depth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coaching program. The interviews indicated that the coaching program encourages participants to maintain an optimistic view for their future, contributing to overall psychological stabiliz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program were greatly satisfied, and they now desire to be introduced to North Korean defectors education institutions such as 'Hanawon' or 'Hana Center'. Meanwhile, the study indicates how the coaching program contributes to psychological stabilization. In order for the effects of the program to be evaluated objectively, it is recommended that the study remain under evaluation. An evaluation standard for the psychological stabilization of defectors should be established despite possible individual deviations. After such a standard is established, the psychological confusion resulting from emotional disharmony can be measured and solved, preparing the way for the eventual re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 KCI등재

        북한 의료법규 체계와 그 내용

        현두륜 대한의료법학회 2016 의료법학 Vol.17 No.1

        북한의 의료법규는 ‘헌법’을 정점으로 크게 ‘인민보건법’과 ‘의료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민보건법이 제정되기 이전에도 다수의 의료관계법규가 존재하고 있었으나, 그 의료관계법규가 이후 어떻게 개정되었으며, 현재에도 유효한지 여부는 알 수 없다. 1980년 제정된 인민보건법은 북한의 보건의료에 대한 기본원칙과 방침을 선언하고 있다. 1997년 제정된 의료법은 북한 의료의 기본법으로서, 북한 의료의 목표와 기본원칙을 제시하고, 이어서 ‘검진과 진단’, ‘환자치료’, ‘의료감정’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북한 의료법은 남한에 비해 상당히 늦게 제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조문의 수가 적고 추상적이거나 선언적인 내용이 많다. 특히, 북한 의료법에는 의료인의 종류나 자격 요건, 의료기관의 종류와 개설요건 등에 관한 규정이 전혀 없어, 북한 의료법만을 가지고는 북한 의료체계를 한꺼번에 파악하기 어렵다. 북한 의료법상 진료에 관한 내용은 남한 의료법과 유사한 부분이 많지만, 신의학과 고려의학을 배합하고 고려의학적방법과 자연요법을 환자진료에 널리 사용하도록 한 규정, 진단내용이 환자치료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우 환자 보호자에게만 알려주도록 한 부분 등은 남한 의료법과 차이가 있다. The North Korean medical laws are consisted of ‘People's Health Act' and ‘Medical Act' in the peak of the North Korean constitutional law. Before the legislation of ‘People's Health Act', a number of medical laws and regulations existed. But, at present,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its amendment and effectiveness. ‘People's Health Act' legislated in 1980 declared fundamental principles and policies of the North Korean health care system. ‘Medical Act' legislated in 1997 is the basic law among the North Korean medical laws. It presented the goals and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North Korean health care, and then regulated the basics about ‘Tests and Diagnosis', ‘Medical Treatment', and ‘Medical Appraisal'. ‘Medical Act' of North Korea was established later than South Korea, and its provisions is smaller in number. And there are lots of abstract and declaratory provisions compare with South Korean ‘Medical Act'. Especially there is no provision about the kind and requirements of medical personnel and medical institutions, so it is hard to grasp the North Korean health care system at once. Regarding the medical treatment, there are many similar contents between the North and South Korean ‘Medical Act'. But, the provisions, such as regarding mixing the new medicine and th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encouraging natural therapies in medical treatment, and informing the patient's protector of bad diagnostic result if there is concern to have a bad influence on patient, are different from the South Korean ‘Medical Act'.

      • KCI등재후보

        남북경협이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정은찬(Jeong, Eunchan) 통일과 북한법학회(구 북한법연구회) 2019 북한법연구 Vol.22 No.-

        남북경제협력은 1988년 7월 7일 ‘민족자존과 통일번영을 위한 특별선언’(7.7선언)이 채택된 이후 경제외적 환경에 의한 제약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발전하여 왔다. 우리 정부는 대북 식량차관과 비료지원을 중심으로 한 인도적 지원으로부터 시작하여, 금강산과 개성공단 같은 대북경제투자를 동반한 상업적 교역(일반교역·위탁가공무역) 등의 방법으로 북한과의 경제협력을 주도해왔다. 그러나 남북경제협력의 실효성을 둘러싼 논란은 지속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해결에 실증분석결과로 답할 수 있는 전제를 마련하고, 특히 북한과의 경제협력에서 어떤 산업부문을 특화시켜야 할지에 대한 해답을 찾는데 연구의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계정행렬(Social Accounting Matrix, 이하 SAM) 승수분석을 활용하였다. SAM은 경제 전반의 회계계정을 행렬의 형태로 표현한 도구로, 산업부문으로부터 가계, 정부, 투자 및 해외부문 등을 연결하는 균형상태를 나타낸다. 분석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산업연관표를 추정하였다. 둘째, 추정된 북한의 산업연관표를 이용, 북한의 SAM을 구축했다. 북한의 SAM은 2007년에 연구된 선행연구 자료가 있으나, 변화한 북한경제 변화상황을 반영하여 2012년 북한의 SAM으로 새롭게 추정하였다. 셋째, 2012년 북한의 SAM을 활용하여 남북경제협력이 북한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투입금액이 4.3억 달러로 가장 큰 중공업 부문이 약 10.2억 달러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4억 달러가 투입된 경공업 부문이 약 8.1억 달러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어 투입금액 대비 효과는 경공업(2.0)에 비해 중공업(2.4)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수산업과 광업은 각각 약 3.1억 달러와 2.2억 달러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금액대비효과를 보면 농림수산업은 투입금액 대비 9.8배의 효과가, 광업은 6.1배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어 농림수산업과 광업의 경제협력 대비 효과는 경공업과 중공업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북경제협력 실시에 따른 총 생산유발효과가 약 23억 달러가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has developed steadily in spite of the constraints of the non-economic environment since the July 7, 1988 Special Declaration on Residents and Prosperity for Reunification. Starting with humanitarian aid centered on food loans and fertilizer aid, the Korean government will begin economic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through commercial trade (general trade and entrusted processing trade) accompanied by economic investment to North Korea such as Mt. Has led. However, controversy continues over the effectiveness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This paper focuses on research to find the answer to which industry sector should be specialized in economic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In this study, the social accounting matrix (SAM) multiplier analysis was used. SAM is a tool that expresses the accounting accounts of the economy in matrix form and shows the balance between the industrial sector, household, government, investment and foreign sector. First, we estimated North Korea s industrial relations table. Second, North Korea s social accounting matrix was constructed using the estimated North Korean industrial relations table. North Korea s SAM had previous research data in 2007, but it was newly estimated as North Korea s SAM in 2012 to reflect the changing situation of the North Korean economy. Third,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on the North Korean economy was analyzed using the North Korean SAM in 2012. The analysis shows that the heavy industry sector has an effect of about $ 110 million with an input of $ 400 million, and the light industry sector with an investment of $ 400 million has an effect of about $ 800 million.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ndustry and the mining industry were analyzed to be about $ 310 million and $ 220 million, respectively. The effect on the value of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was 9.8 times that of the input, and the mining, 6.1 times. The effect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nd mining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light and heavy industries. It was also analyzed that the total production induction effect of th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would be about $ 2.3 billion.

      • KCI등재후보

        북한의 대외개방화 장애요인과 특구정책에 관한 연구

        전지명(Jeon, Ji-Myeong) 북한학회 2011 북한학보 Vol.36 No.1

        북한은 외국투자은행법, 나진선봉경제무역지대법, 자유경제무역지대외국체류 및 거주 규정, 신의주특별행중구 기본법, 개성공업지구법, 금강산 관광지구법 등을 제정하면서 경제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경제관리의 정규화, 규범화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은 투자환경의 중요한 요소인 하부구조가 상당히 낙후된 국가이다. 더욱이 북한은 사회주의 국가이기 때문에 법적 구속력은 일반 자본주의 국가에 비해 상당히 약한 상황이다. 물론, 북한은 풍부한 지하자원을 보유하고 있다는 면에서 매력적인 투자환경을 가진 국가이다. 또한 북한은 양질의 풍부한 노동력이란 매력적 투자환경을 갖고 있는 국가이며 현재 실질적인 각종 법 제정으로 적극적인 외국인투자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에 이와 같은 매력적인 투자 요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의 투자가 소극적이고 각종 문제가 노출되고 있다. 이는 그만큼 북한의 투자에 있어서 장애요인이 매력적인 요인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북한의 대외개방화에 있어서 장애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경제특구 정책의 실효성 및 그 특징이 무엇인지를 집중분석하였다. In order to promote economic growth and foreign investment North Korea enacted Rajin-Sonbong Free Economic Zone Act, Foreign Residence and Residence Regulations in Free Economic Zone, Shinuiju Special Administrative District Law, Gaeseong Industrial Complex Act, Mt. Geumgang Tour Zone Law, etc. and it has been standardizing the economic management. However, North Korea has a very poor infrastructure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of investment environment. Moreover, as North Korea has a socialist system, it carries a weak legal binding force comparing to other countries. North Korea has an attractive investment environment in terms of its rich natural resources and low-cost labor force. Besides, it has been trying to promote foreign investment by enacting the related laws. Despite this effort and such an investment environment, foreign investment is still being undertaken passively and many troubles have been arising. This paper will review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orth Korea's openness, and analyze the efficiency and features of special economic zone policies.

      • 북한 환경상태 조사 및 남북 환경협력사업 개발 연구 : 총괄보고서

        강택구,전동준,명수정,구경아,이정호,박규홍,이승희,장은미,정종필 한국환경연구원 2021 사업보고서 Vol.2021 No.-

        Ⅰ. 연구배경 및 목적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글로벌한 시대적 과제인 동시에 도전이며, 한반도라고 예외일 수 없음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2050 탄소중립’을 발표하고 탄소중립 시나리오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확정하였고, 북한도 온실가스 저감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여전히 북한 환경현황 관련 정보는 부족하고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지 않아, 북한 환경상태에 대한 접근도 용이하지 않고 연구자들 간에도 북한 환경상태에 대한 이해가 다름 ○ 북한 환경상태 자료의 구축은 남북한뿐만 아니라 한반도 외부 정세의 영향과 별개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관점에서 추진 ○ 체계적으로 구축한 북한 환경 환경정보는 향후 남북협력 사업의 발굴 및 추진에 실효적인 기초자료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통일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토대가 됨 ○ 본 연구는 연차별로 진행하는 다년도 과제로, 이번은 2차연도 연구로서 남북한 환경협력 조사 연구 및 사업 개발, 북한 환경상태 조사와 환경정보 구축, 북한 환경연구 생태계 조성 및 성과 확산을 수행 2. 연구내용 및 수행체계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음 ○ 남북한 환경협력 조사 연구 및 사업 개발에서는, 정책적 현안에 대한 논의를 담아 총괄보고서를 포함하여 6권의 연구보고서를 최종 산출물로 제시 ○ 북한 환경상태 조사와 환경정보 구축을 위해 웹 페이지 구축과 자료조사로 나누어 진행 ○ 북한 환경연구 생태계 조성 및 성과 확산을 위한 네트워크 운영 Ⅱ. 2021년 연구사업 요약 1. 남북한 환경협력 조사 연구 및 사업 개발의 세부과제별 주요 요약 가. DMZ 일원 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 방안: 경기권 DMZ 및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 경기권 DMZ 및 접경지역의 환경현황과 개발사업, 계획에 대한 정보를 조사·구축하고, 해당 지역 사업의 지속가능성 평가와 환경영향평가 방안 검토 ○ 조사지역은 인천광역시·경기도의 접경지역 중 ‘군사정전에 관한 협정’에 따라 설치된 비무장지대 또는 해상의 북방한계선과 잇닿아 있는 옹진군, 강화군, 김포시, 파주시, 영천군 5개 군의 자연환경, 산업시설물, 환경오염물질 시설임 ○ 우리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 이행에 따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후영향평가 도입에 대비하고자, 관련 자료를 구축하고 현황 파악 실시 ○ 자료조사 대상은 경기권 DMZ와 접경지역의 시대별 토지피복 변화, 생물서식지의 질 평가 및 탄소저장량의 변화임 - 세부대상: 해당 지역의 공원 339개소, 습지 17개소, 상수원 보호구역 총 2개소, 광산 108개소, 환경오염물질 배출시설 총 1만 1,183개소, 취수장 및 정수장 40개소, 폐기물 소각시설 17개소, 공공하수처리시설 중 용량 500m3/일 이상의 시설 24개소, 분뇨처리시설 9개소, 폐기물 매립시설 8개소, 산업시설 1만 6,676개소 ○ 조사 및 사업을 토대로 해당 지역의 토지피복 미래 변화와 탄소저장량의 변화를 예측하고, 향후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책적 판단의 지원도구로서의 활용을 모색 나. 북한 지역 자연재난 자료 구축과 협력전략 □ 지난 30년 기간 북한의 자연재난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고, 북한의 자연재난 대응체계를 정리하며, 이에 기초하여 북한 자연재난 대응을 위한 협력전략을 마련 ○ 향후 대북제재 해제 과정에서 남북협력의 물꼬를 마련하는 사업의 역할 수행 가능 □ 지난 30년간 북한에서 발생한 자연재난은 총 272건이며, 동시에 발생한 재난 건수는 88건 ○ 유형별로 가장 많이 발생한 자연재난은 호우로, 총 66건이 발생하여 전체 자연재난 횟수 272건 중 24.2%를 기록 □ 북한 자연재난 관리 법제도 현황과 대응체계는 다음과 같음 ○ 김정은의 교시나 현지지도가 당의 방침 형식으로 하달되어 여타의 법제도적 장치보다 우선하고, 현시점에서 북한의 재난관리 부문 자연재난 및 사회재난을 총괄하고 있는 기본법은 「재해방지 및 구조, 복구법」임 ○ 북한 자연재난 대응의 주요 특징은 최고지도자의 인식 변화, 북한 매체의 생중계를 통한 적극적 재난 보도, 재난 대응 관련 조직의 변화, 국제사회 흐름에 대한 동조 등이 있으나, 여전히 한계점이 많음 □ 북한 자연재난 해결을 위해 한국 주도의 국제사회 협력방안을 정교하게 만들고 재원을 확보하기 위한 고민도 필요하며, 북한 자연재난 대응을 위한 남북협력을 위한 원칙과 과제는 다음과 같음 ○ 예방적 협력, 거버넌스 협력, 국제협력, 안정적 협력의 원칙을 견지 ○ 단기적으로는 그동안 남북이 합의했으나 실행하지 못한 것들을 우선적으로 추진하며, 자연재난 대응에 종합적인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 ○ 장기적으로는 생명·안전을 포함하는 포괄적 협력을 지향하는 것이 바람직함 - 보건과 환경을 포함하는 ‘한반도 생명·안전위원회(또는 남북 생명·안전위원회)’와 더불어, 한반도 생명·안전에 대한 남북협력을 위해서는 ‘한반도 생명·안전 공동대응 협정’을 추진 다. 북한의 기후변화 취약성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남북협력(1) □ 연구배경과 목적 ○ 연구목적 - 북한지역의 기후변화 관련 피해를 줄이고 기후변화에 대응한 협력 추진을 위해 북한의 기후변화 관련 현황과 취약성을 파악하고자 함 - 취약성 파악을 위해 기후변화에 대한 취약성 및 리스크를 살펴보고, 관련 자료를 수집함 - 차기 연도에는 이를 바탕으로 북한의 기후변화에 대한 취약성을 보다 정교하게 분석하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남북협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 북한의 기후변화 취약성·리스크 검토 결과 및 1차연도의 시사점 ○ 이상에서 구축한 입력자료를 활용하여 위에서 제시한 기후변화 취약성·리스크에 대한 개념 및 분석 틀을 바탕으로 북한의 기후변화 취약성·리스크를 검토 - 이를 위해 먼저 세부 입력자료 중 하위 자료를 표준화하고 통합하여, 상위 체계의 입력자료로 사용하였음 - 최종적으로 기후 관련 위해, 노출, 민감도, 적응역량의 네 요소를 바탕으로 기후 리스크 개념을 수식화하여 지역별 기후 리스크 정도를 파악하였으며, 지역 간 비교를 위해 이를 다시 표준화하였음 ○ 기후변화에 대한 노출과 위해, 민감도 및 적응역량 - 기후변화에 대한 노출은 함경남북도와 황해남북도가 높았고, 기후변화에 대한 민감도는 황해남도와 평안북도가 높았으며, 평양과 평안남도 지역이 적응역량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남 ○ 북한의 기후변화에 대한 취약성·리스크 - 전반적으로 평양과 양강도 지역이 기후에 대한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황해남도와 함경남도의 경우 상대적으로 기후 리스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시사점 - 북한지역의 기후변화에 대한 취약성·리스크에서 지역 간 차이가 나타나, 기후변화에 특히 취약한 지역을 중심으로 협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음 - 평양의 경우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역량이 타 지역에 비해 월등히 높으나, 일부 지역의 경우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역량이 낮아 강화가 시급함 ○ 향후 계획 - 2차연도에는 북한의 기후변화 취약성 관련 가용한 자료를 추가로 수집, 입력자료를 보완하여 기후변화 취약성·리스크에 대한 1차연도의 초안 결과를 업데이트할 예정 - 기후변화 취약성과 관련 국내외 동향을 고려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남북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우선 협력 대상지역을 도출하여 남북협력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함 2. 북한 환경상태 조사와 환경정보 구축의 주요 요약 라. 북한 하수도 문헌자료 심층분석 □ 북한 하수도 관련 정책 및 법 제도 ○ 북한의 하수도법은 2009년에 채택되었고, 하수도법의 기본, 하수도시설의 건설, 하수도시설의 관리, 버림물의 처리, 하수도사업에 대한 지도 및 통제로 구성 ○ 중앙의 도시경영성이 그 산하 도시건설총국을 통해 상하수도시설 등을 관리, 유지, 보수하며, 상하수도 건설은 각 도 직할시 산하 도시건설총국의 시설사업소가 담당 □ 북한 하수도 일반 현황 ○ 평양시에 1960~1970년대에 하수처리장이 건설된 것으로 알려졌으며(윤주환, 2008), 평천구역, 평양시 교외, 통일거리에 3개 처리장이 있다고 함(김건하, 2020) - 시설용량을 초과하여 대동강 오염이 가중되고 있다고 하며(김정욱 외, 2008), 전력 공급의 문제로 가동이 되지 않는다고 함(윤주환, 2008; 김건하, 2020) ○ MICS(Multiple Indicator Cluster Survey) 보고서(DPRK and UNICEF, 2018)의 분뇨 발생 및 처리 경로를 이용하여 북한의 하수 처리율을 산정 - 도시의 하수 처리율은 75.5%로, 시골의 하수 처리율 27.9%보다 2.7배 커서 도시와 시골 간 하수도 서비스의 격차가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음 - 각 도별 하수 처리율은 함경북도가 63.7%로 가장 높고, 자강도가 62.7%로 그다음으로 높으며, 함경남도, 황해북도, 평안북도, 평안남도, 양강도, 강원도, 황해남도 순으로 나타났고 황해남도가 35.1%로 가장 낮았음 □ 북한 하수도의 관리 ○ 북한 대학의 ‘하수도공학’ 교재에 분산식 소규모 정화구조물 모듈 기술 강조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북한은 고육지책이긴 하지만 현재의 열악한 상황을 고려할 때 바람직한 분산형 소규모 하수처리시설 모듈 확대 보급 정책을 펼치고 있음 마. 북한 폐기물 문헌자료 심층분석 □ 북한에서는 지속되는 대북제재 상황에서 심각해진 경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력갱생의 개념에 기초한 재자원화를 강조하고 있으며, 재자원화에 대한 명령과 책임의 명 문화를 위해 2020년 재자원화법을 제정 ○ 북한 폐기물의 분류체계는 구체적인 목록이 작성되지 않고, 발생원이 반영되어 있지 않으며, 폐기물의 발생 및 처리현황 관련 자료는 2008년과 2010년 평양시로 국한되어 있음 ○ 북한에서는 폴리염화비닐(PCBs: Polychlorinated biphenyls)와 같은 유해물질을 여전히 제조 및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물질 폐기 시 적정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공장 내부와 주거지역으로 유출되고 있음. 또한 공단지역과 광산지역의 폐기물 관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 북한은 2008년 바젤 협약에 가입하였으나 외화벌이를 목적으로 폐기물을 지속적으로 수입하고 있으며, 운반수단 미흡으로 인해 수입된 폐기물이 항만에 적치되어 해양환경 오염원으로 작용하고 있음 바. 미국 주요 도서관 소장 북한 환경상태 자료조사 현황 □ 북한의 특성상 현재까지도 관련 자료가 기본적으로 부족하며, 국내자료에 비해 국외자료는 더욱 미비한 상황임. 따라서 북한 환경생태 관련 영문자료의 수집과 요약 및 정리가 필요 ○ 연구목적은 북한 환경생태 관련 영문자료 조사와 요약 및 정리 ○ 미국의 의회도서관이 소장한 영문자료 중 북한 환경생태 관련 키워드로 문헌조사를 실시하여 북한 환경 관련 영문자료 5,000여 개를 조사했으나, 자료 접근 권한과 자료 요약조차 없어 조사대상을 수정해 연구를 진행 ○ 하버드 대학교 소장자료가 너무 방대해 검색대상 논문(Article), 검색시기 2010~2021년으로 검색 범위를 제한하였고, 주요 키워드를 사용해 추출된 6,200여 건의 자료에서 문헌의 목차와 요약, 본문의 내용 일부를 확인하여 조사 ○ 최종적으로 북한의 환경생태와 관련된 영문자료 총 102개를 선정하여 요약 및 정리 - 102개의 자료에 대해서 제목, 저자, 발행처, 내용 요약 등 조사목록을 작성함 사. 북한 환경데이터 구축과 웹 기반 안내 페이지 구축 □ 북한 환경데이터 구축 ○ 본 연구에서는 한국환경연구원에서 발간한 북한 환경 관련 연구보고서에 산재된 데이터의 체계적인 분류기준을 제시하고, 수록된 데이터를 DB 형식으로 정리하여 홈페이지 내 북한환경정보센터에서 제공함으로써, 북한 환경 연구 지원 기반을 마련하고자 함 ○ 북한 환경데이터 구축을 위해, 2020년 수행한 ISP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KEI 북한 환경 연구진의 의견을 수렴해 북한 환경데이터의 분류체계를 확립함 ○ 위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북한 환경 보고서, 부록 등에 수록된 여러 자료를 스프레드시트를 통해 정리하였으며, 웹 페이지에서 제공할 수 있는 형식(PDF, 아래한글)으로 재구성함 □ 북한 환경정보 홈페이지 구축 ○ 분류체계를 바탕으로 북한환경정보센터 웹 페이지를 구축 ※ 일부 항목은 내부 검토 및 과업 진행상의 시간적 어려움으로 추후 업데이트 예정 ○ 기존 KEI 홈페이지와 일관성이 있도록 색상 및 구성요소를 디자인하였으며, 각 세부 분류별 해당 콘텐츠를 열람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를 함께 삽입하였음 ○ 이후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서버를 구매하였으며, 정보화 관련 요구사항 분석서 및 기타 설계문서를 작성하였음 3. 북한 환경연구 생태계 조성 및 성과 확산의 주요 요약 □ 국제학술회의, 국내 심포지엄, KEI 남북환경포럼, 국내 학술회의, KEI 북한환경리뷰 발간, KEI 북한환경동향 2021 발간을 진행 ○ ‘접경과 환경: 탄소중립을 위한 초국가 협력과 소통의 모색’을 주제로 2021년 11월 12일 한국환경연구원과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HK+국가전략사업단이 공동으로 국제학술회의 개최 ○ 2021년 9월 8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KEI,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코리아컨센서스 연구원 주최로 ‘한반도 탄소중립을 위한 남북협력방안’ 심포지엄을 개최 - 해당 심포지엄은 KEI 전동준 박사의 사회, 윤제용 KEI 원장의 환영사와 이인영 통일부 장관의 축사를 시작으로 개최 ○ 북한 산림생태계, 농업생태계, 재난, 지방자치와의 교류협력 등의 주제로 총 5차례 KEI 남북환경포럼을 개최 ○ 그 밖에 대한원격탐사학회 추계학술대회 KEI 기획 세션을 운영하였고, KEI 북한환경 리뷰(2차례) KEI 북한환경동향 2021을 발간 Ⅲ. 평가 및 향후 계획 1. 1단계 사업성과와 한계 □ 1단계 사업에서는 북한환경정보센터를 발족하고 북한 환경정보와 사업 개발을 위한 일반과제로서 ‘북한 환경상태 조사 및 남북 환경협력사업 개발 연구’를 진행하면서, 해당 센터 운영을 위한 대내외적인 기반 구축에 노력 ○ 환경분야 남북한 협력 수요를 ‘산림과 생태계, 수자원, 자연재난’으로 선정, 그간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한 북한 환경과 관련하여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향후 3단계 추진 로드맵 마련, 연구 수행과 위탁을 통한 다양한 북한 환경 관련 자료 수집 및 정리, 국제학술회의, 통일부와 탄소중립 관련 심포지엄 개최, KEI 북한환경리뷰, 동영상 보고서 제작 등 다양한 성과 활동 진행 ○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직과 인력의 한계와 더불어 인적 지원이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대외적으로 국내외 협력의 기반을 구축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2. 남북환경협력 현황 □ 남북환경협력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음 ○ 남북한 환경협력의 역사는 길지 않으며, 남북한 정부 간 환경협력의 성과도 많지 않음 - 그간 환경협력은 남북한 양자의 중앙정부가 주도, 국제사회의 흐름에 동조하고 있는 북한은 한국과의 협력보다는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선호,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남북 환경협력계획이 부재 3. 향후 추진 계획 □ 2020년 작성한 향후 추진 계획을 제1단계 사업평가에 기초하여 수정, 보완하여 작성하였으며, 3가지 방향으로 진행 ○ 추진 방향은 북한 환경상태 조사와 환경정보 구축, 남북한 환경협력 조사 및 사업 개발, 북한 환경연구 생태계 조성 및 성과 확산을 목표로 함 Ⅰ. Background and Objectives 1. Rationales and objectives □ Carbon neutrality to tackle climate change is an urgent task and challenge in this era, and the Korean peninsula is not an exception in the global efforts for this initiative. ○ To combat climate crisi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e 2050 Carbon Neutral Strategy and finalized its scenario to go neutral and targets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North Korean is also known to have a keen interest in mitiga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 However, assess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 North Korea remains challenging due to lack of information and systematically organized data. In addition, researchers have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conditions in North Korea. ○ The establishment of database for environmental status in North Korea should be proceeded on a long-term and consistent basis, separately from the dynamics within and outside the Korean peninsula. ○ Systematic database for North Korea’s environment shall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effective exploration and execution of Inter-Korean cooperation projects going forward, serving as a found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a unified Korean peninsula. ○ This is the second-year research of a multi-year project. This research focuses on plans for (1) studies on inter-Korean environmental cooperation and project development, (2) survey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in North Korea and establishment of environment database, and (3) the creation of environmental research ecosystem and dissemination of progress and results in North Korea. 2. Topics and execution □ This research is comprised as follows: ○ Six volumes of reports, including a comprehensive report, were published as a final outcome of studies on inter-Korean environmental cooperation and project development. These reports include discussions on policy agendas. ○ For survey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in North Korea and establishment of environment databas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two tracks -website creation and data collection. ○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network are also discussed for the creation of environmental research ecosystem and dissemination of progress and results in North Korea. Ⅱ. Major Research Projects in 2021 1. Subtopics for studies on inter-Korean environmental cooperation and project development A.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Development Project in DMZ Region : Focus on DMZ and its Border Area in the Gyeonggi Province □ Surveys were conducted to establish database on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development projects/plans in the DMZ and border areas in Gyeonggi Province. Project sustainability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methodology were examined.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natural environment, industrial facilities, and polluting facilities in the border area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 province, including the DMZ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Armistice Agreement) and five counties (Ongjin-gun, Gangwha-gun, Gimpo-gun, Paju-gun, and Yeoncheon-gun) where the Northern Limit Line (NLL) is demarcated. ○ Database and the surveys of conditions shall be used to prepare for a potential implementation of climate impact assessment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s part of its efforts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 This research collected information on historical changes in land cover maps, the quality of flora and fauna habitats, and carbon stock in the DMZ and border areas in Gyeonggi province. - Locations: 339 parks, 17 wetlands, two water source protection areas, 108 mines, 11,183 pollutant emitting facilities, 40 water intake/treatment plants, 17 incineration plants, 24 public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 capacity of 500m3/d or over), nine livestock waste treatment facilities, eight waste landfills, and 16,676 industrial facilities. ○ The survey results and project plans are to be used to project future changes in land cover maps and carbon stock and to explore methods to support policy decisions on climate change response. B. Building Data on Natural Disaster of North Korea and Cooperation Strategies □ We developed strategies for cooperative response to natural disasters in North Korea based on the analysis of major characteristics of natural disasters in the past 30 years and examination on natural disaster response system in North Korea. ○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uld be used to develop projects paving the way for inter-Korean cooperation over the course of a potential lifting of sanctions on North Korea. □ Over the past 30 years, a total of 272 natural disasters had occurred in North Korea. Among them, 88 events had hit the country simultaneously with other disasters. ○ The most frequent disaster was torrential rains, hitting the country 66 times and accounting for 24.2% of the 272 natural disasters that happened during the 30-year period. □ Below are the current legal and response systems for natural disaster management in North Korea. ○ Kim Jong-un’s directives and on-site instruction assume absolute authority as the principles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Thus, they are conveyed as the Party’s policies, taking priority over any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s. Currently, the Law on Disaster Prevention, Relief and Recovery governs natural and social disaster control in North Korea. ○ Notable changes have been witnessed in North Korea’s disaster response efforts, including a shift in the perception of disaster response by the Supreme Leader, the media’s live broadcast, organizational changes, and efforts to conform to international trends. Despite these changes,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limitations and hurdles in the country’s disaster relief activities. □ Disaster management and relief efforts in North Korea require the leadership of South Korea and the further sophistication of cooperation measures. The issue also calls for discussions on securing 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Principles and directions in inter-Korean cooperation for natural disaster response are as follows: ○ South Korea maintains the principles of preventive, governance, international and stable cooperation. ○ In the short-term, tasks that had been agreed but not been fulfilled shall take priority. A comprehensive approach is required to deal with natural disasters. ○ Over the long-term, inclusive cooperation encompassing the issues of life and safety is desired. - Future tasks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the “Council for the Life and Safety on the Korean Peninsula (or Inter-Korea Life and Safety Council)” to address the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issues and the conclusion of the “Agreement on the Joint response to life and safety on the Korean Peninsula” to promote inter-Korean cooperation for life and safety. C. North Korea's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nd inter-Korean cooperation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I) □ Background and objectives ○ Objectives - The information on conditions and vulnerability regarding climate change in North Korea was collected to mitigate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push ahead with cooperation for climate change response. - To understand vulnerability, data on the trends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nd risks and other relevant data were compiled. - Based on the results, more sophisticated analysis of North Korea’s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will be performed in the next year’s research. In addition, implications for inter-Korean cooperation for climate change response shall be induced on the basis of the data in this research. □ Results of reviews on North Korea’s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nd risks and implications of the first year research ○ Utilizing the established database, vulnerability and risks for climate change in North Korea was reviewed in accordance with the aforementioned definition and analysis framework. - For this purpose, standardized and integrated lower-level data were used as inputs to upper-level data. - To assess risks by region, this research mathematically formulated climate change risks based on the four factors - damage, exposure, sensitivity, and adaptation capability. We standardized the data again for regional comparison. ○ Climate change exposure, damage, sensitivity and adaptation capability - Exposure to climate change was the highest in North-/South Hamgyong provinces and North-/South Hwanghae provinces, while South Hwanghae province and North Pyongan province displayed the highest climate change sensitivity. Pyongyang and South Pyongan province surpassed other regions in adaptation capability. ○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nd risks - While Pyongyang and Ryanggang province were exposed to relatively lower risks, South Hwanghae and South Hamgyong provinces displayed higher risks. ○ Implications - In light of regional differences in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nd risks, cooperation should be concentrated on areas displaying higher vulnerability. - Pyongyang showed superior adaptive capacity compared to other regions. However, some regions with low capacity are urgently required to strengthen climate change-related capabilities. ○ Future plans - The second-year research will update the results of the first-year research on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nd risks by collecting additional available data on vulnerability and complementing input data. - We will devise inter-Korean cooperation measures for climate change response and select priority areas for cooperation based on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data and domestic and overseas trends. Such efforts are expected to lay a foundation for further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2. Key results of investigations on environmental conditions in North Korea and environmental database establishment A. In-depth analysis of documents on North Korea’s sewage system □ Relevant policies and legal system ○ Enacted in 2009, the Sewage Law in North Korea consists of the basic laws on sewag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sewage facilities, wastewater treatment, and control and instruction for sewage projects. ○ The Ministry of City Management manages, maintains, and repairs drinking an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via the Construction Bureau. Facility offices under the Construction Bureau in each province and directly governed city are responsible for the construction of drinking and wastewater facilities. □ General sewage conditions in North Korea ○ It is known that sewage treatment plants were constructed in Pyongyang in the 1960s and 1970s (Yun Zu-Whan, 2008). The city had built three sewage treatment plants in the Pyongchon District, in the suburban area, and on the Tongil Street (Kim Geon-ha, 2020). - However, the volume of wastewater has exceeded the capacity of sewage treatment plants, exacerbating pollution in the Taedong River (Kim Jeong-wook et al., 2008). Furthermore, the treatments plants often fail to operate due to power shortages (Yun Zu-whan, 2008; Kim Geon-ha, 2020). ○ The sewage treatment rate was calculated based on the data of human excreta generation and disposal methods presented in the Multiple Indicator Cluster Survey (DPRK and UNICEF, 2018). - The sewage treatment rate in the urban areas stood at 75.5%, 2.7 times higher than the rate of 27.9% in the rural areas. The disparity of sewer servic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s significant. - By province, North Hamgyong Province recorded the highest sewage treatment rate of 63.7%, followed by Chagang Province (62.7%), South Hamgyong Province, North Hwanghae Province, North Pyongan Province, South Pyongan Province, Ryanggang Province, Gangwon Province, and South Hwanghae Province(35.1%). □ Sewage system management in North Korea ○ North Korea is expanding the distribution of small-scale decentraliz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modules, emphasizing the technology in wastewater engineering textbooks for universities. The policy is a stopgap measure, but considered appropriate in light of the current destitute conditions in North Korea. B. In-depth analysis of documents on waste □ Amid continued sanctions, North Korea is promoting re-resourceization based on the spirit of self-reliance as a way to address worsening economic crisis. In 2020, the Re-resource Law was enacted to stipulate command and responsibility for the country’s re-resourceization initiative. ○ North Korea does not have the classified list of waste with information on sources of generation. The only available data on waste generation and disposal are limited to the ones for Pyongyang in 2008 and 2010. ○ Hazardous materials, including PCBs, are still produced and used in North Korea. However, the waste is not been disposed properly with some of it flowing back into factories or to residential areas. In addition, the waste generated in industrial complexes and mines are barely treated or processed. ○ Although North Korea ratified the Basel Convention in 2008, the country continues to import waste materials as a way to generate foreign currency income. However, due to lack of transportation, the bulk of the imported materials remain piled at the ports, polluting the marine environment. C. Analysis of documents on environmental conditions in North Korea in major U.S. libraries □ Due to the closed nature of North Korea, there is a limited availability of documents and data. Foreign documents are even more scarce relative to domestic ones.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collect, organize and summarize English documents about the environment and ecosystem in North Korea. ○ The collection, organization and summarization of English documents regarding to the environment and ecosystem in North Korea is one of the primary objectives of this research. ○ We had selected approximately 5,000 English documents in the Library of Congress on the environment in North Korea via keyword searches. However, the access to or summaries of the documents were not available. Thus, we changed a target archive. ○ Due to an immensely extensive archive of Harvard University, we limited our search to articles published from 2010 to 2021. After selecting the 6,200 documents through keyword searches, we reviewed them again, checking tables of contents, abstracts, and part of full documents. ○ Finally, 102 articles were selected for review and summarization. - We catalogued the 120 articles based on the criteria of titles, authors, publishers, and summaries. D. Creation of database and web page on the environment in North Korea □ Database establishment ○ This research aims to create a database from the data presented in a number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by the KEI on the basis of systematic categorization standards. The results will be provided by the Center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North Korea on the KEI website to support research on North Korea’s environment. ○ To establish a database, we developed a data classification scheme based on the results of independent study projects (ISP) conducted in 2020 and the opinions of researchers at the KEI specializing in North Korea. ○ We entered data contained in the reports and appendices in the spreadsheets in accordance with our classification scheme and formatted the data into PDF and HWP files to publish them on the website. □ Website creation ○ The website for the Center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North Korea was created based on our classification scheme. ※ Some items that remain unfilled due to the longer-than-expected time required for internal reviews and task procedures will be updated later. ○ The website was designed with the color scheme and structure consistent with the KEI website. Links to read or download documents are provided in each category. ○ A separate server for the website was purchased to be used for other additional services. Documents on data restructuring requirements analysis and designs were also prepared. 3. Creation of research ecosystem on the environment in North Korea and dissemination of achievements □ The KEI hosted international and domestic academic conferences, a domestic symposium, and the Inter-Korean Environment Forum. It also published the KEI Environmental Review of North Korea and the KEI Environmental Issues and Research Trends in North Korea 2021. ○ On November 12, 2021, the KEI hosted an international conference jointly with HK+ National Strategies Research Project Agency of Hankoo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with a theme of Border and the Environment: Search for Transnational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for Carbon Neutrality. ○ The KEI also held a symposium on Inter-Korean Cooperation for Carbon Neutrality on the Korean Peninsula on September 8, 2021, with the National Institute for Unification Education under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nd Korea Consensus Institute. - Hosted by Dr. Chun Dong-jun of the KEI, the symposium opened with a welcome address by Dr. Yoon Je-yong, President of the KEI, and a congratulatory address by Lee In-young, the Minister of Unification. ○ The KEI also held the Inter-Korean Environment Forum four times under the themes of forest ecosystems, agricultural ecosystems, disasters, and exchange/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in North Korea. ○ In addition, the KEI operated a special session at the Autumn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Remote Sensing. The institute also issued the KEI Environmental Review of North Korea twice and published the KEI Environmental Issues and Research Trends in North Korea 2021. Ⅲ. Review and Future Plans 1. Achievement of 1st Phase Project and Limitations □ Launched in the first-phase of the project, the Center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North Korea conducted the research on environmental conditions in North Korea and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cooperative projects to establish and solidify an internal and external basis for the Center’s operation. ○ The four areas - forest, ecosystem, water resources, and natural disasters - were selected as the focuses of inter-Korean cooperation in the environment field. A variety of themes on the environment in North Korea, which had been relatively ignored, have been discussed, and a three-phase roadmap was created for further cooperation. Data and documents related to North Korea’s environment were collected and organized via in-house or commissioned research projects. The KEI hosted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s and held a symposium on carbon neutrality jointly with the Ministry of Unification. The publication of the KEI Environmental Review of North Korea and the creation of a video report were also notable achievements. ○ Nevertheless, obstacles to promoting domestic and overseas cooperation still exist, including under-capacity in organization and workforce and lack of manpower support. 2. Current status of inter-Korean environmental cooperation □ Inter-Korean cooperation in the environmental area is characterized as follows: ○ The history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relatively short, and cooperative efforts between governments have failed to produce substantial outcomes. Up until now, inter-Korean cooperation in the environmental field has been led by the central governments of the two countries. Meanwhile, North Korea, which is making efforts to conform to international trends, prefers coope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an with South Korea. Inter-Korean cooperation also lacks a systematic and long-term roadmap. 3. Future plans □ Future plans formulated in 2020 were revised and complemented based on the review of the first-phase project. Inter-Korean cooperation in the environment area shall proceed in three directions. ○ The KEI will conduct surveys on environmental conditions in North Korea and establish a database. It will also search for inter-Korean cooperation opportunities and develop projects. The next steps shall include creating an ecosystem for environmental research in North Korea and disseminating the outcomes of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