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부적을 만나다: 조선불교에서의 안산(安産)부적

        김수정(Kim, Sujung)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22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10 No.-

        부적이 가진 역사적, 종교적, 의료적, 사회문화사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부적에 대한 학문적 관심과 이해는 미진하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부적의 연구사를 살펴보고 또 논의를 좁혀 무엇이 불교 부적인지를 논의한 다음, 불교의 치병 부적을 예로 들어 부적 연구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자 한다. 현존 최고의 부적은 고려시대의 부적으로, 조선시대 말까지 부적은 여러 종교와 민간 신앙, 물질문화 전반에 다양하게 수용, 발전되었다. 이 논문은 당시 크게 유행한 안산 부적을 살펴서 부적의 언어가 갖는 기호작용(semiosis)과 기술성(technicality)이 어떻게 오랜 기간 동안 의약의 대체제가 아닌, 총체적 의례를 통해 구현되는 치유(healing) 그 자체였다는 점을 보인다. 본 논문은 3장으로 구성되어있다. 첫 장에서는 먼저 한국 부적의 연구 현황을 살피고, 그 후, 불교 부적에 대한 개관을 한다. 일제시대부터 부적의 자료가 모아지기 시작했으며, 국내 학자의 연구로는 김민기의 80년대 연구가 가장 최초의 연구물이라고 할 수 있다. 가장 최근 발표된 김영자의 민속학적 부적 연구가 갖는 의의를 살핀다. 두번째 장에서는 논의를 조선시대로 좁혀 13세기 『불정심관세음보살대다라니경(佛頂心觀世音菩薩大陀羅尼經)』 속에 처음 나타나는 ‘비자인(秘字印)’ 부적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판본까지 두루 살피며, 안산 부적이 갖는 의미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또한 당나라 의서, 돈황 사본 등에 나타나는 부적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불정심다라니경』에 수록되어 있는 안산 부적은 관음신앙을 바탕으로 한 부적으로, 8세기 중국 당나라 의서에서 사용된 부적이 변용과 변형의 과정을 거쳐 조선시대의 안산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음을 살펴본다. 마지막 장에서는 결론을 대신하여 부적 연구의 중요성, 그리고 방법론상의 재고가 필요함을 지적하고, 부적 연구가 갖는 의의에 대해서 종교 연구에 있어서의 물질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This study problematizes the lack of the scholarly attentions on the study of talismans whose legacy left strong marks in history, religion, medicine, and social history. The paper, thus, starts with surveying scholarly reviews on Korean talismans. The discussion continues with contextualizing what Buddhist talismans are in the Korean religions.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t talismans begins in the Koryŏ period and throughout the Chosŏn period, talismans thrived. Focusing on the Chosŏn, the paper showcases a talisman popularly used for a safe delivery. By analyzing the language of talismans, its semosis and technicality, the present study argues that talismans did not simply function as a substitute. Rather, the holistic nature of its ritual helped talismans to be materialized and medicalized. The paper consists of three sections. The first section outlines the review of the scholarship on Korean talismans. Then, it moves onto the question of what “Buddhist” talismans are. The earliest academic approach to Korean talismans began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it was not until the 1980s that “academic” studies on Korean talismans emerged. Works by Kim Yŏngja should be the most comprehensive although her folkloristic approaches present some limitations as well. The second section analyzes a safe-delivery talisman, known as the pija-in(秘字印) talisman that is included in the Great Dhāraṇī Sūtra of the Heart of the Buddha Crown[Uṣṇ īṣ a] of Avalokiteśvara Bodhisattva(Foding xin Guanshiyin pusa da tuoluoni jing 佛頂心觀世音菩薩大陀羅尼經) whose oldest known edition comes from the thirteenth century in Korea. Comparing it with the later editions published in Chosŏn and other Tang medical texts and talismans from Dunhuang documents, the section demonstrates that the talisman in question, which became extremely popular throughout the Chosŏn period, is very possibly originated from the Tang medical text from the eight century. The last section concludes with several reflections such a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ies on talismans, methodological issues for the study of talisman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the material culture in the study of religion.

      • KCI등재

        한국 근대기 부적의 조형성 -개항 이후 일제강점기 동안 유통된 부적이미지를 중심으로-

        오주은 ( Oh Joo E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6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 시각이미지로 자리해 온 부적의 근대적 조형성을 고찰하고 있다. 이는 일본에 의한 근대화 이후 전통의 가치가 굴절되었던 시기에 대중적으로 소비되었던 부적의 시각적 특징을 살펴 보는 것으로, 궁극적인 목적은 `전통적 가치의 지속과 현실적 재구성`이라는 관점에서 전통의 시각 언어를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근대 부적에 대한 분석은 일제강점기 일본 민속학자들에 의해 저술된 『조선의 귀신』, 『조선무속의 연구』, 작자미상인 『각양부적』에 실린 이미지를 대상으로 했다. 이들 자료는 모두 1920,30년대에 수집된 부적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근대 이전시기 부적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볼 수 있는 주요 분석 지표로 작용했다. 이와 함께 부적이 사용된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무속신앙과 관련된 한국의 근대 일상사 연구 및 해당 문헌 등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근대 부적은 전통의 부적이 내재한 고유의 구성원리를 따르면서 부적 특유의 시각성을 강화하는 조형적 변이를 동반했다. 이전시기보다 한자부적의 자획(字劃)이 선적인 조형요소로 기능함으로써 회화적 형상을 띤 문자부적의 특성이 두드러졌으며, 초월적인 힘을 가시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신체 일부를 문자와 연결시키거나 특정 도형과 결합하는 방식을 나타냈다. 이는 계몽운동과 식민정책의 영향으로 집단적 정서와 욕구를 공식화한 이미지로서의 기능은 사회로부터 배격되었으나 주술적 가치를 내재한 고유의 시각성은 오히려 개인의 목적에 따라 심화되었음을 나타낸 것이었다. 즉 근대 부적의 조형성은 근대 이전 집단적 소원에 기초해 형성되었던 특유의 조형성을 기반으로 `근대`라는 시대적 상황에 따른 시각적 구성의 변이를 동반하며 일상의 시각언어로 소용된 것이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전통의 가치를 내재한 시각적 형상이 시대적 현실에 반응하여 나타낸 조형적 특징을 고찰함으로써 전통의 시각언어를 새롭게 조명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고, 나아가 `디자인 분야에서의 한국적 조형의 모색`에 관한 기왕의 연구흐름에 또 다른 시각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The current paper studies the modern visuality of talisman, which has been a traditional visual image in Korea. Looking into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alismans that were popularly consumed during a period when the traditional values were inflected after modernization forced by Japan, this study ultimately aims to find a clue for understanding Korean traditional visual language in the perspective of "continuation of traditional values and their realistic restruc turing." Analyses on modern talisman were conducted by reviewing images reported in books written by Japanese folklorists during Japanese occupation, such as 『Ghosts in Joseon』, 『Research of Joseon Shamanism』, and 『Various Talismans』, The data in these books are major analytic indices because they contain images of talisman collected at the time, allowing researchers to compare modern talismans with pre-modern ones. In addition, literature on modern daily life in Korea related to shamanism were stud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ways in which the talismans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a modern talisman was accompanied by a formative variation intensifying a talisman-specific visuality while following a unique constituting principle inherent in a traditional talisman. Particularly, with the number of strokes of Chinese character talisman functioning as a more linear formative element in comparison with earlier times, the characteristic of a character talisman assuming a picturesque shape stood out, and a modern talisman represented a method of connecting a part of the body with a character, or combining it with a specific figure as an expedient for visualizing transcendental power. This shows that while the enlightenment and colonization policies rejected talismans as bearers of images that officialize group sentiments and desires, inherent visuality containing shamanistic values deepened in contrast, depending on individual objectives. Like thi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the beginning, which makes it possible to shed a new light on a traditional visual language, by consider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represented by a visual shape embedding traditional value in response to reality of the times, and further provides another perspective to the past & gone research flow on `Inquiry into Korean Moulding in Design Field.`

      • KCI등재

        불교의식집에 나타난 부적(符籍)과 그 역할

        강대현 ( Kang Dae-hyun ),권기현 ( Kwon Gi-gyu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5

        조선시대의 불교적 상황은 고려시대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특히 조선후기에 집중적으로 간행되었던 불교의식집에는 민간신앙과 융합된 여러 가지 도상이 등장하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부적에 초점을 두었다. 가장 많은 문헌에서 나타나고 있는 부적이 ‘북두칠성부’이며, 이들 부적은 칠성존에게 구복ㆍ업장소멸ㆍ식재 등은 물론 수명의 연장 또한 기원하고 있다. 다음은 ‘왕생정토부’로서, 죽은 자의 왕생정토를 빌어주는 부적이다. 이 부적은 불교의식집에서 매우 특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즉 ‘대장경왕생정토부식법’이라 하여 부적을 먹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삼장육재일과 연관되어 전개되고 있다. 그리고 ‘중복방법부’는 상복을 거듭 입을 가능성이 있는 중복일과 연관되는데, ‘중복방법부’는 이를 방지하는 부적이다. 마지막으로 진언집과 『일용집』 등에는 총 24종의 부적이 열거되어 있다. 이 중에서 특히 7종의 부적은 도교의 경전에서 차용한 것으로서, 양택풍수와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으며, 나머지 18종의 부적 또한 세속의 현실적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는 부적이다. 따라서 이들 부적을 통한 조선후기 불교의 양상을 가늠해 본다면, 불교의 심오한 철학적 의미보다는 부적 소지자 개개인의 생로병사에 대한 현실적 고충의 제멸과 타력에 기댄 극락왕생의 원망 등을 기원한 기층화된 민간신앙으로서의 불교적 양상이었으며, 밀교 의례의 한 부분으로서 신비적 부적이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As we already know,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is much different from Buddhism in the Goryeo Dynasty. Especially, in the Collections of Korean Buddhist Rituals which were published intensive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are various iconogaphies that are fused with folk beliefs, In this article, I focused on amulets. The most amulet in the literature is the ‘Ursa Major amulets’, through these amulets, Ursa Major is praying for good fortune, extinguish karmic hindrances, the prevention of disasters and calamities as well as extending the life span. The following is ‘an amulet for rebirth in the Pure Land’, it is an amulet that begs the dead to be reborn in the Pure Land. This amulet is very unusual in the Korean Buddhist Rituals. Namely, That explains it ‘how to eat amulet for rebirth in the Pure Land’, it is being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three whole months of abstinence and six days of purification. And the following is ‘an amulet to prevent wearing mourning’, it is related to the day when mourning is repeated, this is an amulet to prevent wearing mourning. Finally, There are a total of 24 amulets listed in the book of mantras and The gathered book of ordinary worshipping Buddha etc. Among them, seven kinds of amulets were borrowed from Feng Shui for the Housing for the scriptures of Taoism, The remaining 18 amulets are also amulet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secular real life. Therefore, if we look at the aspect of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se amulets, It is a Buddhist aspect as a changed civilized faith that desires the disappearance of the individual's real troubles, that are birth, old age, sickness, and death and to be reborn ultimate bliss, and the origins of dependence on other-power, so it can be said that mystical amulets were used as part of the esoteric ritual.

      • KCI등재

        부적(符籍)에 나타난 도식, 의미, 형태

        양종승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3 일본학연구 Vol.70 No.-

        부적(符籍)은 이 땅에 전해 내려온 귀신 신앙과 함께 계승 발전되어 온 신부(神符)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리고 역사적 흐름 속에서 불부(佛符)와 도부(道符)가 개입되어 졌고, 오늘날에는 다양한 부적 문화를 갖추게 되었다. 이러한 부적은 생명, 안녕, 행복, 풍요, 벽사, 무병, 장수 등의 의미를 담은 부적은 전통적으로 칠성 신앙을 기반으로 발전되었으며, 액운이나 질병으로부터 탈피하기 위한 보호 장치물일 뿐만 아니라 행운을 안겨주는 마법의 열쇠로도 인식된다. 불운에 대한 방어 목적은 물론이고 소망과 복을 불러들이는 길운과 더불어 제액초복(除厄招福)의 산물로 자리매김하게 된 부적은 영적 힘을 가진 귀물(鬼物)이면서 신물(神物)이다. 부적은 이제 신비하고 묘할 정도의 각별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무속신앙의 방책의 도구로 활용되면서 좋지 못한 해로운 액을 미리 막고 이미 침범하였다면 물리치는 제액(除厄)과 이로운 복을 불러들이는 초복(招福) 기능을 갖는다. 현세적 길복 추구의 부적이 오랫동안 삶 속에 이어져 온 까닭은 불안에 대한 극복 그리고 희망적 기대에 부응한 신앙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사회에서의 부적은 보편적이며 타당성을 갖는 일상 문화로 자리매김하였다. 다양한 이미지를 디자인해 휴대전화 케이스 등의 제품으로 제작하여 온오프라인을 통해 판매하는 상품으로도 주목받게 되면서 본격적인 부적 상품화 시대를 열었다. 이처럼 과학화된 오늘날에 그 기능과 형태가 더욱 확대되어 현대인들의 삶에 깊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부적 문화가 오랫동안 전통의 맥락과 더불어 현대생활 속에서도 지속성을 갖고 이어지고 있는 것은 부적이 사회 변화와 시대적 흐름에 적절히 대응하며 한국인의 경외적 종교심성과 삶의 정서를 잘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Amulets have been passed on and developed along with the belief in shamanism. Buddhism and Taoism were also involved in this historical trend.Today, various forms of amulets are a part of religious iconography culture. These amulets are used to promote life, well-being, happiness, abundance, and obscurity. Theypromote protection from disease and the sources of longevity. Amulets have traditionally been developed based on the shamanic faith. An amulet performs as a protective mechanism to avoid bad luck or illness, as well asappearing as a magic key to foster good luck. Amulets function not only as a medium for protection, but also a vehicle that promotes hope and luck. Therefore, amuletsserve as objects that can impact the hardships of life and in bringluck. Amuletsare seen as divine objects with spiritual energy. These amulets are used as toolswithin the framework of shamanism to solve mysterious problems of life. They prevent bad manifestations from being interpreted as good in advance and defeat the negative if it has already invaded;so, amulets have the function of bringing in good fortune. The reason why amulets have existed in our lives for centuries is that these religious productsserve to resolve anxiety and promote hopeful expectations. Therefore, amulets in Korean society have become a pervasive part of daily life within the culture. They have also attracted attention through their integration as product design images applied to such everyday items as mobile phone cases, opening an era of full-fledged amulet commercialization. In this era grounded in a scientific approach to the world, the functions and forms of amulets have been further expanded;as such, they’ve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lives of modern people. The reason why such an amulet culture has continuity in modern life is that it responds appropriately to social changes and the trends of the times. Concurrently, amulet culture reflects Koreans’ awe-inspiring religious spirit and emotions in life.

      • KCI등재

        符籍의 역사문화적 가치와 체계화

        서해숙(Seo Hae-Sug) 역사문화학회 2010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3 No.2

        본 연구는 부적의 역사문화적 가치와 의미, 수집한 한일 부적자원의 현황과 현대적 특징 그리고 문화자원의 축적과 활용이라는 차원에서 부적자원에 대한 메타데이터 구성과 함께 디지털 이카이브 체계화 과정을 살핀 것이다. 부적은 우린 민족의 근간이 되는 종교적 신심의 표현임과 동시에 문화적 행위이므로, 단순히 과거적 산물이 아닌 현재적 전승유산이면서 동시에 미래의 문화자원으로 인식할 수 있다. 특히 오늘날 종교적 차원뿐만 아니라 현대인의 상업적, 예술적 감각에 따라 상업화, 예술화, 디지털화 되는 양상을 볼 때 오히려 부적은 다양성을 담보하며 확대의 과정을 밟고 있다. 여기에 현재적 시점에서 유통되는 부적자원을 수집하고 이를 대상으로 디지털 체계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의 부적을 일반인, 종교인, 예술인, 상업인 등의 주체별로 분류하여 수집한 결과, 특정 종교에 한정된 소산물이 아니라 대증을 위한 산물로써 주체자의 성향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대사회에서 상업적으로 점차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다양한 부적이 양산되고 있고, 그 결과 상점 혹은 인터넷에서 상품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심지어 중국에서 수입한 부적을 판매하기도 한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최근 변화와는 달리 일본의 부적은 일찍이 대중적, 상업적으로 확산되어, 개방성, 공공성, 상품성이 훨씬 강조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과거와 현재 수집된 문화자원을 체계적으로 디지털화 하는 것은 자원에 대한 가치를 극대화하고 이를 재창조할 수 있는 순환적인 연결고리를 마련하는 것이며 정확한 정보를 구축하기 위한 밑거름이 된다는 점을 인지하고서, 부적을 디지털 아카이브하기 위해서 자료형식의 표준안인 메타데이터를 구성하고, 이와 함께 단계별 정리방안인 프로세스를 체계화함으로써 문화자원으로서의 그 가치를 확대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지료형식의 표준화와 함께 기본속성과 세부속성으로 메타데이터 요소의 표준안을 상세화 하였고, 이를 실제 적용하여 나열하였다. 그리고 단계별 디지털 체계화 과정을 크게 수집, 저작권 관리, 메타데이터 입력, 보존가치 평가, 포맷 변환, 보존, 서비스 과정으로 구분하여 해당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폈다.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and significance of amulets,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Japan amulet resources that have been handed down,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process of metadata standardization and digital archives related to collected amulets from a perspective of cultural resources accumulation and use. An amulet is a cultural action that expresses the religious faith of Korean people. Therefore, amulets are not just artifacts of the past, but cultural legacies of today and cultural resources of the future. Amulets are especially becoming commercialized, turned into art and digitalized in addition to being considered from a religious perspective because of the changed awareness of people today, and new values and significance of amulets can be confirmed in contemporary society. Amulets currently distributed in Korea were divided according to subjects who used the amulets such as the general public, religious people, artists and sales people, and colle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amulets are developing a variety of ways according to the preferences of the wearer, such as amulets as superstitious tools and amulets as cultural products. The meta data of the amulets was standardized to create a digital archive, and a process of organizing the data stage by stage was systemized to expand the value of amulets as cultural resources.

      • KCI등재

        부적(符籍)의 조형적 의미 고찰

        이종규,이철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6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7 No.49

        부적은 의미적으로 복을 기원하는 길상부적과 사악한 기운을 막고자 하는 벽사부적으로 나뉜다. 이중 벽사부적의 수는 확연하게 많고 다양하다. 그것은 벽사부적이 좀 더 원론적 부적의 모습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형태적으로 그림형태의 부적과 문자형태의 부적으로 나눌 수 있다. 그 사이에는 여러 가지 중간 유형이 많이 존재하고, 그림형태의 부적에는 구상과 추상적인 형태가 있다. 본 연구는 문헌자료를 통하여 부적이 우리 민족의 삶과 문화 속에서 어떤 의미로 존재하였으며, 부적의 조형적 모습과 시대적 변화와의 관계를 살펴 정통부적의 문화․예술적 정체성을 찾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부적에 담겨진 주술적 염원을 시대별로 고찰해 봄으로써 오랜 시간 이어져 내려오는 부적이 지닌 기능을 파악하고, 조형적 변화를 연구 하였다. 이를 통해 부적이 단순히 기복의 염원을 담은 문양만이 아니고, 그 시대의 문화를 흡수하여 변화하고 일정한 방향성을 지니며 살아가는 문화유기체임을 알게 되었다. 또한 부적의 개념과 조형적 특성을 이해하고 부적의 시각적 요소를 파악하여, 우리나라 정통부적의 문화․예술적 가치를 찾아보았다. Amulets are generally categorized into two types of amulets. Among them, the charm of the brickwork can be found in its original form, and the number is remarkably large and diverse. The meaning of the wall is one of the traditional folk beliefs that seek to escape evil by dealing with evil and overcoming evi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amulet in the life and culture of the Korean people, and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era. Amulets can be divided into the forms of pictures and characters. There exist lots of categories of intermediate types between the picture amulets and character amulets. Picture amulets can be formed as concrete o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amulet in the life and culture of the Korean people through references. Besides, it has tried to find out the cultural and artistic identity of authentic amulets by studying relations between formative figures and chronological changes of amulets. This study shows various functions and formative changes of amulets which have continued for a long time by investigating shamanistic desires included in amulets by times. Throughout the study, it is found that amulets are not just a pattern of simple desire but cultural organism which assimilates cultures of the time and changes constantly. Besides, it includes the study about cultural and artistic values of authentic amulets, which was investigated by understanding definition and the formative features and recognizing visual factors of amulets.

      • KCI등재

        한국인 부적신앙의 역사

        장정태 ( Jung Tae Jang ) 한국신종교학회 2008 신종교연구 Vol.19 No.-

        인간은 누구나 불확실성 속에 살고있다. 그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깊은 신앙으로 극복하는 방법, 완전히 무시하거나 운명론에 편승하기도 한다. 그러나 어느 방법이 가장 합리적이고 과학적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그것은 인간의 삶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부적은 그 여러방법 가운데 하나로 그것을 소유함으로 자신의 문제가 해결되었다는 믿음과 그렇지 못하다는 상반된 의견이 상존한다. 이런 가운데 부적은 고래로부터 지금껏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다. 재산이나 관직을 얻고 사랑을 획득하고, 난치병을 고치는 등 여러 소망을 이룰 수 있다고 믿고 확신하는데 부적의 역할만큼 직접 마음에 와 닿는일은 없다. 부적을 몸에 지니고 벽에 붙이며 자기 자신에게 최면을 걸고 `나는 할 수 있다` `나는 암을 극복할 수 있다`고 계속다짐 하면서 자신을 독려하고 모든 이에 정성을 다하면 그 소원이 이루어질 확률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는 것 부적예찬론자들의 주장이다. 부적이 특히 신병치료 분야에 효과를 보이고 실의에 빠진 사람에게 용기를 주는 것은 물론 재앙에 빠진 사람이 희망을 되찾고 병든 사람이 건강을 회복하는 방편으로 부적을 소지해 효과를 볼 수 있다면 그 보다 더 좋은 일은 없을 것이다. 부적의 효험을 과학적으로 증명하는 것은 어렵다. 특히 종교적인 인과론으로 사실 확인을 증명하는 일은 전혀 시도된 적도 없을 뿐 더러 불가능한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부적을 지님으로 마음에 희망을 주고 안정을 시키는 구실을 하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사회일각에서 보이는 부적에 관련된 폐해와 부작용은 인간의 속성을 교묘하게 이용하려는 일부 이탈된 사람들의 바르지 못한 심성의 결과일 뿐, 부적이 원래 갖고 있는 속성은 아닌것이다. 본고는 지금까지 한국의 부적의 역사와 종류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부적을 소지함으로 예상되는 심리적 상태를 살펴보고 부적의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기로 한다. The significance of January is that it conveys more hopes and expectations than the rest of the year. Therefore, we plan to be more sincere and confident for the rest of the year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Charms are a big part of local ceremonies. These charms are writing, images, and/or symbols on paper and are believed to fight bad luck or bring good fortune. Living in the 21st Century, we might think of them as unscientific and shamanistic. However, they are a valuable folk tradition that has lived with the general public for a long time. Originally, a charm was completed by attaching pieces of wood or bamboo to signify spiritual omen, experience, or force. It gains meaning because of the existence of heaven or god and serves as the evid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god. In the West, this type of religion is called Fetishism. Fetishism originated from Fetico, the Portugese for artifact or the shamanist worship of a refined natural object. When the Portugese traveled to the coast of West Africa in the 15th Century, they created this term to describe the Africans` shamanist rituals, especially the use of charms. Charms are the implication of people who hold them. They serve as an alternative psychological counselor that can solve the psychological crisis of drivers, people preparing for important exams, or businessmen for whom religion is not enough. Nothing is as strong as a charm when one has the desire to acquire fortune, social status, love, or heal an incurable disease. When one keeps the charm on his body or hang it on a wall to hypnotize himself that `I can do it` or `I can win th cancer`, the probability of realizing his hope can actually increase. Charms are particularly effective in curing illness. Nothing would be better if charms can give hope and courage to those in despair or disaster and recover the health of ill people. Of course, it is difficult to prove the effect of charms scientifically. Furthermore, no one has ever attempted to prove it through religious causationalism. In fact, it is impossible to do so. Nevertheless, we cannot deny that having a charm gives us hope and tranquilizes our hearts. The charms are only abused by the bad intension of a few corrupted people in the world; the charms themselves do not actually have such a negative nature.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y and types of charms in Korea. In addition, I discussed the influence of charms on men on psychological level, 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charms.

      • KCI등재

        부적을 이용한 예술의 현대적 변용

        고은주(Go, Eun-Joo) 동서미술문화학회 2021 미술문화연구 Vol.21 No.21

        부적(符籍)은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되어온 인간의 다양한 삶의 의미와 염원(念願)이 응집된 것이다. 간절한 기도의 주제나 바라는 바가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부적은 인간 삶의 절실한 부분을 담고 있다. 특히 액을 막고 복을 불러들이는 제액초복(除厄招福)은 인간에게 가장 원초적이며 간절한 염원이다. 최근 본인은 부적을 차용하여 작품화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 인간의 염원을 가시적으로 형상화한 부적의 종류와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 부적을 현대적 변용하여 예술로 표현한 본인의 작품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시대의 흐름에 따른 한국 부적의 전개와 종류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부적은 단순한 과거적 산물이 아닌 각 시대의 사회・문화적 양상을 수용하며 변천되어온 문화적 소산물이며 전승 유산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신화적 기호로서의 부적은 주술적 목적에 의해 반복되는 제작과정 속에서 부적만의 자연스럽고 독특한 조형미를 이루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오늘날에도 여전히 찾고 있는 부적의 가치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는데, 현대의 불확실성 증가와 맞물려 나타나는 고독, 절망, 불안 등으로 인해 현대인들은 부적이 주는 심리적 안정감을 찾게 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었다. 또한 부적은 현대미술에서도 예술적 감각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되는 양상을 보이며 다양성을 담보로 확대의 과정을 밟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인은 고대 신화에 등장하는 서천꽃밭(西天花田), 생명꽃을 소재로 기원의 속성을 표현하다가 조산(早産) 경험을 계기로 부적 모티브를 차용하여 기원의 의미를 강화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본인의 작품에서 부적에서 차용해온 그림·문자·기호는 메시지 전달차원에서 의미를 부여한 기호로서 작용하며 사회의 보편적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 일상적으로 생겨나는 걱정과 불안에서 비롯된 자신과 가족에 대한 안녕의 내용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본인의 작품에서 꽃 이미지는 인간 삶의 행복을 비는 기복의 매개체이자 부적의 부정적 인식을 전환해주는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본인의 작품은 가운데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조형적 특징을 갖는데 이것은 무속에서 사용되는 종이 부적인 설위설경(設位說經)의 ‘종이 바수기(종이 오리기)’ 제작방법에서 비롯된 것이다. 본인은 부적을 한국적인 상징언어를 간직한 시각물로 인식하여 설위설경의 ‘종이 바수기’를 이용한 종이 설치작품과 무속에서 함께 사용되는 ‘지화(紙花)’를 재해석하여 기둥 형태의 종이 입체물로 표현하여 현대적 변용을 시도하였다. 우리 고유한 기원문화를 기반으로 한 부적, 설위설경, 지화는 본인의 예술 세계를 확장하는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부적이 현대 예술에서 한국적인 시각물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는 변용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Bujeok,” a Korean word for amulet, hold various significances of life and are manifestations of people’s wishes. Each Bujeok, a concrete representation of an earnest prayer or wish, embodies a deep yearning in life. Jeaekchobok, in particular, is created based on perhaps the most primitive and desperate wish of every human being - to prevent misfortunes and gain good luck. Based on the fact that I have recently been incorporating bujeok into my work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types and significances of bujeok, which are visualized forms of people’s wishes, and analyze my artworks where bujeok were applied with a modern twist. First, a review of the history and types of bujeok in Korea revealed that they are cultural products that have evolved based on the sociocultural trends of the times, rather that mere historical products, and part of our heritage that has been passed over the years. Also, through the repeated processes of production for shamanistic purposes, as mythical symbols, they gained natural aesthetics that are unique to them. The value of bujeok, which are sought by people even today, was examined as well, and it was found that they provide people with mental stability against loneliness, despair, anxiety, and other negative emotions that arise due to the rising uncertainty in modern society. In contemporary fine art, Bujeok were being expressed in diverse ways according to the artistic senses of the artists behind them and the scope of their applications was being expanded based on such diversity. I had been depicting the beginning of time based on the Seocheon flower bed and the flower of life mentioned in ancient mythology until the experience of giving birth to a premature baby prompted me to depict the significance of the beginning of time using bujeok. The images, texts, and symbols that I have used in my works serve as universal symbols that have been assigned meanings to convey a certain message. Most of my paintings were created based on the theme of the wellness of my family and myself, due to the concerns and worries that arise on a daily basis, and the flowers depicted in them serve as a medium for my wishes for happiness in the life of every human being and as a means to change the negative perception of bujeok. My works are characterized by vertical symmetry, which stems from the jongi-basugi (paper-cutting) method applied to SulwiSulkyeong, a paper bujeok used in shamanism. Based on a view that bujeok are visual objects preserving the logographic language of Korea, I attempted to present a contemporary application of bujeok through a paper installation artwork in the form of a pillar created by using the jongi-basugi (paper-cutting) method applied to SulwiSulkyeong and a reinterpretation of jihwa (paper Flower) used in shamanism. Bujeok, SulwiSulkyeong, and jihwa originating from the unique culture of the ancient Korean people have had a tremendous impact on my world of art. Through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applying bujeok in contemporary art as various visual representations of Korean culture and style was discovered.

      • KCI등재

        대장경 소재 부적의 내용과 의미- [대정신수대장경] 중 부적 수록 문헌을 중심으로 -

        문상련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3 佛敎學報 Vol.- No.103

        본 논문은 [대정신수대장경] 중 부적이 수록된 문헌들을 검토한 것으로, 이를 통해 ‘정장(正藏)’ 중 10종의 문헌에 부적이 실려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12종의 문헌에 부적이 실려 있다”는 기존 견해를 수정한 것이다. 한편 10종 문헌의 세부적 검토를 통해 ‘정장(正藏)’ 가운데 90종의 부적이 실려 있음을 확인했는데, 이는 ‘부적 형태의 도상은 약 130여 종’이라는 기존 연구와는 차이점을 보이는 것이다. 이어 기존 연구에서 간과한 - [대정신수대장경] ‘일본 전래부’와 ‘도상부’에 대한 검토를 통해 총 6종의 문헌에 부적이 수록된 것을 확인했으며, 이들 부적은 팔괘(八卦) 내지, 십이지(十二支) 및 십이궁(十二宮)과 관련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대정신수대장경] ‘도상부’ 중 5종과 ‘일본 전래부’ 중 1종 등 6종의 문헌 검토를 통해, ‘팔괘’ 부적 8종과 ‘십이지’ 및 ‘십이궁’ 부적 24종, ‘일본 전래부’ 중 <육자천>과 관련된 8종 등 총 40종의 부적이 실려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정장(正藏)’에 실린 90종의 부적과 함께 [대정신수대장경]에는 총 130종의 부적이 실려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추후 연구를 위한 지침이 될 것이다. 그럼에도 돈황 사본에 계도성(計都星) 부적이 실려 있음은 구요(九曜) 내지 십일요(十一曜) 관련 부적이 존재했음을 알려주는 것으로, 성수(星宿) 관련 부적뿐만이 아니라 여타의 부적이 아직 미발굴 상태임을 알려준다. 이에 추후 연구를 통해 좀 더 다양한 부적의 실체를 밝힐 수 있기를 바라며 본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This study reviewed pieces of literature containing talismans in Taishõ Shinshū Daizõkyõ and confirmed that ten works of literature in the Zhèngcáng contained talismans, revising the old opinion that twelve pieces of literature contained talismans. The study went further and performed a detailed review of the ten pieces of literature and confirmed that there were 90 types of talismans in Zhèngcáng. This finding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that reported “approximately 130 types of images in talisman form.” The study then reviewed the Japanese-transmitted and image sections in the Taishõ Shinshū Daizõkyõ that previous studies have neglected and found that six pieces of literature contained talismans, which were related to the Eight Trigrams or the Twelve Zodiacs. By reviewing six pieces of literature in Taishõ Shinshū Daizõkyõ, including five in the image section and one in the Japanese-transmitted section, the study found 40 types of talismans in total, including eight related to the “Eight Trigrams,” 24 related to the “Twelve Zodiacs” and “Twelve Houses,” and eight related to the “Yukjacheon” in the Japanese-transmitted section. When this number is combined with 90 types of talismans in Zhèngcáng, it becomes clear that Taishõ Shinshū Daizõkyõ contains 130 types of talismans in total. This study also provides guidelines for follow-up studies. Despite these findings, the fact that the Dūnhuáng manuscripts contain Ketu talismans indicates that there were talismans related to the Nine or Eleven Planets and suggests that other types of talismans have not yet been excavated, including the ones related to the constellations. This study ends with the hope that follow-up studies will shed light on the true nature of more diverse groups of talismans.

      • KCI등재

        전염병 치료로서 도교 부적 - 청미파의 『道法會元』을 중심으로

        강충구 한국도교문화학회 2021 道敎文化硏究 Vol.54 No.-

        This thesis examines Taoism's talismans which were done to defeat or cure infectious diseases in the current Covid-19 situation, In particular, the use of talismans to fight or cure infectious diseases can be found in the 『Daofahuiyuan(道法會元)』 of Cheongmeipa(淸微派). I reviewed the contents of the epidemic eradication using the talisman of the ‘Cheong mei(淸微) faction’ at a time when the epidemic of Covid-19 is threatening the world, and explained the meaning. After the early Taoism became religious, shamanistic treatment using talismans was an important religious practice to gather believers. As Taoism developed, talismans were an important religious element not only in the rites but also in the individual performance of Taoism. In this development of Taoism, the shamanistic treatment using talismans gradually disappeared, and the meaning of talismans was highlighted in rituals and individual practicing asceticism. However the Cheong mei(淸微) faction, which belongs to Fulu(符箓) faction in the Song(宋) Dynasty, embraces the god of thunder(雷神) and sorcery amulets, which are folk beliefs, reinterpret them Taoist and actively use them to treat diseases. By the time of the Song(宋) Dynasty, it was common to draw and use talismans based on internal training in the factions of Taoism whether 符箓(Fulu) clan or 內丹(Nae Dan) clan. Through internal training, the Taoist matches the energy in his body with the energy of the universe, and when he is in this state, he draws talismans with the united energy(一氣). The united energy of innateness indwells to the talisman painted like this, and the Taoist combines his own gods and energy with the patient’s god and energy so that the patient can respond to them and fight off the disease. In this process, the Taoist brings in the ‘commander god’(神將) that can handle the case, and relies on the strength of these commander god to fight off the epidemic. Talismans used for certain diseases have a common design. We call that desing, ‘Baozhang(寶章)’. This design is shown by the child of ‘Spritual Taoist World’(神仙界) when the Taoist is full of energy through internal training, and the design is common to the talismans used for certain disease. The belief that the Taoist can cure diseases or defeat infectious diseases through talisman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human body is regarded as a small world, and that the world and the human body are based on a homogeneous energy. It is the talisman that the Taoist extrinsicized the energy while his energy and the energy of the world united through internal training, and the talisman has the energy of such a universe, so they are considered to have the power to treat diseases. Also, the gods who were called along with the talisman have the power to treat diseases. Taoist talismans have different meanings from those of folk belief. Talisman of folk belief is painted by a psychic medium who is connected with supernatural thing. But the talisman of Taoism means that it is exogenized with the spirit of the universe and the spirit of Taoism combined when a Taoist calls cammander gods through the ritual and internal training. 이 글은 현 코로나-19 상황에서, 전염병을 물리치거나 치료하기 위해 행한 도교의 부적에 대하여 살펴 본 것이다. 특히 전염병을 물리치거나 치료하기 위해 부적을 사용한 내용은 도교 청미파의 『道法會元』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코로나-19라는 전염병이 전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청미파의 부적을 이용한 전염병 퇴치의 내용을 검토해, 그 의미를 해명하였다. 초기 도교가 교단화할 때부터 부적을 이용한 주술적 치료는 신도를 모으는 중요한 종교적 실천이었다. 부적은 도교가 발전함에 따라, 제초의례뿐만 아니라 도사의 개인적인 수행에서도 중요한 종교적 요소였다. 이러한 도교의 발전에서 부적을 이용한 주술적 치료는 점차 사라지고, 의례와 개인의 수행에서 부적의 의미가 부각되었다. 그러나 송나라 시기 부록파인 청미파는 민간의 신앙인 뇌신과 주술적 부적들 수용해, 도교적으로 재해석하고 이를 질병을 치료하는데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송대에 이르면 내단파이든 부록파이든 도교의 교파에서는 내단수련을 기초로 하면서 부적을 그리고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된다. 내단수련을 통해 도사는 자신의 몸 속 원기를 우주의 원기와 일치해내고, 이 상태가 되면 一氣를 운용해 부적을 그린다. 이렇게 그려진 부적에는 선천의 일기가 깃들고, 도사는 자신의 신과 기를 상대방의 신과 기와 합하게 하여 상대방을 감응하게 하여 질병을 물리친다. 이 과정에서 도사는 해당 질병에 맞는 신장들을 불러오고, 이 신장들의 힘에 의지해 전염병을 물리친다. 특정한 질병에 사용되는 부적들에는 공통의 도안이 있다. 그 도안을 寶章이라고 부른다. 이는 도사가 내단수련을 통해 원기가 충만해지면, 신선계의 동자가 보여주는 도안을 의미하고, 이 도안은 특정한 질병에 사용되는 부적에 공통적으로 쓰인다. 도사가 부적을 통해 질병을 치료하거나 전염병을 물리칠 수 있다는 믿음은 인체를 소천지로 보고, 천지와 인체가 동질적인 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전제한 것이다. 도사가 내단수련의 상태에서 자신의 원기와 천지의 원기가 합일한 상태에서 그 기를 외재화한 것이 부적이고, 부적은 그러한 우주의 원기가 깃든 것이기에 질병에 대한 치료의 힘을 가진 것으로 본다. 또한 부적과 함께 불려나온 신들 역시 질병에 대한 치료의 힘을 갖는다고 본다. 도교의 부적은 민간신앙의 부적과는 그 의미가 다르다. 민간신앙의 부적은 영매가 접신에 의해 그리는 것이라면, 도교의 부적은 도사의 의례와 내단수련을 통해 도교의 신장들을 불러오고 우주의 원기와 도사의 원기가 합일된 상태에서 그 원기가 외재화한 것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