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교육적 기대수준이 자녀의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김마리아(Kim, Mari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적 기대수준과 학생의 학업자아개념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며,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부모의 자녀에 대한 교육적 기대수준은 부모의 배경변인에 따라 다른가? 둘째,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교육적 기대수준은 자녀의 학업자아개념 및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가?의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광역시 T학원의 중학생 30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로서 교육적 기대검사는 Ontario Student Survey on Educational and Occupational Plans를 사용하였으며, 학업자아개념 검사 도구로는 송인섭(1988)의 ‘자아개념진단검사 중 학업자아개념 검사’를 사용하였고 학업성취도검사는 9월 월례 고사 평균점수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각 자료는 SPSS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했으며 집단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M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첫째,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교육적 기대수준은 부모의 배경변인과 상관없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부모의 자녀에 대한 학업적 기대수준은 자녀의 학업성취도 및 학업자아개념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으나, 부모의 자녀에 대한 학업외적 기대수준은 자녀의 학업적 자아개념 에서만 긍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의 자녀에 대한 학 업적 기대수준 뿐 아니라 학업외적 기대수준도 자녀의 학업적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 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ducational expectations a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 and his academic self-concept and achievement. For thi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raised: First,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al educational expectations for their child by their background? Second, does the parental educational expectation have any effects on their child s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concept? F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271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from T academic institute located in a Metropolitan City in Korea. For an educational expectation test, the Ontario Student Survey on Educational and Occupational Plans was used. For an academic self-concept test, Academic Self-concept Test of Self-concept Assessment Test by Song In-seob (1988) was used. For an academic achievement test, the average score of a monthly test held in September was used. The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t-test method was carried out as a significance test among group differe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a parental educational expectation as perceived by their child was high regardless of their background. Second, the higher the parental educational expectation for their child, the higher their child s academic self-concept was. Third, the higher the parental educational expectation for their child, the higher their child s academic achievement was. This study suggests that a parental educational expectation for their child does no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their background, while high educational expec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child s academic self-concept and achievement.

      • KCI등재

        부모기대와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교사-학생관계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정서인식과 정서조절의 중다매개효과

        이은정 ( Eun Jeong Lee ),신현숙 ( Hyeon Sook Shi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기대와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교사-학생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아동의 정서인식과 정서조절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G광역시 소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4~6학년 아동 571명(남 267명, 여 304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분석을 통해 정서인식과 정서조절이 부모기대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교사-학생관계를 매개하는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을 적용하여 정서인식과 정서조절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과 정서조절이 매개변인으로 추가되었을 경우에도 부모기대와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교사-학생관계에 영향을 주는 직접 경로가 유의하였다. 둘째, 부모기대와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교사-학생관계에 영 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반면,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셋째, 부모기대와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교사-학생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과 정서조절의 직렬매개효과(serial mediation effects)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기대와 부모- 자녀 의사소통이 교사-학생관계에 직접 영향을 주기도 하고, 적절한 부모기대와 개방적인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아동의 정서인식과 정서조절을 향상시킴으로써 긍정적 교사-학생관계에 간접적으로 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부모기대, 부모-자녀 의사소통, 정서인식, 정서 조절, 교사-학생관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변인 간 단편적 관계를 검증했던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긍정적 교사-학생관계의 증진에 필요한 개입요소들을 탐색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children’s emotion awareness and emotion regulation in the associations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s (i.e., parental expectations,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Five-hundred seventy-one children (267 boys, 304 girls) in Grades 4 to 6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Correlational analys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were conducted to test hypotheses. First, the direct effects of parental expectations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were significant even when children’s emotion awareness and emotion regulation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as mediators. Second, the mediation effects of emotion awareness were not significant but those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were significant. Third, the serial mediation effects of emotion awareness and emotion regulation were significant. Such multiple mediation effects indicate that parental expectations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enhance emotion awareness, which in turn facilitates emotion regulation, which eventually improves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These findings support the structural relations delineating children’s emotion awareness and emotion regulation as multiple mediators in the process through which parent-child relationships influenc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al relations has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In order to help children maintain positiv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it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not only school-based parent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reasonable expectations for children and effective parent-child communication strategies but also emotional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음주, 음주기대와 문제음주에 대한 연구 -자존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민경 ( Min Kyeong Kim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2 아동복지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음주, 음주기대, 자존감 및 우울과 문제음주와의 관계를 파악해보고 자존감 및 우울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존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충청지역 대학생 23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자존감이 보통수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음주관련변인 중에서 음주에 대한 긍정적 기대가 가장 높게 나타나 음주에 대한 기대가 긍정적인 경향을 보여주었다. 우울은 보통수준보다는 낮게 나타났으며, 문제음주는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부모의 음주와 대학생의 문제음주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음주에 대한 긍정적 기대와 부정적 기대는 높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자존감은 문제음주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우울은 문제음주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음주만이 매개변인인 자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부모의 음주, 음주에 대한 긍정적 기대, 음주에 대한 부정적 기대가 종속변인인 문제음주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매개변인인 자존감과 독립변인인 부모의 음주, 음주에 대한 긍정적 기대, 음주에 대한 부정적 기대가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음주에 대한 긍정적 기대만이 매개변인인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부모의 음주, 음주에 대한 긍정적 기대, 음주에 대한 부정적 기대가 종속변인인 문제음주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매개변인인 우울과 독립변인인 부모의 음주, 음주에 대한 긍정적 기대, 음주에 대한 부정적 기대가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부모의 음주, 음주에 대한 기대와 문제음주사이에서 자존감과 우울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문제음주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부모의 음주와 음주에 대한 기대에 대한 개입뿐만 아니라 이들의 자존감향상과 우울감소에 대한 노력이 기울여져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cover the relationships and correlations between parents` alcohol use, university students` alcohol expectancy, and alcohol use disorder. The sample comprised 230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was analyzed by means of frequency,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PASW.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parents` alcohol us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university students` positive alcohol expectancy, negative alcohol expectancy, and alcohol use disorder. Additionally, self-esteem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alcohol use disorder. Second, parents` alcohol use, university students` positive alcohol expectancy, negative alcohol expectancy, and self-esteem had a positive influence upon alcohol use disorder. Self-esteem had a mediating effect upon parents` alcohol use, alcohol expectancy, and alcohol use disorder. Third, parents` alcohol use, depression, positive alcohol expectancy, and negative alcohol expectancy had a positive influence upon alcohol use disorder. Depression had a mediating effect upon parents` alcohol use, alcohol expectancy, and alcohol use disorder. In conclusion, in order to reduce parents` alcohol use and university students` alcohol expectancy, it is important to intervene in university students` alcohol use disorder through special education programs and counseling.

      • KCI등재

        부모기대에 부응하지 못한다고 지각하는 대학생들의 부모기대에 대한 경험: 합의적 질적연구

        이도형,김예은,유소영,김명선,박미정,연규진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3

        The presented study aimed to understand how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in emerging adulthood perceive, experience, and react to parental expectations. Participants included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5th semester, or beyond, from Seoul, Korea. Among the 103 survey respondents who completed the Living up to Parental Expectation Inventory, those perceived they were not living up to parental expectation (lower 30%) were selected as potential interviewees. Then, using scores from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8 participants from the low and high life satisfaction groups respectively, were selected for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and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explore each participants’ experience of parental expectations. As a result, 4 domains (Parental Expectations, Parental Attitudes and Modes of Expression, Impacts and Reactions, and Coping Strategies) and 26 categories emerg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assisting with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proces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of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이 부모의 기대에 대해 어떻게 경험하고 반응하는지를 탐색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성인 진입기에 대학생이 인식하는 부모기대와 이에 따른 심리적 적응을 탐색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6개 대학의 5학기 이상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연구 참여자로 모집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103명의 대학생 중 부모기대부응척도로 부모기대에 부응하지 못 하고 있는 하위 30%를 선별한 후, 삶 만족척도 수준이 높은 사람들과 낮은 사람들로 각각 8명씩 총 16명을 인터뷰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참여자들의 부모기대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탐색하기 위하여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반구조화된 형식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부모의 기대’, ‘부모의 태도와 표현방식’, ‘부모의 기대로 인한 영향과 반응’, ‘부모의 기대에 대한 대처방식’의 4개 영역과 26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문화 맥락에서 성인 진입기에 나타나는 부모-자녀 관계에서의 심리적 적응 방안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양육신념, 자녀기대감과 부모역할지능 간의 관계

        김민정 ( Min Jung Kim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16 No.3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자녀기대감과 부모역할지능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신념, 자녀기대감, 부모역할지능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어머니의 양육신념, 자녀기대감과 부모역할 지능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어머니의 양육신념, 자녀기대감이 부모역할지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유아기 자녀를 둔 200명의 어머니들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지 가운데 127부가 회수되었고 최종분석에는 124부가 사용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신념, 자녀기대감 하위요인들과 부모역할지능의 하위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하위요인들과 자녀기대감 하위요인들 간에는 지적성취강조 신념과 인지적 역량기대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신념 하위요인들과 어머니의 부모역할 지능 하위요인들 간에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변인은 없었으며 어머니의 자녀기대감 하위요인들과 부모역할지능의 하위요인들 간에는 일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신념, 자녀기대감이 부모역할지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도덕성에 대한 기대감이 어머니 부모역할지능의 공감, 격려, 합리적 권위, 통제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고 생활습관에 대한 기대감은 어머니 부모역할지능의 증진, 수용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유능성에 대한 기대감은 어머니 부모역할지능의 융통성을 설명하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beliefs and expectations on parenting intelligence. The problems are defined as follows. First, How are mother`s parenting beliefs, expectation and parenting intelligence defined? Second, What a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others`s parenting beliefs, expectation and parenting intelligence? third, How do the mother`s parenting beliefs and expectations effect parenting intellig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4 mothers out of an original sample of 200 mothers who have children who are in their early childhood. 127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but only 124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outlined below. First, the mothers`s beliefs emphasized character, maturation and individualism. Second, a generally high expectation level regarding their children was expressed by the mothers`s. Third, appropriate parental roles are fulfilled for parenting situations as regards the mothers`s parenting intelligence. Fourth,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mothers`s intelligence achievement beliefs and their intelligence capacity expectations. On the other hand, associated variables were found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mothers`s parenting beliefs and parenting intelligence. Some variables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s, for example among the sub-factors of the mothers`s expectations and parenting intelligence. Finally, the expectation of morality was related to sub-factors of parenting intelligence. These factors were sympathy, encouragement, rational authority and control. The expectation of life habits was related to both enhancement and acceptance. The expectation of social competency was related to flexibility.

      • KCI등재

        부모의 유아 수학능력에 대한 기대 및 부모의 수학 태도와 유아의 수학능력의 관계: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임혜성,최진경,이민경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arents’ expectation,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interaction in predicting children's mathematics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61 children aged 3 to 5 years old and their parents completed a survey. The findings from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parents’ expectations and mathematical interaction (e.g., counting objects, measurement for length and weight, etc.) predicted children’s mathematic achievement after controlling for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ren’s age. However, parents’ mathematics attitudes did not predict children’s math achievement. In addition, parents’ mathematical interactions mediated their expectations of children’s math skills and children’s actual mathematic achievement, but did not mediate parents’ attitudes to mathematics and children’s math achievement. In conclusion, the ways to support mathematical interactions of parents with their children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유아 수학능력에 대한 기대 및 수학에 대한 태도, 부모의 수학적상호작용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직접 효과와 간접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만 3세부터 5세 유아 361명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유아 검사 및 부모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유아의 월령을 통제한 후에도, 부모의 유아 수학능력에 대한 기대와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예: 주변 사물의 수 세기, 물건의 무게나 길이 재기 등)은 유아의 수학능력을 예측하였으며,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는 유아의 수학능력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또한,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은 부모의 유아 수학능력에 대한 기대와 유아의 수학능력을 매개하였으나,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유아의 수학능력을 매개하지 않았다. 결론에서는 유아의 수학능력을 증진하기 위해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유아발달과 부모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제 변인들의 관계분석

        정정란 한국아동보육실천학회 2007 아동보육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P-P-C 모형을 기초로 유아발달에 직 간접적으로 작용하 는 부모기대 관련변인과의 상호 연계성을 체계화함으로써 포괄적인 관계망을 이해하고, 부모기대 관련변인들이 어떻게 부모의 기대에 영향을 주며 또 다시 그것이 유아발달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K시에 소재한 유치원의 4-5세 유아 부모 243명과 그들의 교사들이 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과 AMOS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구조적 관 계에 대한 가설적 구조모형은 경험적 자료를 충분히 잘 설명하고 있어 모형의 적합은 양호한 것으 로 나타났다. 부모기대와 유아발달에 직⋅간접적으로 효과를 가지는 변수는 부모기대, 부모의 권위 있는 양육태도, 접근/회피성, 반응강도, 적응성, 기분상태, 자녀양육/유아발달 가족에 대한 논의, 주제 별 의사소통빈도, 교사에 대한 인식, 의사소통 장점에 대한 인식,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 부의 학력, 모의 학력이었다. 또한 유아발달에 가장 영향력이 높은 변인은 매개변인인 부모기 대였으며 부모기대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행사하는 변인은 부모의 권위있는 양육태도였다. 둘째, 각 체계 변인과 유아발달과의 관계에 있어 부모기대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영아기 자녀양육에 대한 부모의 기대감 연구

        이옥임,노희연 육아정책연구소 2010 육아정책연구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rents' expectation of infant and toddler when they guide the behavior of sleeping, the eating habit, the weaning, the toilet learning and the negative social-emotional behaviors for infants and toddl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the questionnaire survey. 180 copies were sent out to parents, 108 copies recollected that were answered questions given exactly. SPSSWIN program has been taken over for analysis of the data, the frequency was applied for interpre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Most of the of parents expect that 'the infants and toddlers have a good sleep' to guide for the sleeping habit. Second Most of the parents expect that 'the infants and toddlers taste a variety of weaning foods' to guide for weaning. Third, Most of the parents expect that 'the infants and toddlers eat sitting up straight' to guide for eating habits. Forth, Most of the parents expect that 'the infants and toddlers can have a bowel movement by themselves in a short space time' for toilet learning. Fifth, Most of the parents expect that the infants and toddlers 'take a parent's advice when they explain the reasons', 'don't suck their finger', 'don't bite' and 'don't push and beat' to guide the negative social-emotional behaviors. 본 연구의 목적은 수면행동지도, 이유식과 식생활지도, 배변훈련 및 부정적인 사회·정서적 행동 지도의 일상적 양육 시 부모가 영아기 자녀에 대해 가지는 기대감이 무엇인지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의 생후 36개월까지의 영아를 양육하고 있는 108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통계처리를 위하여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수면 지도 시 부모들이 기대하는 것은 주로 영아들의 숙면과 관련된 내용으로 적절한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2)이유 지도 시 부모들이 기대하는 것은 주로 다양한 맛을 경험하고 숟가락의 식사도구를 사용해 보기를 바라는 내용으로 적절한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3)식생활 지도 시 부모들이 기대하는 것은 주로 바른 자세와 식사예절과 관련된 내용으로, 영아의 식습관 발달 이해부족으로 인해 부적절한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4) 배변훈련 시 부모들이 기대하는 것은 되도록 짧은 시간동안 실수 없이 영아 스스로 배변훈련을 할 수 있기를 바라는 내용으로, 배변훈련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부적절한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5) 부적절한 사회 정서적 행동지도 시 부모들이 주로 기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이 소멸되거나 빨리 다른 건전한 행동으로 전이되기를 바라는 내용으로, 영아의 사회 정서적 행동 발달 이해부족으로 인해 부적절한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 KCI등재

        가족건강성과 부모의 학업기대유형에 따른 청소년 학습동기의 차이

        오명희(Oh Myeong-Hee),장윤옥(Jang Yoon-Ok)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과 부모의 학업기대유형에 따른 청소년 학습동기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중학교의 2, 3학년 508명이고, 조사방법은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MANOVA, 그리고 사후검증법으로 Scheff? 검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해서 얻은 요약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건강성에 따른 청소년의 내적학습동기와 외적학습동기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건강성이 높다고 지각한 청소년들이 중간 정도로 지각한 청소년들보다, 가족건강성을 중간 정도로 지각한 청소년들이 가족건강성을 낮게 지각한 청소년들보다 내적학습동기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 가족건강성을 높게 지각하는 청소년들이 낮거나 중간 정도로 지각하는 청소년들보다 외적학습동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학업기대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내적학습동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학업기대유형을 부 지지 - 모 지지, 부 압박 - 모 지지, 부 지지 - 모 압박기대유형으로 지각하는 청소년들이 부 압박 - 모 압박기대유형으로 지각하는 청소년들에 비해 내적학습동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적학습동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가족건강성과 부모의 학업기대유형에 따라 내적학습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족건강성을 높게, 그리고 중간정도로 지각한 청소년 집단에 있어서는 부모의 학업기대유형에 따라 청소년의 내적학습동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가족건강성을 낮게 지각하는 청소년 집단에 있어서는 부모의 학업기대유형을 부 지지 - 모 지지, 부 압박 - 모 지지, 부 지지 - 모 압박기대유형으로 지각하는 청소년들이 부 압박 - 모 압박기대유형으로 지각하는 청소년들보다 내적학습동기가 더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adolescent s academic motivation, which is composed of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and extrinsic learning motivation, by family strengths and parent s expectation styl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508 students who were selected at random from second, and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in Daegu. Factor analysis and MANOVA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and Scheff test for post - hoc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motivation of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degree of family strengths. More specifically,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ir family strengths to be high had higher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than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ir family strengths to be middle and low.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of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parent s academic expectation styles.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ir parent s academic expectation styles paternal support-maternal support, paternal pressure-maternal support, and paternal support-maternal pressure showed higher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than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ir parent s academic expectation styles paternal pressure-maternal pressure.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of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parent s academic expectation styles and the degree of family strengths. In adolescents group who perceived their family strengths to be low,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ir the parent s academic expectation styles to be paternal support-maternal support, paternal pressure-maternal support and paternal support-maternal pressure had higher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than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ir the parent s academic expectation styles to be paternal pressure-maternal pressure.

      • KCI등재

        원가족 부모의 기대일치와 존경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성인자녀의 성취에 미치는 영향

        박영신,이영남,차연실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6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Korean adults' perception of parent-child relation on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The two sub-variables for parent-children relations were meeting expectations of parents and respect for parents. For achievement, there were two sub-variables; occupational achiev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participants were 621 male adults, with an average age of 46.6-years-old. Park, et al.'s (2018) parent-child relation and achievement questionnaires and Bandura's (1995) resiliency efficacy questionnaire were utilized in this study. A reliability of Cronbach (α=.83∼.93) was found for the variab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rect effect of parent-child relations on the achievements of adult-children. When the parents' expectations of their children were met by the adult-children, the greater the adult-children's occupational achievement. The more the adult-child's respected their parents, the greater their academic achievements. Second, self-efficacy had a mediating role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he adult-children's achievements. When the parents' expectations of their children were met by the adult-children, the greater the adult-children's self-efficacy, which in turn produced higher occupational and academic achievements. The results show that, in Korea,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relationship upon children's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appeared not only during adolescents, but also into their adulthood,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hroughout the lives of Korean adults. Further research into the Korean indigenous psychology of parent-child relations, such as meeting parental expectations and respect toward parents, are suggested.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원가족 부모자녀관계가 성인자녀의 자기효능감과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원가족 부모자녀관계는 부모의 기대일치와 부모 존경을, 성취는 직업성취와 학업성취를 하위변인으로 하였다. 분석대상은 성인 남자 621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46.64세였다. 원가족 부모자녀관계와 성취 변인은 연구자가 제작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은 Bandura(1995)의 어려움극복효능감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측정변인들의 신뢰도는 양호하였다(Cronbach α=.83∼.93).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가족 부모자녀관계는 성인자녀의 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었다. 원가족 부모의 기대에 일치할수록 성인자녀의 직업성취가 높았으며, 원가족 부모를 존경할수록 성인자녀의 학업성취가 높았다. 둘째, 원가족 부모자녀관계가 성인자녀의 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원가족 부모의 기대에 일치할수록 성인자녀의 자기효능감이 높았으며, 높은 자기효능감은 직업성취와 학업성취를 의미 있게 증진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자녀관계가 자녀의 자기효능감과 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아동 청소년기만이 아니라 성인기에도 지속됨을 밝힘으로써, 원가족 부모자녀관계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부모의 기대일치와 부모 존경과 같은 한국인 부모자녀관계의 토착심리와 관련된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이 제안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