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교육 국제화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연구-C대학교 쌍방향(In/Out bound) 2+2복수학위제를 중심으로

        셀익잔(Jiynbai Syerikjan),이길연(LI, Ji Lian) 한국아시아학회 2021 아시아연구 Vol.24 No.1

        4차 산업혁명시대 진입에 따라 고등교육의 국제화는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고,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가시화된 학력인구 감소는 in-bound와 out-bound 즉 쌍방향 국제화를 활성화 시켜야만 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1990년대 이후 해외 자매대학과의 교환학생제도 활성화를 통해 한국 대학들은 학생들로 하여금 외국에서 국제적인 경험을 하는 out-bound 국제화에 치중해 왔다. 2000년대 들어 고등교육 국제화는 전 세계적으로 더욱더 확산되는 분위기였으며 그 예로 EU위원회(European Commission)에서 주관하는 ERASMUS+ (European Action Scheme for the Mobility of University Students)가 있고, 아시아에서 2011년부터 추진한 한중일 3국 교류프로그램인 “CAMPUS Asia 사업”이 있고, 중국정부에서 2015년부터 추진한 "세계 일류 대학 세계 일류 학과 만들기 프로젝트(双一流建设)"가 있다. 한국의 경우 2004년부터 교육부에서 “Study Korea 프로젝트” 추진을 시작으로 2012년 11월 “Study Korea 2020” 프로젝트 추진계획 발표를 통해 2020년까지 국내 외국인 유학생 수를 20만 명까지 유치하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국제화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고 있다. 대학 교육 국제화에 대한 활성화 방안으로 여러 가지 방식과 전략이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해외자매대학과의 교환학생 프로그램, 복수학위 프로그램, 어학연수 프로그램 등이 있는데 in-bound 국제화 전략으로의 전환에 따라 현재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국제화 방식은 외국유학생 유치를 위한 어학연수 프로그램 등이 있다. 대학 교육 국제화는 외국인 유학생 교육과 관리도 포함되겠지만 내국인 학생들의 글로벌 역량 강화도 국제화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일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필자 소속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in-bound와 out-bound 쌍방향 2+2복수학위 프로그램을 연구범위로 설정하고 그 운영현황을 분석하여 고등교육기관의 국제화 역량강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적 연구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ith the advent of a new era,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has become an imperative issue.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the educated population is decreasing day by day. Therefore, in-bound and out-bound interaction must be promoted. In other words, we need to promote interactive internationalization. There will be several ways and strategies to revitalize the internationaliz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For example, programs with overseas partner schools, like student exchange programs, double degree, language training, and so on. With the transition to in-bound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language training programs is used widely to attract foreign students. Internationaliz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includes the education and management of foreign students, but enhancing the global capabilities of Korean students will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goals of internationalization. Therefore, this article takes the in-bound and out-bound interactive 2 + 2 double degree program developed by our school as the research object, analyzes its operation status, with the aim of committing to strengthen the internationalization capabilities of universities..

      • KCI등재

        교양 마이크로디그리와 복수 학위제도의 효용성

        강연임(Gang, Yeon-im)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 No.18

        급변하는 사회는 대학 교육에서도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사회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파악하고, 그것을 학생들에게 교육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 콘텐츠와 교육 방법이 필요하다. 대학 교육이 시대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지 않지만, 중요한 점은 교양교육의 경우 사회의 요구를 무시할 수 없다는 점이다. 그러한 요구에 대응하면서 학생들의 능력을 키우고자 운영하는 것이 바로 마이크로디그리와 교양 학위제도이다. 교양 마이크로디그리는 지정된 교양 교과를 집중 이수함으로써 단기간에 미니학위를 취득하거나, 역량별 미니학위를 교양 학위로 연계하여 복수학위를 취득케 하는 데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총 다섯 개 역량, 즉 이타적 인성 역량, 자기애적 감성 역량, 주체적 자립 역량,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 융화적 소통 역량을 설정하고 각 역량별로 5~8개의 교과를 배치하여 운영한다. 교양 마이크로디그리의 이수를 통해 학위를 취득하는 제도가 교양 복수 학위제도이다. 교양 복수 학위는 해당 마이크로디그리에서 각 12학점씩, 총 36학점을 이수하면 취득할 수 있다. 교양 교육과정 개편의 가장 큰 의미는 학생 중심 교육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학생 스스로 학위를 취득하기 위하여 긴 안목에서 교양 교과를 선택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교양 마이크로디그리와 전공 교육을 연계하기도 하여 학문의 다양성과 확장성을 경험할 수도 있다. 교양 마이크로디그리와 교양 복수학위를 이수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융복합적인 사고능력도 기를 수 있다. 교양 마이크로디그리와 복수 학위제도는 급변하는 사회에서 요구되는 전문성을 교양 학위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다. 또한 전공학과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모색하기 어려울 때 교양교육 과정을 통해 변화하는 시대상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면서 전문성 제고도 강구할 수 있다. The changes in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nged social changes were examined through the Liberal Arts Micro Degree and Bachelor of Liberal Arts system. There are many disagreements as to whether it is positive for education to respond sensitively to changes in the times, but the important point is that Liberal Arts education that meets the needs of society is necessary. It can be said that Liberal Arts Micro Degree and Bachelor of Liberal Arts system in Liberal Arts education are actively converging these. The above discussion is summarized as it is. First,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necessity of redesigning Liberal Arts education were investigated. In modern society, knowledge and information required by society are rapidly changed regardless of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changes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of the Universities in order to meet such demands. Now, it is necessary to move away from the perception that Liberal Arts are simply credits to be completed for graduation, and to seek a horizontal link between Liberal Arts subjects, and furthermore, it must change to the direction of educating the newly required professionalism. To achieve this, the need for a redesign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is emerging because it is only possible to improve the existing Liberal Arts education system. Second, the operational status and educational performance of the Liberal Arts Micro Degree were reviewed. The Liberal Arts Micro Degree aims to acquire additional degrees in a short period of time by intensively completing designated Liberal Arts subjects, or to obtain Dual Degrees by linking mini-degrees by competency to Liberal Arts Degrees. To this end, a total of five competencies, namely, altruistic personality competency, narcissistic emotional competency, independent self-reliance capacity, creative problem-solving capacity, and integrative communication capacity were established, and a Micro Degree course was provided for each competency. International Society and Human Rights Expert Course for altruistic personality competency, Art Culture Planning Course, Creative Musical Production Practice Course, Festival Play Culture Planning Expert Course for narcissistic emotional competency, ICT Utilization Master Cours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Crtification Course, Cultural Content Creator Specialist Course for independent competency, Software Coding Course, Convergence Cultural Knowledge Cultivation Course, Content Convergence Startup Course for solving competency the creative problem, and In the integrative communication competency, the Liberal Arts English Course, Humanities Counseling and Healer Course, and Communication Master Course were included. Third, the effectiveness of the Liberal Arts Micro Degree System and the Dual Degree System was examined. In order to meet the social needs, it is the Micro Degree and the Double-Degree Liberal Arts system that have expanded the Liberal Arts education to seek changes. Through this reform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student-centered education can be made possible. This is because students can selectively study Liberal Arts subject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n order to obtain a degree on their own. It can also lay the foundation for convergence education. This is because the diversity of disciplines can be recognized by linking the Liberal Arts Micro Degree with major education.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Liberal Arts Micro Degree and Double Liberal Arts Degree, students can naturally develop convergence thinking skills. In addition, the professionalism required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can be solved through a Liberal Arts Degree. In general, the problem of rigidity to changes in majors can be actively resolved in Liberal Arts education.

      • KCI등재

        메콩 유역 국가와 한국의 문화교류 및 복수학위제 교류 방향 - 베트남을 중심으로

        배양수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6

        Both Korea and Vietnam belong to the same traditional Eastern cultural sphere and share common cultural and religious backgrounds, including Confucianism and Buddhism. This results in shared values like family importance, etiquette and education. Their cultures, influenced by China, exhibit a sense of homogeneity. However, differences exist between the two countries, notably in food culture, language, and the habits of lifestyle. It is crucial for effective cultural and human exchanges to recognize these differences. The mutual exchanges between universities in Korea and Vietnam are increasing recently, promoting promote academic exchanges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e dual degree program between universities of the two countries notably contributes to cultivating global talented men. This program allows students to acquire academic knowledge from both cultures, enhancing global competence. The study proposes to outline the operation of such a program.

      • KCI등재

        한국 음악전공자의 유학 후 실태와 새로운 유학모델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조부환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1 음악교육공학 Vol.- No.13

        The present music education system reveals numerous problems and limitation. These problems raise the performance cost higher and higher. But the high cost in performance never returns with high income because public audience(buyers) do not intend to pay a lot for such public goods(concerts). This is really a vicious circle in present music society. In order to escape from this reality and solve the problem, young students go abroad to practice and study more for better musical quality, proper high degree. In doing so, they expect to achieve better opportunity in performance and education and of course higher social position with better income. But the statistic shows musicians who have studied abroad in European or American countries , traditionally so-called elite musicians, do not guarantee themselves a good social status. A deep infra-structural problem and closed system in music society are making the situation even worse. Music major students simply pay a lot during their studyng abroad period but still earn little after their expensive study. Here we need a new paradigm for advanced music education with lower cost and better quality. A joint degree program between Korean and Germany which has been launched 5 years ago would be a alternative way for traditional expensive educational system. With some practical difficulties in 5 initiative operating years, the joint degree program has successfully been growing and expecting more participants. 현재 한국의 음악교육 시스템과 음악인이 처한 사회적 지위는 여러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고 판단된다. 사회의 엘리트 구성원으로서의 음악인에 대한 인식은 높으나 그에 따르는 경제적 보상은 상당히 낮다. 연주력이 높은 경쟁 음악인들의 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이 자신의 음악을 관객에게 들려주기 위한 공연비용은 계속 상승하고 있다. 하지만 공연비용의 상승은 음악인들의 수입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는데, 이는 관객(소비자)이 그러한 공공재(공연)에 높은 대가를 지불하려는 의사가 없기 때문이다. 이것은 현 우리 음악계의 가장 심각한 악순환 구조이다. 이러한 현실을 피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젊은 음악학도들은 더 좋은 환경에서 더 좋은 교육을 받고 상위의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 유학을 떠나고 있다. 그들은 유학을 통해 더 좋은 공연과 교육 기회, 그리고 나아가 귀국 후에 사회적으로 더 나은 대우와 수입을 기대한다. 그러나 조사에 의하면 유럽이나 미국에서 유학을 하고 돌아온 음악인들, 즉 엘리트 음악인들이 사회적으로 상위의 지위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의 수많은 음악전공자들이 연주력 상승과 학위의 취득 그리고 귀국 후 더 나은 처우를 위해 해외 특히 미국과 유럽으로 유학을 떠나고 이를 위해 상당한 규모의 비용을 지불하지만 유학 후의 수입과 대우는 크게 나아지지 않고 있거나 오히려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이므로 저비용으로도 고급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새로운 개념과 형태의 대안적 유학시스템이 필요하다. 한국과 외국의 교육기관 간의 복수학위 운영 프로그램이 바로 그 예인데, 전통적인 방식의 고비용 유학교육시스템을 대체할 교육체제로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대안적 교육기관을 실제로 운영하는 데는 약간의 어려움이 없지 않지만, 한국과 외국 유수 대학 간의 복수학위 운영프로그램을 적극 도입하고자 하는 수요는 대안적 교육으로 차츰 증가하고 있다.

      • KCI등재

        마이크로디그리의 교육적 효과와 발전 방향 모색 : 목원대학교 국어교육 MD ‘커뮤니케이션 마스터 코스’를 중심으로

        강연임(Gang Yeon-im) 어문연구학회 2020 어문연구 Vol.103 No.-

        이 논문은 사회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인재 양성 프로그램인 마이크로디그리(이하 MD라 약칭함)를 검토하면서 교육적 효과와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MD는 핵심역량 사업으로 교과목과 교육내용을 재편하여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를 위해 기존 학문 영역의 경계를 완화하고 다양한 교과를 구성하여 학습자들이 사회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편성한다. 목원대학교에서는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협업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교과과정을 재구성하여 MD를 구축·운영하였다. 2019년 2학기에 10개의 MD를 선정·운영하였는데, 그 중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한 국어교육 영역의 ‘커뮤니케이션 마스터 코스’ MD 사례를 검토하였다. ‘커뮤니케이션 마스터 코스’ MD는 소통 역량을 중심으로 기초·심화·확장 교과로 구성되었다. 단계별·분야별로 특화된 교육과정을 교과별 협업과 연계시스템을 바탕으로 운영하였다. MD 교육과정은 학생 중심의 교육 시스템으로 학생들의 수업참여 및 성취동기를 강화하고, 개인별로 요구되는 역량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었다. 또 세 분야의 MD를 이수하면 교양 복수학위를 수여함으로써 대학 학사제도의 유연성 확보와 평생교육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도 유용할 수 있다. MD는 교육범위와 교육내용, 그리고 교육대상의 확장은 물론 교양에서 전공 수준까지 교육의 단계를 심화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이 희망하는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그것을 교양 복수학위제로 연결시키도록 하여 학사운영의 다양화를 꾀할 수도 있다. 이러한 MD의 안정적 정착 및 발전을 위해서는 학교 행정제도의 정비와 지원, 학문 간 융합의 수월성 제고, 교육 콘텐츠의 적극적 개발 및 단계별 구축 등이 필요하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effect and development direction while examining the microdegree (abbreviated as MD), a talent development program that can flexibly cope with social change. MD is a system that changes the framework and categories of education in order to proactively cope with rapid social change and diverse thinking. With this premise, the operation process and achievements were reviewed based on the “Communication Master Course” MD among the cultured MDs of Mokwon University. Summarize with the conclusions discussed so far. First, it is the purpose and operation system of Mokwon University MD. First is the purpose of education. Mokwon University MD is a system to foster competent human resources required by society by flexibly operating the curriculum. Mokwon University MD has selected the contents of education by stages and arranged them step by step so that students can choose and complete the fields they want to learn or have to learn. It can be seen that the MD of Mokwon University is intended to enhance the efficiency and utility of education. Next is the operating system. Mokwon University operates MD in liberal arts and GCP MDs. Among them, the liberal arts were divided into detailed MDs in 10 areas, and various subjects were arranged around each competency. Students can earn dual degrees by completing 12 credits in one of these areas and 36 credits in three areas. Second, the contents and direction of the education MD of Mokwon University. First is the educational content. Mokwon University MD has eased the boundaries of liberal arts by area and restructured by competencies to make it easier for students to learn what they want. The Communication Master Course MD consists of basic, advanced, and extended subjects on the premise of communication skills as educators and professionals. This course is designed to collect the courses related to communication in various fields and to learn in stages. In all ten fields of Liberal Arts MD, the educational contents were composed to have the convergence and multi-disciplinary characteristics of scholarship. Next is the direction of education. Liberal Arts Each field has its own direction of education. This is because the curriculum consists of various subjects ranging from the basic level of education to the level of advanced majors. In the case of the ‘Communication Master Course’ MD, students were trained in both the communication skills required to be educated and the communication skills required as professionals. However, mastering all of your liberal arts and 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can help you with all your college or social work. It started with the basic knowledge of communication and had a certain direction so that students could acquire expertise in stages. Third is the educational effect of MD. Mokwon University MD can achieve or expect its own educational effect. First, the scope of education and the scope of benefits can be expanded. By combining various disciplines with a common competency, the contents of education could be greatly expanded. In other words, the scope of education could be so diverse. This inevitably caused the beneficiary s category to expand. Similar subjects were grouped around competencies, which attracted students from various majors. Next, the curriculum was organized in stages in one category to enable education not only in liberal arts but also in the major level. In other words, education was facilitated from basic education to deepening of majors. Finally, it is possible to diversify academic operations. It is to ensure the diversity of degree acquisition by operating a practical and open system in addition to the existing schoo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