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보민속유산의 의미와 지속

        이창식(Lee, chang-sick)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9 아시아강원민속 Vol.32 No.-

        삼화 보민속은 공동체 문화재 생태적 농업유산 등 여러 가치가 있다. 보민속, 보놀이에 대해 향유층이 체험할 수 있게 자연적인 장소성과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구비적 유적에 대한 응용의 지혜가 필요하다. 보놀이는 기존 전승 기반을 맥락화하고 보민속의 보존회를 조직해야 한다. 보민속은 기초연구, 창조적 스토리텔링과 참신한 마케팅을 통한 세계농업유산 추진 등을 추진해야 한다. 보민속 프로젝트는 인간중심의 가치를 실현하는 지역개발이 바람직하다. 1차적으로 동해시의 보민속에 대해 집약적 현장론적 조사와 연구를 통해 국가농업유산으로 등재 신청해야 한다. 2차적으로 다른지역의 보 역사도 연계하여 정리해보는 것도 좋은 방안이다. 현재 보와 보끼리의 연결점이 없더라도 물, 물길, 해결사, 문제 해결, 공동체적 삶으로 이어지는 구비적 전승물과 접목시킨다면 지역문화축제, 농업문화유산 등재 등 충분히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보민속놀이와 보싸움은 마을 전승공동체가 당대에 겪었던 큰 사회적 문제였던 사안을 슬기롭게 해결한 귀중한 공동체유산이었다. 분쟁과 난리, 낙후된 지역사회를 바꾼 문화유전자-신명과 전통지식-가 내재되어 있다는 점에서도 소중하다. 2002년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는 독창적인 농업문화, 인류진화시스템, 생물다양성의 보전으로 지속가능한 농업을 성취하고 통합적인 접근 방식의 농촌개발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세계중요농업유산 시스템의 보존과 순응적 관리를 추진하였다. 이에 부응하여 보민속 현장성을 살려 우선 국가농업유산으로 지정하도록 관련 단체가 집중해야 한다. 보민속 현장성의 복원-박지생 최진후, 김예순의 역사성-과 재현, 정비를 통한 지역공공문화유산으로 활용해야 한다. 보민속 현장성 위주의 차별화와 마케팅 브랜드화가 필요하다. Samhwa Bo folk heritage has values in various ways such as in community culture and ecological agriculture. Pragmatic wisdom of amalgamating natural location with oral tradition is needed to conduce the communal class experience of Bo folk and Bo folk games. Bo folk games must contextualize existing base of being passed down, and Bo folk must organize a preservation association. Bo folk must pursue global agricultural heritage through basic research, creative story-telling, and fresh marketing. The Bo Folk project should seek regional development that actualizes anthropocentric values. First, Bo folk must be registered as national agricultural heritage through intensive, field-contextual investigation and research. Second, linking and organizing Bo history of other regions is a viable measure. Even without current linkage between Bo and Bo, connecting oral heritage to that leads to water, water ways, troubleshooters, problem solving, and communal living could lead to positive results such as regional festivals and agricultural heritage. Bo folk games and Bo fights are valuable communal traditions that sagaciously solved major social issues endured by the traditional community that the time. Cultural heritage - traditional dance and knowledge - that changed conflict and deteriorated regional society is embedded and also valuable. The 2002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to attain sustainable farming and development of farming villages with an integrated approach through inventive farming culture, human evolution system, and preservation of ecological diversity, pursued the preservation and malleable management of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 In order to correspond to this, the related association must focus on emphasizing Bo folk authenticity for it to first be designated as national agricultural heritage. It must be utilized as regional public cultural heritage through the preservation of Bo folk authenticity - the historicality of Park Ji-saeng, Choi Jin-hoo, Kim Ye-soon - reenactment, and maintenance. Differentiation and a marketing brand based on the authenticity of Bo folk is needed.

      • KCI등재

        새 자료 필사본 <양보은전>과 <보심록>의 소개와 그 의미

        김성철 ( Sung Chul Kim ) 민족어문학회 2012 어문논집 Vol.- No.66

        본고는 필사본 두 작품 <양보은전>과 <보심록>을 학계에 소개하고 그 특징을 밝히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한다. 중국의 역사적 사건인 ‘조무의 일화’는 다양한 방식으로 소설화되었다. 한문소설인 <조무전>, 한글 필사본인 <정영저구전>과 <충렬사전>, 활자본인 <금낭이산>, <보심록>, <명사십리>가 그 대표적인 작품들이다. 이 작품들 중 특히 활자본 소설들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모아졌다. 그 이유는 동일한 구성과 소재를 갖춘 세 작품 중, 신소설의 형식을 간직하고 있는 <금낭이산>의 간행 시기가 나머지 두 작품보다 선행했기 때문이다. 역사에 등장하는 사실적 인물들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인물들의 이름을 바꾸고 복잡한 사건들을 나열하면서, 기존의 ‘조무의 일화’를 다룬 작품들과의 차별을 시도하는 <금낭이산>은 완전한 고소설인 <보심록>보다 간행 시기가 앞서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신소설 <금낭이산>으로부터의 영향을 받은 고소설 <보심록>의 관점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물론 이러한 순차에 의문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금낭이산>보다 선행하는 작품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순서가 인정된 것이다. 본고에서 소개하는 필사본 두 작품, <양보은전>(1910)과 <보심록>(1911)은 간행시기가 <금낭이산>(1912)보다 앞선다. 그렇기 때문에 그 동안 추측으로만 언급되었던 고소설로부터의 신소설적인 개작으로의 관점에서 <금낭이산>을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보심록>은 <양보은전>보다 인물의 형상화와 구성의 측면에서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말하자면 <보심록>의 축약된 형태로서 <양보은전>을 인식해도 될 정도이다. 그렇다고 해서 필사본 <보심록>에 부족한 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필사본 <보심록>에서는 활자본 <보심록>에 서술된 시구가 불완전하게 필사되어 있다. 이것은 필사본 <보심록>도 또한 다른 작품을 대상으로 필사했다는 근거가 되며, 불완전한 시구는 상대적으로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는 활자본 <보심록>과 북한 소재 인쇄본 <보심록>을 통해 보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필사본 <보심록>의 존재는 활자본 소설의 간행 방식의 일면을 제시한다. 필사본 <보심록>, 신소설 <금낭이산>, 활자본 고소설 <보심록>의 출판 방식은, 다수의 작품들과 함께 고소설-신소설-고소설의 출판 방식을 명확하게 드러내면서, 당대의 상업적 이익을 추구하는 출판 양상을 보여주는 자료가 된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양보은전> and <보심록>, which are manuscripts that have not been known to the academic world, and to describe their features. Previous studies has focused mainly on <금낭이산> and <보심록>, the printed ones. And the reason was that the existence of the manuscripts had not been discovered. The existence of the two manuscripts that is introduced in this study have meanings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thought that New Style Novel-formed <금낭이산> had influenced on <보심록>, which published as a form of Korean classic novel, because of the order of their publications. But this order need to be rearranged because of the discovery of the manuscript that is almost the same with the printed <보심록>. Second, while embracing the History books-based novels and transforming them to have a form of heroic novels, comes out a feature that gives a hint on the method of novelizing History books. Thus, because they let us investigate the method of transforming historical events, and the way they adapted into New-style fiction, the manuscript versions of <양보은전> and - especially - <보심록> should be seen as significant.

      • KCI등재

        보 유출형태에 따른 하류부 도수 및 비에너지 손실에 관한 비교 연구

        박효선,윤근호,구본진,최계운 한국습지학회 2013 한국습지학회지 Vol.15 No.1

        기존까지 건설된 보는 대부분 보의 상단으로 월류하는 월류형 보가 주로 건설 되어졌다. 월류형 보의 경우 수자원의 관 리의 효과와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로 인한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방법 등이 용이 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월류형 보의 특성상 보 상단부를 통해 물이 윌류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상류부로부터 유입된 유사가 보 하류로 배출되지 못하고, 하상이 높아지면서 저수용량이 감소되어 점차 보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와 같은 토사 퇴적 및 보의 유지관리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 수문을 가진 하단방류형보가 건설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최근 건설된 하단방류형 보의 설계상의 문 제점으로 인하여 보 하류부의 하상이 세굴되고, 세굴된 하상 때문에 구조적인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 의 효과적인 설계 및 운영방법을 위해 월류형 보와 하단 방류형 보의 흐름의 특성, 하류부 수심 변화에 따른 도수길이분 석, 보 형태에 따라 단위거리당 발생되는 비에너지 손실량을 비교분석하였다. 실험분석 결과 하단 방류형보와 월류형보의 상류 조건을 동일하게 유지시 하단방류형보에서 도수의 길이가 Fr 수(Froude number) 3.5에서 최대 2배 길게 나타났으며, 하류 수심이 증가 할수록 도수의 길이는 점차 감소하게 되었다. 단위 거리당 발생되는 비에너지 손실량 비교 분석 결과 단위 거리당 에너지 손실량이 하단방류형보에 비해 월류형 보가 약 2배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하단 방류형 시설의 경우 수공 구조물의 안전을 위해 별도의 에너지 감세시설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고소설 「보심록」 계열의 형성과정과 그 사적 의미

        차충환,김진영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0 東洋學 Vol.47 No.-

        This thesis investigated to formation process and historic meaning of Bosimrok series. Bosimrok series is composed of Gumnangyisan, Bosimrok, Myungsasimri, Jangyusungjun. The while, the formation process of Bosimrok series was knowned to order of ‘Myungsasimri → Bosimrok →Gumnangyisan’ or ‘Gumnangyisan → Bosimrok → Myungsasimri’. But the original text Bosimrok made Gumnangyisan and Bosimrok. Accordingly, ancient printing type version Gumnangyisan and Bosimrok is not related. And Myungsasimri was formed by influence of Bosimrok and Gumnangyisan, or original text Bosimrok. The copying Jangyusungjun was formed by Myungsasimri. This result is concluded that Gumnangyisan and Bosimrok is not original text. And that Gumnangyisan can’t become original text of Bosimrok. Gumnangyisan is written in “new-novel Gumnangyisan”. Accordingly, it was made by sudden rise of new novel. Therefore, Gumnangyisan have meaning because of it shows historic transition of ancient novel. Bosimrok and Myungsasimri was formed during ancient printing type version ancient novel is in fashion. And new novel was declined at that period. Accordingly, through currency of Bosimrok and Myungsasimri, we can understand disposition of reading public at 1910’s latter period. As a result, copying ancient novel Bosimrok was published to “new-novel Gumnangyisan” at new novel currency period. And it was published to “ancient-novel Bosimrok” at ancient printing type version ancient novel period. Through this,ancient novel accord to historic flowing. Once again, the publishment of Gumnangyisan and Bosimrok shows countermeasure aspect on dominated novel form of each period. And it is meaning of Gumnangyisan and Bosimrok. The Gumnangyisan of new novel form and Bosimrok of ancient novel form was nearly formed same period. And it showes difference of reading method which is related on sound reading and silent reading. 본고에서는 「보심록」 계열에 속하는 「금낭이산」, 「보심록」, 「명사십리」, 「장유성전」의 형성과정을 재론하고, 이를 토대로 이 계열의 형성과정이 지닌 사적 의미를 구명하였다. 그동안 「보심록」 계열의 형성과정에 대한 시각은 ‘「명사십리」→ 「보심록」→ 「금낭이산」’의 순서로 이해하거나, 아니면 ‘「금낭이산」→ 「보심록」→ 「명사십리」’의 순서로 이해해 왔다. 그러나 실상은 저본으로 추정되는 필사본 「보심록」에서 신소설 형식의 구활자본 「금낭이산」이 먼저 개작·간행되었고, 몇 년후에 다시 고소설 형식의 「보심록」이 구활자본으로 간행되었다. 그리고 「명사십리」는 현 「보심록」의 영향과 현 「금낭이산」 혹은 저본 「보심록」의 영향으로 개작·간행되었다. 국문필사본 「장유성전」은 「명사십리」를 그대로 재수용하여 형성된 것이다. 현 「금낭이산」은 “신소셜 금낭이산”이란 제명에서 알 수 있듯이, 신소설의 발흥에 대응해서 산출된 것이다. 따라서 「금낭이산」은 신소설기에 고소설이 어떻게 시대적 추이에 대응해 나갔으며, 그 대응양상이 어떠한 형태로 나타났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다. 「보심록」과 「명사십리」는 신소설의 유행이 퇴조하고 구활자본 고소설이 다시 득세를 하던 시기에, 그러한 흐름에 대응해서 산출된 작품들이다. 따라서 우리는 「보심록」과 「명사십리」의 유통을 통해, 1910년대후반기 구활자본 고소설의 독자 견인력 혹은 지배력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결국, 필사본 고소설 「보심록」은 신소설이 지배하던 시대에는 “신소셜 금낭이산”으로 간행되었고, 신소설이 퇴각하고 구활자본고소설이 득세하던 때에는 “고소셜 보심록”으로 간행되면서 소설계의 추이에 예민하게 대응해 나갔던것이다. 신소설을 표방한 「금낭이산」과 고소설을 표방한 「보심록」의 유통은 작품 수용과 독서 방법에 있어 음독에서 묵독으로, 다시 묵독에서 음독으로 교차 반복된 역사적 실상을 한 계열 내의 이본 작품을통하여 구체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공공디자인 거리조성을 위한 사례 연구 : 부산 보수동 헌책방골목을 중심으로

        노봉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8 No.2

        이 연구는 보수동 헌책방골목의 공공디자인거리조성을 위한 현황과 사례 연구로서 중구청자료와 보수동헌책방골목 현황과 국내․외 전통문화거리 공공디자인, 책 소재 국내․외 문화 공간을 연구하고 보수동 책방골목 공공디자인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더 나은 보수동 헌책방골목의 공공디자인거리를 위해, 방문객들을 위한 공공디자인시설과 기획이 필요하다. 시민들의 생활속에 문화와 예술이 자리매김 함으로써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도시 랜드마크의 문화예술 공간을 건립하고, 지역기반의 고부가가치 문화산업 육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실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보수동 책방골목의 강점은 부산 상권의 중심 지역, 중구의 오랜 역사성, 전국에서 유일한 헌책방골목, 양서협동조합이라는 70, 80년대 민주화운동의 성지, 서적이라는 문화매체이다. 보수동 책방골목의 기회는 용두산 공원 주변지역 정비계획, 보수동 중심의 산․학․연 미니클러스터로의 발전 가능성, 중구 지역 다양한 문화유적(부산근대역사박물관, 백산기념관, 40계단문화관 등)의 보유 및 연계로 발전환경 조성, 중부산 해양권 개발 계획, 재래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중구의 관광 특구 가능성, 외래 관광객의 증가, 지리적 특성상 일본관광객의 꾸준한 유입이다. 보수동 책방골목에 가장 필요한 것은 복합문화관과 미니공원공공디자인 및 휴식공간공공디자인, 주차공간공공디자인, 책방골목상인들의 의식변화, 먹거리와 볼거리 등 이다. 인쇄디자인골목과 인접한 보수동 헌책방 골목 일대를 전통과 문화가 살아 숨쉬고, 중장년층에는 옛 추억의 향수를, 젊은층에는 여가, 휴식, 문화 공간, 문화체험, 볼거리, 먹거리 등을 즐길 수 있는 문화 공간 공공디자인거리를 만들고자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올해보다 더 나은 축제를 위해, 방문객들을 위한 체험프로그램 평가와 디자인기획으로 동래읍성역사문화축제 실무기획자에게 위와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on the cultural book store design Street which investigated Book store related Public Design from visitors and residents. This study on propose an alternative Development Strategy plan about data of Junggu Office and Bosudong book store public design street and Korea and Other`s traditional culture street public design and matter for book Culture-Space and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Planning processes of better Bosudong book store design street for visitors. This study on propose an alternative Development Strategy plan about Bosudong book store public design street neighboring printing design street as traditional culture design street and After Late 40's nostalgic memories and the young adult`s leisure, relaxation, cultural space, experience of the culture, attraction, food.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based on Book store Public Design Street Plan visitors` and residents` evaluation and give directions for planners. This study are as following : visitors from out of Bosudong Book store satisfied with Cultural Public Design Street. Introducing experience oriented programs Evaluation and facilities are recommended to planners for better Bosudong Book store Public Design Street.

      • 보 개방에 따른 하천변 지하수 이용 실태

        정찬덕 ( Chan-duck Jeong ),이규상 ( Gyu-sang Lee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2011년 4대강 보 설치 후 9년이 지난 이 시점에 자연환경과 생태복원 등의 목적으로 다시 보를 개방하자는 목소리가 환경단체 등 여러 곳에서 나오고 있다. 당시 보 설치로 높아진 하천수위로 인해 하천변 농경지의 지하수위도 동반 상승하여 농작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낮게는 30 cm, 높게는 1 m 내외의 복토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높였던 보를 다시 개방하게 되면 낮아진 하천수위와 지하수위로 인해 하천변 농경지에 자라는 농작물에 끼치는 영향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환경부는 하천수의 수질오염 방지를 위해 2017년 11월부터 단계적으로 보를 부분적 또는 완전 개방해왔다. 환경부 산하 물환경정보시스템(http://water.nier.go.kr/)에서 제공하는 보 개방현황(2017.6∼2020.6)을 보면, 보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설정한 관리수위와 하한수위를 1.0∼9.9 m 이내로 설정하여 하천수위를 관리하고자 하였으나, 실제로는 강우와 보 개방으로 관리수위보다 높아지거나 최저수위로 낮아져 수위차가 작게는 2.26m, 크게는 45.96 m 까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계별로 보면 한강 2.26∼6.71 m, 금강 5.54∼12.81 m, 낙동강 0.63∼45.96 m, 영산강 7.69∼29.93 m이다. 이렇게 하천수위가 변화하면서 하천변 농경지의 지하수위에도 영향을 끼쳐 하천에서 가까운 지역은 지하수 확보가 수월하여 시설재배단지가 밀집되어 있으며, 이를 활용해 4계절 지하수를 양수하여 작물을 재배하고 있다. 하천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은 영향은 지하수 확보가 어려워 지하수보다는 지표수를 이용하여 논이나 밭에서 노지작물을 재배하고 있어 그 만큼 하천변보다 더 적게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거 바다였거나 보가 바다와 인접한 지역에서의 보 개방은 하천수위 저하에 따른 대기압 감소로 하천수의 염분농도 상승을 초래해 하천변 지하수이용 농가의 염해피해가 예상된다. 이에 농가에서는 암반관정을 개발하기 시작하면서 하천주변 지하수위는 점차 낮아지고 있으며, 염해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은 반대로 그나마 염분농도가 낮은 충적층 지하수를 개발하여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보를 개방할 경우 하천변 시설재배단지나 농경지는 그만큼 하천수위 하강에 따른 지하수위도 동반 저하되거나 염분농도 상승 등 보 개방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지역에 대해서는 지하수 인공함양, 대체용수 개발, 집수정 개발 등 하천 주변 지하수 사용 농가에 대한 지하수 공급대책이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보절의 사실성에 대한 고찰

        김천학 한국어학회 2020 한국어학 Vol.86 No.-

        This paper aims to discuss factivity of the complement constructions. The complement constructions contain to an NP complement, an VP complement and an argument of complement. Prior studies argue that the difference of the factivity are related to the formative and deformative complement clauses. However, judgment of factivity is affected by the relation between the matrix verb and the complement construc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rix verbs and the complement constructions, first of all, factive verbs cannot combine with the ‘-dago’, while non-factive verbs can. On the other hand, ‘-daneun geos’ and ‘-eun/neun geos’ can both express the difference between ‘activity type’ and ‘fact type’ on the complementation strategy. The difference between activity type and fact type is roughly alike to ‘-daneun’ and ‘-neun’ on the NP complement constructions. However, the complement can be interpreted to the counter-factive meaning by informal complement constructions. 본고는 보절의 사실성(factivity)에 대해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보절 구성은 명사구 보절, 동사구 보절 그리고 논항 보절이 해당된다. 기존 연구에서는 보절의 사실성에 대해 완형보절과 비완형보절의 사실성에 초점을 두었다. 그러나 보절의 사실성 판단은 주절 술어와 보절 구성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을 맺는다. 우선, 주절 술어와 보절 구성의 관계에 있어서 주절 술어가 사실 술어이면 ‘-다는 것’ 과는 결합이 자연스럽지만 ‘-다고’와는 결합이 제한된다. 그러나 주절 술어가 비사실 술어일 때에는 이러한 결합 제한이 해소된다. 다음으로, ‘-다는 것’과 ‘-는 것’은 지각 동사와 결합할 때 사실 유형과 행위 유형의 의미 차이를 보인다. 사실 유형은 ‘정보’를 나타내고, 행위 유형은 ‘사건’을 나타낸다. 이러한 사실 유형과 행위 유형의 의미 차이는 명사구 보절에서 ‘-는’과 ‘-다는’이 표제명사와 결합하는 관계와도 상통한다. 그러나 보절은 제한된 구성에서 반사실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실적 해석은 보절의 정형적 표현보다 비정형적 표현에서 가능하다.

      • KCI등재

        보 유출형태에 따른 하류부 도수 및 비에너지 손실에 관한 비교 연구

        박효선,윤근호,최계운,구본진 한국습지학회 2013 한국습지학회지 Vol.15 No.1

        The beams built so far are mainly overflow type beams overflowing to the upstream. Main advantages of overflow type beams are, effective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easy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due to many accumulated studies. However, due to the special feature of an overflow type beam which the water overflows through the upstream of the beam, the silt inflowing from the upstream is not discharged to the downstream of the beam, increases the river bed and reduces the reservoir capacity, so the beam loses its function. A bottom discharge type beam with a water gate has been started to be constructed in order to solve such sediment deposit and beam maintenance problems. However, a river bed of the downstream of a beam has been scoured due to the design problem of recently constructed bottom discharge type beams, and due to the scoured bed, a structural problem is being risen. In this study, for effective design and management of beams - flow characteristics of overflow type beams and bottom discharge type beams, hydraulic jump length analysis depending on change of water depth and the amount of specific energy loss generated per unit length depending on a beam type have been compared and analyzed. As the experiment result, when identical upstream conditions of a bottom discharge type beam and an overflow type beam were maintained, the hydraulic jump length was shown to be up to twice longer at Fr (Froude number) 3.5 of the hydraulic jump length at the bottom discharge type beam, and the hydraulic jump length gradually decreased as the downstream water depth increased. As the comparative analysis result of the amount of specific energy loss generated per unit length, it showed that the amount of energy loss per unit length was twice higher for an overlfow type beam than a bottom discharge type beam. Therefore, in case of a bottom discharge type facility, an additional energy reduction facility is determined to be necessary for safety of water construction structures. 기존까지 건설된 보는 대부분 보의 상단으로 월류하는 월류형 보가 주로 건설 되어졌다. 월류형 보의 경우 수자원의 관리의 효과와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로 인한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방법 등이 용이 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월류형보의 특성상 보 상단부를 통해 물이 윌류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상류부로부터 유입된 유사가 보 하류로 배출되지 못하고,하상이 높아지면서 저수용량이 감소되어 점차 보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와 같은 토사 퇴적 및 보의 유지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문을 가진 하단방류형보가 건설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최근 건설된 하단방류형 보의 설계상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보 하류부의 하상이 세굴되고, 세굴된 하상 때문에 구조적인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의 효과적인 설계 및 운영방법을 위해 월류형 보와 하단 방류형 보의 흐름의 특성, 하류부 수심 변화에 따른 도수길이분석, 보 형태에 따라 단위거리당 발생되는 비에너지 손실량을 비교분석하였다. 실험분석 결과 하단 방류형보와 월류형보의상류 조건을 동일하게 유지 시 하단방류형보에서 도수의 길이가 Fr 수(Froude number) 3.5에서 최대 2배 길게 나타났으며,하류 수심이 증가 할수록 도수의 길이는 점차 감소하게 되었다. 단위 거리당 발생되는 비에너지 손실량 비교 분석 결과단위 거리당 에너지 손실량이 하단방류형보에 비해 월류형 보가 약 2배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하단방류형 시설의 경우 수공 구조물의 안전을 위해 별도의 에너지 감세시설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우리나라 보건의료서비스산업의 국민경제 기여도 분석

        배규현,이선우 한국문화산업학회 2023 문화산업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보건의료서비스산업의 국민경제 기여도를 분석하여 향후 정부의 보건의료서비스산업의 정책 및 전략 수립에 일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은행이 발행한 2022년 한국은행 2019년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보건의료서비스 산업의 생산유발계수의 열 합계는 2.05023, 행 합계는 1.23378로 32개 산업 중 중간 이하의 순위를 보여 보건의료서비스사업이 국민경제 발전을 뒷받침하는 기초적 전략적 산업에는 아직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둘째, 보건의료서비스산업의 감응도 계수와 영향력 계수는 각각 0.00186, 0.9196으로 1보다 작은 값을 보여 경제여건에 상대적으로 다소 둔감하며, 타 산업과의 연계 도가 낮은 독립형 산업인 최종 수요적 원시산업형이라 할 수 있다. 셋째, 보건의료서비스산업의 총생산유발액은 10,106,501 십억 원(보건의료서비스산업은 11,168 십억 원, 약 2%), 부가가치유발액은 201,586 십억 원(보건의료서비스산업은 148,037 십억 원, 1.5% ), 소득유발액은 6,020,414 십억(보건의료서비스산업은 73,979 십억 원, 1.2%), 생산세 유발액은 총 321,725 십억 원(보건의료서비스산업은 732 십억 원, 0.2%) 등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보건의료서비스산업의 노동 유발효과는 총 33.4명(직접유발 인원 14.9명, 간접유발 인원은 18.5명)으로 전체32가 산업 중 6위이며, 고용 창출 형 산업으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국어 보절의 설정

        권용문 ( Kwon Yong-mu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인문학연구 Vol.0 No.33

        본고는 국어 내포절의 체계에 보절을 설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용절은 그 명칭이 부적절하다. 그리고 인용절은 인용동사의 의미나 내용을 보충하는 필수적인 절이다. 따라서 인용절을 폐기하고, 핵인 서술어의 의미나 내용을 보충하는 필수적인 성분인 보어로 기능하는 보절을 설정하여 기존의 인용절을 포괄할 수 있다. `필수적 부사절`은 모순된 용어다. 부사절은 일반적으로 그리고 본질적으로 수의 적이기 때문이다. 이에 `필수적 부사절`을 폐기하고, 보절을 설정하여 기존의 `필수적 부사절`을 포함시킬 수 있다. 보절은 관형절과 관련된다. 동격절은 핵인 명사의 의미나 내용을 보충하기 때문에 보절적 특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고는 내포절의 체계에 관형절을 설정하므로 그 체계를 고려하여 동격절을 `보절적 관형절`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인용을 나타내는 보절이 내포된 관형절이 존재한다. 보절의 체계는 인용 보절과 비인용(일반) 보절로 대분류할 수 있고, 인용 보절은 다시 직접 인용 보절과 간접 인용 보절로 소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보절 내포소에는 `-라고, -하고`의 직접 인용 보절 내포소와 `-고`의 간접 인용 보절 내포소 및 `-게, -도록, -려고, -면, -어도` 등의 비인용(일반) 보절 내포소가 있다. This study proposed setting complemental clause to the system of embedded clause in Korean languag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like the following. The quotative clause is an inappropriate term. And the quotative clause is a clause that complements the meaning or content of quotative verb. Therefore I must discard the quotative clause, and set the complemental clause that functions as the complement that is an obligatory constituent, that complements the meaning or content of predicate that is a head. So the complemental clause can include the preexisting quotative clause. `obligatory adverbial clause` is the contradicted term. Because the adverbial is generally and essentially optional. Thus I must discard `obligatory adverbial clause`, and set the complemental clause. So the complemental clause can include the preexisting `obligatory adverbial clause.` the complemental clause is related to the adnominal clause. It is possible that the appositive clause has complemental clausal feature. Because the appositive clause complements the meaning or content of noun that is a head. But this study sets the adnominal clause in the system of the embedded clause, so in the light of its system, it is reasonable that regards the appositive clause as `the complemental clausal adnominal clause.` Furthermore the adnominal clause that the complemental clause that represents quotation is embedded exists. The system of complemental clause can largely classify as the quotative complemental clause and the nonquotative(general) complemental clause, and the quotative complemental clause can subclassify as the direct quotative complemental clause and the indirect quotative complemental clause. Plus, there are the direct quotative complemental clause embedder `-rako, -hako`, the indirect quotative complemental clause embedder `-ko`, and the nonquotative(general) complemental clause embedder `-ke, -torok, -ryeoko, -myeon, -eoto` and so on in the complemental clause embed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