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트남의 한국 언어ㆍ문화 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

        Bui Kim Luan,이길원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4 한국언어문화학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대학들에서 진행하고 있는 한국언어문화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다루고 베트남의 한국언어문화 증진을 위한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1993년 9월에 최초로 하노이국립대학교에 한국학과가 개설된 이후그 수가 꾸준히 늘어 2005년에는 9개, 2014 년 현재는 14개 대학교에한국언어문화 관련 강좌가 개설되어 있다. 또한 현재 10개의 대학교에서 한국언어문 화 관련 학과와 별도로 11개의 한국어센터 및 한국학센터를 보유하고 있다. 베트남 대학들의 한국언어문화학 교과과정을 보면, 대체적으로 1,2학년에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와 문법 과 목, 3,4학년에는 문화, 경제, 경치, 역사, 사회, 문학 등 한국학 관련 주요과목 및 통 번역과목이 배정되어 있다. 베트남 대학들의 가장 시급하고 당면한 과제로는 전문 교수진의 부족을 들 수 있다. 현재 베트남 대학들의 한국 언어문화학에 종사하는총 교수진은 133명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교수진의 비중은 차치하더라도 학생 대비 교수의 숫자가 적은 부분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점이라고 본다. 이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베트남 정부와 대학에서 연구자들이 교육기관에서 일을 할 수 있게 우대 정책 등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그렇게 될 때 베트남에서의 한국언어문화학 교육은 장래에 큰 발전이 보장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A Study in the Korean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Vietnam. Journal of the International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1-2, 79-106. This paper presents status regarding current education of Koreanlanguage and culture at universities in Vietnam. In addition,solutions to strengthen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in Vietnam are also presented. The department of Koreanstudies at the VNU(Vietnam National University) Hanoi University,which is the first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in Vietnam, wasestablished in September 1993. In 2005, there were totally 9universities that were established and related to Korean languageand Korean studies. Until now, 14 universities all over thecountry, which have the faculty members of Korean languageand culture, have been established. Moreover, due to the highdemand of studying Korean, many universities have beencooperated with Korean government to establish the Sejongcenter. Recently in the universities in Vietnam, there has been avisible trend towards opening the center for Korean languageand Korean studies. Currently, 11 centers in 10 universities inthe country have been established Korean centers. Korean languageand Korean studies education in Vietnam is in great diversity. Besides increasing volume of the demand the quality of the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s clearly improved. Thisis due to the fact that many Korean companies are investing in Vietnam and the demand of studying Korean is increasingbecause of the Korean Wave. Moreover, support of Korean governmentand companies accelerate development of Korean centers inVietnam rapidly. The program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center is mainlyfocusing on the areas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grammar, culture, economics, history, politics, society, translationcourse and more. The imperative problem in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education in universities in Vietnam is lack of professional staff. Now, the number of teachers in the faculty of Korean languageof universities in Vietnam are 133, including 14 doctors (10.5%),84 masters (63.2%), and 35 bachelors (26.3%).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Vietnamese governmentand universities should support the Korean researchers. It isevident that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Vietnamwill more prosper in the future once these conditions aremet.

      • KCI등재

        한국-베트남 대학교육협력모델에 대한 연구 : 국내대학교와 베트남자매대학교와의 3+1, 2+2 공동교육제도를 중심으로

        이강우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4 국제지역연구 Vol.17 No.4

        Universities that offer Vietnam-related resources operate various joint education programs withpartner universities in Vietnam in order to expand local train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3+1 and2+2 joint education programs are the typical examples. These programs are programs in whichqualifying students study one year or two at one of the partner universities in Vietnam on avoluntary basis. These programs allow the students to realize their language proficiency level andaccord learning motivation by being aware of the necessity of studying Vietnamese language. Theyalso provide them with the opportunity for improving language skill by being exposed to Vietnamesespeaking environment. As of the year 2013, 25 students only from "A" university are studying atVietnam participating in the 3+1 and 2+2 programs. Especially recently, due to perception changesover time about Vietnam and an increase in peronnel exchange, growing number of students study inVietnam. These programs have their own strengths that students earn a good command of language as localstudy period is prolonged because Vietnam has a different educational contents and system. However,as the education period in Korea is shorten, these programs have been criticized for beinginappropriate to nurture human resource with high work performance that many domesticcorporations require. This study raises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is the problem of joint educationprograms and what is the improvement plan?”The three methods of research chosen for this study are model analysis, comparative analysis, andsurvey and interview. All the universities that operate joint education programs cannot be covered, therefor, the "A" university has been selected as an analysis model for its abundant database andeasy access to it. This study will draw a conclusion about whether these programs can bring expectedeffects to domestic universities by analyzing operation situation and the joint education programagreements between this university and its partner universities in Vietnam. Lastly, the respondents tothe survey were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or are participating in 3+1 or 2+2 joint educationprograms. Interviews with professors in partner universities in Vietnam were conducted in order tomake improvement plans by listening to principals who operates the programs practically. 현재 베트남관련학과가 있는 일부 대학들은 학생들에게 현지연수 기회를 최대한 확대하기위해 베트남자매대학들과 다양한 공동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3+1과 2+2 공동교육프로그램이다. 이것은 국내대학 4년 과정 중, 일정한 자격을 구비한 학생에한하여 본인의 의사에 따라, 1년 또는 2년 동안 베트남자매대학에서 공부하는 제도이다. 이 프로그램은 적어도 자신의 베트남어 수준을 깨닫고 베트남어 학습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게하여 학습동기를 부여하는 한편 베트남어를 구사하는 환경에 노출되어 언어 구사 능력을 향상시키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임에는 틀림이 없다. 2013년 현재, 청운대학교에서만 25명의 학생들이 3+1과 2+2 제도에 따라 현지에서 공부하고 있다. 특히 최근, 베트남에 대한 인식 변화와 더불어 인적교류가 늘어나면서 베트남으로 공부하러 가는 학생 수도 더 늘어나는 추세에있다. 그러나 3+1, 2+2제도는, 교육의 내용과 체계가 한국과는 다른 베트남현지에서의 교육기간이 길어지고 한국에서의 교육기간이 그 만큼 짧아지면서 언어구사능력이 향상된다는 의미는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국내 기업이 필요로 하는 통합적인 업무수행능력을 갖춘 인재양성에는부적합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제기한다. “공동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은 무엇이며 그 개선방안은 무엇인가?”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모델분석, 비교·분석방법과 설문 및인터뷰이다. 공동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모든 대학교의 경우를 연구할 수 없기 때문에 자료가 풍부하고 수집이 용이한 청운대학교를 분석 모델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 대학교와 베트남자매대학교 간의 공동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협정서와 운영 현실을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국내대학들이 공동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기대한 교육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가에 대한 답을 찾을 것이다. 또한 3+1과 2+2를 비교, 분석하여 “3+1, 2+2 두 가지 중 어느 제도가 목적에 보다적합한가?”에 대한 답을 찾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3+1, 2+2 공동교육프로그램에 참여했던 경험이 있고 또 참여 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했으며 베트남자매대학의교수들에 대한 인터뷰도 병행하였다. 이것은 공동교육프로그램을 실질적으로 수행하고 있는주체의 의견을 청취함으로써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 KCI등재

        교육학 : 고등학교 베트남어교육 현황에 대한 연구

        이강우 ( Kang Woo Lee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0 No.51

        한국과 베트남간의 경제적, 인적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베트남어에 대한 수요가 커지는 가운데, 2014학년도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제2외국어 과목 중에 베트남어가 새롭게 채택되었다. 베트남어에 대한 정규 교육은 충남외고 1곳에서만 진행하고 있지만 지난 3년 동안 수능 제2외국어의 8개 과목 중에, 베트남어는 응시자가 가장 많은 과목 중 하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등학교의 베트남어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고등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베트남어 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베트남어를 교육하고 있는 충남외고, 건대부고, 권선고의 교육현황을 분석하였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건대부고와 권선고가 아직 정규과정은 아니지만 해당 학교뿐만 아니라 주변 학교 학생들에게까지 베트남어 교육을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충남외고의 경우에, 베트남어를 전공으로 선택한 이유가 ‘베트남어에 대 한 전망이 좋을 것 같아서’는 많았으나 ‘대학 입시를 위해서’인 경우는 많지 않았다. 반면에 베트남어를 부전공으로 선택한 경우에는, ‘베트남어에 대한 전망이 좋을 것 같아서’와 ‘대학 입시를 위해서’가 함께 높게 나타났다. 결국 충남외고에서 베트남어 교육은 대학입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셋째, 베트남어에 대한 흥미도는 대체로 높았다. 특히 대학입시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작은 건대부고와 권선고에서 높게 나타났고, 충남외고에서는 전공의 경우에 고학년으로 갈수록 일부지만 흥미도가 낮아졌고 그 이유 중 절반이 ‘대학 입시와 관련이 적어서’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의 외국어계열과 인문사회계열에서만이라도 제2외국어 과목을 필수로 채택한다면 고교 과정에서 흥미를 느끼는 베트남어에 대해 고학년 학생도 학습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mands on Vietnamese language increase due to brisk economic and person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Vietnam, it has been newly selected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subject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ince 2014. Even though only one highschool, Chungnam Foreign Language highschool, provides the formal education on the language, it has had the most applicants among the 8 second foreign language subjects of college ability test last 4 years. Consequently, Vietnamese language education at high schools becomes more important. In order to figure out Vietnamese language education status at highschools, this study analyzed the education status of Chungnam Foreign Language highschool, Konkuk University highschool, and Kwonsun highschool where Vietnamese language education is offered. I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lthough the programs that Konkuk University highschool and Kwonsun highschool provide are yet informal, it is meaningful because they offer not only their own but also nearby school students opportunities to study the language. Secondly, in case of Chungnam Foreign Language highschool, the reason students who chose Vietnamese language as their major was its bright prospect which overwhelmingly preponderates other reasons such as college entrance preparation. On the other hand, those who chose it as minor, both reasons, ``its bright prospect`` and ``college preparation`` formed the similarly high portion. Accordingly, Vietnamese language education at Chungnam Foreign Language highschool is closely related to college entrance preparation. Thirdly, students`` interests on the language were mostly high. Especially Konkuk University highschool and Kwonsun highschool where the education is not closely related to college entrance appeared high. In case of Chungnam Foreign Language highschool, a part of senior majors had lower interests, the main reason of which was its less relation with college entrance preparation. If a second foreign language subject becomes mandatory even for foreign language and humanities parts in colleges, senior students who have interests at Vietnamese language at high school can maintain their study.

      • KCI등재

        재한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 대학 만족 및 한국어 수준이대학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수연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Korean Universities andKorean Language Level of Vietnamese Students’in Korea on University AdaptationSooyeon Kim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university satisfaction and Korean language level on university adaptation of Vietnamese students in Korea. The research method was 155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at Jeonnam D university, who received a questionnaire written in Vietnamese and analyzed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biggest difficulties experienced while studying abroad in Korea were discrimination against Vietnamese in Korean society, lack of employment-related information, loneliness, and cost of living or housing.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ngth of stay in Korea, year of birth, understanding of Korean lectures, and school adaptation of Vietnamese student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bu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ird, the higher the university satisfaction of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the positive effect on university adjustment. Lastly, the higher the level of Korean, the more positive the effect on college adaptation.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university adjustment was university satisfaction. Through this study, the necessity of linkage with programs that enable various exchanges and interactions with Koreans and the policy approach of related institution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and universities in Vietnam was suggested. Key Words: International Students from Vietnam, Cultural Adjustment Stress, Adjusting to University Culture, Korean Language Level, Satisfaction 재한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 대학 만족 및 한국어 수준이대학 적응에 미치는 영향김 수 연*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재한 베트남 유학생의 대학 만족 및 한국어 수준이 대학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 방법은 전남 D대학교 155명의 베트남 유학생을 대상으로 베트남어로 쓰인 설문지를 받아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이 논문의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에서 유학 생활을 하면서 가장 크게 느끼는 어려움은 한국 사회의 베트남인에 대한 차별, 취업 관련 정보의 부족, 외로움, 생활비 또는 주거비로 분석되었다. 둘째,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 체류 기간, 출생연도, 한국어 강의 이해 정도와 학교 적응 간의 관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했지만,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간의 차이가 있었다. 셋째, 베트남 유학생의 대학 만족이 높을수록 대학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 및 제언: 결론적으로 베트남 유학생들의 대학 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 만족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베트남 유학생들의 한국 및 대학 만족도 향상을 위한 한국인과의 다양한 교류 및 상호작용이 가능한 프로그램 연계와 관계 기관의 정책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핵심어: 베트남 출신 유학생, 문화 적응 스트레스, 대학 문화 적응, 한국어 수준, 만족 □ 접수일: 2022년 7월 30일, 수정일: 2022년 8월 12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동신대학교 항공서비스학과(Professor, DongShin Univ., Email: ksytina@hanmail.net)

      • KCI등재

        베트남 대학생 대상 다문화교육 사례 연구: 베트남국립대학 한국학부 “한국 다문화 사회” 수업을 중심으로

        유선영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9 글로벌교육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Vietnames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lass taught by Korean teacher. The case of this study was set as the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class which was conducted at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Vietnam National University, Ho Chi Minh City. From the 30 Vietnames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various types of data such as reflection papers, presentations, interviews, and observati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Vietnamese college students' experiences were revealed in three areas: understanding of Korea, cultural competence, and teaching method. The understanding of Korea is composed of 3 themes and 7 subthemes, cultural competence 4 themes and 15 subthemes, and teaching method 2 them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learners with different language and cultural backgrounds were suggested. 이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에서 한국학(어)을 전공하고 있는 베트남 대학생들이 한국인 교수자가 진행하는 다문화교육 수업에 참여하여 무엇을 경험하였는지를 이해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호치민에 위치한 베트남국립대학 인문사회대학 한국학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한국 다문화 사회’ 수업을 사례로 규정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30명의 베트남 대학생들로부터 성찰저널, 발표자료, 면담자료, 관찰, 수업 일지 등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질적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수업 참여자들의 경험을 통합하여 분석한 결과 한국에 대한 이해, 문화적 역량, 수업방식의 3가지 영역에서 학생들의 경험이 드러났다. 한국에 대한 이해 영역은 코리안 드림, 한국에 대한 현실 인식, 한국(인)과 관련된 미래 전망 3개의 주제와 7개의 하위 주제, 문화적 역량 영역은 이주자와 한국인에 대한 공감,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이해, 변화를 위한 노력 4개의 주제와 15개의 하위 주제, 수업방식 영역은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 수업 활동 2개의 주제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언어와 문화적 배경이 다른 학습자에게 다문화교육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진행할 것인가에 대한 교육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예비교사들의 베트남어 습득을 위한 강좌 : 글로벌 · 다문화 교육역량 육성의 일환

        이윤영,배정옥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1

        기회의 땅 베트남에는 수많은 한국 기업들이 진출해 있으며 베트남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재의 공급이 절실하 다. 국내 교실에서는 베트남 배경의 학생들이 그 수에 있어 1, 2위를 차지하고 있어, 교사들이 베트남어로 소통할 수 있다면 긍정적 효과는 클 것이다. 본 논문은 국내 최초로 경북대학교 사범대학이 대학생 예비교사들의 글로벌· 다문 화 교육역량 강화를 위해 베트남어를 개발· 운영한 결과를 평가하였다. 베트남어 교육은 방학을 이용하여 두 차례 실 시되었고, 총 20명이 참가하였다. 1, 2차 교육 모두에서 참가자들의 글로벌·다문화 교육 역량은 집단상 유의미한 증가 를 보였으며, 95%의 학습자들에게서 향상이 관찰되었다. 참가자들은 더 많은 학생들이 베트남어 학습 기회를 가지게 되기를 바란다고 했으며, 베트남 문화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지식과 이해를 넓혔으며, 베트남어로 소통하는 자신들을 그려보게 되었다. 또한 베트남어 심화학습과 베트남 문화와의 접촉을 이어 갈 수 있는 새 방안의 마련을 건의하였다. 타 양성기관들이 본 사례를 응용하여, 조화로운 한-베 다문화 학교 운영과 경제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Vietnam is a country where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companies have branched out, and calibers who can speak Vietnamese are on great demands. In the multicultural classroom, students of Vietnamese background occupy the first or second largest composition amo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therefore, if teachers can teach in Vietnamese, the positive effects can be promising. This study presents and evaluates a Vietnamese language class developed and opera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by a university to raise prospective teachers’ global-multicultural competences. Two series of the classes were conducted during two vacations of 2018, and 20 students participated. As a results, th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global-multicultural competences; About 95 percent of the participants demonstrated improvement in the competences. The participants stated opinions: the classes should expand to offer opportunities for many other students who may want to acquire Vietnamese; the participants had better understandings of the Vietnamese cultures, envisioned their role as a Vietnamese speaker and suggested extended opportunities for contacts with Vietnamese cultures. The study hopes that other universities apply the educational model and the case study and that, as a result, teachers can contribute to building harmonious Korean-Vietnamese relations using Vietnamese.

      • KCI등재

        베트남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어려움과 극복과정에 관한 연구

        김미영,이유아,송연주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llege adjustment experiences of Vietnamese students and to help them better adjust to college life in Korea. Eleven Vietnamese students in B University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from October 26, 2016 to December 6, 2016 to collect data. Those data which were analyzed with Giorgi(2004)’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difficulties faced by the students in adjusting to college life in Korea and approaches which they appli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These two categories were then divided into 8 components with 17 sub-components. The difficulties consisted of 5 components: adjusting to unfamiliar educational environments, understanding and adapting to what was going on in class and how it was conducted, struggling with everyday life as a foreign student, building friendship with complete strangers, which could cause a sense of depression, and enduring the fast and tight life style of Korea as well as the general atmosphere where they feel neglect by Koreans. How the Vietnamese students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the Korean college life were categorized into three components: overcoming academic difficulties with the assistance of friends, managing everyday-life struggles as a foreign students on his/her own, and encouraging themselves with various cultural experiences and hope of future employment.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베트남 유학생들이 국내 대학생활에 적응하며 경험한 내용을 탐색하여 이들의 대학생활적응력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 B대학교 유학생 11명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10월 26일부터 12월 6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Giorgi(2004)의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베트남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과정의 총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었고, 그 아래 8개의 구성요소와 17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베트남 유학생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으로는 낯선 교육 환경에 적응하기, 수업 내용 이해와 수업 방식에 적응하기, 일상생활에서 겪는 유학생의 어려움 감당하기, 우울함을 촉발하는 낯선 교우관계 시작하기, 빠르고 빡빡한 한국문화와 베트남 무시 분위기 버텨내기의 5가지 구성요소로 확인되었다. 베트남 유학생들이 대학생활적응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극복 방법은 친구의 도움으로 학업에서의 어려움 극복하기, 홀로 유학생활 이겨내기, 한국에서의 선진문화경험과 취업희망으 로 유학생활 독려하기의 3가지 구성요소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베트남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제언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베트남 내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베 통번역 교재 개발 기초 연구 : 대학 교원 대상 설문 및 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이경,TRAN THI VAN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lan to develop Kore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that can be used in Kore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es at Vietnamese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the present condition of Kore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es and textbooks at 16 universities in Vietnam were investiga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0 teachers who were teaching the classes. As a result, teachers sympathized with the necessity for textbooks for Kore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nd they hoped that textbooks containing various types of exercises and tasks. In addition, through interviews with five Vietnamese teachers, several implications were derived: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to suit the class situ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nd topics and activit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authenticity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ctivities should be sufficiently included in the textbook.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llected local teachers’ needs and difficulties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However, there is a limit in that it was difficult to draw various opinions from Vietnamese university teachers due to the small number of subject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a model of an actual Kore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extbook will be presented and discussions on specific methods to use it in the educational field continue. 본 연구는 베트남 내 대학에 개설된 한국어 통번역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한국어통번역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16개 대학의 한국어 통번역 수업 현황과 교재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해당 수업을 운영하고 있는 교원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한국어 통번역 교재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었으며 이론보다는 다양한 유형의 연습 및 과제를포함하는 교재가 개발되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또한 5명의 베트남 교원을 대상으로 진행된 인터뷰를 통해 수업 현황과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통번역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는 점, 통번역 활동의 실제성을 고려한 주제와 활동이 교재 내에 충분히 포함되어야한다는 점 등 총 5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현지의 요구와 어려움에 대해 다양하게 수집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대상자의 수가 적어 베트남 대학 교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이끌어 내지 못했다는 점에서는 한계가 존재한다. 추후 본 논문의 내용을 토대로 실제 한국어 통번역 교재의 모델이제시되고, 이를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논의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인 및 자국민 친구로부터 받는 사회적지지가 베트남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아영(Jeon A Yeong),조채연(Cho Chae-yeon),금창민(Keum Cha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한국인 및 자국민 친구로부터 받는 사회적지지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 경남 소재 베트남 유학생 211명의 자료를 활용해 한국인 친구와 자국민 친구, 두 집단으로부터의 사회적지지와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고,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한국인 친구의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적응 전반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 것에 반해 자국민 친구의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두 집단 모두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적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정서적지지의 경우 교우관계를 넘어 기관차원의 여러 가지 심리지원 프로그램의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베트남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 학과, 대학, 국가 차원의 중장기적 관점의 유학생지원 정책이 필요함을 제안하며, 특히 현지인 친구인 한국인 재학생과의 교우관계 활성화를 위해 다각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university adaptation for Vietnamese students, mainly in Busan, Ulsan, and South-Gyeongsang province.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from the two groups on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using data from 211 Vietnamese students. While examining the effects, we differentiated the relationship with Korean friends and Vietnamese friend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upport from the Korean friends was significant in the overall adjustment in college life whereas the support from the Vietnamese friends was not meaningful. The result from both groups showed the social support did not influence emotional adaptation. Therefore, we need to work at the institutional level to tackle the emotional support, while providing various psychological supporting program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we need to create a policy for supporting international students in a dimension of a department office, a university, and the government to raise the level of adjustment. It also implies the necessity of diversified methods to stimulate friendships with Koreans who are native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베트남 대상 적정기술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대학교육의 새로운 탐색을 중심으로

        정용교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3

        Nowaday, university education is facing a crisis. On the one hand, universities are given the task of cultivating an educated citizen through search of truth, on the other hand, they are not free from the feeling of pressure to foster the competent workers by increasing employment capacity. The university education focus on fostering employees to raise employment rates in a situation which a pragmatic type of talent with a practical sense have recently become a goal of university education. Until now, policies of university education have been implemented to increase practical abilities. However, it’s necessary to further discuss whether such educational reforms have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pragmatism. In the face of numerous reforms, it’s because the current university education are unable to present an alternative view suitable for the tim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a new prospect of university education that can increase industry-friendly and practical ability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ppropriate technology programs for Vietnamese society. First of all, we examine the educational crisis faced by current university education, also suggest concrete model of appropriate technology program as an alternative of university education. Second,we introduce the models of the appropriate technology designed and developed by students directly by focusing on the development process, core content, and field application. Finally, we review the impact of such appropriate technology products on the lives of local Vietnamese residents. In sum, this article intends to present the appropriate technology program developed and applied by students as a new possibility of university education that can improve field-friendly or field-based abilities. 오늘날 대학교육은 위기상황에 처해 있다. 한편에서 진리탐구를 통한 교양시민을 육성해야한다는 과제를 부여받으면서 다른 한편에서 취업능력을 키워 유능한 직장인을 양성해야 한다는 압박감에서 자유롭지 않다. 최근 현장감각을 갖춘 실용적 인재상이 더욱 부각되면서 대학교육은 취업률 제고를 위한 직장인 양성에 주력한다. 실용적 능력을 키우기 위한 수많은 대학교육의 개혁들이 시도되었지만, 그런 개혁정책이 학생들의 현장감을 반영한 실용적 능력신장에 어떤 교육적 성과를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수많은 개혁 속에서도 현행 대학교육은 시대 전망적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 채 일정한 좌표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 글은 베트남 사회를 대상으로 한 적정기술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통해 현실사회 친화적이면서 실용적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대학교육의 전망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현행 대학교육이 당면한 교육적 위기현상을 타진하며, 덧붙여 대학교육의 대안으로서 적정기술 프로그램의 구체적 모형을 제안한다. 둘째, 학생들이 직접 설계하여 개발한 적정기술의 모형을 개발과정과 핵심내용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이는 대학교육의 새로운 전망으로서 중요한 의의를 띠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개발된 적정기술 제품은 베트남 현지주민의 삶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현장차원에서 검토한다. 요컨대, 이 글은 학생들이 직접 개발·적용한 적정기술 프로그램을 현장 친화적 내지 현장 밀착형적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대학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