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미 FTA의 이행에 따른 미국의 법정손해배상제도의 도입과 그 한계

        이종구 한국지식재산학회 2007 産業財産權 Vol.- No.23

        The primary function of the torts law of Korea is aimed to compensate the actual damages inflicted on the plaintiff by the defendant's tortious conduct. In order to recover his or her damages, the plaintiff must prove that the damages was caused by the defendant's tortious conduct. Also the amount of actual damages must be proven in a specific amount by a showing of evidence. However, this is a tricky inquiry because, in some cases, the exact damages is hard to measure. To overcome the difficulty, statutory damages have been proposed as an alternative way by some critics because it may be imposed by the court without any proof of actual damages. According to KORUS FTA, Korea should introduce statutorily fixed damage awards with respect to copyright and trademark infringement. The purpose of statutory damages is to compensate the copyright owner for lost profits and unascertainable actual damages, and also to deter future infringements. However, under the Korean law, the plaintiff is only able to recover his or her actual damages. The imposition of damage awards to punish unlawful conduct and deter future infringements has never been allowed.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statutory damages can basically cause some conflicts with the traditional remedy rule of Korea. In addition, the punitive portion of a statutory damage award can sometimes imposes an unconstitutional grossly excessive penalty. In particular, when a given punishment is massively aggregated across many similar instances of misconduct, the resulting penalty can become so large that it becomes grossly excessive in relation to any legitimate interest in punishment and deterrence. Therefore, in implementing statutory damages in the copyright law of Korea, it should carefully consider that the amount of statutory damages must not be grossly excessive in relation to those goals. In this regard, this article proposed new provisions as followed; the copyright owner may elect, at any time before a trial court's judgment is rendered, to recover an award of statutory damages for all infringements involved in the action, with respect to any one work, in a sum of not less than 300,000 Won or more than 30,000,000 Won as the court considers just. In a case of where the court finds that the result of infringement is grave, the court in its discretion may increase the award of statutory damages to a sum of not more than 100,000,000 Won, and In a case of where the court finds that statutory damages are grossly excessive, the court may decrease the award of statutory damages, regardless of the above minimum award.

      • KCI등재

        상표법에 손해배상액 증액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에 관한 검토

        장태미,정차호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서울법학 Vol.28 No.2

        In 2019, treble enhanced damages system was introduced into the Korea Patent Act and the Korea Trade Secret Act. Taking advantage of such trends, some argue that such system be introduced into the Korea Trademark Act. As such system was introduced into the Korea Patent Act, would the same be possible or proper in the Korea Trademark Act? In order to answer the question, this paper analyzes statutory damages system and enhanced damages system in some major countries. As results of such analysis, it was understood that (1) many countries (like South Korea) have introduced statutory damages system and (2) only a limited number of countries, such as the U.S.A. and China, have introduced enhanced damages system to their Trademark Acts. From the viewpoint of comparative study, the necessity to introduce enhanced damages system into the Korea Trademark Act is not strong enough. Reminding that there were at least ten papers, which examined such necessity to introduce enhanced damages system into the Korea Patent Act, this paper argues that similar examination and evaluation be necessary to introduce such system in the Korea Trademark Act. It is also necessary to check whether statutory damages system alone is not enough to properly protect trademark right. Furthermore, it is very important to examine status quo on damages amount, request acceptance ratio, character of two parties (large, medium or small enterprises, etc.) in the trademark infringement litigations. Introduction of treble enhanced damages system without such examination and evaluation, would be premature and would possibly invite trademark trolls. In one hand, it is important to introduce enhanced damages system to properly protect trademark right,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sufficiently examine necessity of such introduction. 2019년 특허법 및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에 손해배상액 3배 증액제도가 도입되었다. 그러한 분위기에 편승하여 상표법에 3배 증액제도를 도입하자는 주장이 제기된다. 특허법 등에 3배 증액제도가 도입되었으므로, 상표법에도 그 제도가 도입되어야 하는가? 이 글은 그 의문에 답하기 위하여 우선, 주요국의 법정손해배상제도 및 증액제도를 분석하였다. 그러한 분석의 결과 첫째, 많은 국가들이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상표법에 법정손해배상제도를 도입하고 있다는 점 및 둘째, 상표법에 증액제도를 도입한 국가는 미국, 중국 등 일부 국가에 한정된다는 점을 밝혔다. 비교법적인 견지에서는 상표법에 증액제도를 도입할 필요성이 충분하지 않은 것이다. 이 글은 특허법에 3배 증액제도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최소 10개의 논문이 그 타당성을 점검하였음을 환기시키며 상표법에 동 제도를 도입하기 위해서도 그와 유사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법정손해배상제도만으로는 상표권을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는 것인지에 대한 점검도 필요하다. 나아가, 상표권 침해소송에서의 손해배상액, 인용율, 당사자의 성격(대기업, 중소기업 등)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한 검토가 선행되지 않은 상표법에의 3배 증액제도의 도입은 섣부른 것이 되고, 상표 파파라치를 초대하는 것이 될 수도 있다. 상표권의 적절한 보호를 위한 증액제도의 빠른 도입이 중요할 수 있지만, 그 제도 도입의 필요성에 대한 충분한 검토는 더 중요하다. 어떤 제도이든 신설하기도 어렵지만 폐지하기는 더 어렵기 때문이다.

      • 개인정보 보호법상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와 법정손해배상제도

        여경수 ( Gyeong Su Yeo ) 영산대학교 법률연구소 2015 영산법률논총 Vol.12 No.2

        우리나라에서는 개인정보의 수집ㆍ유출ㆍ오용ㆍ남용으로부터 사생활의 비밀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2011년부터 개인정보 보호법이 제정ㆍ시행되고 있다. 개인정보보호법의 목적은 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호에 관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개인의 자유와권리를 보호하고, 나아가 개인의 존엄과 가치를 구현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개인정보 보호법에서는 개인정보처리자에게 다음과 같은 책무를 부과하고 있다. 개인정보처리자는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을 명확하게 하여야 하고 그 목적에 필요한범위에서 최소한의 개인정보만을 적법하고 정당하게 수집하여야 한다. 개인정보의처리 목적에 필요한 범위에서 적합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여야 하며, 그 목적 외의용도로 활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 필요한 범위에서 개인정보의 정확성, 완전성 및 최신성이 보장되도록 하여야 한다. 개인정보처리자는 개인정보의 처리 방법 및 종류 등에 따라 정보주체의 권리가 침해받을 가능성과 그 위험 정도를 고려하여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여야 한다. 개인정보 처리방침 등 개인정보의 처리에 관한 사항을 공개하여야 하며, 열람청구권 등 정보주체의 권리를 보장하여야 한다. 정보주체의 사생활 침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하여야 한다. 개인정보의 익명처리가 가능한 경우에는 익명에 의하여 처리될 수 있도록하여야 한다. 지난 2015년 개인정보 보호법의 개정으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와 법정손해배상제도를 도입하였다. 이 글에서는 헌법상 개인정보 보호법의 의미와 새롭게 도입된 정보침해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와 법정손해배상제도를 다루고자한다. This paper is aimed at constitutional review on Personal Data Protection Act, which was enacted on March 29, 2011. The purpose of this Act is to prescribe matters concerning the mana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in order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all citizens and further realize the dignity and value of each individual by protecting personal privacy, etc. from collection, leakage, misuse and abuse of individual information.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r shall make clear the purpose of managing personal information, collect personal information lawfully and legitimately, and limit the collection to the minimum extent necessary to achieve such purpose.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r shall manage personal information in such a manner that the privacy infringement of a subject of information is minimized.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r shall ensure that personal information is managed anonymously whenever such management is possible. The State and a local government shall devise policy measures to prevent any harmful effect from collecting personal information for any purpose other than the intended purpose, misusing, abusing, or excessively monitoring and tracking, etc. personal information, thereby protecting human dignity and personal privacy.

      • KCI등재

        온라인상 저작권침해에 대한 구제방법에 관한 소고 - 저작권법상 법정손해배상제도를 중심으로

        이지원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아주법학 Vol.11 No.2

        오늘날 컴퓨터의 발달과 통신망의 발달 등으로 인하여 거의 모든 저작물은 디지털화하여 전 세계에 쉽고도 빠르게 전파되는 장점과는 반대로 저작권의 침해도 쉽게 이루어지고 있어 큰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저작물을 창작함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하지만 오늘날 디지털시대의 발전과 무형물이라는 저작물의 특성상 저작물에 대한 침해는 쉽게 이루어지고 그 손해도 광범위해지고 있다. 특히 음악저작물과 사진저작물, 동영상 등은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하여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고 복제 전송 등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온라인상의 복제·전송 등의 저작권침해행위는 비록 적지 않게 일어나지만 침해자가 영리목적으로 또는 상습적으로 복제·전송 등을 하지 않는 한 그 침해행위로 인하여 얻는 이익이나 저작권자의 손해는 미미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 저작권법에서는 저작권침해로부터 저작권자를 보호하기 위한 여러 규정들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규정들만으로 저작권자를 실질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대해 저작권법 제125조 2에서는 법정손해배상제도를 규정하고 있는데, 이 제도는 저작권자의 권리침해로 인한 손해액의 입증곤란을 구제하고 계속적인 침해행위를 억제하기 위하여 법원이 법정된 상·하한의 범위 내에서 재량으로 정당하다고 생각되는 손해액을 판결할 수 있도록 규정된 제도이다. 이처럼 법정손해배상제도의 도입은 역사가 짧지만, 현재 시점에서 그 동안의 손해배상제도를 평가하고, 문제점을 분석한 후 과잉구제를 방지하기 위해 저작권법에 따른 검토를 통해 새로운 입법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Recently the advancement of computer and internet makes most of works digitalized and transmitted to the world easily and rapidly, but the violation to copyrights happens easily. To create copyrighted works, a huge effort should be delivered in terms of financial burden as well as periodically. However, the intangible assets and works are more vulnerable in infringement of rights and financial loss, even occasionally, surpassing the tangible assets. Especially anyone can come into touch with music works, photography works and video etc. and can reproduce and transmit them. Even though copyright infringement through reproduction and transmission on internet happens a lot, as far as the infringer does not do it on the purpose of profit-making or habitually, the profit or the damage of the copyright-owner cannot be so big. Even though Korean government has tried to regulate practical policies to protect copyright works, it is insufficient as terms of protection in the Copyright Law cannot be covered in many cases. The Statutory Damages Regime under the Copyright Act is entitled to certain rights in assuring adequate compensation for plaintiff, under the judgment of financial evaluation within the ranges of its minimum and maximum. Although this policy will be beneficial for the copyright holders, we should pay a particular attention to adopt the legal act, considering the various issues such as the determination of amount of actual damages, deterrence of the defendant, and so forth. Thus, it is significant to review and re-analyze the statutory damages under the copyright act, concerning the various factors such as economic conditions, volume and size of copyright frauds, and any related cases at the national level.

      • KCI등재

        디지털 저작권 침해에 있어서 법정손해배상제도에 대한 소고

        이성우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08 民事法理論과 實務 Vol.12 No.1

        The copyright system has made changes to new technologies and works, by establishing new objects to be protected, adding rights and so on. It is occurrence of digital copyrighted works based on digital technology that is most remarkable change in the present copyright system. The digital copyrighted works are all the works that can be used as digitalized from existing or new works, which normally have a form of database or can be included in a CD-ROM. Although the copyright infringement through Internet is also an illegal activity by Civil Law, the holders of the right as an intangible property right have difficulty in proving damage caused by the infringement. The Copyright Act of Korea has thus provisions on the relief of the burden of proof of the holders in Articles 125 and 126. However, it is still being considered to be difficult to prove actual damages by copyright infringement, and, what is worse, even if compensatory damages by the infringement are calculated, the amount calculated is such insignificant that it is an ineffective way to prevent pirates from infringing on copyright. Here, the ‘enforc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of KORUS FTA will bring about a big change to the damages calculation of copyright infringement litigations in Korea; that is about statutory damages. The United States also has special articles of the Copyright Act like Korea, and the statutory damages are most conspicuous. The first requirement for statutory damages is that an infringed work should be a registered one. There are three levels of pre-established damages: willfulness warrants the increase, innocence the decrease, and all the other cases are computed according to the standard measure. Once the verdict of damages is made, a plaintiff cannot select freely statutory damages. Regardless of the number of infringement, statutory damages should be calculated by the number of infringed works which are numbered by their registration. The Korean Copyright Act has had provisons on the presumption of the number of infringing copies since its enactment. The current Korean Copyright Act stipulates in Article 126 that the court may calculate damages, based on a purpose of proceedings and results from evidence examination, if the parties do not submit enough evidence to calculate damages. These institutions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statutory damages but can be a good start as a linkage to the statutory damages. On such ground, the feasibility of introduction of the US Statutory Damages as an alternative has been reviewed.

      • KCI등재

        중국 개정 저작권법상 저작권 침해 민사책임 :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중심으로

        손한기(Son, Han-Ki) 한국저작권위원회 2021 계간 저작권 Vol.34 No.2

        지난 2020년 11월 11일 중국 저작권법 3차 개정이 확정되었다. 이번 개정은 예상과 달리 일부개정에 그쳤지만, 최대 5배까지 부과할 수 있는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도입했으며, 법정배상의 상한을 현행 50만 위안에서 500만 위안으로 상향 조정하는 등 저작권침해에 대한 민사적 구제를 대폭 강화하였다. 이외에도 저작권 보호를 강화하기 위하여 기술적 보호조치 및 권리관리정보에 관한 규정을 신설했고, 권리자의 입증책임의 부담을 줄였고, 손해배상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했다. 하지만 여전히 일부 문제점도 존재한다. 가장 대표적인 문제는 법정배상제도와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와의 관계설정이다. 저작권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은 권리자의 실제손실, 침해자의 위법수익, 법정배상의 순서로 엄격하게 이뤄져야 하지만, 권리자의 입증 어려움, 법관의 과도한 자유재량 등에 기인하여 현재 중국에서 저작권 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의 약 98%가 법정배상을 적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현재 법정배상이 징벌적 배상의 기능을 함께 하고 있기에 두 제도 간의 관계설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징벌적 배상제도의 적용요건인 ‘고의’와 ‘엄중한 정황’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징벌적 배상의 기준이 될 전보적 배상액의 확정을 위하여 권리자의 입증책임을 경감하거나 또는 침해자의 입증책임 강화 및 법원의 관련 권한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번 개정으로 인하여 중국내 저작권 침해로 인한 민사적 구제가 과거보다 강화될 것이며, 더 많은 손해배상금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우리 권리자들이 중국에서 발생한 침해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필요성이 있다. On November 11, 2020, the third revision of the copyright law was finally determined. Although this amendment is partial revision, it has introduced the system of punitive damages up to five times, and adjusts the upper limit of legal compensation from RMB 500,000 to RMB 5 million yuan, so as to improve the civil remedies for copyright infringement. In addition, in order to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copyright, it have been introduced the relevant technical protection measures and the provisions of right management information, reduces the burden of proof of the obligee, and strengthens the effectiveness of the damage compensation system. But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The most representative problem is the relationship between legal liability and punitive liability. As for copyright infringement, it should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actual loss of the obligee, the illegal income of the infringer and the normal royalty. However, due to the difficulty of the obligee in providing evidence and the excessive discretion of the judge, more than 98% of the copyright infringement cases in China are actually subject to legal compensation. Moreover, at present, legal compensation has the function of punitive compensation, 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ystems is particularly import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specific judgment standards of “intention” and “serious circumstances” as the applicable elements of the punitive damages system, and to determine the specific amount of compensation for filling in the level compensation as the calculation standard of punitive damages, we also need to reduce the burden of proof of the obligee or strengthen the burden of proof of the infringer and the relevant functions of the court. As a result of this amendment, the tort relief in China is more convenient than before, and it is expected to get more damages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our rights holders to actively respond to infringement in China.

      • KCI등재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손배해상청구와 관련하여

        류승훈(Ryu, Seung Hun)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47 No.-

        최근 들어 포털 사나 금융기관 등에 의한 개인정보 유출로 인해 국민들의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위기의식이 극도에 달하고 있다. 피해를 입은 소비자는 피해구제의 한 방법으로 집단소송에 의해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방법을 선택하게 되는데 최근 들어 개인정보 유출과 관련한 집단소송이 줄을 잇고 있다. 이는 어찌 보면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키고 사회의 결집력을 소모케 하는 비생산적 노력일 수 있다. 그러나 개인정보를 유출당한 피해자의 입장에서는 보이스 피싱 등의 혹시 있을지 모르는 개인정보의 유출로 인한 제2차적 피해를 걱정해야 하는 등 맘 편할 일이 없는 긴장의 연속선 상에서 실생활에 임하지 않으면 안 되는 고충이 있다. 이러한 긴장된 삶 그리고 혹 발생할지도 모를 자신의 신용 침해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 등은 정신적 고통내지는 스트레스로 남게 된다. 문제는 이러한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자들이 입게 되는 정신적 손해에 대한 구제는 가능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유출된 정보에 의한 2차적 피해가 발생해야만이 위자료청구가 가능하다는 우리 대법원 판례의 입장은 과연 정당한 것인지 의문이다. 위자료청구에 대한 좀 더 적극적인 입장으로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아울러 개인정보관련 법제에서 도입하고 있는 법정손해배상제도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While the Internet is very useful, it can cause serious problems such as leak of personal information. However, we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the negative sides such as an outflow of private information and the invasion of privacy. Anyone can be a victim of personal information leacks, so always be on the lookout. There is little doubt that the Internet-site operators have failed to establish an effective information security system. Besides, they have done little to prevent any further attempt to steal personal data. The Internet-site operators should also be held accountable for not properly supervising the pension service. The illegal release of confidential information could not only infringe on privacy of individuals but also cause irrecoverable damage to them. But the court of justice has been passive in response to collective lawsuits. With positive position the court of justice has to accept a compensation claim related with personal information leacks. Besides legal compensation for damages is adopted in protection law of personal information etc. The attempt for remedy of victims is very affirmative. Further adoption of double compensation in USA has to take into consideration.

      • KCI등재

        한·미 FTA 반영 상표법 개정에 대한 고찰

        김원준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법학논총 Vol.32 No.3

        On December 2, 2011, an amendment was made to the trademark law to accommodate the Korea –United States FTA implementation. The revised trademark law has been in effect since March 15, 2012. This article presents the main issues involved in the amendment to the trademark Law, including the protection for non-visual trademarks, the trademark-use intention verification policy, the legal damage remedy policies, the abrogation of requirements for the sole right of use of a trademark, and secrecy orders. A comparison and an examination of possible operational issues were carried out with reference to foreign cases. The trademark law is formally part of intellectual property law but it differs in purpose. Its intent is to avoid confusion about the origin of a product, protect customer confidence in registered trademarks, prevent unfair competition,establish a healthy distribution system, and contribute to the industrial development. Businesses that have trademarks are able to register all conceivable trademarks which can distinguish their products and services. Therefore, along with product trade and technological change, the trademarks that are subject to protection is expected to expand. In line with the expansion in the scope of protection offered by the patent law,eligibility under the revised Trademark Law also expanded to include sound and olfactory marks. For the sound and olfactory marks, it is important to clearly express the registration requirements of the mark. Also,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e acquisition of power of discrimination by use is different from that of general trademarks and service marks. In particular, it is required to complement screening criterion in order to clarify the interpretation of trademark characteristics,decisions about trademark similarity and the scope of protection which can be problematic for the use of sound and olfactory marks. The certification mark system can ensure internal stability to provide product quality assurance, provide the proper standards and information required for consumers to choose products, and largely contribute to promotion of the certification mark system because it is easy to correct infringement. An advantage of acquiring mark certification is that it can respond strongly to monopolistic use, duplicate registrations and infringement of the rights by a third party. In the case of a certification mark, the registration of products and services for one’s own operation is not allowed and it can increase faith in the operator and consumer trust which can prevent additional damage. Because the use of certified marks must be supervised, it is different from general product and service trademarks. The remedy system for legal damage can supplement challenges in the computation of damage which can prevent trademark infringement and hence, is expected to effectively protect trademark rights. Foreign cases should be examined in more depth to realize the original intent behind the revised trademark law and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to supplementing the system. 2011년 12월 2일 한미 FTA를 이행하기 위하여 상표법의 개정되었고, 2012년 3월 15일부터 개정법이 시행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상표법 개정에서 쟁점이 되는 비시각적 상표의 보호, 상표사용의사확인제도, 법정손해배상제도, 상표 전용사용권 등록요건의 폐지, 비밀유지명령제도 등을 소개하고 실무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쟁점은 외국의 입법례를 비교·고찰하였다. 상표법은 형식적으로는 지식재산권법 계열의 법률이기는 하지만, 상품의 출처를 혼동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목적과 기능의 측면에서 보면 등록상표에 대한 수요자의 신뢰를 보호함으로써 부정경쟁을 방지하고 건전한 유통질서의 확립을 통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 상표를 자산으로 가진 기업들은 자사의 상품과 서비스를 잘 식별할 수 있는 상표를 선택함에 있어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상표를 등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품의 거래와 기술 환경 변화에 따라 상표의 보호대상이 확대되고 있다. 특허법에서 보호대상을 확대하고 있듯이 개정 상표법에서도 소리·냄새상표를 상표의 등록대상에 포함시켜서 보호대상을 확대하였다. 이번에 도입된 소리·냄새상표에 대한 등록요건에 필요한 사실적으로 표장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고, 사용에 의한 식별력의 취득은 일반 상표·서비스표와 다르다는 점을 인식하여야 한다. 특히 소리·냄새상표의 운영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 상표의 특정, 상표 유사여부 판단, 등록상표의 보호범위에 대한 해석에 대하여 혼란이 없도록 심사기준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증명표장제도는 상표의 품질보증기능을 내실화할 수 있고, 수요자에게 올바른 상품선택의 기준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침해에 대한 구제가 용이하여 인증마크 제도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증명표장권의 취득으로 독점배타권적인 사용권, 중복등록 배제, 제3자에 의한 권리침해에 대하여 보다 강력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증명표장의 경우에는 자기의 영업에 관한 상품이나 서비스업에 사용하려는 경우에는 증명표장의 등록을 받을 수 없고, 그 증명표장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증명표장의 사용으로 인한 영업자의 신용증대효과와 수요자의 입장에서도 신뢰함으로써 생기는 손해는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증명표장의 사용에 대하여 감독을 하여야 한다는 특성 때문에 일반 상표·서비스표와 다르다. 법정손해배상제도는 그 손해액의 산정 등의 곤란함을 보완하여 상표권 침해를 예방할 수 있으므로 상표권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장점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개정된 상표법에 대해서 외국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해당 제도의 도입취지와 같은 결과가 성취될 수 있도록 제도의 보완을 위한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중국 저작권법 3차 개정에 관한 소고

        손한기 ( Son Hanki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21 지식재산연구 Vol.16 No.1

        중국 저작권법 3차 개정이 2020년 11월에 확정되어 2021년 6월부터 시행된다. 주된 개정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도입했고, 법정배상의 상한을 500만 위안으로 상향 조정하는 등 저작권 침해에 대한 민사책임을 강화했다. 2. 저작물 예시 규정을 개정했고, ‘시청각 저작물’이라는 용어를 도입했다. 3. 방송권의 대상 확대로 유선방송도 방송권의 객체에 포함하였다. 4. 저작권 주관부처의 행정집행권한을 크게 강화했으며, 법원의 직권 조사 등 권한도 강화하였다. 이외에도 일부 하위법령에 규정된 내용을 저작권법으로 격상시켰다. 이번 저작권법 개정으로 향후 중국 내 대규모의 조직적인 저작권 침해가 감소할 것이며, 소송에서 승소할 경우 충분한 배상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우리 권리자들이 중국 내 저작권 침해에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The third revision of China’s Copyright Law was confirmed in November 2020 and will be implemented in June 2021. The main amendments are as follows. 1. Introduced a punitive damages system, and adjusted the statutory compensation limit to 5 million yuan, which greatly increased the punishment for copyright infringement. 2. Modified the regulations on examples of works and introduced the concept of audiovisual works. 3. Due to the expansion of broadcasting rights, wired broadcasting was also included in the broadcasting rights object. 4. Greatly improved the administrative power of copyright authorities and the investigation authority of the court. In addition, some contents and systems stipulated in the lower level law are elevated to the copyright law. Because of this amendment, large-scale organized copyright infringement will be reduced in China in the future, and full compensation will be given when the lawsuit is won. Therefore, Korean copyright owners need to be more active in dealing with copyright infringement in China.

      • KCI등재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손배해상청구와 관련하여

        류승훈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47 No.-

        최근 들어 포털 사나 금융기관 등에 의한 개인정보 유출로 인해 국민들의 개인정보 유출 에 대한 위기의식이 극도에 달하고 있다. 피해를 입은 소비자는 피해구제의 한 방법으로 집 단소송에 의해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방법을 선택하게 되는데 최근 들어 개인정보 유출과 관 련한 집단소송이 줄을 잇고 있다. 이는 어찌 보면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키고 사회의 결집력 을 소모케 하는 비생산적 노력일 수 있다. 그러나 개인정보를 유출당한 피해자의 입장에서는 보이스 피싱 등의 혹시 있을지 모르는 개인정보의 유출로 인한 제2차적 피해를 걱정해야 하 는 등 맘 편할 일이 없는 긴장의 연속선 상에서 실생활에 임하지 않으면 안 되는 고충이 있 다. 이러한 긴장된 삶 그리고 혹 발생할지도 모를 자신의 신용 침해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 등은 정신적 고통 내지는 스트레스로 남게 된다. 문제는 이러한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 자들이 입게 되는 정신적 손해에 대한 구제는 가능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유출된 정보에 의한 2차적 피해가 발생해야만이 위자료청구가 가능하다는 우리 대법원 판례의 입장은 과연 정당한 것인지 의문이다. 위자료청구에 대한 좀 더 적극적인 입장으로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 다. 아울러 개인정보 관련 법제에서 도입하고 있는 법정손해배상제도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While the Internet is very useful, it can cause serious problems such as leak of personal information. However, we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the negative sides such as an outflow of private information and the invasion of privacy. Anyone can be a victim of personal information leacks, so always be on the lookout. There is little doubt that the Internet-site operators have failed to establish an effective information security system. Besides, they have done little to prevent any further attempt to steal personal data. The Internet-site operators should also be held accountable for not properly supervising the pension service. The illegal release of confidential information could not only infringe on privacy of individuals but also cause irrecoverable damage to them. But the court of justice has been passive in response to collective lawsuits. With positive position the court of justice has to accept a compensation claim related with personal information leacks. Besides legal compensation for damages is adopted in protection law of personal information etc. The attempt for remedy of victims is very affirmative. Further adoption of double compensation in USA has to take into consid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