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기천 형법학 각론강의의 해석방법론

        류전철(Ryu, Chen-Chel)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법학논총 Vol.36 No.3

        한국 형법학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전기(轉機)가 절실하게 필요한 시기에 우리 형법학에 영향을 미친 형법학의 유산을 다시 돌아볼 필요가 있다. 과거의 유산을 재발견하는 작업을 통해서 우리가 놓친 부분을 확인하고 한국 형법학의 독자적인 발전을 위한모티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하나의 다른 가능성과 길을 생각할 수 있게 하는 계기로서 우리 형법학에 큰 영향을 끼친 유기천(Paul K. Ryu) 교수의 형법각론강의를 음미하고자 한다. 그는 ‘모호한 개념의 논리적 분석만으로 만족하고 형법학의 학문성을 그 속에서 구하여안주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근본적으로 상징으로서의 개념, 자체의 본질을 정확히 이해하고 학문의 본질론과 관련 하에서 가장 합리적인 이론체계의 구성’이라고 형법학을이해한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그의 형법각론강의를 세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먼저 형법해석방법론의 관점에서 형법각칙의 규율대상인 개개의 구체적인 생활사실이 갖는 사회현상・문화현상으로서의 측면과 그 역사성을 고려하고 있는 그의 해석방법론을 일반적인 법해석방법론과 비교하여 살펴보고 있다. 그리고 형법각론강의의 구성체계와 서술형식을 분석한다. 그는 형법각칙에 대한 개개의 법규의 해석론(de lege lata) 에 들어가기 전에 형법규정을 입법론(de lege ferenda)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이러한 고찰은 해석론적 지침으로 삼으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다른 형법각론해석론과 다른 해석론을 전개한 특징적인 내용을 분석하고있다. 예를 들어 형법각론의 재산범죄분야 - 배임죄와 관련한 논의, 명의신탁과 관련된논의에서 최근에도 명백하게 정리되지 못한 쟁점들을 이미 1963년 유기천 교수의 형법각론강의(상) 머리말에 문제의 심각성을 예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위조범죄에 관한해석론에서도 위조범죄를 ‘사회경제적 질서를 보호하는 형벌법규’라는 장으로 구성하고이를 조문의 순서에 구애받지 않고 기본이 되는 문서위조죄부터 해석론을 전개하는 것은 독자적일 뿐만 아니라 본질에 부합하는 해석론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유기천 교수의 형법각론강의에서의 해석방법론의 이해는 한국 형법학의 발전을 위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직 명확하게 해결되지 않은 쟁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는 모티브로서 기대를 가지게 한다. At the time of needing a new turning point for the improvement of the penal code in Korea, it is necessary for us to look back to the legacy of the criminal jurisprudence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our penal code. By the operation of redeveloping the past legacy, we can confirm the parts that we have missed in the past and make that into a motive for the independent development of the Korean penal code.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give an opportunity to think of another way and the possibility. And investigate Professor Paul K. Ryu’s lecture of particular criminal law that had a huge influence on the penal code. He comprehends the law by saying, “the most reasonable composition of precisely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concept as a symbol and the essence of itself that is relevant to the theory of nature of learning; instead of just being content with logical analysis of ambiguous idea and being settled with finding out the implication of criminal law through the analysis”. Based on this kind of understanding, this thesis analyzes the Professor Ryu’s lecture in three different point of views. First of all, from the perspective of criminal law analysis methodology, we examine the methodology by comparing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 cultural phenomenon that individual regulated target gets in the life time with the general criminal law analysis methodology. Then we have to examine the system of organization and the form of description of the lecture. Before focusing on the particular criminal law of de lege lata, Professor Ryu considered the provision of the law as de lege ferenda. This kind of consideration intends to make it as the guideline that is interpretable. Lastly, the thesis examines the distinctive content of other particular criminal laws and the theories of analysis. For example, we can look at the area of property crime - when we look at the debates that are relevant to the malfeasance in office and the nominal trust, not only the foreword of Professor Ryu’s lecture have already predicted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of the various issues that were not clearly taken care of in 1963, but made “The Regulation of the Criminal Law that protects Social and Economic order” into a chapter for the forgery offences to not worry about the order of the provision. Developing from the forgery of documents in the theory of analysis is independent and also corresponds with the essence. As a conclusion, not only we can find the clu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riminal law in Korea through understanding the interpretation methodology of the lecture of the particular criminal laws by Professor Ryu, we can expect that it gives a motive to take care of the problems that were not clearly solved.

      • KCI등재

        군사독재시대의 형법학의 자취-형법학의 정치학

        박지현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법학논총 Vol.32 No.1

        This article aims to survey Korean Criminal Law and its theories during the military sovereignty before pro-democracy movement of 1987. Necessary reviews on General Theories on Criminal Law and several particular theories supported the dictatorship would be included, with the issues and the grounds briefly accounted. Our criminal jurisprudence has not changed or challenged materially for sixty years. The original legislation of Criminal Law was largely imitated for Japanese Criminal Law Draft of 1930s and Criminal Jurisprudence had to follow japanese theories. For this background theories have been deprived of those political contexts. especially at act theory or human reason or liberty on criminal activities. As a result, the military dictatorship could be unrestricted by criminal jurisprudence. There were theories which had given positive aids to the dictatorship. I would review theories of ‘joint principal offender by mere ploting’, ‘social regular rules justifying acts subsidiarily’. Then separate accounts would be followed on the theory of ‘successful coup ridding of rebellion’, the crime of ‘business obstruction’suppressing labor movements, the crimes on National Security Act and Security Observation Act. Eventually I am suggesting the important job to expose the political backgrounds and motives hided behind main-stream criminal theories and go further to expose the agglutination of Law and the political violence. 이글은 1987년 민주화운동을 기점으로 종지부를 찍었다고 볼 수 있는 시점 이전의 독재 시대, 특히 군사독재 시대의 형법과 형법학을 한 단위로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필요한 범위에서 형법 일반이론에 관한 검토를 포함하고 있고, 특히 적극적으로 독재 비호이론이 된 개별 이론들을 항목을 달리하며 서술한다. 역사를 서술하는 방법을 기본으로 하지만 이론들의 쟁점과 논거에 관한 간략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다. 우리 형법학은 특별한 큰 이론적 전기나 지형의 변화 없이 수십년간 유지되었다. 제정 형법안이 전란 중에 일본의 개정형법가안을 참고하여 작성된 이래 형법학 역시 일본의 형법학에 의존하면서 수입하고 소개하는 일이 중심이 되면서 이론의 실천적 의미나 사회정치적 맥락을 상실한 채 중립화된 외양을 띠게 되었다. 행위론은 정치적 색깔이 탈락되어 전개되었고 인간의 이성 또는 자유에 관한 근본 입장을 담은 학파논쟁 역시 역사의 유물처럼 취급되어 왔다. 그러한 상황에서 군사독재 정권은 형법학의 규제를 피하면서 법학의 침묵 속에서 통치와 통제를 수십년 이어나갔다. 형법 개별 이론들의 적극적인 지원도 받았다. 대표적으로 공모공동정범이론의 도입과 확대 적용, 사회상규(기본권적 행위 등을 포함한 정당행위)의 보충규범화 등에서 반민주적 형법이론의 전형을 볼 수 있었다. 내란죄를 정당화하려한 성공한 쿠데타 이론에 시달렸던 경험도 있다. 노동운동 탄압 수단인 업무방해죄, 양심과 사상을 그 자체로 처벌의 대상으로 하는 국가보안법 및 보안관찰법, 그외 일부 보안처분법들이 군사독재 정권의 비호하에 형법학의 묵인하에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주류 형법학 이론과 판결에 숨겨진 정치적 배경과 동기를 드러내고 논의의 장에 이끌어내고 법과 정치적 폭력의 유합을 폭로하는 것이 이론의 실천적 성격을 담보하는 가장 중요한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동아시아국가에서 근대 독일형법계수의 문제점

        류전철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법학논총 Vol.31 No.2

        Vor langer Zeit hatten die ostasiatischer Strafrechtler über das strafrechtlichen Thema zusammen diskutiert. Die Vermittlung ist die deutsche Strafrechtswissenschaft. Das deutsche Strafrecht wurde durch Japan zwischen am Ende des 19. Jahrhunderts und am Anfang des 20. Jahrhunderts in Ostasiatischen Saaten rezipiert. Die 19. hunderte Zeit war die rechtsstaatlich liberale Epoche in Deutschland. Die deutsche Strafrechtswissenscaft wurde durch deutschen Idealismus gewurzelt. Die Linie, auf der die Strafrechtswissenschaft in der Zeit, da sich der liberale Rechtsstaat des Konstitutionalismus aus den freiheitlichen Anschauungen einer bürgerlichen Welt gestaltete, zur Entfaltung wurde durch der Zug zum Positivismus. Das Positivismus ist durch Feuerbachs scharfe Fundierung allen Strafrechtsgedankens auf das Gesetz angebahnt gewesen. Wie das Preußische Strafgesetzbuch von 1851 beruht das Reichsstrafgesetzbuch von 1871 völlig auf der Gedankenwelt der liberale Rechtsstaat des 19. Jahrhunderts. In Ahnlehnung an das deutsche Strafgesetzbuch von 1871 und die deutsche Strafrechtswissenschaft, begann man ein neues Strafgesetzbuch in Japan zu entwerfen. Einer der Gründe für das besondere Interesse an Deutschland lag darin,dass es dieser Zeit wie Japan ein Monarchie war. So entstand im Jahre 1907 das aktuelle Strafgesetz. Auf die Kodifikation des japanischen Strafgesetzbuchs wirkt sich der Konflikt zwischen den Schulen in Deutschland erheblich aus, weshalb darin auch Ansätze der modernen Schule zu finden sind. Trozdem durch solchen Konflikt kannte man in der Tat keinen wesentlichen Unterschied ausfinden. Das durch Japan vermittelte deutsche Strafrecht, zumal es von der japanischen Herrschaft zu einem politischen Machtmittel instrumentalisiert wurde, hatte auf das koreanischen Strafrecht einen negativen Einfluss ausgeübt. 오래 전부터 한국, 일본, 중국, 대만의 형법학자들은 함께 모여 자연스럽게 형법주제를 논의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동아시아국가의 형법학자들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매개체는 독일형법학이다. 19세기 말 동아시아국가들은 서구열강의 제국주의에 의해 문호가 개방되고, 서구의 법제도를 받아들이게 되었다. 비록 그러한 수용이 압력에 의한 강압이었고 한편으로는 살아남기 위한 수용이었다 할지라도, 어떤 형식으로든 일단 정착된 서구법제는 식민지 지배로부터 벗어난 후에도 계수된 서양법제를 운영할 지식과 기술을 익히는 서구법학의 수용으로 이어졌다. 특히 형법분야에서근대 독일형법의 영향은 여전히 동아시아국가의 형법이해의 출발점이 되고 있다. 동아시아 국가의 형법의 모태라고 할 수 있는 독일 근대형법에 내재하는 특징들이 당시 동아시아국가의 계수과정에서 어떻게 왜곡되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동아시아 국가의 형법학과 독일형법학의 올바른 관계정립과 더불어 비교법적 관심사항의 변화가 필요하다. 근대 독일형법은 1813년 포이에르바흐에 의한 바이에른 형법전의 영향을 크게 받은 1871년 독일 제국형법전으로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독일 근대 형법은 칸트와 헤겔의 관념철학과 자유주의적 법치국가원리 그리고 법실증주의로 특징지을 수 있다. 그리고 20세기 초반 신파와 구파의 학파논쟁은 근대 독일형법에 대한 리스트의 반박으로 촉발된 것이다. 일본을 통해 근대 독일형법이 동아시아에 유입이 되고 일본은 이를 대만과 한국의 식민지지배의 도구로 이용하였다. 그런데 일본은 1907년 신형법을 제정하면서 근대 독일형법의 자유주의적 법치국가원리를 천황제에 맞게 국가주의적이고 권위주의적 형법으로, 죄형법정주의와 법실증주의도 변형되어 수용하였다. 여기에 독일의 학파 논쟁과는 다르게 전개되어 그 공통의 분모는 동일한 국가관, 즉 신파도 구파도 국가주의적, 권위주의적 측면을 공유하고 있었다. 이렇게 일본을 통해 변형된 형태의 근대 독일형법과 형법학이 대만, 한국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중국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동아시아 국가들의 형법은 그 근대화의 출발점을 근대 독일형법으로 삼고 있지만, 실은 근대 독일형법전의 형식만을 계수한데 불과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독일 근대 형법은 자유주의적 법치국가사상을 구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독일의 관념철학과 법실증주의도 결국 자유주의적 법치국가원리로 귀결되고 있다. 따라서 동아시아 국가의 형법이 근대 독일형법을 계수하였다고 할 수 있으려면 이러한 자유주의적 법치국가원리가 각국의 형법을 통해 받아들여지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나 일본을 통해 변형되고 왜곡된 형태의 근대 독일형법과 형법학은 동아시아 국가의 형법학, 특히 한국형법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유주의적 법칙국가사상의 토대가 약한 한국형법학에서 보호주의적 관점으로 형법을 이해하는 경향이 강하며, 약간의 사회적 자극에도 쉽게 범죄화의 요구를 수용하는 것도 왜곡된 독일 근대형법의 수용과정에 기인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근현대 법학교과과정 변천사

        정긍식(Jung, Geung-Sik)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법학논총 Vol.36 No.1

        본고에서는 120년의 법학교과과정을 통시적으로 검토하였다. 초기에는 법률가를 신속하게 양성하기 위해 법학교과 중심으로 교육이 진행되었으며, 1909년부터는 체계적으로 전공과 교양이 균형을 이룬 법학교육을 하였다. 조선총독부는 중간관리층을 양성하기 위한 법학교육만을 허용하였지만, 보성전문학교는 이에서 탈피하였다. 또 조선총독부는 경성제국대학을 설립하여 학문으로서의 법학을 추구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근대 법학교육은 일본의 영향 아래에 있었다. 해방 후에는 대학교육의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국가가 교육과정에 개입하여 교육내용을 규제하였다. 그래서 법학교육에서도 교양이 중시되었고, 이전의 경험을 바탕으로 교과과정이 편성되었다. 대학의 자율화를 추진한 1995년부터는 법학교육이 확산되었지만 교과과정에는 큰 변화가 없다. 이는 법의 보편성, 법학의 역사성, 강한 외부구속성 때문이다. In this paper, I review legal curriculums of last 120 years in Korea diachronically. Beginning, curriculums were composed mainly of laws to quickly train lawyers. Legal education was systematically achieved majors and liberal arts since 1909. The General Governor of Imperial Japan was allowed but only for legal education to train middle administrative lawyer, Posung Professional School was to break them up. And the General Governor established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in 1924 and pursued jurisprudence as science but failed. Legal education was under the influence of Imperial Japan in the Modern Korea. After liberation, the Nation regulated the educational process and curriculums of higher educational institu- tions in order to maintain the level of education. So liberal arts were emphasized in legal education too, the curriculum was organized on the basis of colonial experiences. The autonomy of universities was promoted since 1995, and so legal education was spreaded widely, but there are no big changes in the curriculums of jurisprudence. This is because the universality of laws, historicity of juri- sprudence and the strong external shackl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법적 관행의 개념과 그 요건

        이현경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37 No.2

        관행이란 합리적 주체가 공동의 조정 혹은 협력 문제에 직면하여 실천적인 추론 과정을 통해 수렴된 균형점으로서, 명시적인 합의나 약속이 없이도 행위자들 간의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고 자율적으로 존속하는 묵시적인 규범적 질서이다. 기존의 대표적인 사회적 관행 이론들은 여러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관행에 관한 ‘일반 이론’의 차원에서, 그리고 법적 맥락에서 유의미하게 다루어지는 ‘법적 관행’ 이론으로서도 한계를 갖는다. 오늘날 관행은 본격적인 법적 분쟁에서 판단 대상이 될 만큼 법적으로도 특별한 의의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그것을 이론적으로 적절히 설명하고 근거지울 수 있는 ‘법적 관행’ 개념과 ‘법학적 관행 이론’이 필요하다. ‘법적 관행’은 사회적 관행의 특별한 한 유형이기에, 일차적으로는 사회적 관행 개념을 기초로 한다. 따라서 필자는 ‘ 수정된 사회적 관행 정식’에 ‘법적’인 특수성을 반영한 몇 가지 조건을 추가하여 ‘법적 관행’ 개념과 그 요건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어떤 규칙이 사회적 관행 정식을 충족하면서 동시에 다음 요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면 ‘법적 관행’으로 인정된다. 법적 관행을 규정하기 위해 추가된 아래 항목들의 성격은 논리적인 필요충분조건은 아니다. 이는 법적 관행이 될 수 있는 경로들을 예시하는 기준으로 볼 수 있다. ① 관행의 형성과 실행에 관여된 행위자 중 일부가 법체계상 공적인 지위를 갖거나 그러한 역할과 연관된 경우: ‘법 공직자 관행’ ② 관행의 내용이 헌법적 사항을 규율하는 경우: ‘헌정 관행’ ③ 관행이 법규범에 의해 창출되고 인정된 경우: ‘실정법적 관행’ ④ 관행이 만약 분쟁화 되었을 때 관계인의 직접적인 법적 권리・의무 관계로 전이될 가능성이 큰 경우: ‘전이된 법적 관행’ 본고에서 제안하는 최종적인 ‘법적 관행 정식’을 다음과 같다. ① 관행의 형성과 실행에 관여된 행위자 중 일부가 법체계상 공적인 지위를 갖거나 그러한 역할과 연관된 경우: ‘법 공직자 관행’ ② 관행의 내용이 헌법적 사항을 규율하는 경우: ‘헌정 관행’ ③ 관행이 법규범에 의해 창출되고 인정된 경우: ‘실정법적 관행’ ④ 관행이 만약 분쟁화 되었을 때 관계인의 직접적인 법적 권리・의무 관계로 전이될 가능성이 큰 경우: ‘전이된 법적 관행’ ■ 다음의 조건들이 획득되면, 어떤 규칙 R은 법적 관행이 된다. (1) R은 특정한 목표나 가치를 전제로 하는 협력적 실천으로, (2) 일정 규모의 집단 P의 구성원들에게는 상황 C 하에서 R을 준수할 이유 혹은 이유들의 조합 A가 존재하지만, R에의 준수 이유나 결의가 참여자들에게 반드시 명확하게 인식/공지될 필요는 없다. (3) P의 구성원들은 어떤 상황 C에서 공동체 내 다른 사람들의 일반적 준수를 조건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규칙 R을 준수하기를 선호하리라 기대하며, 일반적 준수에 대한 정당한 기대를 조건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R을 준수한다. (4) 하나 이상의 잠재적인 규칙 R*가 존재하며, 만약 상황 C에서 P의 구성원들이 실제로 R*를 준수한다면, 이 사실은 R 대신에 R*를 준수할 충분한 이유가 된다. 다른 조건들이 동일하다면, 상황 C에서 R과 R*를 동시에 준수하는 것은 불가능하거나 무의미하다. (5) 관행에 관여된 행위자 중 일부가 법체계상 공적인 지위를 갖거나 그러한 역할과 연관되는 경우, 관행 ... Convention is the equilibrium agreed upon by reasonable subjects facing common problems that need coordination or cooperation through practical reasoning process, an implied normative order which is formed through the social interaction among the actors without express consent or agreement and is persisent autonomously. The previously existing main theories on convention, as theories on social conventions in the general sense as well as on ‘legal’ conventions in specifically legal context, have certain limits despite many merits. Today convention has gained a special meaning as an object of judgement in full-scale legal disputes, which necessitates a concept and theory of ‘legal convention’ for a theoretically sound explanation and justification. ‘Legal conventions’, being a subspecies of social conventions, is based on the concept of the latter. Therefore the author, adding to the ‘modified social conventions formula’ several conditions reflecting the ‘legal’ feature, presents the concept and requisites of ‘legal conventions’ as follows. A rule, if it conforms to the social convention formula AND more than one of the requisites below, is a ‘legal convention’. The requisites added below are not the logically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to become a legal convention. We can say they exemplify the ways in which a convention become legal. ① When some of the actors involved in the formulation and practice of the convention has official status in the legal system, or is involved in such a role : ‘legal office-holder convention’ ② When the content of the convention regulates a constitutional matter : ‘constitutional convention’ ③ When the convention is created and admitted by established legal norms : ‘positive- legal convention’ ④ When the convention, in case of dispute thereon, is highly possible to shift to a directly legal rights-duties relationship : ‘shifed legal convention’ The consequential formula for ‘legal convention’ set forth in this article is as follows: ■ A rule R, if all the following conditions obtain, is legally conventional. (1) R is a cooperative practice premised on a specific aim or value. (2) Members of a group P have a reason (or combination of reasons A) to conform to R under a given circumstance C, but the reason/resolution of such conformity to R need not be clearly perceived/noticed to the members. (3) Members of a group P in a given circumstance C expect most people to prefer comforming to rule R on the condition that other people generally conform thereto, and most people conform to R on the reasonable expectation of general conformity thereto. (4) Given one or more potential rule R*, if members of group P actually conform to R* in a given circumstance C, this fact would be a sufficient reason to conform to R* instead of R. If other conditions are identical, it is impossible or pointless to comply with both of them concomitantly in circumstance C. (5) If some of the actors involved in the formulation and practice of the convention has official status in the legal system or is involved in such a role, or the content of the convention regulates a constitutional matter, or the convention is institutionally supported by established legal norms (that is, the convention is created and admitted thereby), or the convention is highly possible to shift to a directly legal rights-duties relationship in case of dispute thereon, then the convention is ‘legal’. (6) R needs no initial process of express consent or agreement in its formulation and extinction, and its regularity needs no single-timeline continuation.

      • KCI등재

        전남 5・18항쟁 진상규명의 과제와 대상 : 전남지역에서 발생한 국가폭력을 중심으로

        안진(Jean Ahn)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논총 Vol.40 No.2

        지금까지 5・18항쟁은 ‘광주’라는 지역적 수식어가 붙음으로서 항쟁의 전국적 성격을 모호하게 만들었을 뿐 아니라, ‘5・18민주화운동’이라는 법적 개념의 정의에서도 ‘광주 일원에서’ 발생한 항쟁으로 규정함으로써, 전남지역에서 발생했던 5・18항쟁과 그것이 전체 항쟁에 기여했던 역할을 제대로 규명하지 못했다. 이 연구는 전남지역에서 발생했던 5・18항쟁의 내용과 국가폭력을 연구함으로써 5・18항쟁의 총체적 진실을 규명하는데 기여하고자 할 뿐만 아니라,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에 근거하여 이제 막 출범한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 조사위원회’가 지금까지 제대로 밝히지 못했던 광주시 이외의 전남 지역에서의 5・18항쟁의 진상을 규명할 수 있도록 조사과제와 쟁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남지역에서의 5・18항쟁은 처음부터 자생적으로 저항이 발생했던 목포를 비롯하여 해남 등 군 단위의 서남부 지역에서 격렬하게 일어났다. 전남도청 앞 집단발포에 대한 분노가 확산되면서 광주에서의 항쟁을 지원, 지지하기 위해 일어난 전남지역의 5・항쟁에 대해 계엄당국은 무자비한 봉쇄작전을 펼쳤고, 이로 인해 민간인에 대한 무차별적 발포와 학살이 발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제기된 과제들은 아래와 같은 세 가지이다. 첫째, 목포지역 외곽에 위치한 지산면 군부대의 민간인에 대한 총격사건과 병원 구급차에 대한 발포사건의 진실이 규명되어야 한다. 둘째, 해남지역에서 발생했던 31사단에 의한 민간인에 대한 발포사건들의 경위와 피해규모에 대해 철저한 진상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광주시를 고립시키고 외곽지역으로부터 봉쇄하기 위해 저질러진 나주 효천역 인근과 남평의 학살, 화순 너릿재 터널의 발포 사건의 진실이 규명되어야 한다. 앞으로 ‘5・18진상규명법’에 의해 출범한 ‘진상조사 위원회’는 노무현 정부시기에 이루어진 국방부 군 과거사조사위원회의 조사의 한계를 극복하여 국방부와 군의 협력 속에서 전면적인 재조사를 통해 전남지역에서 발생한 국가폭력의 진실을 규명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searching facts relating to 5・18 Uprising happened in Jeonnam region. This task is very significant to reveal the whole truth because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and written history have been focusing on the Citizen’s Army in Gwangju City whereas they have been neglecting the protest and state crime occurred in Jeonnam area except Gwangju region. Uprising expanded to other surrounding areas, mainly to the south-western region in Jeonnnam Province since massive shooting in front of Provincial Hall had happened. Martial army over-suppressed the demonstrators in many places, based on the containment policy which contributed to prevent the resistance from spreading outside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and gave rise to many civilian casualties. This study raised three cardinal themes to reveal the truth of 5・18 Uprising happened in Jeonnam region. Firstly, military attack to the civilian in Mokpo city. Secondly, massacre of citizen in Haenam county should be throughly investigated to disclose the state violence by the martial army. Thirdly, military attack occurred in Naju and Hwasoon along with carrying out the containment policy should be fully revealed in order to figure out the exact number of victims. Newly constructed ‘Truth Investigation Committee’ according to the Special Act on the Truth Revelation of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will be able to solve these problems and carry out the historic tasks to find out the whole truth of 5・18 uprising happened in Jeonnam as well as in Gwangju City.

      • KCI등재

        재산범죄와 형법상 재물의 개념 -문형섭 교수 정년에 부쳐-

        허일태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논총 Vol.30 No.1

        Prof. Moon, Hyeong-Seob ist m. E. einer der besten Juristen im Bereich von Vermögensdelikten, die ich kennengelernt habe. Die Rechtfertigung dieses Schlusses liegt in den folgenden Gründen: Die meisten seiner Abhandlungen haben erstens in den Rechtsprechungen und in der akademischen Welt einen Schock hervorgebracht. Es gab und gibt zweitens zahlreiche Epigonen, die seine Theorie vertreten. Mein Fall ist auch keine Ausnahme. Sein Aufsatz “Eine reflektierende Untersuchung des Wesens der Untreue und des Täterbereichs” hat einen starken Einfluss auf meinem Aufsatz “Doppelverkauf eines Grundstücks und Untreue” gehabt, wobei ich viele seiner Erörterungen wörtlich übernommen habe. Obwohl ich bisher zahlreiche Aufsätze geschrieben habe, bin ich weder so für einen bestimmten Aufsatz eines anderen Wissenschaftlers eingenommen worden,noch habe ich so eine andere Meinung vertreten. Prof. Moon hat ständig eine Reihe von Aufsätzen über Vermögensdelikte geschrieben, wie “Vermögensschaden bei Untreue” und “Unterschlagung und Untreue.” Schließlich hat er im November 2006 durch das Pressezentrum der Cheonnam Universität ein synthetisches Buch “Verständnis der Lehre der Vermögensdelikte” publiziert. Der Bequemlichkeit halber könnte dieses Werk als Lehrbuch einsortiert werden, es ist jedoch ein Buch mit einem völlich anderen Charakter als bisherige Lehrbücher. Der Autor, Prof. Moon, hat die bisherigen Rechtsprechungen und Lehrmeinungen nicht nur mit Überzeugungskraft kritisch analysiert, sondern auch einen schlüssigen Gegenvorschlag gemacht. So hat er ein ‘Fachbuch über Vermögensdelikte’ geschrieben, indem er nicht nur hermeneutisch schlüßige Auslegungen des Strafgesetzes durchgeführt hat, sondern auch über sachgerechte Rechtswissenschaft, damit über gerechte Rechtswissenschaft lange nachgedacht hat. Dieses Buch hat mich zu dem Gedanken geführt: “Doch, auch die Praktiker können hervorragende Aufsätze schreiben.” 문형섭 교수는 필자가 만나 본 한국의 법조인 중에서 재산범죄에 관해 가장 탁월했던 분으로 생각된다.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은 다음과 같은 사유 때문이다. 우선 그가 쓴 논문들의 대부분은 종래 잘못 해석되어왔던 판례나 학계에 크나큰충격을 주었고, 그의 주장에 동참하는 학자가 적지 않게 되었다는 사실에서 찾아 볼수 있다. 필자의 경우만 해도 그렇다. 특히 “배임죄의 본질과 주체범위에 관한 반성적고찰”이라는 그의 논문은 “부동산이중매매와 배임죄”라는 필자 논문의 작성계기가되었으며, 이 논문에서 문 변호사의 논문을 베끼다시피 참조하였다. 지금껏 필자가여러 편의 논문을 써 왔지만, 특정학자의 논문에 대해 이처럼 심취해서 그렇게 많이인용하고, 같은 입장으로 지지한 논문이 거의 없었다. 문 교수는 그 논문 이외에도 “배임죄에서의 재산상 손해”를 비롯하여 “횡령죄와 배임죄” 등 일련의 재산범죄에 관한 논문들을 지속적으로 발표하였고, 이런 논문들을종합하여 “재산범죄론의 이해”라는 교과서를 2006년 11월 전남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하였다. 이를 편의상 교과서라고 불러보지만 종전의 교과서와는 다른 성격을 가진내용의 저서였다. 저자인 문 교수는 재산범죄, 특히 배임죄를 중심으로 종래 잘못된판례와 학설들을 매우 설득력 있게 조목조목 비판적으로 검토하였을 뿐만 아니라 대안을 제시하여 형법전의 해석에 충실을 기하면서도 사리에 어울리는 법학, 다시 말해정의로운 법학을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였던 흔적이 저서의 곳곳에 스며든 그런 ‘재산범죄에 관한 전문교과서’를 썼기 때문이다. “실무가들도 얼마든지 훌륭한 논문을 쓸수 있구나.”하는 생각을 절로 나게 하는 저서였다.

      • KCI등재

        营销策略与消费者权益保护

        周杰普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논총 Vol.30 No.3

        This paper originates from the consideration of combining Law with Marketing. I always focus on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of Law and Marketing. Each company has to deal with conflicts and coordination with consumer, other companies and social interests in the process of achieving its business profits. There are a lot of researches on marketing strategy and rights of consumer both domestic and abroad. However, most marketing experts focus on the discussion of “event”, while law experts pay more attention to “legislation”, which means the lack of academic communication between law area and marketing area and the lack of systematic research on the related connection between operators and consumers. This paper attempts to combine law and marketing from two perspectives and to use two different research methods to discuss relationship between operator benefits and consumer rights, the theory of social responsibility of operators,research on consumer protection under Macro-marketing philosophy, and the status and development of Chinese consumer protection so as to achieve the conclusion that marketing strategy of enterprises should pay attention to consumer protection. 본문은 법학과 경영학중의 마케팅 관련지식에 기초하여 작성한 것이므로 법학과마케팅학을 주요 과제로 하고 있습니다. 기업이 자신의 경영목적을 달성하는 동시,소비자와 기타 기업 및 사회이익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비록 국내외 학술지에서는마케팅전략과 소비자권익보호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마케팅은 “사실에 근거하여 판단하고”, 법학은 “법에 근거하여 판단”하기 때문에 사실상 마케팅과법학의 연계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에 따른 경영자이익 및소비자권익보호와 관련된 연구는 제각기 이루어지고 있는 현황이여서, 통일성이 미비하다. 본문은 법학과 마케팅학 이론에 근거하여 두 가지 측면에서 경영자의 사회적책임, 거시적 경영학의 철학이론에서 소비자권익보호문제를 연구하고, 중국소비자권익보호의 현황과 발전 등 몇 가지 면에서 마케팅전략과 소비자권익보호문제를 살펴보고, 결론에서 기업의 마케팅전략은 반드시 소비자의 권익을 보호하여야 한다는견해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