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ifficulties in Translation from Hungarian into Korean

        한경민(Han, Kyeng Mi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10 동유럽발칸학 Vol.12 No.1

        번역은 제 2 의 창조라는 말이 있듯, 외국 문학 작품을 한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은 글자만 옮기는 것이 아니라, 독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새롭게 표현해내는 방법을 필요로 한다. 이 논문은 헝가리 작품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만나게 되는 문제점과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한 시도이다. 문제점의 기본은 헝가리어와 한국어의 차이에서 발생한다. 그래서 우선 두 언어의 공통점을 II 장에서, 차이점을 III 장에서 살펴보았다. 한국어에서는 주인공들의 나이, 성별, 상하관계를 정확히 파악해야 올바른 공대법과 높임말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두 언어의 가장 큰 차이점은 어순에 있다. 헝가리어에서는 동사 앞에 높이는 문장성분이 가장 강조가 되지만, 한국어 번역에서는 이 강조점이 드러나지 않아, 단어를 반복하여 강조점을 유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번역에서 가장 중요한 등가성은 내용적인 면과 형식적인 면을 함께 다루어야만 지켜진다. 헝가리 시에서는 음절 수, 운, 강세, 마디가시의 형식적인 미를 구성한다. 하지만 번역에서 이 세 기본요소를 충족시키려면 내용적으로 불명확한 번역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내용과 형식의 구성을 훼손하지 않고 등가성을 유지하기 위한 번역가의 독창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번역의 문제는 번역하려는 문학작품이 태어난 사회와 환경, 문화적인 분위기를 번역해 낸 언어가 가진 사회적, 문화적 특징과 접목시키려는 데에서 발생한다. 그러므로 번역은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을 그대로 옮기는 것이 아니라, 작품 전체를 구성하는 정신세계를 새로운 문화의 생산물로 구성해내는 새로운 시도이자 도전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solve some of the difficulties in translation from Hungarian into Korean. Translation is defined in the first section, and the Hungarian language is compared with Korean in the second section. The comparison consists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wo languages and cultures. In the last section, I focus on the problems of equivalence and the method to gain the equivalence in translation. I hope this article show the problems and one method for problem solving in Translation from Hungarian into Korean. Hungarian and Korean do not have a verb ‘have’, while ‘having’ is expressed using the verbs ‘van’ and ‘있다’. Two languages have no expletives. However, Korean verb stems are what cause the difficulties in translation from Hungarian. Korean honorifics and speech levels form 14 basic verb stems. Besides, Korean has many special honorific words, too. Translation must be done carefully with the expression of honorific and formality. The Hungarian language's word order is not fixed. the word order changes and the important words stay in front of the verb. The important words in the four Hungarian sentences are not expressed in Korean text. Translation is an interactive act and translators are mediators of meaning consequently they are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cultural value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Hungarian and Korean translators to improve their language and culture knowledge. Translation connect not only one literal work with other, but also one culture with other.

      • KCI등재

        지식 교류의 차원에서 본 근대 한국의 번역 문제 연구 ―번역 개념과 번역 정책을 중심으로―

        김경남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9 일본학연구 Vol.57 No.-

        This article aims at objectively describing the realities of translation problems and translation policies in modern Korea. Translation means translating articles from another language into another language and plays a key role in knowledge circulation and exchange. The use of this term is based on the JOSEONWANGJOSILROK(朝鮮王朝實錄), and it appears from before the 15th century, and it appears that the terms 飜譯, 翻譯, 繙繹 seem to have been mixed in Chinese characters. In addition to that, the modern translation scope included translating foreign language into Korean and translating into Korean-style Chinese text(漢文). Translation has an important function in communication and knowledge exchange. In this regard, various translation problems arise in the case of the modern age, where knowledge circulation has become active, and policy debates are emerging to solve them. However, the solution to this problem is different in modern China, Japan, and Korea. Nevertheless, it is noteworthy that this is a major phenomenon in relation to the policy and translation issues that emerged at this time, such as the compilation of Park Mun-guk’s(博文局) compilation the MANGUKJEONGPHYO(萬國政表).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translations in the textbooks of translated editions as well as the introduction of modern-style school system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national countermeasures. 이 글은 근대 한국의 번역 문제와 번역 정책의 실상을 객관적으로 기술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번역은 다른 언어의 글을 또 다른 언어로 옮기는 것을 말하며, 지식 유통과 교류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 용어가 사용된 것은 조선왕조실록을 근거로 할 때, 15세기 이전부터로 보이며, 한자 표기로 볼 때 ‘飜譯, 翻譯, 繙繹’ 등의 용어가 혼재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뿐만 아니라 근대의 번역 범위에는 외국문을 국문(國文)으로 번역하는 것과 한문(漢文)으로 번역하는 것이 모두 포함되었다. 번역은 의사소통과 지식 유통 차원에서 중요한 기능을 갖는다. 이 점에서 지식 유통이 활발해진 근대의 경우 각종 번역 문제가 등장하며,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정책적인 논의가 등장한다. 다만 이에 대한 해결책은 근대 중국, 일본, 한국의 대응 방식이 다르다. 중국의 1868년 강남 제조총국 번역관 설립, 일본에서 번역과 관련된 문부성의 역할 등과 같이 근대 지식 유통 과정에서 정부의 역할이 강했던 데 비해, 한국의 경우 그러한 노력이 충분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1886년 박문국 편찬 『만국정표』, 1893년 오횡묵이 편찬한 『여재촬요』의 범례에 나타난 인지명 번역 원칙 등은 이 시기 등장한 대표적인 번역 문제이자 정책과 관련하여 주목할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근대식 학제 도입과 함께 학부 편찬 교과서 가운데 다수의 번역서가 존재하는 점도 국가 차원의 대응 방식 가운데 하나로 간주할 수 있다.

      • KCI등재

        中韓(韓中) 번역을 통해 본 구글번역(GNMT)의 문제

        남철진(Cheol Jin Nam)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18 중국과 중국학 Vol.- No.34

        최근 한국 사회에서 큰 화두가 되고 있는 것이 4차산업혁명이다. 4차산업혁명은 직업세계의 축소재편과 인간 사회의 큰 변화를 수반할 것이므로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그런데 대학 내에서 과연 4차산업혁명이 불러올 변화에 대하여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비를 하고 있는지 자문해 본다면 반성의 여지가 없지 않을 것이다. 4차산업혁명으로 인한 변화 가운데 대학의 어문계열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 기계번역의 획기적인 발달이다. 최근 등장한 인공지능(AI) 기반의 신경망번역(Neural Machine Translation)은 지속적으로 그 기술이 진보하고 있으며 이미 초보적인 외국어 번역은 기계번역을 사용해도 큰 문제가 없다. 낮은 수준의 외국어 구사자들은 벌써 도태가 시작 된 것이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본고에서는 중한번역을 구글번역(GNMT)에 적용시켜, 기계번역의 문제나 한계가 무엇인지 대략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주어진 원문만을 대상으로 하고, 원문에 대한 심층적 이해가 바탕이 되지 않으며, 번역가의 다양한 창의적 중재가 개입되기 어려운 기계번역은 앞으로도 고난도, 고수준의 번역을 해내기는 힘들 것이라는 예상을 할 수 있었다. 바꾸어 말하면 사람이 하기 쉬운 번역은 기계도 쉽게 할 수 있고, 사람이 하기 힘든 번역에 한에서 기계번역도 약점을 보인다는 것이다. 그런데 기계번역은 처리 속도에 있어서 인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다는 강점이 있으며 관련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보아 맥락이 낮거나 단순 정보 전달 목적의 번역은 상당부분 기계에 의해 대체될 가능성이 큰데, 이런 점들을 고려하면 대학의 어문계열에서는 교육과 연구에 있어서 많은 변화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machine translation’s problems through the Chinese-Korean translation, Korean-Chinese translation and Google’s latest translation technology.(GNMT: Google’s Neural Machine Translation System) Machine translation’s problems can be largely categorized as the difficulty of ST’s correction, the difficulty of using translation strategies, the difficulty of TT’s revision and the difficulty of context’s treatment. There is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arcane of human language and machine translation’s problems. Surprisingly, human can understand their languages and communicate each other by using their brain in spite of language’s incompleteness. If AI(Artificial intelligence) can compare to human brain, machine can be equal to human in translation. So in this paper, I conclude that ultimately machine can’t reach human’s level in translation. But before long machine translation can produce high quality translation in low context and informative text. This also can make a big impact on language-related fields. So translation and language professionals should prepare for the AI age urgently.

      • KCI등재

        한국어 CCM 복음 성가 중국어 번역의 문제점과 제안

        우심화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9 신학사상 Vol.0 No.185

        “Problems of Translating Korean CCM into Chinese and Suggestions” analyzes the problems of translating Korean CCM into Chinese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problems. The CCM should be translated into the most beautiful and dignified lyrics as a hymn praising God and proving his grace. However, if we look at the Chinese translations of Korean CCM, we can see they are misinterpreted, arbitrarily translated without adhering to the meaning of the original Korean lyrics. We also can find the translated Chinese lyrics use words or sentences that are not used in Chinese churches. This is because the Chinese language is simpler than the Korean language and it is difficult to match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original Korean lyrics. This is also because the translators follow the order and arrangement of Korean lyrics, and because the translators do not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Korean lyrics and there is no serious concern about the transl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have a translators’ association, where experts, with the help from musicians and in communication with Korean composers, cooperate in translating Korean CCM music. “한국어 CCM 복음 성가 중국어 번역의 문제점과 제안”에서는 한국어 CCM 복음 성가가 중국어로 번역되면서 나타낸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문제점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CCM 복음 성가는 하나님을 찬양하고 하나님의 은혜를 증거하는 찬송으로서 가장 아름답고 품위 있는 가사로 번역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중국어로 번역된 CCM 가사를 살펴보면 오역되고, 앞뒤가 일관되지 못하게 번역되고, 중국어라고 하기엔 문제가 있고, 원 가사와는 무관하게 임의로 번역되고, 품위 없이 저속하게 번역되며, 중국교회에서 표현하지 않는 어휘 혹은 문장을 사용하거나, 무슨 의미인지 애매모호하게 번역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중국어가 한국어보다 간결하여 원 가사의 글자 수를 맞추기가 쉽지 않고, 한국어 가사의 어순과 배열에 따라 중국어 가사를 배열하며, 한국어 가사에 대한 분명한 이해와 번역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부족하여 발생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한중(교회용) 언어를 잘 아는 전문가 번역 모임과 상호협력, 음악가의 도움, 원작사자와의 소통 등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지식 유통의 관점에서 본 근대 동아시아의 번역 학술어 생성 · 변화 및 그 영향

        허재영 ( Heo Jaeyoung ) 한국독서학회 2018 독서연구 Vol.0 No.49

        이 연구는 근대 한ㆍ중ㆍ일 지식 교류 과정에서 대두된 번역 문제와 번역 정책, 번역 학술어의 생성ㆍ변화 및 그 영향을 고찰하는 데 목표를 두고 출발하였다. 근대 동아시아에서는 서구의 새로운 지식을 수용하기 위해 활발한 번역 활동을 전개했는데, 이는 근대화 과정에서 자국의 혁신을 위해 새로운 지식과 정보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중국과 일본은 동문(同文) 한자어를 중심으로 다양한 번역 학술어를 창출했으며, 이는 같은 한자를 사용하고 있던 한국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미쳤다. 이 논문에서는 근대 동아시아 번역 문제와 번역 정책, 번역 학술어 생성 과정 및 영향 관계를 고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번역 문제는 번역의 필요성과 번역 능력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일본과 중국의 사례를 검토하고자 했으며, 번역 정책에서는 한ㆍ중ㆍ일 모두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국가 주도의 번역 정책이 등장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일본과 중국과는 달리 국가 차원의 번역 정책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음도 사실이다. 번역 학술어 생성 요인은 원의와 역어의 의미상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살피고자 했으며, 그 과정에서 등장한 ‘기기명명설’, ‘논역서지법’, ‘논역서’ 등의 논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번역 학술어는 한국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되는데, 이 논문에서는 1885년 중국에서 발행된 『성신지장』과 1908년 한국에서 번역된 『□리학 초권』을 비교하여, 번역 학술어의 차이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first, aims to explore the translation problems and policies in East Asian countries(Korea, China and Japan) during the early modern time period. I studied the need for translation and translation skill during the time. East Asian countries to pay it because the Western knowledge and information required attention to its own innovation. In this time, Japan and China are involved in the translation problem. It is the difference in degree, but Korea is no exception. However, Korea was in the audience’s position as the latest opening. The foundation of technical term professional translation was created. I noticed the process of generation of translated words and the effects. I compared the SEONGSHINJIJANG(省身指掌, the Elementary Physiology -A textbook for Schools, written by Henry D. Porter, M.D.(博恒理) in 1885. This book published in China in 1904) with the SAENGRIHAKCHOGWUEON(生理學初卷, The human body and its health translated by Annie Baird in 1908). These books are all there is an index. The technical terms translated in Korea were the technical terms China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is the adoption process and knowledge age, a reflection of the situation.

      • KCI등재

        Как русские стихотворения воспринимаются в Корее

        Ким Гын Сик(김근식)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3 슬라브학보 Vol.18 No.2

        시란 언어의 음악성, 정교성, 창의성, 간결성을 최대한으로 표현하고 있는 점에서 언어예술의 보석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보석을 생산해내는 사람들은 진정한 의미에서 언어예술의 마법사로 불리는 것이다. 그러나 시는 여느 보석과는 달리 한 개인의 재산이 아니라 시인의 언어를 소유한 민족 전체의 재산이 된다는 점에서 그 어느 보석보다 귀중하다. 그러한 시는 타민족의 언어로 적절히 번역된다면 타민족에게도 재산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계적 시인으로 알려진 셰익스피어, 괴테, 뿌수낀의 작품이 이미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많은 민족들에게 문학적 영감을 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러한 사실이 입증되고 있다. 한국인들은 그 어떤 외국문학보다 러시아 문학을 선호하고 있다. 한국인이 러시아 문학을 최초로 접한 것은 공식적으로 《소년》지가 창간되던 1908년이다. 1908년은 한국문학이 고대문학에서 유럽식 문학으로 형식을 바꾸어 신문학이 시작되던 해였다. 그러한 변신은 최남선의 《소년》에서 최초로 시도되었으며, 창간호부터 서구의 모델들과 사조들이 소개되었다. 내용중에는 러시아의 뾰뜨르 대제에 관한 글이 실려 있어서, 한국인들의 러시아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었다. 동 잡지에서는 뾰뜨르 대제에 이어 똘스또이와 끄릴로프 우화가 소개되었으며, 똘스또이는 그 시대의 가장 훌륭한 작가로 간주되었다. 러시아 시가 최초로 소개된 것은 《태서문예신보》를 통해서였다. 김안서는 서구의 시를 독자에게 소개하면서, 러시아 시인 민스끼의 《세레나데》르 번역했다. 하지만 지난 세기에 러시아 시의 번역은 산문에 비해 활발하지 못했다. 뿌쉬낀의 일부 시가 경구처럼 인용될 정도였으며, 시의 장르에서 벗어나 있는 뚜르게네프의 산문시가 일찍이 소개되어졌으며, 1970년대에서 1990년 대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인 러시아 시 번역작업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번역된 시인 중 일부는 사회주의적 분위기에 편승한 이데올로기적 관점에서 소개되기도 했다. 한국에서 러시아 시 번역의 가장 큰 업적은 뿌쉬낀의 거의 모든 시르 망라한 뿌쉬낀 전집의 출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러시아 시 번역에서 시의 인식론적이고 관념론적 기능만이 의미를 띤 채, 운율을 위시한 음악성이 재생되고 있지 않는 점에서 원시의 미학적 기능이 무너지고 시어는 산문어로 변환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물론 러시아어의 운율을 그대로 한국어로 옮긴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지만, 시의 가장 중요한 기능중의 하나인 음악성을 고려한다면 한국적 운율을 입혀서 번역이 되어야 할 것이다. 노래 가사가 불려지는 것은 멜로디를 통해서 가능하듯이 시가 대중에게 읽혀지고 기억되려면 시적 리듬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김소월의 시가 한국에서 가장 많이 암송되어지고 읽혀질 수 있는 것은 그가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7ㆍ5조의 음률을 즐겨 사용했기 때문이다. 그러한 음률은 여러 가지 형식으로 변주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그것을 실천에 옮기는 시인도 적지 않다. 러시아시가 한국에서 노래처럼 암송되고 자주 낭송되어 진정한 시의 기능을 찾기 위해서는 한국의 음절시가 가질 수 있는 운율, 두운, 각운, 대조, 반복 등 시의 여러 기법을 최대한으로 살려 번역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 사동과 피동 표현에 대한 고급학습자 번역 양상과 인식 연구 -한국어 역번역문 자료를 중심으로-

        박은정 국제어문학회 2019 국제어문 Vol.0 No.8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rough back translations, the translation aspects and awareness of causative and passive expressions of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majoring in translation. Characteristics of causative and passive expressions that appear in the back-translationed sentences of learners and which can be seen as differences that cause no problems, even if they ar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texts, are as follows. First, even advanced learners had a lack of awareness with respect to causative and passive expressions; hence,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translations were made using active expressions. Second, more cases were translated using lexical causative and passive expressions, which are comparatively easier than syntactic causative and passive expressions. There were also many cases of passive expressions being translated as active expressions, or confusion about the selection of postpositional particles in the process of passive expressions being translated into active expressions. There appears to be only a weak awareness that postpositional particles must change according to changes in sentence structure. It is also apparent that in-depth education for advanced learners has been lacking at sit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ence, this was an opportunity to verify issues in Kores language education that must be addressed for learners majoring in translation. Learners majoring in translation must recongnize what like in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riginal texts and the various back-translated sentences of learners. Further, this study implies that learners must go through a thought process to find the paper form whereby the most appropriate sentences for the context can be delivered to accurately convey the intentions of the original writers and provide a more excellent transl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was able to observe the learners’ awareness, as it was conducted using methods of back translation, not free writing. It can b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tudies in that it is a study of causative and passive expressions seen to have in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omogeneous back translation material of advanced learners. 본 연구의 목적은 역번역문을 통해 번역 전공 고급한국어 학습자들의 사동과 피동 표현의 번역 양상과 인식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원문과 동일하지 않아도 문제없는 차이로 볼 수 있는 학습자들의 역번역 문장에 나타난 사동 피동 표현 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급학습자임에도 불구하고 사동과 피동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능동으로 번역을 한 사례가 많았다. 둘째, 통사적 사동 피동 표현보다 비교적 쉬운 어휘적 사동 피동 표현으로 번역한 경우가 많았다. 또한 사동 표현을 능동으로 바꾸어 번역하거나 피동을 능동으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조사의 선택에서 혼동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문장의 구조가 바뀜에 따라 조사도 바뀌어야 한다는 인식이 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그동안 고급학습자들을 위한 심도 있는 교육이 부족했음을 알 수 있고번역 전공 학습자들을 위해 한국어 교육에서 다루어져야 할 항목들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번역 전공 학습자들은 문제없는 차이로 볼 수 있는 학습자들의 다양한 역번역 문장이 원문과 어떠한 점에서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야 할 것이 다. 또한 학습자들이 좀 더 훌륭한 번역을 하기 위해 맥락에 가장 적절하면서 원문 저자의 의도를 제대로 전달할 수 있는 문장은 어떤 형태인지를 고민하는 과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자유 작문이 아닌 역번역이라는 방법이었 기에 학습자들의 인식까지 살펴보는 것이 가능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균질한 고급학습자들의 역번역문 자료를 대상으로 문제없는 차이로 볼 수있는 사동과 피동 표현에 대한 연구라는 점이 기존의 연구와 차별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동과 피동 표현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고급학습자들을 위한 좀 더 깊이 있는 한국어교육의 필요성, 특히 고급학습자들에게 필요한 문법 항목들 에 대한 교육의 초점을 어디에 맞추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 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中國 繪畫 관련 文獻 번역의 현황과 과제

        박은화 한국고전번역학회 2019 고전번역연구 Vol.10 No.-

        Along with the extant paintings, written texts on Chinese painting which began to appear during the 5th century B.C. are invaluable materials for the study of Chinese painting history. Early texts and literary records help researchers understand the cultural context in which the paintings were produced and various aspects of painting such as the history of painting, painting theory, technique, biography of painters, collecting, mounting and connoisseurship of paintings. This article introduces major early texts on painting produced from the Tang to the Qing dynasty and comments on their significance, which are frequently cited and referred to in academic writings. Although these texts are widely used in scholarly research and translated into various languages, Korean translated versions are still small in number. Some published Korean translations reveal lack of art historical knowledge essential to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original texts thus mislead the readers who are not able to access Chinese sources. Moreover, texts on painting often include specific information about history, literature, religion, geography, custom, and so forth which make the task of translating is infinitely difficult, almost impossible to be accomplished by one individual translator. In order to reduced the mistake in translation, interdisciplinary and collaborative translation method is strongly suggested, which begins with critical evaluation about the Chinese editions of the text. Collaborative translation among participants from different fields of study concerned with the textual content, could sharpened the accuracy of readings and vastly improve the quality of translation through mutual discussions. The outcome of the collaborative translation process would be the fully annotated translation with critical commentaries which could render better service to the related academic circles. 미술사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연구대상은 현존하는 작품이지만 관련된 문헌자료 역시 미술사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이다. 중국에서는 오랜 시간 동안 축적된 회화전통을 바탕으로 회화창작의 융성과 함께 회화이론도 발전하면서 문헌 기록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지금까지 중국회화 관련 문헌은 1,542 여명의 저자, 편자 등에 의해 저술, 편집된 23,750 여종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이 자료들은 우리나라의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회화 관련 문헌에도 자주 인용되어 한국회화사 연구에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이 글에서는 중국회화에 관한 문헌의 종류와 한글 번역의 현황을 소개하여 이 분야의 문헌에 대한 여러 학계의 관심을 제고하고 회화 관련 문헌을 한글로 번역하는 필요성과 번역의 문제점을 짚어봄으로 앞으로 계속되어야 할 미술사 관련 문헌의 바람직한 번역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미술사 연구의 특성상 문헌자료는 현존하는 작품과 직접, 간접적으로 연관될 때 그 중요성과 번역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며 작품은 물론 작품 제작의 다양한 배경을 이해하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그러나 모든 연구자들이 원전을 읽고 제대로 이해하는 것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며 이러한 문헌을 정확하게 번역하는 데에는 높은 수준의 한문 해독 능력뿐 아니라 각 시기의 정치, 사회, 경제, 사상, 문학, 역사 등 다양한 분야에 관한 지식이 요구된다. 또한 회화 관련 문헌에 포함된 儀禮, 典章制度, 工藝, 技術, 天文, 地理, 醫學, 農業, 服飾, 音樂, 建築, 動植物, 宗敎, 神話와 傳說 등에 관한 광범위한 내용은 번역이 제대로 이루어지면 각 분야의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지만 한 개인 연구자가 이들을 모두 번역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철저한 문헌고증을 토대로 완전한 주석을 곁들인 학술 번역으로 학계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의 연구자들이 校勘을 통해 원문을 철저하게 파악하고 관련 문헌을 두루 섭렵하여 典故와 出典을 밝히고 정확한 해설과 역자의 견해를 첨부한 역주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공동번역이 가장 바람직하다. 작품에 대한 면밀한 연구와 함께 문헌에 대한 완전한 이해 및 신중하고 정확한 번역을 바탕으로 하는 문헌자료에 대한 고찰은 향후 중국회화사 연구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회화 관련 문헌에 대한 학계의 관심과 더불어 다양한 독자를 위한 번역의 필요성과 학제간 공동번역을 통한 올바른 번역에 대한 관심이 더욱 요구된다고 하겠다.

      • KCI등재

        19세기 중반 중국어 대표자역본 번역에서 발생한 ‘용어논쟁’이 초기 한글성서번역에 미친 영향(1843~1911)

        안성호(Ahn Sung-H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9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0 No.-

        기독교 선교역사에서 가장 논란이 되었던 문제 중에 하나는 성서를 선교지의 언어로 번역할 때 ‘God'을 어떻게 번역하느냐에 있었다. 왜냐하면 용어 ‘God'은 기독교와 성서의 핵심이며, ‘God’을 어떻게 번역하느냐에 따라 현지인들의 기독교에 대한 이해가 판이하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논쟁은 ‘용어논쟁(Term Controversy)’이라고 불렸다. 1847년 중국어 대표자역본 번역위원회에서는 중국전통종교 지고신 ‘상제’(上帝)를 주장하는 런던선교회 번역자들과 중국의 다신론적 상황에는 기독교의 유일신이 존재할 수 없다는 전제 하에 ‘일반적 용어’(a generic term for God)인 ‘신’(神)을 주장한 미국선교회 번역자들 간에 중국개신교역사상 가장 격렬한 용어논쟁이 발생했다. 결국 양측은 타협점을 찾지 못했고, 런던선교회의 ‘대표자역본(上帝)’과 미국선교사들의 ‘브리지만-컬버트슨(神) 역본’ 등 두 가지 역본이 공존하는 분열의 결과를 낳게 됐다. 이 용어논쟁으로 말미암아 런던선교회 번역자인 메드허스트와 레그는 중국 전통종교문헌 안에 나타난 ‘상제’와 ‘신’의 용도를 조사하였고, 중국 전통종교 내에 기독교의 유일신론적 계시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제’와 기독교의 ‘야훼’ 간의 유일신적 공통점이 있음을 발견했다. 그 결과 중국 전통종교는 기독교선교의 ‘적’이 아니라 중국인들과 기독교 간에 디딤돌(stepping stone), 혹은 ‘접촉점’(point of contact)’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1877년 만주의 스코틀랜드 연합장로교 선교사였던 존 로스는 동료 맥킨타이어와 한국인 조사들과 함께 최초의 한글성서번역을 시작한다. 1879-81년 로스는 안식년차 영국에 머물면서 대표자역본의 ‘용어논쟁’시 장본인이었던 옥스퍼드대학 중국 학교수 레그와 교류를 통해 그의 진보적 타종교 신학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 결과 1882-3년 로스는 그의 한글번역본에서 ‘상제’를 저본으로 한국 전통종교의 지고신 ‘하나님/하느님(Heavenly Lord)’을 사용하였고, 이 ‘하나님/하느님’ 저변에는 ‘상제’로부터 전달된 유일신사상과 성취신학이 저변에 존재하게 됐다. 19세기 후반 미국선교사들이 주도했던 한국선교현장에서도 예외 없이 ‘용어논쟁’이 발생하였다. 로스 역본의 ‘하나님/하느님’을 시작으로, 이수정 역본의 ‘신,’ 언더우드의 ‘샹뎨’(上帝), ‘?신,’ ‘여호와’와 ‘상주’(上主), 그리고 영국성공회의 ‘텬쥬’(天主) 등등 여러 용어들이 논쟁 가운데 혼용되었지만, 로스 역본으로부터 비롯된 ‘하?님’ 외에 모든 용어는 사라지게 되었다. 그 결과 1906년과 1911년 공인역 구역 『셩경젼셔』에서는 ‘하?님’을 공식적으로 채택하면서 한글성서번역의 ‘용어논쟁’은 30여년 만에 종결됐다. 특별히 ‘하?님’이 채택된 이유는 20세기 초반 게일 등의 재한 미국선교사들이 ‘성취신학’에 기인하여 ‘하?님’이 한국토착종교와 기독교 간의 접촉점이라는 점과 ‘하?님’이 기독교의 ‘야훼’와 같은 유일신 ‘하나님’(The Great One)이라는 점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이는 로스 역본의 ‘하나님/하느님’의 저변에 존재하던 유일신사상이 재한 미국선교사들이 ‘성취신학’에 기인하여 발견한 ‘하나+님’(The Great One)으로서의 ‘하?님’과 함께 수면으로 부상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대표자역본의 ‘용어논쟁’을 통해 발견된 ‘상제’은 로스역본의 ‘하느님/하나님’을 통하여 1906년과 1911년 공인역 구역 『셩경젼셔』의 용어 ‘하?님’을 채택하는 밑거름 역할을 하였다. 또한 ‘상제’가 중국인들을 기독교의 진리로 인도하는 ‘디딤돌’ 역할을 한 것처럼, 한글성서의 ‘하?님’과 한문성경과 『신약젼셔 국한문』의 용어 ‘상제’도 다양한 계층의 한국인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지고신을 통해 기독교의 ‘야훼’를 발견할 수 있었던 거울 역할을 하였고, 이는 초기 한국교회의 태동과 성장에 중요한 공헌을 하였다. 그러므로 중국어 대표자역본의 ‘용어논쟁’으로부터 비롯된 ‘상제’는 로스역본의 ‘하나님/하느님’을 통해 초기 한국교회의 태동과 성장에 직, 간접적인 공헌을 하였다. In the history of Christian Protestant missions in China, no issue was more controversial than translating the term for God into Chinese in their polytheistic religious context. In the New Testament translation committee of the Delegates' Version in 1847, a sharpe debate, known as the ‘Term Controversy,’ broke out. Whereas two American missionaries argued for Shen (a generic term for god), three London Missionary Society (hereafter LMS) missionaries claimed Shang-Tee, the highest deity of the Chinese ancient religion. As a result, this controversy caused them to publish two separate editions - ‘Delegates Version (Shang Tee)’ and ‘Bridgman-Culbertson Version (Shen).’ On the other hand, it led the LMS missionaries to an intensive research on the Chinese religions, so that they perceived the Chinese religions not as an obstacle to the Christian mission but as the ‘preparation’ for the Chinese in leading them to the Christianity. From 1877 to 1887, John Ross (United Presbyterian Church of Scotland, hereafter UPCS) translated the first Korean Bible on the basis of the Delegates' Version, and there he rendered God as Hananim, the highest deity of the Korean shamanism, on the basis of Shang Tee, perceiving Hananim as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God of Christianity. During 1879 to 1881, as Ross contacted James Legge, professor of Chinese studies in Oxford University, in his furlough in Britain, Ross was influenced by Legg in regard to his translation of the Korean term for God as Hananim in his first Korean Bible Version (hereafter KBV). As the American missionaries began to set their feet in Korea from 1884 onwards, they took a lead of the Korea mission including the translation of Scripture. Forming the translation committees, they translated many versions with various terms. This resulted in the ‘Term Controversy’ in Korea too. However, as Hananim had been consistently preferred, other terms gradually disappeared. As a result, solving the ‘Term Controversy,’ the American missionaries eventually made an agreement to affirm Hananim in the 1906 and 1911 Authorized KBV (hereafter AKBV) by the fulfillment theology, which led them to perceive Hananim as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monotheistic God of Christianity at the turn to the twentieth century. This paper argues that, first, the term Hananim and its monotheistic meaning in the 1906 and 1911 AKBV stem from Shang Tee in the Delegates' Version by the LMS missionaries. Second, the monotheistic meaning of Shang Tee had been transferred to Hananim by Ross in 1882 when he rendered Hananim on the basis of Shang Tee in his first KBV, and it had been embedded in Hananim since then. Third, the monotheistic meaning of Hananim was outwardly re-emerged to the American missionaries when they affirmed Hananim as the monotheistic term for God in the 1906 and 1911 AKBV by the propulsive influence of the fulfillment theology at the turn to the twentieth century. Lastly,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term Shang Tee and its monotheistic meaning in the Delegates' Version contributed, whether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proliferation of the early Korean Church, because the term Hananim stem from Shang Tee and Shang Tee itself as the term for God in the Chinese Bible and Korean-Chinese Bible for the high-educated Korean peopl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nabling Koreans to find a mirror to their own true god in the Christian religion as the pont of contact with the God of Christianity.

      • KCI등재후보

        Translation Strategi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ranslation & English Pedagogy

        남원준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09 통번역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한영번역교과과정에서 번역전략의 학습과 적용이 갖는 교육적 효과에 관해 천착한다. 특히, 3단계로 나누어 진행된 사례연구를 통해 번역전략기반의 교육적 접근이 번역교육은 물론, 영어교육에도 효과가 있다는 점을 보이며 이를 교육현장에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본 접근을 통해 학습한 학생들은 번역전략을 선택ㆍ적용하는 과정에서 번역원문을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 검토, 사고함으로써 이전보다 향상된 한영번역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배양된 능력은 번역교육을 통한 영어교육 또는 영어교육을 통한 번역교육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며, 두 학문분과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 있어 연계점으로 간주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연구에서는 3단계의 과제수행을 통해 우선 번역원문의 어떤 부분이 번역문제(translation problem)인지를 규명하고, 학생들이 이를 어떻게 번역하는지를 분석한 후, 어떠한 번역전략(translation strategies)이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어떻게 학생들이 이러한 전략을 실제 번역에 적용함으로써 향상된 번역을 수행하는지를 알아본다. 이를 통하여 번역전략기반의 접근이 번역교육과 영어교육에 어떠한 함의를 갖는지를 살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