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외 해체 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소규모 방사선이용시설 해체에 관한 연구

        권다영,김용민 한국방사선학회 2015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9 No.3

        방사선은 의료 분야 뿐 아니라 공업 분야, 농업 및 식품생명 분야 등에 이용되고, 소규모 방사선이용시설의 운영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소규모 방사선이용시설의 해체에 대한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있고, 시설 해체 시 발생될 문제점에 대해 예측해 볼 필요성이 있다. 원자력발전소 등의 대형방사선이용시설의 해체에 대한 대비는 진행되고 있으 나,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적은 소규모 방사선이용시설의 해체에 대해서는 대비가 부족한 상황이다. 사이클로트론의 방 사화나 브라질 고이아니아의 방사성물질 누출사고를 생각해보면 소규모 방사선이용시설의 사고 시 그 영향은 대형 방 사선이용시설에 비해 작지 않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규모 방사선이용시설 해체 사례 가 많은 국외의 사례 중 국내에서 많이 가동되고 있는 사이클로트론, 방사선치료시설 등 시설별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 다. 또한, 소규모 방사선이용시설 해체 시 각 시설별 또는 공통적인 문제점으로는 시설과 선원의 재사용, 공간 부족, 이해 당사자의 개입, 대중의 방사선 노출이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소규모 방사선이용시설 해체 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RI & RG are used in various field such as medical field, industrial field, agricultural and food&life field. The number of small nuclear facilities is on the increase. We need to take an interest in decommissioning of small nuclear facility and predict the occurring problem from facility decommissioning. Because of the relatively low radiation risk, the preparation of the small nuclear facility dismantling is often neglected. As the accident in Goiania, Brazil showed, the impact of the decommissioning of small nuclear facilities is not less than the large nuclear facilities although it may seem dangerless. Therefore, we analyzed the each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decommissioning of small nuclear facilities through foreign case study on this research. Also, we proposed several considerations on decommissioning such as reuse of facility and source, lack of space, stakeholder involvement and failures of protection. Through these study, we tried to make guideline of the small nuclear facilities decommissioning.

      • KCI등재

        2005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우리나라의 방사선 이용의 경제규모에 대한 추정 연구

        김윤경(Yoon Kyung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0 기술혁신학회지 Vol.13 No.4

        본 논문은 공표데이터들(산업연관표, 관련미시통계)을 이용하여 2005년 우리나라의 방사선이용의 경제규모를 추정하였다. 방사선이용의 경제규모는 방사선 이용이 국민들의 후생과 복지 증진에 기여하는 부분을 정량적으로 도출한 것이므로 경제체제 내의 방대한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는 방사선이용의 전체 모습을 보여준다. 추정결과에 따르면 2005년의 방사선이용의 경제규모는 6조 2,971억원이며, 이는 GDP(851조 9,822억원)의 0.74%에 해당한다. 이는 미국 또는 일본의 방사선이용의 규모와 비교하면 낮은 수준이다. 분야별 방사선이용의 경제규모는 공업분야에서 5조 7,753억원(GDP 대비 0.68%), 농업분야에서 1,705억원(GDP 대비 0.020%), 의학ㆍ의료분야에서 3,513억원(GDP 대비 0.04%)이다. 공업분야에서 방사선이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인구구조의 변화를 고려할 때에 의학ㆍ의료분야에서의 이용이 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GDP에서 방사선이용의 경제규모가 차지하는 비중이 0.74%에 이른다는 추정 결과는 방사선이용이 국민생활에 기여하고 있는 정도를 새롭게 인식시킨다. 방사선이 이용되는 분야를 규명하고, 방사선이 국민의 후생을 향상시키는 것에 기여한다는 것을 명확하게 하는 것은 국민들이 방사선에 대해서 갖고 있는 부정적 이미지를 경감시키고 수용성을 높이는 것에 기여한다. In this paper, author estimated economic scale of radiation usage in Korea using Input-Output table 2005 and other micro data published. This estimation focused all kind of radiation usage in whole economic activity. Estimation of economic scale is quantitative analysis for how much radiation usage increase productivity and welfare. Economic scale estimation of radiation usage in Korea 2005 is 6,297 Billion Won and it occupies 0.74% of GDP. It is smaller level compared with that of US and Japan. It is 1.5% of GDP in US (1997) and 1.2% of GDP in Japan (2005). Radiation usage in industrial sector is 5,775 Billion Won and it is 0.68% of GDP. Radiation usage in agriculture sector is 171 Billion Won and it is 0.02% of GDP. Radiation usage in medical sector is 351 Billion Won and it is 0.04% of GDP. This implied that radiation usage in industrial sector is larger than other sector. Use of medical radiology may be enlarge in the future due to population structure. The result that radiation usage occupied 0.74% of GDP arouse contribution of radiation usage in daily life. It helps people to have more understanding and public acceptance for radiation.

      • KCI등재후보

        일부 대학생의 방사선이용에 대한 지식, 의식도 및 태도

        한은옥,박병섭,Han, Eun-Ok,Park, Byung-Sub 대한방사선방어학회 2005 방사선방어학회지 Vol.30 No.4

        방사선 안전문화가 생활화 될 수 있도록 시대적 환경에 부합되는 방사선안전에 대한 전 국민적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일반인 중 사회여론 형성에 적극적이고 지식수준이 높은 대학생을 중심으로 방사선이용에 대한 지식, 의식도 및 태도를 파악하여 방사선이용에 대한 올바른 정보제공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일부 대학생 528명을 대상으로 2005년 10월 10일부터 10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방사선이용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 415명(80.7%), 교육을 받지 못한 이유로는 '교육 기회가 없어서' 265명(77.9%)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방사선 이용에 대한 기초지식은 총 점 15점을 만점으로 전체 $5.96{\pm}2.90$점으로 낮게 나타났고 방사선이용에 대한 의식도는 평균 5점을 만점으로 전체 $3.65{\pm}0.50$점으로 나타났으며 방사선이용에 대한 태도는 평균 5점을 만점으로 전체 $3.23{\pm}0.46$점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ttempts to extract certain directions for the education program to provide right information by investigating knowledges, consciousnesses, and attitudes of some university students. They have a high level of knowledges among average persons on the use of radiations in order to recognize the radiation safety in daily lives including the change in national recognitions for radiations safety that is consistent with the situation in these days. The survey was performed for 528 university students from Oct. 10 to Oct. 15, 2005. The results of this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students who didn't get educations for the use of radiations were recorded as 415 students (80.7%) in which the reason that they didn't get such educations was there were no chances to receive the education' as 265 students (77.9%). The basic knowledge on the use of radiations was presented as a low level of $5.96{\pm}2.90$ points based on the sum of 15 points, and the consciousness on the use of radiations was investigated as $3.65{\pm}0.50$ points based on the sum of 5 points. In addition, the attitude on the use of radiations was investigated as $3.23{\pm}0.46$ points based on the sum of 5 points.

      • KCI등재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에 관한 연구

        정봉재(Bong-Jae Jeong) 한국방사선학회 2020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4 No.7

        본 연구는 경남지역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에 따른 이용성향과 중독에 관한 내용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자료로 사용한 도구는 설문지로 2019년 04월21일부터 05월31일까지 경남에 소재하는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총 330부를 배부하여 연구에 적합한 300부를 SPSS/PC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스마트폰 이용성향 요인으로는 의사소통, 정보, 여가, 편의성으로 하였으며, 중독요인으로는 일상생활장애, 가상세계지향, 내성, 금단으로 총 37문항으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대, 학력, 근무기관, 근무부서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스마트폰 관련 특성으로는 월평균요금, 사용시간, SNS사용시간으로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하였다.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성향은 3.10±.55점으로 평균정도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은 2.34±.62점으로 평균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성향 및 중독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성향이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10.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성향에 따른 중독요인을 분석하여,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바람직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use Tendency and addiction according to smartphone use of targeting radiological Technologist working in Gyeongnam area. The tool used as the data for the study is a survey. From April 21 to May 31, 2019, a total of 3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radiological Technologist working at medical institutions in Gyeongnam, and 300 copies suitable for the study were SPSS/PC Ver 18.0 program f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factors of the study subject s tendency to use smartphone were communication, information, leisure, and convenience. As for the addiction factors, a total of 37 questions were analyzed, including daily living disorder, virtual world orientation, tolerance, and withdrawal. Smartphone-related characteristics were set as monthly average fee, usage time, and SNS usage time, and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 tendency to use smartphones was 3.10±.55 points, which was average, and smartphone addiction was 2.34±.62 points, which was lower than the averag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 Tendency to use smartphone and addiction. The effect of radiological Technologist tendency to use smartphone on addiction it was found to account for 10.8%.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aid that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addic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tendency use smartphone of radiological Technologist and to prepare a desirable plan for smartphone use.

      • 열형광선량계(TLD)와 MOSFET을 이용한 유방암 방사선치료계획에 대한 피부선량 평가

        김선명,김영범,이상록,백상윤,정세영,Kim, seon myeong,Kim, young bum,Bak, sang yun,Lee, sang rok,Jeong, se young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5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7 No.2

        Purpose : The measurement of skin dose is very important that treatment of breast cancer. On account of the cold or hot dose as compared with prescription dose, it is necessary to analyse the skin dose occurring during the various plan of the breast cancer treatment. At our hospital, we want to apply various analyses using a diversity of dosimeters to the breast cancer treatment. Subjectss and Methods : In the study, the anthropomorphic phantom is used to find out the dose difference of the skin(draining site), scar and others occurring from the tangential treatment plan of breast cancer. We took computed tomography scan of the anthropomorphic phantom and made plans for the treatment planing using open and wedge, Field-in-Field, Dose fluence. Using these, we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ose date points by using the Eclipse. For the dose comparison, we place the anthropomorphic phantom in the treatment room and compared the measurement results by using the TLD and MOSFET on the dose data points. Results : On the central point of treatment planing basis, the upward and downward skin dose measured by the MOSFET was the highest when the fluence was used. The skin dose of inner and outer was distinguished from the figure(5.7% ~ 10.3%) when the measurements were fulfilled by using TLD and MOSFET. The other side of breast dose was the lowest in the open beam, on the other hand, is highest in the Dose fluence plan. In the different kinds of treatment, the dose deviation of inner and outer was the highest, and so this was the same with the TLD and MOSFET measurement case. The outer deviation was highest in the TLD, and the Inner'was highest in the MOSFET. Conclusion : Skin dose in relation to the treatment plan was the highest in the planing using the fluence technique in general and it was supposed that the high dose had been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MLC. There's some differences among the all the treatment planning, but the sites such as IM node occurring the lack of dose, scar, drain site are needed pay close attention. Using the treatment planning of dose fluence is good to compensate the lack of dose, but It increases the dose of the selective range rather than the overall dose. Therefore, choosing the radiotherapy technique is desirable in the lights of the age and performance of the patient. 목 적 : 유방암 치료에 있어 피부선량의 측정은 매우 중요하다. 치료계획시에는 처방선량에 비해 초과선량이나 부족선량이 생길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유방암의 여러 가지 치료계획간 피부선량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대해 본원에서는 다양한 선량계를 이용하여 선량을 분석하여 유방암치료에 적용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유방암은 기본적으로 접선방향 치료계획 시 일어나는 skin dose(Drain site, Scar)의 선량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체모형팬텀을 이용하였다. 인체모형팬텀을 전산화단층촬영하고 전산화치료계획에서 open과 쐐기필터(Wedge filter)를 이용한 치료계획, Field-in-Field를 이용한 치료계획, 그리고 Dose fluence를 이용한 Irregular compensation 치료계획을 세우고 컴퓨터치료계획 프로그램(Eclipse)으로 선량관심점과 측정점의 선량을 비교하였다. 치료실에서 인체모형팬텀을 위치시키고 선량비교를 위하여 각 치료계획 측정점에 열형광선량계(themoluminesence dosimeter, TLD)와 MOSFET(Metal oxide-silicon field effect transistor)을 이용하여 선량을 측정하여 비교평가 하였다. 결 과 : 피부선량은 치료계획 중심점을 기준으로 위와 아래는 Dose fluence를 이용한 Irregular compensation 치료계획 사용 시 MOSFET을 이용한 선량측정에서 가장 많은 선량이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측과 외측의 측정선량은 open과 쐐기필터 치료계획에서 TLD와 MOSFET을 이용하여 측정시 5.7%에서 10.3%까지 낮게 나타났다. 반대쪽 유방의 선량은 open 치료계획이 가장 적었고, Dose fluence를 이용한 Irregular compensation 치료계획을 사용 시 가장 많은 선량이 측정되었다. 치료종별 치료계획상에서는 내측과 외측의 선량편차가 가장 컸으며, TLD와 MOSFET 측정시에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외측은 TLD, 내측은 MOSFET이 가장 편차가 컸다. 결 론 : 치료계획에 따른 피부선량은 전반적으로 Dose fluence를 이용한 Irregular compensation의 치료계획을 사용 시 가장 많이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많은 MLC의 움직임에 의한 산란선 영향으로 생각된다. 모든 치료계획에서 피부의 위치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부족선량이 생기는 부분에서는 내측의 내유임파절(Intramammary lymph nodes)선량이나 Scar, Drain site등에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부족선량을 높이기위해서는 Dose fluence를 이용한 Irregular compensation의 치료계획을 사용하는 것이 좋겠으나, 전체적인 선량을 높이기보다는 선택적인 범위내에서 선량을 높이게 되므로 환자의 연령이나 움짐임 등을 고려하여 치료기술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업종별 방사선작업종사자 피폭 기록 다각형 모델 분석 연구

        박제완,한지영,김용민 한국방사선학회 2023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7 No.2

        Since the radiological risk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working environment, protection measures and policies must be developed through analysis of the field area environment.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area that uses radiation should be conduct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industries, not just the numerical value of the field area. In this study, evaluation factors were derived from exposure records by the department to compare radiation occupational exposure records by sector. And then, we developed a polygonal model for comparative analysis and applied them to eight work fields through ten evaluation factors. Based on the occupational exposure record in 2020, a polygonal model was applied to compare and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diation work area. Through this, the usefulness of the polygonal model was confirmed, and protection policy measures for the industry were proposed. 작업환경에 따라 방사선학적 위험성이 상이하므로 해당 업종 환경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방호 수단과 정책을 개발해야 한다. 방사선을 이용하는 업종 분야에서의 특성을 평가하는 것은 해당 업종의 수치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다른 업종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업종별 방사선 피폭 기록 비교를 위해 부처별 종사자 피폭 기록으로부터 평가 인자를 도출하고 이를 상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다각형 모델을 개발하여 8개 방사선 이용 업종에 대해 적용하였다. 2020년 방사선 피폭 기록을 바탕으로 다각형 모델을 적용하여 방사선 업종의 피폭 기록을 기반으로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다각형 모델의 유용성을 확인하였으며 업종에 대한 방호 정책 방안을 제안하였다.

      • 용적변조회전 방사선치료에서 Portal Dosimetry를 이용한 선량평가의 재현성 분석

        김세현,배선명,서동린,강태영,백금문,Kim, Se Hyeon,Bae, Sun Myung,Seo, Dong Rin,Kang, Tae Young,Baek, Geum Mun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5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7 No.2

        목 적 : 복잡하고 정교하게 계획된 용적변조회전 방사선치료(Volumetric Arc Therapy, VMAT)의 Portal Dosimetry를 이용한 치료 전 선량평가가 다양한 인자에 따라 재현성을 유지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실험에는 TrueBeam STx$^{TM}$(Ver.1.5, Varian, USA), Portal dosimetry application(Ver.10, Varian)과 Portal Vision aS1000 Imager(Varian, USA)을 사용하였다. 두경부암 환자 2명, 전립샘암 환자 3명, 폐암 환자 1명, 자궁경부암 환자 1명, 총 7명의 환자에 대하여 Portal Dosimetry용 VMAT 전산화치료계획(Eclipse, Ver.10.0, Varian, USA)을 수립하였다. 오전 치료 전과 후 오후 치료 종료 후 각 4시간 간격을 두고 3회씩 5일에 걸쳐 선량평가를 시행하였다. Gamma pass rate(GPR 3%, 3mm 95%신뢰구간)와 Beam 출력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선량평가 시행 전 Beam 출력 을 물등가모형과 이온전리함(IBA dosimetry, Germany)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EPID) 상태에 따른 GPR 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EPID의 영상 교정 (Dark field correction, Flood field correction) 전과 후로 나누어 선량평가를 시행하였다. 또한 다엽콜리메이터(Multi Leaf Collimator) 상태에 따른 GPR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다엽콜리메이터 Initialize 전과 후로 나누어 선량평가를 시행하였다. 결 과 : Portal Dosimetry를 시행하여 얻은 모든 환자들의 각 시간대 별 GPR의 평균값은 97.11%, 96.09%, 95.37% 였고 최대 차이를 보인 환자의 경우 각 시간대 별 GPR의 평균값은 95.73%, 94.20% 93.23% 였다. 선량평가 시점의 Beam 출력을 측정한 결과 각 시간대별 평균값은 100.45%, 100.46%, 100.59% 였다. EPID의 영상 교정(Dark field correction, Flood field correction)을 시행하기 전과 후의 대상 환자들의 GPR의 평균값은 95.94 %, 96.01% 였다. 또한 다엽콜리메이터 의 Initialize 를 시행하기 전과 후의 대상 환자들의 GPR 의 평균값은 95.83%, 96.40%였다. 결 론 : 치료기 사용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대상 환자들의 GPR 평균값이 0.8%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Beam 출력은 각 측정시점에 0.1% 오차범위 안에서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EPID의 영상 교정 전, 후 의 선량평가 결과 GPR은 평균 0.1% 차이를 나타내었다. 다엽콜리메이터의 Initialize 전, 후의 선량평과 결과 Initialize 시행 후 GPR이 평균 0.6% 상승하였고 다엽콜리메이터 상태에 따라 GPR이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잡하고 정교하게 계획된 VMAT의 치료 전 선량평가 도구로서 재현성을 유지하며 Portal Dosimetry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장비의 점검뿐만 아니라, 선량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인자들에 대한 관리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The pre-treatment QA using Portal dosimetry for Volumetric Arc Therapy To analyze whether maintaining the reproducibility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 Test was used for TrueBeam STx$^{TM}$ (Ver.1.5, Varian, USA). Varian Eclipse Treatment planning system(TPS) was used for planning with total of seven patients include head and neck cancer, lung cancer, prostate cancer, and cervical cancer was established for a Portal dosimetry QA plan. In order to measure these plans, Portal Dosimetry application (Ver.10) (Varian) and Portal Vision aS1000 Imager was used. Each Points of QA was determined by dividing, before and after morning treatment, and the after afternoon treatment ended (after 4 hours). Calibration of EPID(Dark field correction, Flood field correction, Dose normalization) was implemented before Every QA measure points. MLC initialize was implemented after each QA points and QA was retried. Also before QA measurements, Beam Ouput at the each of QA points was measured using the Water Phantom and Ionization chamber(IBA dosimetry, Germany). Results : The mean values of the Gamma pass rate(GPR, 3%, 3mm) for every patients between morning, afternoon and evening was 97.3%, 96.1%, 95.4% and the patient's showing maximum difference was 95.7%, 94.2% 93.7%. The mean value of GPR before and after EPID calibration were 95.94%, 96.01%. The mean value of Beam Output were 100.45%, 100.46%, 100.59% at each QA points. The mean value of GPR before and after MLC initialization were 95.83%, 96.40%. Conclusion : Maintain the reproducibility of the Portal Dosimetry as a VMAT QA tool required management of the various factors that can affect the dosim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