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만의 방』과 『여인무사』를 통해 본 「뮬란」의 여성 주체 번역 실천 : 주디스 버틀러의 문화 번역에 나타난 정치와 윤리의 가능성

        조현준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여성문학연구 Vol.39 No.-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competing universalities' and 'constitutive contradiction' in Judith Butler's 'cultural translation'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overlapping between politics and ethics of the cultural translation in the female subject of Disney's animated feature Mulan(1998) through A Room of One's Own(1929) by Virginia Woolf and The Woman Warrior(1976) by Maxine Hong Kingston. For this it investigates the task of Butler's cultural translation in the various rhe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of the three texts in which the meaning and force of universal claims of human rights of women as modern subjects are made, focused on the meaning of 'money' and 'a room' that Woolf suggested as requirements of women's liberation. According to Judith Butler, no assertion of universality takes place apart from a cultural norm and no assertion can be made without at once requiring a cultural translation given the array of contesting norms that constitute the international field above all things. Without the translation of 'competing universalities', the very concept of universality cannot cross the linguistic and cultural borders it claims to be able to cross. The politics of multiculturalism could be understood as a politics of translation in the service of adjudicating and composing a movement of competing and overlapping universalities. Secondly, assimilation of the particular into the universal leaves its trace, an unassimilable remainer, which renders universality ghostly to itself. The task of cultual translation is one that necessitated precisely by the 'performative contradiction' of the ghostly particular, the spectral doubling in the universal that takes place when one with no authorization to speak within and as the universal nevertheless lays claims to the terms. For the translation to be in the service of struggling for hegemony, the dominant discourse will have to alter by virtue of claiming universalities of excluded and marginalized particular ones in the discourse, admitting the foreign vocabulary into its main lexicon, and changing the dominant discourse itself. Transformed cultural translation of 'money' and 'a room' represented in Mulan through A Room of One's Own and The Woman Warrior can shed light on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the politics and ethics and broaden the horizon of cultural translation in terms of 'competing universalities' and 'performative contradiction'. By creative chasms and violent shuttling, Butler's cultural translation can restage competing universalities and lead to performative re-signification and re-articulation of regulatory norms and laws. The chasm in translation can become the condition of contact with what is outside me, the vehicle for an ec-static relationality and the ethical scene where one language meets another and contact with alterity happens. 이 논문은 버틀러의 문화번역에 나오는 ‘경쟁하는 보편성’과 ‘수행적 모순’의 중요성을 고찰하고 영국 여성작가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1929)과 중국계 미국 여성작가 맥신 홍 킹스턴의 『여인 무사』(1976)을 경유해 디즈니 애니메이션 「뮬란」(1998)에 나타난 보편 여성 주체에 대한 문화번역의 정치성과 윤리성의 접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울프가 여성 해방의 조건으로 제시했던 ‘돈’과 ‘방’의 의미를 중심으로 근대적 주체로서의 여성의 인권에 관한 보편적 주장의 의미와 힘이 형성되는 이 세 텍스트의 수사적이고 문화적인 맥락에서 버틀러의 문화번역 논의를 탐구하고자 한다. 버틀러에 따르면 우선 보편성에 대한 어떤 주장도 문화적 규범과 별개로 발생할 수 없으며, 국제적인 장을 구성하는 경합하는 규범들의 배열을 생각한다면 그 즉시 문화번역을 요구하지 않고는 보편성 주장은 이루어질 수 없다. 이런 ‘경쟁하는 보편성’에 대한 번역 없이는 보편성의 개념 자체가 자신이 넘는다고 주장하는 언어적, 문화적 경계를 넘을 수 없다. 경쟁하며 중첩되는 보편주의를 판정하고 구성하는 가운데 다문화주의의 정치성은 번역의 정치로 이해될 수 있다. 두 번째로 특수성의 보편성으로의 동화는 그 흔적, 즉 동화불가능한 잔여물을 남기는데 이것이 보편성을 스스로에게 유령적이게 만든다. 문화번역의 과제는 바로 이런 보편성안의 유령 같은 특수성이라는 ‘수행적 모순’을 필요로 하며 내부에서 보편자로 말할 권한이 없지만 그 용어를 주장하는 사람에게 목소리를 주는 것이다. 번역이 헤게모니 투쟁이 되기 위해서는 배제되고 주변화된 이들이 지배담론 안에서 보편성을 주장하고 지배 담론이 외래 어휘를 자국어 사전에 수용하면서 지배 담론 자체가 변화해야 할 것이다. 『자기만의 방』과 『여인 무사』를 통해 「뮬란」에 재현된 ‘돈’과 ‘방’의 변화된 문화 번역은 ‘경쟁하는 보편성’과 ‘수행적 모순’의 관점에서 정치학과 윤리학을 연결할 가능성을 밝힐 수 있다. 버틀러의 문화번역은 창의적 틈새와 격렬한 운동으로 경쟁하는 보편성을 다시 무대화하여 규제적 규범과 법을 수행적으로 재의미화하고 재발화할 수 있다. 번역의 틈새는 나의 외부에 있는 것과의 접촉, 즉 탈아적 관계성의 매개이자 한 언어가 다른 언어를 만나 타자와의 접촉이 발생하는 윤리적 장면이다.

      • KCI등재

        당대 둔황석굴 벽화에 묘사된 여자복식을 통해 본 글로컬 복합 문화

        조현진(Cho, Hyun J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1

        본 연구는 글로벌화로 인해 한 지역에서 세계적이고 지역적인 특색이 결합된 새로운 하이브리드(hybrid)적 문화가 양산되고, 이러한 하이브리드적 문화가 글로컬 복합 문화상품으로 소비자들에게 수용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러한 트렌드의 본질적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계기로부터 시작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당대(唐代) 둔황석굴 벽화에 묘사된 여자복식에 표현된 글로컬적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글로컬 문화로서의 한류 현상을 이해함으로써 글로컬 상품기획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고대 유적 인문탐사에서 본 연구자가 직접 촬영한 유물 사진과 관련 도판자료를 활용하여 7∼10세기 둔황석굴 벽화에 묘사된 여자복식을 중심으로 글로컬 복합 문화적 특성을 고찰한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글로컬 복식문화로서의 보편성을 들 수 있다. 이는 세계 각 지역, 인종, 생활문화에 따른 보편적인 복식양식들을 당대 둔황 지역 내에서 하나의 글로컬적인 보편성으로 통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글로컬 복식문화로서의 특수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특수성은 이국적인 복식문화가 중국화되는 과정에서 제민족의 복식요소들이 가진 보편성이 당대 둔황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스타일의 복식양식으로 변화되었음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당대 둔황 지역의 여자복식에서 보여지는 보편성과 특수성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동시적인 특성을 가짐으로써 둔황이 당대 글로컬 문화를 이끌 수 있었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는 보편성과 특수성의 결합이라는 의미로서의 이분법보다는 더 근본적인 차원에서 복식문화에 함의되어 있는 보편성과 특수성의 개념이 동시에 함께 유의미할 수 있다는 점과 연결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당대 둔황 지역 여자복식을 응용한 현대 패션디자인 연구에도 활용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looks over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that a new hybrid culture that combines glob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has been mass-produced in one region due to globalization, and the hybrid culture is being accepted by consumers as a glocal complex cultural produ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basic data for glocal product planning by understanding the Korean Wave phenomenon as a glocal culture by analyzing the glocal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women"s costumes depicted on the paintings of Tunhuang Cave in the Tang Dynasty perio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local complex cultural characteristics, focusing on women"s costumes depicted on the Tunhuang Cave paintings in the 7th to 10th centuries, using photographs of relics collected from the humanities exploration of ancient ruins and related picture data.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universality as a glocal costume culture. It was found that the universal style of costume was used as a universality within the Tunhuang area of the time, according to the world"s regions, races, and living culture. Second, it is a speciality as a glocal costume culture. This speciality was confirmed by the fact that in the course of the Chineseization of the exotic costume culture, the universality of the costume elements of many nations was changed into a unique style of costume that was only found in the Tunhuang area of the time. And the universality and speciality of women"s clothing in the Tunhuang area of the time served as an important factor that allowed Tunhuang to lead the culture of the time by having simultaneous characteristics that were not biased to one side. This is linked to the fact that the concept of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implied in the costume culture at the more fundamental level than the dichotomy as a combination of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can be meaningful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 hope that it will be used in the study of contemporary fashion design that applied women"s clothing in the Tunhuang region of the Tang Dynasty period.

      • KCI등재

        헨리 스타이너의 크로스 컬츄럴 그래픽 디자인에 관한 연구

        윤민희(Min Hie Y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세계화와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달로 국제적 교류가 활성화되면서 국가나 민족 사이의 경계 및 차별성은 희미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사회 현상은 예술과 일상,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등의 경계허물기로 나타날 뿐만 아니라 동양과 서양, 전통과 현대, 학문과 학문 간의 벽을 허물고 국경 없는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오늘날 문화의 이미지도 국경을 초월하여 문화와 문화 간의 융합으로 국경 없는 세계화된 문화(global culture)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 추세 속에서 디자인 영역에서도 세계인이 상호 교류할 수 있는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cross-cultural design)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헨리 스타이너의 그래픽 디자인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그래픽디자인 영역의 보편적인 시각언어로써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 표현 특성을 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의 시각에서 연구한다.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분야의 선두주자인 헨리 스타이너(Henry Steiner)는 자신이 집필한 「Cross-cultural design: communicating in the global marketplace」(1995) 에서 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의 양면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 즉 다양한 문화적 특성이 공존하는 퓨전적 디자인을 제안하고 있다. 포괄적인 의미에서 그래픽 디자인은 아이디어나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묘사한 시각 정보디자인(visual communication design)이다. 이와 같이 그래픽 디자인은 많은 사람들이 문화권이나 국적을 초월하여 상호 소통할 수 있는 시각언어(visual language)이기 때문에 세계인이 공유하는 디자인의 문화적 보편성이 중요하다. 그러나 20세기 중반 이후 전 세계적 디자인의 표현이 미국화·서구화 경향을 띄고 있기 때문에 동양인의 시각에서 바라보면 동양의 문화적 정체성의 상실을 가져올 수 있는 우려를 가지고 있다. 특히 디자인의 표현이나 교육에서 문화의 보편성과 다양성의 양면적 가치 속에서 세계인인 공유하는 아시아,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헨리 스타이너의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 철학과 작품은 세계적 보편성의 측면과 함께 문화적 정체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의 범위는 현대 그래픽 디자인과 문화적 다양성과 문화적 정체성, 헨리 스타이너의 현대 그래픽디자인 등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세부적으로 현대 디자인의 문화적 정체성과 특수성 표현을 문화의 특성에 관한 이론적 연구와 함께 디자인 영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헨리 스타이너의 현대 그래픽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그의 약력 및 작품세계, 헨리 스타이너의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의 표현 특성을 구체적으로 연구·분석한다. 21세기의 다문화 사회에서 세계인이 소통하는 디자인을 하기 위한 대표적인 디자인 방법론의 하나가 크로스 컬츄럴 접근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단순히 디자인 영역뿐만 아니라 사회문화 현상 전반에 걸친 학제 간 연구를 바탕으로 행해져야 할 것이다. 특히 한국과 같이 급격한 서구화에 의하여 문화적 정체성의 표현과 서구화라는 양면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은 한국의 디자인 교육과 디자이너들에게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한다. Today`s society tends to be against the strict classification and has a mutual exchange relationship. This phenomenon, exposed through destroying the dichotomy division, such as spirit & material, rationality & sensibility, art & life, high & low and Oriental & Western cultu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Henry Steiner`s cross-cultural graphic design.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of graphic design as a universal visual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Henry Steiner, a leader of cross-cultural design field, he wrote “Cross-cultural design: communicating in the global marketplace” (1995) on both sides of the cultural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as a plan to solve problems cross-cultural design. Visual language can deliver a message instantly to anyone, however, the meaning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from each person`s viewpoint. Therefore, Henry Steiner`s visual language gives the strongest message that anyone can imagine. As a universal visual language, it also goes beyond the differentiated language recognition of cultural areas and impresses people as an excellent advertising copy does. However, because of Americanization and Westernization since the mid-20th century, from the Asian perspectives, this tendency can bring a loss of cultural identity. In this respect, Henry Steiner`s cross-cultural design philosoph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ultural identity and universality. Scope and methodology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cope of the study of modern graphic design and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identity, Henry Steiner, the center of the modern graphic design shall be composed. Modern design in the expression of cultural identity and cultural specificity is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with design case studies. And also, we examine Henry Steiner`s biography and his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cross-cultural research and analysis. Henry Steiner`s design philosophy can influence the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and design work, the policy in Korea. Using this cross-cultural approach of the 21st century in multicultural societies, global citizens can communicate with a design methodology. This approach must be studied not only in design area, but also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based on phenomenon. In a situation, this cross-cultural design research is expected to bring important viewpoints for designers and design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의 박물관 전시-문화적 다양성과 보편성 사이에서-

        정수진 비교민속학회 2018 비교민속학 Vol.0 No.67

        As UNESCO adopted the ‘Declaration of World Cultural Diversity’ and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s’, ‘Cultural Diversity’ has become a globally recognized international norm. In response to these international norms, ICOM has also declared that the museum will become a key institution to integrate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o record, preserve and revitalize them. It is noteworthy, however, that the museum has set itself its role as a key institution that responds to today's international norms of cultural diversity. It is because the museum took the initiative in representing the world and culture hitherto, based on the universality of mankind and culture, which is the epistemological premise of modern knowledge. There is a lot of question about whether universality can coexist with cultural diversity harmoniously without any contradiction because it is a epistemology that is opposite to cultural diversity. In addition, we have doubts as to whether the UNESCO Convention on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an effective measure to implement the international norm of cultural diversity. In this article, what is it and how is it possible for museums to exhibi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 examined it from a theoretical point of view. And I examined the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in order to rebuild the museum as a key institution for cultural diversity. In addition, I discussed how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that exercises authority to represent world cultures in a different vector from museum, contributes to the realization of cultural diversity through the National Folk Museum’s “Visualiz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xhibition. 근년 유네스코가 ‘세계 문화다양성 선언’과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보호와 증진 협약’을 채택함에 따라, 이제 ‘문화다양성’은 세계적으로 공인된 국제 규범이 되었다. 국제박물관협회 역시 이 새로운 규범에 보조를 맞춰, 박물관이 유․무형의 문화유산을 통합적으로 대상화하고 그것들을 기록, 보존, 활성화하는 핵심 기관이 될 것임을 천명했다. 그런데 박물관이 문화적 다양성이라는 오늘의 국제 규범에 부응하는 핵심 기관으로 자신의 역할을 새로이 설정했다는 것은 특별히 주의를 요한다. 이제껏 박물관이 세계와 문화를 재현하는 데 주도권을 행사해 온 것은 근대 지식의 인식론적 전제인 인류와 문화의 보편성을 토대로 비로소 가능한 일이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보편성’이란 문화적 다양성과는 대척점에 있는 인식론인 까닭에, 이 두 가지가 아무런 모순 없이 과연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지 많은 의문이 남는다. 게다가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이 문화적 다양성이라는 국제 규범을 과연 실질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조치인지, 이 역시 재고의 여지가 적지 않겠다. 이에 본고에서는 박물관이 무형문화유산을 전시한다는 것이 대체 무엇인지, 또 그것이 어찌 가능한지를 원론적인 차원에서 물었다. 그리고 문화의 보편성이라는 인식론을 토대로 성립한 박물관이 문화적 다양성을 구현하는 핵심 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논점들이 무엇인지를 고찰했다. 아울러 박물관과는 다른 벡터에서 인류 문화에 대한 재현의 권위를 행사하는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구체적으로 그 등재 시스템이 문화적 다양성을 구현하는 데 과연 어떤 기여를 하고 있는지? 국립민속박물관의 <아리랑 특별전>을 소재로 이 문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 괴테의 타문화 수용

        최승수(Choi, Seung-soo)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6 동서인문 Vol.0 No.6

        문화가 키워드로 작동하는 탈냉전시대에 기독교와 계몽주의에서 유래하는 서구의 보편성은 위기를 맞고 있다. 한편으로 20세기 서구의 문명사는 베버의 ‘합리화된 세계의 비합리성’이라는 명제로 비판되고 있으며, 다른 한편 이 문명의 보편성은 타문화권에서 더 이상 보편적 가치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세계화 시대의 특징인 문화간 충돌은 9·11 테러에서 IS문제로 이어지고 있으며, 따라서 충돌에서 공존으로의 전환은 시급한 과제이다. 타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수용의 방식은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는 서구의 보편성에 대한 비판적 성찰에서 출발한다. 지배라는 목표가 설정됨으로서 재앙으로 이어지는 역사의 연속성을 분쇄해야한다는 벤야민의 유토피아적 역사인식, 합리성에 근거하는 서구의 보편성이 신화적 권력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아도르노의 인식과 더불어, 중심을 해체하는 데리다의 철학은 상호문화성 연구의 방향을 시사하고 있다. 문학텍스트에서 나타나는 타자성은 상호문화성 연구의 생산적 모델이 될 수 있다. 문학적 타자성은 낯설음으로 문화적 차이에 대한 감수성을 일깨우며, 차이를 지각하게 하고 나아가 차이와의 유희, 시뮬레이션의 모멘트로 작동한다. 따라서 텍스트의 타자성은 다문화시대의 문화모델이다. 이슬람의 종교와 문화는 서동시집 에서 문학적 타자성으로 나타나며 이 때 타자성, 낯설음은 지배와 억압에서 자유로운 독자적 가치를 지닌 낯설음이다. 이 낯선 것과의 유희과정에서 문화간 동질성이 형성되며, 그 결과로 완결되지 않는 새로운 정체성 획득이 가능해진다. 괴테에게 있어 이 새로운 정체성은 주어진 삶에 대한 겸손함과 감사하는 마음, 죽음으로의 선구라는 인식이며 르네상스 문화의 수용은 고전예술과 관능성이 만나 관능의 미학이라는 성과에 도달한다. 공존을 위한 전략에 대해 괴테의 번역론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타문화 텍스트의 구조와 사고방식을 자신의 언어와 문화로 옮겨 놓음으로서 타 ‘문화는 독일화된 낯선 것으로 자신의 낯설음을 보존하고, 그 때문에 낯선것과 토론하지 않으려는 대중에 대한 도발이 된다는 것이다.’ 텍스트와의 유희활동으로 제3의 동질성을 추구해가는 토론과 논쟁의 과정이 오늘날 공존과 화해를 위한 문화 전략이다. In Post-Cold war era, when culture as keyword operate, the universality of western culture is facing a crisis, which is derived from christianity and Enlightenment. On the one hand, western civilization of 20 century has been criticized by Weberian proposition of “irrationality of the rationalized world”. On the other hand, the universality of western civilization is no more recognized as universal values in other cultures. In this context, crash between cultures as the main character of globalization has led from the 9.11 attacks to the IS issue, therefore the transition from crash to co-exist is urgently needed. Discussion about the correct way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other cultures should be departure from the critical reflection on the universality of the west. Benjamins recognition, that historical succession must be pulverized which caused to the disaster with setting the goal of domination, Adornos awareness that the university of west based on rationality operate mythic power, Derrida’s Philosophy to dismantle the center, suggest the correct direction of intercultural research. Alterity appeared in literary text can be productive model for intercultural research. It makes sensitive to cultural differences, perceive the differences, play with differences and operate as a moment of simulation. Therefore literary alterity can be a model of multicultural world. Religion and culture of Islam appears as a literary alterity in Goethes text 『West-östlicher Divan』, and it’s alterity has his own values which is free from the domination and oppression. In the course of playing with such alterity the cross-cultural affinities formed,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a new identity which is never completed. Goethe got to the new identity reached humility and gratitude, pioneering acceptance of death. His another result is esthetics of sense which can be produced meeting the classical renaissance culture with his experience of love. Goethe’s theory of translation suggests the strategies of coexistence. If the structure and mindset of other cultural text are transferred to their own language and culture, then the other culture preserve as German localized alterity and can be a provocation to the pubic, who do not want to discuss with this alterity. This process of discussion and debate which pursuits to make new cultural identity in the playing with literary text, is the cultural strategy for reconcilation and co-existence today.

      • KCI등재

        비교문학 관점에서 본 설화의 한국어 문화교육적 의의와 가치 연구 - 한국, 베트남, 우즈베키스탄의 흥부놀부형 설화를 중심으로

        이가원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9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2

        Folktale is an important literary genre that contains cultural elements such as common values ​​and lifestyles of a nation. In particular, the comparative literary approach to folktales common to many countries is very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Korean folktales, as well as the literary origin and homogeneity of folktales in each country, Do. Recently,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and foreigners staying in Korea.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and understand the culture of a country in order to acquire the language of a country well, because language and culture are inseparable. Therefore, interest in Korean culture education with literary sanctions is increasing, and studies about it are accumulating. Multicultural understanding is a task that should be preceded for cultivation of Korean ability and adaptation to life in Korea not only for Koreans but also for foreigners. The folktale is a universal archetype and universality of the human race. It is a story that the masses co-created and enjoyed, an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story is simpl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in 'Heungbu and Nolbu'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olktales of other countries similar to 'Korea's representative tale' Heungbu and Nolbu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Heungbu and Nolbu' in Korean culture education. Recently,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and the number of Korean residents in Vietnam and Uzbekistan have increased recently. Therefor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olktales of Vietnam and Uzbekistan with Korean folktales, we tried to grasp the tales of folk tales such as tradition and creative literature through the spoken language. Through this study, it is aimed to clarify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literatures of various countries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Korean folktales and to clarify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Korean folktale education. The stories that are common in many Asian countries a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central themes are common, universal objectivity, so they can easily relate to each other, but they also reflect different values ​​and specific cultures in different countries. The universality and peculiarity of folktale is advantageous in that it promotes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accepts it more easily based on commonality with its own culture. It is meaningful that differences provide cultural opportunities for 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이 연구는 문학의 모태가 되는 설화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설화는 한 민족의 공통적인 가치관과 생활양식 등의 문화적 요소가 담겨 있는 중요한 문학 장르이다. 특히 여러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광포설 화에 대한 비교문학적 접근은 각 나라의 설화가 가진 문학적 원형성 및 동질성과 아울러 한국 설화에 나타난 문화적 특징과 독자성을 파악하게 하여 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이해하게 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최근 한국어 학습자와 국내 체류 외국인의 증가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한 나라의 언어를 잘 습득하기 위해서 그 나라의 문화를 알고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는 언어와 문화가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다는 점 때문이다. 이에 문학을 제재로 하는 한국어 문화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그에 관한 연구들도 누적되고 있다. ‘지구촌’이라는 말처럼 현대 세계는 문화적으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어 활발한 교류 양상으로 보이며, 단일민족으로 구성되었던 대한민국도 더 이상 단일민족 국가가 아닌 현실에서 다문화적 이해는 한국인뿐 아니라 외국인에게도 한국어 능력 배양과 한국 생활 적응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설화는 인류보편적인 원형성과 보편성을 지니며 대중이 공동 창작하고 향유한 이야기로서 이야기의 서사구조가 단순하므로 외국인 학습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본고에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설화인 ‘흥부와 놀부’와 비슷한 이야기 체계를 보이는 다른 나라의 흥부놀부 유형 설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흥부와 놀부’에 나타난 한국문화의 특징과 아울러 이를 통한 한국어 문화교육에서 ‘흥부와 놀부’의 설화적 의의 및 가치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최근 학습자 수와 체류지 수가 증가한 두 나라, 베트남과 우즈베키스탄의 설화를 한국 설화와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음성언어를 통한 전승과 창작 문학이라는 설화적 특성을 파악하고 여러 나라 문학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관련성을 밝히며, 한국 설화의 특성과 독자성을 확인하여 설화의 한국어 문화교육적 의의와 가치에 대해 밝히고자 한 것이다.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광포설화들은 중심 주제가 공통적으로 드러나 보편성 객관성을 지니므로 쉽게 공감할 수 있으면서도 나라별로 가치관과 구체적인 문화가 반영되어 변별적인 양상을 보인다는 특징이 있다. 설화가 가진 이러한 보편성과 특수성은 자문 화와의 공통점을 바탕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증진시키고 보다 쉽게 수용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장점을 지니며, 아울러 차이점들을 통해 문화적 상대성과 타문화에 대한 이해의 기회를 제공하여 자문화에 대한 각성과 성찰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국제법상 여성의 인권과 문화상대주의의 한계

        李秉和(Byung-Hwa Lee) 대한국제법학회 2008 國際法學會論叢 Vol.53 No.3

        국제인권법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발전을 이룬 국제법 분야 가운데 하나이다. 국제연합에 의한 국제인권법의 발전은 제1세대ㆍ제2세대ㆍ제3세대의 권리로 구분되는데, 제1세대의 권리는 시민적ㆍ정치적 권리에 기한 소극적 권리이고, 제2세대의 권리는 경제적ㆍ사회적ㆍ문화적 권리에 기한 적극적 권리이며, 제3세대의 권리는 자결권ㆍ발전의 권리 등 인민 또는 집단의 권리를 말한다. 국제적으로 여성의 인권문제가 중요하게 취급된 것도 주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현상이다. 모든 인간의 평등한 취급과 더불어 성에 기한 비차별을 규정한 일반적 국제문서를 비롯하여 여성에게만 특정된 문서 등이 다양하게 등장하게 되었으며, 특히 여성차별철폐협약은 남녀의 기회의 평등ㆍ형식상의 평등에 그치지 않고 결과의 평등ㆍ사실상의 평등을 요구하는 일보전진한 여성인권협약이면서 가장 포괄적이고도 광범위한 국제인권협약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여성은 공적 및 사적 영역에서 열등한 지위에 놓여있으며, 여성차별철폐협약은 비교적 약한 문언과 체약국의 유보 및 협약 자체가 의도하고 있는 제한된 감시수단 등에 의해 제약을 받고 있다. 따라서 여성차별철폐협약 선택의정서를 채택하게 됨으로써 동 협약이 가지는 힘을 상대적으로 강화시키고 국내법이 부적절한 경우에 국제적인 기준 및 심사를 원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서구자유주의 국가들이 인권의 보편성을 강조하면서 비서구진영의 인권억압적 체제를 비난하자, 이에 대한 대항으로 지역주의나 문화상대주의가 주창되기에 이르렀다. 즉 문화상대주의는 주로 서구자유진영의 보편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절대적인 인권은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문화는 도덕적으로 평등하거나 유효하다고 보아 스스로의 국가적ㆍ지역적 특성이나 역사적ㆍ문화적ㆍ종교적 전통을 옹호하는 주장을 전개한다. 국제인권제도의 범위가 확대되면서 문화상대주의에 기한 소송제기가 더욱 빈번해지고 있으며, 특히 여성권리의 문맥에서 개인의 권리와 문화적 관행 혹은 문화적 기준이 충돌하는 소송이 꾸준히 제기되어왔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국제인권법상 문화상대주의에 기한 구체적인 사안들 중에서 여성의 권리와 관계된 몇 가지 사례를 검토하고 있다. 본래 문화의 개념은 매우 가변적이므로 특정한 문화나 관행이 여성과 관련된 국제인권법 분야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를 판단하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제법상 여성인권의 발전을 세대별로 구체화 하여 살펴보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볼 때 국제인권법은 문화나 관행 및 여성의 생활과 관련해서 상당히 많은 문제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권분야는 여성이 가장 열심히 활동해온 영역이며, 여성권리의 승인은 점차 개발의 모든 측면과 모든 수준으로 확대됨으로써 시민적ㆍ정치적ㆍ경제적ㆍ사회적ㆍ문화적 권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이미 대다수의 국가는 인권규약의 의무를 받아들인 위에 각자의 독자성을 주장하는 것이며, 문화적 전통에 기인하는 여성에 대한 인권침해의 대부분은 국가에 의한 직접적 침해가 아니라 사회적 관습이나 전통에 근거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체약국은 그러한 침해를 방지하기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행할 필요가 있다. 결국 국제법적 보편성 혹은 인권의 보편성을 지지하면서도 인권의 상대성이라는 이차적인 주장도 충분히 고려하는 이른바 완화된 보편주의의 채택에 대하여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The I nt er nat i onal Human Ri ght s Law has been devel oped most remarkably as a part of international law after the World War Ⅱ.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initiated by the United Nations is classified into rights of first, second and third generation respectively: The rights of 1st generation are passive rights based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The rights of 2nd generation mean positive rights based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nd the rights of 3rd generation refer to civil or collective rights including right of self-determination and right of development. Internationally, women's human rights began to be dealt with as a critical human issue just after the end of World War Ⅱ. After then, there have been a variety of general international written conventions that provide the prohibition of sexual discrimination and the equal treatment of every person, as well as specific written conventions applicable only to women. In particular,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s considered a step forward of convention on women's human rights to require equality of results and factual equality beyond simple equal opportunity for men and women and formal equality. Moreover, it is most comprehensive and far-reaching international human rights convention. However, women still take inferior positions to men across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has limitations in its applications due to relatively low enforceability, reservation in States parties and limited supervision means intended in said convention itself. That is why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has been adopted among States parties, so that the force of said convention can be relatively reinforced whil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judgments can be quoted and invoked if relevant domestic law is not appropriate. On the other hand, Western liberalist countries have emphasized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and criticized system of non-Western countries tending to oppress human rights. As a part of resistance to such a wave from Western world, there have been many advocates for regionalism or cultural relativism. That is, as a part of criticism against universalism in Western liberalist world, the cultural relativism claims that there is no absolute human right at all and every culture is morally equal and effective to one another, in advocacy of respective nation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r historical, cultural and religious traditions. Ever-expanding coverage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system leads to more legal actions according to cultural relativism.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women's rights, there have been a series of legal actions taken steadily due to conflicts between personal rights and cultural practices or criteria.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upon dealing with some cases concerning women's rights with regard to detailed issue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on the basis of cultural relativism. Originally, culture has a wide variety of conceptual aspects, so it is not easy to find which meanings certain culture or practices may have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concerning women. Thus, this study makes further examinations in historical evolu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involves many questions in terms of culture or practices and women's life. Nevertheless, human rights is the sphere that women have been more committed to than anything else, and women's rights have been gradually more approved and extended into all aspects and levels of development, having significant effects on civil,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human rights. Hence, most countries claim from their own original nature on the basis of accepted duties

      • KCI등재

        다문화사회통합을 위한 아시아 구비문학 활용 방안

        권오경 ( Kwon Oh-kyung ) 택민국학연구원 2018 국학연구론총 Vol.0 No.21

        본고는 구비문학을 활용한 다문화사회통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아시아 구비문학을 상호관계성 속에서 살피기 위해서 먼저 비교시각을 확보하는 일과, 아시아 구비문학이 가지고 있는 독자성과 유사성을 다문화의 보편성과 다양성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그 다음에 구비문학의 본질적 요소와 다문화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을 상호비교하여 활용 방안으로 나아가기 위한 항목을 설정하고 세가지 방안을 순서대로 살폈다. 구비문학이 지닌 세상의 근원과 현상에 대한 설명과 이해, 세상을 보는 지식과 소통, 공감하기, 세상의 일에 적극 중재하고 삶을 즐기는 것은 구비문학의 본질이자 다문화사회통합을 위해서도 필요한 기본 역량들이다. 1) ‘보편적이면서 다양한 문화의 상대적 인식’에서는 穀神으로서의 死體化生神話를 사례로 들어 문화의 보편성과 다양성을 보여주고자 하였고, 2) ‘문화에 대한 지식으로 소통하고 공감하기’에서는 이 세상이 거짓과 불평등, 빈곤 등으로 가득찬 악한 세상이 된 사연을 아시아 여러 나라의 설화를 통하여 살폈다. 그리고 3) ‘문화중재와 더불어 세상 즐기기’에서는 구비문학 중에서도 특히 노래와 劇 장르를 통하여 중재하고 세상을 즐기는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한국사회는 일찍부터 다중적인 사회문화 현상을 지녀왔다. 현대 한국의 다문화사회화는 사람들의 이동에 따라 다중성, 다양성이 더욱 가시화된 경우이다. 구비문학은 다중적, 다문화적, 혼종적 세계의 근원과 현상을 보여주며 갈등을 화합으로 풀어가는 방법을 제시하는 대표적인 문학 장르이다. 따라서 구비문학을 활용한 다문화사회통합 방안을 살피는 작업은 글로벌사회에 대응하는 데 의미있는 일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using methods of oral literature for the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At first, I tried to get the comparison viewpoint because of the comparative approach between Korean oral literature and another Asaian oral literature. And then I researched the unique characteristic and similiaty of Asian oral literature in the point of university and diversity. For the using of Korean oral literature in the multi cultural field, it is nesessary to compare the functions and competence with the fundemental elements of oral literature. This is bridge to link two fields. At the results, there are three items. 1)Understanding the universal culture and cultural phenomena, 2)Getting the knowledge and communication of this world, 3)Sharing the sympathy, arbitration and enjoy the society are the essencial elements. And these are also essencial elements in the oral literature. 1) For the understanding of relative cognition in the point of universality and diversity, I explaned the God of grain as the myth of transformation of dead body. 2) We can communicate and share the knowledge of world culture and sympathy by the folktales, especially using the fables. So we know that this world is full to the evil, untruth and unequal, poverty etc. 3) To arbitrate between the different culture is very popular in the theater as the oral literature and it is also shown multi-cultural society. Particularly sharing the joy is common in the traditional folksongs. This paper is the draft proposal. And specific methods are necessary to use the oral literature texts for the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아동 권리의 보편성과 다원 문화의 구성적 긴장

        이기범 ( Lee Gi-beom ) 한국아동권리학회 2001 아동과 권리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의 다양성과 아동 권리의 보편성이 갈등과 상호수렴을 통하여 서로를 발전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하고 그 실천원리를 제시하는 것이다. 다원문화주의는 다양한 문화, 가치, 의미, 관점이 공존하고 있음을 인정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학문적·실천적 입장을 가리킨다. 이 입장에 의하면 문화의 다양성은 현실일 뿐 아니라 타당성을 갖고 있으므로, 권리의 보편성이 그것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수용해야 한다. 문화의 다양성과 권리의 보편성의 갈등을 이해하고 상호수렴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다양한 다름에 대한 적절한 판단이 필요하다. 다름에 대한 존중의 형태는 대개 제약으로서의 존중, 불간섭주의, 성찰의 계기로서의 존중 그리고 헌신으로서의 존중으로 이야기된다. 본 연구는 사회간 문화의 차이 그리고 세대, 가치, 취향 등 사회집단간 문화의 차이에 관한 사례를 해석하고, 위 다름의 존중이 어떻게 적절하게 수용되어야 아동 권리의 보편성이 수정되고 확대될 수 있는지를 논의한다. 이러한 사례 해석을 바탕으로 문화와 권리의 긴장을 통하여 서로를 발전적으로 재구성 할 수 있도록 몇 가지 실천 원리를 제시한다. 첫째, 문화의 다양성을 수용하여 권리의 보편성을 확대할 수 있다는 이상을 공유하되, 실제 의사소통을 통해 이를 실현하는 상호작용적 보편주의를 지향해야 한다. 둘째, 의사소통의 공통참조점으로 UN 아동권리협약을 적극 활용한다. 셋째, 위에 언급한 문화적 차이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존중을 의사소통에 적절하게 적용한다. 넷째, 상호호혜성, 개방성, 부정성, 전도성 등의 덕목이 계발되고 의사소통에 발휘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갈등, 오해, 좌절을 의사소통 과정의 일부로 생각하고, 의사소통을 지속해야 하는 필요성으로 파악해야 한다. A wide-ranging multiculturalism demands the children's rights to respect cultural differences in their own terms. It underscores those differences as the resources of moral perspective indispensable to interpret and implement the not ion of children and rights. Yet the universalizability of rights must be maintained. Facing this tension, this study intends to: 1) establish a workable balance between diversity of culture and universalizability of children's rights; 2) ex amine the possibility of forming mutually constitutive relations between them; an d 3) suggest practical orientations to build up those relations. This study provides four modes of respecting cultural differences: respect as constraint, respect as laissez faire, respect as cultural reflection, and respect as committment. After discussing the cases of inter cultural differences and intracultural differences, this study develops five principles that can lay the ground for the formation of constitutive relations between culture and rights. Those principles are: 1) while sharing the ideal of universality of rights, to realize it through actual and ongoing communication between cultural differences; 2) to actively utilize the CRC as the common reference point in undertaking communication; 3) to properly arrange and employ four modes of cultural respect; 4) to promote the communicative virtues such as reciprocity, openness, negativity, and reversibility; and 5) confronting the limits of cultural communication, to try to accommodate it as more communication is wanting.

      • KCI등재

        문화콘텐츠 판소리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연구 - 유학생 대상 상호문화교육 중심으로

        이가원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4 리터러시 연구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전공하는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어문화 수업에서 문화콘텐츠 판소리를 활용한 상호문화교육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판소리는 한국인의고유한 정서와 사상을 담고 있으며 범세계적 보편성과 다문화적 가치를 지닌 중요한문학 양식이다. 판소리는 소리꾼과 고수만의 공연이 아니라 공연을 감상하는 청중들의 정서적 공감과 반응에 의해 완성되는 개방성과 보편성을 지닌 장르이며, 한국 고유의 정서와 감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장르라는 점에서 상호문화교육의 제재로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문화교육이 한국문화에 대한 지식전달과 동화를 목적으로하기보다는 타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 타문화 집단과의 대화를 통해 함께 살아갈 수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상호문화의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에 적합한 제재인 문화콘텐츠 판소리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방안을 구체화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of intercultural education us ing cultural contents Pansori in Korean language culture class for foreign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Pansori is an important literary style that contains the unique emotions and thoughts of Koreans and has universal universal and multicultural values. Pansori is a genre with openness and universality that is com pleted by the emotional sympathy and reaction of the audience who appreciates the performance, not just the performers and the performers, and it is suitable as a material for intercultural education in that it is a genre that can understand the unique emotions and emotions of Korea. This study emphasized that Korean culture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intercultural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other cultures and finding ways to live together through dialogue with other cultural groups, rather than aiming at conveying and assimilating Korean culture.,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bodies the Korean culture education plan using cultural contents Pansori, which is a suitable mater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