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창조도시 전략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 창조적 학습도시 발전전략에 대한 새로운 논의

        이병준,박응희,박지연 한국문화교육학회 201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5 No.2

        최근 창조도시논의가 활발해지면서 교육과 학습의 창조도시와의 연관성에 주목할 필요가 높아졌다. 2000년 이후 문화예술교육진흥을 위한 법과 제도가 정비되면서 문화예술교육이 학교와 사회속에서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문화예술교육을 평생교육의 연장선속에서에 대한 논의하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문화와 예술을 기반으로 하는 도시발전전략인 창조도시와의 연관성속에서 바라보는 것도 흥미롭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창조도시논의는 크게 창조적 환경에 대한 논의, 창조인력에 대한 논의, 창조산업에 대한 논의, 그리고 문화발전에 대한 논의 네 가지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창조도시에 대한 논의중 문화와 예술을 경제에 활용하는 의미에서의 창조산업에 대한 논의가 가장 활발하나 이러한 논의는 매우 근시안적 사고라고 판단된다. 창조도시는 개별 도시가 가지는 자발적 시스템속에 창조성과 지역성, 네트워크와 미학화, 그리고 학습과 지속가능성이라는 핵심가치를 추구하고 있으며 또 그래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창조도시의 핵심가치는 바로 문화예술교육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현재의 문화예술교육은 단순한 프로젝트성 보다는 창조도시를 만들어가기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은 장기적인 비전속에 지속가능성을 담보해야 하며 예술체험을 넘어서 문화역량을 강화하고 학습망을 구축하며 문화리더를 양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As the discussion on creative city has become active recently, the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learning and creative city was increased. While law and system for promoting Culture & Arts Education have been reorganized since 2000, Culture & Arts Education spreads into schools and society. However, it's meaningful to discuss Culture & Arts Education simply in an extension of lifelong education but it's interesting to examine it in the correlation with creative city which is a strategy to develop the city based on culture and arts. At present, the discussion on creative city is unfolded by dividing largely into 4 discussions; discussion on creative environment, discussion on creative man power, discussion on creative industry and discussion on cultural development. Among the discussions on creative city, the discussion on creative industry which means to apply culture and arts to economy is the most active but it is judged to be a very short-sighted thinking. The creative city is seeking core values such as creativity / regional characteristic, network / aestheticization and studying / sustainability in the voluntary system of each city as well as must to seek them. Those core values of creative city are related with Culture & Arts Education much closely in that aspect. Current Culture & Arts Education should be recognized by an important strategy for making creative city, rather than by simple project. Therefore, Culture & Arts Education must to guarantee sustainability in a long-term vision, strengthen cultural capability beyond the art experience, establish learning network and advance to the direction cultivating cultural leaders.

      • KCI등재

        유럽 문화도시의 축제 프로그램을 통한 예술교육 방향성 고찰

        조정은 유럽문화예술학회 2022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럽 문화도시의 축제 프로그램에 나타난 다양한 예술표현 형태를 기반으로 지역문화와 예술교육의 역할 그리고 시민 문화예술 향유에 대하여 논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럽 문화도시로 지정된 글래스고, 아비뇽, 베를린 축제의 특징을 살펴보고, 시민들이 참여하는 예술교육의 분석을 통하여 예술교육의 방향성을 찾고자 한다. 또한 문화도시에서 축제 프로그램의 동향과 예술구 현 방법에서 나타난 시민예술 향유 및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문화도시의 대표적인 축제에서는 지역사회와 위원회를 중심으로 시민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였으며, 축제 프로 그램에서 예술표현은 예술가의 작품과 공연에서 공간적 자율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축제 프로그 램을 통한 예술교육은 지역적 인프라와 인적자원의 활용이 축제의 성공과 관련이 있으며, 공공성 있는 예술교육을 위해서는 소통과 예술단체의 내실 있는 운영이 필요하다. 그리고 축제 프로그램에서 는 일시적인 예술 공연보다는 양질의 예술교육에 가치를 두고 공공예술의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공동 체와 함께 개발해야하는 시사점을 논하였다. In this study, we discuss the role of local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local residents’ enjoyment of art and culture based on various forms of artistic expressions found in cultural festivals that take place in European cities. To this end, we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festivals in designated European cultural cities of Glasgow, Avignon, and Berlin,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that engages local residents. We also examine the value of local residents’ enjoyment of art and art education as manifested in the trend of art festival programs and the methods of artistic expressions. Our investigation shows that art festivals taking place in the European cultural cities encourage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driven by the local community and festival committees. And the art festival programs show that artistic expression contains spatial autonomy in terms of artists’ artwork and performance. Successful art education through art festival depends on utilization of local infrastructure and human resources; and, to implement art education in a way that brings public benefit, it is important to ensure good communication and sound management of art organizations. As for art festival programs, it is important to work with the local community continuously to develop programs with an emphasis on quality art education to bring public benefit, instead of focusing on one-off performances.

      • KCI등재후보

        도시와 공간담론의 문화예술교육적 해석 - 도시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 탐색

        박지연,이병준 한국예술경영학회 2013 예술경영연구 Vol.0 No.25

        This study firstly introduces the concept of urban culture and arts education to academic world during the discourse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from an urban perspective, puts a high value on the study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from an urban perspective, not an individual perspective and intends to analyze it deeply.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an important policy mean and regional strategy which promotes and mediates civic right to learn culture, cultivation of creative manpower and regional community spirit and important strategy which penetrates core value of the discourse on cultural city, learning city and creative city. The purposes of culture and arts are that citizens can cultivate an ability to participate in culture and art education actively and strengthen their cultural capability to create the environment beyond their passive enjoyment of culture and art, so it can be utilized to solve cultural and artistic value and regional problem creatively by straddling individuals, organizations and the whole region. In this context,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discourse on the city, which pursues quality of urban life and urban competitiveness together. Creation of civic culture·organizational culture by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growth and cultivation of citizens·experts based on the cultural capability are conditions of successful city. The researches of humanities scholars such as W. Benjamin who mention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city, aesthetics and learning and A. Assmann who suggested a possibility of cultural memory and urban learning have provided implications about academic connection for urban policy’s integrated study and necessity of systematic study of the discourse on culture and art education related to urban policy in several disciplines such as Economics, Politics, Civil engineering, Cultural studies, Pedagogy, etc. until now. 본 연구에서는 도시 관점에서 문화예술교육을 담론화하면서 도시문화예술교육이라는 개념을 학계에서는 처음 도입하고 있으며 문화예술교육을 개인적 차원이 아닌 도시의 관점에서 중요하게 여기고 심도있게 분석하고자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시민들의 문화학습권, 창조적 인력양성, 지역공동체성을 촉진하고 매개하는 중요한 정책수단이자 지역의 전략이며 또한 문화도시와 학습도시, 창조도시 담론의 핵심가치를 관통하는 중요한 전략이기도 하다. 문화예술교육은 시민들이 문화예술을 수동적으로 향유하는 것을 넘어서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환경을 조성하는 문화역량의 강화를 목적으로 하므로 개인과 조직, 지역 전체를 아우르며 문화예술적 가치를 지역의 문제를 창조적으로 해결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문화예술교육은 도시속의 삶의 질과 도시의 경쟁력을 함께 추구하는 도시담론과 밀접하게연결된다.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시민문화·조직문화의 생성과 문화역량에 기반을 둔 시민·전문가의 성장 및 육성은 성공적인 도시의 조건이다. 도시와 미학, 그리고 학습과의 연관성을 언급한 발터 벤야민과 문화적 기억과 도시·공간적 학습의 가능성을 제시한 알라이다 아스만과 같은 인문학자의 연구들은 지금까지 경제학, 정치학, 도시공학, 문화연구, 교육학 등의 여러 학문분야에서 도시정책의 통합적 연구를 위한 학술적 연계, 도시정책과 관련된 문화예술교육 담론의 체계적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문화도시 구축을 위한 리빙랩(living lab) 적용 가능성

        김종두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도시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다양한 노력 측면에서 문화도시의 구축은 리빙랩 연구를 통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문화도시의 구축을 통해 문화예술의 활성화를 위한 리뱅 랩 연구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져야하는가를 탐색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문화도시는 지역의 역사와 정체성을 토대로 지자체와 시민들의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노력과 협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자체의 방향 설정을 통한 지속적인 추진노력이 이루어져야 한 다. 둘째, 지자체와 시민의 가치공유가 융합되어야 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개인은 경제적 이익을 위한 방향으로의 변화를 추구한다. 그러나 경제적 이익이 당장에 눈으로 보이는 것과 장기적으로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주면서 이익이 되는가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이해를 위해서는 지자체의 노력이 강화될 필 요가 있다. 셋째, 지자체의 문화예술 활성화는 문화예술가들이 사회변화에 휘둘리기보다는 경제적 안정 위에서 장기간 생활할 수 있는 터전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저렴한 임대료나 작품공간에 대 한 장기적인 사용이 가능해야 한다는 점이다. 넷째, 문화예술과 과학기술이 융복합을 통해 도시가 발전 한다는 연구를 통해 시민들에게 전달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다섯째, 리빙랩은 시민들의 생활공간에서 이 루어지므로 시민의 참여를 중심으로 지자체의 도시계획과 연계한다면, 성과도 높이고 시민들의 삶의 질 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문화도시는 지역의 역사와 정체성을 바탕으로 환경 변화에 대한 지자체의 노력과 더불어 시민들의 협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문화예술은 뛰어난 예술가의 활 동도 중요하지만, 시민 모두가 함께 호흡하면서 조화를 이룰 때 비로소 예술의 향기가 흐르는 도시로 탈 바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화도시의 구축은 시민이 모두가 상생 발전한다는 굳건한 삶의 의지도 필요 하게 된다. 문화도시에 대한 시민들의 긍지와 행위가 조화를 이루면서 아름다운 음악을 연주하게 될 때, 도시는 자신만의 색깔과 소리로 성장하고, 시민들에게 행복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리빙랩 연구는 이와 같은 문화도시 창조를 가늠하는 출발점이자 새로운 창조의 시작이 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dimension that the establishment of a cultural city needs to be done through Living Lab research in terms of various efforts for urban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cultural city, the research on Living Lab for revitalization of culture and arts should be explor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o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cultural city should take precedence in adapting efforts and cooperation to environmental changes of local governments and citizens based on the history and identity of the region. For this, continuous efforts must be made through the direction of local governments. Second, value sharing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citizens must be fused. In a capitalist society, the individual seeks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economic gain. However, in order for local residents to understand whether economic benefits are visible at the moment and benefit by positively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long run, their own efforts need to be reinforced. Third, in order to revitalize the local government's culture and ar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lace for cultural artists to live for a long time on economic stability rather than being swayed by social change.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use low rent or long-term use of the work space. Fourth, there is a need for efforts to convey to citizens through research that the city develops through the convergence of culture and arts and science and technology. Fifth, living labs are conducted in the living spaces of citizens, so if the citizens' participation is centered on the city planning of the local government, the results can be improved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citizens can be improved.

      • KCI등재

        도시융합예술교육 매개활동을 통한 도시 고령화 인구의 회복탄력성에 관한 탐색적 사례연구 -문화적 평생학습도시로의 지향성(指向性)

        안지언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1 No.3

        본 연구는 최근 문화적 학습도시에 관한 논의가 뜨거워지면서, 인간은 문화적 존재임을 상기하며 시작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도시화와 고령화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바, 도시 속 고령화 된 인구가 조화롭고 아름답게 자아 대통합을 이뤄가는 것은 주요한문제겠다. 상기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문화적 평생학습도시로의 지향성과 시니어 문화예술활동 사례를 통한 회복탄력성의 유의미성을 검토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러한 배경과 함께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는 고령화 인구를 대상으로 회복탄력성을위한 도시융합예술교육 가능성을 진단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문헌연구를 통한 탐색적 사례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고령화 인구로 ’시니어(50+세대 이상)‘를 고령화 인구로 조작적 정의함으로서 시니어라는 용어를 적극 사용하고자한다. 연구방법은 탐색적 사례 연구로서 도시융합예술교육의 현황과 사례를 분석함에 유용함을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의 독특한 도시화 과정과 고령화, 시니어세대의 특징을 문헌연구를 통해 기술함으로 연구대상의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돕도록 기술하였다. 더불어 도시와 회복탄력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정리함으로고령화 세대의 문화적 학습을 통한 회복탄력성의 중요성과 가능성을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시니어 대상 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시니어 교육의 주를 이루는 시니어에 관한(about), 시니어를 위한(for), 시니어에 의한(by)을 기준으로 국내와해외의 도시융합예술교육의 실천사례를 알아보았다. 사례를 통한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쨰공급자중심이 아닌 수요자중심의 시니어 여가교육 체계구축이다. 두 번째로 ’시니어‘개념의 혼선에 따른 정책적 정리이다. 세 번째로 노년기 ’창의적 욕구‘에 따른 ’세분화‘된 시니어 도시융합예술교육의 설계이다. 네 번째로 노년기 회복탄력성은 당사자성(by)에 의한융·복합 시니어 문화예술활동으로 이뤄져야 함이다. 현재의 시니어 교육을 위한 국내의 국가적/ 지역사회의 정책적 지원을 보면 여전히 답보상태임을 느끼게 되며 개인차원과 더불어 도시를 학습망, 문화학습의 장으로 인식하는 관점의 전환, 대대적인 혁신의 그림들이 필요한 시점이다(안지언·이병준, 2020). 다변화되고 가속화되는 고령화 사회 속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도시화, 고령화에 관한 건강한 해결책중에 도시융합예술교육의 매개활동이 문화적 학습에관한 단초가 되길 바라며, 본 연구의 한계인 도시속 추후 연구 제언 하였다. 먼저는 문화예술교육 현장 진단을 통해 도시융합예술교육의 역할과 매개성을 깊이있게 고찰해야겠다. 더불어 학습 문화도시를위해 기존 문화역량 선행 연구를 기초로 한 학습도시 관점으로의 문화역량(Index)개발, 학습연결망을 위한 과정적 시스템, 체계, 요소, 책무에 관해서도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겠다.

      • KCI등재

        문화예술적 도시재생 사례 비교분석 - 일본 가나자와시 시민예술촌과 대구광역시 삼성창조캠퍼스를 중심으로

        하지만 ( Ha Jima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2

        (연구배경 및 목적) 1960년대 이후 대한민국의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도시 공간구조가 급격히 변화하고 도시 인구증가에 따른 주택부족 현상을 겪게 된다. 주택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 중에 재개발 정책이 제시되었지만, 경제 위기와 노령화 등으로 도시구조가 변화되면서 도시의 쇠퇴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2013년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어 도시재생사업이 시작되었다. 해당 사업 중에는 문화와 예술을 활용한 도시재생이 강조되고 있으며, 지방 자치단체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도시 육성방안과 타 국가 및 지역의 성공 사례 벤치마킹이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다른 국가들의 성공 사례를 면밀히 분석하지 않은 일방적인 모방은 다양한 문제점을 동반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문화 도시재생 산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일본의 가나자와시의 '시민예술촌'과 대구의 '삼성창조캠퍼스'를 비교하고, 도시재생이 도시에 미치는 파급효과와 문화도시재생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첫째, 문화예술적 도시재생과 관련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문화예술적 도시재생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5가지 측면에서 선별하여 비교 분석을 실시한다. 둘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도출한 5가지 측면을 바탕으로 사례를 비교 분석한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비교분석에 대한 결과제시와 함께 문화예술적 도시재생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필요 요건을 제안한다. (결과) 한일 사례를 비교·분석한 결과, 5가지 측면 중 경제적 효과와 재생 효과는 예술 공간을 통한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 그리고 벤처 기업 생산을 유도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하고 있다고 확인되었다. 하지만, '시민예술촌'의 적극적인 민관협력 관계와 달리 '삼성창조캠퍼스'는 민관의 원활하지 못한 운영방식 및 예산 문제 등의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문화도시재생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는 민관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결론) 문화예술적 도시재생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분에서 시행 중인 도시재생이 올바른 방향으로 가기 위해서는 민주적 커뮤니티 재생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를 위해선 사업 전과 후에 구성원들 간의 지속적인 의사소통, 네트워크 형성, 민관협력, 유연한 재원 조달 방식이 중요할 것이다. 이러한 원칙은 가나자와의 '시민예술촌'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사례는 단순한 외관의 변화와 관광객 유입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이 아닌, 주민이 주체가 되는 형태의 도시재생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민주적 도시재생은 주민참여와 운영, 정부 및 민간 기업의 협력을 통해 구현되어야 하며, 이는 도시재생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향이라 할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transformative forces of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South Korea since the 1960s have reshaped the country's urban fabric, intensifying housing shortages alongside population growth. While governmental interventions introduced redevelopment policies to alleviate these housing deficits, cyclic economic downturns and demographic shifts, particularly an aging population, have compounded issues, leading to instances of urban decay. Responding to these multifaceted urban challeng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enacted the Special Act on Urban Regeneration Promotion and Support in 2013, signaling a pivotal juncture in urban policy geared towards fostering cultural and artistic elements within urban renewal initiatives. However, unilateral imitation without thoroughly analyzing successful cases from international models has revealed various issues. Thus, this study aims to carefully analyze and compare successful cultural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etween the Kanazawa Citizens’ Art Center and the Daegu Samsung Creative Campus to understand their effects and future directions. (Method) This study first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and artistic urban regeneration in five aspects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ultural and artistic urban regeneration. Second, based on the five aspects derived from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case studies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the final conclusion, along with presenting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essential conditions for the sustainability of cultural and artistic urban regeneration are proposed. (Result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cases confirmed that among the five aspects, economic effects and regeneration effects induce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through artistic spaces and activate the local economy by inducing the production of venture companies. Unlike the Kanazawa Citizens' Art Center, operational challenges such as inefficient methods and budgetary constraints were identified at the Samsung Creative Campus. Differences in public-private partnerships between the case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uch collaborations for sustaining urban renewal efforts. (Conclusion) Democratic community regeneration is essential not only for cultural and artistic urban regeneration but also for various aspects of ongoing urban regeneration. For this, continuous communication among stakeholders, network formation, collabora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flexible resource mobilization methods before and after the project are crucial. These principles are evident in the case of Kanazawa's Citizen Art Village, which provides insights into the necessity for citizen-led urban regeneration rather than mere superficial changes and tourism-oriented program design. Democratic urban regeneration should be achieved through resident participation and operation, as well as collaboration between government and private enterprises, which can secure the sustainability of urban regeneration.

      • KCI등재

        문화적 사막지대를 예술과 문화의 중심지로 바꾸기까지-싱가포르 미술과 문화의 변천사 및 21세기 문화예술진흥계획에 대한 검토-

        ( Joyce Fan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일감부동산법학 Vol.8 No.-

        20년 이상 걸친 계획을 통해 과거의 `문화적 사막지대`로 불리던 곳에서 21세기의 문화와 예술의 중심지가 되기까지 싱가포르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특히, 빠르게 세계화 되어가는 사회 속에서 현지인들에게 자국의 정체성을 인식하게 하는 데에 예술이 매우 효과적임을 인식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싱가포르는 국가 형성 초기의 모습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싱가포르는 문화와 예술의 중심으로 우뚝 서기 위해 `아시아의 르네상스 도시`가 되겠다고 선언하였다. 르네상스 도시계획은 `문화예술자문위원회`(The Advisory Council for the Arts and Culture)의 조언에 따라, 문화와 예술을 활성화시키고, 이에 필요한 도시의 제반 기능을 향상시키며, 대중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세 단계로 진행되어 왔다. 1989년 사회에 문화와 예술이 가져오는 변화에 대해 연구한 Advisory Council for Culture and the Arts (ACCA) 사업계획서의 발표로부터 10년 후, 21세기를 맞이할 준비를 하기 위한 첫 번째 르네상스 도시계획(RCP) 이 시작되었다. RCP는 공업경제에서 지식경제시대에 이르기까지, 싱가포르가 `국제 문화의 도시`가 되기 위한 로드맵이다. 2005년 르네상스 도시계획 2.0은 르네상스 도시계획 프로젝트들 중 가장 짧은 시간 지속된 계획으로, 역시 싱가포르를 `세계 문화의 중시도시`로 만들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2차 르네상스 도시계획은 이후 2008년에 발족하게 되는 제3차 계획을 준비하기 위해 일곱 가지 면에서 분위기 형성을 마쳤다. 제3차 르네상스 도시계획은 `비전, 전략적 방향성, 그리고 진취성`을 모토로 2008년부터 2015년까지 7년간의 계획으로 시작되었다. 특히, 제3차 르네상스 도시계획은 싱가포르를 국제사회에 알리는 데에 더욱 집중하고 있다. 제3차 르네상스 도시계획은 싱가포르의 문화경관을 한층 더 발전시켜, 이 도시국가를 예술과 문화의 중심지로 만들어나가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현재, 싱가포르는 2015년 국립 아트갤러리의 개장을 기다리고 있다. 이렇듯 예술성을 충분히 인정받았고 향후에도 계속해서 인정받을 싱가포르를 어쩌면 “문화적 오아시스”라고 부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활용한 도시정책 사례 연구 : 성남시를 중심으로

        박지연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0 No.4

        문화예술교육은 도시속의 삶의 질과 도시의 경쟁력을 함께 추구하는 도시정책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시민문화‧조직문화의 생성과 문화역량에 기반을 둔 시민‧전문가의 성장 및 육성은 성공적인 도시의 조건이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나라의 문화예술교육 사업은 개인의 미적발달이라는 축소된 의미로 여겨지고 있어 도시와 공동체로까지 확대되어 이해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도시와 학습도시, 창조도시 등과 같은 도시담론들의 핵심가치를 관통하여 전략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맡은 수 있는 것은 문화예술교육임을 강조하면서 도시관점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을 ‘도시문화예술교육’이라 명명하며 그 의미를 살펴보고, 짐멜(G. Simmel)의 ‘문화’와 ‘교육’, ‘친교’에 대한 논의를 통해 그 근거를 제시하려고 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활용하여 도시정책을 펼치고 있는 도시로 성남시를 선정하고 성남시가 추구하는 비전과 정책목표, 핵심가치, 주제와 영역들의 규명을 통해 정책현장에서 문화도시․학습도시․창조도시 정책의 연계유형 모형도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성남시의 도시정책에서 문화예술교육이 어떠한 전략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밝혀내고자 한다. Until now, studies on urban policy has been consistent in individual observation of key words, learning city‧cultural city‧creative city, rather than focused on how learning, culture and creativity should be related under the fundamental frame of city. In consideration of realities, planning and practice of policy, integrative perspective or multidisciplinary approach which is positively necessary is lacking considerably, so it's currently more important to investigate interconnections and joint core value of learning city‧cultural city‧creative city. In this context,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emphasize that cultural artistic education can play important roles strategically in consideration of core values of the discourse about cultural city, learning city and creative city and suggest the grounds through the discussion about 'culture', 'education' and 'friendship' of G. Simmel. This research will select Seongnam-si as a city which displays urban policy with values of cultural artistic education and suggest the connection type diagram of cultural city․learning city․creative city policy at the scene of policy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visions, politic goals, core values, subjects and fields of Seongnam-si. In addition, it intends to investigate the strategies and roles cultural artistic education is playing in urban policy of Seongnam-si.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활용한 도시정책 사례 연구 : 성남시를 중심으로

        박정현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0 No.4

        Until now, studies on urban policy has been consistent in individual observation of key words, learning city‧cultural city‧creative city, rather than focused on how learning, culture and creativity should be related under the fundamental frame of city. In consideration of realities, planning and practice of policy, integrative perspective or multidisciplinary approach which is positively necessary is lacking considerably, so it's currently more important to investigate interconnections and joint core value of learning city‧cultural city‧creative city. In this context,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emphasize that cultural artistic education can play important roles strategically in consideration of core values of the discourse about cultural city, learning city and creative city and suggest the grounds through the discussion about 'culture', 'education' and 'friendship' of G. Simmel. This research will select Seongnam-si as a city which displays urban policy with values of cultural artistic education and suggest the connection type diagram of cultural city․learning city․creative city policy at the scene of policy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visions, politic goals, core values, subjects and fields of Seongnam-si. In addition, it intends to investigate the strategies and roles cultural artistic education is playing in urban policy of Seongnam-si. 문화예술교육은 도시속의 삶의 질과 도시의 경쟁력을 함께 추구하는 도시정책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시민문화‧조직문화의 생성과 문화역량에 기반을 둔 시민‧전문가의 성장 및 육성은 성공적인 도시의 조건이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나라의 문화예술교육 사업은 개인의 미적발달이라는 축소된 의미로 여겨지고 있어 도시와 공동체로까지 확대되어 이해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도시와 학습도시, 창조도시 등과 같은 도시담론들의 핵심가치를 관통하여 전략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맡은 수 있는 것은 문화예술교육임을 강조하면서 도시관점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을 ‘도시문화예술교육’이라 명명하며 그 의미를 살펴보고, 짐멜(G. Simmel)의 ‘문화’와 ‘교육’, ‘친교’에 대한 논의를 통해 그 근거를 제시하려고 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활용하여 도시정책을 펼치고 있는 도시로 성남시를 선정하고 성남시가 추구하는 비전과 정책목표, 핵심가치, 주제와 영역들의 규명을 통해 정책현장에서 문화도시․학습도시․창조도시 정책의 연계유형 모형도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성남시의 도시정책에서 문화예술교육이 어떠한 전략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밝혀내고자 한다.

      • KCI등재

        창조도시 관점에서 본 도시의 뮤지엄 활용 확장성에 관한 연구 -서펜타인 갤러리 사례를 중심으로-

        양윤서 ( Yang Yoon Seo ),공용택 ( Kong Yong Tae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1

        도시발전의 관점이 경제도시에서 문화도시로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는 상황에서 많은 도시들이 창조성의 원천을 문화예술에서 찾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문화예술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이중 문화예술시설은 건립과 운영에 적잖은 자본이 투입된다는 면에서 가치 활용의 극대화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효율적 운영 및 활용성 확장으로 이어진다면 그 효용가치는 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측면은 도시의 문화시설 활용이 활성화 되어 있는 유럽의 문화산업 선진국에서는 이미 그 역할이 이행되고 있기도 하다. 본 연구는 창조도시 측면에서 도시의 문화 인프라를 통해 문화예술시설의 효율적 운영과 효과 극대화를 위한 뮤지엄 역할의 확장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사례는 연구자가 영국에서 직접 경험한 바 있는 영국의 서펜타인 갤러리(Serpentine Gallery)를 사례로 채택하였으며, 연구의 전개는 세계적 학자들에 의해 논의된 창조도시의 개념을 이론적 배경으로 연구자의 실제 현장 조사 경험과 자료를 토대로 전개하였다. 또한 관련 국내외 참고문헌과 자료를 2차로 분석하여 본 연구의 관점인 문화예술시설의 다양한 활용을 통해 도시의 문화 인프라에 대한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뮤지엄(Museum)의 기본 역할인 소장품 전시를 넘어 파빌리온 건축 프로젝트, 파크나이트 축제 등 하드웨어의 특징 및 유휴공간의 활용 및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이 특징이었으며, 지역 시민들의 아이디어와 관점을 공유하는 플랫폼 가치를 내재하고 있었다. 또한 고령화 등의 사회적 이슈에 초점을 맞춘 도시의 공공적 프로그램도 서펜타인 갤러리의 독창성 있는 가치로 나타났다. 창조도시의 역량을 강화하는 역할과 책임의 문화예술시설로서의 서펜타인 갤러리는 인프라 구축 이후 활용성이 낮은 국내 도시의 문화예술시설 기획과 운영 극대화에 있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Factors considered important in city development have expanded beyond economic aspects to include cultural variables as well. Many cities are trying to find and present creativity in art and culture, which are generally represented in cultural and art facilities. The value of these facilities could be enhanced if they were encouraged to make cultural contributions as well as display artifacts, as establishing and operating them are costly. The role of art facilities has already changed in culturally advanced countries, reflecting changes in how cities develo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the museu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eative City, a theoretical construct describing a paradigm change in city planning. The study focused on the Serpentine Gallery to explore diverse use of a cultural facility. Results showed the Serpentine Gallery used the space as not only display artifacts, but also many different purposes. They developed many programs that took advantage of misused space, including the Pavillion Project and Park Nights, and provided a space in which people could share ideas and perspectives on healthy ways to address problems related to ageing populations and regional state. They also concerns citizen`s wellbeing when they develop programs. The Serpentine Gallery`s operation boosted the city`s ability to resolve public concerns and promoted creativity, suggesting such facilitates could serve additional creative cultural and artistic roles in the present and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