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실 문화 개선을 위한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 초등학교 문학 수업의 유형

        곽춘옥 ( Chun Ok Kwak ) 국어교육학회 2008 國語敎育學硏究 Vol.33 No.-

        초등학교 문학 수업은 문학을 가르치기 위해 언어기능을 활용하는 `문학을 위한 수업`과 언어기능을 가르치기 위해 문학을 텍스트로 사용하는 `문학을 통한 수업`의 양상으로 나타난다. 모두 문학 수업으로서의 문학 감상과 언어 사용 능력 신장을 동시에 지도하여야 한다. `문학을 위한 수업`이 문학 수업이되 언어 사용과 함께 이루어지듯이, `문학을 통한 수업` 역시 수업의 주안점은 각 수업의 목표가 지향하는 언어를 사용하는 능력의 신장에 두되, 문학 감상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개정 교육과정의 문학 영역의 `실제`를 보면 `지식`은 <문학의 본질과 속성>, <문학의 양식과 갈래>, <한국 문학의 역사>로, `수용과 생산`은 <내용 이해>, <감상과 비평>, <작품의 창조적 재구성>, <작품 창작>의 내용으로 분류하고 있다. `지식`을 학습 목표로 반영한 수업은 `이해학습`이며 `수용과 생산`을 학습 목표로 반영한 수업은 `적용학습`이다. `지식` 중심의 이해학습에는 문학 지식 습득을 위한 수업과 문학 감상을 위한 방법적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학 수업의 이해학습일 경우 직접 교수법 모형, 지식 탐구 학습 모형과 문제 해결 학습 모형을 적용할 수 있다. `수용과 생산` 중심의 적용학습은 익힌 방법을 적용하여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과 비평을 하는 수업이 이루어진다. 적용학습이라고 해서 모두 반응 중심 학습 모형의 절차만을 따르지는 않아야 한다. `가치 탐구학습 모형`, `토의·토론 학습 모형`, `창의성 계발 학습 모형` 등 다양한 모형을 적용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 type of Literature teaching·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It is based on combination of Literature and language skill and `practice` in Literature curriculum. Literature teaching·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is teaching fiction and teaching through story. We should taught both Literature appreciation and language skill ability extension at teaching fiction and teaching through story. The content of `practice` in Literature curriculum is `knowledge` and `reception and production`. The comprehension instruction is content of `knowledge`. This might include knowledge about strategies, text and about genres. The application instruction is content of `reception and production`. This might include understanding of meaning and Literature appreciation. The comprehension instruction is able to use direct teaching, knowledge study learning, problem solution learning. The application instruction is able to use response center learning, value investigation learning, discussion·debate learning, creation developing learning.

      • KCI등재

        대학인을 위한 고전독해 및 토론 수업 방안

        이순옥(Lee Soon-Ok) 한국리터러시학회 2013 리터러시 연구 Vol.- No.6

        본고는 문학자료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를 활용하여 독서, 토론, 작문 수업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업모형을 제시한다. 즉 대학 수업과 정에서 언어 활용 능력 강화라는 측면에서 활용도가 높은 고전 텍스트를 어떻게 해독할 것인가, 해독한 텍스트를 어떻게 토론수업과 작문수업에 연계시킬 수 있는가하는 문제에 답을 찾고, 그 실제적인 과정을 모형으로 제시하여 언어활용능력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독서, 토론, 글쓰기를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통합적 수업방식은 의사소통능력의 배양 및 글쓰기 교육을 위한 기본적이고 일반적인 방법이며 교육적 효과도 높다. 본 수업모형에서는 체계나 의미면에서 통합성이 높은 문학텍스트를 활용했다. 문학텍스트는 언어 사용의 규범성과 자율성, 두 양극이 결합됨으로써 언어 표현적?내용적 조건을 충족시킨다. 문학텍스트의 언어조직 구조는 다각적인 해석이 가능하여 개인별 기대지평의 상이함을 통하여 자유로운 상상력을 발산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는 고전의 현재적 의미를 재해석할 수 있는 문학텍스트로, 글쓴이와 독자의 역동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읽기 자료이며, 다양한 논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토론 자료, 삶의 총체적 양상을 종합적으로 담고 있는 논술 자료로 적합하여 수업 자료로 선정했다. 수업은 『멋진 신세계』를 기본 자료로 활용하여 분석적 읽기 과정, 토론과정, 논술문 쓰기과정으로 구성했으며, 이들은 각자 독립적이면서 또한 유기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운용된다. 읽기 과정에서는 텍스트의 정확한 이해와 해석을 통한 글쓴이와 독자의 의사소통을 목표 삼아, 네 단계로 수업이 진행된다. 읽기의 각 단계는 글 속에 명시적으로 드러난 내용을 읽는 방법인 축어적 읽기, 텍스트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내용을 추론하며 읽는 방법인 추론적 읽기, 텍스트의 내용과 형식을 평가하며 읽는 방법인 평가적 읽기, 읽기를 통해 얻은 지식을 자신의 삶이나 사회에 적용하며 읽는 방법인 창의적 읽기로 구성된다. 네 단계 분석적 읽기가 심도 있게 원활하게 이루어질 경우, 이를 바탕으로 자유로운 토론, 깊이 있는 글쓰기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토론과정에서는 읽기 과정에서 이루어진 독해를 바탕으로 토론의 원리와 방법을 읽히고 구어적 표현능력을 배양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수업자료가 문학 텍스트라는 점을 고려해서 토론 방식은 주제토론과 피라미드토론을 단계적으로 적용했다. 또한 학습자들도 쓰기 과정에서는 문학 텍스트가 논술문의 제시문으로 선정됨으로써 문학과 논술은 상호유기적 관계일 수밖에 없다는 관점에서 문학을 통한 상상적 글쓰기와 논술을 통한 논리적 글쓰기를 통합하는 논술문 쓰기를 시도했다. 문학과 논술이 결합된 글쓰기는 정형화된 사고의 틀을 수정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도 가치가 있다. 그래서 논술문 쓰기 과정에서는 기존의 논술문이 논리적 측면에 치우쳐 문학 텍스트가 가진 장점을 제한했다는 점을 고려하여 논술문 작성에 상상적 글쓰기 요소를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즉 문학텍스트에 대한 공감적 읽기와 논쟁적 글쓰기 성격을 띤 비평적 글쓰기 형식을 결합한 즉 주관적 요소와 객관적 요소가 통합된 형태의 글쓰기를 지향했다. 수업현장에서 독서, 토론, 쓰기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교수·학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배양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본 수업형태는 읽고 토론하고, 글을 쓰는 작업이 어느 한 쪽으로 기울거나 치우치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고 그 결과 세 영역이 최상의 균형을 찾아 완벽한 정점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논리적 말하기, 논리적 글쓰기를 추구하는 만큼 문학과 논리가 조화를 이루는 이상적 접점이 명확히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이상적 가능태로서 연구자들이 끊임없이 추구해가야 할 목표로 존재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new model of teaching for reading, discussion, and composition proficiency for the university students using the literature text Brave New World by Aldous Huxley. It was found out that reading the classic text and connecting it to the discussion and composition part strengthens the ability of efficient use of language. This integrated reading was also found out as a practical model for preferable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practical language ability. Integrated Reading is a strategy that combines reading,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altogether and a very effective educational and basic tool for the improvement of the writing and communication ability. The text which is used in this study has high integrated aspects in terms of the meaning, and the system. Literature text like Brave New World by Aldous Huxley satisfies the efforts of language expression by combining the self imposed control & the normative law. It is possible for literature text to be translated in many ways and be related to produce free imagination according to different individual experiences. The book Brave New World by Aldous Huxley is a literature text that can be retranslated from the classic version to present version. It was chosen as the classic text material as it contains total aspects of living. For the reading process, the class was divided into 4 steps of reading with the aim of acquiring correct communication, reasoning, writing, and reading skill of the text. The reading steps were consisted of word for word reading step that placed great importance on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clearly revealed contents in the text, while logical reading focu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unrevealed contents in the text. The evaluated reading goaled with the contents & form while creative reading was for applying the subject of the text to one s life and society in general. When these 4 steps of reading were mastered, high level of discussion & writing would be possible. Learning the principle and ways of discussion is the aim of the colloquial cultivation of expressive ability. The way of choosing subject & pyramid discussion was adopted gradually to the class. Learners were not allowed to write separate essay but to try to write an integrated essay between imaginative writing and logical essay writing. Integrated writing was proved much more valuable in the sense that, it can correct the stereotyped way of thinking. So Integrated writing is positively accepted in logical writing as logical writing restricts imaginative side of literature text. Integrated reading combined with the critical writing makes it possible to read the text with great sympathy & imagination. Therefore, both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style of writing were strongly recommended. When the reading, discussion, and writing were done relatedly in the class, systematic and specific teaching would be possible as well as it w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university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and creative way of thinking. Each of reading, discussion and writing should not be leaned to one way process. Instead, 3 categories should be balanced and a tangential point should be suggested before reading the literature text.

      • KCI등재

        좋은 문학 수업의 기준과 요건 : 문화 현상으로서의 초등학교 문학 수업

        임성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6 No.-

        This study examined actual standard and condition of best Korean language instruction that perform in literary classroom. The investigation on literature instruction is lack at the Korean language instruction research history. It made difficulty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literary instruction with insufficiency on elementary level literary education study. So, we have to see it not static entity but dynamic phenomenon elementary school literary instruction at the access of literary culture. For this infertile literary instructional actuality, elementary school literary teacher and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ers must attention to not open instruction but everyday life instruction. It is based on children's literature culture. We have to conquer formalism and analytic curriculum system and textbook literary subject. It emphasis cultural context of elementary literary instruction and basic quality of children's literature. Accordingly, lifetime enjoyment of children's literature are tightly combine elementary school literary instruction. 이 연구는 초등학교 문학 교실에서 실제적으로 실천될 수 있는 좋은 문학 수업의 기준과 요건을 탐색하려는 시도이다. 실제로 지금까지의 국어 수업 연구사의 현황에서 다른 영역의 연구와 대비해 볼 때, 문학 수업에 대한 탐구는 결여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한 점은 초등학교 층위의 문학 교육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과 맞물려 실제 초등학교 문학 수업의 개선을 어렵게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문학 수업을 움직이지 않는 ‘정태적 개체’로 볼 것이 아니라 살아 움직이는 ‘동태적 현상’으로 파악하는 문학 문화론적 접근이 요청된다. 척박한 문학 수업 현실을 뛰어넘기 위해 초등 문학 교사와 문학 교육 연구자 그리고 아동문학 연구자들이 주목해야 할 점은 남에게 보이기 위한 ‘공개 수업’이 아니라 문학 교사가 아이들과 함께 1년이라는 시간 동안 일상적으로 펼쳐나가야 할 아동문학에 기반을 둔 ‘생활 수업(life instruction)’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해야 한다는 당위적 전제이다. 형식주의와 분석주의에 침윤된 초등 문학교육과정과 교과서 문학 제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도 초등 문학 수업의 문화적 맥락과 아동문학의 기본적 특성에 대한 본질적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야기 들려주기와 아동문학 작품에 대한 생각 나누기, 그를 통한 아동문학의 생활화와 이어지는 초등 문학 수업의 실천을 통해 아동들의 문화 향유를 문학 수업을 통해 구현하는 초등 문학 수업 현상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의 온라인 문학 수업에 관한 교수자의 인식 연구

        박치범 ( Park Chibeom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70 No.-

        이 연구는 대학의 온라인 문학 수업에 관한 교수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구체적으로 살피고, 대학의 온라인 문학 수업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탐색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온라인 문학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교수자 4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참여자들은 온라인 수업이 갑자기 도입되면서 문학 수업의 특성에 맞는 온라인 수업 방식을 선택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대면 수업에 비해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였다. 학교의 지원에 있어 소프트웨어 지원은 조금 나았지만 하드웨어 지원은 상당히 부족한 편이었다. 또 참여자들은 온라인 수업을 맞춤 수업이지만 소통이 어려운 방식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온라인 문학 수업에서 나타난 문제나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식은 대부분 교수자의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이번 면담은 문학 수업의 핵심인 ‘참여’와 ‘소통’을 온라인 수업 공간에서 구현하기 위해 참여자들이 펼친 고군분투의 기록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면담의 결과 대학의 온라인 문학 수업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온라인 문학 수업 방식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인프라나 강의 규모 등의 요인을 적극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 본부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직급에 따라 큰 차이가 나타나는 지원 방식도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온라인 문학 수업에서의 소통을 지원하고 촉진하기 위한 플랫폼 구축과 교수·학습 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온라인 문학 수업의 과정에서 교수자가 저작권 문제에 방해받지 않고 적절한 자료를 활용할 수 있고, 자신의 저작권이 침해받지 않도록 하는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e study aims to specifically examine professo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online literature classes at universities and explore the conditions necessary to improve online literature classes at universit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with four professors who had experience in conducting literature classes online at universities. Interview participants had difficulty choosing an online class method that matched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classes with the sudden introduction of online classes, and spent more time and effort than face-to-face classes. Software support was a little better in supporting university, but hardware support was significantly lacking. Participants also recognized that online classes are customized classes, but they are difficult to communicate. And the way to solve the problems and difficulties that emerged in online literature classes was to devote most of the professor's time and effort. Nevertheless, participants have become more or less positive about online literature classes than before in 2020. This was a change in perception as a result of the new experience of online classes, which had been vaguely thought. Meanwhile, the interview resulted in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improving online literature classes at universities. Firs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mprove factors such as infrastructure and lecture size that affect determining online literature teaching methods. Second, the support, which is centered on the university headquarters and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should also be improved.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tform and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support and promote communication in online literature classes. Fourth, in the online literature class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evice that allows professors to use appropriate materials without being disturbed by copyright issues and prevents their copyrights from being infringed.

      • KCI등재

        초등학교 문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임교사의 실천적 지식 변화 양상

        신헌재,반윤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8 No.-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직 생활에 처음 발을 내딛는 초임교사의 문학 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 형성 과정과 변화 양상에 대해 연구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직전교육에서 습득한 문학교육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어떻게 자신만의 지도 방법을 구성해 나가며 그 과정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을 어떻게 해결해 나가는지 한 초임 교사의 수업을 관찰하고 분석하면서 그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변화 과정을 살펴봄으로서 초임교사 뿐 아니라 경력 교사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문학수업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거제시 소재 초등학교 4학년 담임을 맡고 있는 신규발령 초임교사인 K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4학년 한 학기 동안 지도한 국어교과 중 문학 단원을 중심으로 하여 총 17차시의 수업을 분석하였다. 매 수업이후 교사가 작성한 반성 일지 및 심층 면담을 바탕으로 하여 초임교사가 문학수업을 임하는 데 있어 생기는 딜레마와 문학 수업에 대해 변해가는 이미지, 원리, 전략을 질적 연구를 통하여 그 양상을 기술해 보았다. 그 결과 문학에 대한 교사의 이미지 변화, 차시 목표 도달 중심으로 이끌어가는 분석과 이해 위주의 수업, 아동의 표현력 신장을 위한 수업 구성의 측면에서 변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formation process and changing aspects of practical knowledge of a teacher newly appointed a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Lessons of the newly appointed teacher were observed and analyzed to find out how the teacher builds up his own way of teaching based on the theory of literature education he acquired in the education he took just before and how he overcomes the difficulties he comes to experience in the process, and the aspect of change was reviewe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ought to be in providing information about what methods of literature lessons there are which can be a practical help not only to newly appointed teachers but also to teachers with careers by reviewing such process of change. Total 17 lessons were analyzed with the literature units of the Korean language that K, a teacher newly appointed as a elementary teacher in Geoje city, teaches for one semester as a central figure. The aspects of the dilemma that a newly appointed teacher experienced and changing image, principle and strategy of the literature lessons were described through the lesson dialog that K keeps after every classes and deep interview with qualitative study. As a result, the changing aspects were found out under the side of image change of a teacher, analysis for accomplishment of the next target, the lesson focused on understanding and construction of lesson for better understanding of juvenile.

      • KCI등재

        한국어 고급 학습자 대상 한국문학 교육의 목표와 수업 방안 연구 - 김애란의 「나는 편의점에 간다」를 중심으로 -

        양가영 ( Yang¸ Ga-young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43

        한국어와 한국학에 대한 교육의 수요가 비약적으로 늘어감에 따라, 한국문학 교육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고 심화시켜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 교육의 목표를 재정의하고, 그에 따른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논의에서 한국문학 교육은 내용, 목표, 방안을 문학성에 기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학 교육의 목표에서 문학성을 고려하지 않았거나, 문학성을 고려하였지만 한국문학을 타자화시키거나, 문학성을 고정된 이론적 지식으로 규정하는 한계를 보였다. 이런 이유로, 한국문학 교육의 목표에 대한 논의가 심층적으로 진행될 수 없었고, 그에 따라 교육 방안 또한 문학성을 반영하여 제시되지 못했다. 본고는 이러한 비판적 검토를 바탕으로 하고, 김인환과 윤혜준의 논의를 참고하여, 문학 교육의 목표는 학습자의 체험와 문학의 조우이며, 교육자는 이를 위해 문학적 지식을 준비하고 학습자와 문학의 조우에 민감하고 적절하게 반응하며 도와야 함을 밝혔다. 여기서 문학성을 구성하는 문학적 지식은 문헌학, 해석학, 수사학의 층위로 구분할 수 있고, 외국인 학습자에 대해서는 세 층위에서 한국 학생에게 필요한 내용과는 다른 준비가 필요하다. 이는 학습자의 문화적, 역사적, 사회적 배경 그리고 한국어 능력에 기반하여 각기 다르게 파악해야 한다. 특히, 본고에서는 이를 위해 학습자의 문화, 역사, 사회를 교육자가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학습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한국문학 교육의 목표를 전제할 때, 교육에서 그 문학성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하고, 문학성이 있는 작품은 어려운 작품이라는 기존의 논의에 반박하였다. 문학성이 풍부한 작품은 그 문학성으로 인해 흥미와 공감을 유발하여 교육에서 용이할 수 있으며,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학 교육은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고, 고전보다는 현대문학에 대한 교육이 요구됨을 밝혔다. 나아가 한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문학 교육은 그 한계를 구분하고, 한국문학 교육으로 고급 학습자를 이행시키는 과정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보였다. 「나는 편의점에 간다」가 이와 같은 문학성과 용이성을 담보할 수 있는 작품임을 보이고, 한국문학 교육의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과 의의를 검토하고, 수업 방안을 제안하였다. 「나는 편의점에 간다」의 수업 과정에서 문학 향유의 목표 달성을 위해 담론-대화 중심의 수업 방안의 적합성을 분석하였고, 기존의 논의에 대한 반성적 재고로, 학습자의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감상과 이해 그리고 표현이 중요함을 밝혔다. 「나는 편의점에 간다」는 소통, 결여, 자본에 대한 문학적이고 철학적인 통찰을 담고 있는데, 이는 어려운 듯이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현대 사회와 그 속에 존재하는 인간의 보편적인 삶에 대한 철학적이고 사회학적인 전제이다. 이와 같이 깊이 있는 사고와 감각의 전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문학적 교재는 한국어 고급 단계의 성인 학습자에게 삶의 문제를 함께 생각하게 하는 충족감까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국문학 향유의 결과는 고급 한국어의 학습을 포함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학습자가 문학 작품을 향유하는 과정을 주도하는 형태의 수업으로 담론-대화 중심의 수업 방안을 적합하다고 보고, 「나는 편의점에 간다」의 수업 방안을 실례로 제시하였다. 「나는 편의점에 간다」를 이해하기 위한 대표적인 세 담론인 소통부재, 결여,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소외로 정리하고, 「나는 편의점에 간다」의 수업 방안을 계획 단계, 수업 단계, 외부로의 확장 단계로 나누어 설계하였다. 그 결과로 「나는 편의점에 간다」가 용이성과 문학성 그리고 현재성을 가진 한국문학 수업의 교재로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수업에서 최대한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문학성을 향유할수록 고급 한국어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나는 편의점에 간다」를 대상으로 하는 문학 향유의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소통, 결여, 자본에 대해 문학적으로 그리고 철학적으로 느끼고 사유하게 된다. 언어는 표현의 단계뿐만 아니라 사유와 감각의 단계에서도 작용한다. 끝으로, 「나는 편의점에 간다」는 이와 같이 고급 한국어 교육 또한 다층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교재이며,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문학 교육은 각 수업이 포섭할 수 있는 문학성을 명료하게 인지하고 진행되어야 함을 밝혔다. 이를 통해, 문학이 트랜스내셔널한 양상으로 배제되고 소외되는 노동과 소비의 현실에서 소통과 연대의 가능성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였다. As the demand for education for Korean and Korean studies has increased dramatically, the need to expand and deepen discussions about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s increasing. Accordingly, I redefine the goal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for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suggested a teaching plan. As the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the previous discussions didn’t consider literary nature analyzing content, goals, and method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the objective of the education were discussed without profound study on literary character. For this reason, an in-depth discussion of the goal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could not be conducted, and accordingly, the educational plan was not reflected in the literature. Being based on this critical review, and referring to the discussions of Kim In-hwan and Yoon Hye-jun, the goal of literary education is the encounter of the learner’s experience and literature, and the educator prepares literary knowledge for this and is sensitive and appropriate to learners’ and literature’s encounters. Educator needs to respond enthusiastically to help the students make their experiences encounter literature. Here, the literary knowledge constituting the literary characristic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demenscions of philology, hermeneutics, and rhetoric, and educator need to prepare for the knowledge foreign students need differently from Korean students depending on their cultural, social, and historical background, and Korean proficiency. In particular, this paper emphasized the need for educators to actively understand and learn the learner’s culture, history, and society. When presupposing the goal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sufficient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literary nature in education, and the existing debate that literary works are difficult works was refuted. The literature that is rich in literary nature can be facilitated in education by inducing interest and empathy due to its literary nature manly hermeneutics and rhetoric. Besides, literature education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needs to be studied for adults, and education for modern literature rather than classics is required considering literary nature. Furthermore, it was shown that the Korean literature education, which is being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needs to be distinguished by its limitations and progressed to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advanced learners to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 Go to Convenience Store shows that it is a work that can secure such literary and ease at the sametime, and examines the possibility and significance to realize the goal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suggesting a teaching exampl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appreciating literature in the course of I Go to Convenience Store I analyz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discourse-conversation-oriented teaching method, and as a reflective re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discussion, emphathyzing learner ’ s voluntary and leading appreciation and expression of it. I Go to Convenience Store contains literary, philosophical and social insights about communication, lack, and capitalism, which may seem difficult. However, this is a philosophical and sociological premise of the modern society and the universal life of human beings now. The literary text that affects the entire process of deep thought and sensation as described above can enable the adult learners at the advanced level of Korean to think about the foundation problems of life. The results of this appreciation of Korean literature must include learning advanced Korean language. In this way, as a form of instruction that leads learners to appreciate literary works, the discourse-conversation-oriented teaching method is considered appropriate, and the teaching method of I Go to Convenience Store is presented as an example. The three main discourses to understand I Go to Convenience Store are summarized as absence of communication, lack, and alienation in a capitalist societ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 go to a convenience store” is suitable as a textbook for Korean literature classes with ease, literary and presentness. In the class, the more students learn and lead literacy, the more advanced Korean learning can be achieved. In the process of appreciating literature aimed at I Go to Convenience Store learners feel and think literarily and philosophically about communication, lack, and capitalism. Language works not only at the stage of expression but also at the stage of thinking and sense. Lastly, I Go to Convenience Store is a textbook that can be achieved in a multi-layered way as well as high-level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education need to recognize that it could cover where their class cover the literary nature of the work. Through this, it was shown that literature can contribute to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in the reality of labor and consumption that is excluded and alienated as a transnational aspect.

      • 문학 토론 수업의 교육적 토대 규칙을 위한 기초 연구

        심영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7 학교와 수업 연구 Vol.2 No.1

        교육적 토대 규칙이란 교실 담화가 전개되는 ‘맥락의 제어 양상’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문학 토론 수업 맥락의 제언 양상을 수립하고 개선하는 데 있다. 이 작업은 문학 토론 수업의 본질과 수업 설계, 그리고 수업 실행 및 반성을 탐색하고, 문학 토론 수업의 주제와 쟁점을 탐구하면서 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활동 규칙은 다음과 같다. 문학 토론 수업은 인간다움을 발견해야 한다. 문학 수업 설계와 실행, 그리고 성찰은 문학 작품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문학 작품의 이해와 감상은 토론 쟁점과 논제에 대한 것이어야 한다. 주장과 논박은 문학 작품의 인물의 입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끝으로 교육적 맥락과 통제는 학습자가 자신의 일상적인 삶과 문학 텍스트를 연결하는 데, 자료와 토론 정보를 획득하는 데, 문학 작품의 감상과 이해를 하는 데, 문학 작품의 의미를 일반화하는 데, 그리고 문학 토론 수업의 성찰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

      • KCI등재

        메타버스 기반 의료인문학 수업 운영경험과 적용 가능성 탐색

        이애화,박원균,박혜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Exploring Experience and Applicability of MetaverseBased Medical Humanities CourseAehwa Lee, Wonkyun Park, & Hyejin Park Abstract: In this study, while online education is becoming common due to COVID-19, medical humanities courses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were operated and the course satisfaction, social presence, usefulness and improvement points were analyzed from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our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 people who took a medical humanities course during their 2nd year of medical and the research methods wer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arners recognized that metaverse-based classes were novel and curious. Second, the result of social presence analysis w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class satisfaction. Third, the usefulness of the class was shown to be the flexibility of the new class method,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ing, change in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rest in game-based learning.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improvement points of the class required metaverse- based digital literacy competency, class design and educational content development, and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metaverse and expansion of the sense of presenc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necessary implications for metaverse-based education were presented and tasks for future development were suggested. Key Words: Medical Humanities, Metaverse, Course Satisfaction, Social Presence, Metaverse- based Education 메타버스 기반 의료인문학 수업 운영경험과 적용 가능성 탐색이 애 화**ㆍ박 원 균***ㆍ박 혜 진**** 요약: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교육이 일반화되고 있는 가운데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의료인문학 수업을 운영하고, 수업에 참여한 학생으로부터 수업만족도, 사회적 실재감, 수업의 유용성과 개선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의학과 2학년 중에 의료인문학 수업을 수강하는 19명이었고, 연구방법은 기술통계분석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메타버스 기반 수업을 참신하고 호기심을 유발한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사회적 실재감 분석 결과는 수업만족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수업의 유용성은 새로운 수업방식의 유연성과 적극적인 학습 참여, 의사소통방식의 변화, 게임기반학습에 대한 흥미 유발로 나타났다. 넷째, 수업의 개선점은 메타버스 기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업설계 및 교육콘텐츠 개발, 메타버스의 기술적 발전과 실재감 확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메타버스 기반 교육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발전을 위한 과제를 제언하였다. 핵심어: 의료인문학, 메타버스, 수업만족도, 사회적 실재감, 메타버스 기반 교육 □ 접수일: 2022년 1월 14일, 수정일: 2022년 1월 30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이 논문은 2021학년도 을지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 ** 주저자,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교육지원센터 조교수(First Author, Professor, Keimyung Univ., Email: verysnow@dsmc.or.kr)*** 공동저자,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교수(Co-author, Professor, Keimyung Univ., Email: wkpark@dsmc.or.kr)**** 교신저자,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조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Eulji Univ., Email: parkhj@eulji.ac.kr)

      • KCI등재

        독자반응이론(Reader-Response Theory) 및 이야기 구조(Story Structure)기반 중학교 영어 학습자 문학 읽기지도 모형개발

        김민숙(Kim Min Sook),박성수(Park Seong 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1

        본 연구는 중학교에서 영문학 작품을 이용한 읽기 수업모형 개발과 현장적용을 통해 영어 교육과 문학 교육 목적에 부합하는 효과적인 영문학 읽기 수업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우선 문헌 연구를 통하여 문학 텍스트 선정과 문학 읽기 수업모형에 대해 알아보고 언어 학습자 문학과 영문학 읽기수업 및 수업모형에 대 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교실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독자 반응이론 기반 이야기 구조를 활용한 중학교 영어 학습자 문학 읽기 수업모형을 개 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적용 가능성, 적합성, 효과성 등을 알아보기 위해 영어교육 전문가 4명의 평가와 중학생 15명을 대상으로 파일럿팅 수업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수업모형 수정·보완에 필요한 항목을 추출하고 개발한 수업모형의 정교화 과정에 반영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교사중심 읽기 수업 방식을 통해 문학 텍스트를 지도하는 것은 학생들의 능동적인 읽기 활동 을 저해하고 문학 텍스트의 교육적 효용 가치를 떨어뜨리므로 독자반응을 토대로 한 문학 읽기 수업모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중학생 지도를 위한 언 어 학습자 문학 읽기 수업모형을 개발함으로써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문학 텍스트 읽기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셋째, 본 수업모형의 적용을 통해 영어 읽기 능력, 표현 능력에 해당하는 쓰기·말하기 능력 및 자신감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useful reading teaching model with English literature for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and analysis of relating precedent research, this study developed a teaching model of reading language learner literature for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a story structure based on reader-response theory, and conducted a piloting class for 15 middle school students. Also 4 English education specialists evaluated the teaching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lead the conclusions to be as follows. First, for teaching of literary texts, the existing teacher-centered methods of teaching reading generally impedes the active reading activities of students and decreases the educational value of literary texts. Thus, it is suggested to use a teaching model of reading language learner literature for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a story structure based on reader-response theory. Second, this study proposes a direction applicable at the scene of class in Korea for reading literary works by developing a teaching model for reading language learner literature in class. Third, the application of this teaching model is expected to improve general English skills: writing and speaking as well as reading and their self-confidence in English reading ability and reading long texts.

      • KCI등재

        문학 수업과 정서적 지원에 관한 학습자의 인식 연구 - 초 · 중 · 고생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박치범 ( Park Chibeo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9 한국어문교육 Vol.28 No.-

        이 연구는 문학 수업에서 정서적 측면을 다루는 것과 관련된 학습자의 인식을 살펴볼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서 응답자들은 스스로 문학 작품 읽기를 선호하고, 문학 작품을 읽고 잘 감동하는 편이며, 감동을 나누는 일의 필요성에 긍정적으로 답했다. 그러나 자신이 문학 작품에서 받은 감동을 자주 표현한다는 데에는 중립적으로 답했다. 또 스스로 문학 수업이 중요하다고 답했지만, 문학 수업에 대한 선호에는 더 낮은 점수를 매겼고, 문학 수업의 효용 중 ‘감정의 경험’에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했다. 한편 응답자들은 스스로 문학 수업에서 자신의 감정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편이 아니며, 동료 학습자 또한 그러하다고 답했다. 아울러 문학 작품에 관한 자신의 감정을 더 다양한 방법(매체)으로 표현하거나 자신이 좋아하는 장르의 작품을 대상으로 이러한 활동을 하고 싶어 했다. 그러나 교사나 동료 학습자와 더 자주 질문을 주고받거나 감정을 공유하는 일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부여하였다. 한편 설문 전체적으로 남녀 간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고, 중학생이 ‘문학 수업에 대한 생각’에서, 초등학생이 ‘정서적 반응과 관련하여 문학 수업에 바라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매긴 점은 특기할 만하다. 이러한 해석은 문학 수업과 문학 교육에서 감정을 다루는 적절한 방식에 대한 면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learners’ perceptions regarding the handling of emotional aspects in literary class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conducted. In the questionnaire,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preferred to read literary works, tended to feel impressed, and affirmed the need to share emotions with others. However, they responded neutrally to the question regarding whether they often expressed the impressions they received from literary works. Also, while they answered that the literature class was important, they gave lower scores to the preference for literature class and gave the highest score to the 'emotional experience' among the benefits of literature class. Respondents, on the other hand, answered that they, including their classmates, did not express their emotions positively in literary classes themselves. In addition, they wanted to express their feelings about literary works in more diverse ways (media) or perform these activities on works from their favorite genres. However, they gave relatively low scores to activities involving exchanging questions and sharing emotions more frequently with teachers or colleag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