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현대 문예 매체에 발표된 김광주의 문예 비평에 대한 소고 - 신 발굴 중국어 자료들을 중심으로 -

        김철 한중인문학회 2015 한중인문학연구 Vol.47 No.-

        본 논문은 조선과 중국의 현대문학이 기틀을 마련해가던 20세기 30년대 초반, 김광주의 상해지역 문필활동과 관련하여 최근 중국에서 새롭게 발굴한 자료들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고그 학문적 가치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1930년대 중국 상해지역에서 발행되었던 신문·잡지에김광주가 중국어로 발표한 문학 및 영화예술과 관련한 발표작 6편이 처음 발굴되어 중·한 현대문학 교류 양상을 이해하는 데에 주목을 끌고 있다. 본 논문은 해당 자료들에 대한 대체적인 내용 소개와 함께 그 문학적·자료적 가치에 대해 나름의 평가를 진행하였다. 새로 발굴된자료들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첫째, 이번에 발굴된 자료들은 김광주가 중국에서 중국어로 발표했거나 번역한 글들로서아직까지 학계에 알려져 있지 않은 자료라는 데에 의미가 있다. 현재까지 김광주는 중국 현대문학을 한국어로 국내에 번역 소개한 번역자, 수용자, 전파자로만 알려졌었다. 이런 상황에서중·일·한 문학과 서양의 영화예술을 중국어로 소개, 비평 또는 번역한 자료가 발굴되었다는것은 그의 역할을 새롭게 다면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하는 계기가 된다. 둘째, 새로 발굴한 자료들은 김광주의 중국행적과 문필활동 상황을 좀 더 확실하게 규명해보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최소한 1935부터 1938년까지의 문필활동 상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근거들을 찾은 셈이다. 그리고 그의 중국에서의 행적에 대한 연구에도 일정한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셋째, 본 논문에서 제시한 자료들은 김광주의 문학적 성향과 중국문학에 대한 인식은 물론자국문학에 대한 인식과 태도들을 새롭게 파악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자료라는 데 의미가있다. 넷째, 본 논문에서 논의된 문예비평 자료들은 중국 현대문학과 한국 현대문학에 대한 김광주의 독자적인 비평태도와 인식을 담고 있는바, 그가 확보한 대 중국문학 타국(他國) 문학인의 시각과 대 한국문학 타역인(他域人)의 시각은 당시 중·한 현대문학을 중간자적 입장에서보다 객관적으로 이해하는데도 일정한 도움이 된다. The period of the early 1930s is in the stage of development of modern Chinese and South Korean literature structure independently. The paper focuses on some data new-found in this period about Jin Guangzhou as research object to excavate their academic value and significance. There are totally 6 articles about literature and film art written in Chinese by Jin Guangzhou found by the author in newspaper and magazines published in Shanghai area in 1930s, which can help us do further analysis on modern Chinese and South Korean literary communication status at that time. In this paper, based on introducing the content of these data, the author gives out evaluation and conclusion on their value in fields of literature, art and document, which mainly reflects in the following 4 aspects. I. As the first discovered Chinese works, the data new-found are all articles created or translated in Chinese by Jin Guangzhou, which with important value and significance. Before this, he was only considered as a translator who translate Chinese contemporary literature to Korean language and introduced them to South Korea. Which is more important, these data reflect that he can also introduce, evaluate and translate Korean literature, Chinese literature and foreign film arts by writing articles in Chinese. II. They are conducive to research the track and literary activities of Jin Guangzhou in China. We can know more about his information of literary activities and track in China during 1935-1936 in China based on these data. III. The data in this paper are conducive to research Jin Guangzhou’s literary tendency, and his understand or attitude to Chinese and South Korean literature. IV. These data reflect the unique attitude and understand to contemporary Chinese and South Korean literature, and give us some revelation on understanding contemporary literature then. In a word, the data in this paper have not been known by academic circles, and they will be important by providing revelation and help on researching Jin’s literary tendency and track in China

      • KCI등재

        동아시아 옛이야기 연구방법론으로써의 환경문학-생태문학론 검토 - 최근 연구동향 분석을 중심으로 -

        권혁래 동아시아고대학회 202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7

        이 연구는 최근 한국을 비롯해 동아시아 옛이야기에 대한 연구방법론으로써 제 기되고 있는 환경문학 및 생태문학론의 연구동향을 조사・분석하고, 향후 과제에 대해 검토하였다. 환경문학・생태문학적 연구는 문학연구를 통해 친환경적, 자연친 화적 삶을 추구하는 실천학문으로, 현대사회의 많은 사회・정치적, 과학적 현안들을 이해하고, 삶의 인식태도 변화 및 문학적 해결방식을 지향한다. 일본에서는 2010년대 중반부터 환경문학적 관점에서 환경오염 및 재해 관련 옛 이야기 연구를 진행해오고 있다. 고미네 가즈아키는 일본의 옛 기록에서 ‘재해’에 관한 자료를 편집해 읽거나, 재해에 관한 묘사와 상징을 파악하고 사유하는 방식 을 제시하였다. 이시이 마사미는 민담에 내재되어 있는 환경보호, 자연친화 사상을 밝혀 강연과 출판의 방식으로 대중들과 소통하며, 일본이 직면해 있는 환경 문제 에 대응하자고 하였다. 한국에서는 최근 자연과 생명에 대한 구비문학적 인식을 통해 삶의 대안 및 과제를 모색하려는 시도(한국구비문학회), ‘노년, 장애, 어린이, 질병’ 등을 주제로 인간 삶의 다양한 양상과 실천적 지평 모색하기(한국문학회), 삼 국유사와 ‘나무・숲’이라는 주제로 ‘저술’, ‘인문학강연’, ‘문화기행‘ 활동을 연계하기 (김재웅) 등의 시도가 주목된다. 중국과 베트남에서의 생태문학적 연구, 국제 심포 지엄 등도 주목할 만하다. 동아시아 학계의 환경문학 및 생태문학 연구자들은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사회정치 및 생태・과학적 현실을 더욱 민감하게 인식하고, 고전 텍스트의 해석을 현재적 사건 및 미래에 대한 전망과 연결 짓는 태도가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literature and ecological literature, which has recently been proposed as a research methodology of old stories in East Asia, including Korea, and examined future tasks. Environmental literature and ecological literature are pursuing eco-friendly and nature-friendly lives. This study is connected with understanding many social, political and scientific issues in modern society, and seeking changes in the attitudes of life and literary solutions. In Japan, Komine Kazuaki introduced environmental literature studies on Japanese old stories at the environmental literature symposium held in Korea. He suggested editing and reading materials on “disasters” from ancient Japanese records or identifying and thinking descriptions and symbols. Isii Masami revealed folktale's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nature-friendly ideas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hrough lectures and publications, and addressed the environmental issues facing Japan. Recently in Korea, the following attempts are interesting; finding alternatives and tasks for life through oral literary perception of nature and life, finding various aspects of human life and practical solutions on the theme of 'old age, disability, children, diseases', the activities related to writings, lectures, and cultural activities under the theme of ‘Samguk Yusa’ and ‘Trees’ (Kim Jae-woong). The ecological and literary research in China and Vietnam and the international symposium also need to be looked at carefully. In conclusion, researchers in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literature in East Asian academia should be more sensitive to the social politics and ecological and scientific realities of East Asia, including Korea.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link the interpretation of classical text with the outlook for current events and the future.

      • KCI등재

        문학교육학과 문학치료학의 접점 찾기

        전한성(Jeon Han-sung)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2 No.-

        이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적 관점에서 문학교육학의 연구 영역을 확장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학교육학과 관련이 깊은 문학치료학의 학문적 특성과 이론적 배경, 실천구조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문학교육학과 문학치료학의 접점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목표와 대상, 방법, 내용의 차원에서 전면적인 통섭을 시도하였다. 목표와 대상 차원에서는 문학교육학이 문학치료학과의 접점을 통해 궁극적으로 인간다운 건강한 삶을 실천하기 위해 자기 치유의 언어적 힘을 기를 수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도출하였다. 내용차원에서는 문학교육의 내용 범주를 살펴보며, 텍스트를 넘어 독자 개인의 내면화를 치유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어야 함을 알아보았다. 방법 차원에서는 제도로서 교육 공간을 삶의 공간, 개인의 내면적 치유 공간으로 재개념화하고, 텍스트 소통을 자기 이해로까지 확장하고, 교사의 위상과 역할이 변화되어야 함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문학교육학이 융복합적 관점을 통해 개인의 내면적 치유에 관해 보다 깊은 관심을 갖고, 교육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현상학적 차원에서 삶의 경험적 성장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재인식되어야 한다는 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pand the area of Literature Education in the aspect of convergence. For the aim of the study, academic traits,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he structure of practice of therapy were examined; these are all relevant to Literature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accomplish overall convergence in a goal, content, and methods of two areas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interface between Literature Education and Literary therapy. In the aspect of a goal and target, raising the linguistic power of self-healing is necessary to realize a healthy life through the convergence of Literature Education and Literary therapy. Individual internalization on the aspect of healing is requir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tegory of contents of Literature Education. Lastly, for the aspect of methods, an educational space as a system should be conceptualized again as a space of life or an inner healing space for individuals. The expansion of self-understanding from the communication of texts, and the change of status and roles of teachers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This study has significance concerning the inner healing of individuals through the convergence of Literature Education and Literary therapy, and in being aware of a new aspect of educational space as a space of empirical growth of life in th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 KCI등재

        문학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의 석사학위논문 작성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박주형,김민재,김혜진,wanglinchang,박장범,권근영 한국문학교육학회 2019 문학교육학 Vol.0 No.63

        This paper examined the process of writing a master’s degree thesis for graduate students of literature education as a basic work to establish a permanent relationship between the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discourse and the study of literature education. Specifically, the self-reflection paper on the preparation of a master’s degree thesis written by graduate students of literature education was analyzed using the methodology of self-culture and life history method and focused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difficulties and subject consciousnes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of liberal arts and education in the course of writing a dissertation. Graduate students of literature education will seek research topics according to their pre-admission interests, and the imbalance between the subjects of study and the awareness of problems that arise in the process is raised as a pre-emptive task to be solved after admission. In the process of focusing on the research subject, graduate students of literature education are gradually preparing for research by conducting prior research and communicating within academic communities such as graduate students, academic adviser, and professors of department. This is also a process in which the pressure of the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discourse and the desire of the literary and educational research subjects to be individualized arerespected. The period of public review of research topics corresponds to the period in which research value is found and the overall direction and framework of the paper is formed. During this time, graduate students of literature education will gain the power of research and expand their communication consciousness about research. During the period of decision and development of the research topic, graduate students have also been shown to supplement the objectivity of the technology to persuade the readers of the paper, while gradually establishing themselves by adjusting their previous literature education view or identity as a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er.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it can be found that the process of growing up as a research subject by graduate students of literature education majors becomes a route of colorful twists along the road between the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discourse and the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이 논문은 문학교육연구 담론과 문학교육연구 수행 사이의 상보적인 관계 설정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문학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의 석사학위논문 작성 과정을 살폈다. 구체적으로 연구 대상인 문학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이 작성한 석사학위논문 작성에 관한 자기성찰지를 자문화기술지 및 생애사 연구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문학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이 학위논문 작성 과정에서 경험한 난관 및 주제 의식의 발전 과정에 초점을 맞추었다. 문학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은 입학 전의 관심사에 따라 연구 주제를 모색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구 대상 및 문제의식 사이의 불균형은 입학후에 해결해야 할 선결 과제로 제기된다. 연구 주제의 초점화 과정에서 문학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은 선행 연구 및 같은 전공 대학원생, 지도교수, 학과 교수와 같은 학문 공동체 내에서의 소통을 거치며 점차 연구의 얼개를 마련해 나간다. 이는 문학교육연구 담론의 압력과 문학교육연구 주체의 개별화 욕망이교호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연구 주제의 공적 검토 기간은 연구 가치를 발견하고 논문의 전체적인 방향 및 틀을 형성하는 기간에 해당한다. 이 시기에 문학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은 연구의 동력을 획득하고, 연구에 대한 소통 의식을 확대하게 된다. 연구 주제의 결정 및 심화기에 대학원생들은 논문의 독자들을 설득하기 위해 기술의 객관성을 보완하고자 노력하는 동시에 점차 자신이 기존에 지니고 있던 문학교육관 혹은 문학교육 연구자로서의 정체성을 조정하여주체적으로 확립하는 양상도 드러났다. 이상의 논의에 기초할 때, 문학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이 연구 수행 주체로 성장하는 과정은 문학교육연구 담론과 문학교육연구 수행 사이의 길항에 따른 다채로운 굴곡을 갖는 경로들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제도로서의 기구 ; 특집논문 : 제도 혹은 정상화와 지역문학의 역학 -피난문단과 무크지 시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김대성 ( Dae Sung K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1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3

        이 연구는 1950년대의 ``피난문단``과 1980년대의 ``무크지 운동``이라는 역사적 사례를 통해 이른바 ``제도의 정상화``와 ``지역문학``이 맺고 있는 역학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피난문단 시절을 형상화한 김동리의 〈밀다원시대〉가 ``귀환적 구조``를 취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여 <전쟁-문학-제도>가 맺고 있는 관계를 밝힘으로써 ``피난문단``과 ``지역문학``이 맺고 있는 역설적인 관계를 규명한다. 피난문인들에게 환도(還都)란 주객이 역전되는 위태로운 상황에서 벗어나 주인의 위치로 ``정상화`` 되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로 돌아가 ``탈환한`` 주인의 자리에서 비로소 건설할 수 있었던 것이 바로 ``제도``라는 ``정상화된 체제``였던 것이다. 또한 환도 이후 제도의 정비를 통해 기왕의 지역과 서울 사이의 ``지배-종속`` 관계는 ``회복``되었다. 따라서 서울 문인들에게 제도의 정상화란 피난문단기에 겪었던 주객 관계의 전도로부터 비롯되는 불안감이 해소된 상태를 의미한다. 반면에 처음으로 ``중심``이 되었던 부산문단은 환도 이후 급격한 공동화(空洞化) 현상을 겪는다. 신군부 세력에 의한 문학 제도의 초토화 및 ``비상상태``가 역설적으로 지역문학의 활성화와 연관된다는 점은 1950년대 피난문단을 둘러싼 상황과 매우 흥미로운 유사점을 보여준다. 이 또한 비상상태가 정상화 된 이후에는 지역문학이 다시 급격하게 쇠퇴하게 되었다는 점에서도 1950년대 피난문단과 1980년대 무크지 시대의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다. 가령 1950년대, 환도 이후 부산문학의 공동화(空洞化) 현상처럼 민주화 및 문학 제도가 정상화됨에 따라, 무크지를 중심으로 했던 부산 문단의 활성화된 분위기는 다시 가라앉게 된다. 이처럼 남한 사회에서 지역문학이 등장하고 전개되었던 역사를 살펴보면 이른바 문학제도라는 것과 지역문학은 양립하기 힘든 측면을 보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단지 중앙 문단에 대한 지역 문학의 종속에 대해 과도하게 강조한다거나 지역 문학의 소외감을 피력하려는 자의적인 해석에서 비롯되는 것만은 아니다. 남한 사회에 문학제도가 형성되어 가는 역사적 과정에서 이른바 제도의 정상화는 지역문학의 종속화를 초래한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제도라는 틀 속에서 지역문학은 어떻게 말해질 수 있는가? 혹은 방법론으로서의 문학제도 연구라는 것은 지역문학을 비롯한 소문자 문학들의 존재론과 의미 및 미래를 밝히는 데 있어 어떤 의미를 지니는 것일까? 문학제도의 연구란 문학연구의 가장 기초적이고 실증적인 토대를 규명하는 작업이지만 이 같은 제도라는 일반론적인 방법이 지역문학의 존재론과 갈등적인 것이라면 지역문학연구는 이러한 문학일반의 연구방법론으로 환원될 수 없다. 그렇다면 지역문학과 문학제도란 양립 불가능한 개념인 것인가. 또 제도 연구를 통해 지역문학을 규명하는 것은 가능한가. 그것이 가능하다면 제도 연구에서 전체 문학제도의 퍼즐을 완성하는 하나의 조각으로 환원시키지 않으면서 지역문학을 규명할 수 있는 방법론은 무엇일까. 이는 단지 지역문학 연구 방법론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른바 대문자 ``문학연구 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일반화될 수 있는 방법론인가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과도 관련된다.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mechanics between the institution or `` the normalization`` and the local literature in post war period in 1950`s. Firstly I focus on the structure of returning which is the key point of reading the narrative of war experience that The times of Mildawon represent. For the research of the relation between the experience of Korean war and the formation of the institution of the Literature we have focus on the structure of returning from the refugee to the home: from ``the provence`` to the Seoul. This structure of returning is the kind of unconsciousness of the formation of the Institution of Literature. The main request of this research is Questioning the instance of the term/problematique of the Institution of literature. After Korean war the term/problematique of the Institution of literature was made by the mechanics which is regarded return to Seoul as the normalization. So in this term, so called the Institution of literature every site where is not Seoul always excluded as something abnormal.

      • KCI등재

        한국 한문학 연구에 대한 해외로부터의 학적 요구

        심경호 근역한문학회 2017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7 No.-

        The concept of “Sino-Korean Literature” refers to not only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 a narrow sense, but also traditional humanities in a broad sense. “Sino-Korean Literature” in a narrow sense is based on traditional humanities i.e. Sino-Korean Literature in a broad sense, and Sino-Korean Literature in general has developed based on philology. It is needed to exma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o consider “Sino-Korean Literature” in a narrow sense and to sketch the phase of development of it as they keep close relationships. The traditional meaning of the term “literature” or “letters” (文) in premodern Korea as elsewhere in East Asia encompassed a wider scope than the modern concept of “literature” (文學). It refers not only to refined writing in Literary Chinese, but also to more utilitarian public and private writings in Literary Chinese composed in the context of daily life. Thus, “Sino-Korean literature” includes not only literary writings but also historical records, scholarly essays, public documents such as diplomatic correspondence, and private texts such as correspondence in Literary Chinese. Works in Literary Chinese with interspersed vernacular expressions also belong under the purview of Sino-Korean literature. It is need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ino-Korean literature in this broad sense and to reconstruct its historical development in its own context. This reflection is raised from foreign academic world with the request for reviewing the study of Sino-Korean literature. This article focuses to the following matters among the requests from foreign academic world. ①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chinese character cultural area in East Asia and its circumstances ② to introduce the methodology of comparative literature and culture ③ to reconstruct the context of writing and to write biographies ④ to construct history of controversies and thoughts ⑤ to reflect 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concept of traditional 文 was established, a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文 and political power It is true that there was a invisible boundary that limited the research area concerning its era and subject etc. in studying Sino-Korean literature and it was rather neighboring country scholars who achieved lots of research results concerning literature in North South States Period and Koryo Period. There are also several attempts to understand the culture and literature in Chinese character cultural area in a broad sense by understanding the term “literature” in premodern period not with the modern Western concept of “literature” but with a concept with wider scope: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edited by Komine Kazuaki,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edited by Kono Kimiko and Wiebke Denecke, Oxford Handbook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edited by Wiebke Denecke, Wai-Yee Li, Xiaofei Tian. These attempts correspond to that of professor Zhang Bo-wei that comprehends the culture and literature in Chinese character cultural area in a broad sense with the concept of “the cultural area of Chinese literature”. It is needed that Sino-Korean literature study scholars overcome the limitations of regionalism and reconstruct the history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in East Asia with their own approach. 한문으로 쓰인 국문학 작품을 가리키는 협의의 한문학은 전통인문학(광의의 한문학)을 바탕으로 성립하며, 광의의 한문학과 협의의 한문학은 다시 기초학(소학과 문헌학)을 토대로 발전해 왔다. 이 셋은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고 있으므로, 협의의 한문학에 대하여 연구하거나 그 발전상을 고찰할 때 그 셋의 관계를 살펴야만 한다. 또한 한문학은 문언어법의 한문을 사용하여 한국 민족의 사상 감정을 표현한 문학, 역사 사실의 기록, 학문적 사색의 논술, 사대교린의 외교 관계나 공적, 사적 생활에서 작성한 문건을 모두 포괄한다. 근대 이전에는 ‘문’이라 하면 학술과 문학을 포괄했고, 협의의 ‘문’이라고 해도 순문학만이 아니라 공용문이나 실용문까지 아울렀다. 게다가 문언어법의 한문을 주로 사용하되 한국어 어법을 적용하면서 이두를 붙인 표기법을 사용한 표기체계의 시문과, 한자를 음차(音借)와 차자(借字)의 방식을 결합해서 제작한 시문도 민족문학의 일부를 이루어왔다.따라서 한문학을 그 광의의 의미에서 파악하고 한문학의 역사적 전개를 그 콘텍스트 내에서 재구성하는 일이 지금 한문학 연구에 주어진 과제라고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각성은 해외로부터의 학적 요구와 맞물려져 더욱 첨예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는 한국한문학 연구에 대한 해외로부터의 요구 가운데 다음과 같은 점을 특별히 주목했다. ①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개념과 실상 파악 ② 비교문학 및 비교문화 연구방법의 새로운 도입 ③ 저술 콘텍스트의 재구성 혹은 전기(傳記)의 작성 ④ 논쟁사와 사상사의 구상 ⑤ 고전적 ‘문’의 환경에 대한 고찰, ‘문’과 권력의 문제에 대한 성찰 현재 한국한문학 연구는 시대, 주제의 면에서 스스로 구획을 짓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남북국시대의 문학이나 고려시대의 문학에 대해서는 인접 국가 지역 연구자들의 연구가 더 많은 성과를 올리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내의 한문학 연구자들은 인접 국가의 정리에 스스로의 자료를 내맡기는 무기력함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또한 小峯和明 편의 『일본문학사』, 河野貴美子․Wiebke DENECKE 주편의 『일본「문」학사』, 옥스퍼드 대학의 『Oxford Handbook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등은 모두 근대 이전의 문학을 서구적 문학의 개념이 아니라 전통적인 ‘문’의 개념에서 파악하고, 문학의 흐름을 테마 별로 조망하며, 한자문화권의 한정된 지역에 국한하지 않고 한자문화권을 총체적으로 파악하려고 하는 점에서 공통된다. 이것은 장보웨이 교수가 ‘한문화권’이란 용어를 사용하면서 동아시아 한문학을 총체적으로 파악하려는 경향과도 상응한다. 한국한문학 연구도 지역주의의 한계를 돌파하여 동아시아 한문학의 역사를 독자적 관점에서 재구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보편에 이르는 길

        이만영 ( Man Young Lee ) 민족어문학회 2012 어문논집 Vol.- No.66

        본 연구는 최재서가 작성한 평문을 통시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그의 국민문학론이 어떻게 형성되어왔는지 추적해보고자 한다. 『국민문학』에서의 활동 이전과 이후의 비평 의식을 매개할 때라야 비로소 최재서는 하나의 연속적 실체로 간주될 수 있다고 판단되기에, 본 연구에서는 1930년대에 개진된 최재서의 비평 체계 속에서 국민문학론의 맹아를 추출하고 이를 최재서의 국민문학론과 접맥시키는 데 주력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최재서가 엘리엇(T. S. Eliot)의 ‘전통’과 ‘몰개성’이라는 개념을 자신의 비평 속에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했는지 검토한다. 최재서는 동시대적인 질서 관념을 내세우기 위해 전통 개념을 활용한 바 있는데, 여기서의 동시대적인 질서는 특수한 개별 문학이 보편적인 세계 문학과 교섭할 수 있는 질서를 의미한다. 최재서는 이러한 전통 개념을 작가가 마땅히 가져야 할 모럴로 간주하면서, 한 작가의 개별성이나 지역 문학의 특수성은 궁극적으로 세계 문학의 보편적 윤리들을 담지 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몰개성’이라는 엘리엇의 비평적 개념과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최재서는 엘리엇의 몰개성론을 참조하여 개성에 얽매인 ‘소아(小我)’적 글쓰기를 배제하고 전통에 의거한 ‘대아(大我)’적 글쓰기를 지향해야 한다고 단언한다. 이러한 그의 관점은 결국 개성을 억압하는 통제가 필요하다는 논리로 귀결되는데, 그 논리는 1940년대 『국민문학』을 통해 개진했던 전체주의적 논리와 동궤를 이루고 있다. 최재서의 논의는 개성보다는 전통을, 지역문학의 특수성보다는 세계문학의 보편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던 바, 거기에서 중요하게 부각되는 것이 ‘코스모폴리탄(cosmopolitan)’ 이념이라 할 수 있다. 최재서는 조선적 특수성보다 서구적 보편성을 강조하면서, 작가에게 필요한 모럴은 문명의 중추인 유럽 대도시의 문화와 접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러한 서구 중심적인 코스모폴리탄 이념은 1940년 6월에 일어났던 ‘파리 함락’을 기점으로 커다란 변화를 맞게 된다. ‘파리 함락’은 보편성의 표본이라 할 수 있는 서구의 몰락을 확인하는 일대 사건이었기에, 최재서는 코스모폴리탄 이념을 강조했던 기존의 비평적 논리를 수정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그는 서구를 대체할 만한 보편성의 표상을 일본으로 설정하기에 이른다. 엘리엇의 이론을 참조하여 개성보다는 전통을 강조하고 개별적인 지역문학보다는 보편적인 세계문학의 모럴을 강조했던 그가, ‘파리 함락’ 이후 일본 중심의 보편성을 강조하게 되면서 이른 바 국민문학론을 주창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따라서 최재서의 비평을 통시적인 흐름으로 바라본다면, 그의 비평논리는 엘리엇의 전통론과 몰개성론에서 출발하여 대동아공영권을 인정하는 국민문학론으로 귀결됨으로써 결국 논리의 파탄을 맞이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pursuing how the National Literary Theory of Choi, Jae-Seo has been composed by reviewing the criticism of Choi, Jae-Seo. Choi, Jae-Seo can be considered as one continuous entity only when the critique consciousness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in『National Literature』is mediated mutually, so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will concentrate the efforts on extracting the sprouts of the National Literary Theory in the criticism system of Choi, Jae-Seo set forth in 1930s and grafting them in the National Literary Theory of Choi, Jae-Seo. For this, we should review in what manner Choi, Jae-Seo utilized the concepts of ``tradition`` and ``impersonality`` suggested by T. S. Eliot in the criticism of his own in the first place. Choi, Jae-Seo says that the tradition should also include the idea of contemporary order, which means the order that a special individual literature can negotiate with the universal world literature. Choi, Jae-Seo regarded the concept of tradition like this as the moral which a writer ought to have, and asserted that the personality of a writer or the speciality of local literature should contain the universal ethics of world literature ultimately. The recognition like this is organically connected with the critical concept of ``impersonality`` suggested by T. S. Eliot. Referring to ``impersonality theory`` suggested by T. S. Eliot, Choi, Jae-Seo asserts that a writer should aim at the writing based on ``larger self`` in accordance with the tradition to the exclusion of ever writing based on ‘smaller self’ constrained by personality. After all, his viewpoint like this results in the logic that the control to oppress the personality is required, and this logic forms the same track as totalitarian logic stated through『National Literature』in 1940s. The discussion of Choi, Jae-Seo is progressed toward the direction that the tradition rather than personality is emphasized and the universality of world literature rather than the speciality of local literature is emphasized, and it can be said that what is highlighted here is the ``cosmopolitan`` ideology. Laying emphasis on the universality of the West rather than the speciality of Joseon, Choi, Jae-Seo says that the moral required for a writer can be formed by contacting the culture of big cities in Europe, the backbone of civilization. However, the cosmopolitan ideology like this centering on the West encounters a big change starting from the ``Fall of Paris`` that occurred in June, 1940. Because the ``Fall of Paris`` was one of big incidents confirming the decline of the West which was regarded as a model of universality, Choi, Jae-Seo had nothing but to modify the existing critical logic which emphasized the cosmopolitan ideology. In the end, he came to establish Japan as the representation of universality to replace the West. Although having emphasized the tradition rather than personality, and the moral of world literature rather than individual local literature after referring to the theory of T. S. Eliot, he came to advocate the so-called the National Literary Theory as he emphasized the universality centering on Japan after the ``Fall of Paris`` in 1940. Therefore, investigating the criticism of Choi, Jae-Seo through a flow penetrating the ages, the logic of his criticism started from the tradition theory and impersonality theory suggested by T. S. Eliot and resulted in the National Literary Theory accepting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 KCI등재

        윤채한 시와 1960년대 대전문학

        남기택 ( Nam¸ Gi-taek )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2 No.-

        대전권 문학사에서 1960년대는 한국문인협회 충남지부가 결성되고 신진 작가들의 문단 활동이 본격화되는 등 도약기 또는 새로운 모색기로 규정되고 있다. 대표적 장르인 시문학의 경우 내용상으로는 그 이전부터 지속되어 오던 순수한 리리시즘의 세계, 사일구혁명과 관련된 현실 참여적 경향, 종교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당대 삶을 반영하는 양상 등으로 대변된다. 시인 윤채한은 이와 같은 주류적 흐름과 내용적 형식적으로 결을 달리하는 1960년대 대전 문학사의 특수성이라 할 만하다. 윤채한은 정식 등단 이전부터 시집을 간행하는 등 적극적인 문청 시절을 보냈고, 1965년에는 당대 대표적인 잡지 『문학춘추』에 작품을 발표하면서 전문 시인의 자격을 얻었다. 1967년에는 지역 문학장 활성화를 위해 계간지 『중도문학』을 창간하였다. 윤채한이 등단 이전에 상재한 『탑을 위한 영가』(1963)와 『벽으로 트인 풍경』(1964)에는 간결 직절한 수사의 정제된 서정을 위시하여 장시와 메타시 양상이 특징으로 드러난다. 이어지는 『에로시 시고』(1966)는 절제된 언어로 대상을 묘사하는 동시에 당대의 낭만과 사랑을 진솔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 시집은 청년기 삶과 시세계를 종합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등단작 「인상」에서는 역사와 생명이 양립하는 실존의 배경을 통해 상징적 면모를 보여 주었다. 이 작품이 수록된 『문학춘추』의 양상을 통해 지역 경계를 넘어 문학장의 확장과 소통을 가능케 했던 윤채한 문학세계의 제도적 거점을 확인할 수 있다. _중도문학_ 발간이 지시하는 바와 같이 윤채한의 문학 활동은 1960년대 대전 문학사에서 가장 역동적이고 진취적인 흔적이었다. 대전권에서 기존 흐름과의 단절성과 문학장의 연속성을 동시에 체현한 윤채한의 문학 활동은 지역 문학사의 중요한 지표일 뿐만 아니라 한국 문학사에서 하나의 결절 흔적에 해당된다.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Daejeon, the 1960s is defined as a new period of explora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Chungnam branch of Korean Writers Association and the full-fledged literary activity of up-and-coming poets. In terms of content, it is represented by the world of pure lyrism that has continued since before, the tendency to participate in reality related to the four-day revolution, and the aspect that reflects contemporary life based on religious imagination. The poet Yoon Chae-han, who had never had academic illumination so far, deserves to be called a peculiarity and a nodul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Daejeon in the 1960s. Yoon Chae-han had an active literary life, publishing a collection of poems before his official debut, and obtained the qualifications of a professional poet by publishing his works in the representative magazine of the time, Munhak-Chunchoo. In 1967, to revitalize the local literary field, a quarterly magazine Jungdo- Munhak, was launched. Yoon Chae-han's poems, which Yoon Chae-han resided in before the ascent, are characterized by long poems and meta-verses, including the refined lyric of a concise and direct rhetoric. In his debut work 「Insang」, he showed a symbolic aspect through the background of existence where history and life coexist. The subsequent Eros Si-go depicts the subject in a restrained language, while at the same time honestly revealing the romance and love of the time. It can be said that this is the result of synthesizing the life of youth and the world of poetry. As indicated by the publication of Jungdo-Munhak, Yoon Chae-han's literary activities were the most dynamic and progressive traces in the history of Daejeon literature in the 1960s. Such literary activities of Yoon Chae-han should be recorded not only as an important indicator of Daejeon literary history in the 1960s, but also as a nodular trac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중동 분쟁의 문학적 수용 양상 - 오수연의 문학적 실천을 중심으로 -

        고인환 ( Ko In-hwa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1 국제어문 Vol.52 No.-

        본고에서는 최근 우리 문학에 중요한 쟁점으로 부상된 `탈국경의 상상력`과 관련하여 오수연의 문학적 실천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라크전쟁의 포연 속에서 스러져가는 뭇 존재들에 대한 위엄과, 팔레스타인의 정의를 위한 힘겨운 싸움을 인류적 연대의 숭고한 가치로 수용하고 있는 오수연의 문학적 실천은 국가와 민족의 경계를 뛰어넘는 탈국경의 상상력을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 이 글에서는 오수연의 『황금 지붕』이 탄생하기까지의 과정에 주목하여 그의 문학적 실천이 지닌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오수연이 중동 분쟁을 문학적으로 수용하는 양상은 `기록(증언)→ 이해(번역)→ 소통(대화)→ 창조적 수용(소설)`의 과정으로 살펴볼 수 있다. 『아부 알리, 죽지 마』는 이라크, 팔레스타인 현지의 사정을 세계인에게 알림과 동시에 한국군의 파병을 반대하기 위해 집필되었다. 저자의 문인으로서의 자의식보다는 운동가로서의 면모가 두드러진다. 고국에 돌아온 오수연은 기록 혹은 취재의 한계, 즉 현장에서의 직접 행동을 넘어선 다른 방식을 모색하기에 이른다. 『팔레스타인의 눈물』에서 오수연은 이라크 전쟁과 팔레스타인 분쟁의 기록자에서 그들의 문학을 소개하는 번역자로 변신한다. 『아부 알리, 죽지마』가 한국 파견 작가의 눈에 비친 아랍 현실의 기록이라면, 『팔레스타인의 눈물』은 팔레스타인 작가들의 눈에 비친 그들의 현실을 담고 있다. 전자가 외부인의 시각이라면, 후자는 내부인의 시각이라 할 수 있다. 『팔레스타인과 한국의 대화』는 2006년 7월부터 2007년 5월말까지 인터넷 신문<프레시안>에 매주 연재되었던 글들을 묶은 책이다. 팔레스타인 문인이 한국에 글을 보내고, 한국 작가들은 답글의 형식으로 팔레스타인 문인들에게 응답했다. 이 책에는 타자의 삶을 통해 자신의 현실을 곱씹어보고, 나아가 스스로의 삶을 성찰하는 양국 문인들의 아름다운 교감의 언어가 음각되어 있다. 오수연은 이라크와 팔레스타인의 전쟁 현장에 가서 그들의 육성을 직접 전달했으며 (『아부 알리, 죽지 마』), 팔레스타인 예술가들의 작품을 번역하여 그들의 내밀한 자의식을 포착·소개했다(『팔레스타인의 눈물』). 나아가 팔레스타인 문인과 한국 문인들이 글을 통해 소통하는 대화의 자리를 만들었다(『팔레스타인과 한국의 대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타자와의 연대(내면적 소통)는 어떠한 과정을 거쳐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처럼 오수연에게 중동 분쟁의 문학적 수용은 체험과 실천, 그리고 이를 문학적 언어로 내면화하는 과정이었다. 오수연은 이러한 힘겹고 고통스러운 과정을 통해 비로소 중동 분쟁의 현장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황금 지붕』을 내놓을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research on O Su-Yeon`s literary action related to transborder imigination that is a noticeable literary issue lately. O Su-Yeon`s works narrates the dignity of people who fall down in the Iraq war with gun smoke and the hard figithing for justice of the Palestine as lofty value of humankind solidarity. Her literary action overs the nation border and then seeks the way for international solidarity. As a result her works acquire the meaning of the times in the global age. This thesis studies her literary action`s meaning focused on process until the publication of 『Hwangeum-ziboong(Golden Roof)』. Because her literary action seeks to find the solidarity with others can be a key for understanding her works. 『Hwangeum-ziboong(Golden Roof)』 strats from `record/testimony`(『 Abu Aly, Don`t be die』), goes through effort for understanding their life, arrives at communication, conversation and sympathy by the medium of the writing. The literary acceptance of Middle East conflict is equal to the internalized literary language for her. This thesis analyzes O su-yeon`s literary acceptance(her agony) of Middle East conflict(other`s agony) into the process `record(testimony)→understanding(translation)→communication(conversation)→creative acceptance(a novel)`.

      • KCI등재

        문학 작품 광고에 내포된 작품 수용 의식 연구 - 1931년 신문⋅잡지 수록 광고를 중심으로 -

        강민규,구영산 한국문학교육학회 2019 문학교육학 Vol.0 No.63

        The study is to analyze the awareness of reception of literary works embedded in literary works advertisements from the viewpoint of literary education. We tried to trace its roots through literary works at the beginning of modern literature in the early 1930s, by considering the totality of understanding and judgment about the reception of literature as ‘awareness of literature reception’. The premise of this analysis is that the advertisement casts the awareness of the readers through collective assumptions, and that the literary works ads are more homogeneous in terms of their form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wareness of literature reception implied in the literature ads was divided into awareness about the present image of appreciation of literary works, awareness about the limits of literary reading utility, and awareness of the accumulation of literary reading. This awareness, which is almost always found in literary works ads, provides a preview of the literary reception of the public, which can contribute to setting the direction for literature education in the future. 이 연구는 문학교육의 관점에서 문학 작품 광고에 내포된 작품 수용 의식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학 수용 현상에 대한 이해와 판단의 총체를 ‘작품 수용 의식’으로 보고, 현재의 문학 현상과 연속성을 가지는 1930년대 초의 문학 작품 광고를 통해 그 뿌리를 추적하고자 하였다. 광고가 집단적 가정을 통해 수용자의 의식을 주조한다는 점, 문학 작품 광고는 형식상의 특징으로 인해 그러한 의식의 의미망이 더욱 동질적인 것으로 파악된다는 점이 이 분석의 전제를 이룬다. 분석 결과 문학 작품 광고에 내포된 작품 수용 의식은 문학 작품 향유의 현재적 상(像)에 관한 의식, 문학 독서 효용의 제한성에 관한 의식, 문학 독서에 결부된 축적성에 관한 의식으로 대별되었다. 이후 시기에도 문학 작품 광고에서 비교적 지속적으로 발견되는 이러한 의식은 대중 독자의 문학 수용 현상에 대한 시사를 제공하며, 이는 향후 문학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