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흠흠신서(欽欽新書)』에 반영된 다산(茶山)의 유교적 재판 원칙과 규범 ― 「경사요의(經史要義)」의 법리(法理) 해석 근거와 의미 재검토

        백민정 ( Baek Min-jeo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99 No.-

        茶山 丁若鏞의 『欽欽新書』는 조선시대의 인명사건 판례집이다. 이 작품은 재판판결의 원칙과 규범을 經史를 통해 밝힌 「經史要義」, 중국의 모범적 판례와 공문서를 소개한 「批詳雋抄」와 「擬律差例」, 正祖의 御判과 다산의 비평을 담은 「祥刑追義」, 관리로 재직할 때 다산이 경험한 사건을 소개한 「剪跋蕪詞」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글에서는 「經史要義」를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유학자로서 정약용이 제시한 유교적 성격의 재판 원칙과 규범을 밝히고자 한다. 『흠흠신서』의 제목이 보여주듯이 조심하고 삼가야 하는 관리의 欽恤과 哀敬의 자세는 다산이 「경사요의」에서 제시한 13가지 모든 원칙을 관통한다. 그런데 다산이 『서경』과 『주례』를 인용하며 판관의 흠휼을 강조한 것은, 유교적 사법체계에서 범죄 성립과 재판을 결정하는 것이 범죄행위 자체가 아니라 행위자의 고의성 여부였고, 그런 심리상태와 心證을 밝히기 위해서는 판관의 신중함이 무엇보다 중요했기 때문이다. 다산은 과오(?)인지 고의(終)인지 여부가 살옥을 다루는 큰 원칙이라고 말한다. 過誤殺 여부와 心證을 중시했던 것은, 유교적 형법과 형벌이 지향한 최종 가치가 윤리 덕목이었기 때문이다. 이른바 倫綱이라는 것이 바로 그것이며, 최악의 범죄를 강상범죄로 간주하게 된 것, 그리고 강상죄인에 대한 사적인 복수살인조차 허용했던 응보주의적 관점이 용인된 것도 위와 관련이 있다. 다산이 「경사요의」에서 제시한 `仇讐擅殺(6원칙)`, `義殺勿讐(7원칙)`, `受誅不復(8원칙)`, `亂倫無赦(10원칙)`, `弑逆絶親(11원칙)` 등 재판의 규범적 원칙들 대부분이 윤강과 직결돼 있다. 그런데 유교사회의 강상윤리는 주지하다시피 君臣·父子·夫婦·奴主 간의 名分을 기반으로 한다. 명분은 親疏尊卑와 上下貴賤에 따른 특권과 차등성을 허용하며, 바로 이런 명분 관념이 구체화된 것이 각종 禮制다. 법으로 단죄하는 犯分 행위란 것은 결국 예와 명분이 지향하는 존비·귀천의 위계질서를 거스른 행위를 말한다. 유교화된 법은 명분 관계에 따라 상이한 형벌을 제공했다. 다산이 「경사요의」 제9원칙에서 『주례』 `八議(八闢)`을 거론하며, 종실·귀족·국가공로자 등의 減刑이라는 `同罪異罰` 원칙을 허용한 것도 이런 점 때문이다. 『흠흠신서』의 수많은 사건을 좌우한 유교적 재판 원칙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결국 名分과 犯分 간의 엄격한 구별을 강조했던 이유가 무엇이었는지 반성하지 않을 수 없다.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군신·부자·부부·노주의 명분, 士族·常漢의 명분을 내세웠을 때, 그 밑바탕에는 도덕적 우월성이 자리잡고 있었다. 유학자들의 특권의식은 윤리적 엘리트주의였던 것이다. 다산이 유학자로서 추구했던 이상도 결국 도덕성에 기반한 정당한 차별과 위계질서를 수립하는 것이었는데, 이 점은 欽書의 가능성이자 동시에 한계로 작동했다고 볼 수 있다. Chong Yag-yong`s 丁若鏞 (1762~1836, Tasan 茶山) New Book on Criminal Law 欽欽新書 (Humhum Sinso) is a collection of verdicts on cases involving human lives from the Choson Dynasty. The first chapter of this work is Essential Meanings of the Classics and Histories 經史要義 (Kyongsa Youi), which elucidates the principles and norms of trial sentences through the contents of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ies 經史. By intensively analyzing Essential Meanings of the Classics and Histories, the present study introduces the Confucian principles and norms of trials that Chong presented as a Confucian scholar. As the title of New Book on Criminal Law shows, a cautious and forbearing official`s attitude of judicial prudence 欽恤 and pity and reverence 哀敬 permeates all thirteen principles of trials that Chong presents in Essential Meanings of the Classics and Histories. The author thus stresses judges` judicial prudence because, in a Confucian judicial system, what determined the establishment of sentences on crimes were not criminal acts themselves but the actors` intentionality, and judges` cautiousness was important above all in shedding light on the actors` psychological states. Chong states that determining whether a crime was an accidental offense ? (saeng) or a premeditated (or intentional) one 終(chong) is the main principle in judging homicide cases 殺獄(sarok). Emphasis was placed on whether a crime had been committed negligently or intentionally because the goal of Confucian penal laws and punishments lay in morals (ethical virtues). Consequently, even when an act was deplorable, it was seen as forgivable and pardonable if its original intention was moral. The so-called three cardinal guidelines and five constant virtues 綱常(gangchang) or ethical guidelines 倫綱(lungang) were important ethical virtues pursued by Confucian scholars. These figures considered crimes against the cardinal guidelines and constant virtues to be the worst crimes and even allowed individuals` private revenge murders of criminals against the cardinal guidelines and constant virtues. Most of the normative principles of trials presented by Chong in Essential Meanings of the Classics and Histories including "permission to murder enemies at will 仇讐擅殺" (kusuch`onsal; 6th principle), "disallowance of revenge against righteous homicide 義殺勿讐" (uisalmulsu; 7th principle), "disallowance of revenge against officials for punishments 受誅不復" (sujupulbok; 8th principle), "absence of pardon to acts disruptive of ethics 亂倫無赦" (nallyunmusa; 10th principle) and "complete severance of relations with grossly immoral murderers 弑逆絶親" (siyokcholch`in; 11th principle) were directly linked to cardinal guidelines and constant virtues ethics. As is well known, the cardinal guidelines and constant virtues ethics of Confucian societies was based on the status distinction 名分 between the ruler and his subject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husbands and wives, and masters and servants/slaves. The concept of status distinction granted special privileges and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relational closeness/distance, social class, and rank. In Chong`s view, Confucianized laws meted out disparate punishments according to relationships of status distinction mentioned above. In the 9th principle in Essential Meanings of the Classics and Histories, he acknowledged the eight deliberations 八議 or the eight penalties 八闢 from the Rites of Zhou 周禮 (Zhouli), which constituted the principle of disparate punishments for identical crimes 同罪異罰, or the special preferential treatment of and the commutation of sentences for those including monarchical clansmen, aristocrats, and individuals of distinguished service to the state. In Chong`s opinion, disparate punishments existed according to status distinction, and acts violating status distinction 犯分 likewise had to be punished strongly according to law.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fucian principles and norms determining most of the trials presented in New Book on Criminal Law,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ideal values that Chong pursued through strict differentiation between status distinction and violations of it. When Confucian scholars of the Choson Dynasty presented status distinction between the monarch and his subject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between husbands and wives, between masters and servants/slaves, and between aristocrats 士族 and commoners and outcastes 常漢, underlying such a theory was a sense of moral superiority. In other words, Confucian scholars` sense of entitlement consisted of ethical elitism. In the end, the ideals pursued by Chong as a Confucian scholar, too, were justified discrimination and a hierarchical order based on morality, which in turn can be seen as having served as the potentials and limitations of New Book on Criminal Law at the same time.

      • KCI등재

        한국 전통무예의 흥과 신명 속에 내재된 명분

        김영만 한국체육철학회 2013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1 No.4

        흥과 신명은 개인보다는 집단문화를 대상으로 할 때 일컫는 말이다. 우리민족은 고래로부터 공동체의식과 더불어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사회성을 지니고 있었다. 다문화를 쉽게 수용하는 우리 민족은 과거 농경사회를 근간으로 하는 공동체 사회에서 비롯된 공동체의식이 발달하였는데, 공동체의식에 수반되는 집단적ㆍ감성적 소통은 ‘흥과 신명‘으로 표출되었으며 그 이면에는 명분을 중요시하여 명분을 구심점으로 강력한 결속력을 보여 왔다. 우리의 전통무예에서도 간과할 수 없는 이 명분은 작게는 마을간 경쟁이나 해묵은 감정을 해소하는 연례행사의 구심점이 되거나 이와는 달리 부작용으로 돈을 명분으로 삼아 내기가 걸린 격투기가 성행하기도 했다. 그러나 나라가 누란의 위기에 처할 때에는 의병들이 봉기하는 결정적 요소로 작용하였다. 마을 간에 벌어지는 연례행사에서도 명분을 내세우는 석전과 결련택견이 있다. 거창한 명분이 아니어도 노름으로 돈내기를 즐겨한 우리민족에게 무예시합을 통한 돈내기라도 명분의 빌미인 양 포장되었다. 이와 관련된 기록들은 『고려사(高麗史)』에서부터 조선과 근대에 이르기까지 심지어 조선을 방문한 외국인들의 기록에도 찾아볼 수 있는데 오랜 세월 성행해온 것임을 알 수 있다. 가장 명분이 빛을 발한 때는 바로 외침으로 인해 국가가 누란의 위기에 처했을 때 자신의 목숨은 물론 가정조차 도외시하고 봉기하는 의병과 독립군에서 찾아 볼 수 있다. The Fun and excitement are the terms commonly used to refer to group culture rather than individuals. Korean people have been open and inclusive as well as have had a strong sense of community since ancient times. When Korea was an agrarian society composed of agrarian communities, "fun and excitement" were the expression of collective and emotional communication accompanied by a sense of community and the cause behind fun and excitement was the nucleus of strong social solidarity. Such cause also can not be neglected in Korea's traditional martial arts and was expressed through seokjeon (stone throwing) gyeollyeon taekkyeon (tournament) between towns. Though martial arts were sometimes used for gambling, they also worked as military training for ordinary people and, when Korea was in a great crisis and militias were organized to fight against invaders, helped militias to be prepared themselves for battles. This is a long tradition of Korea and can be proved by lots of records in The History of Goryeo as well as those kept in the Joseon period ( including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and by foreign visitors to Korea. The most righteous and just cause can be found from militias who risk their lives and their families to protect the nation when it's in dire crisis.

      • KCI등재

        Attitude toward Feminism and Femvertising :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Brand-Cause Fit

        Namhyun Um(엄남현),Jin Kyun Lee(이진균) 한국광고홍보학회 2021 광고연구 Vol.- No.129

        명분관련 마케팅 차원에서 페미니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페미니즘과 펨버타이징 태도 사이의 소비자들의 인지된 브랜드-명분 조화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결과, 페미니즘에 대한 태도는 소비자들의 인지된 브랜드-명분 조화뿐만 아니라 펨버타이징 태도에 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페미니즘의 목적과 부합하는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브랜드와 명분 사이의 조화를 더 잘 인지하고 있으며, 펨버타이징에 대한 태도도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는 높은 브랜드-명분 조화는 낮은 브랜드 명분-조화보다 더 긍정적인 펨버타이징 태도를 이끌어낸다는 것을 밝혀냈다.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결과는 인지된 브랜드-명분 조화는 펨버타이징 태도에 있어 페미니즘 태도가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론적 그리고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feminism in the CRM context, this study emphasizes the mediating role of consumers’ perceived brand-cause fit, specifically that between attitude toward feminism and attitude toward femvertising. Study findings suggest that attitude toward feminism has an impact on consumers’ perceived brand-cause fit as well as on attitude toward femvertising. People who align their attitudes with the aims of feminism are more likely (than those who don’t) to perceive a good fit between the brand and cause and to hol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femvertising. In addition, this study also found that high brand-cause fit may lead to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femvertising than low brand-cause fit. Most important, this study found that perceived brand-cause fit mediates the effect of attitude toward feminism on attitude toward femvertis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李鴻章의 對外政策 硏究

        김재선 동국사학회 2012 동국사학 Vol.53 No.-

        본 논문은 이홍장의 대 조선 정책의 핵심인 조선 속국명분론이 각 시기마다 확연히 상이한 정책으로 전개되고 있는 점에 주목하여 3시기로 나누어 그 전개양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1시기는 강화도조약 전 시기로 전통적인 속국명분론을 주장하였고, 2시기는 강화도조약 후부터 임오군란까지로 연미정책을 산두로 해서 속국을 명문화하려고 힘쓴 시기이며, 3시기는 임오군란부터 청일전쟁까지로 강압적으로 종주권을 행사하는 시기이다. 1시기에는 이홍장이 전통적인 속국명분론 정책을 전개하므로 조선은 비록 중국의 속국이나 내정은 자주라고 주장하였다. ‘속국’과 ‘자주’란 두용어가 하나로 묶어짐으로 많은 문제를 야기했다. 중조중심사상을 바탕으로 해서 일본을 상대하고, 상대가 일본이니 싸울만하고 승산이 있다고 자부했을 것이고, 중일 수호조약을 맺은 이래 일본을 상당히 우호적으로 생각하여 진일보 일본과 같이 외교연합전선을 구축해서 구미와 대항하는 구도를 꿈꾸고 있었다. 2시기에는 이홍장이 ?강화도조약? 후에 조선에서 실추된 청의 위상을 복귀하고 싶었는데 별 성과 없이 또 일본에게 琉球종주권을 뺏기고 말았다. 그러므로 그 해결책으로 이홍장은 외세를 끌어들여 남으로 일본 세력을 견제하고, 북으로 러시아의 남하를 막을 수 있는 나라, 조선이 중국의 속방이라는 사실을 인정해줄 나라와 조약 체결이 절실했으며 그렇게 해서라도 속국명분론이 입각한 종주권을 계속 주장하고 유지하기를 희망했다. 이에 열강 중에 미국이 가장 공평하고 순하며 선량하다고 여겼고 특히 ‘다른 나라를 침략할 의사가 없다’, 또 ‘분규를 잘 해결 한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聯美’하면 조선이 유리할 것이라고 여겨 연미정책을 선두로 해서 미국, 영국, 독일 등 열강과 통상조약을 체결하기에 이른다. 3시기에는 임오군란을 계기로 조선에 종주권 행사를 강화하기에 이르렀다. 청의 종주권주장은 임오군란을 계기로 그 형태가 종전의 방식과 완전히 달라 있었다. 임오군란 이전이 전통적인 속국 명분론에 입각한 외교 문서상에서만 주장하는 것이라면 임오군란을 계기로 청은 종주국으로 무력을 앞세워 정치, 경제, 군사, 외교 등 모든 분야에서 실질적인 권력 행사를 실행하는 단계로 전환을 보게 되었다.

      • 조선시대의 명분질서와 연암 박지원의 ‘공공성 회복’ 기획

        이상익(Lee Sangik)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3 다산과현대 Vol.6 No.-

        조선의 이상은 유교적 명분론에 입각하여 인륜(人倫) 공동체를 실현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조선시대의 명분질서는 거꾸로 부당한 차별과 수탈을 정당화하는 논리로 동원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공공성 회복’ 기획은 두 맥락에서 전개되었다. 하나는 명분론의 본지(本旨)를 재조명함으로써 당시의 부당한 차별에 제동을 거는 것이요, 다른 하나는 번문욕례(繁文縟禮)를 탈피함으로써 부당한 수탈의 필요성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이었다. 박지원의 이러한 주장은 ?의청소통소(擬請疏通疏)?, ?양반전(兩班傳)?, ?예덕선생전(穢德先生傳)? 등에 잘 나타나 있다. ?의청소통소?에서는 서얼의 금고가 경전이나 고례(古禮)에 정당성의 근거가 없는 부당한 차별임을 밝히고, 서얼의 허통이야말로 명분론의 본지에 부합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양반전?에서는 양반들의 허례허식과 그로 인한 부당한 수탈을 비판하고, ?예덕선생전?에서는 각자의 분수에 맞는 질박하고 실용적인 삶을 예찬하였다. 사실 번문욕례를 탈피하고 소박한 삶에 만족한다면 우리에게 그렇게 많은 재물이 필요한 것이 아니다. 박지원은 당시의 양반들이 체면치레나 과시를 위해 많은 재물을 필요로 함을 간파하고, 엄행수를 내세워 반성을 촉구한 것이었다. The basic idea of Chosun Dynasty is to realize ethical community through the Confucian moral order. However, the Confucian moral order is sometimes mobilized to justify unreasonable discriminations. Under these circumstances, Pak Jiwon"s project to recover the public order is evolved into two ways. One is to break the unreasonable discriminations by reilluminating the Confucian moral order, and the other is to make people free themselves from the need of unreasonable discriminations by overcoming the bureaucratism. Indeed, Confucian moral theory implies many important insights. The problems are especially in the bureaucratism. If we overcome the bureaucratism and satisfy simple life, we can approach more fair society.

      • KCI등재

        정조~순조대 近畿南人의 분화와 정치 명분 확립

        최우혁 조선시대사학회 2019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0

        During the King Jeongjo(正祖)~Sunjo(純祖)’s reign, the Geunginamin(近畿南人) acted in the political world were based on their established political justification. Geunginamin of the King Jeongjo’s reign were divided into Chae Je-gong line(蔡濟恭系) and Mok Man-jung line(睦萬中系) according to their political interests. Chae Je-gong justified Namin’s political activities that Geunginamin of the King Jeongjo’s reign succeeded the Cheongnam(淸南), not Taknam(濁南) who involved in treason. But Chae Je-gong line tried to gather the Taknam to help reinstatement of Huh Jeok who was removed for treason. Mok Man-jung line was excluded from Chae Je-gong line’s list of supporters. Among them, Sacheon Mok’s family(四川睦氏) was further depressed. Because Mok Nae-sun was punished as a Myeonguijoiin(名義罪人). So Mok Man-jung wrote a 「Suonghaengrok(睡翁行錄)」 containing Mok Nae-sun’s achievements and a 「Gajeonggishil(家庭記實)」 containing his direct ancestor’s achievements. He justified his family through this. In the King Jeongjo’s reign, Seohak(西學) issue emerged as a political and social issue. Chae Je-gong line was closely connected Seohak. Thus Mok Man-jung line was trying to block the situation from being attacked that it is linked to Chae Je-gong line. When king Sunjo ascended to the throne, Byeokpa(僻派) ousted the Chae Je-gong line linked to Shipa(時派) through a Shinyubakhae(辛酉迫害). Due to this, Chae Je-gong line were removed on suspicion of Sahakjuiin(邪學罪人). Mok Man-jung line attempted to establish the justification that was unrelated to Seohak by promoting the work of clarifying Jeonghak(正學). For example, the Munmyojongsa(文廟從祀) movements of Jeong Gu and Jang Hyeon-gwang who scholars of represent Jeonghak, the posthumous conferment of honors of Namin Ahn Jeong-bok who take the lead exclusion of Seohak, the construction of a monument at Dosan Seowon where served Kwon Deuk-gi and Kwon Shi. Meanwhile Byeokpa collapsed and Chae Je-gong line promoted a movement to the amnesty movement of Chae Je-gong. But they ostracized Lee Ga-hwan, Lee Seung-hun, Kwon Cheol-shin, Hong Nak-min who were punished for suspicion of Sahakjuiin. As a result, Geunginamin was able to continue political activity based on their political justification established, even when they faced a political crisis again amid the Seohak oppression caused by the Gihaebakhae(己亥迫害) in the King Heonjong(憲宗)’s reign. 정조~순조대 근기남인은 그들이 확립한 정치 명분을 바탕으로 정계에서 활동하였다. 정조대 근기남인은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蔡濟恭系와 睦萬中系로 분화되었다. 蔡濟恭은 정조대의 근기남인이 과거에 역적 혐의로 처벌된 濁南이 아닌 명분과 의리를 중시한 淸南을 계승하였다고 하며 남인의 정치적 활동을 정당화하였다. 하지만 채제공계는 許積과 같이 역적 혐의로 제거된 탁남계 인물의 복관을 도와 세력을 결집하기도 하였다. 한편 泗川睦氏 가문은 睦來善의 名義罪人 혐의로 인해 더욱 침체되어 있었다. 그리하여 睦萬中은 목내선의 행적을 수록한 「睡翁行錄」과 직계조상들의 행적을 수록한 「家庭記實」을 작성하여 목내선에 대한 혐의가 무함인 것을 증명하고 탁남으로 규정되어 있던 자신의 가문을 청남에 연결시키고자 하였다. 정조 후반, 채제공계는 西學을 가까이 하여 정치적 위기를 겪었는데, 순조 초의 僻派는 辛酉迫害를 통해 時派 및 채제공계 남인을 공격하였고, 이로 인해 채제공의 관작이 추탈되고 채제공계는 邪學罪人 혐의를 받고 제거되었다. 목만중계는 正學을 대표하는 남인 학자인 정구․장현광 文廟從祀운동, 斥邪에 앞장선 남인 학자인 安鼎福 추숭, 權得己와 權諰를 배향한 道山書院의 사적비 건립 활동 등을 통해 정학을 밝히는 작업을 추진하여 서학과는 무관하다는 명분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벽파가 몰락한 뒤 채제공계는 채제공의 복관을 추진하였다. 하지만 그들은 사학죄인 혐의를 받고 처벌된 李家煥․李承薰․權哲身․洪樂敏 등에 대해서는 외면하였고, 목만중계 역시 그들을 외면하였다. 이가환 등을 옹호할 경우 사학죄인 혐의에 연루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정조~순조대에 근기남인은 서학과 무관하다는 정치 명분을 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헌종대의 己亥迫害 속에서도 정치 활동을 지속할 수 있었다.

      • KCI등재

        李鴻章의 對外政策 硏究-朝鮮 屬國名分論을 중심으로-

        김재선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2 동국사학 Vol.53 No.-

        본 논문은 이홍장의 대 조선 정책의 핵심인 조선 속국명분론이 각 시기마다 확연히 상이한 정책으로 전개되고 있는 점에 주목하여 3시기로 나누어 그 전개양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1시기는 강화도조약 전 시기로 전통적인 속국명분론을 주장하였고, 2시기는 강화도조약 후부터 임오군란까지로 연미정책을 산두로 해서 속국을 명문화하려고 힘쓴 시기이며, 3시기는 임오군란부터 청일전쟁까지로 강압적으로 종주권을 행사하는 시기이다. 1시기에는 이홍장이 전통적인 속국명분론 정책을 전개하므로 조선은 비록 중국의 속국이나 내정은 자주라고 주장하였다. ‘속국’과 ‘자주’란 두 용어가 하나로 묶어짐으로 많은 문제를 야기했다. 중조중심사상을 바탕으로 해서 일본을 상대하고, 상대가 일본이니 싸울만하고 승산이 있다고 자부했을 것이고, 중일 수호조약을 맺은 이래 일본을 상당히 우호적으로 생각하여 진일보 일본과 같이 외교연합전선을 구축해서 구미와 대항하는 구도를 꿈꾸고 있었다. 2시기에는 이홍장이 『강화도조약』 후에 조선에서 실추된 청의 위상을 복귀하고 싶었는데 별 성과 없이 또 일본에게 琉球종주권을 뺏기고 말았다. 그러므로 그 해결책으로 이홍장은 외세를 끌어들여 남으로 일본 세력을 견제하고, 북으로 러시아의 남하를 막을 수 있는 나라, 조선이 중국의 속방이라는 사실을 인정해줄 나라와 조약 체결이 절실했으며 그렇게 해서라도 속국명분론이 입각한 종주권을 계속 주장하고 유지하기를 희망했다. 이에 열강 중에 미국이 가장 공평하고 순하며 선량하다고 여겼고 특히 ‘다른 나라를 침략할 의사가 없다’, 또 ‘분규를 잘 해결 한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聯美’하면 조선이 유리할 것이라고 여겨 연미정책을 선두로 해서 미국, 영국, 독일 등 열강과 통상조약을 체결하기에 이른다. 3시기에는 임오군란을 계기로 조선에 종주권 행사를 강화하기에 이르렀다. 청의 종주권주장은 임오군란을 계기로 그 형태가 종전의 방식과 완전히 달라 있었다. 임오군란 이전이 전통적인 속국 명분론에 입각한 외교 문서상에서만 주장하는 것이라면 임오군란을 계기로 청은 종주국으로 무력을 앞세워 정치, 경제, 군사, 외교 등 모든 분야에서 실질적인 권력 행사를 실행하는 단계로 전환을 보게 되었다.

      • KCI등재후보

        『논어』를 통해 바라본 교육자상(敎育者像) 연구

        김영환 인문예술학회 2018 인문과 예술 Vol.- No.5

        In this study, the investigator set out to approach the images of educators, which might provide little guidelines to the confusing field of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Myeong(cause) and Ui(righteousness) in Analects of Confucius, thus offering a clue. This first required a need to establish the images of educators right since they were in charge of the field of education. The investigator decided to approach the images of educators through the images of noble men, limiting the virtues required from the images of noble men to Myeong and Ui, which had the qualities under the categories of “justice, righteousness, straight, and right” in the present study, thus implying that educators in the field of education should have just, right, and courteous virtue and action. In the field of school, managers of higher ranks are required to follow higher codes of conduct in their virtue and action to keep their honor. In addition, they should have soft generosity. In today’s society, however, horrible events take place in school, being covered by the mass media. Every time there is news about such an event, one realizes once again that education is far from easy. In the South Korean society, some horrendous events and accidents in school are attributed to the causes of school administrators that are not right. When higher-rank administrators have wrong causes, they inflict serious damage on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In today’s social trend of “female-dominated society,” there is a greater emphasis on non-mainstream over mainstream, freedom over some isms and tenets, individuals over groups, non-marriage over marriage, women over men, students over teachers, money over duty, and student right over teacher’s authority, but the massive dignity of the state still dominates education. It is the principal and vice-principal that exercise the dignity of the state directly as subjects in the field of school. It is called the female-dominated era today, but managers still have powerful authority and power, which is why they are asked more urgently to have generous and soft tolerance and gentleness while managing and supervising the field of education based on their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right causes. It is not saying that managers are only to blame for all the problematic situations in schools, but it creates an opportunity to think in this aspect. Will managers alone be able to ensure education under the right causes only by doing right? Can one directly argue that only the absence of managers’ educational philosophy is responsible for the field of education in which various subjects operate in complex ways including principals, vice principals, teachers, administration offices, students, and parents? It is, however, right that everyone should lead a life based on desirable causes and right righteousness no matter who the subjects of education are including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본 논문을 통해 필자는 혼란스러운 교육 현장의 자그마한 지침이 될 수 있는 교육자상을 『논어』의 명(名: 명분)과 의(義: 올바름)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하나의 실마리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학교 현장을 책임지고 있는 교육자상에 대한 올바른 정립이 필요하다. 교육자상은 공자의 군자상을 통해 접근하기로 하고, 그 군자상이 가져야 할 덕목을 명(名)과 의(義)로 한정하여 접근해 보았다. 명(名)과 의(義)는 본고에서 ‘정의·올바름·바름·옳음’의 범주에 속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학교 현장에 있는 교육자는 정의롭고 바르고 예의바른 덕목과 행동을 가질 것을 시사해 준다. 학교 현장의 계급이 높은 관리직일수록 그 명예를 지키기 위한 덕목과 행동은 더욱 높은 수준의 행동 강령을 요구받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그 너그러움은 부드러워야 할 것이다. 그러나 작금의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교육 현장의 몇몇 끔찍스러운 매스컴의 보도를 접할 때면 교육이 쉬운 일이 아님을 실감할 수 있다. 사회의 교육 현장에서 발생하는 몇몇의 끔찍한 사건과 사고는 학교를 경영하는 관리자들의 바르지 못한 명분 때문에 발생하는 일이다. 특히 고위직의 관리자일수록 교사와 학생과 학부모에게 돌아가는 피해는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요즘 사회 트렌드를 ‘여성 상위 시대’라 하여 주류보다는 비주류, 〇〇이즘이나 〇〇주의보다는 자유, 집단보다는 개인, 결혼보다는 비혼, 남성보다는 여성, 교사보다는 학생, 도리보다는 돈, 교권보다는 학생 인권이 지배하는 세상이라고 하지만 그래도 아직은 국가의 거대한 위엄이 교육을 지배하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 국가의 위엄을 행사하는 직접적인 주체는 관리자인 교장과 교감일 것이다. 작금의 시대가 여성 상위 시대라고는 하지만 아직까지도 관리자들의 권위와 권력은 막강하다. 그렇기 때문에 관리자들이 올바른 명분의 교육철학을 가지고 교육 현장을 관리 감독하면서도 너그럽고 부드러운 포용력과 온화함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마치 학교 현장의 모든 문제 상황이 관리자들에게만 문제가 있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런 측면에서 한 번 생각해보는 계기를 가져보자는 것이다. 어디 관리자만 잘 한다고 교육이 올바른 명분아래 이루어지겠는가? 교장·교감·교사·행정실무직원·학생·학부모 등 다양한 주체들이 복합적으로 움직이는 교육 현장을 어찌 관리자들만의 교육철학 부재가 원인이라고 단적으로 말할 수 있겠는가? 그러나 교사, 학생, 학부모 등 교육의 주체가 누구든지 간에 바람직한 명분과 올바른 의를 바탕으로 삶을 살아가야 하는 것은 마땅한 일일 것이다.

      • 한국적 정책과정 모형의 이론적 탐색 : 중앙부처의 정책과정을 둘러싼 엘리트 연합의 명분화 전략

        권향원 한국행정학회 2019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하계

        본고는 한국의 정책과정에 대한 질적·탐색적으로 분석을 통해 현실에서 비롯한 ‘정책과정모형’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근거이론의 방법론적 논리를 차용하여, 중앙부처의 공공정책과정을 범위로 하여 81명의 실무가들에 대한 심층인터뷰와 참여관찰 등 다각적 자료수집을 수행하고, 이들을 발견의 맥락에서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①의제결정단계, ②내용구체화 및 명분·논거 마련단계, ③외부조정 및 협상·거래 단계, ④합법화 단계, ⑤집행 및 사후조정(갈등관리) 단계의 5가지 절차를 발견하였다. 더하여, 한국의 정책과정을 둘러싼 다음과 같은 특질을 식별하였다. (1)첫째, 대통령과 청와대를 정점으로 하는 엘리트 연합이 정책과정에서 지배적인 독립변수성을 지닌다. 정책은 ‘엘리트 연합’이 사전조율 한 의제를 이론적 명분을 통해 관철시켜가는 과정을 뜻한다. 이에 주요 정책자원은 ‘합리성’이 보다는 ‘정당성’에 있다. (2)둘째, 정책과정의 주요 동력은 ‘명분’이며, 이에 서구의 관리제도(예. 평가제도)를 명분화의 도구로 원래의 취지와 다르게 변용하여 활용하는 경향을 보인다. 학계는 정부용역과 수탁 사업에 의존성을 가지며, 이에 명분화의 외부조력자의 역할을 한다. (3)셋째, 미국의 정책엘리트가 정부-의회-이익집단의 동맹구조에 초점을 두는 것과 달리, 한국의 정책엘리트는 정권창출의 과업 기여도에 따라 (재)구성된 정권-정부-학계-의회-언론의 동맹구조를 중심축으로 한다.

      • KCI등재

        명말청초 문학과 북학파 문학의 변별점 - 연암 박지원과 형암 이덕무를 중심으로

        朴在慶 열상고전연구회 2013 열상고전연구 Vol.37 No.-

        본고에서는 연암 박지원과 형암 이덕무를 중심으로 18세기 북학파가 보인 문학양상이 명말청초의 그것과 어떤 변별점을 갖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의명분과 경세의식이 두드러지게 대두된다는 점을 ‘모기령’의 비판적 태도와 문학인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모기령의 변절과 주자비판에 대한 비판적 입장과는 별개로 그의 경학과 학문적 성과에 대해서는 인정하는 조선 문인들의 독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 주자학의 논리에 배치된다고 무조건적으로 비난하던 이전 문인들의 경향과 달리, 배울 점이 있다면 어떤 대상이든 간에 감상적인 평가와 별개로 배우고 활용할 수 있다는 북학파의 합리주의적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춘추대의를 중시하는 것과 경세의식을 중시하는 부분이 만나 북학파에게 있어 새로운 의식을 배태하게 하는데 그것이 바로 ‘실질적 명분론’이다. 그 결과, 연암일파는 명말청초 문학에 대한 구체적이고도 냉정한 비판적 태도를 갖게 되었다. 그것이 그들이 명말청초 문학과 구분되는 점이다. 이것은 주관적인 자신의 취향에 따른 호오선택이 아닌 객관적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연암일파의 문학비평론 기준을 엿볼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그래서 그들이 구현한 ‘실사구시의 글쓰기’는 청초 실학에서 보이는 것과 유사성을 갖고 있으면서도 조선만의 특색을 잃지 않고 있다. 같은 경세의식에 대한 강조도 문학론으로 확장하지 않은 중국 실학의 것에 비해 조선은 그것이 분리되지 않은 하나의 경향으로 일체화되어 있다는 측면에서 포착되어 설명되어야만 한다. 그래서 그러한 경향이 실질적 명분론을 비롯, 구체적인 북학에 대한 주장이나 경제와 관련된 정책의 제시는 물론이고 문학의 효용론적 관점을 강조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연암일파의 사고 전반에 깔려 있는 새로운 형태의 글쓰기 전범이라고 보아야 그 전모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manuscript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18C Bukhak-pa's literature aspect and late Ming Dynasty and early Ch'ing Dynasty's. As a result, Mo gi-ryung(毛奇齡)'s critical attitude and realization about literature confirmed that the justification and awareness of administration were on the rise. Apart from Mo gi-ryung's apostasy and critical attitude to criticize ChuHsi(朱子), Korean literary society in late Chosun Dynasty distinctively conceded his study of Chinese classics and academic performance. Different from the writers who unconditionally criticized anti-Chutzu, Bukhak-pa's rationalism turned out to be separate sentimental estimation and studying no matter what it is if there are something to learn. This way of thinking mixed considering the justification as well as considering awareness of administration, and it cause Bukhak-pa to germinate new consciousness which is called ‘Actual justice’. Consequently, Yeon-am faction had specific and objective critical attitude about late Ming Dynasty and early Ch'ing Dynasty literature. This fact distinguish them from late Ming Dynasty and early Ch'ing Dynasty literature. It offers Yeon-am factions' literature-criticism criterion since they attempted to approach objectively, not by one's subjective preference. Therefore, emprical tradition writing that they pictured looks similar to writing of early Ch'ing Dynasty's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but they kept Chosun's characteristic. About the same emphasis in administration should be explained differently that Chosun’s tendency was to integrate with literary theory unlike Silhak in China. It is possible to figure out the whole picture by regarding these tendency as a new type of writing in general Yeon-am faction's thought including actual justice, opinions of specific Bukhak, an economic policy, and even emphasizing pragmatic view of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