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재선,박성열,차승봉,주민호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7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9 No.2
Social network services(SNSs) have impacted various aspects of education because they are considered helpful to students’ learning. Several studies verified their effects on learning outcome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empirical evidence on the significance of SNS use.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543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South Korea. Sever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test hypotheses after two factor analyses to verify construct valid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students’ learning outcomes fall into the following domains: social domain(SD), cognitive domain(CD), affective domain(AD), and psychomotor domain(PD). Students’ participation in SNSs(SP) and their social acceptance in SNSs(SA) influenced learning outcomes based on SNS. Unlike in previous study results, attitude towards school life(AT)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all learning outcomes. SP was identified as a key variable because it has effects on all learning outcomes.
김재선 대진대학교 1998 大眞論叢 Vol.6 No.-
In this paper, I studied between the Korea people and the the Manju people belong to the same class but different branch. In order to prove this fact, First, I have compared to the Mahan Sodo with the Manju Sodo. Second, I have compared to the ancient Korean language with the Manju language.
이민행정법상 체류외국인 법제에 관한 공법적 고찰 - 미국 이민행정법상 체류외국인 관련 법제 논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재선 한국비교공법학회 2019 공법학연구 Vol.20 No.2
As the number of the resident aliens in Korea has been increased dramatically recently, the immigration law which governs resident aliens has become significant. For instance, the resident aliens has reached 4.2% in 2017, and the number has been increased by 7-8% during the recent 5 years. The main issue in this research is how to define the resident aliens under the Constitution and the Administrative law system of Korea. “All people”, which has been articulated under the Korean Constitution, has been interpre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ights or areas regulated by the Supreme Court. For instance, the rights as human beings, such as due process clauses, are protected are protected for the resident aliens. However, the rights as a citizen (or people) has been differently defined and regulated. Since the governing immigration law has been acknowledged as the wide discretionary area under the Supreme Cour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clear legislative or administrative obligations of the government could not be recognized. However, since citizenship, nationality, resident aliens are located in the different regulatory areas, immigration legal system needs to be revisited from the public law perspectives. 국민 또는 시민 개념은 전통적으로 국적법 또는 시민권제도를 통하여 국적을 가진자와 가지지 못한자(“all or nothing”)로 구분하여 왔으며, 국내공법으로서 헌법과 행정법은 주로 국민을 적용대상으로 규율하여 왔다. 그러나 전세계의 인적 교류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국내 체류 외국인은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4.2%에 이르며 매년 증가율은 최근5년간 증가율이 8%대에 이를 정도로 증가하였으며, 체류목적도 재외동포를 포함한 비전문인력(E-9) 뿐만 아니라 주재, 숙련기술자, 예술흥행 등 전문인력(D-7∼E-7) 등 과거에 비해 그 범위가 넓어졌다. 이에 따라 체류외국인은 국내에서 “경제활동, 교육, 문화, 노동 등” 국민과 다양 형태의 “법적․사회적 생활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본고에서는 체류외국인의 법적 지위와 체류외국인에 관한 이민행정법제의 적용범위와한계에 관하여 이민행정법제를 오랜 시간에 걸쳐 발전시켜 온 미국의 사례를 비교법적검토대상으로 삼아 연구하였다. 체류외국인을 규율하는 이민법제는 전형적인 재량행위 영역으로서 헌법상 또는 법률상 입법 또는 행정상 의무가 명확하게 부과되지 않은 입법재량 및 행정재량이 광범위하게 부여된다. 미국의 경우, 1953년 연방대법원이 연방헌법상 시민(“citizen”)과 체류외국인(“residential aliens”)은 명시적으로 구분된 것은 아니라고 판단하면서, 1970년 사회보장수급 청구권 인정(Goldberg v. Kelly 판결), 1982년 불법체류 외국인의 자녀에 대한공립학교 수학권을 인정(Plyer v. Doe 판결)하였다. 그러나 체류외국인과 시민의 권리를개별 권리의 법적 성격에 따라 구분하고 있는데 체류외국인의 사회보장이익을 전면 금지하거나 특정 주에 대한 거주요건을 포함하는 차별적 주법은 연방헌법에 반한다고 판단한 반면, 개별 사회보장제도 적용을 금지하는 주법(예컨대 의료보호 가입을 위해서는신분 및 거주기간 최소요건을 구비하여야 한다는 주법)에 대해서는 이민행정법상 필수적인 구별(“necessarily disparate treatment”)이므로 연방헌법에 반하는 차별이 아니라고 판단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육, 언어, 취업활동 지원, 적법절차 보호 등 체류외국인을 위한 지원정책 또는 제도가 지방자치단체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 체류외국인의 자격과 신분을 고려할 때, 국내법 적용관계를 명확하게 규율하기 어려운 이민행정 재량 영역임을 전제하되, 체류외국인을 “국민 또는 시민, 비체류 외국인”과 구별되는 새로운 규율대상이라는 관점에서 개별 영역별로 헌법에서 보장하고 있는 차별영역에의 해당성 여부, 과도한 차별행위에 대한 사법심사 등 공법적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공정 매개변수 및 열화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다공성 결함감지를 위한 고압 다이캐스팅 결함 예측 딥러닝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김재선,박춘우,박원석,박영현,조창현,김동주 한국CDE학회 2023 한국CDE학회 논문집 Vol.28 No.3
Existing analysis methods have limitations in identifying the exact cause of defects because sev- eral variables cause defects in a complex manner in the high-pressure die-casting process. How- ever, as data processing speeds increase and analysis technologies advance, research activities are progressing on techniques to analyze complex manufacturing processes. In this study, numerical and image data were collected for the main variables that cause porosity defects in the die-casting process. Based on this, we intend to design a failure prediction algorithm using the HP-GAN(Hypothesis Pruning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algorithm and verify the algorithm. The HP-GAN algorithm is a combination of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GAN algorithms. The raw data used in HP-GAN are line data derived from the die-casting equipment PLC and thermal images taken before and after spraying on the mold work surface through a thermal imaging camera. data, porosity defect data. To strengthen the algorithm, we used the Mean Squared Error (MSE) formula and the Gradient Decent Algorithm (GDA) to modify the weights of the algorithm to increase the prediction accuracy.
정보화 사회의 규제 변화와 공법적 쟁점 -프래그머티즘에 기반한 규제이론의 변화, 보다 나은 규제를 위한 행정법 이론적 검토-
김재선 사단법인 한국국가법학회 2023 국가법연구 Vol.19 No.3
Regulation in an information society goes beyond the discretionary choice of regulatory means based on the superior status of the administrative agency, and a new approach is being made by creating regulatory status and regulatory methods through debate and agreement between regulators and regulators. In other words, as a highly authoritative administrative disposition,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regulatory methods that realize the basic values of administrative law, the rule of law, and the principle of guaranteeing basic rights without undermining the valu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information use. The demand for a change in regulatory methods has emerged since the early 1990s, but it has been further promoted through the information technology revolution in the 2000s and the expansion of non-face-to-face services in the COVID-19 era in 2020. However, in the information age, service types have atypical, technology-oriented, and international characteristics, and due to network effects, inevitable monopolies that did not exist have appeared, making it difficult to respond with existing regulatory methods. Until recently, it has been noted that both regulators and regulators are increasingly tired of regulation as legislative solutions are used, administrative issues are discussed to enforce regulatory discretion and choice of enforcement measures. Therefore, regulators, regulators, and service users have all criticized the problem of regulatory gaps in some cases, and in other cases, criticized the problem of inappropriate regulations or excessive regulations on the premise of services before new service types appeared. The recent pragmatist discussion in U.S. administrative law is also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the study of regulatory theory under our administrative law in that it considers discussions at the administrative, policy, and economic levels in terms of regulatory rationality, predictability,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In particular, in the United States, formalist law and pragmatist discussions have been combined in the 1920s, and have been strengthened through the Federal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in 1946 and Chevron docrine in 1984, this trend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regulatory theory in the information age. In the case of Korea, as the self-regulation policy for the platform was declared in 2022, discussions on specific self-regulation methods are mainly taking place. Platform services enjoy network effects and strengthen their status as a group that controls and manages data in a situation where market boundaries are unclear, but in Korea, direct regulation centered on laws can shrink or limit the service model.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the value of securing rationality and predictability in terms of regulatory content, presenting concise and clear regulatory standards in terms of regulatory form, understanding complex contexts in terms of regulatory design, and protecting basic rights of the people in terms of regulatory ideology should be guaranteed. Furthermore, it is thought that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in terms of administrative law regulatory theory on regulations in the information age, such as platforms, which have shown the limitations of competitive legal discussions. 정보화 사회의 규제는 행정청의 우월적 지위에 근거한 규제수단의 재량적 선택에서 나아가, 규제자와 피규제자의 논쟁과 합의를 통하여 규제 여부와 규제 방식을 창설하고, 창설된 규제 수단에 대한 법적 정당화 논의를 거쳐, 규제 집행의 가치와 효과성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즉, 고권적 행정처분으로서 피규제자는 규제를 수용하던 지위에서 벗어나 기술 발전과 정보 활용의 가치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행정법의 기본 가치인 법치주의와 기본권 보장이념을 실현하는 규제 방식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궁극적으로 “어떤 규제가 보다 나은 규제인가?”라는 부분에 대한 고민이 이루어진다. 규제방식의 변화 요구는 1990년대 초반부터 나타났지만, 2000년대 정보화 기술 혁명, 2020년 코로나 시대의 비대면 서비스 확대를 거치면서 더욱 촉진되었다. 하지만, 정보화 시대의 서비스 유형은 비정형적, 기술지향적, 국제적 성격을 갖고 있고, 네트워크 효과로 인하여 기존에 없었던 필연적 독점이 나타나는 등 기존의 규제 방식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변화가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최근까지도 입법 측면에서는 법령의 제·개정을 통한 문제 해결 방안이 활용되고, 행정 측면에서는 규제 재량의 집행 가능성과 집행 수단에 대한 선택 문제가 논의되며, 사법 측면에서는 엄격한 사법심사를 자제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규제자와 피규제자 모두 규제에 대한 피로감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주지하고 있는 바이다. 따라서 규제자와 피규제자, 서비스 이용자 모두 어떤 경우에는 규제 공백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또 어떤 경우에는 새로운 서비스 유형이 나타나기 전의 서비스를 전제로 한 부적합한 규제 또는 과도한 규제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최근 미국 행정법학에서 나타나고 있는 프래그머티즘적 논의는 “실제 이로운 결과를 가져오는 정책”에 행정학, 정책학, 경제학적 차원의 논의를 규제의 합리성과 예측가능성 측면, 행정절차적 측면에서 고려한다는 점에서 우리의 행정법상 규제이론 연구에도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미국의 경우 1920년대 형식주의 법학과 프래그머티즘적 논의가 접목된 이후, 1946년 연방행정절차법, 1984년 Chevron doctrine 등을 거치면서 강화되어 왔는데 정보화 시대 규제 이론에서 이러한 사조는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22년 플랫폼에 대한 자율규제 방침이 선언되면서 구체적인 자율규제 방식에 대한 논의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정보화 서비스 중 플랫폼 서비스는 시장의 경계가 불분명한 상황에서 네트워크 효과를 누리며, 데이터를 지배·관리하는 집합체로서 지위가 강화되는 현상을 보이지만, 시장참여자의 층위가 다양한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법령 중심의 직접 규제는 서비스 모델을 위축하거나 제한할 수 있고, 특정 규제는 풍선효과를 불러일으켜 다른 서비스 또는 기업의 지배력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오기도 하고, 서비스 특성을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할 경우 합리적이거나 적절한 규제의 방식에서 벗어나 시장에서 규제의 신뢰를 잃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규제 내용 측면에서의 합리성과 예측가능성의 확보, 규제 형식 측면에서 간결하고 명확한 규제기준 제시, 규제설계 측면에서 복잡한 맥락의 이해, 규제의 근본 이념 측면에서 국민의 기본권 보호 등의 가치를 보장하여야 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