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교육만족도, 직장만족도,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대학 진로 및 취업프로그램 참여, 전공-직무 일치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신주랑(Shin Ju-Rang),박인우(Park In-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effects and relationships of university education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participation in university career and employment programs, and education-job consistency as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current college graduates. For this purpose, the effects of the mediating variables such as job satisfaction, participation in college career and employment programs, and education-job consistency were verified through the moderated mediating analysis. The data of the 2018 College Graduate Vocational Transition Survey (2017 GOMS)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education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job agreement. However,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college career and employment programs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university education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to be improved in colleges were presented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and the quality of life after gradu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대졸자 중 현직자를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대학교육만족도, 직장만족도, 대학 진로 및 취업 프로그램 참여도, 전공-직무 일치도의 효과와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교육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매개변인인 직장만족도, 조절변인인 대학 진로 및 취업 프로그램 참여도, 전공-직무 일치도의 효과를 조절된 매개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에는 한국고용정보원의 2018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2017GOMS)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직장만족도는 대학교육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전공-직무 일치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졌다. 그러나 대학 진로 및 취업 프로그램 참여도는 대학교육만족도와 직장만족도 사이에서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직업만족도와 졸업 후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대학에서 개선할 할 부분과 연구의 제한점 및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개인 및 대학재정변인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구성우,김병주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2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1 No.4

        본 연구는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개인 및 대학재정변인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일반대학교 대학생 9,453명이며, 한국고용정보원이 조사하고 있는 2019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8GOMS)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변인은 독립변인으로 개인특성(입학전형, 취업목표 설정, 전공 재선택시 동일전공 선택)과 대학재정(학생 1인당 교육비, 학생 1인당 교내장학금, 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 매개변인으로 전공만족도, 종속변인으로 대학생활만족도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는 종속변인인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다른 변인들의 영향력 중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개인특성은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취업 목표를 설정하고 동일 전공을 재선택하려는 대학생은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를 통해서만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개인특성 중 학생부 종합 및 교과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은 정시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보다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대학재정 중 학생 1인당 교육비와 자료구입비는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학생 1인당 교육비와 자료구입비가 많을수록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와 종속변인인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학생 1인당 교내장학금은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종속변인인 대학생활만족도에는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학생 1인당 교내장학금이 많을수록 대학생활만족도가 낮아지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개인 및 대학재정변인이 대학생활만족도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취업준비프로그램과 대학교육만족도가 직무일치를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병주(ByoungjooKim),서화정(Seo, Hwa-J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3

        본 연구는 취업지원프로그램과 대학교육만족도가 직무일치를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3년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3GOMS1)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졌다. 이는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인프라와 교육과정에 대해 만족할수록 취업 이후의 직무만족도 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둘째, 직무일치의 매개효과는 대학교육만족도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에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교육만족도가 직접적으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 도 하지만 직무일치라는 매개변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주기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취 업지원프로그램이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지원프 로그램 제공이 학생들의 졸업이후 취업성과를 높이는 데 기여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졸업 후 직무일치와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재학시절의 대학 교육만족도가 중요함을 확인시켜주었다. 대학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대학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대학교육의 질 관리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 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ructural relation among university educational satisfaction, employment supporting program and job satisfaction mediated by job match. To accomplish this purpos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dopted for this study. 2013 GOMS(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higher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the higher job satisfaction is. This mean that job satisfaction after being employed is raised as satisfaction on educational infra-structure and curriculum provided by colleges and universities was high. Secondly, employment supporting program affect negatively job satisfaction mediated by job match. This mean that employment support program not for considering individual needs and character of students but for raising just participation rate don't contribute to raise job satisfaction of graduates after being employed. Thirdly, mediating effect of jab match is valid in relation between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This mean that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affect job satisfaction not only directly but also mediated by job match. In order to raise job satisfaction and job match of graduates after being employed,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should be raised while they are in universities. Raising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is to raise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So in order to raise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colleges and universities should effort to raise and manage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 KCI등재

        회계교육만족도에 관한 분석:수강자 특성과 교수법을 중심으로

        김주은 한국회계정책학회 2016 회계와 정책연구 Vol.21 No.1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through the course of the financial accounting. We aimed at seeking the improved direction of the financial accounting education through which students wa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financial accounting major 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grades. An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ing satisfaction and according to genders. In the case of females, they were analyzed by low satisfaction with teaching and major learning satisfaction compared to males. Retaking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first student. This is likely due to the upper limit of credit about retaking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analyzed that there are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majors.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ourse objectives. The students were analyzed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credit that is lower than student satisfaction for the purpose of certification. Dependence on student’s learning metho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teaching methods. And lectures and seminar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ajor learning satisfaction. However, student presentations, discussions had shown a very low satisfaction with teaching satisfaction and major learning satisfaction. So the professor will induce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and you need to run a proper assessment. Therefore, this study may explore the improvement of financial accounting by reflecting the student’s needs. 본 연구는 재무회계 분야의 주요과정을 이수한 회계전공 교과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재무회계 학습에 대한 교육만족도를 분석하여 기대교수법 및 재무회계 강의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학년 간 재무회계 전공학습만족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4학년생의 재무회계강의에 대한 전공학습만족도가 타 학년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나 고급회계강의 등 상급과목에 대한 학습과정 및 수준의 적절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였다. 둘째, 성별 간 교육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에 비해 강의만족도와 전공학습만족도의 수준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결과는 과거 선행연구에서 특정의 방향성을 살펴볼 수 없는 다양한 결과들이 있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전반적인 교육만족도 부분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준을 보임으로서 강의방식과 학습수준에 대해 여학생의 경우 더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추론하였다. 셋째, 일부의 선행연구에서 회계원리 등의 기초과목에 대한 회계전공 및 경영계열 학생의 우수성이 입증된 바 있으나 본 연구결과에서는 전공에 따라 강의만족도와 전공학습만족도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평가만족도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수강목적에 따라 강의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점이수 목적의 수강생은 교수 강의 시 적절한 미디어의 사용, 사례제시 및 전공지식의 정확한 전달력에 대해 자격증 취득목적의 수강생보다 낮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교수법에 따른 교육만족도의 분석결과, 학생들의 강의법에 대한 의존도가 타 교수법에 비해 매우 높았으며 전공학습에 대한 세미나 운영이 교육만족도와 유의하게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의 참여가 필요한 학생발표, 토론 등의 수업방식에 대해서는 강의만족도와 전공학습만족도에 매우 낮은 만족감을 나타냄으로서 학생들 스스로의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유도하고 이에 대해서도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교육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전통학습과 또래학습에 의한 태권도 수련생의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정영훈(Jeong, Young Hoon),조성균(Cho, Sung Kyung) 한국무예학회 2008 무예연구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일선 태권도장에서 또래학습을 이용한 수련생의 교육만족도에 관한 효과를 측정하고자 설문지법을 통해 또래학습을 이용한 교육과 전통적인 교육의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첫째, 태권도 교육의 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효율만족도는 지속성 요인에 대한 만족도(4.33±.947)가 가장 높았음을 알 수 있으며, 반복성 요인의 만족도 (3.50±1.353)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몰입도 요인에 대한 만족도(3.84±1.228)가 가장 높았으며, 복습유무 요인의 만족도(3.16±1.337)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성취만족도는 수련강도에 대한 만족도(9.96±.961)가 가장 높았고, 난이도에 대한 만족도(3.46±1.026)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또래학습과 관련된 요인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상관계수가 .487에서 .576으로 비교적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효율만족도와 학습만족도 간에는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방식에 따라 난이도, 수련강도, 체력향상 요인 모두가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난이도는 또래 학습방식의 만족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련강도에 있어서는 전통 수련방식의 만족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체력향상에 있어서는 또래 학습의 만족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또래학습량과 또래학습수용태도가 만족도(효율만족도, 학습만족도, 성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또래학습량이 증가할수록 율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설명력이 5.2%로 상당히 낮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또래 학습에 대한 수용태도가 높을수록 성취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tility and effect of the education using peer tutoring on Taekwondo hall.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earlier studies. To make this clear, first of all, I divided Taekwondo hall into two groups - one group that were taken the peer tutoring gym and the other group that were not taken the hall. It’s specifically intended to find out how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t Taekwondo drill hall using peer tutoring was affected by trainee’s gender,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the period of their child’s getting training, and parents’ job(father or mother), etc.To accomplish this study, Taekwondo halls in the province of Gyeongsang-do were picked randomly. Kids from 4th grade to 6th grade on those halls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Among them, total of 282 survey sheets(151 from Taekwondo halls using peer tutoring and 131 from another) were collected. And materials among returned questionnaires that were considered as untrustworthy and groundles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The measurement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earlier studies. In addition, the survey sheet for the study was revised and modified to add the accuracy to this study. The survey sheet has a total of 29 questions made up 9 on trainees, 2 on the educational attitude of peer tutoring, and 18 on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The encoded materials suitable for analysis were analyzed the use of SPSS/PC for WINDOWS 13.0. This study used various of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independent samples t-test, factor analysis, multiple linear regression, one-way ANOVA, and Scheffe method for post-hoc comparison. And the reliability on the survey sheet, the measurement method for this study, was between .693 and .876.Through this kind of study method and process, we got the results on the educational effect of peer tutoring on Taekwondo halls. They are stated below. First, 3st Poom reply was higher than that of 1st Poom on satisfaction of efficiency. And 3rd Poom reply was higher than that of 1st Poom on satisfaction of accomplishment.S econd, education using peer tutoring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Finally, the satisfaction of efficiency was affected by the amount of education using peer tutoring and the attitude of learning.

      • KCI등재후보

        직장기혼여성의 부부갈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송진영(Song, Jin-Yeong),황치정(Hwang, Chi-Jeong)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3 비판사회정책 Vol.- No.40

        본 연구는 직장기혼여성이 가정에서 겪는 남편과의 갈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남편의 가사분담에 대한 만족도가 이들 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1년 여성가족패널 3차 조사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SPSS 20.0을 이용하여 이들 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부갈등은 직무만족도에 부(-)적인 영향관계를 나타냄에 따라, 부부갈등이 심할수록 직무만족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사노동분담만족도는 부부갈등과 직무만족도 간을 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직장생활을 하는 기혼여성들이 가정에서 남편과의 갈등을 더 많이 경험할수록 직무만족도가 낮게 나타나는 상황에서 남편의 가사노동분담을 높임으로써 그들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household labor division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tial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against married women with job. To achieve the goal,?2011 Woman Family Panel Survey Data?was utilized for analysis. SPSS were applied in technical statistic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Martial conflict had negative influences on job satisfaction. (2) Household labor division satisfaction presented as a positively moderator between martial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 got the information as follows. The more the married woman with job has experienced a conflict with a husband in home, the less job satisfaction appears. The confirmation that household labor division satisfaction are an excreted that raises job satisfaction as a moderator between martial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is very significant. At this situation, I proposed some plan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through household labor division satisfaction elevations.

      • 중소기업 아파트의 재구매 의향 및 긍정적 구전 제고를 위한 고객만족도 관리 전략

        허원무,이완수 한국산업경영학회 2005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05 No.1

        IMF 이후 국내 아파트 시장은 대기업 브랜드 아파트가 주도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브랜드 파워가 약한 중소기업의 아파트는 시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중소업체는 대기업과 같이 브랜드를 만들고 많은 광고를 하고 있지만, 성공 가능성은 높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대기업 브랜드 아파트와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분양률 제고를 위한 중소기업 아파트의 차별화 전략으로 고객만족도를 제안하였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고객만족도가 긍정적 구전과 재구매의도와 관련이 있는지를 대기업 아파트와 비교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전반적인 만족도가 아닌 구체적인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아파트 만족도는 선행연구, 전문가분석, 설문조사를 통해 6가지 차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중소기업 아파트 거주자의 경우, A/S관련 만족도, 마감재 디자인 및 품질 만족도, 내부구조 만족도가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쳤고, A/S관련 만족도, 내부구조 만족도, 입지 만족도, 시공상태 만족도가 긍정적인 구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비해 대기업 아파트 거주자의 경우에는 내부구조 만족도, 공용시설 만족도가 재구매의도 및 긍정적 구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중소기업 아파트 거주자와 대기업 아파트 거주자의 만족도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중소기업 아파트 거주자는 시공상태에 대한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입지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학교 여학생 발레 수업이 외모 만족도 및 대인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상관관계

        권경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7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3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여학생 발레수업이 외모만족도 및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발레수업에 따른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연관성을 비교하기 위해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학교 여학생 발레수업 참여 전후에 따른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관계 검증 결과 발레수업 사전과 사후의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0.652, 0.730으로 외모만족도가 높은 학생들이 대인관계만족도도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사전보다 사후의 상관계수 값이 더 높게 나타나 발레수업이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성을 더 높게 나타나게 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초등학교 여학생 발레수업 참여에 따른 학년별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관계 검증 결과 3학년과 4학년에 있어서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계수가 0.785, 0.675로 양의 상관관계로 P값은 <.001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5학년과 6학년에서는 상계계수가 0.609, 0.590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발레수업에 따른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는 고학년보다 저학년에서 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여학생 발레수업 참여에 따른 경제상태별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관계 검증 결과 경제상태가 좋거나 보통인 학생들이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계수가 0.732, 0.708로 양의 상관관계이며 P값은 <.001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발레수업이 경제상태가 좋은 학생들이 보통인 학생들보다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 간의 상관성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효과적인 측면(증가의 크기)에서는 보통인 학생들이 더 크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초등학교 여학생 발레수업 참여에 따른 외모관심도별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관계 검증 결과 외모관심도가 높거나 보통인 학생들이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의 상관계수가 0.837, 0.697로 양의 상관관계로 P값은 .001, <.001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발레수업이 외모관심도가 높은 학생들이 보통인 학생들보다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만족도 간의 상관성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효과적인 측면(증가의 크기)에서는 보통인 학생들이 더 크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초등학교 여학생 발레수업이 초등학교 여학생의 긍정적인 외모만족도를 향상시키고, 학생들 주변의 부모와 관계, 친구와 관계, 교사와의 관계 등 대인관계에도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규명함으로써 발레 수업의 필요성과 심리적 가치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to compare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ccording to ballet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girls, to investigate correlation ballet classes affected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t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the study on whether the elementary school girls’ appearance satisfaction according to before and after ballet classes would affect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girls with higher satisfaction of their appearance had higher satisfaction of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well, and that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had higher correlation values after the class than before the class, which shows appearance satisfaction are high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which indicates the ballet class has effects on improvement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study on whether elementary school girls’ appearance satisfaction after ballet classes would affect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chool year and economic conditions, it was found ballet classes by the school year were more effective in the third and forth grade groups that had higher learning dependen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in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 than the upper grades that went through the secondary growth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Third, significant results were produced regardless of economic conditions; girls with ‘good’ economic conditions showed higher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but in the aspect of the effect(size of increase) girls with ‘normal’ conditions showed higher correlation. This could be the result that confidence of girls, who had no economical problems and higher satisfaction of their appearance, was increased in balanced postures, body expression ability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fter ballet classes, which led to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However, the reason the result was bigger in the girls’ group with the ‘normal’ size of increas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s considered that girls in the ‘good’ economic conditions already had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due to appearance satisfaction so the increase was not bigger any more, while girls in the group with ‘normal’ economic conditions showed higher result than in the group with ‘good’ economic conditions, as they had physical confidence after ballet classes. Fourth, as a result of the study on whether appearance satisfaction by the interest in appearance of elementary school girls due to ballet classes, it was found that girls with higher interest in their appearance showed bigger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an girls with normal interest. This could be the result that confidence of girls who had no economic problems and had higher appearance satisfaction was increased in balanced posture, body expression ability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fter ballet classes, which led to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 KCI등재

        DISC 행동유형에 따른 만화애니메이션학과 대학생들의 만족도 차이 연구

        김신(Kim, Shi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7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7

        본 연구는 만화애니메이션학과 대학생들의 DISC 행동유형을 측정하여 개인의 차이를 이해하고 학생들의 강점을 최대화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며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고 핵심역량을 극대화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행동유형별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만화애니메이션학과 학생들의 DISC유형은 I형(사교형)이 41.7%로 가장 많았고 가장 적은 유형은 S형(안정형)으로 10%이었다. 연구대상자의 만족도 평균은 교수들의 조언에 대한 만족도가 3.8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내용 전공 적합성이 3.71과 교과 내용 흥미가 3.68로 높게 나왔고 행정서비스나 복지시설 만족도가 2.56으로 낮게 나타났다. DISC 행동 유형에 따른 만족도는 학과 만족도와 학교 분위기 만족도, 행정 및 복지시설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만족도에서는 가장 만족도가 높은 유형은 I형(사교형)이고, 가장 낮은 유형은 C형(분석형)으로 나타났다. 특히 I형(사교형)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므로 전체적으로 밝은 분위기가 연출될 수 있겠지만 산만하고 일의 정확도가 다소 떨어질 수 있으므로 중간 점검이 필수적이며 두 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C형(신중형)은 내성적이고 스트레스가 많은 성향으로 적극적인 소통과 정확한 조언으로 대학생활을 긍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행동 유형의 특성은 정확한 진로 탐색과 졸업 후 업무와도 연결이 되므로 학생 스스로도 본인의 행동 유형을 인지하고 교수들은 유형별 선호하는 환경이나 작업형태를 파악하여 매칭 한다면 취업률과 직업 유지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과의 소그룹 형태의 프로젝트나 작품 활동에서도 학생들의 DISC의 행동유형 적절하게 잘 구성한다면 유익한 리더십과 팔로우십으로 프로젝트 성공률을 높일 수 있으며 학과의 분위기도 향상시키어 중도 탈락률을 감소시키고 학과의 응집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행동 유형 파악으로 서로 다음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유형이 다르므로 배척하거나 제외하는 오류를 범하면 안 될 것이며 만화애니메이션학과 교수는 학생들의 행동유형별 특성과 장단점을 잘 파악하여 교수법으로 활용하고 유형별 맞춤 상담을 한다면 교수와 학생 간의 신뢰도와 충성심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aximize the core competencies by objectively measuring the Behaviour Patterns of students in Comic-Animation major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and to maximize one’s merits which will improve the efficiency in education. Also through this research we could understand which aspects would be affected in both the satisfaction about the major based on Behaviour Patterns and the satisfaction of university life. According to the DISC Patterns, 41.7% of the students in Comic-Animation department shows that they were in Patterns I(Influence). And Patterns S (Steadiness) were 10% which was the lowest percentage in this survey. In the average of the subject’ssatisfaction aspect, the satisfaction of the professors’suggestion was 3.68 which was the highest. While the satisfaction of the administration service and welfare facility was 2.56 which was the lowest. The satisfaction rate based on DISC Behaviour Patterns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atisfaction of the department, the satisfaction of atmosphere in university and the satisfaction of the admin and welfare. Patterns I (Influence) was the highest the satisfaction in the major and the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 life while Patterns C(Criticalness) was the lowest.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the I (Influenc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but it is essential that there is a slight decrease in the precision and accuracy of the work, and C(Criticalness) is shy and stressed, so they need to give positive communication and accurate advice. It is required to Comic-Animation department professor to analyse students’ character based on Behaviour Patterns and a person’s pros and cons for the career exploration and the employment consultation in order to have positive affect on employment rate. Also if the department’s Behaviour Patterns construction were well utilized, it can improve the success rate of useful leadership and fellowship. it will improve the atmosphere in the department which will decrease the drop-out rate but increase the cohesion in the department which will lead to providing better result in the work and the project.

      • KCI등재

        공공부문 조직과 민간기업 조직의 직무만족도 비교분석 : 한국노동패널연구(KLIPS)자료를 중심으로

        정광호,김태일 한국정책학회 2003 韓國政策學會報 Vol.12 No.3

        그동안 국내에서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사회과학 여러 분야에서 이루어져 왔지만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사이의 직무만족도가 다를 것이라는 가설은 체계적으로 연구되지 못했다. 특히 대부분의 연구들은 횡단면 자료(cross-sectional data)를 가지고 분석했기 때문에 지난 1997년 경제위기 이후 직무만족도의 종단면적 추이를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지난 1998년 이후 매년 조사되고 있는 한국노동패털자료(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를 이용하여 공공 및 민간부문간의 직무만족도의 차이에 대한 패널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지난 1998년부터 2001년까지 정부기관에 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가 민간기업종사다들보다 높음을 보여준다. 특히 취업안정성 만족도에서 가장 큰 차이가 발견되었다. 한편 보수만족도의 경우 지난 1998년부터 2000년까지는 양 부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2001년의 경우 민간부문에 비하여 공공부문의 보수만족도가 높아지고 있다. 추가로 본 연구는 교육변수와 성별변수에 따라 양 부문간의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있다. 특히 보수만족도와 복지후생만족도의 경우 공공부문의 고졸집단 만족도가 공공부문 및 민간부문의 대졸집단 만족도보다 높았다. 또한 직업 안정성, 직무내용, 그리고 복지후생 만족도의 경우 공공부문의 남성집단 만족도가 민간부문 여성집단의 만족도보다 높았다. 이 연구결과는 일반적으로 대졸집단이 고졸집단보다 그리고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직무만족도를 보인다는 사실과 상반된 것이다. 이것은 아마도 민간조직과 달리 공공조직이 가진 독특한 특성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Pervious studies have tended to neglect a hypothesis of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 Because they examined the hypothesis with a cross-sectional data, they have not showed a trend of job satisfaction since the 1997 economic crisis in South Korea. Unlike prior research, this study explores the longitudinal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between these two types of organizations with the Korean Labor & Income Study dat. This study shows that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in public organizations was higher difference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job stability in the same period. While there was little difference of wage satisfaction between them between 1998 and 2000, the level of wage satisfaction in public organizations was higher than that in private organizations in 2001.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in terms of education and gender. In public organization, those with high school degree have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in wage and welfare than those with college degree. In the case of job stability, job contents and occupational welfare, male group in public organizations has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than female group in private organizations These results contrast with the following two facts: (1) in general,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for those with college degree is higher than that for those with high school degree or no high school degree; and (2)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for female group is higher than that for male group. It appears to be related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public organ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