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이 인식하는 따뜻한 교육공동체 구성요인 탐색

        이상수,김대현,이유나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현상이 갖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공동체적 접근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기존 교육공동체적 접근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새로운 공동체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즉 외국 공동체 이론이 아닌 한국형 교육공동체, 모든 공동체 구성원들이 참여할 수 있는 교육공동체,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대립이 아닌 조화를 추구하는 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 그리고 내부 구성원들의 인식에 기초한 공동체 탐색 등 네 가지 방향성을 가지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들 방향성에 기초하여 한국인 의식의 특성에 대한 연구와 공동체에 대한 연구들을 기초로 하여 따뜻한 교육공동체를 새로운 교육공동체 모습으로 설정하였고 이를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중등학교 학생과 교사 총 1271명을 대상으로 따뜻한 공동체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인식도 조사에 기초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격적 관계, 민주적 참여구조, 공유된 비전과 목표, 협력, 헌신, 그리고 정서적 유대감 등 여섯 개의 요인이 따뜻한 교육공동체를 설명할 수 있는 구성요인들이 추출되었고 각 요인별로 세 개에서 여덟 개의 문항들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로 제시된 따뜻한 교육공동체는 한국인의 전통 의식들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극대화하고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한국형 교육공동체의 모습을 제시한다는 관점에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교육공동체에 대한 인식 및 ‘따뜻한’ 유아교육공동체의 이미지

        정계숙,견주연,윤갑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2

        본 연구는 ‘따뜻한’ 유아교육공동체의 개념과 유아교육공동체 구축 방안에 관한 일련의 기초연구 중 하나로, 미래의 유아교육공동체의 주체가 될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교육공동체에 대한 인식 및 본 연구에서 유아교육공동체의 지향 방향으로 상정한 ‘따뜻한’ 유아교육공동체에 대한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P시와 K도의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예비유아교사 총 243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기관을 교육공동체로 인식하는 정도는 보통보다 조금 높았다. 둘째, 교육실습 경험이 없는 예비유아교사들이 경험이 있는 예비교사들에 비해, 4년제 예비유아교사들이 2․3년제에 비해 유아교육공동체에대한 인식이 더 높았다. 셋째, 모든 구성원이 교육공동체의 주체라고 생각한 예비유아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예비교사들에 비해 유아교육공동체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다. 넷째, 현재 유아교육기관을 교육공동체로서 낮게 진단한 예비유아교사들이 높거나 중간정도로 진단한 예비교사들에 비해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이 유의하게 낮았다. 다섯째, 예비유아교사들은 ‘따뜻한’ 유아교육공동체를 ‘소통되는, 가치 있는, 배려하는, 정감 있는, 화합하는, 생명 존중의, 긍정적인, 조화로운, 공평한’ 등으로 이미지화 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따뜻한’ 유아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한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교육내용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perception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and images of a ‘warm’ educational community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ubjects consisted of 243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2-3 year course colleges and 4 year course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howed above average perception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Second, university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no teaching experience tend to have higher perception than teaching experienced college ones. Third, pre-service teachers who think that all members should be agents for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showed higher perception than those who think of each member as an agent. Fourth, pre-service teachers who rate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which the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institutions revealed lower perception than those who rated middle and high. Last, pre-service teachers have images of ‘warm’ educational community as ‘communicative’, ‘valuable’, ‘considerate’, ‘amiable’, ‘come together’, ‘life respectful’, ‘positive’, ‘harmonious’, and ‘equitable’.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contents of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building a ‘warm’ educational community are discussed.

      • KCI등재

        따뜻한 유아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개념모형 탐색

        정계숙,손환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0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9 No.3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Ddaddeth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that embodies an educational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at encourages the vitality of members, including young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cept of the Ddaddeth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and conceptual model, with a focus on the process of its establishment, based on the agency of the teacher, a key agent of chang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develop a conceptual model, a primary model was deriv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teacher FGI( Focused Group Interview), among others. Then, through a review process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we developed a final model of a Ddaddeth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led by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the Ddaddeth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was established,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presented. Seco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conceptual model was derived based on the process of reinvent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implementation system for this. Third, the principles for establishing a Ddaddeth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were drawn up to promote the transition and circulation of phases such as germination, rooting, growth, maturity, and expansion. Fourth, the implementation system for establishing the Ddaddeth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and its operation were presented, including the goal of each phase, core activities, practice strategies, competencies, and psychological bonding factors.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calling for further study through discussing on implications for specific practical plans required in the process of building Ddaddet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사회의 누적된 불신과 갈등, 기관 자체의 공동체적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유아, 교사, 학부모 등을 비롯한 구성원의 생명성을 북돋우는 교육과 조직문화를 구현하는 따뜻한 유아교육공동체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변화의 핵심 주체인 교사의 주체성을 중심으로 어떻게 교육공동체를 구현할 수 있는지 그 구축 과정에 초점을 둔 개념모형의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고찰과 분석, 교사 FGI 등을 통해 1차 모형을 도출하고, 유아교육 전문가 검토 과정을 거쳐 단위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한 교사 주도형 최종 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따뜻한 유아교육공동체의 개념과 특징을 밝혔다. 둘째, 개념모형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셋째, 발아기, 착근기, 성장기, 성숙기, 확장기와 같은 국면의 이행과 순환을 촉진하는 따뜻한 유아교육공동체 구축의 원리를 도출하였다. 넷째, 따뜻한 유아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실행체제와 그 운용에 대해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가 주도하고 유아교육 구성원들이 함께 따뜻한 유아교육공동체를 만들어나가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점, 효율적인 실천 방안에 대한 시사점 및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여 추후 연구를 촉진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정(情)과 우리의식에 기반한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구현 방안에 대한 연구

        정계숙(Chung Kai sook),박화춘(Park Hwa choon),구신실(Gu Sin sil),김효정(Kim Hyo jeong),박희경(Park Hee kyung),손환희(Son Hwan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4

        본 연구는 오늘날 유아교육기관과 특수학교를 포함한 모든 학교와 지역사회는 생명론적 세계관에 기초하여 우리의 고유한 정서인 정과 우리의식을 담아낸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구현을 필요로 한다고 보고, 그 개념적 방향 설정의 논거를 제시하고 정과 우리의식의 실제화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의 전통 사상에서의 생명관은 공동체적 삶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한국인의 오랜 공동체적 삶에 녹아있는 정과 우리의식을 고찰하여 이에 기반 한 따뜻한 교육공동체를 구현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였다. 그리하여 정과 우리의식의 윤리를 확립하고 학교생활에서 이를 움트게 할 수 있는 의례를 개발하며, 개별 학교의 독특한 문화를 반영하고 생성하는 상징이나 상징물과 집단놀이와 식(食)문화 행사의 향유 기회 제공 및 각 구성원을 위한 학습공동체와 같은 다양한 하위공동체 활동에 참여를 격려하기 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구성원별 교육공동체 역량 증진 활동과 프로그램의 개발을 자극하여 궁극적으로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실천 모델을 개발하고 정교화 시켜 나가는데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at all the schools and communities, inclu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special education schools, need to implement a ddadeutan(warm) educational community that can embody Cheong(情) and Wooriuisik(weness), which are our unique emotional cognitive values, based on the viewpoints of life-giving, life-saving and the reverence of life. As su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rgument how to establish and practice Cheong, Woori, and the reverence of life in the educational communities. First, we looked at what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the life view of Korean traditional thought and Koreans’ community life as the theoretical basis of life-saving through a community. Next, the concepts of Cheong and Wooriuisik which are dissolved in the long-time community life of Koreans were examined and the ways to develop a ddadeutan educational community based on such concepts were explored. Finally, suggestions are presented to establish a warm educational community: 1) practices of ethics of Cheong and Wooriuisik should be established in educational communities, 2) rituals in schools should be developed for school members to implement ethics of Cheong and Wooriuisik, 3) symbols that can reflect the unique culture of an individual school, more opportunities of group play and food culture events to enjoy together, and encouragement of participation in various sub-communities such as a learning community. This study can be a basis necessary to develop and elaborate a practice model of a ddadeutan educational community by stimulating activities and programs for promoting the competency of educational communities members.

      • KCI등재

        특수교사의 "따뜻한 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한 요구분석

        이후희 ( Hoo-hee Lee ),황순영 ( Soon-young Hwa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8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따뜻한 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한 요구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 총 356명으로부터 따뜻한 교육공동체가 되기 위한 필요 수준과 현재 수준을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방법: 첫째, t검증을 통해 필요 수준과 현재 수준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둘째, Borich 요구도 공식을 사용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모델을 활용하여 요구도를 좌표평면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넷째, 이를 종합하여 최우선 순위항목과 차 우선순위 항목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공통적으로 발견된 특징은 모든 구성원들이 모두 ‘수평적 의사소통’을 교육공동체가 되기 위해 개선되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공동체의 핵심적인 구성원 중 하나인 특수교사가 따뜻한 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하여 어떠한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교육공동체를 실제 구축하는데 유용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duce a suggestion on how to form an education community by conducting a needs analysis on the feedback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forming a warm education community. To achieve this, a total of 356 teachers from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teachers specialized in special education were surveyed on both the critical factors to achieve a warm education community and also the current state of these factors. Method: First through a t-te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the critical factors and the current state of these factors was statistically verified. Second, the priority rank of the factors was established using the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equation. Third, using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factors of requirements were proposed using a 2D coordinate graph. Fourth, the results of the models above were summarized to deduce the primary priority factors and the secondary priority factors. Results: The common factor was that all members for each of the school types perceived “non-hierarchical horizontal communication” as the most critical factor to be improved on to become a warm education communi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provide a set of practically applicable information for how to implement a warm education community at education sites by analyzing the requirements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a core member group of the education community, regard to be critical in forming warm education communities.

      • KCI등재

        중등학교 ‘따뜻한 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한 요구분석

        이상수(Lee, Sangsoo),김은정(Kim, Eunju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표는 중등학교에서 ‘따뜻한 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한 요구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 학생과 교사 총 1271명으로부터 ‘따뜻한 교육공동체’가 되기 위해 ‘필요수준정도’와 ‘현재수준정도’를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이를 첫째, t검증을 통해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수준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둘째, Borich의 요구도 공식을 사용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요구도를 좌표평면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넷째, 이를 종합하여 최우선 순위 항목과 차 우선순위 항목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학생과 교사에 따라, 중학생과 고등학생에 따라 ‘따뜻한 교육공동체’가 되기 위한 요구항목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공통적으로 발견된 특징은 모든 구성원들이 모두 ‘평등한 기회’를 교육공동체가 되기 위해 개선되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중학생들은 ‘정서적 유대감’이나 ‘따뜻한 관계’와 같은 관계의 개선에 대한 요구가 높은 반면 고등학생들은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구성원들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요구가 높은 반면 학생들은 ‘민주적 참여구조’로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duct the need analysis for establishing ‘Ddadeutan’ educational community of secondary school. For this, data were gathered from total 1271 of students and teachers by asking the degree of current and desirable status of ‘Ddadeutan’ educational community. In the first place, the gap of two statuses was statistically proven by t-test. Second, the order of priority was derived according to ‘Borich model’. Third, the result of need analysis based on The Locus for Focus model was presented in the form of coordinate plane. Using all of these results, top priority and the second priority were determined. The results show that both commons and differences in each group’s need were found. The common thing is that all of the groups recognize ‘equal opportunity’ as the most necessary element to be ‘Ddadeutan’ educational community. The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ze that human relationship such as ‘emotional bonds’ and worm relationships’ is an important element to be ‘Ddadeutan’ educational community compared to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they recognize ‘psychological stability’ as an important element to be ‘Ddadeutan’ educational community. The students recognize ‘democratic participation structure’ as an important element to be ‘Ddadeutan’ educational community compared to the teachers.

      • KCI등재

        따뜻한 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한 초등학교 구성원들의 요구도 분석

        권다남,박한숙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 of educational community which members of elementary school recognized and to explore their needs on building ‘Ddadeutan’ educational communi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survey question of which investigated conception of educational community and performed with 792 teachers and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In the first place, the gap of two statuses was statistically proven by t-test. Second, the order of priority was derived according to Borich model. Third, the result of need analysis based on the locus for focus model was presented in the form of coordinate plane. Using all of these results, top priority and the second priority were determin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first, in total needs analysis, needs of ‘democratic participation’ category was highest. Second,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on warm educational community is highest about ‘communication’ and ‘democratic participation’. Finally, ‘relational care’ category is highest in nee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ddadeutan’ educational community. Based on the review,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구성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교육공동체의 요인을 규명하고, 교육공동체의 핵심 구성원인 학생과 교사들이 공동체 형성에 있어 어떤 요구들을 가지고 있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개념 요인을 규명한 선행연구의 설문 문항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 총 7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첫째, t검증을 통해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수준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고, 둘째, Borich의 요구도 공식을 사용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요구도를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이를 종합하여 최우선 순위 항목과 차 우선순위 항목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요구도 조사에서는 민주적 참여구조 범주의 요인들이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따뜻한 교육공동체에 대한 요구도는 소통과 민주적 참여 범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초등학교 학생의 따뜻한 교육공동체에 대한 요구도는 관계적 돌봄 범주에서의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따뜻한 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앙트러프러너십 적용 방안 탐색: 창조성과 실천성을 중심으로

        박수홍 ( Suhong Park ),김진숙 ( Jinsuk Kim ),홍광표 ( Kwangpyo H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한국인의 정서를 바탕으로 구성된 따뜻한 교육공동체가 현장에 안착하기 위한 전략적 실천방안으로 앙트러프러너십의 창조성과 실천성으로부터 관련 함의를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공동체, 교육공동체,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개념과 속성을 밝혀내었으며, 나아가 앙트러프러너십의 창조성과 실천성의 전략이 따뜻한 교육공동체에 제시하는 특성을 찾아내었다. 연구결과 앙트러프러너십의 창조성 중 창조적 파괴, 조직 단위 창조성, 구성원의 독립적 자기효능감과 자신감 증진, 효율성 기반의 창조성 등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실천성과 관련하여 구성원의 학습력 증진을 위한 실천적 동기부여, 생산적 실천성, 도전적 실천성, 체계적 실천성 등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최근 단열, 분열,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교육현장에 한국적 정서에 기반한 따뜻한 교육공동체가 적용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relevant implications from the creativity and practicality of entrepreneurship as a strategic action plan for a warm educational community composed of Korean emotions to settle in the field. To this end, the concepts and attributes of community, educational community, and compassionate educational community were uncovered, and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ategy of creativity and practicality of entrepreneurship were found to be presented to the compassionate educational community. As a result of the study, creative destruction, organizational unit creativity, independent self-efficacy and self-confidence enhancement, and efficiency-based creativity were needed among the creativity of entourage. In addition, in terms of practicality, practical motivation, productive practicality, challenging practicality, and systematic practicality were needed to improve the learning ability of member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s a concrete plan that can apply a warm educational community based on Korean sentiment to educational sites where insulation, division, and conflict are intensifying.

      • KCI등재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따뜻함`에 대한 특수교사의 의미 변별

        김은라 ( Kim Eun-ra ),박재국 ( Park Jae-kook ),김민경 ( Kim Min-kyou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9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한국형 교육공동체인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따뜻함`의 이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과 경남의 특수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198명을 대상으로 의미변별 기법을 활용하여 `따뜻함`에 대한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수집된 데이터는 연구목적에 따라 탐색적 요인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가 지각하는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따뜻함의 이미지 구성요인은 동반자 관계, 상호 존중, 조화와 단결, 수용과 배려, 배움과 성장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따뜻함`의 이미지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수준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사 변인에 따른 이미지의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담당 학교 급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결론: 이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에 있어 이상적인 교육공동체인 따뜻한 교육공동체 구성과 실현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age of `ddadeutam` of the ddadeutan educational community, a Korean educational community recogniz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thod: For this purpose, 198 teachers who were in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in Busan and Gyeongnam were used for semantic discrimination. Data were analyz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Results: First, the components of the ddadeutan educational community recogniz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derived from partnership relationship, mutual respect, harmony and unity, acceptance and consideration, learning and growing. Second, the level of recognition of special teachers on image of `ddadeutam` was found to be positive. The differences of meaning discrimination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ch as grade in charge were examined. Conclusion: Based on this, a strategy for constructing and realizing an ideal educational community for special education was suggested.

      • KCI등재후보

        아카데미 서비스 학습을 통한 대학과 지역사회의 연계 교육

        박화춘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2018 성인계속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대학-지역사회 간의 연계와 협력의 방안으로서 미국에서 최근 수 십년동안 관심과 교육적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아카데믹 서비스-러닝(academic service-learning)의 개념 및 발전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대학과 지역사회 간의 따뜻한 교육공동체를 실현하기 위한 아카데믹 서비스-러닝 적용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아카데믹 서비스-러닝이 수십 년간 발전해온 미국에서의 아카데믹 서비스-러닝의 개념, 이론적 배경, 구성요소, 특성 및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대학에서 서비스-러닝을 실천할 수 있도록 서비스-러닝의 수업설계 방법, 절차 및 평가방법을 제시하였고, 이를 위하여 각 대학과 지역사회의 협력기관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미국에서 많이 실행되고 있는 서비스-러님의 실천적 사례를 제시다. 연구 결과 아카데믹 서비스-러닝의 개념을 정립하였고 바람직한 사례를 제시함으로서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대학-지역사회 간의 연계 및 협력을 확대하여 실천함으로서 보다 따뜻한 교육공동체를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서 꾸준히 발전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와 연계한 대학교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그 절차 등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