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교사의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인식 -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과 디지털 교과서 활용 경험을 중심으로

        서수현,정혜승,노들 한국정보교육학회 2022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6 No.5

        이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 개발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초등 교사의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디지털 교과서의 기능을 8가지로 설정하고 각 기능마다 2개∼6개의 세부 기능을 설정하였다. 이후 이 기능을 기준으로 전국의 초등 교사 372명에게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 코로나 19 이후 디지털 교과서 활용 경험,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인식을 묻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디지털 역량 인식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디지털 교과서 활용 경험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 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은 디지털 교과서의 모든 기능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는 데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디지털 역량이 필요하고 중요하다고 인식할수록 디지털 교과서의 ‘운영 및 관리 기능’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교과서를 자주 사용하는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검색’과 ‘저작 도구 제공’ 기능을 제외한 디지털 교과서의 기능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 친화적인 디지털 교과서를 성공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초등 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제고와 디지털 교과서 사용 경험의 확대를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디지털교과서 사용 경험이 있는 중학생들의 디지털교과서 활용인식 분석

        이옥화 ( Ok Hwa Lee ),장순선 ( Soon Sun J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4

        교육부는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보급되는 초중고의 일부 교과목의 경우 디지털교과서를 2018년부터 전면 제공하기로 발표하였다. 이는 디지털교과서가 시범연구 단계에서 본격적 보급의 단계로 이행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학교에서 디지털교과서 사용경험이 있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향후 디지털교과서를 자율적으로 지속적 활용을 할 의지 여부를 물어 지속의지그룹과 비지속의지그룹으로 나누어 이들 간의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인식들을 비교하였다. 활용인식은 선행연구분석을 통해 6개의 구인으로 도출하였다: 상호작용성, 편의성, 흥미성, 탐구가능성, 학습효능성, 만족성. 2015년 10-11월 전국 1266명의 중학생들로부터 설문지를 수집한 연구결과, 디지털교과서 사용경험이 있는 중학생들의 46%가 자유의지에 의해 다시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고 싶어 하였다. 학생들 중 35%가 디지털교과서 접근이 가능한 PC를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결과가 나와 스마트폰을 도입해야 할 필요가 있다. 편의성은 디지털교과서에 접근을 유도하는 가장 강력한 구인이다. 학습효용성이나 만족도, 흥미도를 높이는 것도 디지털교과서 활용의지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상호작용성이나 탐구가능성과 같은 구인은 활용의지에 기대보다 낮은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 경험자들의 향후 활용의지에 따라 그룹을 나누고 이들 간의 인식을 비교한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a notice in 2016 that asked public opinion what legal status of digital textbooks should hold for a few subjects when printed textbook of those subjects are to be distributed based on the 2015 updated national curriculum. This policy indicates it is the time that the study of digital textbook should focus on the directions applicable for the mass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digital textbooks. This study asked their free will to continue to use digital textbooks and based on their will, two groups were formed to compare their recognition of digital textbook use: group to continue and group not to continue. Their recognition of digital textbook used 6 domains which were extracted from the prio study analysis: interaction, convenience, interests, investigation, effectiveness, satisfaction. 1266 junior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nation replied the survey in 2015 Oct. - Nov.: 46% students want to continue to use the digital textbook when the pressure from the school is not there. 35% students do not have access to the PC for the digital textbook use, which promotes the idea of using the smartphone. Convenience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o increase the will to continue to use the digital textbook.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and interests influence to the will to use digital textbooks also but the interaction and investigation are not as influential to promote the will to use digital textbooks as expected. The study is meaningful in recognizing groups by the free will to use digital textbooks and compare their recognition of the digital textbook uses.

      • KCI등재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실생태계 분석 연구

        김혜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8 No.3

        In this study, I reported how teachers and students used 2014 digital textbooks based on interviews and proposed the ways to increase effectiveness in teaching and learning with digital textbooks. This study approached to the schools us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classroom ecological perspective. Classroom ecology is one of the qualitative approaches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surrounding education and classroom using ecological metaphor. Interviews was conducted during 6 months(2014. 5~10), and A total of 72 persons was participate in this interviews. Interviews with different stakeholders including teachers, students, publishers and policy makers were analyzed f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results were further analyzed using the classroom ecosystem model with teachers, students, digital textbook, schools, the Ministry of Education, publishers, educational policies, and society as the agents. The analysis returned four keywords in digital textbook use: insufficiency, inconvenience, anxiety, and expectation. Upon close examination of each area identified through analysis, I proposed (1) to reestablish the direction that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is heading to and to enhance the quality of digital textbooks, (2) to build infrastructure for more efficient use of digital textbooks, (3) to improve the support system in teaching and learning with digital textbooks, and (4) to work towards enhancing students’ ICT capabilities and parents’ perceptions towards the use of digital textbooks. I then suggested policies and concrete strategies needed in four parts: (1) improvement of digital textbooks, (2) management and support for research schools, (3) enhancement of teacher competencies, and (4) support for students and parent. 본 연구는 2014년 적용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실태를 조사하고, 실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을 위한 교수 학습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디지털교과서가 활용되는 학교 현장을 교실 생태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교실생태학은 생태학적 메타포를 적용하여 교실과 이를 둘러싼 교육현상을 이해하고자 하는 질적 접근 방법 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2014년 5~10월 사이에 연 구학교 교사, 학생,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 담당자, 출판사 담당자 등 총 72명을 대상으로 12회에 걸쳐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유기체,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로 구성된 교실생태계 의 체계 모형을 적용해 디지털교과서 활용 실태 및 인식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틀을 마련하여 면담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교과서와 관련된 다양한 주체의 인식과 경험을 ‘부족함’, ‘불편 함’, ‘불안함’, ‘기대감’이라는 핵심어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 핵심어를 중심으로 교사, 학생, 디지털교과서, 학교, 시도교육청, 출판사, 학부모, 교육 정책, 사회 등 교실생태계의 체계 내 하위 영역의 주체가 인지하는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실생태계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주체별로 디지털교과서와 관련된 문제들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교과서의 방향 재정립 및 질적 개 선,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한 학교 환경 구축,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한 수업 지원 체계 개선, 학생의 ICT 능력 강화 및 학부모의 인식 개선이라는 4가지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통한 사회과 비판적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신장에 관한 연구

        유제일,김정랑 한국정보교육학회 2015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9 No.2

        최신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스마트기기의 보급은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교육현장에서도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교육과 같은 스마트교육 환경의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디지털교과서 활용 4L-ACC 활동을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수업에서 적용하고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과 일반적인 사회과 수업이 비판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인 사회과 수업보다 디지털교과서 활용 4L-ACC 활동을 실시한 사회과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의 문제이해, 비판적사고, 해결방안적용, 반성적 사고 등 비판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의 모든 하위 영역이 신장되었다. 이는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이 학생들의 문제이해, 비판적사고, 해결방안적용, 반성적 사고 등의 역량을 키우며, 이를 종합하여 비판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을 향상시켜 준다고 볼 수 있다. The dissemination of smart appliance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lates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an effect on society. Their application can be seen in the smart learning environment, by use of digital textbooks with smart devices in the classroom. Hence in this study, the 4L-ACC activity using digital textbooks was applied in the third grade social studies class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impact in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using digital textbooks versus standard social studies classes. As a result, in social studies classes that used the 4L-ACC activity compared to common social studies classes, elementary student’s problem understanding, critical thinking, problem resolution, reflective thinking, and all lower areas of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were improved. In conclusion, using digital textbooks enhance student’s ability to think critically and problem solve. This should provide learners a more comprehensive learning experience and therefore be integrated into more education environment.

      • KCI등재

        디지털 교과서 도입에 대한 법률적 문제

        최진원(Choe Jin Won) 한국정보법학회 2010 정보법학 Vol.14 No.1

        iPad가 출시되고 스마트폰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e-Book은 출판업계뿐만 아니라 IT업계 나아가 전사회의 최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e-Book은 기존의 서책형 서적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는데, 최근 교과서의 디지털화가 추진되고 있는 것은 같은 맥락에서 당연한 시대적 흐름에 편승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디지털교과서 도입 자체에 대한 찬반보다는 도입시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도입 초기에는 단말기 수급, 학생들의 적응 문제, 교육 방법의 교육, 관련 인력 양성 등도 문제되겠지만, 디지털교과서의 성패는 결국 콘텐츠에서 갈릴 것이다. 그리고 이는 저작권법의 영역이다. 대부분의국가에서는교육을위해저작권자의권리를제한하고있다. 우리역시마찬가지로 저작권법 제25조 제1항에는 교과서를 위한 명문의 규정도 마련하였다. 하지만 이는서책형을염두에둔 것으로디지털교과서의효과적활용을 위해서는부족한점이 많다. 그럼에도 디지털 교과서가 추진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저작권문제가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점은 커다란 우려를 자아낸다. 플랫폼 등의 기술적 요소나 교육학적인접근과더불어법제도적으로저작권적인연구가충분히선행되어야디지털교과서의 성공적 도입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디지털 교과서와 교과용 도서의 개념, 게재와전송의구분, 저작인접권의보호, 인터넷자원의충분한활용, 현보상금규정의 한계 등을 중심으로 현행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향후 개선 방향을 제언하였다. E-books has recently become the main interest not only in the publishing business but also in the society. Thanks to IT technology, they are more convenient in various ways than paper books. Therefore, it is the demanding of the times to push ahead with the adoption of a digital textbook. This paper studies the ways how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and minimize the problem when digital textbooks are adopted, not discussing the adoption itself. The success or failure of a digital textbook depends on content, which belongs to copyright s domain. Like other countries, the restrictions on copyright for the education is prescribed by law in Korea. Particularly, Article 25.1 of Copyright Act is for a textbook. However, this is unsatisfactory for the effective use of a digital textbook due to the fact that a paper book was kept in mind when the law was legislated. This paper points out the problems of the current law, mainly focusing on the clause Article 25.1, such as whether a textbook is relevant or not, the permission of transmission, the protection of neighboring right, the limitations of an indemnity clause, etc., and suggests the suitable direction for a future improvement.

      • KCI등재

        서책형교과서와 디지털교과서에 제시된 외적 표상의 특징 비교: 2009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힘’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김노아,장진아,송진웅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8 현장과학교육 Vol.12 No.3

        Digital textbooks will be an important media for expanding learning materials and ways of communicating in the classroom in a 'hyper-connected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ypes and features of external representations presented in paper textbooks and digital textbooks to see how they were constructed meaningful in a different way. In particular, through comparison of digital textbooks that were approved by the 2009 and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a, this study intended to diagnose large or small changes depending on the curriculum and seek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s. As a result, digital textbooks provided quantitative extended data and representations in space beyond physical limits, but these representations were focused on linguistic representations. This tendency was the same in both curricula textbooks, but more diverse types of representations were found in the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In addition, in th1 digital textbooks, illustrative and explanatory representations was used the most, such as the paper textbooks. However, in the digital textbooks, complementary representations were much bigger than the paper textbooks and summative and performative representations were added. In the digital textbooks of the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he complementary representations were slightly reduced, and summative and performative representations were relatively more used. Also, in the digital textbooks, space was used as a way of presenting various representations through the pop-up and screen switching functions by click. In particular, in the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many screen switching functions were presented.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digital textbooks and science classroom. 초연결성이 강조되는 앞으로의 사회에서 디지털교과서는 학습 자료와 교실에서의 소통 방식을 확장시킬 수 있는 중요한 매체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 디지털교과서가 서책형교과서와 얼마나 차별화된 방식으로 의미 있게 구성되었는지 살펴보기 위해 디지털교과서에 제시된 외적 표상의 유형과 특징들을 서책형교과서에 제시된 외적 표상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2009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검정 받은 디지털교과서 간의 비교를 통해 교육과정에 따른 크고 작은 변화들을 진단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교과서는 물리적 한계를 넘어서는 공간 속에서 양적으로 확장된 자료들과 표상들을 제공하고 있었으나 이러한 표상들이 주로 언어적 표상에 집중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성은 두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 동일했으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좀 더 다양한 유형의 표상들이 발견되었다. 표상의 기능적 측면에서 디지털교과서의 표상들은 서책형교과서와 같이 설명적 기능과 예시적 기능을 가장 많이 수행하고 있었다. 하지만 디지털교과서에서는 보충적 기능의 표상들이 급증하였고, 서책형교과서와는 차별화된 요약적 기능, 수행적 기능의 표상들이 추가되었다. 다만,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비해 보충적 기능의 표상이 약간 줄고, 요약적 기능과 수행적 기능을 하는 표상들이 상대적으로 많이 활용되었다. 표상의 제시방법 측면에서 디지털교과서에서는 클릭을 하면 팝업창이나 화면 전환 기능을 통해 여러 표상들을 제시하는 방법으로 공간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는 화면 전환 기능을 통한 제시 방법이 많이 활용되었다. 끝으로 이러한 분석 결과가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과학수업 개선의 측면에서 갖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사례 분석

        김혜숙(Kim, Hyesook)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3 사회과교육 Vol.52 No.1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의 수업 사례를 분석하여,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사회 수업의 특징을 파악하고 디지털교과서 활용이 사회과 교육에서 갖는 의미를 이해하여 향후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추진 방향에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로 지정된 초등학교의 사회 수업을 관찰하여 분석하고, 면담 조사를 실시했다. 추가로 다른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수업 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했다. 연구 결과,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은 도입과 마무리에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디지털 기능이나 TPC의 기능을 활용한 다양한 교수학적 변환이 나타났다. 수업에 멀티미디어적인 요소를 도입하고 다양한 원천의 자료를 활용하는데 용이하며, 교사가 학습관리 기능을 활용해 학생들의 활동이나 과제 결과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렇지만 디지털 기기의 오작동 문제와 교사, 학생들의 디지털 기능의 미숙함 등은 수업의 질을 떨어뜨리고 교실관리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2014년에 초중고 사회과에 디지털교과서가 적용되는 것에 앞서 디지털교과서가 가진 문제점을 극복하고,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데, 이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교사 및 교사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사용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필요성, 정형화된 사회 수업 방식 재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리고 디지털교과서의 기능적인 미비함을 보완하고,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앞서 충분한 교사 교육을 실시하며, 디지털교과서를 적용한 사회과 교수-학습방법 및 수업모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aims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the digital textbook policy and the meaning of social studies education through the class analysis of the digital textbook research school.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digital textbook research elementary class observation, class analysis, teacher interview was conducted. As a result, introduction and finish of the class used digital textbook was relatively much time-consuming. And the class showed the various didactic transpositions that utilize digital functions and TPC features. The use of digital textbook easily has a merit to utilize multimedia elements and to use some variety data. Learning management system has an advantage to check immediately students’ activity and tasks. But digital devices malfunction problems, insufficiency of digital literacy of students were the main factors to degrade the quality of instruction and to make difficult for classroom management. We have to overcome this situation prior to apply the digital textbooks for the whole country in 2014. So, in this study I emphasized the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teacher and teacher education, the needs of user’s digital literacy, reconsideration of the formalized teaching style. And I argue the need to complement the digital devices malfunction and to fulfill a sufficient teacher education, and to develop the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class model.

      • 디지털 음악 교과서의 인터페이스 분석 : 가창영역을 중심으로

        김재형 한국음악응용학회 2012 음악응용연구 Vol.5 No.-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교과서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 이것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5학년 음악교과의 디지털 교과서의 인터페이스를 분석하여 디지털 음악 교과서의 개발에 시사점을 제 공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KERIS)에서 개발한 초등학교 5학년 디 지털 음악 교과서 중, 초등학교 5학년 디지털 음악 교과서의 전통음악 단원을 제외한 서양음악 단원에서 가창 영역 중심 내용의 차시이다. 연구의 내용은 디지털 교과서의 개념과 특성을 정리 하고, 디지털 음악 교과서의 인터페이스를 교수설계․기능․내용적 측면에서 분석을 실시하였 다. 연구의 방법은 초등학교 5학년 디지털 음악 교과서의 서양음악 단원 중 가창 영역 중심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차시를 대상으로 교수설계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 내용적 측면으로 나누 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론은 첫째, 교수설계적 측면에서 디지털 음악 교과서는 체계적인 설계를 가지고 있 었다. 둘째, 기능적 측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는 다양한 기능을 수용하고 있었다. 셋째, 내용적 측 면에서 디지털 교과서는 학생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콘텐츠를 수용하고 있었다.

      • KCI등재

        초등 과학 수업에서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 개발 및 효과

        송진여,손준호,정지현,김종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7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0 No.3

        Digital textbooks enable learning that is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learners through various intera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ction model that can more effectively use digital textbooks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instruction model for helping learners complete their learning by using digital textbooks needs to receive diagnostic assessment and feedback on entry behavior, to build a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and to interact with teachers, students, and digital textbooks as scaffolding.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instruction model using digital textbooks reflecting these characteristic. The instructional model consists of preparation, practice and solidity step. In the preparation step, the learner performs a diagnostic evaluation us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the results, feedback provided at each level can complement the entry behavior and maintain interest in learning activities. In the practice step, self-directed learning is implemented using diverse functions of digital textbooks and various types of data. In the solidity step, learners can internalize the learning contents by reviewing video clips which are provided by teachers, performing problem-solving activities, and accessing outcomes accumulated by learners in the community online.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model, we selected the "Weather and our Life" uni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101 students in the 5th grade in B Elementary School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50 students learned using a smart device that embodies digital textbooks applied with the instruction model. In the comparative group, 51 students were taught using the paper textboo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learning achie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low academic ability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group with low academic abilit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number of interactions with the learner, teacher, and digital textbook was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conclusion, the digital textbooks based on the instruction model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developed in this study helped to improve learners' learning achiev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디지털 교과서는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습자의 특성과 수준에 적합한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교수학습 자료이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 수업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율을 확인하고자 한다. 초등 과학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완결학습을 도와주기 위한 수업모형은 출발점 행동 진단과 피드백, 자기주도적 학습 환경 구축 그리고 학습자의 학습을 돕는 교사, 학생, 디지털 교과서와의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특징을 반영한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은 준비단계, 실행단계, 다지기단계로 구성하였다. 준비단계에서 학습자는 디지털 교과서를 이용한 진단평가 결과에 따라서 제공되는 수준별 피드백 자료를 통해 출발점 행동을 보완하고 학습 활동에 대한 흥미를 유지한다. 실행단계에서 학습자는 디지털 교과서의 다양한 기능과 여러 형태의 자료를 활용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진행한다. 다지기단계에서 학습자는 교사가 구성한 다지기 영상 및 다지기 문제 풀이 활동 그리고 학습자가 커뮤니티에 누적해 놓은 결과물을 재확인함으로써 학습내용을 내면화할 수 있다. 개발한 수업모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초등 과학 5학년 2학기 ‘날씨와 우리 생활’ 단원을 선정하여 수업자료를 제작하여 초등학교 5학년 101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설계하였다. 실험집단 50명에게는 개별적으로 스마트기기를 제공하여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 51명은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은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에 비해 학업 능력이 낮은 집단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은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보다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 향상에 효율적이었다. 셋째,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에서는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보다 학습자, 교사, 디지털 교과서와의 상호작용 횟수가 많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 과학 수업에서의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은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 KCI등재

        디지털교과서 활용 학교 교사의 테크놀로지 리더십 인식수준 분석

        송연옥 ( Yeon Ok Song ),변호승 ( Ho Seung Byun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4 No.1

        이 연구는 디지털교과서(Digital Textbook; DT) 활용 학교 교사의 테크놀로지 리더십에 대한 요구 및 수준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2009년도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에서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 97명(남 40명, 여57명) 이었다. 요구분석조사를 위한 도구는 기존의 테크놀로지 리더십 역량을 디지털교과서 환경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보리치(Borich) 공식을 이용하여 요구도를 산출 및 해석 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교사들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영역은 교사 ``본인의 교수·학습방법``이었으며, 현 수준이 가장 낮다고 인식하는 영역은 ``학교지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로 개선필요성이 가장 높다고 인식하고 있는 테크놀로지 리더십 항목들은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대한 구성원 간 역할 분담``, ``창의성을 배양할 수 있는 디지털교과서 교수·학습 방법``, ``디지털교과서 문제 발생 시 대처 능력``, ``디지털교과서 문제 발생 시 보조 인력 지원``, ``디지털교과서 효과 측정을 위한 다양한 평가도구 개발``, ``장애 학생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자원 지원``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교과서의 성공적인 학교 도입을 위해 테크놀로지 리더십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teachers` perception for technology leadership when utilizing the Digital Textbook (D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7 elementary school teachers (40 males and 57 females) working in digital textbook research schools that implemented digital textbooks in 2009. Needs assessment instrument was revised based on previous instruments. Perception was calculated using Borich formula. According to the results, teachers of digital textbook research schools recognized ``teachers` instructional methods`` as the most important area, while the least recognized area was ``support by the school``. The highest technology leadership needs by categories included ``role setting between members when implementing digital textbooks``, ``instructional methods to cultivate creativity when using digital textbooks``, ``troubleshooting digital textbook problems``, ``additional staff support in case of problems``, ``development of various assessment tools for measuring the effect of the digital textbook``, and ``support of digital textbook resour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d specific methods to enhance technology leadership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digital textbooks in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