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동화로서의 아시아 전래동화집 연구

        오정미 ( Oh Jungmi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21 동화와 번역 Vol.41 No.-

        이 연구는 아시아계 이주민이 중심인 한국의 다문화사회를 반영하여 다문화동화로서의 아시아 전래동화집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다문화동화가 아시아계 이주민과 다문화가정의 갈등을 주요 스토리로 하였다면, 이 글에서는 우리 사회로 이주한 다양한 사람들의 모국 문화, 가치관에 대한 소개와 이해가 진정한 다문화동화라 규정하며 다문화동화로서의 아시아 전래동화집의 개발과 구체적 기획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출판되고 있는 세계 전래동화집의 현황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아시아 전래동화의 개발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폭넓은 자료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아시아 전래동화는 양적인 문제뿐 아니라 제한된 작품과 동일한 작품의 답습이라는 질적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아시아 전래동화집의 개발을 위해 약 3년 동안 진행한 이주민 구술 설화 조사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기획 방향을 모색하였다. 우선, 가장 시급한 것이 전래동화의 초석이 될 아시아의 설화의수집이며, 이를 통해 작품 선정의 기준을 마련하고 작품의 다양화를 모색해야 한다. 그리고 흥미나 교훈 중심의 전래동화가 아닌 문화 중심의 아시아 전래동화집을 제안하였다. ‘가치문화ㆍ 자연문화ㆍ생활문화ㆍ역사문화’와 같은 문화 중심의 아시아 전래동화집의 방향을 제시한 후 이 연구에서 중국설화 <니엔 괴물과 설날 풍속 유래>와 몽골 설화 <낙타의 뿔이 없어진 유래>를 통해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문화 중심의 아시아 전래동화집은 통합과 화합이라는 주제를 전면으로 내세우는 다문화동화보다 매력적이고 흥미로운 서사로 아동들에게 진정한 다문화교육과 상호문화교육을 실천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a direction of the collections of classic Asian fairy tales as multicultural children’s storie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s multicultural society mostly populated by Asian immigrants. In conventional multicultural stories, a conflict between Asian immigrants and multicultural families was the main was a common theme. However, this study concludes that multicultural children’s stories should introduce different culture and values based on their correct understanding and proposes specific plans to develop classic Asian fairy tale collections. For this, this paper analyzed current collections of the world’s classic fairy tales and realized that classic Asian fairy tales haven’t been properly written.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a quantitative issue, same and limited stories have been read to children continuously while there hasn’t been a comprehensive data survey. To develop classic Asian fairy tale collection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specific direction based on the research on immigrants’ oral tales, which has been conducted for about 3 years.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of all, it is most urgent to diversify stories by collecting Asian fairy tales. This study also proposes culture-centered fairy tales, not conventional theme or lesson-focused stories. In other words, this paper proposes value culture, nature culture, living culture, and history culture Asian fairy tale collections. So in this study, specific cases were presented through Chinese tales “Nien Monsters and The Origin of New Year's Day customs” and Mongolian tales “The Origin of Camel's Horns”. Culture-centered collection of traditional Asian fairy tales is more attractive and interesting than multicultural fairy tales that put the theme of unity and harmony at the forefront. Therefore, Asian traditional fairy tales will practice tru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tual culture for children.

      • KCI등재

        1920년대 개벽사의 ‘조선동화’ 전승과 동화화 양상

        장정희(Jang, Jeung-He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한국민족문화 Vol.71 No.-

        본 논문은 1920년대 조선동화의 전승과 동화화 양상에 관한 연구이다. 1920년대 개벽사는 ‘옛날 이야기 모집’(부인)과 ‘조선고래동화모집’(개벽)을 통해 우리나라 전래 이야기 수집 운동을 전개했다. ‘조선동화’ 모집운동은 식민지 전략에 맞선 민족 기획의 논리에 서 있다. 본고는 조선동화현상 모집의 고선자인 방정환이 모집된 글의 제목을 명명하고, 내용에서도 ‘수정’ ‘재화’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했다. 본 논문은 개벽사가 모집한 옛날 이야기가 『개벽』에 처음 소개되고, 그후 『어린이』로 전승된 사실을 주목했다. 개벽사 잡지에 수록된 조선동화류 14편 이야기는 크게 ① 동물들 간의 담화, ② 인간과 동물의 서사, ③ 인간 사회의 서사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어린이』에 수록된 조선동화는 인간의 악한 면보다는 선한 측면을 드러냄으로써 비유적으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동물의 생태와 형상에 대한 유래담이 강세였다. 끝으로 본고는 1910~20년대를 관류하는 대표 민족동화 ‘해와 달’ 이야기, ‘수탉의 내력’을 중심으로 조선동화의 전승과 동화화 양상을 분석했다. ‘해와 달’ 류의 서사 전략은 식민지 조선 민중의 ‘해와 달’ 이미지 만들기였다. ‘수탉의 내력’에서는 ‘나무꾼’ 중심의 서술에서 일본인의 관점이 투사되면서 ‘날개옷’ 표현이 등장하게 된 점을 짚어 보았다. 앞으로 우리의 주체적 노력으로 시작된 1920년대 조선동화의 모집 과정, 채록과 전승, 동화화 과정에 대한 서사 유형의 계보 정리가 요청된다. This study is Writing as a fairy tale and of Succession Process ‘Korean traditional story’ in 1920’s. In the 1920’s, Gaebyuk Publishing collected Korean folk tales. The collection of Korean story was a national project against the colonial strategy. In this paper I have estimated as follows, Bang Jung-hwan would have added a title to the collected articles and modified the contents. I typified the Korean storytelling in the magazine as ① a discourse between animals, ② a narrative of human beings and animals, ③ a narrative of human society. The Korean children’s fairy tales in 〈Eorini(Children)〉 reveal good aspects rather than human evil. The story was mostly about animal’s ecology and form. Finally, this paper analyzed the aspect of making a fairy tale of traditional stories focusing on ‘the story of the sun and the moon’ and ‘the story of the rooster’. The narrative strategy of ‘Sun and Moon’ was the creation of ‘Sun and Moon’ image in colonial Joseon people. In ‘the story of rooster’, the narrative centered on ‘woodcutter’ was dominant. However, as the Japanese perspective was projected, the expression of ‘wing clothes’ appeared. In the future, it is requested to organize narrative type genealogy for recruitment, recording, and writing as a fairy of Korean fairy old story in the 1920’s.

      • KCI등재

        음운론과 형태론의 인접현상으로서의 동화

        권경근 우리말학회 2012 우리말연구 Vol.31 No.-

        언어 현상은 주로 한 부문 내에서의 요인에 의해 설명되어져 왔지만, 언어사용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여러 부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언어 현상을 다른 부문과의 인접현상(interface)으로 파악하는 것이 현대 언어연구 의 한 경향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동화는 환경의존적인(context-sensitive) 현상으로 일정한 환경에서는 변화가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음운론적 요인에 의해 잘 설명되지만 동화 현상 가운데에는 비음운론적 요인이 관여하 는 경우도 적지 않다. 특히 국어의 일상적인 발화에서는 음운론적 요인뿐만 아니라 다른 부문과의 인접현상으로 동화가 나타나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 글에서는 국어의 동화현상과 음운부 이외의 다른 부문과의 연관성을 조사해 보고, 동화가 음운론적 요인에 의해서만 일어나지 않음을 국어의 일상적인 발화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조음방법동화에서는 비음동화가 예외 없이 음운론적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는 반면에 유음화에서는 어휘적인 요인이 관여한다. 일상적인 발화에서 활발하게 나타나는 조음위치동화에서 는 형태소의 융합으로 독특한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일반적인 국어의 조음위치동화는 ‘양순음-치조음’ 연결에서는 나타나지 않지만, ‘ㅂ니다’류에서는 사용빈도가 높아지면서 화자가 이것을 더 이상 형태소의 결합으로 인식하지 않은 결과로 조음위치동화가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형태론 적 정보와 화자의 심리적인 태도에 따라 동화가 기존과는 달리 새롭게 진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한 음운론적 환경이라 할지라도 다른 부문과의 인접현상으로 음운현상이 달리 나타날 수 있음을 국어의 동화현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실제 언어 사용에서는 조음의 가능성과 구성요소에 대한 인식이 어우러져 발음형태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구어의 음운현상에 대한 세밀한 고찰이 더욱 필요하다.

      • KCI등재

        남북한 초등 국어교과서 수록 전래동화 비교 연구

        박금숙 ( Keumsook Park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6 동화와 번역 Vol.31 No.-

        이 논문은 남한의 초등학교와 북한의 소학교 및 중ㆍ고등학교 국어교과서에 실린 전래동화에 실린 현황을 살펴보고 두 체제사이에서 전래동화가 어떻게 활용 되고 있는지 비교했다. 첫째, ‘남과 북의 국어교과서에 실린 전래동화 현황’을 알아보았다. 남한의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에 실린 전래동화는 총 27편이다. 북한은 국립중앙도서관 북한 자료센터에 있는 것 중 최근의 것을 선택하여 조사결과 총 21편이었다. 둘째로, ‘남북한 전래동화의 활용 비교 양상’에서 ‘남북한 전래동화 활용의 유사 성’과 ‘남북한 전래동화 활용의 차이성’을 알아보았다. 남한과 북한의 교과서에 실린 전래동화의 유사성으로는 ‘권선징악’과 ‘인과응보’가, 다음으로 ‘효’와 ‘형제간의 우애’ 등의 내용을 담고 있었다. 차이성으로 남한에서는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교육할 때, 이념보다는 상상력을 키워 창조적 사상에 힘쓰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북한 은 이데올로기 사상을 심어주기 위해 전래동화를 더 많이 활용 하고 있었다. 남한과 북한이 갈라진 바로 직후교과서에 실린 전래동화는 유사성이 많았다. 하지만 날이 갈수록 유사성이 희미해지고 주체의 정책에 따라 그 활용 전략과 방 향이 달라졌으며 차이성 또한 극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멀지 않아 곧 도래할 통일의 날을 맞아 우리는 남과 북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 서로의 주장을 뒤로하고 먼저 남북한 통일문학사를 모색해야 한다. 그러기에 앞서 두 체제 속에 공통으로 들어 있는 내용이나 역사적인 사건을 담고 있는 것이 무엇 인가를 생각해보아야한다. 그것이 바로 전래동화이다. This paper has investigated into how many traditional fairy tales are introduced in Korean textbooks used in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s and North Kore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has compared how they are utilized in both regimes. Firstly, this study has looked at "the situation of traditional fairy tales included in Korean-language textbooks of North and South Koreas". There are a total of 27 traditional fairy tales in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s`` Korean textbooks. To figure out how many old tales are in North Korean textbooks, I had collected recent data from the Information Center on North Korea 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e result shows that a total of 21 traditional fairy tales are included in textbooks of the North. Secondly, this study has looked into "similarity of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in both Koreas" and "difference between the two Koreas in utilizing traditional fairy tales" in "comparative aspect on the use of traditional fairy tales by North and South Koreas". Similarities in traditional fairy tales included in the textbooks of North and South Koreas are that they promote "the good triumphing over the evil", "poetic justice",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Differences are that the South focuses on nurturing creative ideas through encouraging imagination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in class while the North uses traditional fairy tales to instill the regime``s ideology into students`` mind. Just after the division of Korea, traditional fairy tales included in textbooks were alike. As time passes, however, they started losing similarities and have become more different than before as North Korea changed its strategy and direction of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in pursuit of Juche policy(self-reliance), a political ideology of North Korea. Looking forward to reunification, we have to study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for unification first to narrow gaps between the two Koreas while putting aside differences. Prior to that, we need to think about what contains common contents of both regimes and historical events. That is very traditional fairy tales.

      • 전래동화의 어휘 분석과 아동의 어휘발달 관계 연구 : 체언을 중심으로

        김주영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2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8 No.-

        전래동화는 전통사회의 질서와 종교적 세계관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통사상과 문화가 언어를 매개로 자연스럽게 후세에 전승되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전래동화는 학령기전에 성인과 아동이 음성이나 몸짓, 표정 등을 통해 즐거움을 함께하는 도구로 활용되며, 재미있는 이야기 속에 숨겨진 조상의 지혜와 슬기를 자연스럽게 익히는 계기가 된다. 또한, 아동의 언어교육을 위해 전래동화의 활용이 필요하다는 인식은 모두가 공유하고 있는 사실이다. 그러나 아동기는 언어발달이 급속하게 변화하는 시기로서 개인차가 크므로 언어발달에 적합한 교재의 선택은 매우 어려운 과제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전래동화를 0-3세아, 4세-8세아 등으로 폭넓게 구분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 시기의 언어발달은 양과 질에 있어 급격하게 변화하는 특성이 있어, 어휘력발달에 적합한 전래동화의 연령별 단계가 세밀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어휘발달에 기초하여 전래동화의 어휘 구성이 아동의 연령 발달 변화에 적합한가를 평가하고 분석함으로써 아동의 어휘력 발달에 적합한 전래동화의 선택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Korean nation, while the traditional values and culture have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handed down to generations through the medium of language. In particular, adults and pre-school children (before their school age) utilize speech, gesture or facial expressions to share enjoyment, and through the entertaining story find a natural learning opportunity to learn wisdom and notion of sensibleness of their ancestors. The fact that there is a need for utilization of fairy tales for children's language education is a perception shared by all. Childhood is a period of rapid progress in language development, characterized by extensive individual differences, hence the task of selecting a suitable materials for language development in this period is regarded a difficult assignment. In reality, Korean fairy tale books are broadly divided into ranges for 0-3 year olds and 4-8 year olds. However, language development during this period has characteristics of rapidly changing quantity and qua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stages of fairy tale books suitable to the development process. Thus, this study evaluates and analyses the suitability of contents of fairy tale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vocabulary, and as a result, intend to present selection criteria suitable for children's development of vocabulary.

      • KCI등재

        일제강점기 3대 전래동화집의 성격과 그 편찬 배경

        백민정(Min-jeong, Baek)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3 No.-

        This paper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and compilation background of the three collections of traditional fairy tales in Colonial Choson when oral fairy tales began to be recorded in the historical viewpoint of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In the first step I have defined the genre identity of traditional fairy tales. I classified fairy tales in oral literatures inherited by our people through a long history as ‘oral fairy tales’, which means fairy tale genre among oral literatures before the modification caused by the split of inheritance media was established. Collections of traditional fairy tales appeared in Colonial Choson as new printing techniques were developed and western academic curriculums were introduced. In such stream the modified story genre, originated from traditional oral fairy tales, in text media format was published as a collection of traditional fairy tales. Although traditional fairy tales appeared in modern times, I clarified our fairy tales history includes all premodern times when there existed oral fairy tales. The first collection of traditional fairy tales, Choson Donghwajip(1924), was published in Japanese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t mainly intended for Japanese education which is one of the policies to make Choson’s children as colonial people. After two years the first Korean collection of traditional fairy tales, Choson Donghwadaijip, was published by Shim Eui-rin. He as an educator and a Hangeul scholar resisted against Japan for Korean education and the preservation of national culture by the publication. Park Young-man published Choson Jeonlae Donghwajip at 1940. He, an independence activist, resisted policies to obliterate Korean nationalism and struggled to preserve Korean culture through the book’s publication. At that time, children were the most useful and hopeful creature as a subject to realize personal ideology whatever it was based on colonialism or patriotic enlightenment. The both efforts for Japanese to make Koreans as colonial people and for Korean patriots to realize the dream of independence were formulated through the publication of fairy tales. It was our unique literary characteristic distinguished with other countries’ literatures that the both Japanese attempt to obliterate Choson’s culture and nationalism for its colonialism and Korean patriots’ desire and struggling with the hope for future national independence were driven to the publication of traditional fairy tales. 본고는 한국의 전래 동화사에 있어서 구비 동화가 기록화되기 시작한 일제강점기의 3대 전래동화집의 성격과 그 편찬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전래동화의 장르적 정체성을 규명해 보았다. 오랜 역사를 거치며 우리 민족에게 향유된 구비문학 중의 동화류를 ‘구비동화’로 명명했다. 이는 ‘전승 매체의 분화로 인한 변개’가 이루어지기 이전 구비문학 중의 동화류를 뜻하는 것이다. 일제 강점기 때 신식 인쇄술이 발달하고 서구식 학교 교육이 이루어지기 시작하면서 전래동화집이 출현한다. 여기에 구비동화를 이야기의 원형으로 하면서 글이라는 매체로 장르 변개를 이룬 것 즉, 전래동화가 수록된다. 이것이 바로 전래동화집이라 할 수 있다. 단, 전래동화는 근대에 등장했지만, 우리에게 있어서 동화의 역사는 구비동화가 있어왔던 근대 이전의 시기를 모두 수용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최초의 전래동화집인 『조선동화집』(1924)은 조선총독부에서 일본어로 편찬되었다. 이는 당시 조선의 아동들을 식민지 국민으로 만들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일어교육을 주된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2년 뒤에 심의린에 의해 최초의 우리말 동화집인 『조선동화대집』이 편찬되었다. 교육자이자 한글학자인 심의린은 이 책의 편찬을 통해 우리말 교육 및 민족 문화 보존을 위해 일제에 저항하였다. 1940년에 박영만은 『조선전래동화집』을 편찬한다. 그는 독립운동가였는데 이 책의 편찬을 통해 일제의 민족 말살 정책에 저항하고, 우리 민족 문화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침략적 의도이든 애국계몽적 의도이든, 당시 ‘아동’은 각자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대상으로 가장 유용하고 희망적인 존재였다. 이들을 식민지 국민으로 만들려는 일제의 노력이나, 광복의 꿈을 실현시킬 주체로 희망을 걸었던 애국지사들의 노력이 모두 동화집 발간으로 표면화되었다. 조선의 식민지화를 위해 조선의 문화와 정신을 제거하려 했던 일제와, 희망을 잃지 않고 국가의 미래를 기약하는 애국지사들의 독립 염원과 저항이 모두 전래동화집 편찬으로 이어진 것은, 다른 나라의 근대 문학에서는 볼 수 없는 우리만의 특수성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동화대집』과 『그림동화집』의 비교 연구

        신원기 한국문학회 2024 韓國文學論叢 Vol.96 No.-

        본고의 목적은 한국의 심의린이 1926년에 출판한 『조선동화대집』과 독일의 그림 형제가 1812년에 발간한 『그림동화집』을 비교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첫째, 『조선동화대집』과 『그림동화집』이 출판되던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살폈다. 둘째, 『조선동화대집』과 『그림동화집』의 형식적인 면-이야기 편수, 편집 체재, 제목, 목차, 제보자 정보 등을 고찰했다. 셋째, 『조선동화대집』과 『그림동화집』의 내용적인 면-주제와 이야기 양상을 비교했다. 첫째, 시대적 상황을 비교한 결과, 『조선동화대집』과 『그림동화집』은 저자의 이력, 발간 상황, 발행 목적, 민족어로 된 최초의 동화집[설화집]이라는 관점에서 공통점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형식적인 면을 비교한 결과, 『조선동화대집』과 『그림동화집』은 제목의 특성은 같았지만, 제목 유형의 강조점, 목차 구성의 강조점, 이야기 종결형, 운문 제시, 제보자 정보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내용적인 면을 비교한 결과, 『조선동화대집』의 주제는 ‘어리석음’과 ‘지혜’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림동화집』의 주제는 ‘사랑’과 ‘행운’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조선동화대집』과 『그림동화집』의 이야기 구성 단계는 ‘결핍-결핍의 제거’ 또는 ‘과제-과제의 해결’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주인공이 자신에게 부족한 무엇인가를 찾거나 해결하는 구성이었는데, 탐색담(探索談)의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조선동화대집』의 이야기 「개구리 신선」, 「사냥꾼의 소원」, 「똑같은 재주」는, 각각 『그림동화집』의 「개구리 왕자」, 「어부와 아내」, 「재주꾼 사 형제」와 인물, 사건, 주제가 아주 유사했다. 이는 『그림동화집』의 이야기가 『조선동화대집』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았다. 『조선동화대집』의 「돌 두꺼비」와 「콩쥐 팥쥐」는 『그림동화집』의 「척척박사」와 「재투성이 아셴푸텔」과 핵심적인 사건과 주제가 서로 비슷했다. 이러한 핵심 사건과 주제의 일치는 전파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다원발생에 따른 것일 수도 있다고 보았다. 『조선동화대집』의 「착한 아우」, 「두 형의 회개」와 『그림동화집』의 「두 나그네」, 「배낭과 모자와 뿔피리」는 동일한 모티프가 나타난 이야기로 볼 수 있었다. 이는 이야기의 기원에서 다원발생설(多元發生說)의 예시로 삼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compare the Great Book of Joseon Fairy published by Shim Eui-rin of Korea in 1926 with the Grimm’s Fairy Tales published by the German Grimm Brothers in 1812.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ituation of the times, the author's history, publication status, purpose of publication, and the first fairy tale collection in the national language were shown in common.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formal asp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tle were the same,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mphasis on the title type, the emphasis on the composition of the table of contents, the end of the story, the presentation of verse, and the informant information.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ontent aspects, ‘dumbness’ and ‘wisdom’ were the most common subjects of the Great Book of Joseon Fairy Tales, and ‘love’ and ‘luck’ were the most common subjects of the Grimm’s Fairy Tales. In the story composition stage of the Great Book of Joseon Fairy Tales and the Grimm’s Fairy Tales, ‘deficiency-deficiency removal’ or ‘task-task solving’ appeared in common. It was a composition in which the main character found or solved something he lacked, and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a quest tale. Among the stories of the Great Book of Joseon Fairy Tales and the Grimm’s Fairy Tales, there were works with very similar characters, events, and themes. This was considered that the story of the Grimm’s Fairy Tales was spread to the Great Book of Joseon Fairy Tales;diffusion theory. Among the stories of the Great Book of Joseon Fairy Tales and the Grimm’s Fairy Tales, there was a story with a similar theme to the core event. This may be due to diffusion theory or polygenesis theory. Among the stories of the Great Book of Joseon Fairy Tales and the Grimm’s Fairy Tales, there was a work with similar motifs. This was identified as the result of polygenesis theory.

      • KCI등재

        마키모토 구스로(槇本楠郞)의 필리핀동화집 『야자열매와 어린이』(1943) 연구 - 아시아태평양전쟁의 광기와 아시아옛이야기 출판

        권혁래 ( Kwon Hyeokrae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21 동화와 번역 Vol.41 No.-

        마키모토 구스로(槇本楠郞)는 근대 일본의 동요와 동화 작가이자 프롤레타리아 아동문학의 선도자로 평가된 인물로, 그의 프롤레타리아 아동문학과 문학이론은 일본뿐 아니라 한국, 중국에서도 주목받아 왔다. 그는 1930년대 후반 이후 일본 전역에 불어 닥친 아시아태평양전쟁의 광기에 휘말려 1943년 필리핀동화집 『야자열매와 어린이』(대동아권동화총서 제4권)를 집필했다. 마키모토는 일본제국의 식민지 문화통치의 의도에 따라 문화인류학적 내용이 드러나는 작품을 주로 선집하고, 일본과 필리핀 간 동화 및 문화의 친연성을 강조하며 대동아공영권 의식을 옹호하였다. 천지창조 및 왕국의 기원, 정령에 관한 관념을 전하는 10편의 작품들에는 대체로 필리핀의 문화적 정체성을 보여주는, 인류학적 관심사가 표현되었다. 한편으로 이 작품집에는 필리핀의 대중적인 작품, 민족적 캐릭터를 다루거나 해학적 작품이 적다. 『야자열매와 어린이』는 일본의 패전 이후 완전히 망각되었다. 이 동화집을 21세기 설화·옛이야기 학계에 다시 소환하면서, 제국이 주도하는 전쟁의 광기 속에서 아동문학이 맞은 위기가 어떤 것인지 생각하고, 타 문화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지향하며 참된 문학정신이 담긴 새로운 아시아동화집을 어떻게 편찬할 수 있을지에 대해 성찰하는 사례로 삼고자 한다. Kusuro Makimoto is a contemporary Japanese author of children's literature, who is evaluated as a leader in proletarian children's literature. In addition, his works and literary theory have garnered attention not only in Japan, but also in Korea and China. However, he was caught up in the madness of the Asian-Pacific War that blew across Japan after the late 1930s, and wrote Philippine Fairy Tale Collection, Palm Fruits and Children. This collection, comprising 13 works, shows a bias based on imperialistic intentions and cultural anthropological interests rather than children's literary tendencies. Ten works conveying the idea of the creation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the origin of the kingdom, and the spirits generally show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Philippines. In this collection, it is found that there are few works dealing with popular Filipino and ethnic characters. Palm Fruits and Children was completely forgotten after the defeat of Japan in 1945. Through this collection, I will think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war and children's literature, and conceive how to compile a new Asian fairy tale collection containing peace and true literary spirit.

      • KCI등재후보

        치료콘텐츠로의 전래동화 활용 사례 연구

        김수현(Kim, Soo Hyeo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6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7

        빠르게 돌아가는 세상 속에서 많은 사람이 심리적 고통을 호소하며 힐링을 할 수 있는 장소를 찾고 힐링을 외치는 세상이 되었다. 예전에는 듣지 못했던 여러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의 수요에 맞추어 여러 치료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미술치료, 연극치료, 음악치료 등 치료의 종류가 많음에도 동화치료를 연구하는 것은 분명한 이유가 있다. 세계의 여러 전래동화도 좋지만, 우리 몸에 우리 것이 좋다는 ‘신토불이’라는 말처럼 한국 사람의 정서에 잘 맞는 우리나라 전래동화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전래동화는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내려왔기 때문에 누구에게나 익숙하고 친숙하다.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 더욱 표현하기 어려운 마음속을 들여다보고 다독여 주고 해소할 길을 열어 주는 방법으로 누구에게나 익숙하고 친숙한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치료의 가능성과 활용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치료대상자를 선정하고 그것에 맞게 동화를 선정한다. 그리고 동화의 줄거리를 요약하고 프로이트와 융의 이론을 통해 동화의 내용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치료의 대상과 활용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전래동화 중 세 편의 동화를 선정하였다. 선정방법은 치료대상자와 동화될 수 있고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을 가진 동화로 세편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동화를 정신분석 이론을 바탕으로 해석한 것은 동화의 해석은 자기 고백을 하는 것과 같으며 동화를 활용하여 내담자를 치료하기에 앞서 치료사의 자기 서사 검토와 치료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필자의 생각에서 기인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전래동화 세 편을 다음과 같이 분석해 보았다. 첫째 심리분석의 거장 프로이트와 융의 이론을 살펴보고 전래동화의 특징과 기능을 알아보았다. 둘째 세 편의 전래동화의 내용을 알아보고 동화 속의 등장인물들 행동과 그들이 내포하고 있는 상징들을 프로이트와 융의 심층 심리학적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분석한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치료대상과 활용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넷째 분석한 세 편의 전래동화가 다른 여러 치료보다 남녀노소 모두에게 치료 도구로 쓰일 수 있는 가치가 있음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빠르게 진화하는 속도만큼 많은 정보의 양만큼 심리적 고통을 안고 있는 이들을 위하여 더 많은 전래동화를 분석하여 내담자들의 심리를 안정시키고 해소할 수 있는 옥석을 고르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Nowadays "Healing" is the key world. Many people complaint for psychological distress in the rapidly changing world and are looking for the place to be healed. To meet the demand from people who suffer by many unknown symptoms, lots of treatments have been developed. There are lots of treatment such as an art therapy, drama therapy, music therapy etc. However, there is certain reason to research the literary therapy. Verena Kast, the researcher of literary therapy in Switzerland, tried literary therapy based on Jung’s analytic psychology using by fairy-tale illustration and Andersens’ fairy-tale. There are many folk tales in the world. However, it would be the best to analyse Korean folk tale which fits to Korean nature. Also, the folk tale informs word by mouth so that it is very familiar to everybody. Using the familiar folk tales, the possibility of treatment and method for unseeable hurting mind will be investigated. Folk tales will be analysed by Freud and Jung’s theory. To set the treatment population and its scope, four Korean folk tales have been selected. I did not choose the specific type of folk tales. The reason to choose these folk tales is that it touched my hearts the most. The analysis of fairy tale is equivalent to the self confession. It is from the author’s belif that the therapist should reflect self-standing before treating the patient by folk tales. This essay analyses four folk tales as below; First of all, the greatest psychological therapist, Freud and Jung’s theory are deeply investigated in this essay and the function of folk tales are investigated too. Secondly, contents of four folk tales and unique features in folk tales are investigated. The characters’ action and its symbol in folk tales are analysed by Freud and Jung’s depth psychological method. Thirdly, using analysed folk tales, grouping the folk tales and treatment group and its way is searched. Finally, I proved that four folke tales can be used for treatment to people of all ages and both sexes and it is more effective than other treatments. It is important to group and analyse good folk tales to heal people to have stable mentality.

      • KCI등재후보

        동화에 나타난 비일상적 장치와 텍스트 전복의 관계

        김지은(Kim Ji-Eun) 돈암어문학회 2008 돈암어문학 Vol.- No.21

        꿈과 동화의 공통점은 세 가지가 있다. 첫째, 말로 되어 있고, 둘째, 현실의 아픔을 치유하는 기능을 하며, 셋째, 현실에서 불가능한 전복적인 상상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어린이들이 읽는 텍스트인 동화가 다른 장르보다 더욱 환상적이고 비일상적인 장치에 많이 의존하는 것은 어린이라는 존재의 특성과 관계가 깊다. 어린이는 육체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가장 약자 집단이며 나약한 지위에서 오는 고통을 문학을 통해 치유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하다. 또한 어른보다 기존 질서에 편입된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텍스트 안의 질서나 관점의 이동에 대해 개방적인 편이다. 따라서 그들을 독자로 한 어린이 문학은 ‘치유의 문학’이며 ‘전복의 문학’으로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최근 우리 창작 동화는 더욱 적극적으로 비일상적인 장치를 활용하고 있다. 문학작품 속의 시공간을 셋으로 분할하여 A를 현실세계, B를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에 놓인 세계, C를 가상세계라고 한다면 그동안 동화는 B를 통해 A와 C를 넘나드는 구성을 즐겨 사용해 왔다. 그런데 최근의 경향은 흔히 생활동화라고 부르는 A를 배경으로 한 동화들도 B를 설정하여 비일상적인 장치를 도입하는 일이 늘어났다. 어린이를 둘러싼 현실이 더욱 각박하고 경쟁적으로 치닫고 있다는 사실의 반증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통적인 패러디 동화는 다원주의적 변화를 반영하면서 새로운 관점과 가치를 재생산하는 실험에 나서고 있다. 현대적인 생활동화는 동화 속에서 벌어지는 비일상적인 경험이 심리적 보상을 넘어서는 현실적 실천력을 지닐 수 있도록 더 정밀하게 비일상적 장치를 배치하는 경향을 보인다. 동화에서 독자가 부딪히는 비일상적 경험은 때로는 치유의 역할을 때로는 예리한 현실 비판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 모든 것은 문학의 본래적 모습의 일부다. 일회적인 꿈과 달리 동화는 담론을 재현하고 창의적으로 재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일상적 장치를 활용한 동화들의 활발한 등장을 지지하며 그 가능성에 기대를 갖는다. There are three common features between the dream and the fairy tale. First, they are basically made up of language. Second, they have the role in healing the pains of the real world in some senses. Third, the subversive imagination is possible which cannot come true in the real life. There are deeply concerned with the characteristic that the fairy tale depends on the fantastic and non-everyday narrative settings more than the other literatures. Children are the most vulnerable group physically and socially. They are apt to heal the pains through the fairy tales which they can’t cope with in the real life. They are more open-minded than adults to the transition of order or perspective of texts. For the children are rarely put in the established system. Consequently, fairy tales function as the healing and subversive literature. In these days, Korean writers try to make use of the non-everyday narrative setting in fairy tales. If we devide the time and place of the literature into three dimensions (A:real world, B:semi-real world which lies between A and C, C: virtual world), Classical fantasy have mainly used the narrative structures which cross from A via B to C or conversely. Nowadays, there are increasing numbers of realistic fairy tales, which is called ‘life fairy tales’, that stay in not only A but also B, introducing non-everyday narrative settings. It reflects the current life situation which is tough and competitive for Korean children. Parodic fairy tales are now proceeding to reproduce new perspectives and values affected by pluralism. Life fairy tales tend to elaborately make use of non-everyday narrative settings in text so that non-everyday experiences practice the change of life beyond mental reward. Non-everyday experiences have the important role in healing the pains of the real world or criticizing its absurdity. These are some of the essential functions of the literature. While the dream is temporary, the fairy tale is lasting. When we wake up, the dream disappears. But the fairy tales continue to create new dis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