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량강도 출신 북한이탈주민의 북한 사회 불평등 인식과 거주 단위의 상관성 분석을 위한 예비연구

        김덕우(Kim, deokwoo)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2022 아태연구 Vol.29 No.3

        이 글의 연구 목적은 량강도 출신 북한이탈주민 직통생의 불평등 인식이 북한 내 거주 단위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북한이탈주민 직통생 115명을 분석대상으로 설정하고, 합성 불평등 인식 점수를 종속변수로, 거주 지역 단위를 독립변수로 하는 연구를 설계하였다. 이후 연구 참여에 동의한 71인의 응답 결과에 대한 전‧후처리 과정을 거쳐 확보한 40개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독립표본 t검정 및 변수 사이 상호작용효과 검증을 위한 단계별 더미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 지역이 도심 번화가에 가까운 ‘동과 읍’에 거주하는 응답자가 비 도심 혹은 시골이라 할 수 있는 ‘리와 구’에 거주하는 응답자에 비하여 불평등 인식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 량강도 지역 내 직업군과 같은 전통적 계층 요인의 영향력이 감소되고 있으며, 성별에 따른 젠더 위계화 현상은 장마당의 영역에서도 작동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시장화로 인한 북한 사회의 변화가 자본주의적 사회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과, 기존 북한 사회의 특수한 구조에서 배태된 현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how North Korean defectors from Ryanggang Province perception of inequality diff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esidential areas in North Korea. For this study, 115 direct North Korean defectors were set as targets for analysis, and a Independent-Samples T-test were conducted using the recovered questionnaire of 40 peopl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respondents living in ‘dong and eup’ where the residential area is close to the city and downtown had higher inequality perception scores than those living in ‘ri-gu’, which can be called surrounding areas or rural area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anges in North Korean society are affecting the urban-rural gap and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between urban residents.

      • KCI등재

        주왕산국립공원 탐방객 만족도 향상을 위한 관리속성 분석

        김동훈,강희지,하재옥,김창휴,한상열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3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7 No.1

        본 연구는 COVID-19 확산 이후 주왕산국립공원의 관리속성을 분석하여 향후 탐방객 만족도 향상을 위한 공원 관리 운영방안 수립 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COVID-19 전후 관리속성 만족도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관리속성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수정 IPA를 활용한 비교분석을 시행했으며, 2019년과 2022년 탐방객 대상으로 수행된 설문지 400부, 33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공원의 전반적 만족도와 관련된 문항은 2022년이 2019년보다 더 높은 값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관리속성 문항은 전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수정 IPA를 활용한 비교분석 결과,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Ⅰ사분면의 공통된 측정 문항으로는 ‘자연경관’, ‘편의시설’이, 중점 개선영역인 Ⅱ사분면은 ‘주차장 이용요금’,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Ⅲ사분면은 ‘주변 상가 관광 서비스’가 나타났다. 변화된 관리속성 중 ‘공원 내 숙박시설’은 Ⅳ사분면에서 Ⅱ사분면으로 변경되어 중점 관리 영역에 위치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관리속성 변화를 파악하여 향후 적합한 공원 관리 운영방안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진단

        김정은(Jung-Eu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진단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부울경 지역 예비유아교사 2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여기서 회수된 자료는 SPSS 21.0(ver.)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치,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준은 보통 이상의 우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5점 기준으로 각 변인의 평균 점수가 4점대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배경변인별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년을 제외하고 대학, 전공, 과목이수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기르기 위해 관련 과목을 이수하거나 교육만으로 역량을 키우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성격적인 특성, 심리적인 요인 등을 고려햐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24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Busan, Ulsan, and Gyeongnam reg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ver.) statistical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Scheff's post hoc test were performed. Results First,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level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above average, in-dicating an excellent level. Based on a 5-point scale, the average scores for each variable were in the high 4-point range. Second, the analysis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y differences based on background variabl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vealed significant variations, excluding grade. Conclusions To foster digital literacy competency, it suggests that education should not only focus on completing relevant courses or solely rely on instructional methods. Instead, it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psychological factors, and other aspects.

      • KCI등재

        산불 특수진화대의 업무 만족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류주열,장미나,차성은,권춘근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4 Crisisonomy Vol.20 No.3

        최근 전 세계적으로 산불의 대형화 및 장기화에 따른 산불 진화대원의 업무 기피와 이직률 증가로인한 인력 수급의 어려움이 심화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내무부와 산림청은 진화대원의업무 및 복지 개선을 위한 실태 조사 및 연구를 통해 업무 만족에 관한 실태 조사 분석과 업무 만족도평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산불 관리 예산 증액을 통해 진화 업무의 전문화, 임금 증액, 건강 증진프로그램 등을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산불 진화대원의 업무 만족 및 조직편성의 적정성등에 대한 실태 조사와 연구가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불 진화대원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통해업무 만족도를 분석(상관관계분석, 일원변량분산분석, 독립변수 t검정, 회귀분석 등)하고 문제점 해결을위한 방안으로 미국의 산불 관리 정책 사례를 참고하여, 국내 산불 진화대원의 처우개선 및 업무 만족도개선에 관해 제언하였다. In recent years, the global escalation and prolonged nature of wildfires have exacerbated challenges in recruiting and retaining wildland firefighters, leading to increased job aversion and turnover rates. To address this issue, the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and the Forest Service have actively conducted surveys and research to improve the duties and well-being of wildland firefighters, expanding specialized training, increasing wages, and implement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through additional budget allocation for wildfire management. However, domestically, there is a lack of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 job satisfaction and appropriateness of organizational structures for wildland firefighters. This study analyzes job satisfaction among domestic wildland firefighters through a survey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independent sample t-tests, regression analysis, etc.) and proposes solutions for identified issues by referencing U.S. wildfire management policies. Recommendations focus on enhancing the trea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domestic wildland firefighters.

      • KCI우수등재

        우리나라 여름철 극한강수량의 최근 레짐이동과 그에 따른 종관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강권민(Kwonmin Kang),최영은(Youngeun Choi) 대한지리학회 2021 대한지리학회지 Vol.56 No.5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름철 (극한)강수량의 변동에서 최근 레짐이동을 탐지하고, 레짐이동이 나타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종관특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여름철 강수량은 1970년대 이전까지는 변동이 작았지만 1980년대 이후부터 증가 경향이 뚜렷해졌다. 하지만 최근 10년(2011~2020년) 강수량은 급격히 감소하여 이것이 레짐이동을 발생시킬 정도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여름철 강수량과 극한강수량의 최근 레짐이동은 2013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은 지금까지 탐지되지 않았던 새로운 레짐이동의 발생시점으로 강수량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시점이다. 2013년 이후에 여름철 종관특성 변화도 나타났다. 여름철에 북태평양고기압과 티벳고기압이 강화되어, 우리나라 상공의 기온이 상승하였고, 비습이 상층과 중층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와 더불어 우리나라로 고온건조한 북풍이 탁월해지면서 강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조건이 강화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st recent regime shift in summer rainfall, especially extreme rainfall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to examine its causes analyzing the changes of synoptic conditions. Summer rainfall was not much variable, with a relatively narrow range of fluctuation before the 1970s, but has constantly increased by the 1980s. In recent years, a abrupt decrease was detected in it. Student’s t-test has defined the recent regime shift because of a rapid decrease of summer rainfall during the recent 10 years(from 2011 to 2020). As a result, the recent distinct regime shift of summer rainfall and extreme rainfalls was appeared in the year of 2013. The year 2013 was a starting point of the abrupt decrease of summer rainfall, especially extreme rainfalls and this regime shift has never been detected in previous studies. The change of synoptic characteristics was identified after the year of 2013. North Pacific High and Tibetan High were more strengthened and expanded resulting in the increase of temperature from the low levels to high atmospheres after the year 2013. Also, a significant decrease of summer specific humidity from middle to high atmospheres and the northerly wind anomalies with warm and dry conditions might bring the decrease of summer rainfall around the ROK.

      • KCI등재

        프로그램 효과검증을 위한 메타분석에서의 효과크기 계산방법

        유성모 한국자료분석학회 201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1

        메타분석은 개별연구의 효과크기를 결합하여 특정 프로그램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입증하기 위한 방법이다. 비동등 두 집단 비교를 위한 연구 설계에서 메타분석을 위한 개별연구의 효과크기는 두 집단의 사후 평균 점수를 비교하는 방법과 사전/사후 평균 점수의 차에 대한 두 집단의 차를 비교하는 방법이 있으며, 메타분석을 위한 개별연구에서 보고되고 있는 통계량의 형태는 다양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연구에서 보고되는 통계량의 다양한 형태에 적절한 효과크기를 구하는 방법을 다루고, 보다 정확한 효과크기를 산출하기 위한 통계량 활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비동등 두 집단 비교를 위한 사전/사후 연구 설계에서 연속형 변수를 이용한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분석방법에 대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두 집단의 평균 비교를 위한 독립표본 t-검정과 사전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전/사후 점수의 차를 종속변수로 설정한 공분산분석이 권장되는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메타분석에서 사전/사후 평균 점수의 차에 대한 두 집단의 차를 비교하는 방법이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산출하는데 적절한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메타분석을 위한 개별연구에서 보고되는 통계량 형태를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각 유형에 적절한 효과크기 계산방법을 제시하였다. Meta-analysis is to verify the effect of a specific prevention program or treatment by combining effect sizes from individual studies. Effect size in meta-analysis is calculated with mean difference of posttest scores, or difference of mean differences of posttest and pretest scores of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in the study with non-equivalent two groups pretest-posttest research design. Independent two-sample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is widely recommended in two group comparison for the verification of program effect. Difference of mean differences of posttest and pretest scores is commonly and reasonably recommended for the calculation of effect size. Four types of summary statistics in individual research are investigated, and the effective way to calculate effect size without over/under-estimating is reviewed for the four types of summary statistics. It is suggested to report independent two-sample t-test statistic with at least three digits below decimal place in nonequivalent two groups comparison research, and it is also suggested to use Type IV summary statistics for the calculation of effect size if possible.

      • KCI등재

        사립대학의 지속가능성장률 분석

        남원식,안영규 한국경영교육학회 2014 경영교육연구 Vol.29 No.3

        In the wake of school-age population decrease and university restructuring process, a paradigm for universities has changed from matters of evaluation to matters of survivor.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sustainable growth rate(SGR) of four-year private universities through the SRG model for non-profit organizations developed by Jegers(2003) and find out the managerial strategies that four-year private universities were required to establish the long-term master plan.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growth rate was found to be higher for universitie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than in the non-capital area and for small-scale universities than large-scale universities. The determinant factors of the SGR model were found to be the asset efficiency ratio that represented growth at activity level. Such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suggest many implications on matters of survival for universities and trend identification in higher education industry after the 2020s when the number of future population in school-age will have decreased sharply.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의 경영환경 악화로 기존의 서열중심의 대학사회도 생존문제에 직면하게 되면서 장기존속을 위한 성장률관리정책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성장률관리와 관련된 기존연구에서는 주로 기업과 같은 영리조직에 대해서만 다루고 있을 뿐, 대학과 같은 비영리조직에 대해서는 거의 다루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룬다 치더라도 개별적인 경영분석지표에 입각한 비율분석에 치우쳐 있어, 종합적인 경영분석지표에 입각한 연구는 그다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Jegers(2003)의 비영리조직의 지속가능성장률 분석모형을 이용하여 전국 4년제 사립대학의 지역별, 규모별, 크기별 지속가능성장률과 그 결정요인에 대하여 측정한 후, 이를 기초로 집단별 차이분석을 위한 일원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을, 그리고 주요 결정요인 파악을 위한 다변량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우리나라 4년제 사립대학의 지속가능성장률은 비수도권대학보다는 수도권 대학이, 대규모대학보다는 소규모대학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속가능성장률 결정요인에 대한 차이분석에서는 지역별 지속가능성장률 결정요인 중 자산수익률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확보할 수 있었다. 한편, 주요 결정요인 파악을 위한 다변량회귀분석에서는 대체로 예상부호와 일치하는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이 중 자산효율성비율과 자산수익률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학령인구가 급감하는 2020년대 이후의 고등교육산업의 동향파악과 생존문제에 해법을 마련해야 하는 대학의 경영전략 수립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한·중 관용색 인지 대조 연구

        이은희 ( Lee Eun-hee ) 민족어문학회 2021 어문논집 Vol.- No.93

        이 연구는 사물의 색인 관용색을 이용하여 색채어에 대한 한국인과 중국인의 인지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1차 설문조사를 통해 한·중 공통의 기본 색채어 11가지의 관용색을 45개로 선정하고, 2차 설문조사와 독립표본 t-검정으로 인지 차이를 대조한 결과, 한·중 관용색 인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39색 관용색 모두, 한국이 중국보다 사물이 제시되면 기본 색채어가 떠오르는 가에 대한 평균이 높았고, 이것은 한국이 중국보다 관용색을 생각하면 기본 색채어를 더 잘 떠올린다고 할 수 있다. 45개 관용색 중에서 한국은 [피색]을 ‘빨강’으로, [개나리색]을 ‘노랑’으로, 중국은 [눈(雪)색]을 ‘하양’으로 가장 기본색에 가깝다고 느끼는 반면, [고구마색]은 한국과 중국이 모두 기본색인 ‘보라’를 떠올리는 색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한·중 모두 공통적으로 생각하는 기본 관용색은 [연탄색], [눈색], [피색], [잔디색], [밤색], [가지색], [벚꽃색], [시멘트색] 등 8가지이고, 다르게 생각하는 기본 관용색은 한국의 [개나리색], [바다색], [당근색]에 대해 중국은 [바나나색], [하늘색], [오렌지색], 이 3가지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과 중국인이 기본 관용색을 선정하는 선택 순위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노랑’, 그 다음은 ‘파랑’이고, 순위가 동일한 것은 ‘하양’, ‘보라’, ‘분홍’, ‘회색’ 등으로 나타났다. 본고는 관용색이라는 생소한 개념을 국어학과 한국어 교육에 접목시키려 시도했고, 관용색을 이용하여 한국인과 중국인의 색 인지에 대한 차이를 수치화 및 통계화하여 증명하였다. 이 한·중 인지 대조 결과가 추후 한국어 교육에 적용되는 데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e study sought to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gnition of color terms by using the idiomatic color terms of objects. The first survey selected 45 idiomatic color terms of 11 basic color terms common between Korea and China, and the second survey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cogni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idiomatic color terms. All 39 idiomatic color terms, which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had a higher average of whether Korea comes to mind when things are presented than China, which can be said to remind Korea of the basic color terms better when it comes to idiomatic color terms than China. Of the 45 idiomatic color terms, Korea feels that [blood color] is ‘red’ and [forsythia color] is ‘yellow’, while [snow color] is the most basic color in ‘white’, while [sweet potato color] is not a color that reminds both Korea and China of ‘purple’. There are eight basic idiomatic color terms common to both Korea and China, including [coal briquette color], [snow color], [blood color], [grass color], [brown color], [eggplant color], [cherry blossom color], and [cement color] and China thinks [banana color], [sky color], and [orange color] as three basic idiomatic color terms for Korea’s [forsythia color], [sea color], and [carrot color]. It was ‘yellow’ that Koreans and Chinese showed a big difference in the selection rankings for selecting basic idiomatic color terms, then ‘blue’, and ‘white’, ‘purple’, ‘pink’, and ‘gray’ that had the same ranking. This paper attempted to incorporate the unfamiliar concept of idiomatic color terms into Korea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oved the difference in color cognition between Koreans and Chinese by quantifying and statistically using idiomatic color term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Korea-China cognitive comparison will contribute to the applic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핵억양에 나타나는 화자의 태도에 대한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인식 연구

        황선영 ( Sun Young Hwang ) 한국화법학회 2014 화법연구 Vol.0 No.25

        핵억양은 서법을 나타내 주는 문법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화자의 태도나 감정을 전달해 주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화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바에 따라 억양이 달라질 수 있으며, 한국어 학습자들도 이러한 억양의 패턴을 이해하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고급 학습자가 한국인 모어 화자와 비교하여 핵억양에 나타나는 화자의 태도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t 검정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학습자는 화자의 태도를 한국인과 다르게 해석하는 것으로 나타나 화자의 태도 해석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학습자가 화자의 ‘짜증난/귀찮은’ 태도를 ‘다정한/친절한’ 것으로 해석하거나 ‘다정한/친절한’ 태도를 ‘사무적이거나 냉정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해석은 의사소통 시 어휘나 문법의 오류보다 더 큰 문제를 일으키는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도 억양에 따른 화자의 태도를 교육 항목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명령문에서의 다정한 태도와 청유문에서의 짜증난 태도와 같이 서법의 기능과 태도가 다르게 나타난 경우 한국인과의 해석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의문문이 놀람의 태도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학습자들이 화자가 놀랐음을 쉽게 찾아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화자의 태도를 해석할 때 종결어미나 서법과 같은 문법적인 요소에 좀더 의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Nuclear tone not only serves as a grammatical function of showing the mood, but also shows the attitudes or emotions of the speaker. Therefore, the tone may chang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speaker, and Korean learners should also be able to properly understand and utilize the pattern of such tones. This study uses t-statistics to compare advanced Korean learner`s ability with native speaker`s ability to understand a speaker`s attitude conveyed in nuclear tones. The results showed that learners interpret speakers` attitudes differently from native Korean speakers, thus having difficulties identifying the speaker`s correct attitude. In particular, learners tended to interpret an “annoyed” attitude as “friendly”, or a “friendly” attitude as “coldly.” Such incorrect interpretations may result in greater problems compared to vocabulary or grammatical errors in communication. For that reason, Korean education curriculum should include speakers` attitudes conveyed in tones among their items. Moreover, interpretation of the attitude that opposes the function of the mood, such as a “friendly” attitude in an imperative sentence or an “annoyed” attitude in a hortatory sentence, was mo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ative Korean speakers. On the other hand, many learners were able to spot the “surprise” conveyed in an interrogation. It follows that Korean learners tend to rely more on grammatical elements such as the final ending or the mood when interpreting attitudes of speakers.

      • KCI등재

        1인 가구와 2인 이상 가구의 문화소비지출 추세비교 분석

        박근화,김지학,곽신석,이충희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5

        As the result of increasing one-person household, the figure reached 23.9% in 2010 and is expected to rise up to 31.3% by 2025. Although many studies on expenditure of one-person households have been conducted, there is very little research on cultural expenditure. In this paper, we extract 46 relating items from culture, sports and tourism classification out of the household survey issued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reclassified them into 12 categories. In order to compare difference on cultural expenditure between one-person households and two or more person households, we use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homogeneity of trends of the two groups is analysed by Van Belle and Hughes's test. Expenditure of cultural consumption by the individual shows growing tendency with exceptions in the picture & audio and the publishing categories. One-person households spend more only on cultural service while two or more person households show higher expenditure on the others. We find homogeneity for 12 month of all 12 categories from the results of Van Belle and Hughes's test. Five categories including the cultural service show linearly increasing trends, whereas the publishing shows decreasing trend. The comparison on the other categories between two groups shows different trends. 1인 가구의 증가추세에 따라 2010년에는 23.9%로 증가하였고, 2025년에는 31.3%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1인 가구의 소비지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문화 관련 1인 가구의 소비지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가계동향조사 품목 중 문화체육관광 분류체계로 46개 품목을 선정한 후 이를 다시 12개의 분야로 구분하였다. 1인가구와 2인 이상 가구의 문화관련 가계소비지출 차이를 비교하고 변화와 차이를 파악하고자 독립표본 t-test를 이용하여 횡단면적인 분석을 하였고, 계절 Kendall 분석과 Van Belle and Hughes의 추세의 동질성 검정을 이용하여 12개 각 분야의 시계열 추세 및 추세에 대한 동질성 검정을 함으로써 해당기간의 비교뿐만 아니라 시계열의 추세의 비교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추세분석은 2006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의 월별자료를 이용하였다. 문화 관련 1인당 소비지출에서는 영상음향과 출판 분야를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증가하였고, 문화서비스 분야만이 1인 가구의 소비지출이 더 많을 뿐 대부분 문화 관련 1인당 소비지출은 2인 이상 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추세의 동질성 검정에서는 12개 분야 모두에서 12계절에 대한 추세가 각각 동질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서비스 등 5개 분야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추세가 있으며, 출판은 감소 추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는 두 집단 간의 추세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