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네트워크 중심성 지표를 활용한 서울시 상습침수지역에 위치한 도로 네트워크 중심성 특성 분석

        김경태,송재민 한국지역개발학회 2016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8 No.3

        도로 기반시설은 시민들의 생활과 안전의 중추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최근 기후환경의 변화 등으로 인해 도로 기반시설의 안정성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1999년과 2008년 사이에 도로기반 시설과 관련된 물적 피해가 전체 피해액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지자체 및 국가 차원에서 도로 기반시설의 기능 유지 및 회복탄력성 증진이 주요한 정책 사안으로 등장하고 있다. 도로 네트워크는 노드와 링크, 즉 교차점과 도로로 이루어져 네트워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있어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이론의 주요 세 가지 중심성 지표, 즉 연결정도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를 활용하여 서울시 상습침수지역 도로의 네트워크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울시 도로 네트워크의 풍수해 취약성에 대한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국내외 도시기반시설에 관련된 네트워크 이론을 검토하고, 다음으로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도시의 안전과 기능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로 네트워크의 중심성 분석을 위한 지표를 도출하며 마지막으로 서울시 생활권 별 및 침수 지역의 도로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중심성을 도출하여 비교함으로서 상습침수지역의 도로 중심성 네트워크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상습침수지역에 위치한 도로 네트워크의 경우 근접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 중심성의 경우에도 0에 가까운 노드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전체 도로에서 최단거리로 이동하는데 있어서 꼭 통과해야하는 중요한 도로인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다. 상습침수지역중 매개 중심성 값이 높게 나타나는 도로 교차점들의 경우 해당 지역이 침수되었을 때 도로 네트워크 기능이 크게 저하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어, 향후 해당 노드 및 도로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와 대책이 필요하다. Road network is the backbone of the safety and livability of the human beings. However, the frequent extreme weather events are currently threatening its stability and resiliency. Between 1999 and 2008, the property loss in infrastructure related to roads account for 90% of the total loss in Korea. Thus, maintaining the function of the road network and increasing its resilience with the occurrence of any extreme weather events has become an important agenda at the national and local level. The road network consists of nodes and links, which are cross sections and streets respectively. In this research, we assess the vulnerability of the road network in Seoul towards flooding, using centrality indices in network theory. The centralities of the nodes in flood prone areas have been compared with those of general nodes in Seoul.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nodes in the flood prone areas tend to have higher centrality indices, implying their important and influential roles in the function of the overall road network. The results call for the immediate attention on the vulnerable roads in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road network in Seoul.

      • KCI등재

        보행자를 위한 도로단절이 도시부 전체 교통 통행시간 저감에 미치는 영향분석

        오성훈,이재덕,김명조,박훈태,박지훈 한국공공관리학회 2021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5 No.4

        This study focuses on analysing the effects of road closure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of pedestrian street on the overall traffic time change. So far, pedestrian street such as car-free streets tend to be installed in areas with strong local residents’ demands as well as diverse activities, resulting in city-wide network effects and difficulties in predicting the objective effects of such projects. Despite pedestrian streets are expected to have positive effects in urban area, part of previous projects have suffered from vehicle congestion around the project area. This study examined the externality of road closure form pedestrian street projects by estimating future traffic volume change through a network disconnection simulation and subsequently cost analysis based on resulting traffic time change. The traffic volume estimation was conducted by building a regression model on explanatory variables in the four categories of network, population, building and transportation. The results show that among 31 roads simulated for road closure, 19 will be expected to bring in the reduction of overall traffic time. The outcome may provide a significant figures for suitable pedestrian street projects and also evidence of Braess’s paradox indirectly. 본 연구는 가로공간 재편 시 도로단절로 인한 주변 교통량 변화를 예측하는 방법론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도로에 자동차의 이용을 금지하는 보행자전용도로를 설치할 경우, 주로 대상지 주변의 수요에 따라 국지적으로 결정되는 경향이 있어 도시전반의 도로네트워크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으며, 설치 이후의 네트워크 차원의 변화 또한 객관적으로예측하지 못하고 있다. 보행자전용도로 등의 사업들은 보행환경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일부 대상지의 경우 설치 이후 대상지 주변의 차량정체 등 네트워크 차원의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견해가 있으므로, 사업 이후의 네트워크 변화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춘천시 일부의 도로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수집된 교통량 데이터와 네트워크・교통・도시・건축 4개 범주 총16개 설명변수의 정의를 통해 교통량 예측 회귀모델을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가로 구간을 하나씩 폐쇄하는 상황을 가정한 도로단절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고, 이로 인한 네트워크 특성값 변화를 구축된 교통량 예측 회귀모델에 투입해 도시 전체 교통 통행시간의 변화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총 31개 도로단절 구간 중 절반이 넘는 19개 구간에서 도로 단절이 오히려 전체 교통 통행시간 감소를 초래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는데, 보행자전용도로설치의 합리성을 제고할 수 있는 결과일 뿐 아니라 브라에스 역설을 간접적으로 확인하는결과로 볼 수 있다. 이는 보행자전용도로 등의 사업을 적절히 시행하는 것이 기존의 우려와는 달리 오히려 도로네트워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 KCI등재

        도로 네트워크에 대한 다차원 척도법의 비교

        노웅기 한국정보과학회 2020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36 No.2

        A road network consists of points of interest (POIs) and the traffic situations between them in the real world. There are a number of road network applications; they issue many proximity queries, aggregated nearest neighbor (ANN) queries, and flexible aggregated nearest neighbor (FANN) queries. The distance between two POIs in a road network is defined as the shortest-path distance between them, and the computation of the distance has a complexity that is much higher than that of distance computation in a Euclidean space. Each POI in a road network corresponds to an object in a metric space. If the POIs are mapped into the points in a Euclidean space such that their distances are preserved as much as possible, we can harness the existing algorithms using multidimensional index structures like the R-trees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cost of distance computations when processing diverse queries. In this study, we consider three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methods, namely classical MDS, landmark MDS (LMDS), and FastMap, for mapping POIs in a road network into points in a Euclidean space, and compare the execution time and mapping quality of these methods. Among the methods, LMDS has been proven to be highly efficient in previous studies, and our experiments also demonstrated fast execution and high mapping quality of LMDS for road networks. 도로 네트워크(road network)는 실세계 도로 상의 관심 지점들(points of interest, POIs)과 그들 간의 교통 상황을 반영한다. 도로 네트워크 응용은 매우 다양하며, 이러한 응용에서는 근접성 검색(proximity search)를 비롯하여, 집계 최근접 객체(aggregated nearest neighbor, ANN) 검색, 유연한 집계 최근접 객체(flexible aggregated nearest neighbor, FANN) 검색 등이 발생한다. 도로 네트워크 내의 두 POI 간의 거리는 그들 간의 최단경로 거리(shortest-path distance)로 정의되며, 이 연산은 유클리드 공간 내의 두 지점 간의 거리 계산에 비하여 복잡도가 매우 높다. 도로 네트워크 내의 각 POI는 거리 공간(metric space) 내의 하나의 객체로 대응이 가능하다. 만약 도로 네트워크 내의 POI를 그들 간의 거리가 유지되도록 유클리드 공간으로 매핑이 가능하다면 기존의 R-트리 등에 기반한 알고리즘들을 활용할 수 있으며, 두 POI 간의 거리 계산 비용도 크게 낮아질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도로 네트워크에 대하여 전통적 MDS (classical MDS), 랜드마크 MDS (landmark MDS, LMDS), 그리고 FastMap 세 가지 다차원 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 MDS) 방법들을 적용하여 유클리드 공간으로의 변환 시간 및 품질을 비교한다. 이 중 LMDS는 기존의 연구에서도 그 효율성이 입증되었으며, 본 논문에서의 실험에서 도로 네트워크에 대해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 KCI우수등재

        교통 네트워크 분석 시 유료도로 요금 가중치 차등화 적용 연구

        박상준(PARK, Sangjun),김익기(KIM, Ikki) 대한교통학회 2018 대한교통학회지 Vol.- No.-

        장래의 교통수요예측과정에서 기준년도의 경로선택 패턴을 모사하기 위해 네트워크 정산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통행자가 현실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경로간의 상대적 비용을 경로선택 행태에 정확하게 반영할 필요가 있다. 교통장래의 교통수요예측과정에서 기준년도의 경로선택 패턴을 모사하기 위해 네트워크 정산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통행자가 현실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경로간의 상대적 비용을 경로선택 행태에 정확하게 반영할 필요가 있다. 교통연구원(KOTI)에서 배포하고 있는 KTDB 자료는 도로 서비스 성능(Performance) 함수로써 BPR 함수를 적용하고 있으며, 통행자가 인식하는 경로비용을 반영하는 링크 서비스 성능함수는 자유속도, 용량과 유료도로의 경우 통행요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KTDB를 활용하여 교통수요분석 시 유료도로의 정산을 위해 BPR 함수의 파라메타 α, β값을 임의 조정할 시에 교통량과 속도 관계의 오류로 인해 네트워크 정산 결과에 왜곡을 야기할 수 있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도로위계별로 경로선택에 있어 도로 특성별 선호의 차등화 반영을 위해 불편비용(γ<SUP>type</SUP>)의 개념을 도입한 분석 방법을 제안하여 오류의 규모를 줄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임금율법에 산출된 시간가치를 기준으로 통행요금이 경로선택에 주는 저항 정도가 적합한가를 내비게이션 관측 자료를 가지고 검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통행자들의 경로선택시 실제 인지하는 시간가치가 기존 우리나라 네트워크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간가치에 비해 더 크다는 판단이 나왔다. 즉 통행요금이 경로선택에 주는 영향이 기존 분석에서보다 적다고 분석 결과가 나와 유료도로의 가중치에 λ<SUP>type</SUP> (0< λ<SUP>type</SUP> ≤ 1) 적용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During the process of transportation demand forecasting for future, a network calibration is performed to represent well the pattern of the route choice in the base year. In this process,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reflect relative magnitude of the path costs in the route choice behavior model, which the travelers actually perceived. KTDB data distributed by Korea Transportation Institute (KOTI) uses BPR function as highway performance function. The BPR function representing the link cost recognized by travelers consists of free flow speed, capacity and toll. This study explained possibility of distortion in the results of transportation network analysis due to errors in flow and speed relationship function if parameters α and β in the BPR function was arbitrarily adjusted during the network calibration including toll roads by using KTDB data. Therefore, the study tried to reduce the errors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differentiated weight within the link performance function to reflect different preference in route choice behavior by highway functional hierarchy. The influence of toll on route choice have been analyzed by using the value of time (VOT) based on the average wage until the present days in South Korea. Therefore, in this study, validat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observation data of web-navigation whether the wage-based-VOT adequately expresses the level of impedance in the transportation network analysis. The study showed that the VOT, which is actually perceived by the travelers in choosing path, is larger than the VOT presently used in network analysis in the South Korea. In other words, this study explained the necessity of λ<SUP>type</SUP> (0< λ<SUP>type</SUP> ≤ 1) as the differentiated weight of the toll, because this study found that the effect of toll on the route choice is actually less than that of the previous analysis.

      • KCI등재

        효율적 도로관리를 위한 핵심도로망 분석에 관한 연구 : 충청권을 중심으로

        강민준,오주택,박준석 한국ITS학회 2021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0 No.1

        본 연구는 효율적인 도로관리를 위해 이용자 중심의 핵심적인 도로망을 분석하고 개선 필 요구간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도로관리는 혼잡을 바탕으로 한 관리자 중심의 다원화된 도로관리체계로 운영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중심의 관점에서 여객이동, 물류 이동, 관광이동 중심의 핵심도로망을 선정하였으며 서비스 수준(LOS) 분석, EPDO 사고율을 이용한 교통사고 안전성 분석, 네트워크 서비스 분석 등을 통해 개선 필요구간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핵심도로망 구축과 이용자 중심의 효율적인 도로 건설·관리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main road network for road users to manage roads efficiently and derives problematic road sections to be improved. Traditional road management has been operated by manager-oriented view and a diversified road management system based on congestion. Therefore, in this research, the mail road Network was selected from the viewpoint of passenger-oriented, logistics-oriented and tourism-oriented, and the problematic road sections were derived through Level Of Service (LOS) analysis, safety analysis using EPDO accident rate, and network service analysis. This study emphasizes the efficient user-oriented road construc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the need of constructing a mail road network, and it suggests the improvement strategies.

      • KCI등재

        길찾기 과정의 도로명주소 체계 연계를 위한 선형 객체 매칭 방법

        방윤식(Bang, Yoon Sik),유기윤(Yu, Ki Yu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6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4 No.4

        지난 2012년부터 도로명주소가 본격 시행 및 활용되고 있지만, 아직도 상당 부분에서는 기존의 지번주소가 많이 통용되고 있다. 이는 일반인들의 공간 인식체계와 도로명주소의 공간 구조화 방식의 간극으로 인한 문제이다. 따라서 도로명주소 기반의 공간 인식 체계가 자리잡기 위해서는 생활 속에서 활용되는 각종 공간정보들이 도로명에 의하여 주소정보를 부여받을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간 인식 과정이 가장 중요하게 나타나는 길찾기 과정에서의 도로명주소 체계의 연계를 목적으로, 이를 위하여 필요한 공간데이터의 기하학적 매칭 방법론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도로명주소 기본도의 도로구간 레이어와 보행자용 도로 네트워크에 대하여, 개별 도로 객체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이웃을 생성하였다. 그 다음, 생성된 이웃 집합 간의 기하학적 유사도 비교를 통하여, 네트워크 데이터의 각 객체에 매칭되는 도로구간을 탐색하였다. 매칭 성능은 F0.5 값을 기준으로 0.936의 결과를 얻었으며, 유사도 값을 기준으로 10% 수동 검사를 수행한 결과 이 값을 0.978까지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렇게 생성된 매칭 대응관계를 이용하여, 보행자용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에 도로명 정보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을 통하여, 도로명주소를 기반으로 한 길찾기 서비스 제공 및 공간 인식체계 정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has been in effect in Korea since 2012. However, the existing address system is still being used in many fields be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spatial awareness of people and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For the spatial awareness based on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various spatial datasets in daily life should be referenced by the road name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link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with the wayfinding proces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spatial awareness. To achieve our goal,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geometric matching method for spatial data sets. This method generates network neighborhoods from road objects in the ‘road name address map’ and the ‘pedestrian network data’. Then it computes the geometric similarities between the neighborhoods to identify corresponding road name for each object in the network data. The performance by F0.5 was assessed at 0.936 and it was improved to 0.978 by the manual check for 10% of the test data selected by the similarity. By help of our method,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can be utilized in the wayfinding services, and further in the spatial awareness of people.

      • KCI등재

        도로네트워크 특성과 차대사람 사고발생 빈도간의 관련성 분석 : 서울시를 사례로

        박세현,고승영,김동규,박호철 한국ITS학회 2020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9 No.2

        차대사람 사고는 인적 요인, 차량 요인, 도로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 용하여 발생한다. 도로 환경적 요인은 차대사람 사고 발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려져 있으며 인적 요인과 차량 요인에 비해 대책 수립이 용이하여 분석 결과의 활용성이 높다. 도로 환경적 요인 중 도로 네트워크 특성은 운전자와 보행자의 행태에 영향을 미치며 두 이동 체 간 상충 특성에 관여하여 사고를 발생시킨다. 서울시와 같은 대도시는 지역별 도로 네트워 크 형태가 상이하여 사고 모형 구축 시 지역별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 로 네트워크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도로의 위계, 교차로 밀도, 교차로 특성을 변수로 반영하였 다. 또한, 공간가중 포아송회귀모형을 사용하여 지역별 차대사람 사고에 대한 도로 네트워크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로 네트워크 특성에 따른 사고발생 영향이 유사한 행정동 집 단을 선별할 수 있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도로 네트워크 특성에 따른 운전자와 보행자 의 상충 특성을 검토하고 지역별 개선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Many human, roadway, and vehicle factors affect vehicle-pedestrian crashes. Especially, the roadway factors are easily defined and suitable for suggesting countermeasu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ad network are one of the roadway factors. The road network significantly influences behaviors and conflicts of drivers and pedestrians. A metropolitan city such as Seoul contains various types of road networks, and crash prevention strateg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road network is required.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effects of road networks on vehicle-pedestrian crashes. In the study, high order road ratio, intersection ratio, high-low intersection ratio are considered as road network variables. Using Geographically Weighted Poisson Regression, crash frequencies in Dongs of Seoul are analyzed based on the road network variable as well as socioeconomic variables. As a result, Dongs are grouped by coefficient signs, and each group is suggested about improvement directions considering conflict situations.

      • KCI등재

        네트워크 동등접근에 관한 一考

        이희정(Lee Hee Jung) 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2011 경제규제와 법 Vol.4 No.1

        광대역망이 시민들의 모든 분야의 생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기반시설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망중립성 개념은 망에 대한 동등접근보장이라는 당위적 행동규범을 도출하는 규범적 대전제로서 의미가 있다. 현대 국가에서 일반 도로는 공물법 하에서 누구나 무상으로 접근 할 수 있고(접속점에서 자신의 차량을 얹는 형태), 원칙적으로 접근한 순서대로 이동하며, 예외적인 유료도로에도 차량유형별로 동등한 요금으로 접근할 수 있다. 즉, 도로라는‘망’의 이용에 대해서는 중립성의 원칙이 적용되어 왔다. 동시에 그 중립성에도 불구하고, 도로의 기능 유지를 위해 필요한 범위에서 그 이용에 대한 다양한 규제를 도입하여 왔으며, 그 결과 이용자 간에 도로에 대한 동등접근은 도로법, 도시교통정비촉진법에 의한 수요관리, 도로교 통법에 의한 도로이용자 상호간의 질서유지를 위한 규제 등에 의해 다양한 모양으로 수정되어 왔다. 한편, 오늘날 인터넷은 기존의 음성통화나 데이터통화를 대체 또는 확장하는 새로운 그러나 보편화되고 있는 통신수단으로서, 국민의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생활에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고, 최근의 기술발전에 따라 그 비중은 더욱 커지고 있다. ‘공물’이나‘사회기반시설’의 개념은 모두 그 소유권에 상관없이 그 이용의 목적 또는 기능을 기준으로 성립되는 개념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통신서비스의 공급이 민영화, 자유화를 거쳐 시장에서 경쟁하는 기업들에게 맡겨진다 해서, 그 망의‘공공용 목적’내지‘사회기반시설’로서의 의미가 감소되지는 않는다. 다만 사회기 반서비스로서의 공공성을 확보하는 방식 즉, 사회기반서비스에 대한 관한 거버넌스(governance) 구조와 방식이 달라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로에 대한 시민의 접근가능성이 원칙적으로 중립적으로 보장되듯이 광대역망에 대한 접근도 중립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나 도로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제한을 하듯이, 새로운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나 콘텐츠(contents)의 증가로 광대역망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원활한 기능 수행이 어려워지면, 이에 대해 광대역망 사업자는 필요한 이용규제를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민간기업인 통신사업자에게 그러한 권한을 어떤 방식으로 수권하고, 그 권한 행사를 어떻게 통제할 것인지를 정하여야 한다. One of the methods to understand a new phenomenon is to apply it into a familiar framework through which existing phenomena are understood. Discussions around ‘Equal access to communications network’ and ‘network neutrality’ in the US remind us the issues raised about ‘road.’ Communications network and roads share a number of similarities. Both are used to transfer something and that anyone can put their own vehicles or contents. Roads and communications network put a capacity cap. Underground or ground space is needed to construct new roads and communications network. Wireless network also exclusively occupies invisible bandwidth. At the same time, both should be offered to the general public as important SOCs. Two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roads and communications network: first, communications network are laid and operated in areas that are not well visible and it is connected with invisible radio waves unlike visibly connected and laid roads. Then, transparency is a prerequisite for setting standard of reasonable discrimination. Second, from legal and regulatory perspectives, since privatization and competitive market the quality and pricing of network services rely on business decision makings by individual companies. Expectation held by the general public, however, would be similar both for communications network and physical roads. Another important factor that has contributed to the public expectation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that have been witnessed over the years. The Internet has proved its openness and neutrality based on its open architecture, and they are similar to those of roads. There are various regulations on the use of road based on the statutes. Vehicle passages are restricted when necessary in order to preserve road structures and to prevent risks associated with passage. The authorities can also exercise their legal right to measure cargo loads at certain points on road to limit the passage of overload vehicles. Also, vehicle-only lane or exclusive zones can be designated to prohibit vehicle passages for ‘roads of which traffic has significantly exploded hampering effective traffic flow or for part of roads to ensure smooth traffic flow. On the broadband such reasonable discrimination can be imposed on the uses when it can be justified by the needs to protect the function of network. Necessary legal standards can be benchmarked from the regulation of road use.

      • KCI등재

        도로 위에 존재하는 이동객체의 궤적에 대한 네트워크 기반의 색인 방법

        김경숙,이기준,Kim, Kyoung-Sook,Li, Ki-Joune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3 No.7

        최근 많은 연구들이 유클리디안 공간을 기반으로 대용량의 이동객체 궤적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다루기 위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실제 응용분야에서는 이동객체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은 제한적이다. 예를 들어, 도로 위에 존재하는 자동차들은 서로 연결된 도로망을 통해서만 이동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로 위의 이동객체 궤적에 대하여 시공간 영역 질의를 처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의 색인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질의 처리 과정에서 네트워크 상의 거리를 이용하기 위해서 도로 네트워크의 연결정보를 색인구조에 포함한다. 그리고, 이동객체의 위치 정보를 도로를 구성하는 도로 선분요소 정보를 이용하여 표현하고 이를 단위로 여러 개의 R-tree를 사용하여 이동객체 궤적들을 관리한다. 또한, 여러 개의 도로 선분요소 사이에 하나의 R-tree를 공유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큰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우리는 실험을 통해서 네트워크 거리를 기반으로 시공간 영역질의를 처리하는 것은 기존의 유클리디안 거리 기반의 방법들 보다 대략 30%의 성능향상을 보임을 보여준다. Recently many researchers have focused on management of Historical trajectories of moving objects in Euclidean spaces due to numerous sizes of accumulated data over time. However, the movement of moving objects in real applications generally has some constraints, for example vehicles on roads can only travel along connected road network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dexing method for trajectories of moving objects on road networks in order to process the network-based spatiotemporal range query. Our method contains the connect information of road networks to use the network distance for query processing, deals with trajectories which are represented by road segments in road networks, and manages them using multiple R-trees assigned per each road segment. Furthermore, it has a structure to be able to share R-tree among several road segments in large road networks. Consequently, we show that our method takes about 30% less in node accesses for the network-based spatiotemporal range query processing than other methods based on the Euclidean distance by experiments.

      • KCI등재

        정밀도로지도 기반 전역경로 생성을 위한 전처리 알고리즘 개발

        홍승우,손원일,박기홍,권석태,최인성,조성우 한국ITS학회 2022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1 No.1

        자율주행 4단계 이상에서는 차량 스스로가 목적지까지 주행하기 위해 차선 단위의 전역경 로를 생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정밀도로지도 활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 고 있다. 정밀도로지도 기반 전역경로 생성을 위해서는 정확한 링크 정보를 통해 도로 네트워 크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현재 공개된 정밀도로지도는 이 부분의 구현을 어렵게 하는 다양한 오류를 포함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밀도로지 도 기반 전역경로 생성을 위한 링크 오류 개선 및 도로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 다. 전역경로 생성에 치명적일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링크를 포함한 정밀도로지도의 정보 들을 활용하여 도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전처리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을 통 하여 실제 정밀도로지도로부터 정확한 전역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연구 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An HD map is essential in the automated driving of level 4 and above to generate the vehicle's global path since it contains road information and each road's lane information. Therefore, all the road elements in the HD map must be correctly defined to construct the correct road network necessary to generate the global path. But unfortunately, it is not difficult to find various errors even in the most recent HD maps. Hence, a preprocessing algorithm has been developed to detect and correct errors in the HD map. This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result in constructing the correct road network for use in global path planning. Furthermore, the algorithm was tested on real roads' HD maps, demonstrating its valid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