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검인정 교과서의 선정 제도 개선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 Delphi Survey for Improvement of the Textbook Selection System

        이춘식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교과서 선정 교사 전문가 델파이 조사응 통하여 검인정 교과서의 선정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구인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과서 저문가인 15명의 패녈을 구성하여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르 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델파이형태는 표준 델파이라고 할 수 있는 지필형을 선택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2014년 5월부터 7월까지 수행되었으며, 3회에 걸쳐서 조사를 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연구의 결로넹 해당하는 교과서 선정 제도를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선정 단위에 있어서는, 현재와 같이 개별 학교 단위에서 교과서를 선정하되, 소규모 학교에서는 자발적인 교과서 선정 공동 위원회를 두어 효육적으로 교과서를 선정하도록 한다. 둘째, 교과서 선정 과정과 절차에 대한 개선안으로는, 교과서 선정을 위해 전시본 제공 시에 지도서 및 학습용 CD 등을 제공하여 종합적인 교과서 선정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교과서 선정 후 수시 변경에 대한 개선안으로는, 교과서 사용 중에 필요한 따라 새로운 학년의 교과서를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선정 과정을 간소화하여 하교와 학생들의 수준에 적절한 교과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교과서 선정 시 발행사의 공동 설명회 기회 부여에 대한 개선안으로는,시․도교육청에서 주관하고 발행사가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전시하는 설명회를 제공하도록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improvement ideas for the approved and authorized textbook selection syste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licit suggestions for the selection unit, the selection process, and the textbook display and presentation exhibition. To achieve this goal, a literature review and Delphi survey were conducted. A review of the literature was carried out to complete a questionnaire on the textbook selection system. The Delphi survey was a standard Delphi paper/pencil survey, conducted three times between April 1st and July 20th of 2014. The panel for the Delphi survey was composed of 15 teacher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In order to achieve improvement idea for a particular textbook, the survey data of the secondary and tertiar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statistical averages, standard deviations, and CVR (content validity ratio) value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with respect to textbook selection, the textbook should be selected by individual schools as per the present system. A small size school, however, would need a joint committee for textbook selection. Second, with respect to improvements in the textbook selection process, the textbooks should be displayed with the teachers guidebooks, as well as with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hich would include any CDs. Third, with respect to the changing of a textbook, the process of textbook selection should be simplified to enhance student learning. Finally, with respect to publisher joint presentations, the event should be managed by City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assisted by textbook publish companies.

      • KCI등재

        탈북 아동청소년의 실태 및 욕구조사설계를 위한 델파이조사 연구

        김학령,김유연,이민영,장인숙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21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탈북청소년 관련 조사에서 분절적이고 편의적으로 다루어졌던 탈북 아동청소년의 욕구를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항목들을 추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4회의 전문가 면접조사(1차 델파이조사)와 전문가 100명 대상 설문조사(2차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0세부터 24세까지 전 발달단계에서 탈북 아동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 부모의 정서적 지원, 가족유대감(보육 및 돌봄 영역), 건강상태와 치료받을 기회(건강 및 보건 영역), 한국어 소통정도, 지역사회 지지망(사회통합 영역)이 중요한 항목으로 나타났다. 영유아기와 학령기 집단에서는 양육자신감, 부재 시 돌봄, 규칙적 식사, 부모의 우울, 교사와 관계가 중요하였으며, 학령기와 후기청소년기 집단에서는 학업효능감, 친구관계, 자기이해, 진로계획(교육 및 진로 영역), 직업관, 진로관련경험과 도움 정도(노동 및 취업 영역), 소속감, 차별경험, 공동체의식, 도움 받을 사람 유무 등이 중요한 항목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기존 탈북청소년 조사에서 배제되었던 영유아기와 후기청소년기를 포괄하여 생애주기에 따른 성장단계별 발달과 욕구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조사 설계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며, 탈북 아동청소년을 위한 실태 및 욕구조사의 개선을 위한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for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into the needs of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 and youth, who have until now been segmented in social surveys and need assessments. To this end, four expert group interviews (first Delphi survey) and a survey of a hundred experts (second Delphi survey) were conducted from infant to late adolescence groups. For the infant and school-age groups, parenting confidence, absenteeism, regular meals, parental depression, and relationships are key, while in the school-age to late adolescence groups, academic efficacy, friendship, self-understanding, career plans (education and career area), a sense of belonging, discrimination, and community are crucial. These findings can contribute to a survey design that studies changes in growth stages and needs according to life cycles, and suggests steps for improvement.

      • 국내 인지재활 현황 및 미래발전방안 기초조사연구: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이희령 ( Lee Heeryoung ),김영근 ( Kim Young-geun ),홍승표 ( Hong Seungpyo ),주유미 ( Ju Yumi ),한대성 ( Han Daesung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2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1 No.2

        목적: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 인지재활의 최근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조사하고, 미래 인지재활 발전을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포커스 그룹의 토의를 통해 구성된 개방형 질문을 이용하여 전문가 패널 16명에게 1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폐쇄형 질문으로 재구성하여 2차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평균, 표준편차, 내용타당도 비율(Content Validity Ratio; CVR), 안정도, 수렴도, 합의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04개의 항목이 도출되었고,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CVR 값이 .49 이하의 값을 보인 41개 항목을 제거하여 최종 63개 항목을 선정하였다. 질문별로 가장 높은 내용 타당도 비율을 보인 항목은, 국내 인지재활 발전 영역에서 ‘대학 교육과정에 인지재활 관련 과목 편성’, 현재 인지평가의 문제점 영역에서 ‘표준화된 작업수행기반 인지평가 도구 부족’, 현재 인지중재의 문제점 영역에서 ‘인지요소별 향상과 작업수행 향상 연결 부족’, 현재 제도적인 문제점 영역에서 ‘인지재활 관련 보험수가 부족’, 미래 발전을 위해 치료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성 영역에서 ‘작업수행기반 인지장애 평가와 중재 능력’, 새롭게 개발하고 도입해야 할 평가 또는 중재 영역에서 ‘작업 수행기반 인지평가도구’, 인지재활 발전을 위해 확대되어야 할 영역에서는 ‘작업수행기반 인지재활’로 파악되었다. 결론: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작업치료 내 인지재활의 현황과 미래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할 사항들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국내 인지재활의 발전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domestic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to derive necessary matter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cognitive rehabilitation. Methods: The firs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with 16 experts panel using open-ended questions formed through focus group discussions. The seco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by reorganizing the questionnaire into closed-ended questions. The mean, standard deviation, CVR, stability, convergence, and consensus were analyzed with the second Delphi data. Results: As a result of the first Delphi survey, 104 item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second Delphi survey, 41 items which was less than .49 of CVR value were removed, and 63 items were finally selected. The items with the highest content validity ratio for each question were ‘Organization of subjects related to cognitive rehabilitation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Lack of standardized occupational performance-based cognitive assessment tools’, ‘Insufficient connection between improvement by cognitive skills and improvement in occupational performance’, ‘Insufficient insurance coverage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Occupational performance-based cognitive impairment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bility’, ‘Occupational performance-based cognitive assessment tool’, and ‘task performance-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Conclusion: The current state of cognitive rehabilit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matters to be strived for in the future were investigated through expert Delphi survey.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cognitive rehabilitation will be actively conducted in Occupational therapy.

      • KCI등재

        초등 국어 교과용도서의 검정 전환에 대한 델파이 조사

        차경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4 No.2

        정부의 ‘교과용도서 다양화 및 자유발행제 추진 계획(안)(교육부, 2018)’과 관련하여 초등 3~6학년의 사회, 수학, 과학과의 검정 전환이 확정된 가운데 국어과 교과용도서 발행 제도의 검정 전환 가능성과 타당성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과 교과용도서의 집필, 검정, 발행에 참여한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방법을 활용하여 초등 국어 교과용도서의 검정 전환 타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총 두 차례에 걸쳐 이루어진 조사 중, 1차 조사에서는 헌법 정신 및 교육적 중립성, 교육과정 구현에 있어서 초등 국어 교과용도서 발행 제도의 적절성과 타당성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물었다. 그 결과 다수의 전문가들은 교육과정 해석의 자율성과 다양성 추구 면에서 현재의 국정 발행 제도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특히, 국어과의 역량 계발 및 다양한 제재를 활용한 교수·학습의 효과성, 다양하고 창의적인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의 적용이나 학습자 개별화 평가와 관련하여 검정 제도가 효과적일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1차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차 조사에서는 초등 국어 교과용도서를 검정으전환하기에 적절한 시점, 교과용도서 선정과 개발의 고려 사항 등 초등 교과용도서의 검정 제도로의 전환 시 대두될 수 있는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전문가들은 초등 국어 교과용도서 발행 제도를 검정으로 전환한다면, 차기 개정 교육과정 고시부터 조속히 전환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검정 전환 타당성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초등 국어 교과용도서 발행 제도가 검정으로 전환될 경우, 단위 학교에서의 교과용도서 선정과 관련된 문제, 교육과정에 대한 과잉·과소 해석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으며, 그 해결 방안으로 교과용도서 안내(홍보) 자료 제공, 교육과정 해설 자료, 집필 기준 및 검정 기준의 개발 등과 관련된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for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 To this end,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with 30 experts. The first Delphi survey consisted of questions related to the current common standard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oblems with the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survey, the 2nd Delphi survey was organized mainly on the problems that could arise when the system was switched to the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including the timing of the transition of the textbook publication system, and matters to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selection and development of textbooks, and their solution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experts negatively perceived the role of the government publication system in relation to the autonomy and diversity of interpretation of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neutrality. In addition, in relation to the competency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and learning using various materials, the application of various and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s, and the individualized evaluation of learners, the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develops better textbooks than the government publication system. In addition, experts say that if the system of textbook publication is switch to authorization system, it should be changed immediately from the next revised curriculum. However, despite the validity of such conversion, many experts pointed out problems related to the selection of textbooks at a school and over/underinterpretation of the curriculum may occur. As a solution, specific measures related to the provision of textbook guide (publicity) materials, curriculum explanatory materials, and development of publication standards and authorization standards were proposed.

      • [델파이조사 부문] 델파이 조사 결과에 나타난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30년사 평가와 미래 방향

        박문수(Moon-su Park)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2021 한국그리스도사상 Vol.- No.28

        본고는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이하 한그사연) 30년 역사를 평가하고 향후 30년을 준비하기 위해 실시한 델파이 조사 결과를 다루고 있다. 이 조사는 정책 델파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조사에는 전문가 17명이 패널로 참여하였다. 이 조사 응답자들은 연구소 대표 이미지로 토착화와 심상태 몬시뇰을 들었다. 대표 성과로는 한그사연이 한국교회에서 토착화 전문 연구기관으로 인정받게 된 점을 들었다. 한그사연의 미래 연구방향에 대하여는 토착화에 중점을 두면서 맥락적 연구를 보강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라 보았다. 그리고 이를 위해 연구 인력과 재정을 확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대체로 응답자들은 한그사연이 이런 방향을 택하고 미비한 점들을 보완하면 10년 후 미래가 밝을 것이라고 낙관적으로 전망하였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results of the Delphi survey conducted to evaluate the 30 year history of the Korean Christian Thought Institute(below KCTI) and prepare for the next 30 years. Thi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in a Policy Delphi manner. 17 expert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as a panel. Respondents to this survey cited inculturation and Monsignol Sim as the representative image of the institute. As a representative achievement, KCTI was recognized as a research institute specializing in inculturation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As for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KCTI, it would be best to reinforce contextual study while focusing on inculturation. And for this,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expand research manpower and finance. In general, respondents optimistically predicted that the future will be bright in 10 years if KCTI takes this direction and makes up for weak points.

      • KCI등재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발달지체아동의 놀이중심 특수체육 프로그램 개발

        김웅(Kim, Woong),박규남(Park, Kyu Nam)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3

        목적: 본 연구는 기존 특수체육 프로그램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발달지체아동을 위한 기능놀이, 구성놀이, 극놀이 등의 특수한 교수 방법에 적합한 구성요소를 통해서 놀이중심 특수체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설문지의 타당성 검사를 위하여 델파이 조사 1차에서 전문가 6인에게 사전검토를 시행하였다. 델파이 조사 2차·3차에서는 16명의 전문가에게 신뢰성·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본연구결과 첫째, 델파이 조사 1차 결과 놀이중심 특수체육 프로그램에 대한 구인화 모형을 확정하였다. 둘째, 2차 델파이 조사는 평균 4.06∼4.69, 표준편차 0.48∼1.00, 내용 타당도 비율(CVR) 0.38∼1.00, 합의도 0.50∼0.86, 수렴도 0.35∼1.00으로 나타났다. 셋째, 3차 델파이 조사결과는 평균 4.06∼4.63, 표준편차 0.51∼1.01, 내용타당도 비율(CVR) 0.25∼1.00, 합의도 0.50∼0.86, 수렴도 0.35∼1.00으로 나타났다. 넷째, 델파이 조사 2차와 3차 간 전문가 집단들의 동질성 확보를 위해 유의수준(p<.05)을 보이지 않은 문항에 대해 채택하여 준비운동, 본운동, 정리운동에 대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지체아동을 위한 놀이중심 특수체육 프로그램을 적절히 구성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발달지체아동에게 적합한 놀이중심 특수체육 프로그램의 부재에 대한 표준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article aims to develop the play-centered adapted physical education program suitable for the specialized teaching method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adapted physical education program research. Methods: In the first delphi method, 6 experts conducted a preliminary review and verified content validity. For the second and third delphi method, 16 experts were selected consisting. Results: In the first delphi method, an operationalization model of play-centered adapted physical education was established, and an investigation tool was created. The second delphi method showed differences in opinion of panels with average 4.06∼4.69, standard deviation 0.48∼1.00. The content validity ratio (CVR) was between 0.38 and 1.00, which means that it is overall valid. The consensus level was from 0.50 to 0.86, and the convergence level was from 0.35 to 1.00, which shows a high validity. The third delphi method results show differences in opinions of panels with average 4.06∼4.63, standard deviation 0.51∼1.01. CVR was between 0.25 and 1.00 turned out to be overall valid. The delphi panel"s consensus was reached with the consensus level from 0.50 to 0.86 and the convergence level from 0.35 to 1.00, which shows a high validity. Among the 2nd and 3nd delphi methods results for the warming up, main exercise, and cooling down, only the items with no significance level (p<.05) were adopted in our program. Conclusion: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we have developed a standardized program in the absence of a play-centered adapted physical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 KCI등재

        민간조사업무 탐색을 위한 전문가대상 델파이분석 : 인적, 물적, 불법행위조사를 중심으로

        신현구,강현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2020 한국산업보안연구 Vol.10 No.3

        이 연구는 델파이분석을 통해 전문가 집단에 의견에 합의를 보인 업무에 한하여 민간조사 업무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0명의 전문가 패널에게 설문지를 통해 의견을 수집하였고, 합의된 의사를 토대로 민간조사업무의 영역을 제시하였다. 이때, Stata 14.0 ver.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내용타당도, 안정도, 수렴도, 합의도를 산출하였다. 결과, 첫째, 민간조 사의 인적조사, 물적조사, 불법행위조사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의견은 인적조사, 물적조사, 불법 행위조사에 적합하다는 의견을 보였으나, 물적조사영역만 의견의 합의와 동의가 이루어진 것으 로 나타났다. 둘째, 세부 업무별 전문가 집단의 의견은 모두 적합하다는 방향으로 의견의 합의를 보였다. 셋째, 영역에 따른 업무별 우선순위를 살펴본 결과, 인적조사 업무는 ‘뺑소니 차량 및 차 주에 대한 정보파악’, ‘증인, 목격자 및 참고인 소재 파악’, ‘소재 불명 친족 소재 파악’ 등의 순서 로, 물적조사 업무는 ‘동물 분실에 대한 소재 파악’, ‘버려진 재산, 국유편입재산, 상속재산 파악’, ‘소재 불명의 물건 등의 소재 파악’ 등이 순서로, 불법행위조사 업무는 ‘지식재산권 관련 침해사 실 파악’, ‘불법 투기차량, 인물, 회사의 적발과 관련된 조사’, ‘뺑소니 차량 및 차주에 대한 정보 파악’ 등의 순서로 높은 수준의 적합성을 갖는다는 의견을 보였다. 넷째, 전체 우선순위를 살펴 본 결과, ‘미아, 가출인, 실종자, 행방불명자 소재 파악’, ‘지식재산권 관련 침해사실 파악’, ‘불법 투기차량, 인물, 회사의 적발과 관련된 조사’, 등의 순서로 높은 수준의 적합성을 갖는다는 의견 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바탕으로 민간조사제도의 방향성을 제시할 때, 실효성과 효율성을 제 고시킬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산업보안 강화를 위한 민간조사제도의 적용 가능성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rivate investigation work only for those who have agreed with expert groups through Delphi analysis. For this purpose, opinions were collected from 30 expert panel members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the scope of private investigation work was presented based on agreed intention. At this time, Stata 14.0 ver. was used to calculat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content equivalence, stability, convergence, and agreement. Results, first, the opinions of experts on the personnel investigation, physical investigation, and illegal activity investigation of private investigation showed that they were suitable for human investigation, physical investigation, and investigation of illegal activities, but only the material investigation area agreed with the opinion. Second, the opinions of the expert groups for each detailed task were all agreed in the direction of suitabilit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iorities of each task according to the area, the human investigation work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information identification on hit-and-run vehicles and owners of vehicles’, ‘identification of whereabouts of witnesses and reference persons’, ‘identification of location of missing animals’, ‘identification of abandoned property, state-owned property, inheritance property’ and ‘identification of unknown objects’ in the order, and so on. Fourth,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overall priorities, the opinions were that they had a high level of suitability in the order of ‘identification of missing children, runaway, missing persons, missing persons’, ‘identification of infringement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investigation related to illegal speculative vehicles, people, and the company’s dete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when presenting the direction of the private survey system. It also suggests the application of a private survey system to strengthen industrial security.

      • KCI등재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놀이치료자 발달수준 척도 문항 개발

        오진아,이소연 한국놀이치료학회 2023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델파이 조사 방법을 활용하여 놀이치료자 발달수준 척도 문항을 개발하고 내용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놀이치료자 발달수준 척도 문항 개발을 위해 놀이치료 전문가 및 교육전문가로 슈퍼바이저 자격을 취득한 후 현장에서 놀이치료를 하고 있는 전문가 12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개념화되고 구성된 놀이치료자 발달수준 척도의 개념적 정의, 구성영역, 영역별 하위요인의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1차 조사 결과 전문적 발달과 인간적 발달의 2개의 구성 영역과 10개의 하위요인이 도출되었다. 2차 조사는 1차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수정한 하위요인의 적합도에 관한 전문가 의견 수렴 및 선행연구와 기존 척도 고찰을 바탕으로 추출한 113개의 문항의 적합도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106문항이 도출되었다. 3차 조사는 이 문항들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전문가의 의견수렴을 위해 실시되었고, 최종적으로 100문항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초보 놀이치료자에서 숙련 놀이치료자로 발달해가는 과정에서 발달시켜야 할 요소들과 태도에 대한 학문적 합의를 잠정적으로 도출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안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erify the items of a play therapist developmental level scale using the Delphi survey method. 12 play therapy experts participated in this Delphi survey three times, an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s showed that 10 factors and 100 items were identified: 9 items for Knowledge of play therapy, 27 items for Play therapy techniques and intervention skills, 9 items for Awareness, 9 items for Play Comprehension and Assessment, 8 items for Case Conceptualization, 9 items for Parent Counseling Intervention and Understanding the Child Environment, 8 items for Therapeutic Attitude, 8 items for Ethical Attitude, 6 items for Self-understanding and Integration, 7 items for Play Therapist Identity. Through this study, there was one interesting and meaningful observation. This was that of an academic consensus on the factors and attitudes which were seen to be necessary to be develop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from a novice play therapist to a skilled play therapist. This was tentatively drawn out and basic data for scale development were proposed to measure them.

      • KCI등재

        델파이 조사를 통한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생태학적 교육과정 내용체계 타당성 연구

        백수진,김진호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9 특수교육 Vol.18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Delphi survey to develop and validate the contents structure of the ecological curriculum that can systemize functional living skills essential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live independently in the current environment as well as in future environments. Method: The study conducted out a Delphi survey of 25 experts in these fields. Delphi survey tools were developed and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ults of prior research analysis related to the ecological curriculum as well as the responses of the experts. Results: Validated criteria(average, standard deviation, positive response, CVR, degree of consensus)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ecological curriculum were met. And the ecological curriculum content structure was also validated by the Delphi survey process. The final ecological curriculum content structure comprised four ecological environmental areas and 14 sub-areas of ecological environmental areas, 67 content elements, and 218 activity skills. Conclusion: The ecological curriculum content structure can be fully used for developing an effective ecological curriculum that can provide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systematic instructions during their school years, through which students can enhance their capabilities for future independent lives in the ecological context and environment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이 현재와 앞으로 살아가야 할 미래 환경에서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데 꼭 필요한 기능적 생활기술을 체계화한 생태학적 교육과정 내용체계를 개발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생태학적 교육과정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분석 및 전문가 협의 결과를 근거로 델파이 조사 도구를 개발하고, 특수교육 교육과정 연구 및 개발 관련 전문가 25명을 대상으로 생태학적 교육과정 내용체계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를 두 차례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델파이 조사 절차를 통해 대영역 4개, 중영역 14개, 내용요소 67개, 활동기술 218개로 구성된 생태학적 교육과정 내용체계를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델파이 타당성 검증을 위한 판단 기준(평균, 표준편차, 긍정응답, CVR, 합의도)을 모두 충족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로서 제시되는 생태학적 교육과정 내용체계는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에게 현재와 미래의 다양한 생태학적 환경에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독립생활 역량을 높이는 종합적인 생태학적 교육과정 개발의 핵심적인 내용체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지적 및 발달 장애학생에게 독립적인 성인생활을 위한 연계적이고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교육을 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 특수교육의 효과를 질적으로 높이는 한 가지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터널 붕괴 위험도 분석을 위한 영향인자 도출에 관한 연구

        김정흠 ( Jeong Heum Kim ),김창용 ( Chang Yong Kim ),이승수 ( Seung Soo Lee ),이준환 ( Jun Hwan Lee ) 대한지질공학회 2017 지질공학 Vol.27 No.2

        본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최적화 단면 설계 도출 및 시공중 터널 붕괴위험도 평가를 위해 필요한 평가영향인자를 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평가영향인자 정립은 문헌조사, 선행연구 및 전문가 집단의 브레인스토밍과정을 통하여 총 5개의 상위분류체계를 구축하였다. 21명의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여 총 1, 2, 3차의 델파이 조사 과정을 통해 전문가 판단과정에서의 오류 및 편향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켰다. 델파이 1차 조사에서는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서 각 전문가 패널의 의견을 수렴하여 총 22개의 평가영향인자 후보군을 도출하였다. 델파이 2차 조사에서는 수집된 총 22개의 평가영향인자 후보군을 대상으로 리커트 7점 척도를 기반으로 중요도 설문을 수행하였으며 타당성 검증을 위해 CVR (Content Validity Ration)분석을 수행하여 부적합한 후보군을 제외하였다. 마지막으로 3차 조사에서는 2차 조사에서 도출된 결과를 가지고 재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전문가 답변에 대한 CVR 및 COV (Coefficient of Variation)분석을 수행하여 총 14개의 평가영향인자를 도출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define influence factors to perform an optimized section design and evaluate tunnel collapse risk during construction using Delphi technique. A total of five upper classification systems were constr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pervious research analysis, and brainstorming of expert group for establishing influence factors. The 1<sup>st</sup>, 2<sup>nd</sup>, and 3<sup>rd</sup> Delphi survey process was proceeded by panel group which is consisted 21 experts to prevent errors and bias in the expert judgement process. In Delphi 1<sup>st</sup> survey, a total of 22 influence factors candidates were derived through open-ended questionnaire. In Delphi 2<sup>nd</sup> survey, questionnaire was proceeded based on 7-point Likert scale method.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CVR (Content Validity R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clude inappropriate candidates. In the 3<sup>rd</sup> survey, verification of influence factors was proceeded once more with the result of 2<sup>nd</sup> survey, and lastly, a total of 14 influence factors was derived by CVR and COV (Content Validity Ration) analysis for response of expe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