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년층에서의 대퇴골 경부 부전성 피로 골절

        문찬웅 ( Chan Woong Moon ),김형민 ( Hyong Min Kim ),김윤수 ( Youn Soo Kim ),정창훈 ( Chang Hoon Jeong ),박일중 ( Il Jung Park ),이현식 ( Hyun Sik Lee ),이기행 ( Kee Haeng Lee ) 대한고관절학회 2009 Hip and Pelvis Vol.21 No.1

        목적: 70세 이상 노인에서 발생한 대퇴골 경부의 부전성 피로 골절(제1군)을 분석하여 외상성 대퇴골 경부 골절(제2군)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70세 이상 노년에서 발생한 191예의 대퇴골 경부 골절 중 10예의 부전성 피로골절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외상성 대퇴골 경부 골절과의 차이점을 골밀도, 고관절장축길이, 대퇴경간각 및 고관절장축길이 대 대퇴경나비의 비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퇴골 경부 부전성 피로골절의 발생율은 5.2%이었다. 10예 중 단순 방사선 검사상 전위성 골절이 6예, 비전위 골절은 4예였다. 비전위골절은 모두 신장형(횡형)이었다. 경간각은 제1군에서 130.45도, 제2군에서 131.94도였으며, 고관절장축길이는 제1군에서 117.6 mm, 제2군에서 115.3 mm였고, 고관절장축길이와 대퇴경나비의 비율은 두 군에서 모두 0.30이었다. 골밀도는 제1군에서 T-점수가 -3.73, 대조군에서는 -3.4였다. 결론: 외상성 대퇴골 경부 골절군과의 비교에서 골밀도는 부전성 골절군에서 의미 있게 더 낮았으나 단순 방사선학적 계측상 경간각, 고관절장축길이 및 고관절장축길이와 대퇴경나비의 비율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urpose: We wanted to compare the insufficiency stress fractures of the femoral neck (group I) with the traumatic femoral neck fractures (group II) in patients who were 70 years of age and older.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0 and October 2006, we evaluated 10 insufficiency stress fractures among 191 femoral neck fractures in patients who were 70 years of age and older. We compared these fractures with the traumatic femoral neck fractures by using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neck-shaft angle, the hip axis length (HAL) and the ratio of the HAL to the femoral neck width. Results: The incidence of insufficiency stress fracture was 5.2%. There were 6 cases of displaced fractures and 4 cases of non-displaced fractures. All of non-displaced fractures revealed the tension (transverse) type. The mean neck-shaft angle was 130.45 degrees in group I and this was 131.94 degrees in group II. The mean HAL was 117.6 mm in group I and 115.3 mm in group II, and the ratio of the HAL to the femoral neck width was 0.30 in each group. The BMD (T-score) was -3.73 in group I and -3.4 in group II. Conclusion: The BMD of the insufficiency fractur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traumatic femoral neck fracture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eck-shaft angle, the HAL and the ratio of the HAL to femoral the neck width between the 2 groups.

      • KCI등재

        파라메트릭 형상모델을 이용한 근위 대퇴골의 경부 골절 영향 해석

        이호상(Ho-Sang Lee),박병건(Byoung-Keon Park),채제욱(Je-Wook Chae),김재정(Jay-Jung Kim)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11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31 No.5

        대퇴골 근위부의 기하학적 형상은 대퇴골 경부 골절과 중요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인장실험법과 유한요소해석법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해왔다. 그러나 이 방법들은 인체의 미리 정의된 대퇴골 형상을 변경할 수 없고, 다수의 시험편들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시험편과 모델을 적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퇴골 골절 해석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매개변수로 기하학적 형상 변형이 가능한 대퇴골 모델을 이용하여 대퇴골 골절과 형상매개변수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4가지 주요 매개변수(대퇴골두 직경, 대퇴경부직경, 대퇴경두간 길이, 대퇴경간각)를 이용하여 다양한 해석 모델을 생성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이 후 대퇴골두에서의 반력(reaction force)과 경부에서의 응력 분포(stress distribution)를 분석함으로써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고, 대퇴경부 직경이 대퇴골 경부 골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대퇴골두 직경이 가장 작은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나타났다.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femoral morphology has a major correlation to femoral neck fractures(FNF). Previous studies to analyze these correlations have relied on mechanical testing and finite element methods. However, these methods have not been widely applied to various femur samples and models. It is because of the availability of the samples from both patients and cadavers, and also of the geometric limitations in changing the shape of the models. In this study we analyzed femoral neck fractures using a parameterized femoral model that could provide flexibility in changing the geometry of the model for the wide applications of FNF analysis. With the parameterization a variety of models could be generated by changing four major dimensions: femoral head diameter(FHD), femoral neck diameter(FND), femoral neck length(FNL), and neck-shaft angle(NSA). We have performed FEA on the models to compute the stress distributions and reaction forces, and compare them with the data previously generated from mechanical testing.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FND i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FNF and the FHD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FNF.

      • KCI등재후보

        동측에 발생한 대퇴골 경부 및 간부 골절의 치료

        권진우,김기환,문상호,공규민,손경태,이상훈,권태우 대한골절학회 2003 대한골절학회지 Vol.16 No.3

        목적: 동측의 대퇴골 경부 골절과 간부 골절이 동반된 경우에서 수술적 치료에 대해 본원에서 실시한 수술 방법들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수술 후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11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경부 골절은 Garden 제 1형이 3례, 제 2형이 6례, 제 3형이 1례, 제 4형이 1례였다. 간부 골절은 중간부가 7례, 원위부가 4례였다. 추시 기간은 최소 1년 이상으로 평균 33개월이었고 11례 전부가 남자였으며 나이는 22세에서 54세로 평균 38세였다. 각 수술 방법에 따른 수술시간을 측정하였으며 방사선학으로 골유합의 시기, 부정유합, 불유합 등을 평가하였고 임상적으로는 골절부의 동통 및 관절 운동장애를 평가하였다. 결과: 치료 방법으로는 경부는 다발성 피고정술이 8례, 활강압방 고 나사못고정술이 1례였으며 간부의 경우는 중간부는 역행적 Ender정 고정술이 4례 , 금속판 고정술이 1례, 재건상 골수강내 고정술이 2례, 역행적 금속정 고정술이 1례였고, 원위부는 금속판 고정술이 1례, 역행적 교합성 금속정 고정술이 3례였다. 평균 수술시간은 재건상 골수강내 골종술이 180분, 다발성 핀고정술 및 금속판 고정술이 220분, 다발성 핀고정술 및 역행적 골수강내 고정술이 200분이었다. 골유합 기간은 간부 골절의 경우 평균 5개월이었다. 경부 골절에 대한 합병증으로는 간부 골절에 대해서 Ender정 고정술을 한 1례와 간부에 금속판 고정술을 한 후 지연진단되어 경부에 다발성 핀고정술을 한 1례에서 대퇴골두에 무혈성 괴사증이 병발하였으며 재건상 골수강내 금속정 삽입술을 한 1례에서 수술시 경부 골절의 정복소실이 있었으며 간부 골절에 대한 합병증으로는 역행적 금속정 고정술을 한 2례 (Ender정 1례와 교합성 금속정 1례)에서 불유합이 생겨서 금속판 고정술 및 자가골이식술로 대치하였다. 그리고 Ender정 고정술을 한 1례에서 지속적인 슬관절 주위 동통이 있었다. 결론: 대퇴골 경부 골절과 동측의 간부 골절이 동반된 경우의 수술적 치료에서 재건상 골수강내 금속 고정술은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많아서 경부와 간부의 치료를 각각 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쉬웠다. 수술시는 경부 골절의 수술을 먼저 하여도 고정에 어려움이 없었으며 간부 골절은 분쇄 골절이 많기 때문에 견고한 내고정이 필요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result of operative treatment in ipsilateral femur neck and shaft fracuture. Material and Methods: Eleven cases of ipsilateral femur neck and shaft fractures were operated and followed more than 1 year. There were 11 men and mean age at index operation was 38 years (range 22~54). In neck fracture there were 3 of type Ⅰ, 6 of type Ⅱ, and 1 of typeⅢ according to Garden classification, shaft fractures were located an middle 1/3 (7 cases), at distal 1/3 (4 cases). We evaluated the operation time, union time, nonunion, malunion, and clinical evaluation with pain and joint stiffness. Result: In neck fractures treatment methods were 8 of multiple pinning, 2 of reconstruction nail and 1 of CHS, in shaft fractures 2 of DCP, 7 of retrograde nailing (3 Ender nail, 4 interlocking nail). The mean operation time was 180 minutes in reconstruction nail, 220 minutes in multiple pinning and DCP and 200 minutes in multiple pinning and retrograde nailing. The mean time for shaft union was 5 months. The complications were 1 case of neck reduction loss during operation in reconstruction nailing group, 1 of persistant pain around knee in Ender nailing group. Conclusion: The author think that reconstruction nail fixation is technically difficult, thus neck and shaft fracture be fixed individually. Neck fracture can be fixed first without difficulty and shaft fractures should be fixed rigidly due to comminution.

      • KCI등재

        일시적 K-강선 및 재건상 골수정을 이용한 동측 대퇴골 경부 및 간부 동시골절의 치료

        이상홍,이상준,하상호,이광철 대한골절학회 2015 대한골절학회지 Vol.28 No.1

        목 적: 대퇴골 간부 및 경부 동시골절에 대하여 경부에 일시적인 K-강선 고정 후 재건상 골수정 삽입술을 시행하고 결과를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8월부터 2012년 7월까지 수술 후 최소 2년 이상 추시된 11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51세(29-69세)이고 남자가 8예로 많았다. 수술은 전체 예에서 경부를 일시적 K-강선 고정 후 재건상 골수정 삽입술을 시행하였다. 방사선학적으로 골유합의 시기, 정렬상태 등을 평가하였고,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다. 최종 추시상 Friedman과 Wyman의 기준에 따라 기능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 과: 대퇴골 간부의 평균 유합기간은 22.5주(12-32주)였고, 대퇴골 경부는 13.1주(8-20주)였다. 간부의 지연유합이 4예에서 발생하였고 불유합은 없었다. 2 cm 이상 하지 단축이 1예에서 있었으며, 10도 이상 부정 정렬은 관찰되지 않았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는 발생하지 않았고 기능적 평가상 8예에서 우수, 2예에서는 보통, 1예에서 불량의 결과를 보였다. 결 론: 경부의 임시 K-강선 고정 후 재건상 골수정 삽입술을 이용한 경부 및 간부 동시고정은 경부의 전위를 방지하여 합병증이 낮은 좋은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대퇴골 경부 골절에서 골주사 검사의 유용성

        박상원 ( Sang Won Park ),한승범 ( Seung Beom Han ),이순혁 ( Soon Hyuck Lee ),정웅교 ( Woong Kyo Chung ),왕승용 ( Seung Yong Wang ) 대한골절학회 2001 대한골절학회지 Vol.14 No.3

        목적: 대퇴골 경부 골절 환자에서 내고정술 전, 후에 방사능 동위 원소인99mTc-methylenediphosphonate(99mTc-MDP)를 사용하여 골주사 검사를 시행하고 수술후 결과를 비교하여 대퇴골 경부골절에서 골주사검사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대퇴골 경부 골절로 치료 전 및 술후 4주에 99mTc-MDP을 이용한 골주사 검사를 실시하고 내고정술을 시행한 후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3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및 술후 4주에 실시한 골주사 검사 소견상 환측 대퇴골두의 방사능동위원소(radioactive isotope)의 흡착(uptake) 정도를 건측과 비교하여 정상 및 감소로 분류하였으며 대퇴골두의 골유합정도와 합병증의 발생 여부를 평가하였고 골주사 검사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골주사검사의 흡착정도에 따른 합병증의 발생률 및 골주사검사의 양성예측도와 음성예측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총 32례중 무혈성 괴사 12례와 불유합 1례를 제외한 19례(59.4%)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평균 골유합 기간은 4.4개월이었으며 3-6개월 사이가 50%로 가장 많았다. 술전 골주사 검사 소견상 흡착 감소를 보인 17례중 12례(70.5%)에서 술후 평균 17.5개월에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가 관찰되었고, 1례(6%)에서 불유합 소견이 관찰되었다. 정상흡착 소견을 보인 15례에서는 아무런 합병증도 발생하지 않았다. 술전 골주사검사의 양성예측도는 0.76이었고, 음성예측도는 1.00이었다. 술후 4주에 시행한 골주사검사의 양성예측도와 음성 예측도는 각 각 0.93과 1.00이었다. 결론: 대퇴골 경부 골절시 골주사 검사는 대퇴골두의 혈행상태와 내고정술의 예후를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또한 대퇴골 경부의 전위성 골절의 치료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리라고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bone scintigraphy using 99mTc-methylene diphosphonate(99mTc-MDP) for prediction of viability of femoral head in femur neck fracture that have been treated with osteosynthesis. Materials and Method: Thirty two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ho underwent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bone scintigraphy using 99mTc-MDP following femur neck fracture. The uptake of istope was estimated visually as either normal or reduced compared with the opposite side. The complications as avascular necrosis and non-union were checked and compared with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bone scintigraphy and the predictive values of positive and negative scintigraphy were calculated. Results: Among thirty-two patients, bone union occured in nineteen patients except 12 avascular necrosis and 1 non-union. Average bone union peried was 4.4 months and 50% was occured between 3 and 6 months. In seventeen patients who showed reduced isotope uptake, twelve patients developed complications and predictive value of positive scintigraphy was calculated as 0.76. In fifteen patients shown normal isotope uptake, none developed complications and predictive value of negative scintigraphy was calculated as 1.00. Conclusion: Preoperative bone scintigraphy using 99mTc-MDP was useful method to evaluate the viability of femoral head following femur neck fracture and to choose the treatment modality of displaced femur neck fracture especially in elderly person.

      • KCI등재

        양측에서 동시에 발생한 대퇴골 경부 및 간부의 골절의 치료 경험 - 증례 보고 -

        최대현,이재호,박기철 대한골절학회 2020 대한골절학회지 Vol.33 No.3

        Ipsilateral fractures of the femoral neck and shaft are relatively common injuries and accompany 2% to 9% of all femoral shaft fractures. On the other hand, it is extremely rare for these injuries to occur bilaterally. This paper reports the authors’ experience of a case with bilateral femoral neck and shaft fractures. The patient sustained multiple injuries, including liver laceration with hemoperitoneum, bilateral open fractures of the tibia, and bilateral femoral neck, and shaft fractures caused by a high-speed motor vehicle accident. Under the circumstances, damage-control orthopedic principles were applied, and external fixators were initially placed. After the patient’s general condition showed improvement, both femurs were fixed with a reconstruction nail. Fracture healing was achieved without complications, such as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Despite the rare occurrence, this paper describes this case because these injuries must be managed with meticulous attention. 동측의 대퇴골 간부 골절과 경부 골절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는 대퇴골 간부 골절의 2%-9%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는 비교적 드물지 않은 골절이다. 하지만 이러한 손상이 양측에 한 번에 발생하는 것은 매우 드물다. 본 보고에서는 양측에서 발생한 대퇴골 간부와 경부의 동시 골절 환자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교통사고로 동반된 간 열상으로 인한 복강 내 출혈, 양하지 경골 및 비골의 개방성 골절 등으로손상통제수술(damage control surgery)을 계획하고 양측 하지에 대해 임시적 외고정 장치를 우선 장착하였다. 환자의 전신상태가 호전된 후 외고정 장치를 제거하고 양측 대퇴골 간부 골절과 경부 골절에 대해 골수내정 삽입술(A2FN; DePuy Synthes)을 시행하였고, 대퇴 골두 무혈증 등의 합병증 없이골유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매우 드문 질환이지만 진단과 치료에 있어 주의를 요하는 손상으로 이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 대퇴골 경부 골절 불유합의 압박 동종 해면골이식술 및 대퇴방형근육경 골이식술

        임수재,우승한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4

        목적 : 대퇴골 경부 골절 불유합의 치료로서, 골흡수 부위의 압박 동종골 이식술 및 대퇴방형근육경골이식술을 시행하여 임상적 치료의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3월부터 1999년 4월 까지 대퇴경부의 골절 환자 중, 비관혈적 도수정복 및 다발성 핀 삽입술을 시행 받은 후 발생한 불유합으로 인하여 본원에 내원한 5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골흡수 부위의 압박 동종골 이식술 및 대퇴방형근육경 골이식술을 시행하였다. 주시기간은 36개월에서 48개월이었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40개월 이었다. 추시 결과의 분석은 Lunceford 등의 평가와 방사선학적 검사를 3개월 간격으로 시행하여 골유합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 36개월에서 48개월동안 관찰결과 모든 예에서 성공적인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술후 4예에서 모두 14주에, 나머지 1예에서 6개월에 방사선상 골유합의 진행소견을 보여주고 있으며 수술 18개월후 방사선상 추시에서 완전한 골유합을 보이고 있었으며 임상적결과 또한 모두 우수 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결론 : 대퇴경부골절 불유합의 치료로서 골흡수 부위의 압박 동종골 이식술 및 대퇴방형근육경 골이식술을 시행하는 술식은 골다공증이 상대적으로 심하지 않은 연령대에서, 대퇴골두를 보존하는 장점이 있어 대퇴골 경부골절 불유합을 치료하는 수술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impacted cancellous allograft and quadratus femoris pedicle bone graft in the management of nonunion of femur neck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March 1998 and April 1999, 5 patients, rating from 36 to 45 years of age, were treated with impacted cancellous allograft and quadratus femoris pedicle bone graft and all cases were nonunion with closed reduction and multiple pinning. The duration of follow-up was from 36 months to 48 month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40 months. Clinical evalution was done according to Lunceford functional results and radiologically bone union was evaluated by 3 monthly X-ray check. Results : After follow-up from 36 months to 48 months, all cases resulted in the bone union. Four cases, radiologically bone union was progressed during 14 weeks, and the other, obtained at 6 months. All cases, at 18 months, radiologically complaints pain and instability. Conclusion : For patients with nonunion of femoral neck ftacture, impacted cancellous allograft and quadratus femoris pedicle bone graft was provide a good result of union.

      • 동측 대퇴골 경부 및 간부 골절의 치료 : 15례 분석

        정필현,강석,채동주,홍정룡,김종필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997 東國論集 Vol.16 No.1

        동측 대퇴골 경부 및 간부골절은 드문 골절로서 초진시 경부골절을 간과하는 경우도 있고 치료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어져 왔다. 저자들은 1989년 6월부터 1996년 5월까지 경험한 동측 대퇴골 경부 및 간부골절 환자 15례를 대상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치험한 예를 분석하였다. 15례중 8례에서 경부골절과 간부골절을 동시에 고정하는 재건금속정으로 치료하였고 전례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평균 골유합기간은 경부골절 14주, 간부골절 20.5주였다. Ipsilateral femoral neck and shaft fractures present diagnostic difficulties and complex choices as to treatment. We report the result of treating 15 such fractures. High-energy accidents accounted for most of these injuries. There were numerous associated injuries, many requiring operative procedures. Eight of Fifte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Reconstruction interlocking nails. All fractures united. There was no delay in diagnosis of femoral neck fractures, and all healed without avascular necrosis. The use of the reconstruction nail is technically demanding. We conclude that this device gives good results for these fractures.

      • KCI등재

        대퇴 경부 골절을 위한 다발성 유관 나사 고정술의 컴퓨터를 이용한 재현 및 임상적 적용을 위한 해부학적 특징

        정진훈 ( Jin-hoon Jeong ),정구희 ( Gu-hee Jung ) 대한골절학회 2018 대한골절학회지 Vol.31 No.2

        목적: 대퇴 경부 골절을 위한 다발성 유관 나사 고정술을 컴퓨터로 가상 재현하여 임상적 적용을 위한 해부학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0개의 사체 대퇴골을 컴퓨터 단층 촬영 후 Mimics® 프로그램으로 3차원 근위 대퇴골 모델을 만들고 7.0 mm 유관 나사를 3차원 스캔으로 제작하여 대퇴 경부 골절을 위한 다발성 유관 나사 고정술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재현하였다. 3개의 유관 나사를 피질골 지지가 가능한 변연부에 위치시켜 전후면 및 축면 영상에서 골내 나사 위치를 평가하였다. 결과: 3개의 유관 나사들은 전통적인 역삼각형의 형태가 아닌 전방 나사가 첨부를 이루는 기울어진 삼각형 배열이었으며 중앙 나사는 소전자부 중앙 및 약간 후방에 위치하였고 후방 나사는 전자 와에 의해 높이가 제한되어 대퇴근 능선보다 높지 않았으나 전방 나사는 10예에서 대퇴근 능선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였다. 축면상에서 전방 및 후방 나사의 최대 간격을 얻기 위해서는 대퇴근 능선의 직하방에서 각각 피질골에 근접하여 경부와 평행하게 위치시켜야 했다. 결론: 피질골 지지가 가능한 유관 나사들은 불규칙한 삼각형 배열이었고 중앙 나사의 이상적 위치는 소전자부 중앙 높이에서 경두부 연결부위로, 전방 및 후방 나사는 대퇴근 능선 직하방에서 최대 간격으로 경부와 평행하게 하는 것이었다. Purpose: To identify the anatomic features for clinical applications through a computational simulation of the fixation of three cannulated screws for a femoral neck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cadaveric femurs underwent computed tomography and the images were transferred to the Mimics® program, resulting in three-dimensional proximal femur models. A three-dimensional scan of the 7.0 mm cannulated screw was performed to enable computerized virtual fixation of multiple cannulated screws for femoral neck fractures. After positioning the screws definitively for cortical support, the intraosseous position of the cannulated screws was evaluated in the anteroposterior image and axial image direction. Results: Three cannulated screws located at the each ideal site showed an array of tilted triangles with anterior screw attachment and the shortest spacing between posterior and central screws. The central screw located at the lower side was placed in the mid-height of the lesser trochanter and slightly posterior, and directed toward the junction of femoral head and neck to achieve medial cortical support. All the posterior screws were limited in height by the trochanteric fossa and were located below the vastus ridge, but the anterior screws were located higher than the vastus ridge in 10 cases. To obtain the maximum spacing of the anterior and posterior screws on the axial plane, they should be positioned parallel to the cervical region nearest the cortical bone at a height not exceeding the vastus ridge. Conclusion: The position of cannulated screws for cortical support were irregular triangular arrangements with the anterosuperior apex. The position of the ideal central screw in the anteroposterior view was at the mid-height of the lesser trochanter toward the junction of the femoral head and neck, and the anterior and posterior screws were parallel to the neck with a maximal spread just inferior to the vastus ridge.

      • KCI등재

        지적장애와 일반인 남성의 장기간 체중부하운동 참여가 요추와 대퇴골경부 골밀도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융합적 효과

        변재철 한국융합학회 2016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와 일반인 남성의 장기간 체중부하운동 참여가 요추와 대퇴골경부 골밀도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융합적인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자들은 총 19명이 참여하였고, 이들을 두 집단(지적장애=9명, 일반=10명)으로 구분하였다. 모든 피험자들은 체중부하운동으로 음악줄넘기 운동프로그램을 총 12주간, 일주일에 3일, 1일 60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해서 이원분산분석 반복측정법을 이용하였으며, 모든 유의성 검증은 α=.05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결과, 요추와 대퇴골경부 골밀도는 운동트레이닝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각각, p<.01, p<.001). 또한 체중, 체지방율, 신체질량지수에서 12주간의 운동트레이닝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유추해 볼 때, 지적장애인과 일반인들에게 장기간의 음악줄넘기 운동프로그램은 요추와 대퇴의 골밀도 수준을 향상시키고, 신체구성성분을 긍정적으로 개선시키는 융합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d the converge effects of weight-bearing exercise on lumbar, femur neck BMD and body compositions in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normal men. Nineteen men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y are divided into two groups(intellectual disabilities, n=9, and normal men, n=10). All subjects are accomplished on weight-bearing exercise (music rope-jumping) program for 60 minutes a day, 3 days a week throughout 12 weeks.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used to determine differences between and within the intellectual and normal groups for dependent variable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was set at 0.05. In this study,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bone mineral density of lumbar and femur neck level after exercise training in both groups (respectively p<.01, p<.001). Also, I found that there were effectively decreased on body weight, percent of body fat, and BMI levels after exercise training for 12 weeks in both groups (respectively p<.001). Therefore, music rope-jump exercise program may suggested to be one of the ideal training methods for enhancing and the convergence positive effect of bone mineral density and body compositions in intellectual and normal per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