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대인관계 척도개발

        이은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3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지각하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대인관계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방법 선행연구와 DSM-5 진단기준을 통하여 예비 문항을 구성하고, 델 파이 기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30문항을 도출하였다. 특수학교 교사와 일반 유치원, 초등학교 교사의 동의를 구하고 49명의 ASD 아동과 일반적으로 발달하는 115명의 아동을 포함하여 총164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교사가 평정하는 대인관계 검사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교사로부터 검사 결과자료를 수집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하여 문항의 내적 일치도는Cronbach's α는 .975로 신뢰도를 확인하고, 구인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행하고 3 요인 구조로, KMO는.935로 요인분석이 적합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RMSEA=.098로 보통 적합도, TLI=.863, CFI=.873으로 양호한 수치는 확보하지 못했지만 수용할 수 있는 적합도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K-SCQ와 준거 타당도를 확인하여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지각하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대인관계 검사 개발 및 타당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에 의하여 고안된 대인관계 검사는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선별하는 데 목적을 두지 않았으나 학교 현장이나 미취학 아동의 어린이집, 혹은유치원 현장에서 전형적인 발달에 도달하지 못하는 아동을 교사의 관찰만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선별할 뿐 아니라 ASD 진단을 위한 객관적 사전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도 가능한 척도임이 K-SCQ와 대인관계 검사 결과와 주고받는 상관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Locke와 그의 동료(2014)에 의해 고안된 Social Skills Q-Sort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독특하므로 종종 학교 현장에서 무시되는 관점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일반적으로 발달하는 또래와의 대인관계에 대한 격차에 대한 추가 증거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대인관계 검사는 ASD 아동의 대인관계 특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강점과 약점을확인하는 검사임에 의의가 있다. 대인관계 검사 세 가지 요인 중 하나인 대인관계 요인에서는 일반아동과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차이(T-test=-15.570)를 보이나 이 요인은 ASD 아동 검사 결과 17.82와 비교하여 일반아동의 점수 결과는 38.98로 다른 요인에 비하여 낮은 결과로 아동 모두에게 대인관계 요인을 적용할 수 있는 검사로 해석할 수 있음에 의의가 있다. 대인관계 검사는 사회성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확인하는 데 의의가 있으며 사회적으로 소외되어 대인관계의 어려움에 부닥친 아동을 선별하는 데 의의가있다. 또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사회성 프로그램을 연구의 사전 사후의 측정 도구로의 기능을 부여하는 데 있어서 유용하다고할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생용 대인관계능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박선우,설정희,천성문 한국재활심리학회 2017 재활심리연구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용 대인관계능력 척도를 개발하고, 그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대학생용 대인관계능력 척도를 위하여 대인관계 능력 관련 연구 및 문헌들을 고찰하여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그에 따라 설정하였다. 문헌연구 및 기존 대인관계 관련 척도 분석과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 면담 내용 분석을 통해 기초 예비문항을 구성하였으며, 2차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해 각 문항의 이해도와 하위척도 문항의 적절성 등에 대해 검증하여 최종 예비문항 59문항이 선정되었다. 최종문항 선정을 위해 59문항의 대인관계능력 척도를 가지고 대학생 310명에게 검사를 진행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대학생용 대인관계능력 척도의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대인관계문제, 자아존중감, 성인애착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통한 공인타당도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에 관한 경험적 연구의 토대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으며, 대인관계능력 수준이 낮은 대학생들이 좀 더 건강하게 정서적으로 독립해 나갈 수 있도록 돕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효과적인 대인관계를 위한 공감적 이해에 관한 고찰

        홍종관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6 초등상담연구 Vol.2016 No.S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효과적인 대인관계를 위해 공감적 이해 능력에 관하여 고찰하는 것이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효과적인 대인관계를 위해서 공감적 이해가 필요하다. 둘째, 학생들 대인관계에서 공감적 이해란 이해, 공감, 전달의 세 가지 측면에서 정의할 수 있다. 즉 공감적 이해란 대인관계 상황을 상대방의 입장에서 이해하는 것이며, 상대방을 공감하는 것이며, 공감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전달하는 것이다. 셋째, 공감적 이해의 효과는 타인에게 좋은 감정을 가지게 하며, 타인의 자기탐색을 촉진하며, 자신을 주관적 왜곡으로부터 보호한다. 넷째, 효과적인 공감적 이해를 위해서는 먼저 대인관계 문제를 상대방의 입장에서 보아야 한다. 상대방을 공감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옆으로 제처 두고 대인관계 문제와 관련된 상대방의 핵심감정을 파악하고 이를 공감해야 한다. 그리고 공감적으로 이해한 것을 잘 전달하기 위해서는 정서적, 인지적, 윤리․도덕적 순서로 전달해야 한다. 공감적 이해는 학생들의 효과적인 대인관계를 위해 필요충분조건이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의 대인관계와 인성발달을 위해 그들의 공감적 이해 능력 신장에 힘써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about the empathic understanding for effec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th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pathic understanding is necessary for effec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ond, empathic understanding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an be defined in three aspects: understanding, empathy, and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empathic understanding is to understand interpersonal sit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ther. It is also to sympathize with the other. And that is to communicate what we understand empathically. Third, the effect of empathic understanding has good feelings for others, facilitates self - discovery of others, and protects oneself from subjective distortion. Fourth, for effective empathic understanding, interpersonal issues should be viewed from the other party's perspective. In order to empathize with the other pers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empathize the other person's core emotions related to interpersonal problems. And in order to effectively communicate empathic understandings, they must be delivered in emotional, cognitive, and moral order. Empathic understanding is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effec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Therefore, teachers should strive to develop empathic understanding compentence for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ersonality development.

      • KCI등재

        청소년의 대인관계문제 원형모형: 주 양육자와의 애착 및 기본심리욕구 만족과의 관계

        조영주,서현지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2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model, attachment with caregiver and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Data was collected from 624 high school students and was analyzed using regression analyses and path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ttachment anxie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ld interpersonal problems and attachment avoida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submissiveness and cold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autonom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ubmissiveness and affiliation interpersonal problems. Competence was negatively related to submissiveness and cold interpersonal problems, and relatedn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cold interpersonal problem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with caregiver and interpersonal problems were mediated by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Result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복종-지배와 적대-친밀을 두 축으로 한 대인관계문제 원형모형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대인관계문제와 주 양육자와의 애착 및 기본심리욕구 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624명의 고등학생으로부터 수집한 설문 자료를 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가 높을수록 대인관계문제를 많이 보고하였다. 둘째, 애착불안이 높을수록 지배 쪽 대인관계문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애착회피가 높을수록 복종 쪽 대인관계문제와 적대 쪽 대인관계문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율성, 유능감 및 관계성이 낮을수록 대인관계문제를 대체로 많이 보고하였다. 넷째, 자율성이 낮을수록 복종 쪽 대인관계문제 및 친밀 쪽 대인관계문제가 많았고, 유능감이 낮을수록 복종 및 적대 쪽 대인관계문제가 많았으며, 관계성이 낮을수록 적대 쪽 대인관계문제를 많이 보고하였다. 다섯째, 주 양육자와의 애착이 복종-지배 및 적대-친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은 자율성 만족을 매개하였고, 유능감과 관계성 만족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였고, 연구의 학술적 의의 및 상담에의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 KCI등재

        아동상담자의 슈퍼비전경험과 역전이 관리능력 간 관계에서 대인관계성향의 중재효과

        김현수 ( Hyun Soo Kim ),차지은 ( Ji Eun Cha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5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아동상담자의 슈퍼비전경험 및 대인관계성향과 역전이 관리능력 간 관계를 검토하고 슈퍼비전경험과 역전이 관리능력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성향의 중재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서 만 18세 미만의 아동을 상담하고 있는 상담자 116명이 경력/훈련 질문지, 대인관계성향척도, 역전이요인검사(Countertransference Factors Inventory)를 완성하였다. 슈퍼비전경험과 역전이 관리능력 간 상관을 살펴본 결과, 슈퍼비전횟수로 측정된 슈퍼비전경험은 역전이 관리능력들 중 개념화기술과만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상담자 대인관계성향과 역전이 관리능력 간 관계에서는 독립-책임적 대인관계성향과 동정-수용적 대인관계성향이 다섯 역전이 관리능력 차원들(자기통찰, 자기통합, 공감능력, 불안관리, 개념화기술)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그리고 반항-불신적 대인관계성향이 자기통합능력과 불안관리능력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성향의 중재효과를 살펴본 결과, 슈퍼비전경험이 자기통합능력과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독립-책임적 대인관계성향과 반항-불신적 대인관계성향이 각각 중재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항-불신적 대인관계성향은 슈퍼비전경험과 불안관리능력 사이를, 동정-수용적 대인관계성향은 슈퍼비전경험과 공감능력 사이를 중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효과들의 임상적 함의와 아동상담자의 역전이 관리능력 향상을 위한 슈퍼비전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relations of child counselors`` supervision experiences (SE) and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s to countertransference (CT) management abilities and exploring a potential moderating role of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 and CT management abilities. A total of 116 child counselors practising in Seoul, Kyunggi and Incheon areas completed the Professional/Training Experiences Survey,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s Scale, and Countertransference Factors Inventory. Correlational analys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 and conceptualizing skills and between independent-responsible and empathic-acceptable dispositions and five CT management abilities (self-insight, self-integration, empathy, anxiety management, and conceptualizing skills), while showing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resistant-distrustful disposition and self-integration and anxiety management. With regard to a moderation, independent-responsible disposition and resistant-distrustful disposition each was found to moderate between SE and self-integration and between SE and empathy. Resistant-distrustful disposition was found to moderate between SE and anxiety management and empathic-acceptable disposition between SE and empathy. Implications of these moderations to clinical practices were discussed and supervision components to improve child counselors`` CT management abilities were contemplated.

      • KCI등재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주혜원,배희분 한국가족관계학회 2020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5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Methods: For this study, a total of 514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Korea, were analyzed. The resulting data was interpre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Second,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ere verified to have mediating effects under the influence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Thir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ere confirmed. Conclusion: The finding hold significance in that they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of undergraduate students with corresponding complaints at the site of counseling, while they also work as useful reference in solving these problems.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중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그 경로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 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통제척도, 대인관계문제척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514명의 자료를 SPSS 21.0 프로그램과 Mplu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는,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대인관계문제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만 아니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통해서도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성인형성기의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중. 고등시기의 자녀와 다르지 않게 여전히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있는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의 발생과 유지에 기여하는 주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담현장에서 이러한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대학생 내담자의 상담 시 환경적 요인이라 할 수 있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보다는 인지적 변인인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개입하는 것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를 해결하는데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문제관계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가속화하거나 촉진함으로써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를 심화시키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수준이 높을수록 성격적 변인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이 높아지고, 높아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성향은 인지적 변인이라 할 수 있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높여 결과적으로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가 심화될 수 있다는 것과 성인형성기의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여전한 영향을 끼치는 주요한 변인임을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친밀감이 주요 과업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끼치는 변인을 종합적으로 살펴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개인의 성격적 변인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인지적 변인이라 할 수 있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단계를 거쳐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로 이르는 경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에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문제를 상담현장에서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절하고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가족분화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이창배,전혜성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6

        This study aims to verify that mediation effect of self-concep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model consists of two paths, a path suggests that the family differentiation affects directly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he other path shows that the family differentiation affects indirectly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through the mediation variable, self-concept. The competition model consists of a path which excludes the direct effect of the family differentiation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in the theoretical model. In order to get the answer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employed to fulfill the study objective and the subjects were 312 college students of 4 universities. The competition model was chosen as a result of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the two models. The path which affects interperson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showed that family differentiation influences on interpersonal competence through meditating effect of self-concept. The family differentiation positively affects the self-concept so that self-concept increases as the family differentiation increases, and self-concept positively affects interpersonal competence so that interpersonal competence is improved as self-concept increase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self-concept has a complete mediation effect between the family differentiation and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family differentiation and the self-concept should be improved first so that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can be enhanced. To promot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suggested that college counseling for developing positive self-concept based on family differentiation, parents education for healthy family differentiation, family counseling to change the family interaction. 본 연구는 자아개념이 대학생의 가족분화와 대인관계 유능성과의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갖는가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모형으로는 가족분화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을 제시하는 경로와 가족분화가 자아개념을 매개로 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는 경로로 구성되었다. 경쟁모형은 연구모형에서 가족분화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삭제한 경로로 구성된다. 이를 경기 2곳, 충청 1곳, 전라 1곳 4개 대학 대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두 모형을 비교․평가한 결과 경쟁모형이 최종 선택되었다.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주는 경로는 가족분화가 자아개념을 매개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즉, 가족분화는 자아개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쳐서 가족분화 수준이 높아지면 자아개념도 높아지고, 자아개념 또한 대인관계 유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쳐 자아개념이 높아지면 대인관계 유능성도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특히, 자아개념은 가족분화와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사이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생의 가족분화와 자아개념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가족분화와 자아개념에 대한 선행적인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에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증진을 위해서는, 가족분화에 기반한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을 돕는 대학생 상담, 건강한 가족분화를 위한 부모교육, 가족의 상호작용을 변화시키는 가족상담을 제안한다.

      • KCI등재

        인간관계론 교과목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 수준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주석진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uman relationships class on university students’ interpersonal problem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First, the contents of the class used for this study consisted of an examination of domestic/overseas precedent studies on university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 reference to the books and reference books that have been used as university textbooks and the contents of several programs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subjects of 77 students at a university in Seoul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45 and 32 students, respectively, and on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r one semester, 16 sessions of class were carried out, and as research tools, the simple scale of interpersonal problem by Horowitz, Rosenberg, Baer, Ureno and Vilasenor (1988) and questionnaire by Buhrmester, Furman, Wittenberg and Reis (1988)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turned out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human relationships class had lower interpersonal problem level and higher interpersonal competence than the control group did. These results supports the fact that human relationships class in university can help university students have theoretical knowledge of human relations and actu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관계론 교과목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먼저 본 연구에서 활용한 수업내용은 대학생들의 대인관계와 관련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또한 대학교재로 활용되고 있는 책과 참고도서 그리고 여러 대인관계와 관련한 프로그램들의 내용을 참조하여 구성하였다. 수업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1개 대학의 학생 77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45명, 32명으로 배치하였고 실험집단에 대해서만 16회기의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조사도구는 Horowitz, Rosenberg, Baer, Ureno 및 Vilasenor(1988)의 대인관계 문제 간이척도와 Buhrmester, Furman, Wittenberg 및 Reis(1988)의 대인관계 유능성 질문지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인간관계론 수업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대인관계 문제 수준은 낮아지고 대인관계 유능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인간관계론 수업이 대학생들이 인간관계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제공할 뿐 아니라 실제 대인관계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해 준다.

      • KCI등재

        한국어 중급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대인관계적 기능과 그 구현 양상 분석

        김지영 ( Ji Young Kim ) 민족어문학회 2013 어문논집 Vol.- No.69

        이 연구는 한국어 중급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대인관계적 기능과 그 구현 양상을 분석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의 대인관계적 기능의 수행 능력을 정교화시키기 위해 대화문 구성에서 보완해야 할 부분이 무엇인지를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대인관계적 기능과 그 구현 양상을 분석하기 위한 항목으로 대인관계적 기능을 선정하고 그 전략을 분석할 방법을 제시하였다. 한국어교육전문가 집단과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18개의 대인관계적 기능을 선정하였다. 대인관계적 기능의 분석은 Brown & Levinson(1987)의 공손 이론과 김미령(2005) 등에서 제안한 발화의 화행 유형을 참고하였다. 분석교재는 한국어 중급 교재 네 권을 선정한 후 교재 대화문의 언어 외적 맥락과 개시 발화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언어 외적 맥락의 분석 결과 낯선 관계의 사람들이나 지위·나이의 차이가 있는 사람들이 대화 참여자로 등장하는 경우가 매우 적고, 개인적이고 일상적인 장면에 비해 사회적이고 공식적인 발화 장면이 부족하다는 것을 문제로 지적하였다. 개시 발화의 분석 결과 3급 교재에서는 반응 요구목적의 발화가 70% 이상을 차지했으나 4급 교재에서는 전달 목적의 발화가 다소 증가하였음을 파악하였다. 대화문에 나타난 대인관계적 기능을 분석한 결과, 대화문의 주 기능으로 대인관계적 기능이 구현된 횟수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대화문의 일부 기능으로 대인관계적 기능이 구현된 횟수가 적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또한 대인관계적 기능이 주 기능으로 구현된 경우에도 구체적인 발화 전략을 통해 대인관계적 기능의 구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 적극적 공손 전략과 관련해서는 공감대 형성 전략이 주로 사용되고 소극적 공손 전략과 관련해서는 질문·완화 표지 전략 주로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대인관계적 기능의 발화 전략이 구현된 발화의 후행 발화는 수용적 화행이 많았으나 내용 확장식 응대나 제보적 문장이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를 대화문을 통해 대인관계적 기능의 구현 양상에 주목하는 활동을 하기 어려운 이유가 될 것으로 지적하였다. 한국어 학습자들의 대인관계적 기능의 수행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대화 참여자의 관계를 다양화하고, 사회적이고 공식적인 발화 장면을 늘려야 하며, 대인관계적 기능을 대화문의 주 기능으로 선정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대화 참여자들이 비슷한 양의 정보를 교환하는 대화보다는 한 사람이 발화를 이끌어 가는 경우로 구성할 필요도 있으며, 내용 확장식 응대나 이의 제기식 응대보다는 맞장구식 응대나 정서적 응대를 늘리는 것 등을 구체적인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rough the analysis of an interpersonal function and its materialization in the dialogue of Korean intermediate textbook,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parts needed to be supplemen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dialogue to elaborate the ability of performing an interpersonal function by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this, it has selected an interpersonal function as the criteria to analyze an interpersonal function and its materialization and suggests the method of analyzing the strategies. This paper has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exper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native speakers of Korean and selected 18 interpersonal functions. The analysis of the function follows politeness theory of Brown & Levinson(1987). After choosing 4 intermediate textbooks of Korean as the object of analysis, this paper analyzed linguistic expressions without a context and opening utterances of the dialogues in textbook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linguistic expressions without a context shows us problems that people in unfamiliar relations seldom appear as participants in the dialogue and social and formal utterance settings are very few compared to private and everyday settings. From the result of analysis on opening utterances, it is found that in level 3 textbooks utterances for requesting reaction forms more than 70% of the dialogue, however, in level 4 textbooks utterances for representation increase a little. In the analysis of an interpersonal function in the dialogue, the number in which an interpersonal function is materialized as the main function of the dialogue is not much problematic, however, the number in which an interpersonal function is materialized as the partial function of the dialogue is too small. With the analysis of materializing an interpersonal function through specific utterance strategies, this paper finds out that in relation to positive politeness strategies, ‘claiming common ground’ strategy is mostly used and in relation to negative politeness strategies, ‘question, hedge’ strategy is chiefly used. Utterance that follows the utterance in which utterance strategy of an interpersonal function is materialized has more acceptance speech acts, however, expanding reaction is often followed. This can be pointed out as the reason that makes the activity focused on the aspect of materializing an interpersonal function through the dialogue difficult.

      • KCI등재

        대인관계증진 프로그램을 통한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역량의 변화

        홍길회(Hong, Kil-Hoe),김경미(Kim, Kyoung-Mi) 한국육아지원학회 2018 육아지원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인간관계를 형성해야하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로 하여금 대인관계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배우고, 바람직한 태도를 형성해나가는 데 필요한 대인관계증진 프로그램을 통하여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역량의 변화를 알아보는데 있다. 먼저 본 연구에서 실시한 대인관계증진프로그램은 유아교사의 대인관계와 관련한 국내외 선행연구 고찰과 대인관계기술과 관련된 프로그램들의 내용을 참조하여 대인관계영역, 의사소통영역, 리더십기술영역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역량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현재 경기도 유아교육기관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53명과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47명을 대상으로 동일한 내용으로 각각 총 13회에 걸쳐 대인관계증진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사전 ·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역량의 변화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대인관계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두 집단 모두 대인관계와 의사소통능력, 리더십기술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인관계증진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에게 대인관계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제공할 뿐 아니라 실제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의사소통능력과 리더십 기술과 같은 대인관계 역량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which helps early childhood teachers to deal with different kinds of relationship effectively by providing the knowledge, skills and desirable attitude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program used in this study is designed based on previous studies in domestic and abroad, programs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researcher’s experience from conducting program and teaching students. The program is composed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ction, communication competency section, and leadership skill sec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53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in Kyeonggi-do and 47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tudying in university located in Kyeonggi-do. Two groups are participated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for 13 times and the result is analyzed through pretest and posttest design to confirm the chang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y.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leadership skills by participating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This means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not only provide the theoretical knowledge about interpersonal relationship but also help teachers practically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y by providing communication and leadership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