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상화’의 의미와 여성신학적 관점에서의 비판

        진미리(Mi-Ri Ji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3

        이 논문은 대상화에 대한 의미를 정의 내리고, 사상적인 측면과 역사적인 측면에서 여성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대상화되어 왔는지를 분석하고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이러한 탐구를 통해 대상화의 원인을 진단해 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대안적 관점과 방법이 필요한지를 제안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대상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주체의 과장된 권리를 진리인 양 믿게 만드는 데서 비롯된다. 이것은 인식론적으로 주체 중심적인 주객 관계에서 시작하며, 주체의 주체 중심적 월권은 대상에게 역사의 부재와 사회를 총체적 관점으로 묶어버리는 왜곡된 결과를 안겨준다. 오랜 역사 동안 여성은 대상화의 주요 대상이어왔기 때문에 대상화의 의미와 원인 분석은 여성에 대한 새로운 관계성을 정립할 수 있는 중요한 시작점이 될 수 있다. 특별히 기독교 전통이 풍부하게 드러내 주고 있는 여성 대상화를 시대별로 탐구하는 것은 성서 속의 여성들, 기독교 전통 역사 속에서 주어진 본분과 이미지대로 살았던 여성들, 오늘날의 교회가 제한적으로 부여한 직분으로 살아가고 있는 여성들이 남성 중심적인 기독교 전통 속에서 여성 대상화라는 형상으로 계승되고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 줄 것이다. 여성들의 삶과 역사가 단지 그렇게 말하고 기록되어 있다는 이유로 사실이고 진리라고 말할 수 없다. 그것은 대상화의, 대상화하기 위해 수행된 해석을 통해, 그리고 총체적 사회성이라는 폐쇄된 공간이 이룩해 놓은 생산물일 뿐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여성 대상화의 원인은 주체 중심적인 주객 관계, 역사의 부재, 그리고 사회적 총체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상호 주관적인 사회적 관계, 평등한 관점을 기반으로 한 해석의 다양성, 그리고 아래로부터의 유동적인 공동체 정신을 통해 극복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define what ‘objectification’ is, and to explore how women have been objectified in ideological and social ways. Furthermore, it tries to find out the cause of objectification, and concludes by suggesting what alternative insights and methods are needed. The primary cause of objectification is the result of the subject exaggerating that their own right is truth. Its origins come from the subject-centered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bject. The subject-centered arrogation of the subject brings about the absence of object’s own history and the rigidity of society. Historically women have been ‘the typical object’ of objectification, so the meaning of objectification and the analysis of its causes thus can be an important starting point that can establish the new relationship with women. Particularly I pay attention to the objectification of women which is on display in the Christian tradition. This reminds us that the women in the Bible, the women who lived with duties and images given in the history of Christian tradition, and the women who act in traditional roles permitted by today’s church are all suffer from objectification in the androcentric Christian tradition. If the lives and history of all these women are fact and truth just because they were said and recorded, it is nonsense. It is merely the outcome of objectification, of the filtered interpretation of their lives. From this perspective, the causes of objectification can be classified in three ways, the subject-centered relationship, the absence of history, and the social totality. Each of them can be overcome through the intersubjective social relationship, the diversity of interpretation in equality, and the flexible community from below.

      • KCI등재

        칸트 대상화 이론의 구성 -누스바움의 비판을 중심으로

        강은아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124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nstruct and advocate Kantian objectification theory. This is done through a confrontation with Nussbaum's discussion of objectification. Nussbaum argued that objectification is a “cluster-term,” so that not all objectification is morally problematic. On the contrary, according to Kantian perspective, objectification has one definition, and all objectification is, by definition, morally problematic. The two positions are alternatives to each other in that one cannot have the two positions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Nussbaum, objectification is to treat person as an object, and, particularly, morally unacceptable objectification is instrumentalization in a way that denies autonomy. But it weakens the power of objectification as a moral problem by overly expanding the scope of objectification, and is short of justification. I advocate a Kantian approach that sees objectification as a moral problem protesting the immorality that occurred in human relations. Objectification is not only treating humans as object, but as objects only, so that it is always morally problematic. However, I object to the usual Kantian interpretation that equates objectification with instrumentalization, and argue that the core of Kantian objectification theory ignores autonomy. I would analyze the ‘formula of humanit’ and consider the usual use of objectification. In conclusion, according to Kantian objectification theory, the criterion for objectification is instrumentalization, and ignoring autonomy ultimately justifies the immorality of objectification. 이 글의 목표는 칸트적인 대상화 이론을 구성하고, 옹호하는 것이다. 이는 누스바움의 대상화 논의와의 대결을 통해 이뤄진다. 누스바움은 대상화는 다의적이며 모든 대상화가 도덕적으로 문제적인 것은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반면, 칸트주의적 입장에 따르면 대상화는 하나의 정의를 가지며, 정의상 모든 대상화는 도덕적으로 문제적이다. 두 입장은 대상화 개념을 달리 규정하며, 이로써 문제화하는 사태가 다르다는 점에서 서로 대안적인 관계에 있다. 누스바움에 따르면 대상화는 인간을 대상으로 대하는 것이며, 그 중에서 도덕적으로 문제적인 대상화의 특징은 자율성을 부정하는 방식의 도구화이다. 그러나 누스바움의 입장은 대상화의 적용 범위를 지나치게 확장함으로써 도덕적 문제로서의 대상화의 힘을 약화시키며, 대상화가 도덕적인 문제적인 근거를 제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이에 대해 나는 대상화를 인간 관계에서 일어나는 비도덕성에 항의하는 도덕적 문제로 보는 칸트적 접근방식을 옹호한다. 대상화는 대상으로 대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으로만 대하는 것으로 언제나 도덕적으로 문제적이다. 다만 나는 기존의 대상화를 도구화와 같다고 여기는 해석에 반대하여 칸트주의적 대상화 이론의 핵심이 자율성 무시라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인간성 정식’의 논의를 분석하고 대상화 표현의 통상적인 사용을 고려한다. 결론적으로 칸트주의적 대상화 이론에서 대상화의 기준은 도구화이며, 자율성 무시는 대상화의 비도덕성을 궁극적으로 정당화하는 것이다.

      • KCI등재

        이미지를 통한 ‘대상화’의 탐색 - 존 버거의 『다른 방식으로 보기』를 활용하여

        김수경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5

        This paper focuses on the reading of Chapter 3 of John Berger’s Ways of Seeing and examines what the work of exploring ‘objectification’ means to students. Students found that the traditional masculine gaze and female objectification found in European nude paintings between the 14th and 19th centuries, continue to be reproduced today. The chapter points out that not only women but also men and children who have been objectified through social inequality target each other. Some women show different outfits and posture, give up their slender femininity and strengthen their muscles, or intentionally show their hair that was considered subject to removal, or show a disability to escape conventional objectification. On the other hand, writing reflecting oneself from the perspective of ‘objectification’ shows a self-awareness of various targeted poses without even knowing that they are targets themselves. Among these was the realization that the photo taken “naturally” to escape objectification was another objectification that eventually produced “naturalness.” On the other hand, students who already grasped the concept of objectification actively criticized the conventional views of society that target women, showing a complete departure from objectification. These activities show the significance of reading Chapter 3 of Berger for the realization of the concept of ‘objectification’ on its own, the awareness of social relationships and the role of the media in ‘objectification’, and the understanding that images are an important part of identity. 논문은 존 버거의 『다른 방식으로 보기』 3장을 읽고,‘대상화’를 탐구하는 작업이 학생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살펴 보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학생들은 14세기-19세기 사이에 유럽의 여성 누드화에서 볼 수 있었던 남성적 시선의 관습과 여성 대상화의 현상이 현재까지도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재생산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또한SNS발달로 인해 사회적 불평등 관계에 놓여있던 여성 뿐만 아니라 남성,아이들에 이르기까지 서로가 서로를 대상화하는 사회가되어가고 있다고 지적한다.여성들은 관습적 대상화의 시선에서 벗어나기 위해 의상과 자세를 달리한다든가,가녀린 여성성을 포기하고 근육을 강화한다든가,제거의 대상으로 간주되었던 털을 일부러 보여준다든가,장애를 가진 모습을 보여준다. 다른 한편으로 ‘대상화’의 관점에서 스스로를 성찰한 글쓰기에서는,스스로 대상화인 줄도 모르고 대상화된 다양한 포즈들을 자각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그 가운데는 대상화에서 벗어나고자 ‘자연스럽게’ 찍은 사진이 결국 ‘자연스러움을 연출한’ 또다른 대상화임을 깨닫는 내용도 있었다.다른 한 편으로 이미 대상화의 개념을 장착한 학생들은 여성을 대상화하는 사회의 관습적 시선을 적극적으로 비판하면서,대상화로부터 완전히 탈피한 이미지를 보여주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활동을 통해서 학생들 스스로 ‘대상화’의 개념을 깨닫고 ‘대상화’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으로서의 사회적 관계와 매체의 역할을 인지하게 되는 것,이미지가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것 등은 『다른 방식으로 보기』 3장을 읽는 주요한 의의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대상화 개념과 여성주의 역설 - 누스바움의 이론을 중심으로 -

        조영아(Jo, Youngah)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1 철학탐구 Vol.61 No.-

        누스바움에 따르면, 여성이 도구성, 자율성의 결핍, 타성적임, 대체 가능함, 가침성(可侵性), 소유 가능함, 주체성 부재의 7가지 특징을 갖는 경우 대상화된다. 대상화는 인간을 그 또는 그녀로 대우하지 않고 사물로 대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대상화에 대한 관점을 수용할 경우 여성주의는 역설에 빠진다. 누스바움의 대상화에 대한 설명에서 ‘여성이 대상화 되지 않는다면, 여성을 여성이 아닌 것으로 대하지 않는다’를 이끌어낼 수 있다. 이 명제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 여성주의 관점에서 설명할 경우 여성주의는 양립하기 어려운 해석을 낳는다. 여성주의 역설이 발생하는 이유는 대상화 개념을 p₁, p₂, p₃…의 속성을 가짐이라고 잘못 분석하였기 때문이다. 여성주의가 역설을 피하려면, 대상화 개념에 대해 속성적 관점보다 술어적 관점을 취해야 한다. 이는 여성주의에서 대상화 개념을 명료화하는 의의를 갖는다. Nussbaum suggests the seven features that consist objectification. According to her, objectification is treating something that is not an object as an object, taken as an instrument, lacking of autonomy, controlled by something else, substituted, destroyed, possessed anytime, being regarded as emotionless. However, if we accept this view of objectification, feminists seem to face with an anti-institutional consequence. We can infer from Nussbaum’ explanation of objectification to ‘if women are not objectified, women are not treated as what is not women’. As far as what this proposition means is explained from feministic point of view, an incompatible interpretation might follow. However, the reason why this feministic paradox occurs is, I suggest, we wrongfully connect the concept of objectification with having some properties, p1, p2, p3…. Thus I will insist that the concept of objectification should be discussed not by property but by predicate, which aims to clear out the feministic concept of objectification.

      • KCI등재

        여성 대상화 표현 연구

        박현선 영주어문학회 2019 영주어문 Vol.41 No.-

        In this study classify the types of target expression of female objectification appearing in online space and examine their use. I analyzed the expression of objectification in relation with the misogyny which is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expression of female objectification is a discriminative expression in that it causes gender inequality. These expressio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largely worshiping, insignificant, and unnecessary gender specificities. And they were subdivided by appearance, age, and ability.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xpression of female objectification is distorted, solidifies the discriminatory thinking, and makes the women self-censor.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공간에서 나타나고 있는 여성과 관련된 대상화 표현의 유 형을 분류하고 각각의 쓰임을 살펴 보았다. 최근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미소 지니와 연관지어 대상화 표현을 분석하였다. 여성 대상화 표현은 성별 불평등을 초 래하는 차별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대상화란 인간을 인격체로 대우하지 않고, 객체 로 바라보고 대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대상화 경험을 더 많이 하게 된다. 대상화 경험으로 인해 여성들은 관찰자의 관점에서 스스로를 바라보게 된다. 스스로를 감시하며 외모나 신체, 나이나 능력에 대해 불안감, 수치심을 가지게 되고 이는 결국 개인적⋅사회적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 대상화 표현 들을 크게 숭배, 비하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숭배는 외모와 나이, 비하는 외 모, 나이, 능력, 역할을 기준으로 세분하였다. 여성 대상화 표현의 유형 분류와 온라 인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양상 분석을 통해 이러한 대상화 표현은 왜곡되고 차별적인 사고를 공고히 하며, 여성 스스로를 검열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여성의 자기대상화, 자기조절초점과 사회참여의 관계

        신홍임(辛洪任)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아시아교육연구 Vol.20 No.3

        여성 스스로가 자신을 활용되는 대상으로 보는 자기대상화(self-objectification)는 성 불평등 합리화 경향 및 사회참여와 어떤 관계를 갖는가?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자기대상화와 사회 참여의 관계를 자기조절초점의 개인차에 따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여대생 160명을 대상으로 자기대상화의 경향, 성 불평등과 연관된 시스템 합리화경향과 사회참여의 관계를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성이 자신의 외모를 능력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할수록 사회참여의 경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여대생 90명을 대상으로 자기조절초점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수행하도록 한 후, 작문과제를 통해 자기대상화를 상태변인으로 조작한 실험조건(예: 성형수술 계획을 작성함)과 통제조건(예: 여름방학 계획을 작성함)에서 성 불평등의 시스템 합리화 경향 및 사회참여의 경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자기대상화의 실험조건에서는 통제조건보다 여성의 외모가 능력보다 중요하다고 믿는 신념과 사회 불평등 합리화 경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성 불평등 합리화경향이 높을수록 사회참여의향이 더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여성의 자기대상화가 성 불평등을 합리화하면서, 여성의 사회참여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와 더불어 자기대상화조건에서 여대생의 향상초점 우세성이 높을수록 성 불평등의 시스템 합리화 경향이 낮았으며, 사회참여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자기 대상화가 유도된 상황에서 왜 어떤 여성들은 사회의 성 불평등을 합리화하기 보다는 여성에 대한 사회의 시각을 따르는 것을 거부하고, 성 불평등을 감소시키려는 사회활동에 참여 하는 행동을 더 선호하는지를 설명해준다. 논의에서는 자기대상화, 자기조절초점 및 사회참여의 관계를 토론하고,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의 방향을 다루었다. Self-objectification is defined as treating oneself as objects. Women view themselves through the perspective of an observer not as a whole existence, but as an usable object (i.e. fac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elf-objectification, self-regulatory focus and social engagement of women. Study 1 (N=160) tested the question whether self-objectification is associated with gender specific system justification and social engag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higher tendency of self-objectific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engagement of female students. In Study 2 (N=90), female students had to indicate a questionnaire for self-regulatory focus. After that, they were instructed to perform a writing task about a cosmetic surgery to induce the state of self-objectification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In addition, they completed survey questionnaires, which were same as those of Study 1. According to the results, higher scores of promotion focus dominance were related to the lower scores of self-objectification and system justification. In contrast, the promotion focus dominanc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higher tendency of social activism among female students. These results implicated that differences in the regulatory fit may explain the reason why some women in the sexually objectified situation prefer rejecting to follow conventional rules for women and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sm to justifying gender inequality.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regulatory fit theory for better understanding self-objecytification and gender behavior in social context.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신체상 염려에 미치는 영향: 자기대상화와 자기혐오의 조절된 매개효과

        정주아,박기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3

        목적 자기혐오를 신체상 염려의 발전 및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 요인으로 상정하고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대상화를 매개하여 신체상 염려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혐오가 조절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대학생 36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다차원 완벽주의 척도(MPS), 객체화된 신체의식 척도(OBCS), 신체상 염려 검사(BICI), 한국판 자기혐오 척도(K-SDS)를 사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사회부과 완벽주의, 자기대상화, 자기혐오, 신체상염려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신체상 염려 간의 관계를 자기대상화가 부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사회부과 완벽주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대상화를 높여 신체상 염려를 유발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자기대상화와신체상 염려 간의 관계를 자기혐오가 조절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기혐오의 수준에 따라 자기대상화가 신체상 염려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신체상 염려의 관계에서 자기혐오로 조절된 자기대상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대상화를 매개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에서 신체상 염려로 가는 경로가 자기혐오의 수준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 대상화를 통해 신체상 염려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자기혐오가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시사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 게임에 나타난 여성캐릭터의 형상과 그 특성

        권도경(Kwon, Do-Ky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2 No.2

        한국게임에 나타난 여성캐릭터의 인물형상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현재까지 제출된 바가 없다. 한국게임에 나타난 전반적인 캐릭터 자체의 성격과 역할에 대한 인물분석 차원의 연구는 최근에 와서야 조금씩 이루어지고 있는 정도이다. 본 연구는 한국게임 캐릭터의 변천과정과 유형분류에 관한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한국게임에 나타난 여성캐릭터의 인물형상을 한국게임의 남성캐릭터와 텔레비전 드라마ㆍ영화 속 여성캐릭터의 그것과의 비교론적인 고찰을 통해 그 특징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의 세 가지 범주로 정리될 수 있다. 첫 번째 범주는 한국게임에 나타난 여성캐릭터의 양상과 형상화 방식성의 특징이다. 한국게임 속에 나타난 여성캐릭터의 인물형상은 게임 산업이 발달할수록 ‘대상화’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여성캐릭터의 대상화는 크게 두 가지 국면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하나는 남성캐릭터에 대한 종속적 보조자화이다. 여성캐릭터는 남성캐릭터보다 수동적이며, 그의 미션수행을 돕기 위해 희생적이고 보조적인 행동방식을 보여준다. 다른 하나는 성적인 대상화이다. 이처럼 여성캐릭터를 대상화 하는 두 가지 시각에는 남성 중심적인 시각이 놓여 있다. 게임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그 향유층의 주류를 차지하고 있는 남성유저들의 취향과 구미에 부응하기 위해 여성캐릭터를 남성 중심적인 시각에서 대상화 하는 작업이 진행되었던 것이다. 두 번째 범주는 한국게임에 나타난 남성캐릭터 형상화 방식과의 비교론적인 고찰이다. 한국게임 속 남성캐릭터의 인물형상이 여성캐릭터와 차별화되는 외모와 역할에 있어서 특정한 대상화의 시선으로부터 벗어나 있다는 사실이다. 한국게임 속 여성캐릭터가 무조건 젊고 미혼이거나 어린 형상으로 전형화 되어, 외모에 대한 일방적인 대상화의 시선에 포획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남성캐릭터는 다양한 외형적인 형상으로 나타난다. 한편, 한국게임 속 남성캐릭터들에게는 자기표현 욕구와 맞물러 상당히 개성적이면서도 다양한 스펙트럼의 신체적인 조건들이 제공되지만, 반면에 한국게임 속 여성캐릭터들은 8등신에 가까운 신체에 파격적이면서도 화려한 의상을 입은 모습으로 재현되어 남성유자들에게 만족감을 제공하기 위한 성적인 대상으로 전락해 있다. 세 번째 범주는 TV드라마ㆍ영화에 나타난 여성캐릭터 형상화 방식과의 비교론적인 고찰이다. 여성캐릭터가 남성 중심적인 시각에 의해 일방적으로 대상화 되어 나타나는 게임 장르와는 달리 텔레비전 드라마와 영화 속에서는 여성캐릭터의 형성이 다양한 스펙트럼을 형성하고 있다. 게임 향유층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남성유저들의 의식이 한국게임 속 여성캐릭터의 인물형상을 좌우한다면, 여성 향유층의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텔레비전 드라마와 영화의 경우에는 여성의 욕망이 여성캐릭터를 통해 주체적으로 발현될 기반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90년대 이후로 텔레비젼 드라마와 영화 속에서 자아의 주체적 욕망과 전문직으로서의 성공을 추구하는 여성캐릭터들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은 한국게임 속 여성캐릭터의 인물형상과 비교할 때 뚜렷하게 드러나는 차별성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studied on the shapes and distinct features of female character comparing with male chracter in korean games and female chracter in television drama-movie. This study is summerized as next three parts. The first is the consideration to the shapes of female character in korean games. It is devided into two. The one is the surbordination to male chracter. The other is the sexual objectification. The second is the comparrative contemplation to male chracter in korean games. Differently from female chracter’s subordination, male chracter in korean games isn’t captured by the view of unilateral objectification, but showes up variously. The third is the inquiry into female chracter in television drama-movie. It also appears as diverse features. The reason is related to women’s independent desires, especially since the nineties.

      • KCI등재

        30대 남녀의 성공욕구와 성형의도의 관계에서 대상화된 신체의식의 매개효과 차이

        김지현(Ji-Hyeon, Kim),박은아(Eun-Ah, Park)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여성연구 Vol.92 No.1

        외모 가꾸기는 개인의 자존감과 행복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무분별한 외모집착에 의한 과도한 성형은 오히려 심리적, 신체적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성공욕구와 대상화된 신체의식이 성형의도와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 탐색하였다. 특히 여성 뿐 아니라 남성에 대해서도 대상화 이론을 바탕으로 성공욕구 및 대상화된 신체의식과 성형의도와의 관계를 설명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30대 남녀 246명의 성공욕구, 대상화된 신체의식 그리고 성형의도와 관련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18.0을 사용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성공욕구와 성형의도의 관계에서 대상화된 신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성공욕구와 성형의도의 관계에서 대상화된 신체의식의 매개효과가 성별에 따라 다름을 보여주었다. 30대 남성의 경우, 성공욕구의 성형의도에 대한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대상화된 신체의식을 통한 간접효과만 유의하였다. 그러나 30대 여성의 경우, 성공욕구가 성형의도에 유의한 직접효과만을 보였다. 과도한 성형의도를 경험하는 개인은 성에 관계없이 사회와 문화에 의해 강요된 외모에 대한 기대감과 성공욕구에 대하여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인식은 무분별한 성형의도로 인한 문제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Improving one s beauty has desirable effect on one s self-esteem and happiness. However, excessive plastic surgery due to immoderate obsession with appearance could harm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s. We examined how this phenomenon would be related to success desire and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OBC). We conducted a survey of 261 men and women in their 30s in capital area regarding success desire, OBC and plastic surgery intention. We conduct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mediation effect of OBC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 desire and plastic surgery intention. This study showed the difference in mediation effect of OBC on relationship between success desire and plastic surgery intention by sex. In the case of men in their 30s, success desire had indirect effect on plastic surgery intention through OBC. However, among women, success desire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 The study show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success desire, OBC and plastic surgery intention in not only women but men. Individuals experiencing immoderate plastic surgery intention should be aware of appearance expectation and success desire forced by the society and culture. This awareness help them overcome the problems by immoderate plastic surgery intention.

      • KCI등재

        교권 침해와 한국의 인간 대상화 현상: 감정 노동에 익숙해진 사람들을 위한 포커싱 영성 훈련

        한혜현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24 신학논단 Vol.115 No.-

        교권 침해 문제 이면에 존재하는 한국 사회의 인간 대상화(human objectification)와 자기 대상화(self-objectification) 현상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된 이 연구는 감정 노동에 익숙해져 자신의 존재를 잃어버린 사람들을 위한 치유의 과정으로 포커싱(Focusing)에 기반한 영성 훈련을 제안한다. 유진 젠들린(Eugene T. Gendlin)에 의해 시작된 포커싱은 몸의 인식에 집중하여 펠트 센스(Felt Sense)를 포착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존재에 주목하게 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이다. 이를 기반으로 한 영성 훈련은 지나치게 무거운 책임감과 사회적인 기대로 인해 자기 대상화가 일어난 교사들에게 잃어버린 자기의 목소리를 되찾게 하고, 교육의 서비스화 현상으로 인한 감정 노동으로부터 자신을 지켜낼 수 있게 한다. 괴물 부모(Monster Parents)라는 개념이 등장할 정도로 교사들은 학부모들의 지나친 민원 제기와 비합리적인 요구에 자주 노출되고, 정서적, 감정적으로 소진되기 쉬운 환경에 놓여있다. 이에 더해 교사라는 직업에 대한 높은 수준의 사회적 기대와 좋은 교사가 되고자 하는 본인의 열망, 공무원으로서 완수해야 하는 과도한 업무, 다양한 이유로 형성되는 책임감과 죄책감은 교사들이 홀로 감당해야 할 삶의 무게가 되어 그들을 짓누른다. 이 무거운 역할의 짐을 진 그들은 진실한 자기 자신으로 존재하기보다, 사람들이 기대하는 이상적인 모습의 가면을 자주 쓰게 된다. 위와 같은 상황에 처해있는 교사들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자기 소외 현상과 자기 대상화의 상황에 놓이게 된다. 인간 대상화를 지속해서 경험한 사람들이 가해자의 시선을 내면화하여 자기 자신을 수단으로 여기고, 기능적 인간으로 존재하는 것에 익숙해진 상태를 의미하는 자기 대상화는 감정 노동에 지속해서 노출된 사람들에게 자주 발견되며, 인간 대상화 현상이 사회의 각 분야에서 심화되고 있는 한국 사회 안에서도 흔히 발견되는 현상이다. 이들에게 중요한 것은 지금 자신이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지를 깨닫고, 자신의 인간성을 훼손하는 불합리한 상황 속에서 스스로를 지켜낼 수 있는 내면의 힘을 기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포커싱과 표현 예술 치료의 원리를 활용한 영성 훈련을 통해 사회적 역할이 자신의 인격에 고착되어 잃어버린 진정한 나를 되찾고, 자신의 존재에 집중할 수 있는 의식 전환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suggests a spiritual practice based on “Focusing,” which was developed from an awareness of the severity of human objectification and self-objectification in Korean society, shown through the recent issue of teacher’s rights violation. Focusing is a branch of psychology where participants concentrate on their own existence through a process of capturing felt sense via bodily awareness. This process can be healing for those accustomed to heavy emotional labor and who have lost a sense of their own existence because of objectification both by others and by themselves. A spiritual practice based on focusing allows those who have become self-objectified to listen to their inner voices and protect themselves from undue emotional labor. Teachers are frequently subjected to unreasonable complaints and demands from some parents. In addition, the high social expectations around the profession of a teacher, the individual’s own desire to become an ideal teacher, the excessive workload as a public servant, and an overwhelming sense of responsibility and guilt become burdens in the lives of many teachers. Such individuals often choose to wear the social mask of the ideal teacher, even though they are burdened by this heavy role and unable to be their true selves. In this situation, teachers are exposed to the dangers of self-alienation and self-objectification. Self-objectification is a state in which people internalize the perpetrator’s gaze, see themselves as a means, and become accustomed to existing solely as functional human beings. Such a condition is often found in people continuously forced to undertake emotional labor and is common in Korean society, where human objectification is intense. What is essential is that people understand the kind of situation they are currently exposed to and develop the inner strength and resilience to protect themselves from unreasonable situations that damage their humanity. This article seeks to challenge teachers in their state of dominated consciousness so that they might find their true selves that have been lost due to their social roles and rehabilitate these through a spiritual practice that follows the principles of focu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