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축제체험프로그램이 관광지식 형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철 ( Yong Chul Lee ),채예병 ( Ye Byeong Chae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3 觀光硏究 Vol.28 No.5

        관광자는 관광을 통하여 관광지에서 다양한 환경과 문화를 경험함으로써 그들만의 지식습 득방식으로 지속적인 학습을 하게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축제체험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관광학습효과요인은 무엇이며, 이를 어떠한 학습방식으로 지식을 형성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축제체험프로그램을 통하여 관광학습효과 및 관광지식형성과정은 어떻게 지역축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축제체험을 통하여 관광학습 효과요인으로 ‘교수설계요인’, ‘매체활용 요인’, ‘사회적 요인’ ‘학습자요인’, ‘교육적 성취요인’, ‘자기주도적 요인’으로 총 6개의 요인이 도출 되었다. 둘째, 관광을 통하여 행동적 학습, 인지적 학습 혹은 대리적 학습 등의 과정을 통하여 관광지식을 습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제시된 다섯 가지의 관광지식형성과정에서 매체활용 요인은 관광학습효과에 크게 미치는 것은 조사되었으며, 교수설계요인, 교육적 성취요인 순으로 지식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축제에서 제시된 관광학습효 과요인 가운데 교수설계요인, 매체활용 요인, 자기주도적 요인이 축제를 통한 교육적 효과 및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섯째, 축제충성도에는 행위적 학습과 대리적 학습이 축제충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관광학습의 과정을 이해한다는 것은 관광자의 행위를 이해하는데 꼭 필요한 부분이며, 동시에 이들을 관리해야 하는 관광지 경영자들에게는 관리를 위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즉 관광은 소비산업이 아닌 투자산업으로써 변모,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관광행위를 통한 관광학습에 대한 연구가 점진적으로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is to classify what cause ‘Tourism study effect?’and what kind of study formula forms knowledge by it through Experience Festival Program. By the program of festival experience, we are going to realized how ‘tourism study effect’ and ‘tourism study method’effects achievement of region festival’s royalty. Bsae on the research, we have deducted this conclusion. The first, there are 6 tourism study factor through experiencing festival. These are ‘instructional design factor’, ‘using telecommunication factor’,‘ social factor’, ‘study data factor’, ‘educational attainment factor’, ‘self-directional factor’. Secondly, From presented, 5 tourism study method using telecommunication factor can give large effect on tourism study, and instructional design factor ,educational attainment factor are followed which give effects on master knowledge. Thirdly, Among the presented study method from festival, ‘instructional design factor, and telecommunication factor Self-Directed factor effects educational effects as well as Loyalty which are through festival. Fourthly, Action learning and vicarious learning give effects on festival loyalty. Lastly, From this research, to understand tourism learning is necessary to understand tourist behavior. At the same time this can give tour manager a imploration to manage. there fore tourism is not a consuming industry but investigating industry. so researches based on tourism learning from touring should be expansions to trans-figure and revitalize tourism.

      • KCI등재

        대규모 온라인 강좌에서의 대리 상호작용의 활용 및 학습자 반응분석

        우영희(Younghee Woo)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의 평생교육 추진 및 MOOC의 확장 등을 통해 증가하고 있는 대규모 온라인 강좌에서의 효과적 학습 지원을 위해 대리 상호작용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강좌에서의 대리 상호작용 전략 및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대규모 온라인 강좌에 적합한 전략을 도출하였으며, 300명이 수강하는 A원격대학의 한 강좌의 일부를 도출된 대리 상호작용 전략을 활용하여 재설계, 개발하였다. 또한 새롭게 개발된 강좌를 수강한 학습 자들을 대상으로 강의의 이해도와 흥미도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학습자들에게 인식된 선호도 및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들은 대리 상호작용 전략이 적용된 콘텐츠에 대한 이해도와 흥미도에서 모두 높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대리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시각을 접할 수 있어 강의 내용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는 것과 자신이 직접 참여하는 것처럼 느껴 몰입감이 높아졌다는 등의 효과를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교육에 있어서 성인 학습자들은 직접적인 상호작용보다는 대리적인 상호작용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양한 대리 상호작용 전략 개발 및 연령대별 특성을 고려한 적용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using vicarious interaction for effective learning support in large web-based courses, which have grown in numbers with expansion of lifelong learning and MOOCs. The study has analyzed prior research on effectiveness of vicarious interaction in web-based courses, and based on this, we redesigned or developed some of the large lectures with 300 students provided by Open University A. Then we conducted a survey for those who took the newly developed courses, asking their understanding and learning interest in the courses using vicarious interaction, and analyzed their perceived preference and effect about vicarious interac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learners have shown a positive response to the contents using(based on) vicarious interaction, both in terms of understanding and learning interest, and that they perceived effect of the interaction, for example, gaining an expanded understanding of the lectures and a sense of increased immersion, through which they felt they were actually participating in a real classroom.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students prefer indirect interactions to direct interactions in online education.

      • KCI등재

        경영관행의 조직 내 확산과 편향적 조직학습

        정동일(Dong-Il Ju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3 인사조직연구 Vol.21 No.2

        Once an organization adopts a management practice, its members begin to learn how to implement the practice in their business units. Prior research has proposed two scenarios: (1) Tight coupling, where the organization successfully implements the formally adopted practice and integrates it with existing business routines, or (2) Decoupling, where the organization adopts but does not effectively implements the practice. A third scenario is also possible, where the management practice is initially implemented and diffused widely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 subunits, but winds down rapidly soon after a short period of implementation. While anecdotally this third scenario, which I term ‘faddish coupling’, seems to be a likely outcome for many organizations,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how such a trajectory comes about. Building on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this paper argues that biased organizational learning by organizational members and subunits results in faddish coupling of an organizational practice. Organizational subunits can learn from their own experiences and other units’ experiences, but such experiential and vicarious learning may be extremely biased, especially when members / subunits are under pressure to commit to company strategies and newly established organizational goals. When boundedly rational decision makers are faced with such strong pressures but not equipped with related knowledge about novel management practice, they tend to narrow their search scope down to a few salient and easily accessible activities such as the most recent high-performance experiences and examples, thereby carrying out organizational learning on the basis of positively-biased information. Organizational learning from a biased sample often produces positive sentiments and perceptions about the management practice, leading to its organization-wide diffusion. However, such biased learning, together with an elevated aspiration level, is likely to aggravate the quality of decision-making, drive below-aspiration practice performance levels, incur rapidly increasing frustration, and result in the sudden collapse of the adopted practice. Using data from cross-functional process improvement teams of a leading global financial service organization (under the pseudonym Global Financial) which adopted a total quality management program in the first quarter of 1997 and formally abandoned it in the last quarter of 2000, this paper tests several hypotheses regarding the processes and consequences of biased organizational learning involved in quality team formation in 174 organizational units operating in 77 countries. I evaluated the data against the following hypotheses regarding learning bias under conditions of strong organizational pressure: Hypothesis 1: A subunit’s team formation rate will be positively affected by the most recent team performance within that subunit. Hypothesis 2: A subunit’s team formation rate will be positively affected by the most recent team performance of reference units (geographically and operationally similar units). Hypothesis 3: A subunit’s team formation rate will be positively affected by the most salient team performance of reference units. But such biased learning may not last long. As the experience with team activities accumulates, organizational units become aware that biased learning brings about relatively poor outcomes, for example, low team performance and reduced conclusion of team activities. In hypothetical terms: Hypothesis 4: As the experience with team formation accumulates, biased learning from a selected sample will decrease. Hypothesis 5: Learning from a positively biased sample will decrease team performance. Hypothesis 6: Learning from a positively biased sample will decrease the probability of successful completion of team activities. 새로운 경영관행이 조직에 도입되면, 조직의 구성원들이나 구성단위들은 이를 실행하기 위한 학습을 시작하게 된다. 새로운 관행은 기존의 제도적 배열이나 업무 현실과 긴밀히 결합(tight coupling)되어 성공적으로 제도화될 수도 있고, 기존의 기술이나 제도적 배열과는 분리(decoupling)된 채 아예 실행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하지만 때에 따라서는 조직 상층부의 강력한 지원 하에 단위부서들 사이에 빠르게 확산되고 광범하게 실행되지만, 머지않아 그 확산의 속도만큼이나 빠르게 소멸되어 가는 소위 ‘유행적 결합’(faddish coupling)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 논문에서는 강한 시간적 압박과 조직적 압력 하에서 진행되는 조직 구성단위들의 편향적 조직학습이 유행적 결합을 만들어내는 한 가지 기제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전사적 차원에서 강하게 추진되고 있는 전략적 지향에 빠르게 승선해야 하는 구성단위들은 폭넓은 탐색과 면밀한 분석에 의존한 조직학습을 수행하는 대신, 소수의 가시적인 성공 사례들에 과도하게 주목하는 편향적 조직학습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 학습 표본의 편향적인 선정과 더불어 성공에 대한 높은 기대치는 의사결정의 질을 떨어뜨리고 실행의 성과와 그 지속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경영관행에 대한 좌절과 광범한 거부를 초래할 수 있다. 이 논문은 1990년대 말 품질경영 프로그램을 도입한 한 다국적 금융기업을 대상으로 다기능팀의 형성과 그 성과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수행 함으로써 이러한 주장을 검증한다. 분석 결과, 높은 조직적 압력 하에 놓인 부서들은 탐색의 범위를 극도로 제한하는 경향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부서들은 시간적으로 근접한 경험, 특히 높은 가시적인 성과를 보인 팀활동을 학습표본으로 선정하여 경험적 학습 및 대리학습을 수행했다. 또한 이러한 편향적 조직학습은 팀활동의 지속성과 그 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향된 조직학습으로 인한 성과의 하락과 그로부터 형성되는 부정적 피드백은 전사적 차원에서 품질경영 프로그램의 빠른 쇠퇴에 적지 않게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가 어떻게 조직학습이론의 발전과 경영유행 현상의 이해에 기여할 수 있는지 토의한다.

      • KCI등재

        디지털 플랫폼 참여 소상공인의 흡수역량이 시장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대리 학습과 경험적 학습의 조절 효과 분석

        김주희,김영신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 벤처창업연구 Vol.17 No.6

        As the digital economy has emerged as a means of building a new business order and creating new values, the number of small business owners participating in digital platforms is gradually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check whether small business owners participating in the digital platform are being helped to properly respond to the market environment and establish and implement strategies necessary for growth through learning within the platform. To this end,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absorptive capacity of small business owners using e-commerce platforms on market orient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vicarious learning and experiential learning, which are two types of learning within the platform.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sis through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absorption capacity of small business owners using digital platforms positively affected their market orienta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it was found that vicarious learning within the platform strengthens the relationship between absorptive capacity and market orienta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small business owners can not only prepare for market uncertainties through indirect learning (vicarious learning) but also establish strategies to provide products and services that meet the market's needs.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experiential learning was found to lower market orientation, which means that previous business experiences can rather lower attention to the environment.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디지털 경제가 새로운 비즈니스 질서를 구축하고 새로운 가치 창출 수단으로 떠오르면서, 디지털 플랫폼에 참여하는 소상공인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플랫폼에 참여하는 소상공인이 플랫폼 내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을 통해 시장 환경에 적절히 대응하고 성장에 필요한 전략 수립 및 실행하는 데에 도움을 받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이커머스 플랫폼을 이용하는 소상공인의 흡수능력이 시장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과 플랫폼 내의 두 가지 학습의 유형인 대리 학습과 경험적 학습의 조절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가설을 검증한 결과, 디지털 플랫폼을 이용하는 소상공인의 흡수역량이 이들의 시장 반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효과 분석 결과, 플랫폼 내에서의 대리 학습이 흡수역량과 시장 반응성 간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소상공인이 대리학습을 통해 얻는 간접적인 학습을 통해 시장 불확실성에 대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장 니즈에 부합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한편, 경험적 학습의 효과는 시장 반응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이전 사업 경험이 오히려 환경에 대한 주의력을 저하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샘플링 기법에 따른 음향파 전파의 대리 모델 성능 비교

        김홍비,서호건,유용균,최희선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23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43 No.1

        본 연구에서는 음향파 전파의 대리 모델을 일부 데이터만으로 학습함에 있어서 샘플링 방법에 따른성능 차이를 비교 분석한다. Uniform sampling, farthest point sampling, Poisson disk sampling 기법을 활용해소요 시간과 샘플 개수에 따른 대리 모델의 정확도 변화를 분석했다. 이전부터 음향파나 유체역학의 대리모델링을 위해 여러 기계 학습 및 딥러닝 기반의 모델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모델들은 데이터의 특성을충분히 잘 반영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각 샘플링 방법으로 데이터 세트를 생성하고, 심층 신경망기반의 대리 모델을 학습했다. 조건별 성능을 비교하였을 때, 음향파 전파의 대리 모델 생성을 위해서는정확도와 소요 시간 측면에서 Poisson disk sampling을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확인된 샘플링 기법에 따른 특성은 디지털 트윈과 같이 대리 모델의 생성이 실시간으로 빠르고 정확하게이뤄져야 하는 상황에서 최적의 샘플링 기법을 선정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Bandura의 관찰학습 이론에 기반한 미디어 자료의 지리교육적 함의

        안종욱 ( Chong Uk Ah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1 No.2

        매스미디어 및 이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는 지리적인 정보 제공과 장소감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지리교육적 측면에서 관련 연구가 부족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Bandura의 관찰학습 관련 이론을 중심으로, TV 등의 미디어를 통해 제공되는 각종 자료들의 지리 교수-학습적 적용가능성 및 그 함의를 고찰하였다. Bandura는 직접 경험이 아닌 관찰에 의한 대리적 강화를 통해서도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는 실제 경관을 대상으로 하면서도 주로 교실 내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지리교육의 본질적인 딜레마를 해결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또한, 그의 주장은 TV 프로그램과 같은 매스미디어에 기반한 자료가 학습의 보조자료가 아닌 내용 그 자체이며, 유사한 맥락적 상황에서 적절한 인지적 판단과 수행을 유도할수 있는 대리적 경험을 제공할 수도 있다는 인식 전환의 근거가 된다. 분절화된 事象들의 집합체라는 오해를 받는 지리교육에 이러한 관점을 적용할 경우, 가치판단 및 이와 관련된 적절한 행동 수행을 유인하는 지리 교수-학습 방법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Mass Media and their various multimedia material have not enough research although they do an important role in supplying geographical information and forming the sense of place in terms of geography education. Focused on Bandura`s observational learning theory,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applicability to teaching and leaning of geography and implication of the various materials offered through media such as TV and the Internet. Bandura claimed that learning can be achieved not only through direct experiences but through the vicarious reinforcement by observation, which suggests the solution of the essential dilemma that the leaning of geography mostly takes place in a classroom despite dealing with real landscape. In addition, his argument offers the basis for the paradigm shift that the materials based on the mass media such as TV programs can be the main contents, not the subsidiary material, and offer the vicarious experiences which induce the appropriate cognitive judgement and performance in similar contextual situation. Applying this viewpoint to geography education, which has been mistaken as a collection of fragmented things, can help discover the new possibility of the geography teaching-learning method to induce the appropriate behavioral performance and the relevant value judgement.

      • 학습윤리와 연구윤리 교육의 필요성

        김대군 ( Kim Dae Gun )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6 현대교육연구 Vol.28 No.-

        대학에서 일어나고 있는 `학습에 있어서 부정`과 `시험에 있어서 부정`으로 인해서 학문의 전당인 대학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인터넷 시대가 되면서 더 쉽게 리포트를 판매하고 구매할 수 있게 되고, 이러닝 시험에서는 다른 사람을 통한 검색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게 되었다. 책을 구입하거나 빌리지 않더라도 인터넷에서 자료들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책을 가지고 공부하기 보다는 인터넷에 떠도는 자료 중심으로 리포트를 해내고 시험을 치는 학생들도 많아졌다. 인터넷을 활용하는 것 그 자체가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학에서 평가는 주로 리포트와 시험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인터넷을 학습과 시험에서 부정을 저지르는데 활용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리포트와 시험에서 부정행위가 근절되지 않다보니 대학생 스스로 평가에 대해 불신하는 사태까지 이르게 되었다. 학생들의 학습윤리, 연구윤리에 대한 자각과 실천이 절실한 때가 되었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학점을 따겠다거나 무임승차를 해서 학점의 덕을 보겠다는 학생들의 사고방식에 변화가 있어야 하다. 문제의식 없이 학습윤리와 연구윤리에 어긋나는 행태를 관행적으로 답습하는 학생들에게 정도를 가르치는 일도 필요하다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윤리, 연구윤리가 요청되는 상황에 대한 고찰과 학습윤리, 연구윤리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Studying and research ethics of students have not been well established. There are a lot of injustices in report creation at university. And status of university is shaken by injustice in test. Students could sell and buy report easily at the Internet. Therefore, students do not make report by themselves and they feel seduction that wish to buy or copy report. Evaluation is made in report and test mainly at university. Because there are a lot of cheats in report and test, students have little trust in the evaluation system. Students receive helping of internet search through friends in e-learning test. Methods of cheating were more various. Professors must teach students studying moral principle. The research ethics has to be properly learned. When students make report, students must have moral principle solemnity. Students must not do injustice in attendance and test. I will investigate about situation that studying moral principle is requested. I will suggest studying moral principle educational necessity.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가 진로 탐색에 미치는 영향

        김영란,이상직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3 벤처혁신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실증 분석을 위한 연구모형은 사회인지진로모형(SCCT)을 기반으로 대학생의 특성을 반영하여 도출하였다.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를 독립변수로 채택하였다. 이에 대한 선행 변수로 성취경험, 언어적 격려, 대리학습, 긍정적 정서를 채택하였다. 실증분석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획득한 217부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구조방정식으로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취경험, 대리학습, 긍정적 정서는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언어적 격려와 긍정적 정서는 결과기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언어적 격려는 자기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취경험과 대리학습은 결과기대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검정되지 않았다.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 모두 진로 탐색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 관계에 있어서는 결과기대가 자기효능감보다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실증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학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