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중·근세 국어 연구에 대한 반성 : Based on Morphology and Lexicon 형태와 어휘를 중심으로

        김영신 新羅大學校 1983 論文集 Vol.14 No.-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studies on the morphology and vocabulary of Middle Korean and Early Modern Korean which have been worked out so far by many scholars in an attempt to correct some mistakes if any and provide their alternatives. One of the reasons for the possible mistakes is probably that not many data concerned were referred to. No doubt, it is never easy to consult so many referential data coming to some hundreds, but it is required that we examine thoroughly all the data concerned if we want to obtain convincible findings. Some of the mistakes and their correct alternatives which are provided in this study are summed up as follows: 1. "??"(저녁, 夕) is not the compound of "??"(彼) and "??"(岸) but the compound of "??"(져믈-) and "??". 2. "??"(더위잡-) is not a derivational word but a compound word. 3. The base of "naon, naontja"(나온, 나온댜) is "nap-"(납-, 樂). 4. The base of "??"(??) is "??"(??). To add up a final word, I'm afraid that I have criticized the arguments of the predecessors' studies too impudently.

      • 廣告가 消費者價格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金映伸 충남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80 學術硏究誌 Vol.7 No.2

        Traditionally it is maintained that advertising raises consumer prices in several ways.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demonstrate that advertising lowers consumer prices, because the magnitude of its impact on distribution margin is sufficient to overcome any possible tendency of advertising to raise manufacturers selling prices. The following major arguments will be developed in support of this theory, first. advertising results in smaller distribution margins on advertised brands due to 1) the more rapid turnover of advertised products : 2) increased product price comparison through improved product identification : and second, competition from advertised brands bring pressure to reduce prices on unadvertised merchandise of the same type. To prove this theory, these arguments are illustrated by data from the toy industry of U.S.A.

      • KCI등재

        의료법상 금지되는 “비의료인의 의료기관 개설”의 범위 - 대법원 2003. 9. 23. 선고 2003두1493 판결 -

        김영신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법학논고 Vol.0 No.41

        Korean Medical Act provides that nonmedical personnel cannot establish medical institution. According to this regulation, partnership contract between doctor and nonmedical personnel, therefore, is ineffective not to mention criminal liability. Korean Supreme Court has decided that partnership contract in that doctor does business in partnership with nonmedical personnel and they would set up medical institution(hospital etc.) has no effect. According to traditional construction of “Mandatory Rules”, it is unavoidable that Korean Supreme Court understand this Medical Act rules as mandatory and a contract violating this rules as ineffective. Nevertheless, traditional construction generate unwelcome side effect such as hindrance to investment for hospital and many technical problems. So equilibrium point between public interests of medical practice and economic point of view should be pursued in both of legislation and jurisprudence. 우리 의료법은 의료인, 의료법인 등의 경우에만 의료기관의 개설주체가 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 위반의 경우 형사처벌을 받는 것은 물론, 대법원 판결에 의하면 이러한 규정을 위반하는 행위의 私法上 효력도 부인된다. 즉, 대법원은 의료인이 아닌 자가 의료기관 개설주체가 되기로 하는 것은 사법상으로도 효력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하면서, 의료인이 비의료인에게 면허를 대여하는 것은 물론 비의료인에게 고용되어 의료기관을 운영하기로 하는 약정은 무효라고 한다. 나아가 대상판결에서 대법원은 의료인과 의료인이 아닌 자가 동업하여 의료기관을 개설하기로 하는 약정 역시 私法上 무효라고 하고 있다. 종래 판례에서 규제규정 위반을 이유로 사법상 약정을 무효로 판단하는 기준으로 제시된 것들을 검토하여 보면, 대법원이 의료법 규정 위반행위의 사법적 효력을 원칙적으로 부인하는 해석을 하는 것은 일면 타당하다. 그러나 대상판결과 같이 의료인과 비의료인의 동업약정을 전면적으로 무효로 평가하는 것은, 우선 의료법 규정의 문언에서 허용되는 해석의 범위를 넘는 것이 아닌지 의문인 데다가, 금지되는 행위의 범위가 너무 넓고 불분명하다는 점, 의료기관에 대한 출자 형태의 투자를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점 등 문제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그러한 점에서 대상판결의 태도에는 찬성할 수 없고, 의료법상 금지되는 비의료인의 의료기관 개설의 의미를 보다 엄격하게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한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 초고속망에서 네트워크 성능 최적화를 위한 TCP 버퍼 튜닝 도구 설계 및 구현

        김영신,허의남 서울여자대학교 컴퓨터과학연구소 2003 정보기술논문지 Vol.1 No.-

        네트워크 최적화를 위해 네트워크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여야만 하는데, 이 때 네트워크 측정 툴을 사용한다. 기존의 네트워크 측정 툴은 측정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고 전송된 데이터양과 전송시간 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태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툴들은 네트워크 상태를 분석한 후,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데이터양을 조절하는 등의 액션을 취하여 최적의 네트워크 상태를 만들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전송 시간의 지연이 호스트 내부(TCP buffer 크기)에서도 발생함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또한, 네트워크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TCP buffer의 크기를 계산하고 조절(튜닝)함으로써 (TCP buffer에 전송될 데이터가 쌓이는 속도와 데이터 전송 속도의 밸런스를 맞춤) 더 나은 네트워크 성능을 보이게 됨을 증명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TCP buffer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최상의 네트워크 성능을 만들 수 있는 툴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We have to know state of a network for optimization of a network. At that time, we use a network monitoring tool to know network traffic. Most network monitoring tools are used to analyse performance of network. They send a few messages and measure bandwidth and delay. But these tools help applications to utilize network capacity efficiently with the current metrics or parameters as the result of network analysis is enough to coordinate network status to be reliable and efficient. This paper shows experimentally that data transmission delay occurred in host side much larger than network side. Also, we measure performance of network and use the result to compute optimized TCP buffer size in order to fit balance between the speed that a data are piled up in TCP buffer and data transmission speed. So,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network optimization tool using TCP buffer tuning.

      • 초등학생에서 집단따돌림의 유병률과 이와 관련된 정신병리현상

        김영신,고윤주,노주선,박민숙,손석한,서동향,김세주,최낙경,홍상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5

        연구목적 : 학교폭력의 가장 흔한 형태인 집단따돌림은 피해아동 및 가해아동 모두에서 다양한 행동, 정서 및 사회적 문제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내의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집단따돌림의 유병률과 집단따돌림과 관련되어 아동에게 나타나는 정신병리 현상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방 법 : 안양지역의 두 초등학교에서 무선으로 선출된 두 학급의 4, 5, 6학년 학생들이 본 연구의 연구대상이었다. 학생들은 한국형 또래지명설문지(K-PNI)를 완성하였고, 교사 및 부모는 ADHD Rating Scale(ARS)과 Conners 척도를 완성하였으며 부모들은 추가로 아동행동조사표를 완성하였다. 통계방법으로는 기술적 통계, 다중회귀분석 및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 과 : 총 532명의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집단딸돌림의 피해자, 가해자 및 피해자 겸 가해자의 유병률은 각각 48%, 45%, 30%로 나타났다. 심한 집단따돌림의 유병률은 2.1∼4.1% 사이였다. 집단따돌림의 피해아동와 피해자 겸 가해아동들은 교사와 부모에 의해 부주의하고 수동적이며 사회적으로 미성숙하고 공격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학년이 올라 갈수록 피해자가 되는 경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해 아동은 행동문제와 관련되어 있었으며 남아에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집단따돌림은 한국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 사이에서 매우 흔하게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집단따돌림의 경험을 한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더 많은 정신병리 현상을 보였다. 이러한 정신병리와 집단따돌림과의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해서는 집단따돌림을 경험한 아동에 대한 추적 조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 School bullying, the most prevalent type of school violence, is Know related to various behavioral, emotional and social problems both in victims and 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school bullying psychopathology in a community samp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 : Fourth to 6^th graders of two randomly selected classes in two elementary Anyang City participated in a cross-sectional study. Study subjects completed Nominating Inventory(K-PNI). Parents completed 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KADHD Rating Scale(ARS) and Conners Scales for parents, and teachers completed Conners Scales for teachers. Descriptive statistics, multiple linear and logistic regress performed. Results : A Total of 532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revalence of victims, and victim-perpetrators were 48%, 45%, and 30% respectively. Extreme victims and of school bullying ranged from 2.1∼4.1%. Inattention-passivity in teachers' Conn social immaturity or aggression in K-CBCL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victims perpetrators, and grade was negatively related to school bullying. Conduct problem in Scale for teachers and emotional instability in K-CBCL, and male gender were positively with perpetrators. Conclusion : School bullying is very common in Korean children of elementary Those who had experienced school bullying, either as victims or as perpetrators, cantly more psychopathology than their counterparts. To clarify a causal relationship psychopathology and school bullying, a longitudinal follow-up study is suggested.

      • 미술치료를 활용한 집단 따돌림 피해 여고생 집단상담 사례 연구

        김영신,오미영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3 임상예술치료연구 Vol.2 No.-

        The paper reports case studies of group counseling for high school female victims of group bullying to enhance victims’ positive self-esteem and prevent recurrence of bullying and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tivities. The Subjects are four female students enrolled in an occupational high school who have been victims of group bullying since elementary school. For improve effectiveness of group counseling, we used structured art-therapy programs in the first and final stages, and peer-support group counseling in the middle stage.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a counseling room of the school, once a week for 14 weeks, and 50 minutes per session. To test the effect of the program, we administered pre- and post self-esteem measures, and also conducted qualitative analyses. We find that,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counseling, the average self-esteem level increased from 23.5 before the program to 28 after the program. The qualitative analyses also reveal that the group counseling using art therapy helps improve victims’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 find that using art-therapy along with group counseling improve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본 연구는 집단따돌림 피해 여고생을 위한 집단 상담 사례연구로 긍정적 자아 존중감을 높여 재발을 방지하고 나아가 대인관계 활동을 원활하게 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대상자는 초등학교 때부터 집단 따돌림을 당해온 전문계고 여고생 4명으로 개인 상담 후 집단상담에 참여시켰다. 효과적인 집단 상담의 구성을 위해 초기와 후기에는 구조화 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중기에는 또래지지 집단상담의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진행은 학교 내 상담실에서 주 1회, 50분씩, 총 14회기가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자아존중감 척도와 회기별 질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집단상담의 효과성에 있어서 보면, 집단원의 자아존중감 평균은 23.500에서 참여 후 자아존중감의 평균은 28.000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향상된 정도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한 결과 t값은 5.196이고 유의도는 .014( ≤ .05 )로서 유의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기별 질적 분석 내용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다. 이를 통하여 미술치료를 활용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집단 따돌림 피해 여고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상담에서 미술치료 활동을 병행하여 실제 상담 프로그램 진행시 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졌다고 본다. 이러한 결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여겨지며, 본 연구의 대상자가 18세 여고생 4명으로 표본의 수가 적어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무리가 있으므로 더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한 반복 연구와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한국형 또래지명 설문지(K-PNI) 개발 연구 : 집단따돌림 측정 도구

        김영신,고윤주,노주선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5

        연구목적 : 집단따돌림은 학교폭력의 한 형태로서 피해 및 가해 학생들이 여러 가지 행동 및 정서장애를 가지고 있는 등 소아청소년 정신과 영역에서 관심을 가져야 하는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이며 조직적인 접근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따돌림과 또래 괴롭힘에 관한 현상을 객관적이고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한국형 또래지명설문지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방 법 : 안양시 내 2개 초등학교 4, 5, 6학년을 대상으로 K-PNI와 또래수용도, 자아지각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통계방법은 Varimax Rotation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Reliabilit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결 과 : 총 532명(남녀비=1 : 1, 학년비=1 : 1 : 1.2)의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K-PNI는 집단따돌림의 피해자와 가해자를 잘 구분하고 신뢰도가 0.90∼0.94 사이로 높은 신뢰도를 가진 도구로 평가되었다. K-PNI는 가해자 군과 함께 피해 유형을 소극적인 형태의 따돌림인 소외형과 언어적폭력형을 한 군으로, 또한 좀더 적극적인 형태의 신체적 폭력형과 강압형을 다른 한 군으로 분리할 수 있었다. 또한 K-PNI와 또래수용도, 자아지각 중 신체, 인지 및 사회적 자아지각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K-PNI 피해 및 가해 아동 분류가 타당함을 시사하였다. 결 론 : K-PNI는 집단따돌림 및 또래 괴롭힘의 행동을 객관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진 도구로서 앞으로의 집단따돌림 및 또래 괴롭힘의 연구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도구가 될 것이다. Objectives : School bullying is Known to be related to behavioral, emotional and social problems both in victims and perpetrators.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Korean-Peer Nomination Inventory(K-PNI), which can identify victims and perpetrators of school bullying in an objective and effective way, and to examin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Methods : Fourth to 6^th graders of two elementary school in An Yang city completed K-PNI, Peer Acceptance Scale and Self-Perception Scale. Varimax Rotation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Reliability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al Analysis were performed for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 Total of 532 students(male : female=1 : 1 : 4^th : 5^th : 6^th grader=1 : 1 : 1.2) par-ticipate in this stud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K-PNI identified victims and perpetrators of school bullying effectively with excellent reliability(Chrobach's alpha ; 0.90-0.94). Victims were further divided into two categories ; passive bullying including exclusion and verbal abuse, and active bullying including physical abuse and being forced. K-PNI, Peer acceptance scale and Self-perception scal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reflecting its validity identifying victims and perpetrators of school bullying. Conclusion : K-PNI is an effective tool with excellent reliability and validity to identify victims and perpetrators of school bullying. K-PNI is expected to be a useful tool in future studies of school bullying and school viol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