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자아존중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김춘경(Kim, Choon-Kyung),조민규(Cho, Min-Kyu)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4

        본 연구에서는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에 근거하여, 어머니가 경험하는 부부갈등, 자아존중감, 양육스트레스의 변화양상과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자아존중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육아정책 연구소(KICCE)의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을 실시하였다.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세 변인 각각의 변화 양상을 살펴본 결과, 부부갈등, 자아존중감, 양육스트레스는 선형변화모형을 적용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해서 종단적으로 세 변인간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부갈등은 자아존중감의 초기값과 양육스트레스의 초기값에 영향을 미치고 자아존중감의 초기값은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경로를 확인하였다. 또한, 자아존중감 변화율은 양육스트레스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self-esteem, and marital conflict, parenting stress of changing patterns experienced by mothers to take advantage of the latent growth model. Also, looked at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marital conflict and self-esteem. In order to verify this effect,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were adapted to KICCE data. The results analyzed by the Lantent Growth Curve Model indicated that the level of marital conflicts, self-esteem and prenting stress increased as time passed. The results also analyzed by the Multivariate the Lantent Growth Curve Model revealed that marital conflicts and prenting stress were mediated through self-esteem had a negative efect on the change of prenting stress. In addition, Self-esteem is the rate of chang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parenting stress rate.

      • KCI등재

        중학생의 학교폭력 피해경험 및 가해경험의 변화 양상

        노언경(No, Unkyung),이현정(Lee, Hyunjung),이은수(Lee, Eunsoo),홍세희(Hong, Se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1

        청소년의 학교폭력은 행복한 학교생활을 저해하는 요소로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학교폭력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수준과 학교수준으로 나누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초등학교 4학년 패널 4-6차 자료 중 292개 학교에 속한 중학생 3,627명의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경험에 대해 다변량 다층 잠재성장모형(multivariate multilevel growth models)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경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을 검증한 결과, 개인수준에서는 성별, 탄력성, 교우관계, 학교풍토가 피해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성별, 자기통제력, 학교풍토가 가해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학교수준에서는 학교풍토가 피해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학생예방교육, 교직원예방교육, 학교만족도, 교사인식, 학교풍토가 가해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청소년 학교폭력의 피해 및 가해경험을 감소시키는 데 영향을 주는 개인 및 학교수준 변수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지 않은 다변량 다층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위계적 자료의 성장모형을 다변량으로 검증하였기에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도 의의가 있다. 자세한 논의와 정책적 함의는 아래에 기술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violence trajectories and the influences of individual-level and school-level variables. The present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4th-6th wave, containing data from 3,627 middle school students. Multivariate multilevel latent growth models were applied to examine school violence among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victimization and bullying in school decreased through middle school 1st grade to 3rd grade. Second, the student level, gender, resilience, peer relationships, and school climate were related to victimization and gender, self-control, and school climate were related to bullying. Third, at the school level, school climat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ictimization and school violence prevention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school climate demonstrated significant effects on bullying. Finally, our interpretations of these results and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유아기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태도, 유아기 놀이상호작용, 아동기 집행기능 곤란 간의 종단적 관계

        문명화(Myunghwa M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는 유아기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태도, 유아기의 놀이상호작용, 아동기 집행기능 곤란 간의 종단적 관계를 분석하고 놀이상호작용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실시한 한국아동패널조사의 5차년도(2012년)에서 10차년도(2017년)자료로 종단 데이터를 구축하여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기 놀이상호작용과 아동기 집행기능 곤란은 선형적 변화양상을 보였다. 둘째,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경로계수에서 아버지 온정적 양육태도 초기값은 놀이상호작용 초기값에 정적영향을 주는 반면 아동기 집행기능 곤란 초기값에는 부적영향을 주었다. 또한 놀이상호작용 초기값은 아동기 집행기능 곤란 초기값에 부적영향을 주었다. 아버지 온정적 양육태도는 놀이상호작용과 집행기능 곤란의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셋째, 유아기 아버지 온정적 양육태도는 놀이상호작용을 매개로 아동기 집행기능 곤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기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아동기 집행기능 곤란에 미치는 영향은 유아기의 긍정적 놀이상호작용 에 의해 강화될 수 있음을 규명하였고 자녀양육에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입증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father s warmth parenting attitude, peer play interaction in early childhood,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in childhood, and to verify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peer play interaction. Methods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longitudinal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Results First, peer play interaction in early childhood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in childhood showed a linear pattern of change. Second, in the path coefficient of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the initial value of the father s warmth parenting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the peer play interaction, while the initial value of the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in the childhood had a negative effect. In addition, the initial value of peer play interaction negatively affected the initial value of the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in childhood. The father s warmth parenting attitud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in peer play interaction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father s warmth parenting attitude in early childhood had an effect on the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in childhood through peer play interaction. Conclusions The effect of father s warmth parenting behavior in early childhood, on the difficulty of the execution function of childhood can be enhanced by the positive peer play interactions of early childhood, and there is significance that has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fathering role in child development.

      • KCI등재

        청소년의 지각된 부모지지, 자아통제력, 학교적응의 종단적 관계

        최정아(Choi Jung-Ah)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社會科學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지지와 자아통제력, 그리고 학교적응이 시간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를 기반으로 한 상호연관성은 어떠한지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별잠재성장모형 및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을 구성하여 한국청소년패널(KYPS)중학교 2학년 데이터 1~5차년도 자료에 대하여 실증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5년 동안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지지, 자아통제력, 학교적응 수준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1차년도에 측정한 부모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동일한 시기의 학교적응과 자아통제력 수준이 높고, 자아통제력 수준이 높을수록 학교적응 수준 역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1차년도에서 5차년도까지 부모지지 수준이 급격하게 증가할수록 학교적응과 자아통제력 수준 역시 빠르게 증가하며, 자아통제력 수준이 가파르게 증가할수록 학교적응 수준의 증가폭 역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부모지지 및 자아통제력이 학교적응에 횡단적으로뿐 아니라 종단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비추어 청소년의 학교적응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부모 및 청소년에 대한 개입에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parental support, self-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as well as the development from Grade 8 to Grade 12 by repeated assessment of Korean adolescents. The data from Korea Youth Panel Study (KYPS) of 8th graders who were followed fer five years were analyzed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Latent growth model showed that adolescents experience an increase in parental support, self-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during five years. In addition,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suggested that parental support had significant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self-control. The evolution of parental support was related to the evolution of school adjustmen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the evolution of self-control. These results imply that parental support and self-control need to be emphasized as a strategy in order to improve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 KCI우수등재

        청소년의 독서활동,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관계

        이향미,정혜원 한국교육학회 2019 敎育學硏究 Vol.57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성장 발달과정에서 독서활동, 자기효능감, 국어, 수학 학업성취도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독서활동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국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종단적 매개효과를 상대적으로 비교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교육연구원이 수집한 경기교육종단연구(GEPS)의 초4 패널 데이터 3차년도(초6)부터 5차년도(중2)까지 3년 동안의 자료를 사용하여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독서활동과 자기효능감은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였고 국어, 수학 학업성취도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초기값과 변화율에 개인차가 있었다.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경로계수를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 초기값과 변화율이 국어, 수학 학업성취도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국어와비교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청소년의 독서활동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국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검증한 결과, 초6 시기인 초기값 간의 매개효과와 초6부터 중2 기간 동안의 변화율 간의 매개효과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국어와 비교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더 정적인 영향을 주는결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of adolescents’ reading activity, self-efficacy, and Korean·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We further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ose longitudinal factors of three latent variables.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from the Gyu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2014-2016), Wave Ⅲ (6th grade) toⅤ (8th grade), collecting responses of 3,163 Studuents.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M-LGM) was employed to analyze longitudinal changes of reading activity, their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and math subjects in three time-points from 6th grade to 8th grade. Results showed that mostly of the growth factors (i.e. initial status and growth rate) in three variab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ing that those variables linearly increased or decreased over time. Specifically, reading activity and their self-efficacy were decreased and academic achievement both in Korean and math was increased. Moreover, students who showed higher self-efficacy in growth factors revealed better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students’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between reading ac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both in Korean subject, and in ma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어머니의 우울이 부모의 양육행동을 매개로 유아의 불안/우울에 미치는 영향: 다변량 잠재성장모형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한 종단매개효과 검증

        성정혜,김춘경 육아정책연구소 2018 육아정책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 in the influence of mother's depression in infant's anxiety/depression.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depression, parenting behavior and infant’s anxiety/depressio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and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were used.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s longitudinal data collected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KICCE) was analyzed for the study. First, the results analyzed by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Curve Model revealed that mother's parenting behavior had significant partly mediating effect in the influence of mother's depression toin infant's anxiety/depression. Also, mother's parenting behavior had significant completely mediating effect on the father's parenting behavior to infant's anxiety/depression. Second, the result from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showed the longitudinal mediated effect between parenting behavior and infant's anxiety/ depression. The results suggest development of a program to reduce infant's anxiety/depression and education for parents with infant children.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우울과 부모의 양육행동, 유아의 불안/우울 간 종단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조사의 6차, 7차, 8차년도의 종단 자료를 활용하여 어머니의 우울과 부모의 양육행동, 유아의 불안/우울 간의 상호관계를 다변량 잠재성장모형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실시한 결과, 초기값을 중심으로 어머니의 우울이 유아의 불안/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불안/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에서 부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불안/우울 간 종단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아의 불안/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기 위한 부모교육과 이와 관련된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대인관계역량과 학교적응의 관계

        김민선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대인관계역량과 학교적응의 변화를 시간에 따라 살펴보고, 두 변인 사이의 종단적 영향관계를 조건변수인 성별, 체험활동 참여여부, 멘토링 프로그램 만족도에 따라 함께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삼성꿈장학재단의 멘토링 꿈장학사업에 참여한 고등학생 1학년의 1차년부터 3차년(2018~2020년)까지의 설문 응답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따른 연구결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청소년의 대인관계역량과 학교적응 변인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선형적 증가 양상을 나타냈다. 둘째, 대인관계역량 변인의 초기 결과치는 학교적응 변인의 초기 결과치에 영향을 주며, 대인관계역량의 변화율은 학교적응의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학생의 경우가 학교적응 초기치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멘토링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대인관계역량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군집분포의 형태와 표본의 크기가 성장혼합모형 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신택수(Tacksoo Shi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1 교육평가연구 Vol.24 No.1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ing, GMM)은 모집단 내 성장 형태가 다른 하위집단을 규명하는 기법으로 다양한 연구 문제를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 많은 사회과학연구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혼합모형(Mixture Modeling)의 효율성에도 불구하고 기술적 측면에서 명확히 검증되어야 할 부분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특히, 군집분포의 형태가 성장 혼합모형 분석 결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혼합모형이론에 근거하여 두 연구조건(군집분포의 형태와 표본의 크기)이 GMM 결과(잠재집단의 수, 성장모수와 소속집단 확률 추정치)에 미치는 영향을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군집분포가 다변량 정규분포를 이루는 경우 잠재집단의 수는 과소추정 되었으며 다변량 비정규분포 조건 하에서는 BIC(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와 BLRT (Bootstrap Likelihood Ratio Test)가 정확하게 하위집단의 수를 추정하였다. 하지만, 성장 모수와 집단 소속 확률 추정치는 다변량 비정규분포가 존재할 경우 편향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본의 크기가 클수록 안정적인 통계 결과를 얻었으나 그 영향은 상대적으로 작았다. Growth mixture modeling(GMM) is used to find the existence of subgroups, which have distinct growth trajectories. Despite usefulness of mixture modeling, there are some unresolved issues in application of this latent class analysis(LCA). Especially, there has been little study to examine the effects of aggregated distribution shapes on GMM analysis. At this point, this Monte-Carlo simulation study investigated how statistical inferences of GMM including the number of class, latent growth parameter estimates, as well as class probability parameter estimates were influenced by distribution shapes and sample siz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class tended to be underestimated when aggregated distribution was followed by multivariate normality. With the conditions of multivariate nonnormality, BIC(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 and BLRT(Bootstrap Likelihood Ratio Test) precisely detected the number of subgroups. However, biases of growth and class probability parameter estimates increased under nonnormal aggregated distribution. The larger sample sizes were favorable, while the effects were relatively small.

      • KCI등재

        부모가 지각한 부모-자녀관계,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 및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관계 :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전소영,박찬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4 교육문화연구 Vol.30 No.6

        본 연구에서는 부산교육종단연구에서 4개년 간 수집한 학생과 학부모 자료를 이용하여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3학년 사이 청소년들의 진로성숙도와 자기주도학습, 부모가 지각하는 부모-자녀관계의 종단적 변화를 살펴보고, 부모-자녀관계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의 종단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활용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변인의 시간에 따른 변화양상을 확인한 결과, 부모가 지각하는부모-자녀관계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감소하는 반면, 자기주도학습과 진로성숙도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으로 세 변인간 종단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모-자녀관계와 자기주도학습 간 관계에서는 초기치인중학교 3학년 시기 부모-자녀관계가 긍정적일수록 같은 시기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뛰어나며, 부모-자녀관계의감소율이 클수록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감소율 또한 크게 나타났다. 자기주도학습과 진로성숙도 간 관계에서는 중학교3학년 시기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승능력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는 높지만, 진로성숙도의 증가율은 감소하며, 자기주도학습능력 증가율이 클수록 진로성숙도의 증가율도 커졌다. 부모-자녀관계와 진로성숙도 변인 간 관계는 통계적으로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자기주도학습은 부모-자녀관계와 진로성숙도 간 종단적 관계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에 대한 관심 등을 부모 입장에서 반영한 부모-자녀관계가자녀의 진로에 미치는 영향이 간접적이라는 점과 부모-자녀관계가 특정 시점이 아닌 일정 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청소년의자기주도학습능력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지능변화신념과 수업이해도 간의 종단적 관계에서 도움요청 행동의 매개효과 검증

        장유진,원성준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7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지능에 대한 성장신념, 도움요청, 수업이해도의 시간에 따른 종단적 변화와 이들 간의 종단적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를토대로 지능변화신념이 도움요청을 매개로 수업이해도에 미치는 직·간접효과를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05의1-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총 6,82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의 성장신념, 도움요청, 수업이해도는 중2에서 고1까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전 학업성취와 성별을 통제했을 때 성장신념의 초기값은 도움요청과 수업이해도의 초기값을, 도움요청의 초기값은 수업이해도의 초기값을 각각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성장신념의 변화율은 도움요청의 변화율을, 도움요청의 변화율은 수업이해도 변화율을 정적으로 유의하게예측하였다. 셋째, 부트스트래핑 검정 결과 도움요청의 초기값은 성장신념의 초기값이 수업이해도의 초기값에 이르는 경로를, 도움요청의 변화율은 성장신념의 변화율이 수업이해도의 변화율에 이르는 경로를 각각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이론적·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longitudinal changes in adolescents’ growth mindset, help seeking, and learning. Further, we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the longitudinal changes. We used 4 waves of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KELS) 2005 data. A total of 6,824 students’ responses from their Grade 8 to 10 were analyzed. First, results of latent growth modeling analyses revealed that the intercept and slope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growth mindset, help seeking, and learning, indicating linear decreases over time. Second, after controlling for previous achievement and gender,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analyses demonstrated that the initial level of growth mindset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initial level of help seeking. The initial level of help seek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initial level of learning. In addition, the change of students’ growth mindset was associated positively with the change of help seeking, which was, in turn, associated positively with the change of learning. A bootstrapping analysis supported the mediating role of help seek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