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신세대 농민공의 경계인으로서의 삶 — 관계지향적 개인화를 중심으로

        허설화 한국사회사학회 2022 사회와 역사 Vol.- No.135

        This study seeks to offer an alternative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lives of Chinese migrant workers. It deviates from existing research by employing a microscopic perspective and treating the new-generation migrant workers as individuals rather than as the by-product of institutional or structural situations. In this study, the marginal lives of the new generation of rural migrant workers are approached as a result of interlocking with the ‘relationship-oriented individualization’ of Chinese society. The individualization of rural migrant workers can be divided into two stages: the ‘detraditionalization period’ from the 1950s to the early 2000s and the ‘urbanization period’ from the early and mid-2000s to the present. Specifically, rural migrant workers from the 1950s to the 1970s initially lacked ‘individual’ subjectivity due to collective economic organization and family community. However, from the 1980s to the 1990s, rural migrant workers separated from collectivization and reached the ‘individualization’ of their life forms. It is noteworthy that although rural migrant workers entered the city as ‘individuals’, they were still closely connected with the traditional community network. This relationship network began to weaken as rural migrant workers entered the ‘urbanization period’ in the early and mid-2000s. During this time, rural migrant workers have been able to show their subjectivity as ‘individuals’ and pursue their own lives. On the other hand, under an imperfect system and social stability mechanism, they have also been exposed to various risks. In other words, the rural migrant workers’ awareness of subjectivity has strengthened, while their anxiety has risen. Therefore, individuals adopt the community orientation to secure stability through (re)construction of organic solidarity. There is always an essential tension between subjectivity and community-ness in the consciousness of the new generation of rural migrant workers, and interaction with each other runs throughout their lives. 이 연구는 신세대 농민공의 경계인으로서의 삶을 제도나 구조적 상황의 부산물로 바라보는 기존의 연구시각에서 벗어나, 신세대 농민공의 ‘개인’으로서의 삶을 규명할 수 있는 미시적 접근을 시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세대 농민공의 경계인으로서의 삶을 중국사회의 ‘관계지향적 개인화’와 맞물려 낳은 결과로 바라본다. 중국 농민공의 개인화 실천은 195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의 ‘탈전통화 시기’와 2000년대 초·중반부터 현재까지의 ‘도시민화 시기’의 두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950-70년대의 농민공은 집단경제조직과 가족공동체에 의해 ‘개인’으로서의 주체성이 결여되었다. 그러다 1980년대~90년대 개혁개방 정책의 실시와 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의 도입을 계기로 농민공은 탈집단화하여 삶의 형태의 ‘개인화’에 이르렀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이 시기 농민공은 비록 ‘개인’ 형태로 도시에 진출했지만 관계적 네트워크 차원에서는 여전히 전통 농촌공동체와 긴밀한 상호의존관계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적 네트워크는 2000년대 초·중반 ‘도시민화 시기’에 진입하면서 그 기능이 급격히 약화되기 시작하였다. 도시에서 농민공의 신분 지위와 취업 여건이 호전됨에 따라, 농민공은 전통 가치와 관계적 네트워크에서 점차 분리되어 나와 ‘개인’으로서의 주체성을 발현하여 ‘자신의 삶(a life of one’s own)’을 추구하기에 이르렀다. 한편으로, ‘도시민화 시기’ 농민공은 짧은 기간 내에 압축적인 방식으로 도시의 근대화를 체감하고 제도적, 사회적 안전장치가 미비한 상태에서 다양한 생애위험에 노출되기도 하여 위험인식이 높다. 따라서 이 시기 농민공은 주체성 인식이 강화됨과 동시에 불안감도 증폭되고 개인은 유기적 연대의 (재)구축을 통해 안정감을 확보하려는 공동체 지향성을 발현한다. 신세대 농민공들 의식 속에 내재되어 있는 이러한 주체성과 공동체성 사이에는 필수적인 긴장이 항상 유지되고, 양자의 상호작용은 신세대 농민공의 삶 전반을 관통한다. 즉, 신세대 농민공의 경계인의 삶은 일견 비자발적, 비합리적인 무질서한 움직임으로 보이지만 이들 행위 배후에는 개인으로서의 주체성과 집단으로서의 공동체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고자 하는 현실적인 삶의 가치관이 내포되어 있다.

      • 중국 농민공 주택구매 및 이주문제:

        우치앤(Wu Qian),황번(Huang Fan) 한국주택학회 2017 한국주택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

        20세기 80년대 이후 중국은 경제체제를 계획경제로부터 시장경제로 방향을 바꾸기 시작하였다 중국의 개혁개방과 신속한 경제발전으로 말미암아 도시와 농촌의 지역적 불균형을 초래하였다 따라서규모가 방대한 농촌 잉여노동력 도시로의 대이동이 시작된다 날로 늘어나는 농민공의 이주는 중국의 인구분포구조에 변화를 가져왔다 즉 도시인구의 분포가 농업농촌인구가 위주인 형태로부터 비농업도시인구 위주인 인구구조로 바뀐것이다 이 구조 또한 현대사회의 기본상징이기도 하다 갈수록 많은 농민공들이 도시에 유입되어 도시화발전을 촉진하는 원인이 되었다 하지만 농민공이라는 집단이 진정으로 도시생활에 적응하고 도시주민과 동등한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하려면 농민공의 도시주거환경문제의 개선이 가장 중요한 문제로 부각된다 주택은 농민 공의 도시생활에서의 가장 필요한 생존조건중의 하나이다 농민공의 도시주거문제를 해결하고 개선하는 것은 농민공의 삶의 질의 향상 뿐 만 아니라 장기적 안정적 발전에도 유리하다 효과적인 문제해결은 도시건설의 속도 및 사회의 경제발전에도 중요한 것이다 현재 중국의 농민공은 주로 농촌지역 출신이고 도시에서 취직하면서 분산되고 유동성이 강하며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는 등 특징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 임금이 낮고 자신의 힘으로 주거환경을 개선 할수 있는 능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즉 대다수의 농민공들의 임금수준으로 도시에서 주택구입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도시의 거래용 주택의 매매는 농민공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 일이다 평생 월세 방에서 생계를 이어가는 농민공들에게 도시의 안정적인 생활과 소속감은 사치 그 자체이다 따라서 농민공이 근무지에서의 주택 구입계획은 아주 중요하다 어떠한 요소들이 농민공들로 하여금근무지에서 주택을 구입하는데 영향을 미치는지가 아주 흥미롭고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 천진시에서 근무 중인 농민공을 대상으로 일대일 형식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따라서 보다 객관적으로 농민공들의 주택 구입소원과 영향을 미칠수 있는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반(半)도시화’ 중국농민공들의 난제 및 시민화에 필요한 입법

        황해흠 ( Huang Haixin ),조동제 ( Cho Dong-je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硏究 Vol.29 No.1

        중국에서 개혁개방 정책을 실시한 이후, 많은 수의 농민공은 도시에 진출하게 되었고, 그들은 중국사회의 도시화 및 공업화 발전 그리고 현대화 건설을 위해 크나큰 공헌을 하였다. 하지만 현재 농민공은 도시의 시민도 아니고 진정한 농민도 아닌 ‘반(半)도시화’라는 난감한 처지에 처해져 있다. 이들은 지역과 직업의 변화만 있을 뿐, 사회적 신분은 여전히 농민으로 되어 있으며, 국민으로서의 마땅한 대우를 누리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현대도시의 행동양식과 가치적 이념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채 시종일관으로 도시로 부터 방치되어 있다. 중국 농민공 문제는 수억 명의 농민공 및 가족들의 권익과 밀접하게 관계되는 문제이면서 경제이익, 사회권익, 정치권력 및 문화융합 등 종합적인 문제도 내포하고 있다. 본 논문은 중국의 현실에 근거하여, 중국 특유의 농촌인구 유동 과정과 중국 농민공의 실생활 현황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제도적 원인, 농민공의 자체적 원인과 사회적 원인 등 3가지를 분석 및 고찰하여 ‘반(半)도시화’가 형성된 원인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있다. 또한 농민공의 취업, 사회적 보장과 공공서비스, 문화와 정치생활 등에 있어서의 현재 ‘반(半)도시화’로 직면하고 있는 난제에 대해서도 분석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농민공이 시민화하는 과정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도시와 농촌의 이원적 체제이다. 이러한 이원적 체제가 초래한 결과인 이원적 토지, 호적, 취업, 사회보장 등에 있어서의 제도적 미비와 불공정함이 농민공의 시민화 과정에서 주요한 장애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에 관련된 연구를 통하여 농민공의 ‘반(半)도시화’에 놓인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있으며, 동시에 농민공의 시민화를 실현하는데 그 취지를 두고 있다. Since China implemented reform and opening-up policy, large quantities of migrant workers have entered into the cities, and they have made great contribution to China’s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But they are in the embarrassed condition of half-urbanization between city and countryside. They only changed the region and occupation, social identity is still the farmers. They can’t enjoy the national treatment, also did not form the behavior and value concept of modern city, always on the edge of the city. The problem of Chinese migrant workers is closely related to the rights and interests of hundreds of millions migrant workers and their families, and also includes comprehensive problems such as economic benefits, social rights, political power and cultural convergence. This article from the reality of China, through the investigation on the rural population flow and living situation of migrant workers in China, from the three aspects of employment, social security and public services, cultural and political life, analyzes the predicament of semi urbanization, and then from the three aspects of the institutional factors, migrant workers’ own factors and social factors, analyzes the reasons for the formation of semi urbanization. The urban-rural dual system is the biggest influencing factor in the citizenization process of migrant workers. Due to the urban-rural dual system, dual land, household registration, employment, social security and other systems are the major obstacle to the citizenization of migrant workers. On the basis of research and analysis, this dissertation gives aspects of suggestions on the legal construction, to provide theoretical reference for the citizenization process of migrant workers and realize the real citizenization of migrant workers.

      • 중국 사회보험의 사각지대에 관한 연구

        김병철(Byung Cheol Kim)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17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3 No.2

        개혁개방정책 이후 농민공의 도시 유입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최근 중국 경제발전에 대한 농민공의 기여도가 점차 인정되면서, 중국 정부는 농민공을 위한 일련의 조치를 단행하였다. 중국 정부는 기존의 도시와 농촌으로 이원화된 호구제도를 점차 완화하는 동시에, 농민공의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급여를 올리며 정치 참여의 길을 여는 등 농민공의 삶을 꾸준히 향상시켰다. 이렇게 그들이 도시에서 점차 시민으로서의 권리를 획득해가는 반면, 농민공의 복지권은 아직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 유동이 빈번한 농민공일수록 특정한 직장이나 거주지를 정하지 못해 사회보험, 공공부조와 복지서비스 등 사회보장의 사각지대에 남겨져있다. 특히 2016년말 현재 2억 8천 171만여명으로 추산되는 농민공들 중 70% 이상은 노동계약 미체결로 사회보험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2011년 7월 사회보험법 시행으로 인해 농민공이 법제도적 대상자임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농민공들이 사회보험체계에서 배제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글은 사회보험 사각지대에 초점을 두고 농민공의 사회보험 적용범위를 살펴보고, 농민공이 사회보험제도에서 배제된 주요 원인을 분석한다. Since the opening of the reform and opening, rural-to-urban migrant workers have made great contribution to the economic development in urban China. The influx of China’s migrant workers into the city has increased every year. In 2016 a total of 281.71 million migrant workers (36% of the total workforce of 776 million) existed in China. Out of these, migrant workers who left their hometown and worked in other provinces accounted for 169.34 million (an increase of 0.3% compared to 2015) and migrant workers who worked within their home provinces reached 112.37 million (an increase of 3.4% compared to 2015). China’s migrant workers are commonly members of a floating population, which refers primarily to migrants in China without local household registration status through the Chinese Hukou system. China’s migrant workers are merely socially disadvantaged in the city. Generally, China’s migrant workers are most excluded from education, housing, social welfare programs and many jobs because of their lack of hukou status. Although situatin is much better than the past, China’s migrant workers still face difficulties such as low wages, delayed wages, extension of working hours, working without a labor contract, and nonpayment of social insurance. The enactment of Social Insurance Act in 2011 made it possible to be applied to all migrant workers legally and sytstematically. But the majority of China’s migrant workers are in the blind spot, because they are not coverd by social insurance. Therefore, this article with its focus on the blind spot of social insurance examines the coverage of social insurance for China’s migrant workers and then analyzes the major causes of the exclusion of China’s migrant workers from social insurance system in China.

      • 신세대 농민공의 사회보장 문제에 관한 소고

        박영실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2011 동아시아 : 비교와 전망 Vol.10 No.2

        중국에서 농민공(農民工)은 개혁개방과 함께 등장하여 현재는 거대한 계층으로 성장한 노동집단이다. 농민공은 사회주의 신 중국 농촌의 건설자이며 국민경제발전에 거대한 공헌을 하였다. 최근에는, 이들 농민공 중에서도 젊은 신세대 농민공 계층이 중국 정부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신세대 농민공은 제1세대 농민공에 비한다면 도시 주민에 더 가깝다. 그들의 생활방식 및 가치관은 제1세대 농민공과 비교하여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데, 도시 생활을 동경하며 도시에서 더 많은 발전 기회를 얻고자 한다. 그러나 도농이원화체제로 인해 신세대 농민공들은 농민의 신분으로서 도시 주민들과 같은 사회보장권익을 향유할 수 없다. 신세대 농민공은 중국 사회 발전에 있어 중요한 원동력이다. 따라서 그들의 사회적 권익은 더욱더 보호 받아야 한다. 본문은 사회 현실에 입각하여, 신세대 농민공의 특징 및 시민화 과정에서의 사회 보장 결핍으로 인한 권익 침해 원인을 분석 연구하고 사회 보장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실행 가능한 해결책을 제시하여 보고자 한다. In China, peasant migrants are labor groups which grew as a huge class with the appearance of reform and market opening. These peasant migrants have built a new socialist Chinese farming area, and also an important driving force of constructing urban areas, greatly contributing to Chinese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In recent years, the Chinese government is putting great focus on new generation migrant wokers among the total peasant migrants. Compared to the 1st generation peasant migrants, these new generation migrant wokers are close to urban residents. Their life styles and values are grea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1st generation's, aspire urban life, and want to seize more developing opportunities in the city. However, due to town and village separation system, new generation migrant wokers are in fact farmers, and cannot enjoy the same social security rights as the urban citizens do. The new generation migrant wokers should enjoy more social security rights as the main driver of China's social development. In this regard, this thesis considers the current status and its reasons why new generation peasant migrants lag far behind in terms of social security rights during the citizenship process. In addition, this thesis suggests feasible solutions by reviewing the necessity of the social security, As the main force of city consruction, new generation migrant workers have also played Connecting roles in their family. New Generation Migrant Wokers bring more and more social problems with their coming. Therefore, how to protect Generation Migrant Wokers social security rights is worth to be discussed and solved. Only in this way, the social stability will be kept.

      • KCI등재

        중국 농민공의 계층분화와 주변화 - 불법 이농민에서 도시빈민으로

        이민자(李民子)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7 신아세아 Vol.14 No.2

          중국 베이징(Beijing)의 동향촌(同鄕村: migrant community) 농민공에 대한 기존연구에 의하면, 농민공은 이질적인 다양한 사회계층으로 구분되며, 그 중 경제적 상층은 이미 주류사회에 진입하여 시민화되고 있다.<BR>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동향촌 밖 농민공의 도시적응방식의 특징에 관한 연구를 통해 "주변화," "도시빈민화"라는 측면에서의 농민공의 동질성을 보여주었다. 이 논문의 문제의식은 "동향촌 밖에" 거주하는 농민공들이 2000년대 호구제도 개혁, 차별정책 폐지라는 제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왜 시민화에 실패하는지이다. <BR>  농민공들이 도시에서 장기거주할지라도 도시 주류사회로 진입하여 "시민"으로 동화 혹은 통합되지 못하고 "주변화(marginality)" 되는 이유를 다음 4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설명 했다. 첫째, 제도 개혁의 한계: 농민공과 시민 간의 차별정책이 일부 폐지되고 있으나 여전히 "농업 호구"로서 시민과 불평등, 둘째, 경제적 빈곤: 이중적 노동시장에서 시민이 기피하는 3D 업종에 종사하며 도시 빈민화, 셋째, 고립된 거주 공간" 도시 외곽의 농민공 집중거주지(城中村: village in the city)에 거주, 넷째, 사회적 빈곤: 사회, 문화적 차별로 인한 고립된 사회관계 등이다. 특히 농민공이 주변화 되는 이유는 위 4가지 요인 중 호구제도 자체의 제약보다는 단위제도(單位制度)로 인해 발생한 경제적 빈곤, 고립된 거주공간, 사회적 빈곤이 더 강하게 영향을 미친다.   According to the former research on Chinese peasant migrants in the Beijing migrant community, peasant migrants has been divided into multiple social classes, and their upper class has been integrated into major citizenry. This paper focuses on the adapting pattern of the peasant migrants outside Beijing migrant community, finding that they has been marginalized and become urban poor.<BR>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that the peasant migrants has failed in being integrated into major citizenry because of the following four reasons. First, the peasant migrants are still under the control of unfair Hukou System although many discrimination policies has been abolished, that is, the limitation of system reform. Second, the peasant migrants became urban poor, working on 3D jobs in the dual labor market, i. e., economic poverty. Third, most peasant migrants inhabit suburb village in the city, i. e., isolated living area. Fourth, the peasant migrants suffer cultural and social discrimination, i. e.. social poverty. Among these factors, the latter three factors, generated by Chinese Danwei System, have had more serious impact on the marginalization of the peasant migrants.

      • KCI등재후보

        중국 농민공 권익보호제도에 관한 소고

        趙東濟 한중법학회 2012 中國法硏究 Vol.18 No.-

        China's economic reformation has brought about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in cities, thus resulting in a substantial increase in the demand for labor. At the same time, the implementation of rural household contract responsibility system and two-level management system have made it possible for the rural labor to leave the countryside. Under this circumstance, the irresistible historical trend occurs that more and more Chinese farmers are becoming migrant workers in cities. With the development of China's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since the late 1980s, a large number of migrant workers have become important human resources for China's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due to China’s systematic reason and the lack of institutions and regulations, the Chinese migrant workers, being at the utmost bottom of the city and not protected equally in rights and interests, have worked very to survive. Therefore, it is both the migrant workers’ urgent requirements and the society’s goals and targets to safeguard effectively the rights and interests of migrant workers by eliminating the unreasonable barriers in Chinese systems. In the perspective of a foreigner, by examining their survival situation in Chinese cities, the author is concerned about the protection of the Chinese migrant workers’ legal rights. Sorting out clearly the main problems faced by the Chinese migrant workers and analyzing the deep-seated causes in the course of China’s development, we may find out some feasible ways for China's migrant workers to apply in protecting their rights and interests.

      • KCI등재

        중국 농민공의 불안정노동에 대한 실증연구

        유우(Yu Liu),이승윤(Sophia Seung-Yoon Lee)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1 아시아리뷰 Vol.11 No.2

        본 연구는 중국의 특수한 사회경제적 맥락에서 확대되고 있는 농민공의 노동불안성정을 고용, 임금 및 사회보험 세 가지 측면에서 다차원적으로 살펴보고 이들의 불안정노동 특징을 실증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중국 농민공의 형성배경, 특징 및 이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불안정성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고 불안정노동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어, 중국 맥락에서 고용관계의 불안정성을 분석하기 위해, ① 공식부문에서의 무기계약, ② 비공식부문에서의 무기계약, ③ 공식부문에서의 단기계약 등의 비전형계약, ④ 비공식부문에서의 비전형계약 및 무계약의 4가지로 불안정성의 ‘정도(degree)’를 구분하여 고용불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이어 임금의 불안정성 그리고 사회보험의 배제 측면에서도 농민공의 불안정성을 정도를 구분하여 측정하고, 마지막으로 고용관계, 임금수준 그리고 사회보험의 측면을 모두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농민공을 불안정노동집단, 다소 불안정노동집단, 다소 안정한 노동집단, 그리고 안정적인 노동집단으로 나누어 불안정성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은 중국노동력동태조사 2차(Chinese Laborforce Dynamics Survey, CLDS 2014)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세 가지 측면에서 모두 ‘매우 불안정한’ 농민공과 ‘불안정한’ 농민공은 전체 연구대상의 93.4%를 차지하여 중국 농민공의 노동불안정성의 정도는 매우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농민공의 심각한 불안정노동에는 특히 고용불안정성이 주요 속성으로 드러났는데 90% 이상의 농민공이 도시의 비공식부문에서 비전형계약 및 무계약 형태로 일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고용형태를 중심으로 보이는 농민공의 다차원적 불안정노동에 대한 이러한 분석결과는 중국의 제도적 맥락에서 형성된 복잡한 고용형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 주며, ‘비정규직’ 또는 ‘비전형노동’만으로는 불안정노동을 설명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는 함의를 준다. 중국 호구제의 경로의존성과 도농이원경제구조의 제도결합과 함께 형성된 농민공의 노동불안정성에 대한 본 연구결과는, 중국의 제도와 불안정노동자확대의 관계에 대한 이후 연구뿐만 아니라 불안정노동의 개념에 대한 일반 논의 확장에 있어서도 함의를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anding migrant peasants (Nong-Min-Gong) in the special socio-economic context of China in a multidimensional manner in terms of employment, wage and social insurance, and to empirically analyze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recarious work.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migrant peasants and their various instability experiences, and systematically reviewed existing studies on precarious work. Based on this, precarious work is classified into four degrees: very unstable, somewhat unstable, somewhat stable, stable, and unstable labor using data from the Chinese Labor-force Dynamics Survey (CLDS, 2014) and was analyzed in three aspects: employment, wage, and social insur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ose too precarious in all three aspects, that is “very precarious” and “precarious” migrant peasants accounted for 93.4%, revealing that the precariousness of Chinese migrant peasants was very serious. In addition, the fact that precarious employment could be interpreted as the main cause of the serious precarious labor of migrant peasants, which has implications for policy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on the multidimensional precariousness of the migrant peasants have implications since there is a limit to explaining precarious work only by ‘non-regular workers’ or ‘atypical laborers’ when looking at the complex employment types in China. The results can also have implications for the need to analyze rapid changes in the labor market and the need to analyze the historical institutional pathways surrounding workers and the combination of institutions from multiple perspectives. In other words, the study has implica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on the path dependence of the household registration system and the combination of the urban-rural dual structure to form the precarious workers in China, represented by migrant peasants.

      • KCI등재

        라캉의 “실재”개념으로 읽는 중국 근,현대미술의 단면 - 농민·농민공형상을 중심으로

        이영일 ( Yongri L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1

        중국 미술계에서 농민과 농민공(農民工, 즉, 농민노동자)주제는 주요한 메뉴인데 이는 정치체제가 사회주의인 것과 불가분하겠다. 아울러 1990년대부터 수많은 농민은 농민공으로 “전락”되었는데(현재 1억명 이상으로 추산) 이는 중국 경제개방정책의 산물이다. 농민과 농민공이 미술계에서 어떤 형상으로 등장하였는가는 상징계와 실재의 관계문제이다. 즉 농민(농민공)은 시대마다 그 정치체제요구에 따라 왜곡되고 변형되고 전유되었다. 실재로서의 농민(농민공)은 상징계에 포획되는 한에서 농민(농민공)의 얼굴을 드러낼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은 재현되어지는 자이고 보여 지는 자이고 자신의 언어가 없는 자들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농민과 농민공형상에 대한 관련 연구는 진행되었으나 라캉의 실재개념을 활용하여 상징계와의 관계속에서 분석한 논문은 부재한 것만큼 본고는 창의적인 이론의 실천성이 필요하였다. 논의의 순조로운 진행을 위하여 Ⅱ장에서 실재개념과 농민(농민공)형상의 연계가능성을 이론적으로 다루었다면, 작품분석부분인 Ⅲ장 1절에서 모택동시대의 농민이 어떻게 상징계에 의하여 “행복한 형상”으로 전유되었는지를 분석하였고 2절 1, 2절에서는 1980년대에 두차례 전유된 농민형상으로 “불행한 농민형상”과 “낭만적인 농민현상”을 실재개념으로 분석하였다. 아울러 3절에서는 1990년대 이후 농민공형상을 “보여지는 것”과 “보여주는 것”으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는데 전자는 실재가 상징계에 어떻게 “실제”적으로 재현되어지는가의 문제와 연동된다면, 후자는 타자의 욕망이 그들(실재)에게 어떻게 투사되는가의 문제에 상응할 것이다. Ⅳ장은 Ⅲ장과 결론은 잇는 작업이다. 광의적으로 본고는 미술계에서의 타자문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단순히 농민과 농민공 주제라는 개별성이나 특수성에 머물지 아니하고, 동시대담론에서 타자로서의 보편적문제와 연결되는 것만큼의 의미부여가 가능할 것이다. The topic on peasants and rural migrant workers in Chinese art is one of key issues, because it relates to Chinese political system, the socialism. From 1990s, a lot of peasants turn into rural migrant workers (nowadays the total number is about 100,000,000), and they are the products of Chinese Economic Reform. What kind of image do peasants and rural migrant workers come into being? It could be revealed in its relations in the Symbolic and the Real, because the image of peasants (rural migrant workers) has been twisted and transformed in different period according to different political requirements. Peasants (rural migrant workers) present illusive faces in the Symbolic, because they, who are lack of their own language, are passively represented. Although many studies have considered the image of peasants and rural migrant worker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examining this topic with the application of Lacanian Real. Hence this paper requires some creative ways to analyze in the connection between practice and theory. This paper has been divided into six parts: Chapter Two deals with the relation between the concept of the Real and the image of the peasants (rural migrant workers); the first part of Chapter Three investigates how the peasants are depicted as the image of happiness in the period of Mao; the second part of Chapter Three examines the images of “unhappy peasants” and “romantic peasa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al; the third part of Chapter Three analyzes the image of peasants after 1990s in the division of what is seen and what is to be seen. The image of what is seen is related to how the Real is represented in the Symbolic, while the image of what is to be seen is connected with how the desire of the Other is projected. Chapter Four and Five are extended to the conclusion. In general, this paper does not limit in analyzing the particularity and singularity of peasants and rural migrant workers in the history of Chinese art, but extends to the universality of the Other in contemporary discourse.

      • KCI등재

        중국 호구제도 개혁과 농민공(農民工) 2세의 시민화

        이민자(李民子)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5 신아세아 Vol.22 No.1

        시진핑(習近平) 정부가 신형도시화 정책을 제시한 후 호구제도 개혁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연구 목적은 호구제도(戶口制度) 개혁이 ‘농민공(農民工) 2세’의 시민화에 어떤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는지 설명하는 것이다. 호구제도 개혁에 따라 농민공 2세가 도시에서 시민화 되는 과정을 ‘분할된 통합(segmented incorporation)’이라는 용어로 설명했다. 이 개념을 통해 농민공 2세가 도시에서 호구에 인하여 시민으로 완전히 통합되지 못하고 중국정부가 허용하는 제한된 영역에서만 시민으로 대우받는 상황을 보여주었다. 첫째, 호구제도 개혁에도 불구하고 대도시 농민공은 특정 허용된 영역에서만 시민 대우를 받는‘분할된 통합’이 나타나고 있다. 예컨대 농민공 자녀는 대도시에서 공립학교 입학으로 제도적으로는 통합되었지만, 현지 사회의 문화적 저항으로 인해 ‘공간적 격리(spatial segregation)’를 겪고 있다. 둘째, 농민공 자녀는 대도시에서 대입 시험에 응시할 수 없는 ‘제도적 배제’를 경험하고 있지만, 2014년부터 일부 도시에서 농민공 자녀에게 대입시험 응시자격을 허용한 것은 ‘분할된통합’이라 볼 수 있다. 셋째, 외자기업에서 주로 일하는 농민공 2세는 집단저항과 연대파업을 통해 제도적 차별에 저항하며 노동자로서 권리를 찾아가며 시민으로 정착을 시도하고 있다. The household registration system (hukou) has been rapidly reformed since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announced a new urbanization policy.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ain the institutional and cultural incorporation of second-generation migrant workers in the reformed hukou system in China. It argues that the hukou system still represents a critical social boundary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foreign factories where second-generation migrant workers are working. Despite the reforms, second-generation migrant workers are unable to be full residents in big cities such as Beijing and Shanghai. They can only be accepted as “full residents” in the limited sphere that the Chinese government has permitted. This paper applies the term “segmented incorporation” to characterize differences between urban residents and migr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