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어린이 놀이터를 위한 공공미술 개념의 도입에 관한 연구

        윤재국,유진형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5 No.2

        산업화, 도시화된 환경 속에서 자라는 오늘 날 어린이들은 자연과 인간보다는 실내 집안에서의 TV시청이나 컴퓨터 게임 등을 대표하여 놀이터의 이용이 부족한 실정이다. 어린이들의 놀이터 문제점에 대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에 특히 형태는 다른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놀이터가 모두 획일화된 모습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단조로운 구성은 어린이들에게 미적 사고를 심어주는데 부족하며 상상력을 증발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놀이터의 조형성 문제점을 예술적 공공미술로서 적용성을 제안하여, 문화적 공간이자 지속적인 미적경관이 되는데 대안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은 놀이터의 이론적 고찰과 공공미술의 공간적 역할과 기능을 분석한 후 국내사례와 해외사례를 대상으로 종합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국내 놀이터는 안정성과 기능성은 있지만 조형성은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어 전체적인 심미성이 결여되어있었다. 어린이들에게 미적 경험을 제공해주기에 부족함을 보이고 있었다. 이에 해외 놀이터의 경우 어린이들과 일반인에게 흥미로운 소재의 조형 형태로서 심미적이고 상징적인 경관을 보여주었다 Today’s children, who are growing in industrialized, urbanized environment, do not use play ground frequently because they view TV or enjoy computer game inside home. There will be many reasons for their insufficient using rate of play ground but the important reason is that all play grounds show uniformed shapes although they are located in different places. The simple structure can’t provide children with aesthetic mi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application of public art for the formality problem of children’s playground so that it can be a cultural space andcontinual aesthetic view. The study considered playground theoretically, analyzed spatial role and function of public art and analyzed domestic cases and overseas cases together. The study result revealed that domestic playground has a stability and function but its formality is low and aesthetic property is not sufficient. Generally, it was not sufficient to provide children with aesthetic experience. However, overseas playground showed aesthetic, symbolic scene to children and general people with formative types of interesting materials.

      • KCI등재

        한 호주 놀이터의 물질성을 통해 본 놀이의 의미에 대한 포토에세이 연구

        전가일 한국교육인류학회 2018 교육인류학연구 Vol.21 No.4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stralian playground by analyzing the materiality of an Australian playground and to understand the body movements that play generated there and the meaning of play. For this purpose, the Farmer-playground (alias) in Brisbane, Australia was observed for three months over the period of two years, mainly analyzing the "Moreton Bay Fig tree," which is figuratively and literally is at the focal-center point of the playground's materiality. Specifically, this study collected a large number of pictures of Farmer-playgrounds as the main data for understanding the materiality of playgrounds, and took a photo essay format for the materiality analysis of playgrounds. As a part of efforts to overcome the dichotomy between discourse and material in taking the viewpoint of new materialism in analyzing the materiality of Farmers-playgrounds, I take the form of ‘palimpsest’ structure of Sellers in writing; I would like to express it in the Moreton Bay Fig’s voice. The study found that Farmer-playgrounds had 'unstoppable,' 'put on time,' 'borderless,' and 'mixed' physi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movement of the players created through this materiality are subject to 'come up,' 'hiding,' and 'diversify.' Through this result, it was understood that the play seen through the materiality of the Farmers playground has the meaning of 'centerless rhizome,' 'waggling of adventure and tension.' This study reconsidered that we had dichotomy the playground and the playground‘s materials in understanding the playground, and consider the agency of materials. 이 연구는 한 호주 놀이터의 물질성 분석을 통해 호주 놀이터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곳에서 생성되는 신체의 운동성과 놀이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호주 브리즈번에 위치한 농부놀이터(가명)를 2년에 걸쳐 3달간 관찰하였으며 농부놀이터 물질성의 중심을 이루는 모턴베이피그 나무를 중심으로 농부놀이터의 물질성을 분석하였다. 특별히, 이 연구는 놀이터의 물질성을 이해하기 위한 주요 자료로 농부놀이터의 사진을 다수 수집하고 놀이터 물질성 분석에 수집된 사진을 활용하는 포토 에세이 형식을 취하였다. 또한 농부 놀이터의 물질성을 분석함에 있어 신물질주의 관점에 기초하여 담론과 물질의 이분법을 넘어서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글쓰기에서 다층적 의미구조의 형식을 취하고, 이를 농부놀이터 물질성의 핵심인 모턴베이피그 시선으로 표현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농부놀이터는 ‘멈추지 않고 자라나는’, ‘시간을 입는’, ‘경계가 없는’, ‘어우러지는’ 물적 특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물질성을 통해 생성되는 놀이자들의 움직임은 ‘오르다’, ‘숨어들다’, ‘다양하다’로 주제화 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농부놀이터의 물질성을 통해 본 놀이가 ‘중심 없는 리좀’, ‘모험과 긴장의 아슬아슬함’의 의미를 가진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 연구는 우리가 그동안 놀이터를 이해함에 있어 놀이자(놀이주체)와 놀이터의 물질들(놀이대상)을 양분하던 것을 재고하게 하고, 놀이터의 사물들이 그 안에 놀이를 생성할 수 있는 세계를 포함하고 있는 행위주체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 KCI등재

        어린이놀이터 설치・운영에 대한 관련법의 비교분석을 통한 환경조성 개선방안

        김새롬,김명순 육아정책연구소 2023 육아정책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발달 및 놀이 지원의 관점에서 국내 어린이놀이터 (이하 놀이터) 설치 및 운영 관련 법률을 비교분석 하고, 이를 기반으로 놀이터 환경조성을 위한 보완 및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놀이터 설치 및 운영 과정에 적용되는 법률 11개를 비교분석하되, 놀이터의 설계, 설치, 운영 및 관리의 측면과 아동 놀이 기회의 활성화 측면, 그리고 영국의 RoSPA (Royal Society for the Prevention of Accidents)에서 제안하는 놀이영역설계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놀이터가 언급된 11개의 현행 법규 모두 놀이의 가치나 중요성, 놀이터의 설치 및 운영에 대한 통일된 내용이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이는 놀이터의 목적인 놀이 활성화의 제한과 더불어 일률적・단편적인 놀이시설을 대량 생산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놀이터와 관련된 모든 법규를 통일 및 연결하여 설계, 설치, 운영의 전 과정에서 놀이터의 질적 관리를 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review laws related to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children’s playgrounds from the perspectives of children’s development and play support and to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to create an environment . Eleven laws relevant to the processes of installing and operating children’s playground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terms of design , installa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promotion of children’s play opportunities; and in terms of play area design proposed by the Royal Society for the Prevention of Accidents (RoSPA) in the UK.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do not present unified content on the importance of play or on playgrounds’installation and operation. This results in playgrounds that restrict children’s play, which is the purpose of playgrounds and acts as a factor that drives mass production of uniform and short-lived play facilities. Thus, to manage the quality of children’s playgrounds all the relevant regulations should be unified throughout the design, installation, and operation processes.

      • KCI등재

        동네놀이터의 질적 환경 수준이 아동 및 부모의 놀이터 이용에 미치는 영향

        김명순,김지연,최현희 한국아동권리학회 2019 아동과 권리 Vol.23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quality of a playground that is located within 400 m from a local residence on the playground use of children and parents. Methods: The quality of 43 local playgrounds located in Seoul was assessed and the number of visitors was counted. The average playtime and frequency of visits in the playground were surveyed from the visitors. The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epwise regression. Results: First, among the quality of local playground, ‘Risk-taking and challenging pla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number of children and parents visitors. ‘Location and accessibility’ predicted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number of children visitors. Second, ‘Various play experiences’ was significant in influencing children's playtime and ‘Risktaking and challenging play’ had a positive effect on parents' playtime. However, the quality of the local playground was not significant in influencing the frequency of visit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specific directions on how to promote children and their parents use of playground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아동이 일상에서 주로 이용하는 동네놀이터를 대상으로 아동의 놀이적 관점에서 놀이터의 다양한 질적 환경이 아동 및 부모의 놀이터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시에 위치한 동네놀이터 총 43개를 선정하여 질적 환경을 평정하였고, 놀이터를 방문하는 아동 및 부모 이용객수를 관찰하였으며, 이용객의 일주일 당 평균 놀이터 이용시간 및 빈도를 설문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놀이터 이용객수, 이용 시간 및 빈도를 종속변인으로, 놀이터 질적 환경을 독립변인으로 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놀이터의 질적 환경 특성 중 ‘위험 감수 및 도전적인 놀이’는 아동 및 부모 이용객수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위치 및 접근성’은 아동 이용객수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터의 질적 환경 특성 중 ‘다양한 놀이 경험의 제공’은 아동의 놀이터 이용시간에, ‘위험 감수 및 도전적인 놀이’는 부모의 놀이터 이용시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적 환경 수준이 아동 및 부모의 놀이터 이용 빈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놀이터의 이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CO-DESIGN’을 통한 아이들이 놀러오는 학교 놀이터 만들기 사례 연구

        정선아(Chung, Shun Ah),김희진(Kim, Hee Jin),박보영(Park, Bo Young),편해문(Phyen, Hae Moon)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20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CO-DESIGN’을 통해 학교 구성원과 놀이터 전문가가 학교 놀이터 조성에 참여하는 과정과 그 의미를 탐구하는데 있다. ‘CO-DESIGN’은 놀이터 사용자인 어린이, 교사, 부모 그리고 놀이터전문가가 함께 놀이터 디자인에서부터 조성까지 전 과정에 참여하여 놀이터를 만드는 협력적 참여과정이다. 놀이터 관련 이해 당사자만 놀이터를 디자인하는 과정에 참여하는 ‘참여디자인’을 확장한 개념이다. 연구 방법은 A시 교육청의 ‘아이들이 놀러오는 학교 놀이터 만들기’ 사업에 선정된 두 초등학교에 ‘CO-DESIGN’을 적용한 사례를 분석하는 사례 연구이다. 두 학교의 ‘CO-DESIGN’은 2017년 9월 ~ 2018년 4월까지 약 7개월 간 이루어졌으며, 참여 관찰자로서 연구자는 전 과정을 촬영 및 녹음을 하고, 참여자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두 학교의 ‘CO-DESIGN’ 절차는 ‘놀이터 디자이너와의 만남’, ‘놀이와 놀이터에 대한 관점 세우기’, ‘학교 놀이터 디자인하기’, ‘설계 디자인 공유하기’, ‘시공’, ‘어린이 감리’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CO-DESIGN’를 통해 만들어진 학교 놀이터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터는 어린이를 중심으로 한 ‘경청의 공동체’에서 만들어졌다. 둘째 모든 참여자들의 수평적 소통으로 만들어진 놀이터이다. 셋째 사용자인 어린이의 놀이에 따라 ‘되어가는 놀이터’ 이다.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the members of school community and the play experts take part in building a meaningful place for school playground through ‘CO-DESIGN’. ‘CO-DESIGN’ refers to a cooperative process of building a playground of which participants are from children, parents, teachers and to experts. This is a broader conception of ‘Participatory-design’ in that the existing conception is based only upon the persons concerned. The methodology for this research adopts the case study. It examines the two schools’ ‘CO-DESIGN’ carrying out ‘Building a playground, welcoming children’ in A local school distri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7months from September 2017 to April 2018. The whole process of this research was filmed and recorded. Also, as a participant observer, it took the various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of ‘CO-DESIGN’. As a result, course of ‘CO-DESIGN‘ was that, ‘Meeting Playground Designers’, ‘Setting a Perspective on Play and Playground’, ‘Designing School Playgrounds’, ‘Sharing Plan Design’, ‘Construction’, ‘Child construction supervision’. Meanings of playground that found out from this research through ‘CO-DESIGN’ come as follows. First, the playground is built upon ‘Community of listening’ with child-centered approach. Second, the playground involves horizontal communication by all participants. Finally, it is ‘Becoming-playground’ of which focus is on children’s playing.

      • KCI등재

        서비스 융합형 스마트 어린이 놀이터 개발

        윤종영(Yoon, Jong Young),안혜신(Ahn, Hye Sh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어린이 놀이터는 어린이가 자유롭고 적극적인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자라나는 어린이들의 신체발달이나 정서함양, 창의성 개발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놀이터는 어린이의 신체 발달을 고려하지 않고 있거나, 획일화된 디자인으로 아이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놀이 시설물의 안전성 부재와 놀이터 보안 시스템의 부재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 어린이 놀이터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어린이 놀이터의 정의와 연령 및 목적에 따른 놀이터의 분류에 대해 살펴보고, 어린이 놀이터의 문제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해외 사례연구로 사용자 참여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국 브루클린의 PS 244 sound playground와 핀란드 Lappset의 SmartUs를 분석하였다. 문헌연구 및 사례연구 분석을 통해 어린이 놀이터 디자인의 기본 조건에 대해 살펴보고, 연구결과로 어린이 놀이터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놀이터의 놀이기구는 어린이의 욕구를 만족시켜 줄 수 있도록 기능성 고려하고, 놀이 시설물의 소재와 시스템 상에서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의 놀이터는 어린이의 신체 발달이나 연령대를 고려하지 않은 일괄적인 형태의 놀이기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어린이의 욕구나 발달을 만족시키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Playgrounds are where children can play, explore and grow and should be satisfied and consider different stage of children’s physical development and creativity. But many playgrounds have standardized design that does not meet different stage of children’s needs. Also most play facilities are not safe with no security system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hildren’s smart playground with converged servi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ook a literature-based research at the definitions of children’s playground at different ages, its purpose and analysis of perceived problems of playgrounds. This study explores analysis of two playgrounds as case studies, PS 244 sound playground in Brooklyn and SmartUs Playground from Lappset company, Finland.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this study suggests an ideal children’s playground design. Suggested design focuses on functionality in order to satisfy children’s desire and need and also on safety of material and system in playground. This study found that current playground is often configured without considering the age and physical development of children and also it does not meet the needs and physical development of children.

      • KCI등재

        세대화합을 위한 초세대놀이터 디자인에 관한 연구

        임유영,장영호,이현성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에 생기를 불어넣고 지역활성화를 가능하도록 이어주는 것은 도시공간의 요소이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도시공간 요소 중 하나인 놀이터는 지역사회의 중심이자 건강한 사회의 지표가 될 수 있는 공공공간이다. 전국 79 만개의 어린이놀이터가 획일화된 놀이터로 양산 또는 유지되고 있으나, 그 대상이 어린이에게만 국한되어 있어 빠른 고령화와 핵가족화로 세대 간 갈등의 해결 과정은 점차 소멸되고 있다. 이는 커뮤니티 안에서 다른 세대들과의 소통과 배움과 관련된 기회의 단절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도시공간 요소의 하나인 놀이터에 대한 개념을 새롭게 접근하여 어린이들만의 놀이가 아닌 소규모 공동주택을 포함한 마을 커뮤니티 공간에서 세대공감 및 세대화합 지향의 세대놀이터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모델 기반 방향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초세대놀이터의 정의를 확립하고 공공공간에 대입할 수 있도록 초세대 개념을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그다음 놀이터의 유형별 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국내외 사례를 대상으로 소규모 공동주택을 포함한 근린 공공공간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UN의 지속 가능발전 목표 중 11번째인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회복력 있고 지속 가능한 도시와 주거지 조성’에 포커스를 맞춰 초세대놀이터의 필요성을 구성요소 키워드로 나타낸다. 디자인모델 기반 방향 도출은 부가적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핵심가치와 시사점을 도출한다. (결과) 첫째, 접근이 편리한 초세대놀이터는 노인과 아동을 자연스럽게 교류시켜 상호 정서적, 사회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둘째, 초세대놀이터의 개념을 적용하여 향후 새로운 놀이터의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초세대놀이터와 관련된 스토리텔링을 통해 프로그램을 도출한 공공공간은 쇠퇴한 지역을 활성화하는 기본요소로써 경제적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결론) 노인과 아동은 교류를 통해 상호 긍정적 영향을 주고받으며 이해와 존경이 동반될 수 있어야 한다. 즉 소규모 공동주택을 포함한 마을 커뮤니티 안에서 초세대놀이터를 활성화한다는 것은 놀이공간을 통해 자주적이고 간접적인 상호 교류를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세대를 넘나드는 공감과 화합의 초세대놀이터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모델 기반이라 할 수 있으며, 추후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법론을 통해 모든 세대들이 자유롭고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신개념의 놀이터가 마련되어 생동감 넘치고 사람들이 유연하게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

        실외 놀이터 질적 수준 평가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김명순,최지예,김지연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Korean Outdoor Playground Quality Assessment Scale(K-OPQAS) and analyze it with regard to item discrimination, reliability, and validity.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7 outdoor playgrounds located in Seoul.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sis of outdoor playground evaluation tools, Korean Outdoor Playground Quality Assessment Scale(K-OPQAS) were composed of 30 items of 6 subcategories. For item discrimination, the top 25% group and the lower 25% group were compared by using Cramer V and t-test.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inter-observer reliability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K-OPQAS. For verifying validity of the Korean Outdoor Playground Assessment Quality Scale, content, concurrent and construct validity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e item discrimination of the Korean Outdoor Playground Quality Assessment Scale(K-OPQAS) was fairly appropriate.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high overall, and the inter-observer reliability was generally moderate, as well. In conclusion, the Korean Outdoor Playground Quality Assessment Scale was developed as a reliable tool by analyzing content, concurrent and construct validity. 본 연구는 한국에서 사용가능한 실외 놀이터 질적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Korean Outdoor Playground Quality Assessment Scale, K-OPQAS)를 개발하고 적합한지 알아보기 위해 문항 변별도, 신뢰도,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실외 놀이터 307곳이었다. 문헌 연구와 국내외 실외 놀이터 평정도구 분석을 통해 6개 범주의 30문항으로 실외 놀이터 평가척도를 구성하였다. 실외 놀이터 평가척도의 문항 변별도를 알아보고자 상하 집단 간 문항 반응에 대한 Cramer V를 산출하고 t-test를 실시하였다. 실외 놀이터 평가척도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내적 합치도와 관찰자간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실외 놀이터 평가척도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내용 타당도, 공인 타당도 및 구인 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실외 놀이터 평가척도의 문항 변별도는 양호하였다. 실외 놀이터 평가척도의 각 하위 범주 및 척도 전체의 내적 합치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찰자간 신뢰도 역시 전반적으로 양호했다. 실외 놀이터 평가척도는 실외 놀이터의 질을 평가하기에 적합한 범주와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구인 및 공인 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아동권리 실현을 위한 아동친화도시의 놀이터

        김윤희 한국코칭학회 2021 코칭연구 Vol.14 No.6

        본 연구는 모든 아동이 아동권리를 실현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기 위하여 아동친화도시의 놀이터 조성 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년 7월부터 9월까지 문헌연구 분석을 통해 유엔아동권 리협약에서 제시하고 있는 아동권리, 아동친화도시의 구성요소 및 특성과 실태를 살펴보며. 놀이터 관련 연구들을 검토하여 아동친화도시의 놀이터 조성 방향에 대해 모색하였다. 첫째, 아동이 주체가 되어 도전과 모험적인 놀이를 할 수 있는 모험놀이터 공간으로 조성될 필요가 있다. 둘째,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이 함께 어울려서 놀이할 수 있는 무장애 통합놀이터로 구축될 필요가 있다. 장애 아동도 놀이터에서 놀 권리가 있으며 놀이터 접근성과 자원 이용에 있어 제한이 없어야 한다. 셋째, 유해한 물질로부터 보호받고 안전하게 놀이할 수 있으며 자연소재의 자원을 이용한 생태놀이터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아동친 화도시의 놀이터는 모든 아동이 놀이터 조성의 전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자신의 권리를 온전히 실현하고 더욱 더 행복하게 놀이할 수 있는 형태로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for the creation of a playground in a child-friendly city in order to provide an environment where all children can realize children's rights and lead a happy life. To this en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alysis from July to September 2021, the elements, characteristics, and actual conditions of a child-friendly city are presented in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By reviewing playground-related studies, the direction of playground creation in a child-friendly city was sought. First,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adventure playground where children can take the lead and play with challenge and adven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build a barrier-free integrated playground wher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children can play together.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ve the right to play in the playground, and there should be no restrictions on playground access and resource use. Third, it is necessary to be protected from harmful substances and to play safely, and to have an ecological playground using natural resources. Above all, playgrounds in a child-friendly city should be created in a form that allows all children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entire process of playground creation so that they can fully realize their rights and play more happily.

      • KCI등재

        국내 친환경 실외 어린이놀이터의 친환경성 평가와 사용자 인식

        이지윤(Li, ZhiRun),김영주(Kim, Youngjoo)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7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6 No.3

        연구배경: 최근 어린이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고 창의적인 놀이활동을 제한하는 획일적 놀이터 공간의 문제점들이 지적되는 가운데 이를 지원하는 친환경 어린이놀이터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직 국내에는 보편적이지 않은 친환경 어린이놀이터의 개념설정 및 유형을 구분하는 한편, 유형별 사례를 대상으로 평가지표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놀이공간과 놀이시설 등에 대한 친환경성을 평가하고 이용자들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문헌조사를 통해 친환경 어린이놀이터의 개념을 정의하고 유형을 분류하는 한편 친환경성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도출하였다. 또한 친환경 어린이놀이터 유형별 사례조사대상지 8곳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체크리스트에 근거한 친환경성을 평가하였다. 그밖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친환경 어린이놀이터에 대한 인식 파악을 위한 면접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친환경 어린이놀이터의 유형은 규모 및 주된 놀이유형에 따라 자연형, 생태체험학습형, 에너지교육형, 리사이클형의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각 유형별 사례놀이터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친환경성’ 및 ‘공통특성’의 두 차원을 중심으로 총 27개의 세부지표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도출하였다. 평가 결과 대체로 대규모 어린이 공원들이 중규모의 아파트 단지내 놀이터보다 다양한 자연요소들과 체험학습적인 놀이특성 등 친환경적인 요소를 더 많이 적용하고 있었다. ‘공통특성’ 차원에서 안전 및 유지관리성 관련 지표의 경우 일부 대규모 어린이 공원은 놀이기구의 안전상태가 미흡했으며, 중규모 아파트놀이터에서는 놀이터 바닥재 파손이 많이 관찰되었고 운영관리와 관련된 문서나 매뉴얼 비치가 미비한 곳이 있었다. 면접조사 결과 이용자들 대부분이 친환경 어린이놀이터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다. 결론: 지자체에서 운영 관리하는 대규모 어린이 공원의 경우 아파트단지 내에 위치한 중규모 어린이놀이터에 비해 전반적으로 친환경적 속성을 좀 더 많이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친환경 어린이놀이터의 보급확산과 소비자의 긍정적 인식 개선 방안 모색을 위해 양적조사와 더불어 다양한 홍보 및 소비자 교육이 필요하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concept, classify the types of eco-friendly children’s playgrounds, evaluate the eco-friendliness of subject cases using checklist, and identify user’s awareness of eco-friendly children’s playground. Methods: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we defined the concept of eco-friendly children"s playground and classification of types, and derived an evaluation checklist. Based on the criteria for each type of eco-friendly children ’s playground, 8 sites were select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checklist. In addition, interview with users were executed to get qualitative data. Result: Types of eco-friendly children’s playground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nature based, ecological learning experience, green energy education, and recycled playground. Evaluation checklist was composed of 2 dimensions -common characteristics and eco-friendliness- with 27 indicators. In general, large-scaled children’;s parks showed more various nature-based elements than medium- sized playgrounds. Most of the large-scaled children’s parks had more eco-friendly learning play facilities than medium-sized children’s playgrounds. In the safety and maintenance, some large-scaled children’s playground were poorly installed with safety equipment. There were lack of maintenance manuals in some cases of medium-sized sites. Most of the users showed low level of awareness for eco-friendly children’s playground. Conclusion: Large-scaled children’s park had more eco-friendly elements than medium-sized playgrounds. In order to promote the spread of eco-friendly children’s playgrounds and to improve consumers awareness, a follow-up quantitative research and various types of consumer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