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네트워크 흐름의 속도에 따른 네트워크 조직화

        한이철 ( Yicheol Han ),이정재 ( Jeong-jae Lee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네트워크 구조는 기본적으로 한 점이 연결될 다른 점을 결정하는 연계방법에 따라 결정된다. 기존의 연계방법 연구들은 크게 점과 선 차원으로 나누어진다. 점 차원에서는 연결은 연결선 수나 유인력에 따른 선호적 연계로, 선 차원에서는 최단이동거리, 이동비용, 직선거리, 이동시간에 따른 최적노선으로 밝히고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는 선의 물리적 실체에 따라 위상적 그리고 지리적 네트워크로 분리된다. 예를 들어 논문인용 네트워크나 생체화학 네트워크는 위상적 네트워크이고 도로망 네트워크는 지리적 구조를 가진다. 네트워크의 본질은 점 간 이동 (연계)이고, 많은 연구자들은 네트워크를 하나의 흐름으로서 이해한다. 네트워크를 파이프망으로 가정해 보자. 네트워크의 선은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이고, 점은 유체 압력 조절 벨브를 가진 파이프의 절점으로 대응될 수 있다. 선의 가중치는 ω<sub>ij</sub>는 네트워크 내 점 i에서 j 로 흐르는 전류, 교통량, 소문, 돈, 정보 그리고 사람 등과 같은 흐름의 양이다. 절점의 압력을 조절하면, 우리는 전체 네트워크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네트워크 내 흐름은 유체공식, 특히 수리 방정식을 통하여 기술할 있다고 유추해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만약 시스템이 파이프망으로 간주될 수 있다면 네트워크는 수리적 방법으로 특정지어지고 이해될 수 있다. 베르누이 방정식은 압력, 속도, 위치, 그리고 손실 (마찰) 수두를 이용하여 물의 흐름을 설명하는, 가장 잘 알려진 유체 방정식 중의 하나이다. 각 수두는 네트워크 요소 중 유인력, 네트워크 속도, 연결선 수, 그리고 이동시간 (비용)으로 각각 대응 될 수 있다. 따라서 베르누이 방정식을 응용하면 네트워크 내 연계의 재설정과정을 모델링 할 수 있고, 네트워크 구조의 변화를 모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베르누이 공식을 이용하여 공간 네트워크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구조의 변화를 모의하였다. 그리고 실제 자료를 이용하여 제안된 모델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임의로 설정된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본 결과 흐름의 속도는 네트워크의 지리적 그리고 위상적속성과 강한 연관이 있음이 드러났다. 그리고 점의 최대 연결선 수는 속도와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제안된 모델을 우리나라의 시군구 간 통근 자료에 적용하여본 결과 시간에 따라 통근 속도의 증가가 명확히 드러났고, 이는 우리나라 통근 네트워크의 구조를 도시의 성장과 함께 복잡하게 만드는 주요 요인으로 판단된다.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5년 후의 흐름을 예측한 결과 매우 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제안된 모델은 그 신뢰성과 활용도가 클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우선 모든 선은 무한한 용량을 가진 것으로 가정되었다. 하지만 실제 네트워크에서는 도로의 용량 교통량에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향후 선의 혼잡도 요인을 포함하여 보다 사실적인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 KCI등재

        뉴스 수용자 파편화와 분극화 현상에 대한 네트워크 추론분석: 네트워크 필터링 기법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송현진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3 언론정보연구 Vol.60 No.2

        A growing trends in diversification and fragmentation of digital media environment and the way in which news audiences receive news from various digital intermediaries has many practical and normative implications. Yet extant studies on such “audience fragmentation” has suffered from many methodological problems, including a) its overreliance on descriptive analysis of audience network, b) ignoring the implications of various methodological choices in the construction of audience network data, and c) a lack of thorough evaluation of the relative performances of audience fragmentation metrics. In this research, I explore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different network filtering techniques in the construction of audience exposure network, while seek to critically evaluate the relative performances of audience fragmentation measures. Based on multiple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s of media users in Korea from 2020 to 2021, I found that different network filtering techniques have a systematic impact on the construction of audience network data, therefore impacting the degree of fragmentation and polarization of news audiences. As expected, unfiltered network and DFRD method have shown the less fragmentation tendencies whereas backbone extraction method produced most fragmented audience network, while the choices of specific metrics measuring audience fragmentation or audience polarization have nontrivial implications for the conclusions that can be drawn from such data. 최근의 언론환경은 매체 다변화와 콘텐츠 다각화로 대변될 수 있다.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다양성의 제고는 경험적으로나 규범적으로 많은 함의를 가지나, 기존의 수용자 파편화 현상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기술적 네트워크 분석에 그치는 등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매체 및 채널 이용 패턴의 분극화와 파편화에 대한 기존 연구의 방법론적 맹점을 살펴보고, 국내외 최신 논의를 반영하여 수용자 중복 네트워크를 필터링하는 필터링 기법이 어떠한 체계적 영향력을 가져올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국내 상황에서 네트워크 필터링 기법이 수용자 파편화/분극화 양상과 그 변화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방법론적 연구가 시급한 상황에서, 국내 미디어 사용자들의수용자 파편화/분극화 양상과 그 변화 정도를 엄밀한 네트워크 방법론에 근거하여 체계적으로 탐구하고, 나아가 서로 다른 필터링 기법의 영향력을 체계적으로 탐구하였다. 또한, 공간모형에 기반한 공간상 최적점을 추정하는 이상점 추론 기법을 활용하여 정파성에 기반한 수용자 중복 네트워크의 파편화와 분화 연구와의 접점을 살펴보고, 나아가채널 간 동시 노출 네트워크의 무작위성을 통제하는 서로 다른 필터링 기법이 이상점추론을 통해 도출된 수용자 중복 네트워크상의 채널 및 매체의 정파성에 기반한 네트워크의 파편화와 분화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네트워크 필터링 기법은 예상대로 수용자 중복 네트워크의 파편화와 분극화 정도를 해석하는 데 있어 체계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필터링을 거치지 않는 네트워크와DFRD기법이 가장 파편화되지 않은 결과를, 반면 백본 추출 방법이 가장 파편화된 네트워크를 보여주는 것을 확인했다. 나아가, 수용자 네트워크의 파편화 정도를 나타내주는 지수들의 성격 및 퍼포먼스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본 연구는 구체적인 필터링 기법 및 지수들의 선택에 따라 네트워크 파편화 및 분극화에 대한 결론이 서로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네트워크 배태성이 현지자회사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자회사특유우위의 매개효과

        하재경,민상훈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0 국제경영리뷰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다국적기업 현지자회사 수준에서 네트워크 배태성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들은 현지자회사의 네트워크 배태성과 경 영성과 관계를 주로 규명하였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자회사특유우위가 네트워크 배태성과 경영성과 관계를 매개한다는 가설을 설정 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배태성을 내부 네트워크 배태성과 외부 네트워크 배태성으로 구분하였고, 자회사특유우위도 로컬 자회사특유우위와 글로벌 자회사특유우위로 구분하였다. 매개효과 여부에 대한 검정은 Baron and Kenny(1986)의 방법을 따랐다. 한국에 진출한 225개 현지자회사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네트 워크 배태성과 경영성과는 정(+)의 관계를 보였다. 외부 네트워크 배태성에 비해 내부 네트워크 배태성이 경영성과에 더 강한 영향을 미쳤다. 로컬 자회사특유우위 및 글로벌 자회사특유우위와 경영성과 관계도 정의 관계를 보였다. 네트워크 배태성과 자회사특유우위 의 관계에서는 가설과 다른 결과가 일부 도출되었다. 로컬 자회사특유우위는 가설과 동일하게 외부 네트워크 배태성과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반면 글로벌 자회사특유우위는 내부 네트워크 배태성뿐만 아니라 외부 네트워크 배태성과도 통계적으로 유 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로컬 자회사특유우위는 가설과 동일하게 외부 네트워크 배태성과 경영성과 관계를 매개하였다. 반면 글로벌 자회사특유우위는 내부 네트워크 배태성과 경영성과 관계를 매개할 뿐만 아니라 외부 네트워크 배태성과 경영성과 관계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로컬 자회사특유우위가 외부 네트워크 배태성과 글로벌 자회사특유우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 점을 감안할 때 한국에 진출한 현지자회사들은 로컬혁신을 수행하고 있지만 이를 글로벌혁신으로 전환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한국에 있는 현지자회사들은 다국적기업 전체 네트워크에 경쟁우위 원천을 제공하는 위치에 있지 않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network embeddedness at the subsidiary level of multinational enterprise. The relevant preceding studies mainly analysed the relationships between network embeddedness and business performance of MNE subsidiaries. Only a few studies have argued that there are mediating variables between network embeddedness and business performance. In this paper, the hypotheses suggest that subsidiary specific advantages(SSAs) mediate the relationships. The network embeddedness is divided into internal or external network embeddedness and SSAs are also divided into local or global SSAs. The test for the mediating effects applies the method suggested by Baron & Kenny(1986). The data are collected from 225 MNE subsidiaries in South Korea and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embeddedness and business performance. Internal network embeddedness has a stronger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than external network embeddedness.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business performance and local SSAs as well as global SSAs. Thes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es. There are partially different results from the hypotheses in relationships between network embeddedness and SSAs. Local SSAs h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statistically, same as hypothesis, with external network embeddedness. On the other hand, global SSAs are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not only with internal network embeddedness but also external network embeddedness. As suggested, local SSA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network embeddedness and business performance. But global SSAs mediate not only relationships between internal network embeddedness and business performance, but also relationships between external network embeddedness and business performance. Given that local SSAs do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network embeddedness and global SSAs, MNE subsidiaries in South Korea are carrying out local innovation but they are not seem to convert it into global innovation. It implies that MNE subsidiaries in South Korea are not in a position to provide sources of competitive advantage to the entire network of multinational enterprise.

      • KCI등재

        장애인 직업재활 조직간 네트워크 구조 및 영향요인

        최영광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1 재활복지 Vol.15 No.3

        본 연구는 서울지역 장애인 직업재활 조직의 네트워크 구조적 특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보 고, 네트워크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특성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따라서 직업재활 조직의 네트워크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사회네트워크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통하여 네트워크 규모, 밀도, 중심성, 집중도 등의 관계망을 분석하였고, 연구모형의 분석을 위해 다중회 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직업재활 조직의 네트워크 고도화 단계로 추진될수록 조직간 협력관계가 낮아지는 경향이 존재하였고, 네트워크 중심조직에 대한 재평가 및 재구조화 되는 방향으로 전개될 필요가 있다. 또한, 직업재활 조직의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특성요인을 중심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논의는 직업재활 조직의 영역요인, 주서비스 이용 장애인의 장애정도, 전문 인력의 규모, 관리자의 인식이 조직간 네트워크의 활성화에 중요하게 작용되고 있어 개별조직의 네트워크 관 리전략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network structur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for the disabled in Seoul and clar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ir network characteristic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network structur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social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 of network scale, density, centrality, and concentr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 In result of analysis,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tended to decrease as the network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improved. It is necessary to reevaluate and restructure the key network organization. Also, the discussion of factors that affect the network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rganization manifested that the factor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the degree of disability of major service users, the scale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the awareness of administrat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vitalization of inter-organizational network.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to manage the network of each individual organization.

      • KCI등재후보

        대학캠퍼스선교를 위한 교회 공동체의 네트워크 체계에 관한 연구

        김성엽(Kim Sung Reup)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0 로고스경영연구 Vol.8 No.2

        모든 선교활동이 훌륭한 개인 한 사람에 의해 이뤄 질 수 없기 때문에, 오늘날 교회공동체는 선교를 위한 더욱 전문적이고 집중적인 네트워크 협력이 필요하였다. 많은 네트워크 관련 연구들이 네트워크의 효과성에 대한 내용을 전제로 신속하고 철저한 실천적 접근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대학 캠퍼스선교를 위한 교회공동체의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가 거의 실현되지 못한 실정이지만, 지역교회를 비롯한 교회공동체와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다양한 자원과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또한 협력의 논리가 공존하는 실체로서 공동연구제도 및 지원체제구축을 통한 정보교류와 지식창출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 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시설과 공간의 활용 및 접근용이성, 효과적인 네트워킹 및 자원 활용, 핵심역량개발 등의 하드웨어적인 이점과 공동의 비전공유, 공동체간의 협력 및 학습효과, 유익한 정보의 이전과 사고혁신, 콘텐츠활용 등의 소프트웨어적 이점을 통해 조직의 효율성을 높여 주게 된다. 지역교회를 포함한 교회공동체가 필요로 하는 전문화 분야를 발굴하여 다양한 인적 · 물적자원을 활용 할 수 있게 해 준다. 본 연구에서는 캠퍼스선교에 참여하는 기독대학과 각 교회 및 선교단체와의 긴밀한 연계를 통해 공동 과제를 선택하여, 이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기독대학으로써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건학이념을 실행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교회공동체의 네트워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선교모델과 네트워크 실행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traditional methodology of evangelization in Protestantism has been challenged by the rapidly changing world and its environment lately. A recent Korean missionary works have adopted the concepts of cooperation, consociation, partnership, and network. Network was formed from recognition and respect of mutual value. Because the network brought an accomplishment to create synergy effect from the relationship, colleges, local churches and mission organizations thought to be very important as mission community organizations. To carry out this effectively, as a whole function, the team network became very significant for the mission communities. Because every missionary works can’t be achieved by individual organization in independently, today’s church communities needed more professional and concentrated combined works for college campus missionary works. At this point, the role of Christian College seems to be very important because the college campus missionary works can be working together with the network. Local churches, colleges, and mission organizations which have nations characters should be connected in network and mission strategy should be done in various ways within the network. It is important not only to build interaction approach with local churches, colleges, and mission organizations, but also to need various supports within cooperating system. If the Christian college who has a lot of experiences from campus missionary works can guide the steps in the path of them, it will be very helpful for growth of the college campus missionary works. So for the concrete activities of college campus missionary works, the Christian colleges should present the best model for the works and cooperate on the networks with local churches and missionary communities. Through the network of the local church communities, they can make use of various resources and share valuable information.

      • KCI등재

        한국군에 적합한 네트워크 작전수행방안 연구

        유진철 ( Jin Cheol Yoo ),이원우 ( Won Woo Lee ),임원택 ( Won Taek Lim ),신규용 ( Kyu Yong Shin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2 국방연구 Vol.55 No.2

        플랫폼 중심에서 네트워크 중심으로 전쟁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네트워크 중심전 하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한 실시간 정보공유를 통해 정보우위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전투력의 집중과 분산이 용이하고, 작전의 유연성이 향상되며, 의사결정 및 명령하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미군을 비롯한 강대국들은 네트워크 중심전으로 전쟁수행의 개념을 전환하고 있다. 네트워크 중심전에서 네트워크 작전은 네트워크에 대한 가용성 보장, 정보보증, 그리고 정보전달력 향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하지만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한국군의 경우 아직 네트워크 작전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중심전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는 네트워크 작전에 대해 선진국의 추진현황을 미군 중심으로 살펴보고, 한국군의 실태를 분석하며, 한국군에 적합한 네트워크 작전 수행방안을 제시한다. We are experiencing a paradigm shift of conducting warfare from platform-centric to network-centric. The information superiority given by real-time information sharing through a network-centric environment makes it possible to easily concentrate or disperse fighting power, increase the flexibility of operations, and shorten the time needed for decision making and issuance of orders. As a consequence, the world powers including United States of America (USA) have made an effort to develop the concept of network centric warfare. In network centric warfare, the network operations (NetOps) paly an important role for the availability of networks, information assurance, and information dissemination. Despite the importance of NetOps in a network centric warfare, it is in very inception of the research on NetOps in Korea military. In order to overcome thi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status of NetOps of advanced countries mainly focusing on USA, provide actual condition survey on the NetOps of Korea military, and propose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NetOps customized for korea military.

      • KCI등재

        네트워크 중심성 지표를 활용한 서울시 상습침수지역에 위치한 도로 네트워크 중심성 특성 분석

        김경태,송재민 한국지역개발학회 2016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8 No.3

        도로 기반시설은 시민들의 생활과 안전의 중추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최근 기후환경의 변화 등으로 인해 도로 기반시설의 안정성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1999년과 2008년 사이에 도로기반 시설과 관련된 물적 피해가 전체 피해액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지자체 및 국가 차원에서 도로 기반시설의 기능 유지 및 회복탄력성 증진이 주요한 정책 사안으로 등장하고 있다. 도로 네트워크는 노드와 링크, 즉 교차점과 도로로 이루어져 네트워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있어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이론의 주요 세 가지 중심성 지표, 즉 연결정도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를 활용하여 서울시 상습침수지역 도로의 네트워크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울시 도로 네트워크의 풍수해 취약성에 대한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국내외 도시기반시설에 관련된 네트워크 이론을 검토하고, 다음으로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도시의 안전과 기능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로 네트워크의 중심성 분석을 위한 지표를 도출하며 마지막으로 서울시 생활권 별 및 침수 지역의 도로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중심성을 도출하여 비교함으로서 상습침수지역의 도로 중심성 네트워크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상습침수지역에 위치한 도로 네트워크의 경우 근접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 중심성의 경우에도 0에 가까운 노드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전체 도로에서 최단거리로 이동하는데 있어서 꼭 통과해야하는 중요한 도로인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다. 상습침수지역중 매개 중심성 값이 높게 나타나는 도로 교차점들의 경우 해당 지역이 침수되었을 때 도로 네트워크 기능이 크게 저하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어, 향후 해당 노드 및 도로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와 대책이 필요하다. Road network is the backbone of the safety and livability of the human beings. However, the frequent extreme weather events are currently threatening its stability and resiliency. Between 1999 and 2008, the property loss in infrastructure related to roads account for 90% of the total loss in Korea. Thus, maintaining the function of the road network and increasing its resilience with the occurrence of any extreme weather events has become an important agenda at the national and local level. The road network consists of nodes and links, which are cross sections and streets respectively. In this research, we assess the vulnerability of the road network in Seoul towards flooding, using centrality indices in network theory. The centralities of the nodes in flood prone areas have been compared with those of general nodes in Seoul.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nodes in the flood prone areas tend to have higher centrality indices, implying their important and influential roles in the function of the overall road network. The results call for the immediate attention on the vulnerable roads in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road network in Seoul.

      • KCI등재

        지역교육네트워크의 진화과정 분석

        이지혜(Lee, Jihye),채재은(Chae, Jae-Eu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0 평생교육학연구 Vol.1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안정기에 접어든 지역교육네트워크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진화해나가는 과정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네트워크 형성 초기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대부분의 선행 연구와 달리 네트워크 형성 이후의 단계에 초점을 두었다. 분석 사례로는 네트워크 활동의 역사가 깊고, 현재까지도 꾸준히 활성화되고 있는 노원 교육네트워크를 선정하였다. 심층 면담자료 및 1, 2차 문헌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 노원네트워크에는 다음과 같은 학습과정이 작동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우선, 네트워크 구성원들이 초창기부터 자발적 가난과 자활, 조직적 개방성과 유연성의 정신적 DNA를 공유하고 있었으며, 이는 핵심리더의 실천을 통해 모델링(modeling), 코칭(coaching), 멘토링(mentoring) 등의 형태로 네트워크 구성원 개개인에게 전이되고 있었다. 이러한 과정속에서 구성원들은 네트워크 전체가 지향하는 핵심가치와 개인의 삶의 의미를 일체화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지속적인 참여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얻고 있었다. 또한, 노원네트워크에는 구성원간의 눈덩이 피드백을 통해 네트워크 활동과정에서 생성된 지식과 정보가 심화되고, 조직내에 축적되는 선순환 과정이 작동하고 있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노원 사례는 네트워크 내에서 개인의 학습과 조직의 학습이 서로 맞물리며 전환하는 매개고리와 이를 구체화된 형태로 실현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cess by which a regional education network has evolved over time. This case study is based on the Nowon Education Network (NEN) which has a long tradition of providing disadvantaged students with educational welfare services. For the analysis, both semi-structured interviews of 14 people involved in NEN and in-depth reviews of related documen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 that NEN has a 'learning algorism' which not only encourages its networkers to pursue learning through various tasks, but also transforms itself into a learning network organization. The networkers has shared THE so called 'mental DNA' which enabled them to pursue a life of voluntary poverty and self-support at the individual level as well as a culture of openness and flexibility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he mental DNA has been transferred from existing networkers to new ones through modeling, coaching, and mentoring. This organizational learning process has made it possible for these networkers to connect their personal values with the organizational vision of NEN and thus has enabled them to commit themselves to NEN. The process also has enabled NEN to become a learning organiz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created within itself is value-added through a 'snow ball feedback process' and thus becomes a 'network-level knowledge asset.' In sum, the NEN case clearly indicates that individu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learning within a network can be closely connected, and therefore a network can function as a learning organization. This result sheds light into the nature of network-level learning which can be crucial for the survival of education networks.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네트워크 분석: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이소영 ( So Young Lee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5 다문화와 평화 Vol.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 적응과정에서 형성된 이주민 네트워크를가족, 사회, 민족문화네트워크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이들 네트워크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광주,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2012년 9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여성 결혼이민자 총 268명의 표본을 이용한 실증 분석과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 분석하였다. 연구분석 결과를 보면, 한국적응 과정에서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네트워크와 민족문화네트워크가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또한 가족네트워크와 사회네트워크, 민족 문화네트워크는 서로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다. 가족사회민족문화 네트워크는 유기적으 로 연계되어 있으며 이 3가지 네트워크는 여성결혼이민자에게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생 존을 위해 꼭 필요한 것으로, 이러한 여성결혼이민자 네트워크가 모두 활성화될 때 여성결 혼이민자들의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of family network, social network and ethnic network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samples of total of 268 people and depth interview of targeted 5 married immigrants around Gwangju, Jeollanam region since September 19, 2012 to November 28, 2012, two month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rried immigrant women maintain social network and ethnic culture network importantly in the process of Korean adaption. When they face social difficulties, they form social network through the teachers of multicultural center, exchange of counseling and help with friends etc. They also solve their difficulties of social and family life through the community of country of origin and continue their ethnic cultural network by preparing their traditional foods together.

      • KCI등재

        의약분업정책네트워크와 정책반응의 변화 : 정책패러다임의 변화를 중심으로 on the Focus of Policy Paradigm Shift

        김주환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行政論叢 Vol.42 No.1

        본 연구는 의약분업정책사례를 중심으로 정책의 지속성과 변화에 대한 정책 네트워크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일련의 정책적 논의에도 불구하고 의약혼재정책이 40여년 동안 지속될 수 있던 원인과 의약분업으로 정책변화가 이루어진 원인을 정책네트워크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를 통해 정책네트워크라는 제도적 특성이 정책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의약혼재에서 의약분업으로 정책이 변경된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약혼재정책이 유지될 수 있던 원인은 정부와 이익집단으로 구성된 정책공동체적 성격에 의한 경로의존성에 기인한다. 둘째, 의약분업정책으로 전환은 이들 정책공동체에 시민단체가 참여함으로써 그 성격이 이슈네트워크화 하였다는 데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정책네트워크와 정책반응과의 관계에서 확인 할 수 있던 것은, 첫째 소수의 강한 응집성을 가진 정책네트워크는 정책 변화의 요구를 무의사결정화 한다. 둘째, 소수의 정책행위자들 간의 응집성 약화는 정책수정, 즉 정책의 제한된 변화를 수반한다. 셋째, 새로운 정책행위자들의 등장과 이들의 정책네트워크의 진입시도는 정책네트워크의 문제해결능력을 제약함으로써 새로운 정책기제의 모색을 낳게 하는 원천이다. 넷째, 정책네트워크의 성격변화는 정책의 근본적인 변화를 낳게 한다. This study is trying to analyze, focused on the Policy Separating the Prescribing from the Dispensing of Drugs (PSPDD), policy continuations and changes by networks. To figure out how the Policy of Mixed Prescribing and Drugs (PMPD) could be kept for more than 40 years in spite of a series of arguments, this research uses policy network approaches. Moreover, the relations between policy networks and policy responses can be estimated by these approaches.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are like follows. First, of all, it is the first reason that policy community, consisted of governments and interest groups, was sustained with supporting PMPD. NGO's participation gave influence to change the characteristics of policy networks and this made possible to achieve PSPDD. The degree of policy networks intensity is the second reason. The more intensive policy networks, the easier for non-decisionmaking. On the contrary, weak stability among policy actors results in limited policies. Besides, appearances of new policy entrepreneurs and their trials to enter policy networks restrict the problem solving capability of policy networks. Furthermore, the changes of policy networks bring policy shifts and changes. As a result, policy networks impact on policy respon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