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상장기업의 이익조정 성향과 부채조달에 관한 연구

        김승일,박성종 한국회계정보학회 2018 회계정보연구 Vol.36 No.1

        There is a difference in ownership structure, corporate governance, capital financing, and litigation risk depending on whether the company is listed or unliste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onsider both listed companies and unlisted companies. In addition, in the previous studies, the earnings management examine for most listed companies, and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e debt contract hypothesis are mixed. This study examines whether firm’s earnings management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whether listing is conducted for listed companies or unlisted companies,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level of debt financing and earnings management for unlisted companies. This study find that the listed companies are higher discretionary accruals rather than unlisted compan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debt ratio, the higher the level of discretionary accruals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in unlisted companies.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to financial institutions, investors, practitioners, and regulators. The credit rating of a financial institution takes into account the profitability and growth potential of a company, and since tax is levied according to the profit of the enterprise, the information of distorted profit can leave big losses in the future. Therefore, I provide scholarly practical understanding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earnings management of listed and unlisted companies. 기업의 상장 여부에 따라 소유구조, 기업지배구조, 자본 조달방식 및 소송위험의 차별성이 존재하며, 국내 기업 중 비상장에 해당하는 기업의 비중이 상당히 높으므로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을 모두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기존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대부분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이익조정의 성향을 살펴보았으며, 부채계약 가설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가 혼재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상장 여부에 따라 이익조정 성향이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부채조달 수준과 이익조정을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재량적 발생액(DA)의 경우 상장기업이 비상장기업보다 이익을 상향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제이익조정(RM)의 결과에서는 이익조정의 방향성이 혼재된 결과로 나타나 가설을 부분적으로 채택하였다.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부채비율에 따라 이익조정 수단 및 수준을 살펴본 결과에서는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비상장기업에서 재량적 발생액(DA)과 실제이익조정(RM)의 수준이 일관성 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채수준을 더 높게 설정한 추가분석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의 이익조정 성향을 분석하고 부채비율에 따라 이익조정 수단을 살펴봄으로써 금융기관과 과세당국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금융기관의 기업에 대한 신용등급의 책정은 기업의 수익성과 성장성 등을 고려하며, 기업의 이익에 따라 과세가 책정되기 때문에 왜곡된 이익의 정보는 미래의 큰 손실을 남길 수 있다. 따라서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의 이익조정 수단과 비상장기업의 부채수준을 실증분석 함으로써 학문적으로 실무적 이해를 제공한다.

      • KCI등재

        벤처캐피탈 투자에 따른 코스닥 상장기업의 상장실적 및 경영성과 분석

        신혜란,한인구,주지환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 벤처창업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코스닥 신규상장 기업 467곳을 대상으로 하여 상장 전 벤처투자를 유치한 경험이 있는 기업(VI)과 유치 경험이 없는 기업(NVI)으로 구분한 후, 상장실적과 상장 후 성장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기술통계량, 평균차이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고, 독립변수로는 VC투자, 상장 시 기업의 업력, 기업의 업종, 기업 소재지역, 창투사의 규모 및 업력, 창투사의 전문성, 투자기업과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지표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VC 투자를 받은 기업의 상장실적과 상장 후 성장성이 더 우수함을 통계적 유의성에 근거하여 제한적으로 관찰하였다. VC 투자의 경우 주로 상장 소요기간에 대해 부(-)의 영향을, 매출액 증가율에 대해 정(+)의 영향을 주었다. VC 투자금액의 경우에는 상장소요기간에 부(-)의 효과를, IPO시 시가총액에 정(+)의 효과를 미치며, 성장성 지표 중에서는 기업의 실질적 경영지표 중 하나인 매출액 증가율에 대하여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본 연구는 분석대상 기업의 업종이 연구개발 특수업종에 해당하는 경우, 상장 이후 성장성에 제한적이지만 유의한 정(+)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기업 업력이 시가총액 증가율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일부 연도에서 확인하였는데, 이는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경영능력을 보이는 경우 단기에 급속한 성장을 나타낼 때보다 시장에서 더 높은 시가총액을 달성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추가로 앵커창투사의 특성변수들에 대해서도 투자기업의 상장실적 및 상장 후 성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는데, 앵커창투사의 전문성 수준이 높으면 IPO 시점에서 더욱 높은 시가총액을 인정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외 다른 특성변수들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매우 국소적으로만 나타났다. 기존 선행연구와의 차별점은 지금까지도 코로나19에 의한 팬데믹 사태가 기업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 속에서 우리나라 벤처캐피탈 생태계를 면밀하게 재검토하고자 하였고, 보다 효과적인 변수들을 도입하여 기업의 업종 영향을 살펴보는 등 특례상장과 같은 관련된 정책의 타당성 평가를 간접적으로나마 시도하였다는 점이다. 즉, 단순히 투자여부를 살펴보는 것에 더하여 VC 투자금액 또한 변수로 활용함으로써, 해당 금액의 수준에 따른 영향 또한 실증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탐색적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기술특례상장제도 또는 벤처생태계로의 자금투입과 같은 정책들이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그러나 최근 기술 발전 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고려할 때 성장 동력을 충분히 가진 기업이 규제 또는 여론의 관성 등에 의해 성장성을 잃지 않도록 관련 제도를 신속하게 정비해야 하고, 지역 발전에 있어 업종을 특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회수시장 역시 보다 성장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데이터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가설 검정을 10% 유의수준 하에서 수행하고 결과를 해석하였으며, 회귀모형 분석 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수정된 결정계수 값이 보고되었다는 점이다. 각 변수의 효과성을 통계적으로 확인하려는 본 논문의 시도에 기반하여, 추가적인 후속 연구에서는 모형 등을 보완해 나가길 기대한다.

      • KCI등재

        발생액 및 실제 이익조정이 기업신용등급에 미치는 효과-상장과 비상장기업을 중심으로-

        박종일,박경호,박찬웅 한국세무학회 2012 세무와 회계저널 Vol.13 No.1

        본 논문의 목적은 기업의 이익조정 정도가 기업신용등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그리고 회사채 신용등급을 중심으로 이익조정과 신용등급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나 회사채 신용등급은 주로 대기업이 자금조달을 하는 경우에만 산출되기 때문에 회사채 발행을 하지 않은 중소기업들이 분석에서 제외되는 제약이 있었다. 이에 비해 본 연구는 기업신용등급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표본의 범위를 확장하였으며 상장기업뿐만아니라 비상장기업에 대해서도 분석을 수행하고 두 집단을 비교함으로써 신용평가기관이 기업의이익조정(AM, RM)에 대하여 어떻게 평가하는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신용평가기관이 정교한 정보중개인 역할을 수행하는 점에 근거하여, 기업의 이익조정 수준이 높아질수록 기업신용등급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기업의 이익조정 정도는 발생액에 기초한 이익조정(AM)과 실제 이익조정(RM) 측정치를, 신용등급은 NICE신용평가정보㈜의기업신용등급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AM의 측정치인 재량적 발생액(DA)은Dechow et al.(1995)과 Kothari et al.(2005)의 방법에 따라 추정된 재량적 발생액(성과미대응 측정치와 성과대응측정치)을 사용하였고, RM의 측정치는 Roychowdhury et al.(2006)의 방법에 따라,세 가지 RM 측정치[비정상 영업현금흐름(abCFO), 비정상 생산원가(abPROD), 비정상 재량적 지출(abDE)]를 추정한 후, Cohen and Zarowin(2008)의 두 가지 RM의 조합 측정치(RM1[=abPROD +adDE×(-1)], RM2[=abCFO×(-1)+abDE×(-1)])를 계산하였다. 또한 Cohen et al.(2011)의주장에 따라 RM도 성과미대응 측정치와 성과대응 측정치를 병행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기간은 2005년부터 2009년까지이며, 상장기업은 11,519개 기업/연 자료가, 비상장기업은 61,454개기업/연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미대응 이익조정 측정치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 모두에서 재량적 발생액(DA) 및 실제 이익조정(RM1, RM2)의 수준이 높을수록기업신용등급이 유의하게 하향 조정된다는 결과가 발견되었다. 둘째, 성과대응 이익조정 측정치를이용한 분석에서는 DA 및 RM2로 측정한 이익조정 수준과 기업신용등급 간에 유의한 음(-)의 관계가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 모두에서 나타났으나, RM1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RM에 대해 세 가지 구성요소별로 각각 분석한 경우, 상장기업은 abCFO, abPROD만 기업신용등급과 유의한 음(-)의 관계가 나타났고, abDE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비상장기업에서는 세 가지 측정치 모두 신용등급과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으나, abCFO 및 abDE는 신용등급과 유의한 음(-)의 결과를, abPROD는 유의한 양(+)의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비상장기업에서 비정상 생산원가를 이용하여 보고이익을 상향조정하더라도 신용평가기관은 이를 정확히 신용위험에 반영시키지 못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이상의 결과들은 OLS 회귀분석뿐 아니라 서열순위변수의 특성을 고려한 Ordered Probit 회귀분석결과에서도 모두 일관된 결과로 나타나 강건성이있었다. 본 연구는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이들 기업의 발생액에 기초한 이익조정과 실제 이익조정에 대해 신용평가기관이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를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rnings management on corporate credit rating. Although several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earnings management and credit ratings, this research is limited to listed firms and corporate bond ratings. Therefore, the results of those studies are limited to large firms’ cases because corporate bond ratings are collected only when those large firms raise funds. On the contrary, this study expands sample firms by using corporate credit ratings instead of bond rating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examine, in general, how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AM)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RM) are evaluated by credit rating agencies by including not only listed-firms but also private firms in testing the effect of earnings management an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m. This study hypothesize that the higher earnings management more negatively affects the credit ratings of the firms based on the belief that credit rating agencies are sophisticated information intermediaries. To test this hypothesis, we estimate AM and RM and use credit ratings produced by NICE Credit Information Service. Specifically, we estimate discretionary accruals (DA) as a measure of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following Dechow et al. (1995) and Kothari et al. (2005), non-performance-adjusted and performance-adjusted measures, respectively. RM is measured using three proxies developed by Roychowdhury(2006):abnormal cash flows of operations (abCFO), abnormal production costs (abPROD), abnormal discretionary expenditures (abDE). Using those proxies, we calculate two comprehensive measures of the three measures (RM1[=abPROD+adDE×(-1)], RM2[=abCFO×(-1)+abDE×(-1)]) following Cohen and Zarowin(2008). We also measure performance-adjusted RM following Cohen et al. (2011) and use them in testing hypothesis. The sample period is from 2005 to 2009. The sample includes 11,519 listed-firms (firm/year) and 61,454 private firms (firm/year) data. The empirical test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tests using non-performance-adjusted measures, we find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 between DA (RM1, RM2) and credit ratings in both listed-firms and private firms samples. Second, in the tests using performance-adjusted measures, the results show that DA and RM2 are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related with credit ratings in both listed-firms and private firms samples while RM1 does not show significant relation with credit ratings. Third, in the additional tests of listed-firms subsample where using three proxies of RM,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abCFO and abPROD are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related with credit ratings while abDE does not show significant relation with credit ratings. In contrast, the results of private-firms subsample show that abCFO and abDE are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related with credit ratings while abPROD i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with credit rating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redit rating agencies fail to properly incorporate earnings management activities through RM (i.e., abPROD) for private firms. In addition, these results do not change in additional tests where using Ordered Probit regression to consider ranked order attribute of credit ratings.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credit rating literature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M and RM on credit ratings an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listed-firms and private firms. The findings of this paper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how credit rating agencies consider and reflect earnings quality of listed-firms and private firms into credit ratings. So, we expect this paper to have useful implications for scholars, practitioners, accounting standard setters, and regulators.

      • KCI등재

        조기상장 창업중소기업의 회계 및 세무상 특징 분석

        전병욱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20 세무와 회계 연구 Vol.9 No.2

        Despite governmental supports for going public to help firms’ growth and capital market development, in actual fact early going-public start-up firms are very extraordinary cases. In order to stay alive, small businesses in their early stage are generally expected to have much interest in tax benefits than in capital financing by means of going public. But, some small businesses to pursue the long-term growth through early going-public are rather more interested in raising profitability which can be helpful for listing requirements. Based on private corporation tax report data received for the tax authorities, this study investigates accounting and tax characteristics of early going-public start-up firms, and suggests how to improve accounting system and tax laws which help those firms actively utilize capital marke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like general expectation, firms to have applied the tax credit for start-up small business, which can be regarded as early-stage firms with nonnegative profitability, tries to make their management performances look better in several years just before going public. Furthermore, such early going-public start-up firms to have applied earnings management are found to take much tax avoidance through lowering taxable income, but not through reporting more tax credits. Such inconsistent results can be explained that taxable income is lowered to reduce likely-to-increase tax burdens under the constraint of the high book-tax conformity, and other tax credits are hard to report while the alternative minimum tax is in effect, and the surveillance of the tax authority is much shrewd in inappropriate reporting of tax credits. Theses results imply that the accounting system should be revised to control excessive earnings management, and economic incentives to lower both listing transaction costs and likely-to-increase tax burdens in going public process should be provided to early-stage firms. 기업의 성장과 자본시장 발전을 위해 정부는 주식시장 상장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지만, 이러한 정책 방향에도 불구하고 신규 창업한 중소기업이 단기간에 주식시장에 상장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창업 초기의 중소기업은 주식시장을 통한 자본조달보다는 생존을 위해 조세혜택을 통한 세금부담의 감소에 더욱 관심이 클 것으로 일반적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조기에 주식시장에 상장함으로써 장기적인 성장을 도모하는 일부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상장심사에 유리하도록 수익성을 좋게 하려는 것에 더욱 관심이 많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과세관청으로부터 수집한 창업중소기업감면 적용대상 기업의 세부적 법인세 신고내용 중에서 조기상장 창업중소기업 및 성향점수 매칭을 통해 선정한 비교대상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이들 조기상장 창업중소기업의 회계 및 세무상 행태를 확인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적극적인 자본시장 활용을 지원할 수 있는 회계 및 조세제도의 개선방안 마련에 유용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먼저, 창업중소기업감면을 적용받은 상장 초기의 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하기 위한 요건을 충족하고, 상장주식의 발행가액을 최대한 높게 결정되도록 해서 기업공개에 따른 경제적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해 분석기간인 상장 직전 5개 연도에 순이익을 높게 보고해서 경영성과가 좋게 보이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데, 분석 결과는 이러한 일반적 예상이 타당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조기상장 창업중소기업이 비교대상 비상장기업에 비해 보고이익을 증가시키는 이익조정을 했을 경우에는 이로 인해 증가하는 법인세 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해 동(同) 분석기간에 걸쳐서 조세회피를 더욱 많이 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데, 분석 결과는 이러한 일반적 예상이 과세소득의 조정의 측면에서는 타당한 반면 산출세액에서 차감하는 세액공제․감면의 적용의 측면에서는 타당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과세소득의 조정의 측면에서는 조기상장 창업중소기업이 주식시장 상장을 위해 적용한 과도한 이익조정의 결과 장부상 이익과 과세소득 간의 높은 일치성(conformity)으로 인해 증가하는 법인세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해 비교대상 비상장기업에 비해 과세소득을 감소시키는 적극적 조세회피를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창업중소기업감면 외의 나머지 세액공제․감면이 산출세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조기상장 창업중소기업의 해당 사실이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예상에 부합하지 않는 이러한 비유의적 결과는 최저한세가 규정하는 전체적인 조세지출 한도의 적용으로 인해 이미 상대적으로 감면비율이 높은 창업중소기업감면을 적용한 기업의 경우에는 나머지 세액공제․감면을 적용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지 않았을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이러한 비유의적 결과는 과세소득의 감소시키는 조세회피에 비해 부담할 세액 자체를 감소시키는 부당한 세액공제․감면의 적용에 대한 과세관청의 사후적 검증이 훨씬 엄격한 조세행정의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주식시장 상장을 위한 과도한 이익조정을 규제할 수 있는 회계기준의 정비와 함께 이러한 이익조정을 고려하지 ...

      • KCI등재

        전기 비적정 감사의견이 감사인 교체방향과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비상장기업의 의견구매

        박종일 ( Jong Il Park ),남혜정 ( Hye Jeong Nam ) 한국회계학회 2014 會計學硏究 Vol.39 No.6

        본 연구는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감사인 교체기업이 전기 비적정 감사의견에 따라 의견구매 현상이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전임 감사인으로부터 비적정 감사의견을 받은 기업이 감사인을 교체한 후 재량적 발생액( AM) 또는 실제 이익조정( RM)을 통해 보고이익을 상향조정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감사인 교체시 보고이익을 상향조정한다면 이러한 현상이 감사인 교체방향과 체계적인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2000년부터 2008년까지 감사인이 교체된 8,305개 기업/연 자료를 분석했으며, 주요변수인 AM과 RM의 측정오차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성과조정 측정치(Kothari et al. 2005; Cohen et al. 2011)를 이용하였다.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인 교체기업 중 전임 감사인이 Big 4이면서 이들에게 비적정 감사의견을 받은 비상장기업이 감사인을 교체하면 후임 감사인으로 non-Big 4 감사인을 더 선호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기 비적정 감사의견이 감사인 교체방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과로서 감사인을 교체한 비상장기업에서는 낮은 품질의 감사인을 보다 선호하는 의견구매 현상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감사인 교체기업 중 전기 비적정 감사의견을 받은 비상장기업은 적정의견을 받고 감사인을 교체한 기업보다 교체연도에서 AM과 RM 수준 모두가 더 높은 결과로 나타났다. 이는 전임 감사인으로부터 받은 비적정 감사의견이 비상장기업의 경영자에게 감사인을 교체할 동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감사인 교체연도에서 AM과 RM의 이익조정 수단 모두를 이용해 보고이익을 상향조정한다는 발견이다. 이러한 결과는 상장기업을 분석한 선행연구들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던 새로운 결과이다(DeFond and Subramanyam 1998; Davidson III et al. 2005 등). 셋째, 감사인교체기업 중 전임 감사인의 유형과 관계없이 감사인을 non-Big 4로 교체한 경우가 RM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된 결과로 나타났다. 이는 비상장기업이 감사인을 교체하면 보고이익을 높이기 위해 낮은 품질의 후임 감사인을 선호할 뿐만 아니라, 감사인 교체연도에서 감사범위에 속하지 않는 이익조정 수단인 RM을 더 증가시키고 있다는 발견이다. 넷째, 감사인 교체기업 중 전임 감사인 non-Big 4로부터 비적정 감사의견을 받고 후임 감사인 역시 non-Big 4로 수평교체한 비상장기업이면 교체연도에서 RM을 통해 보고이익을 상향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상장기업에서 전임 감사인의 감사의견과 후임 감사인의 교체방향에 따라 이익조정의 정도뿐 아니라 두 이익조정 수단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전임 감사인에게 비적정 감사의견을 받은 기업의 상황이 감사인의 교체방향과 감사인 교체 후 이익조정 수준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보여주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규정상으로는 비적정 감사의견을 받고 감사인 교체가 제한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전기 비적정 감사의견을 받은 비상장기업이 감사인 교체를 이용해 낮은 품질의 감사인을 선임하는 의견구매 현상이나 교체시점에서의 이익의 상향조정행위가 나타난다는 본 연구의 발견은 학계, 실무계, 규제기관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정책당국에게는 제도 정비와 관련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examines earnings management behaviors on changing a auditor depending on the type of prior audit opinions in private companies. Specifically, this study tests whether the non-unqualified opinion from a prior auditor influences auditor change and the level of earnings management measured by discretionary accruals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s that a relationship between auditor change and earnings management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auditors (Big 4 and non-Big 4 audit firm). Prior studies suggest that one of the reasons in switching auditor is the conflicts of interest on conservative or strict auditing procedures and audit firms with low quality are preferred as a changed auditor. However, most studies related to auditor change focus on listed companies and there is little study on the effect of audit opinion on a relationship between auditor change and earnings management in private companies. This paper tries to fill the gap. We examine related three issues in private companies. The first, we test whether private firms with non-unqualified opinion and auditor change tend to shop audit opinion. The second, we test whether private firms with non-qualifies opinion and auditor change tend to manage earnings. In this paper, we measure discretionary accruals using Kothari et al.(2005)``s methodology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using Cohen and Zarowin (2011)``s methodology as proxies for earnings management. The third, we test whether the earnings management is associated with the direction of auditor change. These issues are based on the general prediction that when firms do not receive an unqualified audit opinion and then switch from a Big 4 to a non-Big 4 audit firm (lower quality auditors), they may be engaging in audit opinion shopping. We also expect that these firms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aggressive earnings management. To test these predictions, we examine motivations of auditor change using a sample of 8,305 auditor changes in private firm-year observations from 2000 to 2008 and estimate discretionary accruals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variables as proxies for earnings management. We set four hypotheses to test the effect of auditor change and opinion shopping on earning management. First of all, we divide the sample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the type of auditor change, that is, Big to small versus small to small. We then investigate a relationship between audit opinion and auditor change. We also investigate a relationship between auditor change and earnings management using different models. Therefore, the subsample i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first hypothesis while total sample is used for the remaining hypothesis. Several control variables such as size, leverage, cash flows from operations, growth, loss, and so on are included in the model. Empirical findings of this paper are following. First, firms received non-unqualified opinion from Big 4 audit firm in previous year are more likely to engage with non-Big 4 audit firm as a next auditor. However, firms received non-qualified opinion from non-Big 4 audit firm in previous year are indifferent to switch auditor type.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Davidson III et al. (2005) and suggests that audit opinions in previous year affect choice of auditors next year. Specifically, this finding implies that private firms with non-unqualified opinion tend to prefer auditors with low quality for opinion shopping. Second, among firms switched their external auditors, firms received non-unqualified opinion in previous year are more likely to have high level of discretionary accruals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compared to firms received unqualified opinion. This indicates that receiving non-unqualified opinion motivates firms to change auditors and leads to earnings management. This result is not consistent with prior study with listed companies. Davidson III et al. (2005) find a in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udit opinion and earnings management in listed companies. Third, among firms switched their external auditors, when a firm changes auditor to non-Big 4 audit firm, real earnings management rather than discretionary accruals significantly increase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se firms may subsequently engage in greater real activities based earnings management. While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only affects accrual numbers, real activities based earnings management boosts short-term earnings at the expense of distorting real operations (Roychowdhury 2006). It causes real operations to deviate from their optimal levels, thereby dampening a firm``s ability to generate future cash flows and performance in the long run. It implies that private firms switched from Big audit to non-Big audit firm provide financial statements with low quality. Finally, firms that change a auditor from non-Big 4 audit firm to non-Big 4 audit firm show a higher real earnings management than that of other firms. This result suggests that both type of prior auditor and audit opinions affect a choice of earnings management methods. We extend our analyses by dividing the sample with prior audit opinion and successor auditor type. We also test above analyses with change variables rather than level variables of earnings management again and find identical results. Thus, our results provide a solid evidence that audit opinion affects auditor change and earnings management in private firms. In sum, this paper provides the evidence that both audit opinion in previous year and auditor change influence the level of earnings management. An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ivate firms may engage in opportunistic behaviors when they change auditors. This paper contributes to related studies by providing the evidence that non-unqualified opinion can affect the level of earnings management and auditor change in private firms. Our empirical findings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to regulators, academic researchers who interested in private firms``s behaviors on a relationship between auditor change and earnings management, and practitioner.

      • KCI등재

        우회상장 기업의 이익조정과 상장이후 기업성과

        박영규,김준석 한국회계학회 2016 회계저널 Vol.25 No.2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pearl” which is an unlisted firm to acquire a listed firm or “shell” company boosts reported earnings through discretionary accruals in order to obtain private benefit from a backdoor listing. An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backdoor listing is to integrates aspects of both IPO and M&A. Previous studies on earings management in IPOs and M&As document that they increase net income intentionally prior to the events, giving them cost reduction from high issue price of new shares. Pearl company has also a motive to manage reported earnings upwardly to get the benefit. Previous researches demonstrate that severer under-performance follows backdoor listing than IPO, caused by high information asymmetry and poor corporate governance etc. This paper concentrates on earnings manipulation of pearl firms and the effect of earnings management on post-listing performance. We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with 70 backdoor and 194 regular listing(IPO) events from July 2006 to June 2010 in the KOSDAQ market. The extent of earnings manipulation is measured by modified Jones model which is the most popular model. Pearl is more likely to inflate earnings via discretionary accruals because unlisted firms through backdoor listing have weak corporate governance and high information asymmetry. Higher degree of earnings management of Pearl is consistent with previous empirical results. Second, several metrics such as BHAR, ROA, ROS, GRW, and LEV are measured in order to explore overall change of pearl and IPO firms surrounding listing year. There are four types of backdoor listing in Korea. Only type of merger is adopted for the analysis because pearl and shell firm merged into one combined firm. Buy and hold abnormal return for a stock market performance is measured as buy and hold return of a sample firm less that of KOSDAQ market. KOSDAQ index is proxy variable for KOSDAQ market. ROA represents return over total assets(net income/total assets). ROS represents return on sales(net income/sales). GRW is growth in total assets. LEV is calculated total liabilities over total assets. M&A firm shows the decline in ROA and ROS at the year of backdoor listing, not long-lasting. LEV of M&A firm rises at the year of backdoor listing and high level of LEV is held following the year. The growth in total assets improves at the year of M&A and decreases the next year. These empirical results imply that the expected M&A synergy through backdoor listing is not realized. Third,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pre-earnings management of pearl on post-listing performance. Both operating performance and stock market performance are adopted as a proxy variable as financial performance. Under-performance in long-run stock return and accounting rates of return exists clearly. Using one-year BHAR and ROA(-1,0) as the dependent variables, we run OLS regression analyses. No empirical results are found supporting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earnings manipulation and post-listing financial performance. This might suggest the possibility of that market responds rapidly to the discretionary accruals. CAR measured by market adjusted model is adopted to measure short-run market reaction. High positive excess return is observed around the disclosure date of backdoor listing, which is derived from the expectation of maintenance of list status and synergy from combining pearl and shell. Positive market reaction is changed to be negative at the designated date following the announcement date. One of reasons of negative excess return is the overreaction to the announcement to backdoor listing. Both excess returns for the disclosure date and the designated date hav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discretionary accruals of pearl, implying market fails to recognize the extent of earnings manipulation of pearl at those time. Lastly, what makes more backdoor-listed firms delisted than IPOs? Actually, a comparison of backdoor-listing... 우회상장 기업은 정규상장(IPO) 기업에 비해 상장이후 부실화 현상이 심각하다. 본 연구는 우회상장을 추진하는 비상장기업(펄기업)의 이익조정행위가 우회상장이후 재무성과 악화 및 부실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다. 실증결과를 기반으로 우회상장 규제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성 제시가 가능하다. 먼저, 펄기업과 IPO기업의 상장 이전의 이익조정현상을 조사하여, IPO기업에 비해 펄기업이 과도하게 재량적 발생액을 부풀리는 행위를 포착한다. 우회상장 기업이 처한 심각한 정보의 비대칭성과 이익조정행위를 감시할 시스템의 부재 등에 기인한 결과로 유추된다. 다음으로, 우회상장 기업의 상장이후의 장기성과를 측정하고 이익조정행위와의 관계를 파악한다. 우회상장이 완료된 결합기업은 IPO기업에 비해 심각한 주식성과와 영업성과하락이 관측되지만, 펄기업의 과도한 이익조정이 우회상장이후 결합기업의 재무성과 악화를 야기한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는다. 연구 방법론의 문제점이 실증결과를 왜곡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고 결과의 강건성을 확보하고자 우회상장에 대한 단기주가반응과 부실화를 추가적으로 분석한다. 시장이 효율적으로 이익조정에 신속하게 반응했다면, 장기주식성과와 이익조정과의 연관성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우회상장의 대상이 되는 상장기업(셸기업)의 주가자료를 이용하여, 우회상장 공시일과 우회상장 결합일에 대한 공시반응과 이익조정과의 관계를 분석한다. 우회상장 공시일에는 긍정적인 공시효과가 발생하지만, 지정일에는 공시일의 양(+)의 초과수익률을 상쇄시킬 정도의 부정적인 시장반응이 확인된다. 펄기업의 재량적 발생액과 공시일 및 지정일의 시장반응과의 유의한 관계는 발견되지 않는다. 장기성과측정은 생존편의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이 문제를 완화하고자, 상장폐지표본을 모두 포함한 기업부실화모형을 수립하고 로짓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펄기업의 재량적 발생액이 결합이후 기업의 부실화를 야기하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고, 펄기업과 셸기업의 수익성이 기업부실화를 이끄는 중요한 요인임이 지지된다. 즉, 펄기업의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한 이익조정행위 자체가 우회상장이후의 기업성과 악화와 부실화를 일으키는 직접적인 요인은 아니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에 의하면, 펄기업의 이익 조정보다는 결합하는 기업의 순이익 등에 대한 조건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우회상장 규제를 수립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KCI등재

        2015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 국내기업의 미국증시 상장에 따른 법률상 위험요소 및 관리방안 -미국 연방증권법 및 주회사법상 소송관련 위험요소를 중심으로-

        황운경 ( Oon Kyong Hwang ) 한국상사판례학회 2015 상사판례연구 Vol.28 No.2

        2014년 초부터 여러 국내기업들은 의욕을 갖고 해외 주식시장 상장을 추진해왔으나 2014년 하반기부터 국내기업들의 이러한 움직임에는 제동이 걸렸다. 최근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로 해외증시 상황이 좋지 않은데다 앞서 상장한 국내기업들이 잇따라 상장 폐지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주춤했던 국내기업의 해외시장을 겨냥한 기업공개(Initial Public Offering, IPO) 움직임이 2015년부터 다시 시작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기업이 해외시장 중 특히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증권거래소를 보유하고 있는 미국에 활발하게 상장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준비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국내기업의 미국시장 상장시 고려해야 할 여러 사업상 문제 중 법률상 위험요소인 미국 연방증권법 및 주회사법상 소송관련 문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의 해결을 위한 관리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국내기업의 미국상장을 결정한 국내기업의 경영자는 다음의 두 가지 방법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상장을 추진하게 된다. 첫째, 우리 회사법에 따라 기업을 설립하고 미국 증권거래소에 ‘외국국적 상장기업(Foreign Private Issuers, FPI)’으로 상장하는 방식과 둘째, 미국 내 특정한 주의 회사법에 따라 기업을 설립하고 미국 증권거래소에 ‘미국국적 상장기업(Domestic Issuer)’으로 상장하는 방식이 있다. 그런데 현재 미국에 상장한 국내기업은 모두 FPI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Domestic Issuer 보다는 FPI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여러 가지 면에서 더 수월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미국 증권법은 SEC에 의도적으로 두 개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Domestic Issuer에게는 더욱 엄격한 기준을 FPI에게는 덜 엄격한 기준”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만약 국내기업이 미국에 상장시 FPI 방식을 선택한다면, 이와 관련된 미국에서의 법률적 위험요소에는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그 위험요소가 발생할 위험율은 Domestic Issuer 방식을 선택할 경우보다 더 낮을 것인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미국 상장 국내기업이 직면할 수 있는 법률상 위험요소 중 기업이 가장 우려할 수 있는 것으로 미국 주회사법상의 주주대표소송, 연방증권법상의 집단소송 그리고 SEC의 조사 및 소송 3가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내기업의 미국 상장시 우리 기업들이 우려하는 것보다는 미국 주회사법상의 주주대표소송, 연방증권법상의 집단소송 그리고 SEC의 조사 및 소송에 관련되는 법률상 위험이 그리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Domestic Issuer 방식보다 FPI 방식으로 미국 증권거래소에 상장한다면, 국내기업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인하여 이러한 소송의 위험에서 더욱 멀어지게 된다. FPI의 경우 첫째, 상장기업이 설립된 국가와 미국 간의 지리적 이유로 인해 소비되는 높은 소송 및 업무처리 비용, 둘째, 소송의 근거가 되는 공개적인 정보·자료를 구하는 것의 어려움, 셋째, 미국 거주자들을 Domestic Issuer로부터 보호하는 것에만 중점을 맞추는 SEC의 미국 편향적경향, 넷째, 미국 증권거래소와 SEC의 외국기업을 미국 자본시장으로 유입하려는 노력 등의 원인들로 인하여 Domestic Issuer보다 현저하게 적게 소송의 위험에 노출된다. 따라서 미국증시 IPO를 준비하는 국내기업이 미국 상장기업의 설립근거를 우리나라로 정하는 FPI 방식을 선택한다면 미국 주회사법상의 주주대표소송, 연방증권법상의 집단소송 그리고 SEC의 조사 및 소송 위험으로부터 상당히 자유로워지면서 동시에 CEO 및 CFO가 해당 기업에 대한 경영 관리 및 통제를 수월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물론 미국증시 상장이 모든 기업에게 적합하지는 않기에 국내기업은 미국과 국내 주식시장 간의 차이를 반드시 고려하고 준비해야 한다. 이에 따라 미국증시에 상장하는 국내기업은 IPO 이전에는 ① 자금 조달을 위한 투자자 확보를 위해 부실한 기업의 구조조정을 진행하여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시키고, ② 새로운 상장기업 내에 유능한 경영진을 확보하며, ③ 상장 이전에 미리 기업의 재무보고체계와 재무팀을 강화하여 상장 이후의 업무에 대비하고, ④ IPO 홍보시 주의가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준비하여 기업의 정보가 잘못 누출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또한 IPO 이후에는 수백만 달러 규모의 소송 가능성으로부터 상장기업 자신을 보호할 수 있도록 ① 적절한 공시를 위하여 기업 내부에 전문가들로 구성된 공시위원회를 조직함과 동시에, ② SEC 관련 업무 경험이 있는 유능한 법률 및 회계 관련 사외 자문사의 도움을 받고, ③ 소송이 제기된 경우 지출될 합의금에 대한 파악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임원배상책임보험과 같은 효과적인 책임보험 프로그램에 가입하는 등의 효과적인 소송 위험 관리체제에 대한 준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Many Korean firms have been seriously trying to going public in foreign countries since the beginning of 2014 but many hurdles start to surface from the latter part of 2014, which are downturn of foreign stock markets and de-listing of some of Korean companies. As such most Korean companies, considering IPO in foreign countries, have just watched market environments without any firm IPO schedule committed. But with the beginning of 2015, foreign IPO of Korean companies has gained its momentum once again.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thesis has studied the requirements for the IPO in US stock market, the world biggest one, especially the legal risks from US Securities Laws as well as relevant State Corporate Laws and ways to mitigate them for Korean companies, contemplating IPO in US. Not all Korean companies need to go public in US stock market, as there are cons as well as pros. With the IPO in US market, Korean companies can secure long term and reliable funds needed for the growth, then could pursue the various M&A opportunities. Furthermore, public company can secure investors, business partners and customers as its reputation would be elevated with IPO. In spite of all those good points, only small number of Korean companies are listed in US stock market, 8 Korean companies including POSCO and KT are listed in NYSE and only Korean company-computer game company Gravity- are on the NASDAQ. It is due to the disappointing foreign stock market situations and heavy burden to operate as public company in foreign countries and some Korean companies voluntarily de-listed its stock in foreign stock market. The companies, listed in foreign countries, had to take considerable costs in providing disclosure items required under specific rules in those countries and differences in corporate governance betwee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s well as strict accounting rules have added the difficulties in IPO in foreign countries Considering all the factors, management of the company could have two options in going public in US market. First, IPO in US market as FPI while following Korean Corporate Law. Second, establishing the company in compliance with the specific State Laws in US(for example, Delaware or New York), then seeking IPO as US Domestic Issuer. Currently, all Korean companies listed in US have followed FPI option, as it is more easier to them. US Securities Laws intentionally allow two options, requiring more strict rules to Domestic Issuer and less strict rule for FPI. For example, less information needs to be disclosed by FPI than by Domestic Issuer. And FPI is allowed to follow its own country`s corporate governance, not strict and unfamiliar US rules and this is one of the biggest benefits to Korean companies, in pursuing FPI options. This thesis studied the legal risks coming from FPI options in US stock market and how probable they are compared to Domestic Issuers. The most worrisome legal risks for Korean companies listed in US are shareholder derivative suits, direct class actions and investigation and lawsuits by SEC and its analysis are as follows; The study shows that all those three risks are not that significant in terms of probabilities, compared what Korean companies are worried they might be, especially whey they take FPI option. FPI are expected to be exposed to less legal risks due to; ① more cost for legal lawsuits and related transaction as it is not located in US; ② difficulties of getting required information for lawsuits; ③ SEC is inclined to protect US investors from Domestic Issuers; ④ US stock exchange and SEC have been trying to attract more non US companies into US stock market. So, if Korean company takes FPI option, it can get away from those three risks to some degree and at the same time, CEO and CFO can have higher degree of controllability in the company. Obviously, all the companies are not fit for US IPO, they need to analyze the pro and con for US IPO. Before US IPO, Korean company needs to; ① maximize the corporate value by restructuring the poor performance businesses; ② secure talented management team; ③ beef up the finance team ready for post IPO; ④ set up the proper communication guideline. And after IPO, it needs to protect itself from huge amount of lawsuits by; ① establishing in house disclosure committee, composed of experts; ② getting the proper advice from good legal and accounting advisors; ③ estimating the legal costs in case of actual legal lawsuits; ④ buying the D&O insurance, aiming to set up effective legal risk management. With all those preparations, Korean companies could have another chance of quantum jump, competing with foreign companies in US market.

      • KCI등재

        비상장기업에서의 특수관계자 거래가 발생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임영관(Lim, Young-Kwan),김영철(Kim, Young-Chul),강정연(Kang, Jeong-Yeon) 글로벌경영학회 2015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2 No.3

        본 연구는 비상장기업을 중심으로 특수관계자 거래와 발생액의 품질간 관련성을 실증분석하였 다. 그리고 이러한 특성이 비상장기업과 상장기업간에 차별성이 존재하는지도 분석하였다. 또한 비상장기업에 있어서 감사품질이 특수관계자 거래와 발생액의 품질간 관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도 함께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상장기업에 있어서 특수관계자 거래와 발생액의 품질간에는 음(-)의 관련성이 유의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특수관계자 거래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액의 품질이 하락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둘째,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이 포함된 전체 표본을 대상으로 특수관계자 거래와 발생액의 품질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비상장기업 집단이 상장기업에 비하여 유의하게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셋째, 비상장기업에 있어서 감사품질에 따라 특수관계자 거래와 발생액의 품질간 관련성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상장기업이 대형회계법인으로부터 회계감사를 받는 경우 특수관계자 거래와 발생액의 품질간의 음(-)의 관련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related party transactions(RPX, hereafter) on accrual quality(AQ, hereafter) in Korean private firms. This paper also investigates whether this effect differs across two groups of firms: Korean private firms versus Korean public firms. And this paper further studies this effect of RPX on AQ differs according to audit quality as capital market monitoring factor. The main findings of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Q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RPX in Korean private firms. Namely, AQ decreases as RPX increases. Second, the relation between AQ and RPX is more negative in Korean private firms than in Korean public firms. Third, the relation between AQ and RPX differs according to audit quality. Namely, there exists the statistical positive interaction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AQ and RPX as audit quality increases.

      • 기업의 정보비대칭은 IPO 기업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가

        김성신 국제지역학회 2018 국제지역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18 No.-

        본 연구는 한국 주식시장에서 기업의 정보 비대칭이 신규 상장기업의 생존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기업의 정보 비대칭은 이익조정에 따른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상장폐지 기업은 생존 기업에 비해 설립일로부터 상장일 까지 소요 기간, 상장 후 생존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았으며 수익성도 낮았다. 재량적 발생액을 근거로 한 정보 비대칭의 수위에서도 높게 나타났으며 기업의 장단기 성과도 상대적으로 부진하였다. 두 번째, Cox의 비례위험 모형(1972)을 통한 생존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설립일로부터 상장일 까지 소요기간이 길고, 기업규모가 크면 상장폐지 확률은 감소하였다. 또한 기업공개 시장의 사이클에서 핫마켓에 신규 상장된 기업과 정보 비대칭의 수위가 높은 기업의 경우, 상대적으로 상장폐지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세 번째, 기업공개 이후 주가의 장단기 성과를 통제하였을 때 단기 성과는 상장폐지와 유의적인 관계를 갖고 있지 않으나 36개월, 60개월 간의 장기성과는 유의적인 음(-)의 관계를 갖고 있었다. 즉, 장기 성과가 좋은 신규 상장기업은 상장폐지 확률이 낮았다.

      • KCI등재

        中国企业赴香港上市相关制度分析

        涂萌,赵东济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5 동북아법연구 Vol.9 No.1

        1992년 10월 9일, 국유기업 华晨金杯(Huachen Jinbei)중국자동차는 百慕大(Bermuda) 에 등록한 후 ADR방식으로 미국 뉴욕거래소에 상장하여 중국기업의 해외상장의 서 막을 열었다. 1993년 7월 15일, 중국기업 《청도맥주》가 홍콩거래소에 H주식방식으로 상장하여 진정으로 해외에서 상장한 첫 번째 중국기업으로 되었다. 중국경제의 전면 적인 발전에 따라 해외에서 상장하는 중국기업의 수는 부단히 증가하고 있다. 2007년 부터 2014년까지 8년사이에 647개의 중국기업이 해외에서 상장하였는데, 주로 홍콩, 미국, 유럽의 각 증권시장에 집중되어 있다. 清科(Qingke)그룹의 통계자료 분석에 의 하면. 세계 많은 증권시장 중 홍콩에서 상장한 중국내지기업의 융자액과 상장수량의 비율이 가장 크다. 이것은 기타 증권거래소들이 비교할 수 없는 것이다. 중국기업이 잇달아 홍콩에 상장하는 이유는 홍콩거래소가 독특한 우세를 갖고 있고, 중국내지와 비슷한 문화를 지니고 있으며, 동시에 세계금융중심이며, 중국의 회계법칙을 인정하 고, 상장 후의 관리감독 또한 미국처럼 엄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홍콩은 중국기업의 최선의 선택지로 삼고 있다. 하지만 중국기업의 해외상장 근본문제는 관 련교역과 정보공개이다. 이에 중국기업이 홍콩시장에 상장하기 전 반드시 기업개조 와 재구성을 거쳐 관리수준을 개선하고 회사의 지배구조와 내부통제시스템을 개선해 야 만이 홍콩상장 시에 부닥칠 관련기업과 정보공개 등 법률규제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중국기업은 상장 전에 반드시 홍콩증권시장의 특점을 이해하고 회사자신의 지배와 발전을 강화하여야 비로소 상장 금융조달에 당면하는 곤란과 도전을 극복하 고 순조롭게 홍콩시장에 상장을 실현할 수 있다. Chinese companies began their overseas listing journey since the state-owned motor company named Huachen Jinbei registered in Bermuda then listed in New York Stock Exchange by way of ADR on October 9, 1992. After then, Tsingtao Brewery listed in Hong Kong Stock Exchange by way of H shares on July 15, 1993, became the first truly direct overseas-listed Chinese enterprise. Along with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China's economic, the number of overseas-listed Chinese enterprises increased rapidly. During eight years between 2007 and 2014, the number of Chinese companies listed overseas grown up to 645, while the locations which they chose to list were concentrated in certain markets, mainly in Hong Kong, United States, and Europe.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data analysis from Qingke Group, there were much more Chinese enterprises chose to list in Hong Kong market rather than other securities markets. Obviously, those Hong Kong listed Chinese firms aimed for some of Hong Kong’s unique advantages: cultural similarity with mainland china; a better location as one of the world’s financial centres; recognized Chinese accounting standards in HK and less strict supervision compare to United States. All these advantages made Hong Kong market became the first choice for Chinese enterprises listing overseas. However, Chinese companies always meet related transaction and information disclosure problems during the overseas listing progress. In order to enable the enterprise to deal with the legal risks for the related transactions and information disclosure, they need to finish the enterprise system transformation and restriction to improve the management and internal control system before the they going to list on the Hong Kong market. What’s more, from aspects of regulation system, company operation system, Hong Kong market and Mainland China market are quite different, which is also challenge for Chinese enterprises which want to list. To sum up, before Chinese companies applying to list in Hong Kong market, they need to ful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ket, and strengthen the company management system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to list in the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