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포츠 분야에서 기술수용모델(TAM)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배정섭 ( Jung-sup Bae ),여인성 ( Insung Yeo ),임범규 ( Bumgyu Im ),서광봉 ( Suh Kwangbong ),원도연 ( Doyeon Wo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7 체육과학연구 Vol.28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통해 스포츠분야에서의 기술수용모델의 효과성에 대해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방법] 자료의 분석을 위해 스포츠 분야에서 기술수용모델이 활용된 선연행구 22편을 선정했으며,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를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 분야에서의 기술수용모델의 효과크기는 .568로 큰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기술수용모델의 구성요인인 지각된 용이성은 .516, 지각된 유용성은 .616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조별변인 중 유형에 따른 기술수용모델의 효과성에서는 어플리케이션, SNS, 온라인구매, 스포츠제품, 영상콘텐츠 순으로 차이가 확인되었다. 셋째, 여성의 비중에 따라 스포츠 분야에서의 기술수용모델의 효과성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20대 비중에 따라 스포츠 분야에서의 기술수용모델의 효과성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스포츠분야에서의 기술수용모델이 적용 가능한 분야에서 수용자들의 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한 방안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the impact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in sports field using a meta-analysis. [Methods] First of all, findings from 22 articles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ntion to use via the comprehensive meta analysis(CMA) program. [Results] It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showed that TAM have a big effect on intention to use, with an effect size of .537. Second, the most influential effect size of TAM sub-factors was perceived usefulness. Third, in application and SNS had a most effect on TAM. Lastly, results found significant moderating evidence for ratio of female. But ratio of 20`s was not founded significant moderating evidenc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pursue the behavior of the audience in the field where TAM is applicable in sports field.

      • KCI등재

        모바일 광고의 수용자 반응에 관한 연구 : TAM(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박진표(Jin-Pyo Park),김재영(Jae-Young Kim) 한국옥외광고학회 2010 OOH광고학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모바일 광고의 수용과정을 기술수용 모델을 통해 설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외부 영향변인으로 오락성, 참여성, 신뢰성 등을 선정하고, TAM의 핵심적 변인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그리고 광고태도와 광고수용의도 등을 기술수용과정의 중요 단서로 채택하였다. 아울러 이 단서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본 연구에서 제안하였던 기술수용모델 구성요소 간의 연구모형이 유용한 모델이라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모바일 광고 수용 모델에 대한 외부적 영향 요인을 검증한 결과, 모바일 광고의 오락성, 참여성, 신뢰성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행연구에서도 기술수용 모델의 외부적 영향 요인이 핵심적인 변수인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에 간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도 외부의 영향 요인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모바일 광고에 대해 감각적인 즐거움을 얻을 수 있으며, 개인의 집중력이나 매력적인 볼거리가 있다고 생각할수록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모바일 광고에 대한 정보가 사실적이고 믿을만하다고 여길수록 지각된 용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바일 광고에 대한 신뢰성은 지각된 유용성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지각된 용이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ain the process of receiving mobile ads by using TAM. Amusementness, participation and reliability were chosen for the external influencing factors, also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availability as well as attitude, acceptance intension toward ads were also selected for important condition of the process. In the result of the research, we are able to identify that the study model between the components of TAM, which is proposed by this study, is an effective model. Furthermore, After the result of verifying external influencing factors of mobile ads acceptance model, it has been analyzed that amusementness, participation and reliability affect positively on perceived usefulness and availability respectively. In preceding study, the external influencing factors of TAM act on the fundamental variables; perceived usefulness and availability directly and indirectly. Likewise, this study proved that the external influencing factors give meaningful effects to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availability. In other words, as long as someone entertained by mobile ads and thinks the ads are attractive to watch, the external factors positively influence on the perceived factors. Moreo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more the consumers believe the information is true, the more positive effects will be on the perceived availability. However, although the reliability of mobile ads meaningfully influence the perceived usefulness, it does not affect on the perceived availability.

      • KCI등재

        기술수용모델(TAM)을 적용한 모바일 항공권구매앱 수용에 관한 연구

        노민정 ( Min Jung Roh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5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3 No.5

        모바일 기반의 항공권구매앱의 도입이 최근 본격화되고 있다. 항공권구매앱의 도입은 예약 및 발권에 이르는 일련의 구매과정을 효율화시켜 항공사의 핵심서비스 수행성과 증진에 기여할 뿐 아니라 고객만족도 제고에 일조하여 고객관계 관리의 초석을 다지는 계기로 작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항공권구매앱의 전략적 이점에도 불구하고, 항공권구매앱의 사용자 수용에 관련된 심리반응기제를 세밀히 조망한 시도는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기술수용모델(TAM: techonology acceptance model)을 적용하여 모바일 항공권구매앱 수용에 관한 사용자의 지각 및 수용의사를 면밀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술수용모델은 항공권구매앱과 같은 혁신기술의 수용이 해당 기술의 수용에 소요되는 수고로움의 정도(사용용이성) 및 기술 수용에 의한 성과 향상에 대한 기대 수준(유용성)에 따라 좌우될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Davis, 1989).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술수용모델의 항공권구매앱 수용 과정에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총 250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실증 분석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같다. 첫째, 성능위험 및 시간위험이 항공권구매앱의 사용용이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항공권에 대한 관여도가 항공권구매앱의 유용성 지각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항공권구매앱에 대한 친숙감이 항공권구매앱의 수용의사에 정(+)의 영향을, 모바일 결제플랫폼에 대한 불안감이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결과들은 항공권구매앱의 수용이 성능위험 및 시간위험의 완화로 촉진될 수 있으며, 고관여 소비자들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집중으로 보다 고취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Recently, an increasing number of mobile-based airline ticketing apps have been introduced. Mobile-based airline ticketing apps cannot only serve to enhance the performance outcome of the core services of airline companies by making the purchase process related to reservation and ticketing efficient, but also provide the opportunity to nourish the customer relationship by increasing customer satisfaction. However, despite the strategic advantage of mobile-based airline ticketing apps, few efforts have been made to consider users`` psychological acceptance mechanism for these apps. This study employs existing technology-acceptance models to scrutinize users`` awareness of and willingness to accept the mobile airline ticketing apps. Technology-acceptance model (TAM) proposes that the acceptance of innovative technologies such as mobile airline ticketing apps varies as a function of the degree of effort spent on the acceptance of the technology (ease of use) and the expectation level for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wing to the acceptance of the technology (usefulness; Davis, 1989).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AM to consumers`` acceptance of mobile airline ticketing apps, this study performed a survey of 250 respondents. The results based on the survey data showed that (1) performance risk and time risk had a negative effect on ease of use; (2) involvement with airline tickets had a positive effect on awareness about the app``s usefulness; and (3) familiarity with the ap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willingness to accept it, while anxiety towards mobile payment platforms had a negative impact. These conclusions imply that to facilitate the acceptance of airline ticketing apps, performance and time risks must be eased and marketing activities should be concentrated on consumers highly involved with airline tickets.

      • KCI등재

        융합모델(IMTBPT)을 활용한 팟캐스트 수용의도 결정요인 연구

        이정기(Lee, Jeong Ki),금현수(Kuem, Hyun Soo)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社會科學硏究 Vol.29 No.2

        이 연구는 2012년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팟캐스트 수용의도를 결정하는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함의를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성향적 인터넷 라디오 이용동기(이용과 충족), 기술수용모델, 그리고 계획행동이론 변인의 통합모델인 이른바 IMTBPT 모델(The Integrated Model of Technology-Based Behavior Prediction Theory:기술기반 행동의도 예측 이론의 통합 모델)을 통해 20대들의 팟캐스트 수용의도를 예측해 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이용과 충족이론, 기술수용모델, 계획행동이론의 통합모델인 IMTBPT모델의 적합도는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향적 인터넷 라디오 이용동기 중 환경감시 및 학습 동기는 팟캐스트 이용의 유용성과 용이성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사회관계 및 표현 동기는 팟캐스트 이용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이성은 태도를 매개로 수용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유용성은 수용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 용이성은 유용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계획행동이론 변인 중 주관적 규범은 수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이용과 충족, 기술수용모델, 계획행동이론의 통합모델로 제안된 IMTBPT의 적합도를 확인하고, 팟캐스트와 같은 기술기반 행동의도 예측에 있어 IMTBPT모델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implication about the cause to determine the influencing factor of the use intention of Podcast which has been a popular software since 2012. Specifically, this study attempted to predict the use intention of Podcast among people in twenties using the integrated model of technology-based behavior prediction theory(IMTBPT), which is the integrated model of variable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ppropriateness of IMTBPT model which is an integrated model combining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was shown to be satisfiable for this study. Second, it is indicated that environment monitoring and academic motivation among dispositional internet radio use motives have a static influence on both of usefulness and ease of use in using Podcast, while social relationship and expression motivation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use behavior of Podcast. Ease of use is shown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acceptance intention through mediator of behavior, while usefulness directly affects acceptance intention. On the other hand, ease of use is shown to have a static influence on usefulness, and subjective norm is also shown to have a staticinfluenceonacceptanceintentionamongvariablesofTPB.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verifies the appropriateness of IMTBPT which is proposed to be the integrated model combining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Furthermore, this study has importance in that it confirms whether IMTBPT model is useful for predicting behavioral intention based on technology such as Podcast.

      • KCI등재

        기술수용모델(TAM)을 통한 몰입형 메타(Meta) 스토어의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기술준비도(TRI)를 중심으로-

        조계해,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메타버스는 빅데이터, VR, 인공지능 등 4차 혁명의 디지털·정보화 기술을 집약한 가상화 공간 개념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다양한 메타버스 공간의 차별화된 특징이 핵심을 될 것이며, 그중에서 몰입형 메타 스토어는 메타버스 개념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유형의 스토어로 몰입성과 상호작용성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브랜드와 고객의 양방향 소통을 강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하여 몰입형 메타 스토어의 수용의도를 분석하며, 기술준비도를 중심으로 수용의도에 영향을 되는 요소를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첫째, 몰입형 메타 스토어 및 기술수용모델 및 기술준비도를 이론적 고찰을 분석하고 연구의 적당성을 설명한다. 둘째, 연구모델과 연구가설을 제시하고 34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셋째, SPSS 26과 AMOS 26을 이용하여 설문지의 신뢰도, 타당성, 확인적 요인,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연구모델의 적합도를 분석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몰입형 메타 스토어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설명하고 전략을 제시하였다. (결과) 가설검증결과를 보면, 낙관성과 혁신성은 지각된 사용 용이성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편함은 지각된 사용 용이성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지긱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안감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지각된 사용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 용이성은 모두 수용의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사용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선행연구에 따르면 기술 준비도의 4가지 변수(낙관성, 혁신성, 불편함, 불안감)는 서로 독립적이며, 또한 동일한 사람이 신기술 또는 신상품에 대해 동시에 상충되는 기술적 준비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수용의도는 기술준비도 외의 개인 수준, 환경적 요인 및 기타 변수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몰입형 메타 스토어의 수용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술적 성향 외에 개인의 특성과 객관적인 환경 요인도 고려해야 한다.

      • ‘소비자의 핀테크 서비스 수용’ 관련 연구 동향

        유재미 청주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1 경상논총 Vol.14 No.1

        금융산업에 신기술이 접목된 핀테크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학계에서도 핀테크 서비스 수용을 주제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핀테크 서비스의 종류는 다양하고 혁신적 기술 수용과 관련된 이론은 기술 수용 모델, 혁신 확산 모델, 통합 기술 수용 모델 등 대표적인 몇 몇이 존재하다보니 핀테크 서비스 하나와 대표 모델이 연결된 유사한 구조의 연구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예: 기술 수용 모델 활용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 수용, 기술 수용 모델 활용한 인터넷 은행 이용의향 연구 등). 각 연구마다 차별점은 존재하지만 지금까지 진행된 연구가 적지 않음에도 최근에도 유사한 주제와 구조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핀테크 서비스의 종류를 소개하고 서비스 수용과정에 사용되는 기술 수용 모델, 혁신 확산 모델 등의 특징들을 검토했다. 그리고 최근 1~2년 학술 및 학위분야에서 핀테크 수용으로 연구된 주제와 모델들을 정리함으로써 향후 핀테크 서비스 연구시 어떤 주제, 어떤 모델을 선택하고 유사한 연구가 아닌 차별적 기여점을 찾는 데 도움이 되고자 했다.

      • KCI등재

        혁신제품 수용의향에 관한 연구: 통합기술수용이론, 기술준비도와 가치기반수용모델을 중심으로

        정인구,손조기,윤성준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20 마케팅관리연구 Vol.25 No.4

        As we are currently living in an era of the 4th Industry Revolution, it seems necessary to investigate and verify the specific factors that link the characteristics of innovative products and individuals to the purchasing decision of the consumers, and to understant how those factors influence consumer's decision to adopt innovation. For this purpose , this study incorporates two well known models,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and Technology Readiness Index (TRI). Some selected variables of UTAUT model were adopted as predictor variables and TRI was used as a personal attribute variable. And drawing from Value-based Adoption Model (VAM), two-sided value perceptions (perceived benefit vs. sacrifice) were adopted as mediator that leads to customers'intention to accept innovation. The study also examined whether the customers' psychological distance plays a role in moderating relationshio between the perceptions of the innovatiopns and intention to adopt them.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when consumers have positive perceptions of innovations or have high level of technology readiness, they tend to readily adopt innovations. In the case of negativeperception (sacrifice), anxiety and low technical readiness were had positive effect. In addition ,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not only the benefits but also the sacrific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sumer's intention to adopt innovative products. Although the benefit factor was more influential (based on beta value) than the sacrifice factor,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acrifice also served as a significant obstacle to adoption. Lastly, it was verified that the intention to adopt innovative products decreases as the psychological distance incre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future research on innovation and innovative technologies. 인류는 현재 ‘4차 산업혁명’시대에 살고 있다. 혁신제품과 개인의 특성들을 소비자의 구매 결정으로 연결하는 구체적인 특정 요인들을 규명하여, 그 특정 요인이 소비자의 혁신수용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 쳤는지에 대해 연구와 검증을 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품 특성 요인으로 통합기술수용이론 (UTAUT)모델의 요인을 부분적으로 채택하여 예측변수로 사용하였고, 개인 특성 요인으로는 기술준비 도(TRI)를 사용하고 가치기반수용모델(VAM)의 매개를 통해 가치판단의 양면성(긍정 vs 부정)이 혁신 수용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심리적 거리감이 혁신제품에 대한 가치지각과 수용의향 간에 조 절역할을 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소비자가 신제품이나 기술에 대해 신뢰나 긍정적 인 기술준비도를 갖추고 있을 때, 혁신제품의 혜택을 기대하거나 긍정적인 인지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비용(희생)과 관련하여 부정적인 인지작용을 하는 경우에는, 촉진조건에 대해 불안감과 부정적 기술준비도를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결과는 혜택뿐만 아니라 희생요인도 소비자의 혁신 제품 수용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는데, 혜택요인이 희생요인보다 영향력(베 타값 기준)이 더 높았지만 희생요인도 상당히 중요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마지 막으로 조절역할을 고려하여 적용했던 변수인 심리적 거리감이 증가할수록, 혁신제품에 대한 수용의향 이 낮아진다는 결과를 검증하였다. 위 연구결과에 의한 향후 혁신제품과 혁신기술을 연구하고 활용하는 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스마트그리드 기술의 소비자수용모델 :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접근

        김광석(Gwang-Suk Kim),전효진(Hyo-Jin Jeon),신재욱(Jaewook Shin) 에너지경제연구원 2010 에너지경제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어떻게 스마트그리드 기술을 수용하는지를 예측ㆍ설명해주는 ‘스마트그리드 기술의 소비자수용모델’을 제시하였다. 모델을 설정하는 데는 기술수용모델(TAM)을 바탕으로, 구조방정식모형 접근을 이용하였다.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분석한 Study1에 더하여,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Study2를 통해 모델을 정교화 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그리드 기술의 수용상황에 있어서 어떠한 요소들이 작용하는 지를 설명하는 모델을 제안한 최초의 연구라는 학문적 공헌을 하였다. 한편, 사용자가 어떠한 동기로 스마트그리드 AMI서비스를 채택하게 되는지를 설명해 줌으로써, 정부정책 및 방향성을 제시하는 실무적 공헌점이 있다. 모델 추정결과 전문가와 소비자 간에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이는 일반 사용자들의 스마트그리드 기술에 대한 사용의도가 정부가 의도한 방향과 다른 방식으로 형성됨을 보여주고, 사용자 입장에서의 바람직한 정책적 접근방법을 제시한다. This study suggests that "Consumers' Smart Grid Acceptance Model" explain and forecast a consumers' psychological process of Smart Grid technology acceptance. It i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Survey data from an expert group are utilized to estimate the proposed model in study1 while study2 is based on a sample from general consumers. Through the two studies, the model could be more elaborate. The model estimation output suggested that the intention of the expert group has disparities from consumers' attitude and behavior towards Smart Grid. It is a first study proposing a model specifying what factors affect consumers' usage intention. Meanwhile, this research has a practical contribution towards forming governmental policy and planing optimized approach to distribute the Smart Grid AMI service. Moreover, the result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experts and consumers points out that consumers' Smart Grid usage intention can be formed differently from the direction intended by the government, and finally the study gives an invaluable advice on the appropriate approach to end users.

      • KCI등재

        맞춤형 스마트 광고 수용의도 결정 요인 연구 : 보호동기이론, 기술수용모델, 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이정기,姜京守 한국소통학회 2015 한국소통학보 Vol.26 No.-

        이 연구는 맞춤형 스마트 광고 수용 의도 결정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스마트 광고의 발전을 위한 수용자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보호동기이론, 기술수용모델, 계획행 동이론 등 인간의 사회문화적 행동 의도 예측에 유용성을 보이는 이론들을 활용함으로써 맞 춤형 스마트 광고 수용 의도 예측의 설명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첫째, 보호동기이론의 두 가지 구성 변인은 모두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쳤다. 설명량은 3.7%였다. 둘째, 기술수용모델을 구성하는 두 가지 변 인 모두 종속변인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설명량은 26.7%였다. 셋째, 계획행동이론을 구성하 는 세 가지 변인 모두 종속변인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설명량은 25.1%였다. 넷째, 보호동기 이론, 기술수용모델, 기술수용모델을 독립 변인으로 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인지된 행위 통 제 변인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쳤다. 설명량은 35.3%였다. 이 연구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 광고 활성화를 통한 수용자 복지의 증진과 광고 시장 활 성화를 동시에 모색하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수행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acceptance intention for customized smart advertising and thus propose a number of user strategie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smart advertising. The study tried to increase the explanatory power of acceptance intention prediction in customized smart advertising especially by making use of theories that were useful for predicting the social and cultural behavior of people such as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study generated the following results with a group of college student subjects: first, the two component variables of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all had influences on the dependent variables with explanatory power of 3.7%; second, the two component variable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ll had positive effects on the dependent variables with explanatory power of 26.7%; third, the three component variable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ll had positive impacts on the dependent variables with explanatory power of 25.1%; and finally, the study conduct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found that all the variables except for perceived behavior control had influences on the dependent variables with explanatory power of 35.3%.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made a number of proposals to promote user welfare and vitalize the advertising market through the activation of smart advertising.

      • KCI등재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연구에 대한 종합적 고찰

        유재현 ( Jae Hyun You ),박철 ( Cheol Park )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10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9 No.2

        하이테크 제품이나 첨단기술을 수용하는 데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서는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Davis(1989)의 기술수용모델(TAM)은 수용자의 정보기술수용과 사용행동을 설명하는데 간단하면서도 설명력이 매우 높은 모형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국내외적으로 많은 후속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TAM이 정보시스템 및 하이테크 시스템의 수용에 높은 설명력을 보임에 따라 무비판적으로 적용하는 연구가 성행하고 있다. 또한 수용 제품이나 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하기 보다는 TAM을 무비판적으로 확장하여 차별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진행되어온 TAM에 관한 연구들에 대해서 문헌적 검토를 하여 향후 더 나은 연구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술수용모델 연구들의 연대별 진화과정을 재검토하였고, 기술수용모델 연구들의 특징을 모델구성측면, 투입변수측면, 적용분야측면, 방법론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들 연구의 문제점을 제시 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conducted concern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of hightech products or advanced technologies. Especially,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of Davis(1989) has been acknowledged as a simple model that has yet very high explanatory power in explaining users`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ir behaviors in using it; and many follow-up researches are going on domestically and abroad.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es applied TAM without criticism, because it apparently explained well the acceptance of information system and hightech system. They also have the problem that the extensive use of TAM without criticism and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ccepted products or services led to the lack of differentiation. Accordingly, in an effort to pursue better future research, the present research involved a literature review of the researches that have been carried out so far about TAM. For this purpose, a reexamination was first conducted into the chronological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research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s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ere also examined in the aspects of model construction, input variables, application field and methodology. Then suggestions were made concerning the problems of those researches, as well as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