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행정기관의 협업 실태 분석:경기도교육청 직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백병부,나현주 한국교육개발원 2019 한국교육 Vol.46 No.1

        정책환경의 변화에 따라 공공기관의 협업이 강조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과 같은 교육행정기관도 마찬가지이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경기도교육청 구성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교육행정기관의 협업 실태를 분석하였다. 경기도교육청 소속 직원을 전문직과 일반직, 직급, 근무지 등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FGI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육청의 협업에 대해서는 FGI 참여자 모두 대체로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평가하였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협업은 사안 대처를 위한 사후적 협조 요청, 참여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지는 못하는 협업, 목표보다는 책임을 먼저 생각하는 협업, 관계의 질이 협업의 질을 결정하는 협업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양상으로 협업이 진행되는 이유로 협업에 대한 두려움과 거부감, 자신의 업무를 중심에 두고 공문으로 일하는 업무 처리 방식, 각개약진과 갈등을 부추기는 조직구조와 문화, 일반직과 전문직 간 소통과 이해 부족, 집단이기주의를 중재하고 조정할 수 있는 리더나 조정자의 역할 부재 등을 들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협업적 조직 문화 형성, 구성원의 협업 역량 강화, 협업 리더십 구축, 조직 재구조화, 자연스럽게 협업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넛지 전략 등을 협업 활성화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Purpose: As the policy environment changes, collaboration among public institutions has been emphasized. The same is tru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s such as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collaboration in the education administrative agency based on the member’s recognition.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he method this study used was FGI based on the staff of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The focus group consisted of 12 group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ir departments and positions. The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semi - structured questionnaires divided by three categories: collaboration necessity, collaboration experience, and collaboration activa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e FGI are as follows. First of all, FGI participant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cooperation between departments. Collaboration that is currently underway has some limits: unilateral cooperation requests to cope with issues, collaboration in which that all the participants cannot succeed, collaboration based on establishing responsibility first, and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is the main factor that determines the quality of the collaboration. The causes of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ear and rejection of possible collaboration, the manner in which work is executed is altered, the emergence of an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ulture that encourages conflicts, a lack of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general and professional staff, and the absence of leadership roles to mediate and adjust for group selfishnes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ome methods which includes the formation of a collaborative culture, strengthening of the collaborative capacity of members, building collaborative leadership roles, restructuring of the organization and nudge strategies that naturally motivate collaboration. Values: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can contribute to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ollaboration within educational administrative agencies. Furthermore, this study can help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to identify the conditions necessary to accept new policy demands through collaboration.

      • KCI등재

        협업 평가 모형의 개발: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김병수 ( Byoung Soo Kim ),심선영 ( Seon Young Shim ),강영식 ( Young Sik Kang ),한을진 ( Eul Jin Han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5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7 No.1

        최근 공공기관에서 협업은 기업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경영 방식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공공기관 협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협업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 협업 기반으로는 관계 품질, 최고 경영자의 협업 관심, 협업 시스템, 협업 프로세스 관리를 고려하였다. 그리고 이런 협업 기반 요인들은 조직원들의 지식 경영 의지와 소통과 같은 협업 과정을 통해 협업 성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제안한 협업 평가 모형은 D 공공 기관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되었으며, PLS를 활용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조직원들의 지식 공유 의지와 소통은 협업 성과를 향상시키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함을 밝혀내었다. 또한, 협업 시스템과 협업프로세스 관리는 협업 과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최고 경영자의 협업 관심은 협업 과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관계 품질은 지식 공유 의지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Nowadays collaboration in a public sector is regarded as an effective management method to enhance firm performance. In this regard, this study develops a collaboration measurement model to investigate key antecedents of collaboration performance. The research model posits relationship quality, CEO support, collaboration system, collaboration process management as the main collaboration enablers. This study also proposes that collaboration processes, such as employee``s knowledge sharing intention and communication,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collaboration enablers and its performance. The proposed collaboration measurement model was tested by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227 employees in one public institution. PLS (partial least squares) was adopt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both knowledge sharing intention and communication play a significant role in enhancing collaboration performance. The findings revealed that collaboration system and collaboration process management significantly influences collaboration processes, while CEO support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collaboration processes. Finally, relationship quality only significantly affects knowledge sharing intenti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escribed.

      • KCI등재

        제도적 동형화를 통한 사회적 협업의 정당성이 공공기관의 협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박서정,곽선화,이종봉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2020 사회적기업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공공기관과 사회적경제조직 간 협업관계에 주목하여, 제도적 환경 아래 정당성이 사회적경제조직과의 협업을 지속하고자 하는 공공기관의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또한 이러한 협업 관계에 있어 상호 이익을 위한 조정을 용이하게 해주는 사회적 자본의 역할을 고려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Dimaggio&Powell(1983)가 제시한 제도적 압력 유형인 강압적 동형화(coerciveisomorphism), 모방적 동형화(mimetic isomorphism), 규범적 동형화(normative isomorphism)를 중심으로제도적 환경 속 정당성 추구 유형을 구분하고, 이러한 정당성이 기관의 사회적경제조직과의 협업지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을 예측하였다. 동시에, Nahapiet & Ghoshal(1998)이 제시한 사회적 자본의 3가지 차원인 구조적 자본(structural capital), 관계적 자본(relational capital), 인지적 자본(cognitive capital)을 활용하여 사회적 자본의 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에는 부산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부산 사회적경제 지원 기금조성(BEF)에 참여하는 부산시 및 부산지역 8개 공공기관 구성원으로부터 수집된 설문 데이터 151부를 활용하였다. SPSS 21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압적 동형화를 통한 정당성이 공공기관의 사회적경제조직과의협업지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규범적 동형화를 통한 정당성이 공공기관의사회적경제조직과의 협업지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으로 그 효과크기가 강압적 동형화를 통한 정당성이 협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보다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강압적동형화를 통한 정당성이 협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자본의 정(+)의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가 제시한 가설과는 반대로, 규범적 동형화를 통한 정당성이 협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관계적 자본이 부(-)의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통계적 결과와 이론적의의를 바탕으로 사회가치실현이라는 공동목적을 추구하는 공공기관과 사회적경제조직의 협업관계지속에있어 고려할 수 있는 정책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후 연구의 한계점을 짚고 향후 연구방향에대해 제언하였다. Focusing on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institutions and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for the realization of social valu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legitimacy under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on the intentions of public institutions to continue cooperation with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Furthermore, the study also considered the role of social capital in this collaborative relationship that facilitates coordination for mutual benefit. Specifically, this study used three institutional pressure types, coercive isomorphism, mimetic isomorphism, normative isomorphism, presented by Dimaggio&Powell(1983) for categorizing the types of legitimacy pursuit in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it was predicted that these three types of legitimacy w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public institution’s intention to continue social collaboration with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At the same time, the three dimensions of social capital, structural capital, relative capital, cognitive capital, presented by the Nahapiet & Ghoshal(1998) were used to verify the positive(+) moderating effects amid the effects of legitimacy through institutional isomorphism on the public institution’s intention of future collaboration. The analysis utilized 151 survey data collected from members of eight public institutions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and local government of Busan participating in the Busan Embracement Fund for Social Economic Development (BEF)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social economy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1 statistical package, and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legitimacy through coercive pressures has a positive(+) influences on the public institution’s intention of future collaboration with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Secondl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legitimacy through normative pressures has a positive(+) influences on the public institution’s intention of future collaboration with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and that the effective size of public institution’s intention of future collaboration through normative pressures is the largest. Thirdly, it was shown that cognitive capital h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amid the influence of legitimacy through coercive pressures on the public institution’s intention of future collaboration. Fourthly, contrary to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relative capital had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amid the influence of legitimacy through normative pressures on the public institution’s intention of future collaboration. Based on the above statistical results and theoretical meaning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escribed that can be considered for the continuation of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institutions and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that pursue the common purpose of social value realization.

      • KCI우수등재

        위기가구 지원을 위한 의료기관 의료사회복지사와 지역사회기관 사회복지사의 연계 및 협업 경험

        임정원,장수미 한국사회복지학회 2024 한국사회복지학 Vol.76 No.1

        본 연구는 위기가구 발굴 및 지원을 위한 병원과 지역사회 간 연계와 협업 경험을 탐색하고, 의료사회 복지사와 지역사회기관 사회복지사 간의 연계와 협업 경험에서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세평적 사례선택(reputational case selection)을 통해 병원에서 근무하는 의료사회복지사(n=7)와 지역사회기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n=7)를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와 개별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1) 위기가구에 대한 개념과 인식, 2) 병원-지역사회 연계 및 협업이 필요한 이유, 3) 병원-지역사회 연계 및 협업의 유용성, 4) 병원-지역사회 연계 및 협업에서의 장벽, 5) 연계와 협업을 통한 기대라는 상위범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의료사회복지사와 지역사회기관 사회복지사는 5개 상위범주에서 유사점으로 총 20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고, 동일한 상위범주에서 각각 1~2개의 하위범주를 통해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의료사회복지사와 지역사회기관 사회복지사가 위기가구를 위한 연계 및 협업 과정에서의 경험을 포괄적으로 이해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향후 위기가구 발굴 및 지원을 위해 의료기관 의료사회복지사와 지역사회기관 사회복지사의 연계 및 협업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하나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source linkage and collaboration experiences between hospitals and local communities to discover and support households in crisis, and to identif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resource linkage and collaboration experiences between medical social workers and social workers in local community organizations. For this, two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recruiting medical social workers (n=7) and community social workers (n=7) using the reputational case selection. The study findings confirmed that the major five themes of 1) the concept and perception of crisis households, 2) the reason why hospital-community linkage and collaboration are necessary, 3) the usefulness of hospital-community linkage and collaboration, 4) barriers in hospital-community linkage and collaboration, and 5) expectations through linkage and collaboration. Medical social workers and community social workers presented similarities in a total of 20 subcategories in five major themes, and differences were identified through one or two subcategories, respectively, in the same major themes. This study is a contribution to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linkage and collaobration in which medical social workers and community social workers experience. The current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a linkage and collaboration system between medical social workers and community social workers to discover and support households in crisis in the future.

      • KCI등재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구협업 패턴에 관한 연구: - 협업지수의 적용 -

        박지홍,허지영,Park, Ji-Hong,Heo, Ji-You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8 No.1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구협업의 특성을 기관 단위로 협업지수들을 활용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학문 분야로서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협업에 대한 연구는 국가 단위로 비교하는 연구는 몇몇 이루어졌으나, 단위 국가 내에서 일어나는 기관 단위 협업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분석을 위해 KCI(Korea Citation Index) 웹사이트에서 주제별 분류를 통해 문헌정보학 분야에 해당하고 KCI에 등재된 8개의 저널들을 데이터로 선택하였다. CC(Collaborative Coefficient), CAI(Co-Authorship Index), Local Collaborative Index(LCI), Domestic Collaborative Index(DCI)의 협업지수를 통하여 문헌정보학 분야 기관 간 협업 패턴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였다. 중앙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의 경우 대학교라는 기관 특성 상 공동 연구가 주로 교수와 대학원생 간의 협업, 교수들 간의 협업 형태로 많이 이루어지는 점이 반영되었다. 멀티, 메가 단위의 공동 저자 유형에서 매우 높은 지수를 나타낸 KISTI의 경우 연구소라는 기관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팀 단위로 프로젝트 성격의 공동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이 보편적인 연구소의 특성이 영향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collaborations in the field of LIS. While there are several studies under the unit of analysis of country,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under the unit of analysis of institution in LIS field. For this analysis, we selected eight journals in the KCI (Korea Citation Index) web site, which correspond to the field of LIS through subject classification. The collaborative indices, Collaborative Coefficient, Co-Authorship Index, Local Collaborative Index (LCI), Domestic Collaborative Index (DCI) allowed us to comparatively analyze institutional collaboration patterns in LIS field. In the case of Chung-Ang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and Ewha Womans University, collaborative research among professors, graduate students, and professors reflected the fact that collaborations among universities are often performed with professors. In the case of KISTI, which showed a very high index value, the characteristics of project-based research are reflected in the research collaboration pattern.

      • 국내 HCI 학계 prolific 기관의 협업 네트워크

        이향이(Hyang-ee Lee),박지홍(Ji Hong Park),송예슬(Yeseul Song)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2

        국내 HCI 연구의 성과는 세계적 수준에 이른데 비해, 학문적 지형도에 대한 조망은 이루어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국내 HCI 학계의 학문적 지형도를 파악하고자 하는 첫 번째 시도로, 최근 3 년간의 한국 HCI 학술대회 프로시딩을 대상으로 많은 양의 연구를 발표한 prolific 기관을 파악하고 각 기관의 내·외부 협업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먼저, 논문발표 수 및 저자 참여비중을 고려해 prolific 기관을 선정하였다. prolific 기관은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서울대학교, KAIST 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공저자 분석을 통해 네 기관의 내·외부 협력 네트워크를 학과 단위로 살펴보았다. 각 기관은 서로 다른 협업행태 및 특징을 보였으며, 중심학과, 외부 협업 기관, 연구 관심주제도 모두 다르게 나타났다. 국내 HCI 학계 prolific 기관의 특징을 보여주는 본 연구의 결과물은 HCI 분야 연구자들이 연구 전략을 수립하거나 협업 연구를 계획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국내 HCI 학계를 파악하는 초기 연구로 기관 단위를 살펴봄으로써 거시적 시각을 유지하였는데, 이에 기반해 보다 구체적인 국내 HCI 분야 지식구조 및 네트워크 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While the HCI research quality in Korea has reached to international level, few studies have visualized academic map of HCI field, especially of Korea. This study is the first of its kind applying bibliometric to identify the HCI scholarly network in Korea. We identified prolific institutions that have a high research productivity in HCI field, and analyzed internal and external collaborative networks of those institutions using the HCI Korea conference proceeding. Findings include that the most prolific institutions are Sungkyunkwan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KAIST. These institutions show quite differences in terms of collaborative patterns, central departments, external collaboration institutions, and research subjects. Each institution"s collaboration characteristics are also describ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for HCI researchers especially when they establish research strategy or plan collaborative research. Also, this study provides a fundamental basis for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HCI in Korea.

      • KCI등재

        혁신 중개조직 간 협업방안 : 세종지역 중심으로

        윤재만,최종인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22 기업경영리뷰 Vol.13 No.1

        This study proposed a plan to create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innovative intermediaries that perform functions to foster regional innov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ol- laboration plans for the Creative Economy Innovation Center and Techno-Park, which are Innovative intermedi- aries in Sejong. The collaboration framework was reconstructed and presented by synthesizing the collaboration indicators identified by the review of the collaboration theory literature.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accuracy and validity of the collaboration framework, and reviewed the accuracy and validity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study subject status, public institution collaboration cases, and interviews with innovative brokers. As for the cooperation plan between innovation intermediaries, first, it is necessary to set the direction of collaboration by matching the areas of joint goals between institutions. Second, the will of the head of the agency influences the formation of the scale of collaboration and the perception of members. Third, compensa- tion support systems such as personnel and economy should be prepared for employees participating in col- laboration.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will be helpful in creating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innovative broker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such as Sejong City and new cities in developing countries in similar environments. 본 연구는 지역혁신과 경제발전 육성을 위해 기능을 수행하는 혁신 중개조직인 간 협업체계 조성방안을 제시하 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세종지역 혁신 중개조직인 창조경제혁신센터와 테크노파크 대상으로 협업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며, 협업이론 문헌 고찰로 확인한 협업지표를 종합하여 협업 프레임워크를 재구성하여 제시하였다. 협업 프레 임워크의 정확성과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례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사례조사는 연구대상 현황, 공공기관 협업 사례, 혁신 중개조직 관계자 인터뷰 등 내용을 분석하여 정확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혁신 중개조직 간 협업방안은, 첫째, 기관 간 공동목표의 영역을 정합하여 협업의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둘째, 기관장의 의지는 협업의 규모와 조직원의 인식에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협업에 참여하는 직원에게 인사, 경 제적 등 보상지원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세종시와 같은 중소도시, 유사한 환경에 있는 개발 도상국 신생 도시에 있는 혁신중개인 간 협업체계 조성방안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청소년 체험활동 활성화를 위한 기업 사회공헌 사업과의 협업 추진방안 연구

        임지연,황세영,김도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세대 청소년의 꿈과 성장을 위하여 청소년사업과 기업 사회공헌사업의 협업 추진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 기업 사회공헌사업은 아동 · 청소년 보호 · 복지 분야에서 활성화되고 청소년활동 · 교육 분야에서는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체험활동 영역을 중심으로 교육 · 보호 · 복지를 포괄한 청소년사업 활성화를 위한 협업 추진방안을 개발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국내외 문헌고찰, 해외사례분석, 면담조사, 설문조사, 원탁토론회, 청소년정책포럼을 실시하였다. 청소년을 위한 NPO-기업 사회공헌사업과의 협업 추진을 위해서 가장 핵심적인 요건은 협업지침 개발과 청소년 사회공헌 중추지원조직 기능 및 설립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물로 첫째, 협업지침 개발, 둘째, 청소년 사회공헌 중추지원조직 기능 및 설립, 셋째, 현장실행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또한 ‘협업 실행지침’체크리스트 양식과 ‘중추지원조직의 기능과 추진사항’체크리스트 양식을 개발하였다. 첫째, 협업지침 개발은 기획, 실행, 성과관리 단계를 포함하여 1)파트너십 이유와 성공요건, 2)자기평가 및 역량진단, 3)적합한 파트너 선정기준, 4)사회이슈 및 청소년어젠다 파악, 5)잠재파트너탐색과 파일럿테스트, 6)사전실무협의, 7)실행실무협의, 8)진행관리, 9)효과추적 및 중간평가 공유, 10)성과보고와 평가로써 총 10단계의 18개 활동으로 개발되었다. 둘째, 본 연구가 개발한 ‘청소년 사회공헌 중추지원조직의 기능과 추진사항’은 비전과 전략제시(어젠다 발굴), 정책제안, 자원 및 지지확보, 지역사회 참여촉진, 배열, 성과관리마련으로 총 6개 기능과 15개의 추진사항으로 개발되었다. 중추지원조직 체크리스트 양식의 활용방법은, 중추지원조직의 기능은 원칙적인 차원에서 공통적인 활동을 중심으로 제시된 것이지만 집합적 임팩트 협업체계 안에서 실제 중추조직의 위상과 성격은 현장 여건과 상황별로 매우 다르다는 점이다. 따라서 현장 적용 실행사례에 맞게 체크리스트 양식에 제시된 기능과 추진사항들을 활용할 수 있으며, 몇 개의 중추조직이 함께 역할을 분담하여 실행할 수도 있다. 셋째, 집합적 임팩트의 관점에서 중추지원조직으로서의 (가칭)청소년사회공헌개발센터 설립제안으로 청소년정책 추진체계에서의 위상과 법적 · 제도적 근거마련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넷째, 현장실행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과제로서 자원 및 지지확보, 비전과 전략개발, 사업의 확장 및 정책화를 제시하였다. 집합적 임팩트 접근에서는 소규모 기관도 함께 협업추진의 동력이 될 수 있고 기업도 자금제공자이면서도 파트너로서 역할을 하며 정부와 지자체, 민간에서도 함께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물을 통하여 청소년 활동 영역을 중심으로 교육 · 보호 · 복지를 포괄한 청소년사업 활성화와 기업-청소년NPO-학교-정부-지자체가 다분야 협력을 통하여 국가 미래자원인 청소년들의 성장과 지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협업실행지침 및 중추지원조직의 기능과 설립제안은 현장 실행을 돕기 위하여 처음 시도한 것임으로 후속 연구의 발전을 기대하며, 국내외 기업 CSR활동 학습동맹 관련 지역-국가- 글로벌 플랫폼과의 소통 및 학습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개인의 협업태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협업경험 및 공공봉사동기를 중심으로

        박정호 한국인사행정학회 2016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5 No.4

        그 동안 협업에 대한 중요성은 꾸준히 제기되었다. 특히 우리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의 복잡성 (complexity)이 높아지게 됨에 따라 공무원들은 보다 포괄적인 시각을 견지하고 여러 관련된 요인들을 동시에 고려하여 정책을 입안하고 집행해야하는 상황에 놓였다. 이러한 이유에서 여러 분야의 전문성을 보유한 개인 간, 기관 간 협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협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공무원 개인수 준에서 협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협업의 방법을 모색하려는 태도를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 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협업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협업에 참여하려는 공무원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에 대해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업무와 관련하여 협업의 필요성과 협업에 대한 과거의 긍정적인 경험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공공봉사동기가 협업과 긍정 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와 정책함의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행정기관의 효율적인 협업시스템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이종현(Jong hyun Lee),한경석(Kyung seok Han) 한국정책과학학회 2012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6 No.1

        본 연구는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의 협업시스템 도입을 위한 민간기업과 선진국의 선행사례 및 선행연구와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근거로 협업지원 정보시스템 도입 필요성에 대해 실증적 연구를 추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협업관련 충분한 정보 제공과 통합도구에 의한 편리한 정보제공 기능, 협업진행 기능의 필요성과 기존의 협업추진 방식의 개선, 만족도와의 설문항목 간 상관관계 검증을 범위로 하였으며 문헌조사를 통하여 협업의 정의를 살펴보고 본 연구에 사용한 연구모델 및 가설을 수립하였다. 설문은 중앙부처 및 지자체 공무원 1,15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설문결과는 AMOS를 활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여 연구모델을 검증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This research includes the leading practices in collaboration system of central, local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Also reviewing adaptation of the system based upon government employee's survey.The research ranges to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in collaboration and UC, the necessity of collaboration function and improvement of current collaboration system and the satisfaction and correlation verification. The methodology of the research is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The definition of collaboration,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concluded throughout Literature review. Surveys has been participated by 1,159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employees and the factor, credibility and validity analysis were processed by AMOS to analyze research model verifica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Hypothesis has been verified by regression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